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5749A - 체위변환용 매트리스 - Google Patents

체위변환용 매트리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5749A
KR20080105749A KR1020070053744A KR20070053744A KR20080105749A KR 20080105749 A KR20080105749 A KR 20080105749A KR 1020070053744 A KR1020070053744 A KR 1020070053744A KR 20070053744 A KR20070053744 A KR 20070053744A KR 20080105749 A KR20080105749 A KR 200801057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mattress
main cushion
cell member
position conver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3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7728B1 (ko
Inventor
김경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원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원메디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원메디칼
Priority to KR1020070053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7728B1/ko
Publication of KR20080105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57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7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77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7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G7/0573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mattress frames having alternately mov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1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means for turning-over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체위변환용 매트리스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체위변환용 매트리스는: 공압에 의하여 팽창되는 제1셀부재가 복수로 구비된 메인쿠션부와, 상기 메인쿠션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쿠션부의 높이를 가변시키는 제2셀부재가 구비된 경사부 및 상기 메인쿠션부와 상기 경사부로 공급되는 공압을 제어하는 컨트롤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메인쿠션부, 경사부, 제1셀부재, 제2셀부재, 컨트롤부

Description

체위변환용 매트리스{Mattress for change position of the body}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체위변환용 매트리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체위변환용 매트리스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체위변환용 매트리스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체위변환용 매트리스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체위변환용 매트리스의 우측면도이다.
도 6과 도 7은 체위변환용 매트리스의 경사부에 공압이 번갈아 가며 공급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체위변환용 매트리스에서 경사부 작동에 의하여 몸통 을 지지하는 제1셀부재가 상측으로 이동됨을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메인쿠션부 12 : 제1셀부재
14 : 구획벽 16 : 연결관로
20 : 경계부재 22 : 밴드부재
30 : 경사부 32 : 제2셀부재
34 : 제1경사홈 36 : 제2경사홈
38 : 중앙부 39 : 연결부재
40 : 컨트롤부 42 : 제1관로부
44 : 제2관로부 50 : 하우징부
52 : 에어측벽 54 : 바닥면
56 : 격벽
본 발명은 매트리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환자의 머리와 다리를 제외한 몸통 부분을 좌우 교대로 기울여 주게 되어 간병인이나 보호자가 환자를 용이하게 뒤엎거나 세워줄 수 있게 되는 체위변환용 매트리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동이 불편하여 장기간 침상에 누워있는 환자나 하반신마비, 전신마비 등의 마비 환자의 경우 장시간 같은 자세가 지속되는 관계로 혈액순환 및 신진대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함으로 압박을 받는 부위에 욕창이 발생하기 쉽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교대로 부양되는 에어셀을 구비한 에어매트리스가 발명되었다.
