KR102001634B1 - 형상기억 장치, 차량 시트용 커버, 의자용 방석 및 매트리스 - Google Patents

형상기억 장치, 차량 시트용 커버, 의자용 방석 및 매트리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1634B1
KR102001634B1 KR1020170059487A KR20170059487A KR102001634B1 KR 102001634 B1 KR102001634 B1 KR 102001634B1 KR 1020170059487 A KR1020170059487 A KR 1020170059487A KR 20170059487 A KR20170059487 A KR 20170059487A KR 102001634 B1 KR102001634 B1 KR 1020016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valve
control unit
user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9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4629A (ko
Inventor
노근호
Original Assignee
노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근호 filed Critical 노근호
Priority to KR1020170059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1634B1/ko
Publication of KR20180124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46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1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16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8Fluid mattresses or cushions
    • A47C27/081Fluid mattresses or cushions of pneumatic type
    • A47C27/083Fluid mattresses or cushions of pneumatic type with pressure control, e.g. with pressure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8Fluid mattresses or cushions
    • A47C27/081Fluid mattresses or cushions of pneumatic type
    • A47C27/082Fluid mattresses or cushions of pneumatic type with non-manual inflation, e.g. with electric pum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2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8Seat cove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체형 및 체중에 따라 변형되고 변형된 형상을 유지하여 사용자에게 안정감과 편안함을 제공하는 형상기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형상기억 장치는, 사용자의 체중과 체형을 부분적으로 받아서 체중과 체형에 상응하도록 변형되어 유지되도록 복수로 구획되는 쿠션 구역부, 외부에서 상기 쿠션 구역부로 유입되거나 상기 쿠션 구역부에서 외부로 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도록 각 쿠션 구역부에 연결되는 밸브, 및 사용자의 사용 신호를 받아서 상기 밸브를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형상기억 장치, 차량 시트용 커버, 의자용 방석 및 매트리스 {Shape Memory Device and Cover for Vehicle Seat, Cushion for Chair, and Mattress}
본 발명은 형상기억 장치, 차량 시트용 커버, 의자용 방석 및 매트리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체형 및 체중에 따라 변형 및 유지되는 형상기억 장치, 차량 시트용 커버, 의자용 방석 및 매트리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착석수단(sitting means)은 대퇴부와 골반을 지지해 주는 착석부와 착석부의 위쪽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등을 지지해 주는 등받이부를 가진다. 예를 들면, 착석수단에는 의자, 차량 시트, 비행기 시트, 벤치, 소파, 접는 의자 및 휠체어 등이 있다.
착석부는 사용자의 체중을 집중적으로 받게 된다. 이러한 착석부는 사용자의 체형 및 체중에 따라 변형되고, 사용 중 사용자의 자세 및 방향 전환에 따라 변형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착석부에서 안정감과 편안함을 방해 받을 수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05-0117597호(2005. 12. 15. 공개) 착석수단용 감지장치는 사용자에게 최상의 착석자세로 앉도록 권장하고 촉구하는 착석수단용 또는 착석수단에 씌워지고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15-0121812호(2015. 10. 30. 공개) 욕창 방지 매트는 욕창이 주로 발생하는 부위에 대한 예방 및 치료 효과를 극대화하고, 체온과 유사한 온도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체형 및 체중에 따라 변형되고 변형된 형상을 유지하여 사용자에게 안정감과 편안함을 제공하는 형상기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형상기억 장치를 적용하는 차량 시트용 커버, 의자용 방석 및 매트리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형상기억 장치는, 사용자의 체중과 체형을 부분적으로 받아서 체중과 체형에 상응하도록 변형되어 유지되도록 복수로 구획되는 쿠션 구역부, 외부에서 상기 쿠션 구역부로 유입되거나 상기 쿠션 구역부에서 외부로 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도록 각 쿠션 구역부에 연결되는 밸브, 및 사용자의 사용 신호를 받아서 상기 밸브를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하여 작동되는 작동 스위치에 연결되어 사용 신호를 받고, 사용 신호에 따라 상기 밸브를 개방하며, 내장된 타이머의 작동으로 설정 시간 후 상기 밸브를 폐쇄할 수 있다.
상기 쿠션 구역부는 이웃하는 다른 쿠션 구역부와 격리되고, 내부에서 공기 통로로 연결되는 복수의 셀들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셀은 사용자의 체중과 체형에 따라 변형되는 쿠션 부재, 상기 쿠션 부재의 하면을 지지하고 측면의 일부를 수용하며 유연성을 가지는 바닥 수용부재, 및 상기 쿠션 부재의 상면을 지지하고 측면의 나머지 일부를 수용하며 유연성을 가지며 상기 바닥 수용 부재에 부착되는 덮개 수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쿠션 부재는 상기 바닥 수용 부재에 수용되는 하부 쿠션재, 및 상기 하부 쿠션재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덮개 수용 부재에 수용되는 상부 쿠션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쿠션재 및 상기 상부 쿠션재는 하측을 유연 재질로 형성하고, 상측을 단단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형상기억 장치는, 사용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상기 쿠션 구역부 각각에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에 병렬로 연결되는 센서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체중에 의하여 작동되는 상기 센서들에 연결되어 사용 신호를 받고, 사용 신호에 따라 상기 밸브를 개방하며, 상기 센서들의 신호 값이 안정된 후 상기 밸브를 폐쇄할 수 있다.
상기 센서들은 은사원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부에 단자선으로 연결되고, 은사원단에 가해지는 압력의 변화에 따른 저항값 변화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에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센서들은 은사원단을 복수의 겹으로 재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부에 단자선으로 연결되고, 복수 겹의 은사원단에 가해지는 압력의 변화에 따른 저항값 변화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에 인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용 커버는, 차량의 시트 상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체중과 체형을 부분적으로 받아서 체중과 체형에 상응하도록 변형되어 유지되도록 복수로 구획되는 쿠션 구역부, 외부에서 상기 쿠션 구역부로 유입되거나 상기 쿠션 구역부에서 외부로 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도록 각 쿠션 구역부에 연결되는 밸브, 및 사용자의 사용 신호를 받아서 상기 밸브를 독립적으로 제어하도록 차량의 제어장치에 구비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하여 작동되는 시동 스위치에 연결되어 시동 신호를 받고, 시동 신호에 따라 상기 밸브를 개방하며, 내장된 타이머의 작동으로 설정 시간 후 상기 밸브를 폐쇄할 수 있다.
