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6125B1 - 이동 가능한 화분 - Google Patents

이동 가능한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6125B1
KR101326125B1 KR1020110108152A KR20110108152A KR101326125B1 KR 101326125 B1 KR101326125 B1 KR 101326125B1 KR 1020110108152 A KR1020110108152 A KR 1020110108152A KR 20110108152 A KR20110108152 A KR 20110108152A KR 101326125 B1 KR101326125 B1 KR 1013261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horizontal
coupled
bar
support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8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5138A (ko
Inventor
김옥배
김서영
Original Assignee
김서영
김옥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서영, 김옥배 filed Critical 김서영
Priority to KR1020110108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6125B1/ko
Publication of KR20120035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51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6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6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4Hanging flower pots and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6Foldable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8Devices for filling-up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Devices for setting plants or seeds in pots
    • A01G9/088Handling or transferring po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가능한 화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화분에 있어서, 하단에 바퀴(1100)를 갖는 다수개의 수직바(1000); 상기 수직바(1000)의 상단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구(2000); 양단이 상기 연결구와 연결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사각 또는 다각 틀을 이루는 다수개의 수평바(3000); 상측 테두리단이 상기 수평바(3000)에 결합되며 중간에 꽃을 식재하기 위한 용토 수용공간(4100)을 갖는 받침시트(400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 가능한 화분{a movable flowerpot}
본 발명은 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정의 베란다, 공원, 길거리 등지에 필요시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다양한 색상 변화를 통해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고 더불어 설치 공간에 따른 길이 조절이 가능 그리고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동 가능한 화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분은, 상향으로 개방된 수용공간을 갖는 케이스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용공간에 흙 등의 용토를 담은 상태에서 다양한 종류의 꽃을 식재하여서 된다.
상기한 화분은, 실내 인테리어와 웰빙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면서, 환경 친화적이면서 미적인 감각을 살릴 수 있는 수단으로 정착되고 있는 실정이며, 실내에 다수개 설치되어 화단의 형태로 보급되고 있다.
상기한 실내 화단은, 아파트의 경우 베란다나 거실, 건축 구조물의 경우 실내의 적절한 장소에 배치되어 꽃이나 관상용 나무 등의 식물이 자랄 수 있도록 토양을 제공함으로써 자연 친화적인 실내분위기 연출과 공기 정화 등의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상기한 실내 화단은 기존 원형의 화분이 아닌 다수의 꽃 등을 식재할 수 있도록 비교적 긴 형태가 적용되었지만 최근에는 중량에 따른 이동 편의성 확보를 위해 이동 가능한 실내 화단이 제시되고 있다.
그 예로 특허등록 제10-0874651호 "이동식 실내화단"이 제시된 바 있다.
이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구성과 내식성이 우수하고,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적정량의 물공급 및 배수관리가 가능하고, 배수와 저수를 선택적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토양 수용 및 식물 식재가 가능한 수용공간을 구비하며, 저면에 다수의 휠(116)을 구비하는 케이스(110)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 바닥에 놓여져, 상부에 충진되는 토양을 케이스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시킨 상태로 지지하도록 하부에 다수의 지지돌기를 구비하며, 공급된 물이 케이스 바닥으로 배수되어 유통되도록 표면에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된 지지격판(120)과;
상기 지지격판 상층에 위치되며, 그 상부에 충진되는 토양과 지지격판을 상호 격리시키는 흙막이포(130)와;
상기 케이스의 측면 하측에 관통 결합되어 케이스 내부 바닥에 고여있는 물을 배수시키는 배수수단(140)을 포함하되,
상기 케이스는 스테인레스강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케이스의 상부 길이방향 모서리 말단에는 케이스의 폭방향 휨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ㄱ'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 휨방지부(118)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상기한 경우 중량에 따른 무거움으로 이동을 위해 바퀴를 형성하여서 된 것으로, 가정 등의 베란다 또는 비교적 큰 건물의 실내에서는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지만 그 외관의 조악함으로 길거리 등 도로에서는 적용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
이를 위해, 최근에는 아파트 등의 주택 뿐 만 아니라 길거리에서도 환경 미화를 위한 화단을 많이 볼 수 있으며, 외관이 고려된 화단이 많이 설치되고 있다.
