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5990B1 - 전차선 편위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전차선 편위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5990B1
KR101325990B1 KR1020130037407A KR20130037407A KR101325990B1 KR 101325990 B1 KR101325990 B1 KR 101325990B1 KR 1020130037407 A KR1020130037407 A KR 1020130037407A KR 20130037407 A KR20130037407 A KR 20130037407A KR 101325990 B1 KR101325990 B1 KR 1013259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piece
bracket
scale
rail
caten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7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옥
Original Assignee
이인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인옥 filed Critical 이인옥
Priority to KR1020130037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59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5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59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28Manufacturing or repairing trolley lin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1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istance or clearance between spaced objects or spaced aper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26Rail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차나 전기 기관차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공중에 가설되는 전차선에 대한 편위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로대의 양측에 레일에 올려지는 고정거치구와 조절거치구를 각기 결합 형성하고, 상기 조절거치구는 가로대로부터 유동하여 가로대에 결합된 눈금자가 함께 유동되게 하며, 상기 가로대에는 계측기를 갖는 세로대가 유동 가능하도록 결합 형성함에 따라,
가변되는 레일 폭의 중심과 대응하여 측정장치의 눈금자 중심이 정확하게 일치되므로 더욱 정밀한 전차선에 대한 편위 측정이 가능한 것이고, 조절거치구와 함께 유동되는 눈금자는 레일 폭에 대한 가변량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레일 폭에 대한 부적합한 시공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며, 가로대를 따라 용이하게 유동하는 세로대에 장착된 계측기는 전차선으로부터 근접하여 위치하므로 더욱 정밀하고 선명한 계측과 표시가 이루어지는 것이고, 상기 조절거치구의 유동에 의한 눈금자의 유동을 가능케 하는 피니언 기어 및 래크는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조립 및 제작상의 편리함은 물론 마모 및 파손에 의한 이들의 교체 및 수리가 매우 용이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Description

전차선 편위 측정장치 {An measure equipment of latitude for trolley line}
본 발명은 전차나 전기 기관차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공중에 가설되는 전차선에 대한 편위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나란한 레일의 가변 폭에 합리적으로 대응하며 이동될 수 있는 것은 물론 레일 폭의 가변에 따라 눈금자가 자동으로 레일의 폭 중심에 항상 위치되도록 하여 보다 정확하고 정밀한 전차선의 편위 측정이 가능한 것은 물론 전차선의 편위에 따른 편차의 조정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전차선 편위 측정장치에 대한 것이다.
알려진 바와 같이 전기 철도 차량은 전기를 에너지원으로 하기 때문에 공해를 발생시키지 않아서 환경친화적인 교통수단으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전기 철도 차량은 선로에 설치된 전차선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움직이게 된다.
이때, 상기의 전차선은 전기 철도 시설 규정에 따라 일정한 높이와 편위를 갖도록 설치되어야 하는데, 모든 전차 선로에서 나란한 레일의 폭은 1435cm를 유지하여야 하는 것이고, 전차선의 높이는 5080cm를 유지하여야 하는 것으로, 철도청 구간이나 수도권 및 지하철 구간 등의 기타 구간에서는 최저 4850cm 내지 5400cm의 높이를 유지하여야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전차선은 이에 직접 접촉하는 전기 철도 차량의 판타그래프 상부면이 균일하게 마모될 수 있도록 대략 50cm의 간격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가설되는데 전차선의 편위는 전차선의 중심에서 좌,우로 각기 20cm를 넘지 않도록 규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전차선은 판타그래프와 비접촉되는 부분이 없도록 정확한 위치에 오도록 가설되는 것이 매우 중요한바, 전차선의 높이 및 편위를 측정하여서 