상기 쿠션 구역부는 차량의 시트에서 전방과 후방을 구획하고 전방과 후방에서 좌측과 우측을 구획하는 전방 좌측 구역, 전방 우측 구역, 후방 좌측 구역 및 후방 우측 구역을 포함하고, 상기 밸브는 상기 전방 좌측 구역, 상기 전방 우측 구역, 상기 후방 좌측 구역 및 상기 후방 우측 구역에 독립적으로 연결되는 제1솔레노이드 밸브, 제2솔레노이드 밸브, 제3솔레노이드 밸브 및 제4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용 커버는, 사용자의 체중에 의하여 작동되어 압력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상기 쿠션 구역부 각각에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에 병렬로 연결되는 센서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들에 연결되어 압력 신호를 받고, 압력 신호에 따라 상기 밸브를 개방하며, 상기 센서들의 신호 값이 안정된 후 상기 밸브를 폐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방석은, 의자의 착석부 상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체중과 체형을 부분적으로 받아서 체중과 체형에 상응하도록 변형되어 유지되도록 복수로 구획되는 쿠션 구역부, 외부에서 상기 쿠션 구역부로 유입되거나 상기 쿠션 구역부에서 외부로 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도록 각 쿠션 구역부에 연결되는 밸브, 및 사용자의 사용 신호를 받아서 상기 밸브를 독립적으로 제어하도록 의자에 구비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방석은, 사용자의 체중에 의하여 작동되어 압력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상기 쿠션 구역부 각각에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에 병렬로 연결되는 센서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쿠션 구역부는 의자의 착좌부에서 전방과 후방을 구획하는 전방 구역과 후방 구역을 포함하고, 상기 밸브는 상기 전방 구역과 상기 후방 구역에 독립적으로 연결되는 제1솔레노이드 밸브 및 제2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는 방 바닥이나 침대 상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체중과 체형을 부분적으로 받아서 체중과 체형에 상응하도록 변형되어 유지되도록 복수로 구획되는 쿠션 구역부, 외부에서 상기 쿠션 구역부로 유입되거나 상기 쿠션 구역부에서 외부로 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도록 각 쿠션 구역부에 연결되는 밸브, 및 사용자의 사용 신호를 받아서 상기 밸브를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는 사용자의 체중에 의하여 작동되어 압력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상기 쿠션 구역부 각각에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에 병렬로 연결되는 센서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쿠션 구역부는 사용자가 누운 자세에서 하반신, 허리부 및 상반신에 대응하여 구획하는 하반신 구역, 허리부 구역 및 상반신 구역을 포함하고, 상기 밸브는 상기 하반신 구역, 상기 허리부 구역 및 상기 상반신 구역에 독립적으로 연결되는 제1솔레노이드 밸브, 제2솔레노이드 밸브 및 제3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허리부 구역은 사용자가 누운 자세에서 중심과 양측을 구획하는 중심 구역과 양측 구역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솔레노이드 밸브는 상기 중심 구역과 상기 양측 구역부에 독립적으로 연결되는 중심 밸브와 양측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가 각 쿠션 구역부에 연결되는 밸브를 사용자의 체중과 체형에 따라 독립적으로 제어하여, 각 쿠션 구역부가 체중과 체형에 상응하도록 변형되어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형상기억 장치로부터 안정감과 편안함을 느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용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적용되는 제1실시예에 따른 형상기억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 및 도 3의 형상기억 장치에 적용되는 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Ⅴ-Ⅴ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 및 도 3의 형상기억 장치에 적용되는 셀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용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적용되는 제2실시예에 따른 형상기억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9는 도 7에 적용되어 압력을 측정하는 센서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Ⅹ-Ⅹ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센서에 작용하는 압력(Pr)과 저항값(R)과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방석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적용되는 제3실시예에 따른 형상기억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ⅩⅣ-ⅩⅣ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의 평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적용되는 제4실시예에 따른 형상기억 장치의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일 실시예에 따른 형상기억 장치는 차량 시트용 커버, 의자용 방석 및 매트리스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편의상, 형상기억 장치에 대하여 별도로 설명하지 않고, 차량 시트용 커버, 의자용 방석 및 매트리스와 함께 관련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용 커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적용되는 제1실시예에 따른 형상기억 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1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차량 시트용 커버는 차량의 시트(미도시) 상에 설치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1실시예의 형상기억 장치(1)는 차량 시트용 커버에 적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일 실시예의 차량 시트용 커버는 제1실시예의 형상기억 장치(1)를 구비하고 있다.
제1실시예의 형상기억 장치(1)는 쿠션 구역부(10), 밸브(20) 및 제어부(30)를 포함한다. 쿠션 구역부(10)는 사용자의 체중과 체형을 부분적으로 받아서 체중과 체형에 상응하도록 변형되어 유지되도록 복수로 구획된다.
밸브(20)는 외부에서 쿠션 구역부(10)로 유입되거나 쿠션 구역부(10)에서 외부로 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도록 각 쿠션 구역부(10)에 연결된다. 즉 밸브(20)는 쿠션 구역부(10) 내에 유지되는 공기량을 조절 및 단속한다.
제어부(30)는 사용자의 사용 신호를 받아서 밸브(20)를 독립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제어부(30)는 밸브(20)를 제어하여 쿠션 구역부(10)의 변형을 가능하게 하고, 쿠션 구역부(10)의 변형된 상태를 유지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30)는 사용자에 의하여 작동되는 작동 스위치(40)에 연결되어 작동 스위치(40)의 작동에 따른 사용 신호를 받고, 사용 신호에 따라 밸브(20)를 개방하며, 내장된 타이머(31)의 작동으로 설정 시간 동안 쿠션 구역부(10) 내의 공기를 배출한 후 밸브(20)를 폐쇄한다.