그러나, 환자의 욕창 방지를 위해서는 몸을 교대로 뒤집어 주는 작업이 필수적이며, 이를 위하여 간병인이나 보호자가 환자를 직접 뒤집는 작업을 하게 되나, 이러한 작업은 힘이 약한 노약자에게는 난해한 작업이므로 환자의 욕창 관리에 어려움이 발생된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간병인이나 보호자가 욕창 방지를 위하여 환자의 몸을 뒤집거나 세우는 작업에 힘이 많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체위변환용 매트리스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체위변환용 매트리스는: 공압에 의하여 팽창되는 제1셀부재가 복수로 구비된 메인쿠션부와, 상기 메인쿠션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쿠션부의 높이를 가변시키는 제2셀부재가 구비된 경사부 및 상기 메인쿠션부와 상기 경사부로 공급되는 공압을 제어하는 컨트롤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셀부재는 좌우 양측이 구획되어 서로 다른 공압이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경사부를 구성하는 상기 제2셀부재는 구획된 두개의 공간으로 이루어져서 좌우 대칭형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셀부재는 환자의 목 부분이 위치하는 부분에 제1경사홈이 형성되고, 환자의 다리 부분이 위치하는 부분에 제2경사홈이 형성되어 환자의 머리 부분과 다리 부분을 제외한 몸통 부분을 좌우 교대로 기울여 주게 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셀부재는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는 중앙부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쿠션부와 경사부는 에어측벽이 구비된 하우징부 내측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쿠션부와 상기 경사부 사이에는 막 형상의 경계부재가 위치하며, 상기 경계부재의 상측에는 상기 제1셀부재를 고정시키기 위한 밴드부재가 구비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체위변환용 매트리스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환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체위변환용 매트리스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체위변환용 매트리스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체위변환용 매트리스의 평면도이며, 도 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체위변환용 매트리스의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체위변환용 매트리스의 우측면도이며, 도 6과 도 7은 체위변환용 매트리스의 경사부에 공압이 번갈아 가며 공급됨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체위변환용 매트리스에서 경사부 작동에 의하여 몸통을 지지하는 제1셀부재가 상측으로 이동됨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위변환용 매트리스는, 공압에 의하여 팽창되는 제1셀부재(12)가 복수로 구비된 메인쿠션부(10)와, 상기 메인쿠션부(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쿠션부(10)의 높이를 가변시키는 제2셀부재(32)가 구비된 경사부(30) 및 상기 메인쿠션부(10)와 상기 경사부(30)로 공급되는 공압을 제어하는 컨트롤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메인쿠션부(10)는 공압에 의하여 팽창되거나 수축되는 제1셀부재(12)가 복수로 구비되며, 바람직하게, 상기 제1셀부재(12)는 좌우 양측이 구획벽(14)에 의하여 구획되거나 서로 이격되어 설치됨으로 독립적인 공간을 형성하게 되며, 이와 같이 설치된 제1셀부재(12)에 서로 다른 공압이 공급된다.
상기 제1셀부재(12)의 가운데에 상기 구획벽(14)이 설치되어 상기 제1셀부재(12)의 내부공간을 2등분 하게 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구획벽(14)을 더 사용하여 상기 제1셀부재(12)를 3등분 이상으로 분할하여 각각 서로 다른 공압을 공급함도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라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메인쿠션부(10)를 구성하는 제1셀부재(12)가 교대로 팽창 및 수축을 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서로 다른 공압을 공급받기 위한 제1셀부재(12)의 배치에는 다양한 변화가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셀부재(12)는 인접한 셀들이 교대로 부양되는 것과, 연속된 몇개의 셀들이 그룹으로 구분되어 구분된 그룹별로 교대로 부양되는 것을 포함하여 다양한 방식의 교대 부양 방법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구획벽(14)에 의하여 양측이 구획된 제1셀부재(12)의 양단에는 공압을 공급받기 위한 연결관로(1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연결관로(16)에 연결되어 공압을 공급하는 제1관로부(42)는 서로 다른 공압을 제공하는 2개의 관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관로부(42)는 상기 컨트롤부(40)에서 연장 형성되어서 상기 메인쿠션부(10)의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나, 이는 실시예에 불과하며 상기 제1셀부재(12)에 공압을 공급하기 위한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연결 방식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컨트롤부(40)는 상기 메인쿠션부(10)로 공급되는 공압과 상기 경사부(30)로 공급되는 공압의 제어를 일체화된 하나의 제어부재에 의해 제어함으로 생산비를 절감하게 된다.
상기 컨크롤부의 내측에는 전산제어장치를 포함한 제어부재와, 상기 메인쿠션부(10)와 경사부(30)로 공압을 공급하기 위한 에어펌프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밸브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쿠션부(10)와 상기 경사부(30) 사이에는 막 형상의 경계부재(20)가 위치한다.
상기 경계부재(20)의 상측에는 상기 제1셀부재(12)를 고정시키기 위한 띠 형상의 밴드부재(22)가 구비된다.