편차가 발생한 경우에는 전차선이 정확한 위치에 놓이도록 조정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와 같은 전차선의 높이와 편위를 측정하기 위한 종래의 전차선 편위 측정장치는, 통상적으로 세로눈금자와 가로눈금자로 이루어진 측정장치를 사용하게 되는 것이나 근자에 들어서는 레이저를 이용한 계측기가 도입되어 더욱 정확한 편위 측정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기존의 전차선 편위 측정장치는 레일 위에 측정장치를 설치한 후 전차선의 중심을 측정시마다 찾아야 하는 것은 물론 일정하지 못한 레일의 구간 폭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레일의 중심부 또는 전차선의 중심부가 변경되므로 이로부터 새롭게 중심을 찾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나란하게 설치되는 레일이 서로 평행하지 못한 불규칙 구간이 발생되면 측정장치의 일측이 들러거나 어긋나게 되므로 전차선의 중심을 찾는데 더욱 어려움을 겪게 되므로 기존의 전차선 편위 측정장치로는 전차선의 정확한 높이와 편위를 측정하는데 상당한 곤란함이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등록특허 제10-0812885호와 같은 베이스와 거치대 및 측정기와 카메라 및 모니터를 포함하는 전차선 편위측정 자동화장치를 통해, 상기 고정베이스의 양측으로부터 출몰되는 지지부재에 의해 레일의 가변 폭에 합리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측정기에 의해 자동으로 전차선의 높이에 대한 측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측정기로부터 발사된 레이저 포인트의 위치를 통해 전차선에 대한 편위량 및 편차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제안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전차선 편위 측정장치는 전차선의 편위 및 편차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측정기가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베이스의 상부면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작업자는 쪼그려 앉아 이를 확인하여야 하는 것은 물론 편위 측정장치의 이동과 편위 확인시 일어서고 앉기를 반복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매우 불편하고 번거로운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측정기가 전차선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상태에서의 거리 측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정밀한 측정값을 기대할 수 없는 것은 물론 미세한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서 레이저 포인트가 심하게 떨리는 현상을 겪게 되어 작업상의 불편함이 매우 큰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베이스의 양측으로부터 출몰 및 유동하는 거치대는 베이스의 내부에서 단일의 피니언 기어로부터 양측으로 대향된 래크가 서로 맞물려 동일 유동량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나, 이와 같은 양측 유동구조는 비교적 길이가 긴 베어스의 중앙부까지 거치대의 양 끝단이 삽입되어야 하므로 구조가 매우 복잡하면서도 제작 및 조립이 어려운 것이며, 과도한 중량으로 취급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을 갖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래크 및 피니언 기어에 의한 양방향 유동구조는 이들 유동부가 거치대의 내부에 모두 내장되어 있으므로 이들의 마모 및 파손이 발생하는 경우 부분적인 교체 및 수리가 불가능한 단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특히, 전기한 바와 같은 전차선 편위 측정장치의 가장 큰 단점으로는 베이스의 외면에 눈금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의 양측 끝단으로부터 레일 폭에 따라 거치대가 유동하는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레일 폭이 가변되는 구간에 진입하는 경우 양측의 거치대가 동시에 삽입 또는 돌출되는 과정에서 이들 거치대의 이동량을 직접 확인할 수 없어 레일의 부적합 시공이 이루어져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가 없는 것이다.
즉, 상기의 레일은 전기한 바와 같이 규정된 폭으로의 시공이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고, 이와 같이 규정된 폭을 갖고 시공된 레일로부터 전차선이 편위 가설되어야 하는 것인데 상기와 같이 규정된 폭 이상 또는 이하로 레일이 설치되어 있다하더라도 전기한 바와 같은 전차선 편위 측정장치는 레일의 가변 폭에 대한 확인이 이루어지지 못하므로 부적합 상태의 레일로부터 편위 상태인 전차선 역시 부적합한 상태의 가설이 이루어지는 폐단을 갖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가로대의 양측에 레일에 올려지는 고정거치구와 조절거치구를 각기 결합 형성하고, 상기 조절거치구는 가로대로부터 유동하여 가로대에 결합된 눈금자가 함께 유동되게 하며, 상기 가로대에는 계측기를 갖는 세로대가 유동 가능하도록 결합 형성함에 따라,