밸브(20)가 개방되어 있는 시간 동안 쿠션 구역부(10) 내의 공기는 설정된 양만큼 배출된다. 따라서 쿠션 구역부(10)는 사용자의 체중 및 체형에 상응하는 형상 및 압력으로 변형되고, 변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형상기억 장치(1)가 차량 시트용 커버에 적용되는 경우, 제어부(30)는 차량의 제어장치(미도시)에 내장되고, 작동 스위치(40)는 시동 스위치(미도시)로 대치되어 제어부(3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0)는 사용자에 의하여 작동되는 시동 스위치의 시동 신호를 받고, 시동 신호에 따라 밸브(20)를 개방하며, 내장된 타이머(31)의 작동으로 설정 시간 경과 후 밸브(20)를 폐쇄한다.
즉 차량 시트용 커버에서는 시동 스위치가 작동 스위치(40)로 작동하고, 시동 신호가 사용자의 사용 신호로 작동한다. 따라서 형상기억 장치(1)는 시동 스위치의 작동과 동시에 작동되어 설정 시간 내에, 쿠션 구역부(10)를 사용자의 체중과 체형에 상응하도록 변형 및 유지 제어한다.
쿠션 구역부(10)는 이웃하는 다른 쿠션 구역부와 격리되고, 각 쿠션 구역부(10)의 내부에서 공기 통로(P)로 연결되는 복수의 셀들(100)을 구비한다. 복수의 셀들(100)은 사용자의 체중과 체형에 따라 공기가 유입 및 유출됨에 따라 변형되어 사용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일례로써, 차량 시트용 커버에서, 쿠션 구역부(10)는 차량의 시트에서 전방과 후방을 구획하고 전방과 후방에서 좌측과 우측을 구획하는 전방 좌측 구역(FL), 전방 우측 구역(FR), 후방 좌측 구역(RL) 및 후방 우측 구역(RR)을 포함한다.
밸브(20)는 전방 좌측 구역(FL), 전방 우측 구역(FR), 후방 좌측 구역(RL) 및 후방 우측 구역(RR)에 독립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되는 제1솔레노이드 밸브(SV1), 제2솔레노이드 밸브(SV2), 제3솔레노이드 밸브(SV3) 및 제4솔레노이드 밸브(SV4)를 포함한다.
제1솔레노이드 밸브(SV1), 제2솔레노이드 밸브(SV2), 제3솔레노이드 밸브(SV3) 및 제4솔레노이드 밸브(SV4)는 제어부(30)에 연결되어 각각 제어되어, 전방 좌측 구역(FL), 전방 우측 구역(FR), 후방 좌측 구역(RL) 및 후방 우측 구역(RR)을 각 부분에서 체중과 체형에 대응하도록 독립적으로 제어한다.
따라서 전방 좌측 구역(FL), 전방 우측 구역(FR), 후방 좌측 구역(RL) 및 후방 우측 구역(RR)이 사용자의 체중과 체형에 상응(예를 들면, 다리의 좌우 대퇴부와 엉덩이의 좌, 우측에 상응)하도록 변형 및 유지될 수 있다.
이를 더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하여, 제1솔레노이드 밸브(SV1), 제2솔레노이드 밸브(SV2), 제3솔레노이드 밸브(SV3) 및 제4솔레노이드 밸브(SV4)는 체중 및 체형이 집중 또는 분산되는 위치 및 강도에 따라 서로 시차를 두고 다른 시간 동안 개방 및 폐쇄될 수도 있다.
도 4는 도 1 및 도 3의 형상기억 장치에 적용되는 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Ⅴ-Ⅴ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쿠션 구역부(10; FL, FR, RF, RR) 및 셀(100)은 사용자의 체중과 체형에 따라 변형되는 쿠션 부재(101), 쿠션 부재(101)를 지지 및 수용하는 바닥 수용 부재(102) 및 덮개 수용 부재(103)를 포함한다.
바닥 수용 부재(102)는 쿠션 부재(101)의 하면을 지지하고 쿠션 부재(101) 측면의 일부를 수용하며 유연성을 가진다. 덮개 수용 부재(103)는 쿠션 부재(101)의 상면을 지지하고 쿠션 부재(101) 측면의 나머지 일부를 수용하며 유연성을 가진다.
그리고 바닥 수용 부재(102)와 덮개 수용 부재(103)는 서로 기밀 구조로 부착된다. 바닥, 덮개 수용 부재(102, 103)는 동일한 쿠션 구역부(10; FL, FR, RF, RR) 내에서 이웃하는 셀들(100)을 공기 통로(P)로 연결하고, 이웃하는 쿠션 구역부(10; FL, FR, RF, RR)를 상호 격리시킨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쿠션 부재(101)는 바닥 수용 부재(102)에 수용되는 하부 쿠션재(111), 및 하부 쿠션재(111)의 상부에 배치되어 덮개 수용 부재(103)에 수용되는 상부 쿠션재(112)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쿠션 부재(101)는 메모리폼이나 라텍스 및 스펀지로 형성될 수 있다.
쿠션 구역부(10; FL, FR, RF, RR) 및 셀(100)은 사용자의 체중과 체형이 작용할 때, 하, 상부 쿠션재(111, 112)는 서로 분리 형성되고 상하 방향으로 적층 밀착되어, 바닥, 덮개 수용 부재(102, 103)에 각각 수용되므로 체중과 체형에 따라 높이 방향에서 단계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즉 하, 상부 쿠션재(111, 112)는 쿠션 구역부(10; FL, FR, RF, RR) 및 셀(100)에서 압축 변형을 분산하여 상부 또는 하부에서 집중적으로 압축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체중 해제 후, 복수의 위치에서 동시에 압축 해제되어 안정적인 복원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하, 상부 쿠션재(111, 112)는 동일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하, 상부 쿠션재는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되어 필요에 따라서 압축 변형을 하측 또는 상측에서 서로 다르게 유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쿠션 부재(101)는 2개로 예시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쿠션 부재는 더 많은 개수로 형성될 수 있고,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되어 압축 변형 및 압축 해제를 높이 방향에서 다양한 조합으로 유도할 수도 있다.