상기 밴드부재(22)는 상기 제1셀부재(12)의 외측을 감싼 상태로 상기 경계부재(20)에 고정되며, 상기 밴드부재(22)는 열융착이나 접착제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경계부재(20)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쿠션부(10) 하측에 설치되어 경사부(30)를 구성하는 상기 제2셀부재(32)는 두개의 독립적인 공간으로 구획되어 좌우 대칭형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셀부재(32)는 환자의 목 부분이 위치하는 부분에는 제1경사홈(34)이 형성되고, 환자의 다리 부분이 위치하는 부분에 제2경사홈(36)이 형성되어 상기 제2셀부재(32)가 팽창되는 경우 환자의 목과 다리 부분은 지지하지 않고 환자의 몸통 부분만 지지되도록 하여 환자의 몸통만 들리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경사부(30)의 작동에 의하여 환자의 머리 부분과 다리 부분을 제외한 몸통 부분을 좌우 교대로 기울여 주게 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경사부(30)의 작동상태에 의하여 환자의 몸이 아치형으로 휘어지면서 들려지게 되며, 이러한 경우 간병인이나 보호자가 환자의 목 부분과 다리 부분의 공간으로 손의 삽입이 용이하게 되어 환자의 자세를 뒤집거나 일으키는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경사부(30)에는 'V'자 형상의 제1경사홈(34)과 제2경사홈(36)이 일측과 타측에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셀부재(32)는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는 중앙부(38)가 구비되 며, 상기 중앙부(38)는 연결부재(39)에 의하여 적어도 한 군데 이상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재(39)는 천이나 PVC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막 형상이거나 후크 결합에 의한 연결방법 등 다양한 방식의 기구적 연결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쿠션부(10)와 경계부재(20)와 경사부(30)는 에어측벽(52)이 구비된 하우징부(50) 내측에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부(50)는 좌우측에 에어측벽(52)이 구비되며, 상기 에어측벽(52)의 전방과 후방에는 막 형상의 격벽(56)이 구비되고, 상기 에어측벽(52)과 격벽(56)으로 이루어진 직사각형 형상의 바닥에는 바닥면(54)이 구비된다.
상기 에어측벽(52)은 상기 하우징부(50)의 측벽에 적어도 2군데 이상 설치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에어측벽(52)에 공기가 충진되어 완충작용을 하게 됨으로, 상기 경사부(30) 작동에 의하여 환자가 좌우로 이동될 때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감소시키게 된다.
상기 바닥면(54)에는 상기 경사부(30)의 제2셀부재(32)가 고정되어, 상기 제2셀부재(32)의 팽창 및 수축작용시 상기 제2셀부재(32)의 이동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제2셀부재(32)가 상기 바닥면(54)에 고정되기 위한 기술사상 안에서 밸크로에 의한 결합과 버튼에 의한 결합과 지퍼에 의한 결합 등 다양한 방식의 결합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셀부재(12)와 제2셀부재(32)와 경계부재(20) 및 하우징부(50) 가운데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은 열가소성 우레탄수지(Thermoplastic Polyurethane:TPU)를 재질로 사용하게 된다.
상기 열가소성 우레탄수지는 고탄성 및 탄성회복율이 우수한 특성을 가지며, 벤젠 및 디메틸포름아미드 등 환경호르몬이 검출되지 않는 친환경적인 소재이며, 박테리아 및 세균번식을 억제하는 것과 신장율이 다른 소재에 비하여 우수한 특징을 갖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친환경적인 열가소성 우레탄수지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체위변환용 매트리스에 사용하게 됨으로, 보다 위생적인 사용환경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위변환용 매트리스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환자 및 보호자를 포함한 사용자가 컨트롤부(40)를 조작하여 상기 제1셀부재(12)에 공압을 공급하여 메인쿠션부(10)가 교대 부양을 하거나 교대 부양 없이 일정한 압력으로 환자를 지지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환자의 자세를 변환시켜주기 위하여 상기 컨트롤부(40)를 동작 시키면 상기 제2관로부(44)를 통하여 상기 경사부(30)의 제2셀부재(32)로 공압이 공급된다.