조절거치구의 유동 및 눈금자가 함께 유동되도록 하여 항상 눈금자의 중심이 편위 측정장치의 중심에 일치되도록 하고, 조절거치구의 유동과 함께 유동하는 눈금자로 인해 레일 폭에 대한 가변량을 육안 확인할 수 있는 것이며, 세로대에 의해 레일로부터 상향 이격하여 위치된 계측기를 통해 전차선에 대한 더욱 정밀하고 간편한 측정 및 계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전차선 편위 측정장치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전차선 편위 측정장치에 대한 또 다른 목적으로는, 고정거치구와 조절거치구를 이용하여 계측기를 횡방향으로 고정 장착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상기의 계측기를 통해 나란한 레일에 대한 기울기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부적합한 시공이 이루어진 레일에 대한 확인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가로대의 양측에 거치대가 결합되고 상기 가로대에는 계측기가 장착되어진 공지의 전차선 편위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로대의 일측 끝단에는 고정거치구를 결합 형성하고 가로대의 타측 끝단에는 가로대로부터 유동되게 한 조절거치구를 결합 형성하며, 상기 가로대의 일측에는 눈금대를 형성하고 가로대의 타측에는 전달대를 형성하며, 상기 가로대에는 선단에 계측기가 장착되게 한 안치부와 하단에 가로대를 따라 유동되게 한 체결부가 형성된 세로대를 장착하되,
상기 전달대는 조절거치구와 연결되어 조절거치구와 함께 전달대가 유동되게 하고, 상기 전달대의 유동력을 전달받게 한 눈금대는 상기 전달대의 이동량 대비 절반의 이동량을 갖고 유동하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가변되는 레일 폭의 중심과 대응하여 측정장치의 눈금자 중심이 정확하게 일치되므로 더욱 정밀한 전차선에 대한 편위 측정이 가능한 것이고, 조절거치구와 함께 유동되는 눈금자는 레일 폭에 대한 가변량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레일 폭에 대한 부적합한 시공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며, 가로대를 따라 용이하게 유동하는 세로대에 장착된 계측기는 전차선으로부터 근접하여 위치하므로 더욱 정밀하고 선명한 계측과 표시가 이루어지는 것이고, 상기 조절거치구의 유동에 의한 눈금자의 유동을 가능케 하는 피니언 기어 및 래크는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조립 및 제작상의 편리함은 물론 마모 및 파손에 의한 이들의 교체 및 수리가 매우 용이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차선 편위 측정장치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차선 편위 측정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차선 편위 측정장치의 부분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차선 편위 측정장치의 부분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차선 편위 측정장치의 부분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차선 편위 측정장치의 거치구 확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차선 편위 측정장치의 요부 분리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차선 편위 측정장치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차선 편위 측정장치의 세로대 확대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차선 편위 측정장치의 전체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차선 편위 측정장치에 대한 누름 상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차선 편위 측정장치의 사용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차선 편위 측정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14는 도 13에 의한 전차선 편위 측정장치의 사용 예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차선 편위 측정장치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차선 편위 측정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차선 편위 측정장치의 부분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차선 편위 측정장치의 부분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차선 편위 측정장치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차선 편위 측정장치는, 내부가 비어 있는 금속재 사각관의 형태를 갖는 가로대(10)와, 상기 가로대(10)의 양측 끝단에 각기 결합되어 있는 고정거치구(20) 및 조절거치구(30)와, 상기 가로대(10)의 일측면으로부터 유동하는 눈금대(40)와 상기 가로대(10)의 타측면으로부터 유동하는 전달대(50)와, 상기 가로대(10)에 결합되어 가로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하는 세로대(60)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세로대(60)에는 공지의 계측기(70)가 장착되어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가로대(10)는 일측 외면에 대기어(11)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 형성되어 있고, 타측 외면에는 상기 대기어(11)와 동축으로 연결된 소기어(12)(12')가 결합 형성되어 있어 이들 대기어(11)와 소기어(12)(12')는 함께 회전될 수 있는 것이고, 상기 대기어(11)와 소기어(12)(12')의 기어비는 2:1인 것이다.