그 예로서 특허등록 제10-1038682호 "도로용 화분"이 제시된 바 있다.
이는, 도 3 및 도 4의 도시에 의하여, 흙을 담아 꽃을 식재할 수 있는 복수의 흙받이; 상기 흙받이 아래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물받이; 상기 물받이의 물을 흡수하여 상기 흙받이에 공급하도록 식물 수태를 망에 채운 복수의 물흡수공급망체; 상기 복수의 물받이를 받치는 물받이받침테와, 상기 복수의 흙받이를 받치는 흙받이받침테를 갖되, 상기 물받이의 상단과 상기 흙받이의 바닥이 서로 이격되게 받치는 받침외형틀을 포함하되, 상기 흙받이 각각의 상단테두리에는 깃발대가 삽입 지지되는 삽입지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흙받이받침테와 상기 물받이받침테에는 상기 깃발대가 삽입 지지되는 삽입지지공을 갖는 고정판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받침외형틀에는 상기 물받이 각각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공이 형성되고, 상기 흙받이 각각의 바닥(11)에는 상기 물흡수공급망체를 끼워주는 끼움공(14)과, 물을 배수하는 배수공(12)이 형성되고, 상기 흙받이 각각의 측벽 내면에는 손잡이가 형성되고, 상기 흙받이 각각의 바닥(11)에는 상기 물흡수공급망체를 장착하는 장착홈(60)이 끼움공(14)을 중심으로 위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도로용 화분이 제시된 바 있다.
하지만, 상기한 구조의 경우 도로 등에 설치시 흙과 물을 교체해 줄 수 있는 효과가 있지만, 고정식이어서 이동 및 설치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고 또한 구조가 복잡하여 원가 상승은 물론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첫째; 가정의 베란다, 공원, 길거리 등지에 필요시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둘째; 다양한 색상 변화를 통해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셋째; 설치 공간에 따라 부피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화분에 있어서, 하단에 바퀴를 갖는 다수개의 수직바; 상기 수직바의 상단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구; 양단이 상기 연결구와 연결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사각 또는 다각 틀을 이루는 수평바; 상측 테두리단이 상기 수평바에 결합되며 중간에 용토 수용공간을 갖는 받침시트로 구현된다.
상기 받침시트는, 합성수지 또는 방수 천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적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시트에, 신축 방지용 와이어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평바가, 외측 파이프에 대해 내측 파이프가 슬라이드 결합되어 길이 조절 가능한 것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받침시트는, 방수 천 소재로 이루어지며, 가로 방향, 세로 방향, 가로 및 세로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배열된 와이어가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의 단부가 상기 수평바에 걸림되는 것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의 단부는 걸림고리를 통해 상기 수평바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용토를 수용하도록 용토 수용공간이 형성된 받침시트가 직사각틀의 내측에 위치되고 이 직사각틀이 바퀴를 통해 이동 가능함에 따라, 가정의 경우 베란다, 공원 또는 길거리 등의 경우 길 가장자리에 필요시 간편하게 이동하여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받침시트의 색상을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어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설치 공간에 따라 부피를 조절할 수 있어 이동은 물론 공간 조절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제1실시예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3은 종래 제2실시예의 구성도,
도 4는 도 3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가능한 화분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요부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
도 8은 도 7의 분리 사시도,
도 9는 도 7에서 사각틀의 설치 방법을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가능한 화분의 공간 폭 조절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건축 구조물의 베란다, 거실, 또는 길거리에 간편하게 설치되어 조경 효과를 갖도록 하는 이동 가능한 화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 5 및 도 6의 도시에 의하여 하단에 바퀴(1100)를 갖는 다수개의 수직바(1000)와, 상기 수직바(1000)의 상단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구(2000)와, 양단이 상기 연결구와 다른 연결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사각 또는 다각 틀을 이루는 다수개의 수평바(3000)와, 상측 테두리단이 상기 수평바(3000)에 결합되며 중간에 용토 수용공간(4100)을 갖는 받침시트(4000)로 구성된다.