또한, 셀(100)에서 하부 쿠션재(111)는 하측에서 복수의 돌기(113)를 구비한다. 바닥 수용 부재(102)는 돌기(113)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하부 쿠션재(111) 및 돌기(113)를 기밀 구조로 수용한다.
하부 쿠션재(111)의 돌기(113) 및 바닥 수용 부재(102)의 대응 구조는 일 실시예의 차량 시트용 커버를 차량 시트에 설치할 때, 바닥 수용 부재(102)와 차량 시트 사이에서 상호 마찰력을 향상시켜 차량 시트용 커버를 효과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셀(100)에서 하, 상부 쿠션재(111, 112)는 바닥, 덮개 수용 부재(102, 103)와의 사이에 공간(SP)을 형성한다. 공간(SP)은 공기 통로(P)에 연결되어 셀들(100) 사이에서 공기의 유동을 가능하게 하며, 하, 상부 쿠션재(111, 112)와 함께 공기를 저장한다.
즉, 전방 좌측 구역(FL) 내에서 공간(SP)은 공기 통로(P)로 연결되고, 전방 우측 구역(FR) 내에서 공간(SP)은 공기 통로(P)로 연결되며, 후방 좌측 구역(RL) 내에서 공간(SP)은 공기 통로(P)로 연결되고, 후방 우측 구역(RR) 내에서 공간(SP)은 공기 통로(P)로 연결된다.
제1솔레노이드 밸브(SV1)는 전방 좌측 구역(FL) 내의 공간들(SP)에 공기 통로(P)로 연결되어 공기의 유입과 유출을 제어하고, 제2솔레노이드 밸브(SV2)는 전방 우측 구역(FR) 내의 공간들(SP)에 공기 통로(P)로 연결되어 공기의 유입과 유출을 제어한다.
제3솔레노이드 밸브(SV3)는 후방 좌측 구역(RL) 내의 공간들(SP)에 공기 통로(P)로 연결되어 공기의 유입과 유출을 제어하고, 제4솔레노이드 밸브(SV4)는 후방 우측 구역(RR) 내의 공간들(SP)에 공기 통로(P)로 연결되어 공기의 유입과 유출을 제어한다.
셀(100)에서 하, 상부 쿠션재(111, 112)는 사용자의 체중 및 체형이 작용하여 압축될 때, 공기의 배출을 제한하면서 셀(100) 내의 공기량을 조절하면서 체중 및 체형에 상응하는 형상을 형성 및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하, 상부 쿠션재(111, 112)를 내장하는 복수의 셀들(100)은 각각의 위치에서 체중 및 체형에 상응하는 형상을 유지하여 사용자에게 안정감과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도 1 및 도 3의 형상기억 장치에 적용되는 셀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변형예의 형상기억 장치의 셀(200)의 쿠션 부재(202)에서, 하부 쿠션재(211) 및 상부 쿠션재(212)는 하측을 유연 재질(S)로 형성하고, 상측을 단단한 재질(H)로 형성하고 있다. 예를 들면, 단단한 재질(H)은 유연성을 가지는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의 체중 및 체형이 셀(200)에 작용할 때, 상측의 단단한 재질(H)은 체중을 셀(200)의 전체 면적으로 확장 분산시킨다. 하측의 유연 재질(S)은 확장 분산된 체중 및 체형을 받아서 유연하게 압축된다.
하부 쿠션재(211) 및 상부 쿠션재(212)는 각각의 단단한 재질(H)과 유연 재질(S)에 의하여 하측과 상측에서 2차로 나누어 체중을 확장 분산하여 더욱 유연하게 압축되고, 압축 해제될 수 있다.
즉 상부 쿠션재(212)의 상측에서 단단한 재질(H)은 체중과 체형을 셀(200)의 전체 면적으로 1차 확장 분산시키고, 하측의 유연 재질(S)은 확장 분산된 체중과 체형을 받아서 유연하게 1차로 압축된다.
그리고 하부 쿠션재(211)의 상측에서 단단한 재질(H)은 체중과 체형을 셀(200)의 전체 면적으로 2차 확장 분산시키고, 하측의 유연 재질(S)은 확장 분산된 체중을 받아서 유연하게 2차로 압축된다.
이와 같이 하, 상부 쿠션재(211, 212)의 단단한 재질(H)과 유연 재질(S)이 체중을 받는 상하 방향으로 반복 적층되는 구조는 셀(200)의 상부 또는 하부에서 집중적으로 압축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체중, 즉 압축 해제 후, 안정적인 복원을 가능하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실시예 및 기 설명된 실시예와 비교하여 서로 동일한 구성을 생략하고, 서로 다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용 커버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적용되는 제2실시예에 따른 형상기억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2실시예의 형상기억 장치(2)는 차량 시트용 커버에 적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형상기억 장치(2)는 사용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쿠션 구역부(10; FL, FR, RF, RR) 각각에 구비되고, 제어부(230)에 병렬로 연결되는 센서들(50)을 포함한다.
제어부(230)는 사용자의 체중에 의하여 작동되는 센서들(50)에 연결되어 센서들(50)의 작동에 따른 사용 신호를 받고, 사용 신호에 따라 밸브(20)를 개방하는 동안 쿠션 구역부(10) 내의 공기를 배출하여 센서들(50)의 신호 값이 안정된 후 밸브(20)를 폐쇄한다.
예를 들면, 안정된 신호 값은 제어부(230)에 데이터 베이스화 되어 저장되어 있고, 제어부(230)는 저장된 신호 값과 센서들(50)의 작동에 따른 신호 값을 비교하여 밸브(20)를 개폐한다.
밸브(20)가 개방되어 있는 동안 쿠션 구역부(10) 내의 공기는 사용자의 체중과 체형만큼 배출된다. 따라서 쿠션 구역부(10)는 사용자의 체중 및 체형에 상응하는 형상 및 압력으로 변형되고, 변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9는 도 7에 적용되어 압력을 측정하는 센서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Ⅹ-Ⅹ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센서에 작용하는 압력(Pr)과 저항값(R)과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센서들(50)은 은사원단(21, 22)으로 이루어지며 제어부(230)에 단자선(23)으로 연결되고, 은사원단(21, 22)에 가해지는 압력(Pr)의 변화에 따른 저항값(R) 변화를 측정하여 제어부(230)에 인가한다.