상기 제2셀부재(32)는 환자의 몸통을 중심으로 좌우측에 각각 설치된 것에 의하여, 상기 제2셀부재(32)의 일측과 타측에 공압이 각각 공급되어 팽창되는 동작에 의하여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몸은 좌우로 변환되어 욕창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셀부재(32)에 공압이 공급된 상태에서 정지시킬 경우, 환자의 몸통만이 상측으로 들어올려지고, 환자의 목과 다리 부분은 들어올려지는 정도가 작게 된다.
따라서, 간병인이나 보호자가 환자의 목과 다리 부분으로 손을 집어넣기 용이하게 됨으로, 환자의 몸을 뒤집거나 일으켜 세우는 작업 및 환자를 안아서 옮기는 작업등이 보다 용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작업이 가능하도록 상기 메인쿠션부(10) 하측에 설치되는 경사부(30)의 형상은 환자의 몸 전체를 지지하는 것이 아니라, 환자의 일측 몸통만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셀부재(32)가 부풀어 오르는 경우, 환자의 목이 위치하는 부분에 제1경사홈(34)이 형성되고, 환자의 다리가 위치하는 부분에 제2경사홈(36)이 형성됨으로 인해 환자의 몸통 부분만 상측으로 들어올려지게 된다.
상기 경사부(30)에 구비된 제1경사홈(34)과 제2경사홈(36)의 위치는 환자의 신체 사이즈에 따라 틀리게 된다.
상기 경사부(30)에 구비된 제1경사홈(34)과 제2경사홈(36)의 위치는 신체의 표준 사이즈를 대중소로 구분하여 별도 제작하여 상기 메인쿠션부(10) 하측에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제1경사홈(34)과 제2경사홈(36)이 설치되는 위치를 더욱 세분화하여 환자 맞춤형으로 제작하는 것도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라 할 것이다.
상기 경사부(30)는 신체 일부 영역에만 배치되는 특징을 갖게 되며, 바람직하게는 환자의 엉덩이 부분부터 어깨까지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경사부(30)의 작동에 의하여 환자의 몸통 부분은 들리고 엉덩이 아래의 다리나 머리 부분은 상승 정도가 작게 됨으로, 간병인이나 보호자가 환자의 목 부분과 다리 부분의 공간으로 손을 삽입하기가 용이하여 환자의 자세를 뒤집거나 일으키게 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 경사부(30)에 공급되는 공압을 조절하여 환자의 몸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여주는 각도 및 시간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러한 조절은 환자 또는 간병인이 상기 컨트롤부(40)를 조작하여 하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체위변환용 매트리스는 메인쿠션부에서 교대부양을 제공하는 것과 함께 환자의 몸통 부분을 상승시키고 환자의 머리와 다리 부분의 상승 정도를 작게 하는 경사부의 동작에 의하여 간병인이나 보호자가 환자의 머리나 다리 부분으로 손을 집어넣어 환자의 몸을 뒤집거나 세우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Claims (7)

  1. 공압에 의하여 팽창되는 제1셀부재가 복수로 구비된 메인쿠션부;
    상기 메인쿠션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쿠션부의 높이를 가변시키는 제2셀부재가 구비된 경사부; 및
    상기 메인쿠션부와 상기 경사부로 공급되는 공압을 제어하는 컨트롤부;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체위변환용 매트리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셀부재는 좌우 양측이 구획되어 서로 다른 공압이 공급됨을 특징으로 하는 체위변환용 매트리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를 구성하는 상기 제2셀부재는 구획된 두개의 공간으로 이루어져서 좌우 대칭형으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체위변환용 매트리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셀부재는 환자의 목 부분이 위치하는 부분에 제1경사홈이 형성되고, 환자의 다리 부분이 위치하는 부분에 제2경사홈이 형성되어 환자의 머리 부분과 다리 부분을 제외한 몸통 부분을 좌우 교대로 기울여 주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체위변환용 매트리스.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셀부재는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는 중앙부가 연결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체위변환용 매트리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쿠션부와 경사부는 에어측벽이 구비된 하우징부 내측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체위변환용 매트리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쿠션부와 상기 경사부 사이에는 막 형상의 경계부재가 위치하며, 상기 경계부재의 상측에는 상기 제1셀부재를 고정시키기 위한 밴드부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체위변환용 매트리스.