상기 수직바(1000)는, 중실 또는 중공형을 취하며, 원형 또는 다각으로 된 합성수지 또는 금속 소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직바(1000)의 하단에는 지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1100)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연결구(2000)는, 원형 또는 다각 소재가 가능하며, 저면에 상기 수직바(1000)의 상단이 끼워져 결합되도록 수직하게 형성된 결합홈(2100)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2100)에 상기 수직바(1000)의 상단이 끼워져 고정된다.
상기 수평바(3000)는, 상기 수직바(1000)와 동일하게 중실 또는 중공형을 취하며, 원형 또는 다각으로 된 합성수지 또는 금속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평바(3000)도 상기 수직바(1000)와 동일한 방식으로 양단이 상기 연결구(2000)의 외측에 수평하게 형성된 결합홈(2200)에 끼워져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무게 절감 등을 위해 파이프 형의 중공체로 이루어진 것을 적용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가능한 화분은,
조립시, 수직바(1000)와 수평바(3000)를 연결구(2000)를 통해 사각틀을 이루도록 한 다음 용토 수용공간(4100)이 형성된 받침시트(4000)의 테두리단을 상기 수평바(3000)에 일체형으로 결합되도록 한 다음 설치시, 상기 용토 수용공간(4100)에 용토를 담은 다음 꽃을 식재하면 된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예로서, 받침시트(4000)를 갖는 사각틀이 공간에 따라 폭 조절될 수 있도록 함을 보인 것이다.
이는, 상기 수평바(3000)의 구조를 통해 해결할 수 있으며, 상기 수평바(3000)는 이중 관체인 내외측 파이프(3100)(3200)로 이루어져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면 된다.
즉, 외측 파이프(3200) 내측에 내측 파이프(3100)가 슬라이드 삽입되도록 하고 각각 외측단이 상기 연결구(2000)의 결합홈(2200)에 결합되도록 하면 된다.
여기서, 상기 외측 파이프(3200)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내측 파이프(310)가 슬라이드 이동이 방지되도록 볼트를 이용한 공지의 잠금기술인 잠금구가 설치되도록 함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이동 가능한 화분의 경우, 폭 조절시 잠금구가 있는 경우 잠금구를 해제시킨 다음 외측 파이프(3200)에 내측 파이프(3100)를 밀어넣으면 간편하게 폭조절 될 수 있다.
이때, 받침시트(4000)는 천 소재를 적용하여 접힘이 가능하도록 하면 된다.
다른 예로서, 상기한 받침시트(4000)는, 합성수지 또는 방수 천 소재로 이루어진 것이 가능하며, 용토가 올려지는 경우 신축 등이 방지될 수 있는 내구성을 취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예로서, 상기 받침시트(4000)에, 강도 보강 또는 신축 방지용 와이어(5000)가 결합되도록 하여 내구성이 증대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도 8참조)
상기 와이어(5000)는 굵기가 가는 경우 메쉬 형태로 직조된 것을 적용하여 칼 등에 의한 찢어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받침시트(4000)는, 방수 천 소재로 이루어지도로 하며, 가로 방향, 세로 방향, 가로 및 세로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배열된 와이어(5000)가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5000)의 단부가 걸림고리(6000)를 통해 상기 수평바(3000)에 걸림되는 것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시트(4000)는, 수분 배수를 위한 배수홀이 하나 또는 다수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배수홀에 망사소재의 시트가 위치되어 수분만 통과되도록 하고 용토의 흘러내림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면 된다.