센서들(50)은 은사원단(21, 22)을 복수의 겹으로 재단하여 이루어지며 제어부(230)에 단자선(23)으로 연결되고, 복수 겹의 은사원단(21, 22)에 가해지는 압력(Pr)의 변화에 따른 저항값(R) 변화를 측정하여 제어부(230)에 인가한다.
은사원단(21, 22)은 센서들(50)의 두께를 얇게 형성하여 형상기억 장치(2)의 전체적인 두께를 얇게 한다. 따라서 형상기억 장치(2) 및 이를 적용하는 차량 시트용 커버의 사용 및 취급이 용이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센서(50)는 2겹의 은사원단(21, 22)으로 형성된다. 2겹의 은사원단(21, 22)은 저항선을 병렬로 연결하는 구조를 형성하므로 2겹의 은사원단(21, 22)에 동일한 압력(Pr)이 작용할 때, 한 겹의 은사원단에 비하여 저항값(R)의 변화를 더 크게 증폭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체중 및 체형에 따라 저항값(R)의 변화가 더 크게 나타날 수 있다. 즉 은사원단(21, 22)은 2겹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은사원단(21, 22)은 형상기억 장치(2)의 두께를 크게 증대시키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은사원단(21, 22)은 형상기억 장치(2)로 사용자의 체중 및 체형을 지지할 때, 유연성으로 인하여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최소화 할 수 있다.
한편, 센서들(50)은 전방 좌측 구역(FL), 전방 우측 구역(FR), 후방 좌측 구역(RL) 및 후방 우측 구역(RR) 각 부분에서 체중과 체형에 대응하여 독립적으로 감지하도록 각 구역에 구비되는 제1센서(S1), 제2센서(S2), 제3센서(S3) 및 제4센서(S4)를 포함한다.
제어부(230)는 제1센서(S1), 제2센서(S2), 제3센서(S3) 및 제4센서(S4)의 감지 신호에 따라 전방 좌측 구역(FL), 전방 우측 구역(FR), 후방 좌측 구역(RL) 및 후방 우측 구역(RR)에 독립적으로 연결되는 제1솔레노이드 밸브(SV1), 제2솔레노이드 밸브(SV2), 제3솔레노이드 밸브(SV3) 및 제4솔레노이드 밸브(SV4)를 독립적으로 제어한다.
즉 전방 좌측 구역(FL), 전방 우측 구역(FR), 후방 좌측 구역(RL) 및 후방 우측 구역(RR)은 사용자의 체중과 체형에 상응(예를 들면, 다리의 좌우 대퇴부와 엉덩이의 좌, 우측에 상응)하도록 변형되고 변형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안정감과 편안함을 느낄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방석의 평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에 적용되는 제3실시예에 따른 형상기억 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14는 도 12의 ⅩⅣ-ⅩⅣ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의 의자용 방석은 의자의 착좌부(미도시) 상에 설치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3실시예의 형상기억 장치(3)는 의자용 방석에 적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형상기억 장치(3)는 사용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쿠션 구역부(310; FA, RA) 각각에 구비되고, 제어부(330)에 병렬로 연결되는 센서들(350)을 포함한다. 이때, 제어부(330)는 의자에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330)는 사용자의 체중에 의하여 작동되는 센서들(350)에 연결되어 센서들(350)의 작동에 따른 사용 신호를 받고, 사용 신호에 따라 밸브(320)를 개방하는 동안 쿠션 구역부(310) 내의 공기를 배출하여 센서들(350)의 신호 값이 안정된 후 밸브(320)를 폐쇄한다.
밸브(320)가 개방되어 있는 동안 쿠션 구역부(310) 내의 공기는 사용자의 체중과 체형만큼 배출된다. 따라서 쿠션 구역부(310)는 사용자의 체중 및 체형에 상응하는 형상 및 압력으로 변형되고, 변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쿠션 구역부(310)는 의자용 방석에서 전방과 후방을 구획하는 전방 구역(FA)과 후방 구역(RA)을 포함한다. 센서들(350)은 전방 구역(FA) 및 후방 구역(RA)을 각 부분에서 체중과 체형에 대응하여 독립적으로 감지하도록 각 구역에 구비되는 제1센서(S1) 및 제2센서(S2)를 포함한다.
밸브(320)는 전방 구역(FA)과 후방 구역(RA)에 독립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되는 제1솔레노이드 밸브(SV1) 및 제2솔레노이드 밸브(SV2)를 포함한다. 제1솔레노이드 밸브(SV1) 및 제2솔레노이드 밸브(SV2)는 제어부(330)에 연결되어 각각 제어되어, 전방 구역(FA) 및 후방 구역(RA)을 각 부분에서 체중과 체형에 대응하도록 독립적으로 제어한다.
제어부(330)는 제1센서(S1) 및 제2센서(S2)의 감지 신호에 따라 전방 구역(FA)과 후방 구역(RA)에 독립적으로 연결되는 제1솔레노이드 밸브(SV1) 및 제2솔레노이드 밸브(SV2)를 독립적으로 제어한다.
즉 전방 구역(FA) 및 후방 구역(RA)은 사용자의 체중과 체형에 상응(예를 들면, 다리의 대퇴부와 엉덩이에 상응)하도록 변형되고 변형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안정감과 편안함을 느낄 수 있다.
또한 도 14를 참조하면, 제어부(30)가 제1센서(S1) 및 제2센서(S2)의 감지 신호에 따라 제1솔레노이드 밸브(SV1)를 장시간 개방하고, 이에 비하여 제2솔레노이드 밸브(SV2)를 단시간 개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의자용 방석에 적용되는 형상기억 장치(3)에서 전방 구역(FA)이 낮아지고, 후방 구역(RA)이 상대적으로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의자용 방석에 적용되는 제3실시예의 형상기억 장치(3)는 사용자에게 힙업(heap up)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의 평면도이고, 도 16은 도 15에 적용되는 제4실시예에 따른 형상기억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5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의 따른 매트리스는 방 바닥이나 침대 상에 설치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4실시예의 형상기억 장치(4)는 매트리스에 적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형상기억 장치(4)는 사용자의 체중에 의하여 작동되어 압력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쿠션 구역부(410) 각각에 구비되고, 제어부(430)에 병렬로 연결되는 센서들(450)을 포함한다.