KR1020070053744A 2007-06-01 2007-06-01 체위변환용 매트리스 KR1008877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3744A KR100887728B1 (ko) 2007-06-01 2007-06-01 체위변환용 매트리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3744A KR100887728B1 (ko) 2007-06-01 2007-06-01 체위변환용 매트리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5749A true KR20080105749A (ko) 2008-12-04
KR100887728B1 KR100887728B1 (ko) 2009-03-12

Family

ID=40366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3744A KR100887728B1 (ko) 2007-06-01 2007-06-01 체위변환용 매트리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77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6288B1 (ko) * 2011-11-09 2013-11-11 주식회사 영원메디칼 고령자 케어용 엠보싱 공기셀 매트리스 부착형 초저상 전동침대 시스템
KR102604278B1 (ko) * 2023-03-20 2023-11-20 정한영 욕창 방지용 체위 변환 매트리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7323B1 (ko) 2010-04-19 2012-03-20 주식회사 영원메디칼 욕창 방지용 자세 조절 매트리스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1254B1 (ko) * 1987-12-26 1993-11-29 레이이찌 오까다 욕창방지용 공기매트
JPH0852180A (ja) * 1994-08-12 1996-02-27 Molten Corp エアマット
KR20020012854A (ko) * 2000-08-09 2002-02-20 오형근 의료용 침대
KR100732559B1 (ko) * 2005-07-11 2007-06-27 유도로보틱스(주) 욕창방지용 침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6288B1 (ko) * 2011-11-09 2013-11-11 주식회사 영원메디칼 고령자 케어용 엠보싱 공기셀 매트리스 부착형 초저상 전동침대 시스템
KR102604278B1 (ko) * 2023-03-20 2023-11-20 정한영 욕창 방지용 체위 변환 매트리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7728B1 (ko) 2009-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82312B2 (en) Patient support
EP2000057B1 (en) Self-adjusting cushioning device
US7007330B2 (en) Portable patient turning and lifting device
AU779556B2 (en) Inflatable cushioning device with manifold system
US5634225A (en) Modular air bed
JP2014018670A (ja) 床ずれ防止クッション
NO172833B (no) Madrass
CA3115317A1 (en) Patient support with cushioning layer and foam crib
US5586348A (en) Air mattress and method for adjusting it
JP2014018671A (ja) 圧力調整可能な床ずれ防止クッション
KR101902681B1 (ko) 맞춤식 욕창방지용 매트리스
KR100887728B1 (ko) 체위변환용 매트리스
US20100281619A1 (en) Air mattress system with inflatable limb chamber
KR20190111552A (ko) 온도 감지 기능에 의해 교대 부양이 가능한 욕창방지방석
JP6544752B1 (ja) エアセル及びエアマットレス
JP6716814B2 (ja) 伸縮セルモジュールおよび緩衝デバイス
CN209808834U (zh) 一种充气式医用床垫
CN215229429U (zh) 一种充气翻身垫
JP6681955B2 (ja) 姿勢変更器具
EP3697362B1 (en) Two-in-one mattress with air mattress and memory foam for patient care
TWI694795B (zh) 床墊結構
JP2021194043A (ja) マットレス、シート、ベッドシステム及びエアセル
JP2007330527A (ja) 身体支持装置
JP2019118428A (ja) マットレス装置
JP2013027533A (ja) マットレ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