1000: 수직바
1100: 바퀴
2000: 연결구
2100, 2200: 결합홈
3000: 수평바
3100: 내측 파이프 3200: 외측 파이프
4000: 받침시트
4100: 용토 수용공간
5000: 와이어
6000: 걸림고리

Claims (5)

  1. 화분에 있어서,
    하단에 바퀴(1100)를 갖는 다수개의 수직바(1000); 상기 수직바(1000)의 상단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구(2000); 양단이 상기 연결구와 연결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사각 또는 다각 틀을 이루는 다수개의 수평바(3000); 상측 테두리단이 다각틀을 이루는 상기 수평바(3000)에 결합되며 중간에 꽃을 식재하기 위한 용토 수용공간(4100)을 가지며 방수 천 소재로 이루어진 받침시트(4000)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시트(4000)는,
    가로 방향, 세로 방향, 가로 및 세로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배열된 와이어(5000)가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5000)의 단부가 걸림고리(6000)를 통해 상기 수평바(3000)에 걸림되도록 하며;
    상기 수평바(3000)는,
    외측 파이프(3200)에 대해 내측 파이프(3100)가 슬라이드 삽입되어 길이 조절 가능하도록 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화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10108152A 2011-10-21 2011-10-21 이동 가능한 화분 KR101326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8152A KR101326125B1 (ko) 2011-10-21 2011-10-21 이동 가능한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8152A KR101326125B1 (ko) 2011-10-21 2011-10-21 이동 가능한 화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5138A KR20120035138A (ko) 2012-04-13
KR101326125B1 true KR101326125B1 (ko) 2013-11-06

Family

ID=46137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8152A KR101326125B1 (ko) 2011-10-21 2011-10-21 이동 가능한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612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9095A (ja) * 1997-06-25 1999-01-19 Kazuo Takeda 移動式プランターおよび受水槽
JPH11178455A (ja) * 1997-12-19 1999-07-06 Godai Sangyo Kk プランター
KR20110006066U (ko) * 2009-12-10 2011-06-16 시게루 다나카 플랜터 및 농업용 베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9095A (ja) * 1997-06-25 1999-01-19 Kazuo Takeda 移動式プランターおよび受水槽
JPH11178455A (ja) * 1997-12-19 1999-07-06 Godai Sangyo Kk プランター
KR20110006066U (ko) * 2009-12-10 2011-06-16 시게루 다나카 플랜터 및 농업용 베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5138A (ko) 2012-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95198B1 (ja) 筒状緑化ユニット
US8904706B1 (en) Modular interlocking planter
JP5346384B2 (ja) 改善された観賞用植木鉢の壁掛け式セット
KR200420135Y1 (ko) 환경 미화용 분리형 수경화분
WO2010142000A1 (en) Vegetation support system
CN205124484U (zh) 可移动卷帘式攀援植物种植箱
US20080209805A1 (en) Wall Planted with Vegetation and Constituent Elements
KR20070069244A (ko) 걸고리가 구성된 화분
KR101201355B1 (ko) 조경용 화분 및 이를 이용한 조경용 화분 조립체
JP2011097883A (ja) 立面緑化パネルユニット
KR101326125B1 (ko) 이동 가능한 화분
CN201690832U (zh) 一种高架花盆
KR100817549B1 (ko) 다용도 조립식 화분
KR200436996Y1 (ko) 걸이식화분
JP3904847B2 (ja) 芝生等植栽用の連結据置式緑化ユニット
KR200466546Y1 (ko) 수직 이동형 조립 복합 실내조경 장치
KR100871663B1 (ko) 에어컨 실외기 설치대
KR200424688Y1 (ko) 화분이 구비된 울타리
KR20120005351U (ko) 화분타입의 보차도 경계 펜스
JP3157945U (ja) 緑化パネル
KR20100112370A (ko) 조립식 화분
KR101099546B1 (ko) 이중 식재 공간을 가진 조경용 화분
KR200412712Y1 (ko) 걸고리가 구성된 화분
KR102645814B1 (ko) 식물 공중 식재장치
KR200375605Y1 (ko) 다양한 가지화분이 있는 기둥화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