제어부(30)는 사용자의 체중에 의하여 작동되는 센서들(450)에 연결되어 센서들(450)의 작동에 따른 사용 신호를 받고, 사용 신호에 따라 밸브(420)를 개방하는 동안 쿠션 구역부(410) 내의 공기를 배출하여 센서들(450)의 신호 값이 안정된 후 밸브(420)를 폐쇄한다.
밸브(420)가 개방되어 있는 동안 쿠션 구역부(410) 내의 공기는 사용자의 체중과 체형만큼 배출된다. 따라서 쿠션 구역부(410)는 사용자의 체중 및 체형에 상응하는 형상 및 압력으로 변형되고, 변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쿠션 구역부(410)는 사용자가 쿠션 구역부(410)에 누운 자세에서 하반신, 허리부 및 상반신에 각각 대응하여 구획되는 하반신 구역(DA), 허리부 구역(WA) 및 상반신 구역(UA)을 포함한다.
센서들(450)은 하반신 구역(DA), 허리부 구역(WA) 및 상반신 구역(UA)을 각 부분에서 체중과 체형에 대응하여 독립적으로 감지하도록 각 구역에 구비되는 제1센서(S1), 제2센서(S2) 및 제3센서(S3)를 포함한다.
밸브(420)는 하반신 구역(DA), 허리부 구역(WA) 및 상반신 구역(UA)에 독립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되는 제1솔레노이드 밸브(SV1), 제2솔레노이드 밸브(SV2) 및 제3솔레노이드 밸브(SV3)를 포함한다.
제1솔레노이드 밸브(SV1), 제2솔레노이드 밸브(SV2) 및 제3솔레노이드 밸브(SV3)는 제어부(430)에 연결되어 각각 제어되어, 하반신 구역(DA), 허리부 구역(WA) 및 상반신 구역(UA)을 각 부분에서 체중과 체형에 대응하도록 독립적으로 제어한다.
제어부(430)는 제1센서(S1), 제2센서(S2) 및 제3센서(S3)의 감지 신호에 따라 하반신 구역(DA), 허리부 구역(WA) 및 상반신 구역(UA)에 독립적으로 연결되는 제1솔레노이드 밸브(SV1), 제2솔레노이드 밸브(SV2) 및 제3솔레노이드 밸브(SV3)를 독립적으로 제어한다.
즉 하반신 구역(DA), 허리부 구역(WA) 및 상반신 구역(UA)은 사용자의 체중과 체형에 상응(예를 들면, 하반신, 허리부 및 상반신에 상응)하도록 변형되고 변형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안정감과 편안함을 느낄 수 있다.
더욱이, 허리부 구역(WA)은 사용자가 누운 자세에서 중심과 양측을 구획하는 중심 구역(CA)과 양측 구역부(SA)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중심 구역(CA)은 양측 구역부(SA)보다 상대적으로 단단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센서(S2)는 중심 구역(CA)과 양측 구역부(SA)을 각 부분에서 체중과 체형에 대응하여 독립적으로 감지하도록 각 구역부에 구비되는 제21센서(S21) 및 제22센서(S22)를 포함한다.
제2솔레노이드 밸브(SV2)는 중심 구역(CA)과 양측 구역부(SA)에 독립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되는 중심 밸브(CV)와 양측 밸브(SV)를 포함한다.
중심 밸브(CV)와 양측 밸브(SV)는 제어부(430)에 연결되어 각각 제어되어, 중심 구역(CA)과 양측 구역부(SA)를 각 부분에서 체중과 체형에 대응하도록 독립적으로 제어한다.
제어부(430)는 제21센서(S21) 및 제22센서(S22)의 감지 신호에 따라 중심 구역(CA)과 양측 구역부(SA)에 독립적으로 연결되는 중심 밸브(CV)와 양측 밸브(SV)를 독립적으로 제어한다.
즉 허리부 구역(WA)의 중심 구역(CA)과 양측 구역부(SA)은 사용자 허리부의 체중과 체형에 상응(예를 들면, 허리 중심과 양측에 상응)하도록 변형되고 변형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더 안정감과 편안함을 느낄 수 있다.
또한, 매트리스는 제1실시예에서와 같은 쿠션 구역부(10; FL, FR, RF, RR)을 적용할 수도 있다. 쿠션 구역부(10; FL, FR, RF, RR)가 독립적으로 서로 다른 높이로 제어될 경우, 쿠션 구역부(10; FL, FR, RF, RR) 상에 누워 있는 사용자는 다양한 각도로 자세 변환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장기간 누워서 생활하는 사용자는 욕창이 방지되는 등 보다 쾌적함을 향유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 2, 3, 4: 형상기억 장치 10, 310, 410: 쿠션 구역부
20, 320: 밸브 21, 22: 은사원단
23: 단자선 30, 230, 330, 430: 제어부
31: 타이머 40: 작동 스위치
50, 350, 450: 센서 100, 200: 셀
101, 202: 쿠션 부재 102: 바닥 수용 부재
103: 덮개 수용 부재 111, 211: 하부 쿠션재
112, 212: 상부 쿠션재 113: 돌기
FL: 전방 좌측 구역 FR: 전방 우측 구역
RL: 후방 좌측 구역 RR: 후방 우측 구역
FA: 전방 구역 RA: 후방 구역
DA: 하반신 구역 WA: 허리부 구역
CA: 중심 구역 UA: 상반신 구역
SA: 양측 구역부 SV1: 제1솔레노이드 밸브
SV2: 제2솔레노이드 밸브 SV3: 제3솔레노이드 밸브
SV4: 제4솔레노이드 밸브 CV: 중심 밸브
SV: 양측 밸브 S1: 제1센서
S2: 제2센서 S3: 제3센서
S4: 제4센서 S21: 제21센서
S22: 제22센서 SP: 공간
S: 유연 재질 H: 단단한 재질
P: 공기 통로 Pr: 압력
R: 저항

Claims (22)

  1. 사용자의 체중과 체형을 부분적으로 받아서 체중과 체형에 상응하도록 변형되어 유지되도록 복수로 구획되는 쿠션 구역부;
    외부에서 상기 쿠션 구역부로 유입되거나 상기 쿠션 구역부에서 외부로 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도록 각 쿠션 구역부에 연결되는 밸브; 및
    사용자의 사용 신호를 받아서 상기 밸브를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쿠션 구역부는
    내부에서 공기 통로로 연결되는 복수의 셀들을 구비하고,
    상기 셀들은
    바닥 수용 부재에 수용되는 하부 쿠션재, 및
    상기 하부 쿠션재의 상부에 배치되어 덮개 수용 부재에 수용되는 상부 쿠션재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쿠션재 및 상기 상부 쿠션재는
    하측을 유연 재질로 형성하고, 상측을 단단한 재질로 형성하고,
    사용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상기 쿠션 구역부 각각에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에 병렬로 연결되는 센서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센서들은
    상기 쿠션 구역부 중 전방 좌측 구역, 전방 우측 구역, 후방 좌측 구역 및 후방 우측 구역에서 체중과 체형에 대응하여 독립적으로 감지하도록 각 구역에 구비되는 제1센서, 제2센서, 제3센서 및 제4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들은
    은사원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부에 단자선으로 연결되고,
    은사원단에 가해지는 압력의 변화에 따른 저항값 변화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에 인가하는 형상기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하여 작동되는 작동 스위치에 연결되어 사용 신호를 받고,
    사용 신호에 따라 상기 밸브를 개방하며,
    내장된 타이머의 작동으로 설정 시간 후 상기 밸브를 폐쇄하는 형상기억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 구역부는
    이웃하는 다른 쿠션 구역부와 격리되는 형상기억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 부재는 사용자의 체중과 체형에 따라 변형되고,
    상기 바닥 수용 부재는 상기 쿠션 부재의 하면을 지지하고 측면의 일부를 수용하며 유연성을 가지며,
    상기 덮개 수용 부재는 상기 쿠션 부재의 상면을 지지하고 측면의 나머지 일부를 수용하며 유연성을 가지며 상기 바닥 수용 부재에 부착되는
    형상기억 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체중에 의하여 작동되는 상기 센서들에 연결되어 사용 신호를 받고,
    사용 신호에 따라 상기 밸브를 개방하며,
    상기 센서들의 신호 값이 안정된 후 상기 밸브를 폐쇄하는 형상기억 장치.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들은
    은사원단을 복수의 겹으로 재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부에 단자선으로 연결되고,
    복수 겹의 은사원단에 가해지는 압력의 변화에 따른 저항값 변화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에 인가하는 형상기억 장치.
  11. 차량의 시트 상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체중과 체형을 부분적으로 받아서 체중과 체형에 상응하도록 변형되어 유지되도록 복수로 구획되는 쿠션 구역부;
    외부에서 상기 쿠션 구역부로 유입되거나 상기 쿠션 구역부에서 외부로 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도록 각 쿠션 구역부에 연결되는 밸브; 및
    사용자의 사용 신호를 받아서 상기 밸브를 독립적으로 제어하도록 차량의 제어장치에 구비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쿠션 구역부는
    내부에서 공기 통로로 연결되는 복수의 셀들을 구비하고,
    상기 셀들은
    바닥 수용 부재에 수용되는 하부 쿠션재, 및
    상기 하부 쿠션재의 상부에 배치되어 덮개 수용 부재에 수용되는 상부 쿠션재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쿠션재 및 상기 상부 쿠션재는
    하측을 유연 재질로 형성하고, 상측을 단단한 재질로 형성하고,
    사용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상기 쿠션 구역부 각각에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에 병렬로 연결되는 센서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센서들은
    상기 쿠션 구역부 중 전방 좌측 구역, 전방 우측 구역, 후방 좌측 구역 및 후방 우측 구역에서 체중과 체형에 대응하여 독립적으로 감지하도록 각 구역에 구비되는 제1센서, 제2센서, 제3센서 및 제4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들은
    은사원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부에 단자선으로 연결되고,
    은사원단에 가해지는 압력의 변화에 따른 저항값 변화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에 인가하는 차량 시트용 커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하여 작동되는 시동 스위치에 연결되어 시동 신호를 받고,
    시동 신호에 따라 상기 밸브를 개방하며,
    내장된 타이머의 작동으로 설정 시간 후 상기 밸브를 폐쇄하는 차량 시트용 커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상기 전방 좌측 구역, 상기 전방 우측 구역, 상기 후방 좌측 구역 및 상기 후방 우측 구역에 독립적으로 연결되는
    제1솔레노이드 밸브, 제2솔레노이드 밸브, 제3솔레노이드 밸브 및 제4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는 차량 시트용 커버.
  14. 삭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들에 연결되어 압력 신호를 받고,
    압력 신호에 따라 상기 밸브를 개방하며,
    상기 센서들의 신호 값이 안정된 후 상기 밸브를 폐쇄하는 차량 시트용 커버.
  16. 의자의 착석부 상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체중과 체형을 부분적으로 받아서 체중과 체형에 상응하도록 변형되어 유지되도록 복수로 구획되는 쿠션 구역부;
    외부에서 상기 쿠션 구역부로 유입되거나 상기 쿠션 구역부에서 외부로 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도록 각 쿠션 구역부에 연결되는 밸브; 및
    사용자의 사용 신호를 받아서 상기 밸브를 독립적으로 제어하도록 의자에 구비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쿠션 구역부는
    내부에서 공기 통로로 연결되는 복수의 셀들을 구비하고,
    상기 셀들은
    바닥 수용 부재에 수용되는 하부 쿠션재, 및
    상기 하부 쿠션재의 상부에 배치되어 덮개 수용 부재에 수용되는 상부 쿠션재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쿠션재 및 상기 상부 쿠션재는
    하측을 유연 재질로 형성하고, 상측을 단단한 재질로 형성하고,
    사용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상기 쿠션 구역부 각각에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에 병렬로 연결되는 센서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센서들은
    상기 쿠션 구역부 중 전방 구역과 후방 구역에서 체중과 체형에 대응하여 독립적으로 감지하도록 각 구역에 구비되는 제1센서와 제2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들은
    은사원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부에 단자선으로 연결되고,
    은사원단에 가해지는 압력의 변화에 따른 저항값 변화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에 인가하는 의자용 방석.
  17. 삭제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상기 전방 구역과 상기 후방 구역에 독립적으로 연결되는 제1솔레노이드 밸브 및 제2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는 의자용 방석.
  19. 방 바닥이나 침대 상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체중과 체형을 부분적으로 받아서 체중과 체형에 상응하도록 변형되어 유지되도록 복수로 구획되는 쿠션 구역부;
    외부에서 상기 쿠션 구역부로 유입되거나 상기 쿠션 구역부에서 외부로 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도록 각 쿠션 구역부에 연결되는 밸브; 및
    사용자의 사용 신호를 받아서 상기 밸브를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쿠션 구역부는
    내부에서 공기 통로로 연결되는 복수의 셀들을 구비하고,
    상기 셀들은
    바닥 수용 부재에 수용되는 하부 쿠션재, 및
    상기 하부 쿠션재의 상부에 배치되어 덮개 수용 부재에 수용되는 상부 쿠션재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쿠션재 및 상기 상부 쿠션재는
    하측을 유연 재질로 형성하고, 상측을 단단한 재질로 형성하고,
    사용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상기 쿠션 구역부 각각에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에 병렬로 연결되는 센서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센서들은
    상기 쿠션 구역부 중 하반신 구역, 허리부 구역 및 상반신 구역에서 체중과 체형에 대응하여 독립적으로 감지하도록 각 구역에 구비되는 제1센서, 제2센서 및 제3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들은
    은사원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부에 단자선으로 연결되고,
    은사원단에 가해지는 압력의 변화에 따른 저항값 변화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에 인가하는 매트리스.
  20. 삭제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상기 하반신 구역, 상기 허리부 구역 및 상기 상반신 구역에 독립적으로 연결되는 제1솔레노이드 밸브, 제2솔레노이드 밸브 및 제3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는 매트리스.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부 구역은
    사용자가 누운 자세에서 중심과 양측을 구획하는 중심 구역과 양측 구역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솔레노이드 밸브는
    상기 중심 구역과 상기 양측 구역부에 독립적으로 연결되는 중심 밸브와 양측 밸브를 포함하는 매트리스.
KR1020170059487A 2017-05-12 2017-05-12 형상기억 장치, 차량 시트용 커버, 의자용 방석 및 매트리스 KR1020016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9487A KR102001634B1 (ko) 2017-05-12 2017-05-12 형상기억 장치, 차량 시트용 커버, 의자용 방석 및 매트리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9487A KR102001634B1 (ko) 2017-05-12 2017-05-12 형상기억 장치, 차량 시트용 커버, 의자용 방석 및 매트리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4629A KR20180124629A (ko) 2018-11-21
KR102001634B1 true KR102001634B1 (ko) 2019-07-18

Family

ID=64602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9487A KR102001634B1 (ko) 2017-05-12 2017-05-12 형상기억 장치, 차량 시트용 커버, 의자용 방석 및 매트리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16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0621A (ko) * 2019-12-05 2021-06-15 엔엠텍코리아 주식회사 에어셀 쿠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06770B (zh) * 2021-01-20 2022-11-01 浙江想能睡眠科技股份有限公司 床垫调节控制方法、系统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4478B1 (ko) * 2003-04-01 2005-09-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체압분포 조정형 시트
KR101280615B1 (ko) * 2011-09-20 2013-07-02 주식회사 영원메디칼 욕창 방지용 시트쿠션
JP5483040B2 (ja) * 2010-09-13 2014-05-07 横浜ゴム株式会社 エアーセルクッション
KR101717716B1 (ko) * 2015-09-22 2017-03-20 주식회사 엔에스비에스 욕창 예방용 쿠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7597A (ko) 2000-08-31 2005-12-15 (주)동주체어 착석수단용 감지장치
KR101573471B1 (ko) 2014-04-22 2015-12-01 박성용 욕창 방지 매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4478B1 (ko) * 2003-04-01 2005-09-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체압분포 조정형 시트
JP5483040B2 (ja) * 2010-09-13 2014-05-07 横浜ゴム株式会社 エアーセルクッション
KR101280615B1 (ko) * 2011-09-20 2013-07-02 주식회사 영원메디칼 욕창 방지용 시트쿠션
KR101717716B1 (ko) * 2015-09-22 2017-03-20 주식회사 엔에스비에스 욕창 예방용 쿠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0621A (ko) * 2019-12-05 2021-06-15 엔엠텍코리아 주식회사 에어셀 쿠션
KR102265263B1 (ko) * 2019-12-05 2021-06-16 엔엠텍코리아 주식회사 에어셀 쿠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4629A (ko) 2018-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17407B2 (en) Adjustable comfort mattress system and processes
JP2823289B2 (ja) 身体支持装置
US7424760B2 (en) Body support, comfort device
US8225444B2 (en) Inflatable device forming mattresses and cushions
US7412738B2 (en) Fluidic chambers fluidly connected by one way valve and method for use
CN111712222A (zh) 主动控制舒适度的床具系统
JPH1156538A (ja) エアベッド
KR102001634B1 (ko) 형상기억 장치, 차량 시트용 커버, 의자용 방석 및 매트리스
JP6503367B2 (ja) クッション
KR101969094B1 (ko) 베개
JPH0246203B2 (ko)
WO2016051831A1 (ja) クッション
JP3877497B2 (ja) 椅子
KR200333174Y1 (ko) 통풍구가 형성된 시트
KR20240058181A (ko) 요추 전만 촉진 디바이스
JP2019209933A (ja) 乗物用シート
AU736179B2 (en) Chair incorporating air cushions
CN100486487C (zh) 充气装置
KR20160004025U (ko) 소파용 방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