또한, 상기의 고정거치구(20)는 일측이 내부가 비어있는 가로대(10)로 삽입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선로를 구성하는 레일의 상부면과 일측면과 대응할 수 있도록 "ㄱ"자 형상을 갖고 있으며, 상기 레일과 대응하는 외면에는 도 6의 도시와 같이 다수의 로울러 베어링(21)이 결합 형성되어 있어 이들 로울러 베어링(21)에 의해 상기의 고정거치구(20)가 레일을 따라 부드럽고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의 가로대(10)에 유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는 조절거치구(30)는 상기의 고정거치구(20)와 마찬가지로 "ㄱ"자 형상을 갖고 있으며 레일과 대응하면 외면에는 로울러 베어링(21)이 결합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은 조절거치구(30)는 도 7 및 도 8의 도시와 같이 일측에 상기의 가로대(10) 내부로 삽입되게 한 삽입부(3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와 같은 가로대(10)의 내부에는 상기의 삽입부(31)와 이격 형성되어 있는 고정구(3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부(31)와 고정구(32)의 사이에는 별도의 스프링(33)이 탄력 설치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와 같은 삽입부(31)에는 관통의 슬릿공(3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릿공(34)의 내부에는 가로대(10)에 고정 형성된 스토퍼(35)가 위치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의 조절거치구(30)는 가로대(10)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스프링(33)을 압축시키며 내향 이동되거나, 상기 스프링(33)의 반력에 의해 외향 돌출되는 유동성을 갖게 되는 것이고, 상기와 같은 조절거치구(30)의 유동 폭은 슬릿공(34)의 크기 범위 내에서 스토퍼(35)와의 간섭 폭과 동일한 것이다.
또한, 상기의 스토퍼(35)는 조절거치구(30)가 가로대(1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조절거치구(30)의 일측에는 별도의 조절볼트(36)가 결합 형성되어 있는 것인데, 상기의 조절볼트(36)에는 전기한 전달대(50)의 일측 끝단이 결합되어 있어 상기의 전달대(50)는 조절거치구(30)와 함께 가로대(10)를 따라 유동하게 된다.
상기의 전달대(50)는 전기한 바와 같이 가로대(10)의 일측면에 밀착되어 있는 것으로, 일측 끝단은 상기 조절거치구(30)와 고정되어 있고 타측 끝단에는 래크부(51)가 형성되어 있어 전기한 가로대(10)의 대기어(11)와 상기의 래크부(51)가 서로 치합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의 조절거치구(30)가 가로대(10)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유동하게 되면 상기의 전달대(50)도 함께 유동하는 것이고 전달대(50)의 유동에 따라 래크부(51)와 치합된 대기어(11)가 회전을 하면 대기어(11)와 동축 상으로 연결된 가로대(10) 타측의 소기어(12)(12')도 회전을 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가로대(10)의 타측면에 밀착 형성된 눈금대(40)는 양측 끝단에 래크부(41)(41')가 형성되어 있어 이들 래크부(41)(41')가 상기의 소기어(12)(12')에 치합되어 있는 것인데, 전기한 바와 같이 조절거치구(30)의 유동으로 인해 전달대(50)가 유동하면 그 유동력으로부터 대기어(11)가 회전을 하게 되고 대기어(11)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함께 회전하는 소기어(12)(12')로 인해 상기의 눈금대(40) 역시 함께 유동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은 대기어(11)와 소기어(12)(12')의 기어비는 2:1이 되게 구성함에 따라 상기의 전달대(50)의 이동량에 비하여 상기 눈금대(40)는 절반의 이동량을 갖게 되는 것으로, 예컨데 대기어(11)의 기어수가 40이고 소기어(12)(12')의 기어수가 20이라 가정할 때 대기어(11)와 소기어(12)(12')의 1회전당 전달대(50)는 40치형의 이동량을 갖게 될 것이고 눈금대(40)는 20치형의 이동량을 갖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눈금대(40)는 그 중심이 상기 고정거치구(20)와 조절거치구(30)의 사이에 정확하게 위치하고 있어야 하는 것인데, 이와 같은 눈금대(40)가 어느 한쪽으로 치우쳐 있는 경우에는 상기의 전달대(50)를 이동시켜 대기어(11) 및 소기어(12)(12')의 회전을 통해 상기의 눈금대(40)가 이동되게 함에 따라 눈금대(40)의 중심을 정확히 세팅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의 전달대(50)는 조절거치구(30)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된 조절볼트(36)에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전달대(50)의 일측 끝단에는 상기의 조절볼트(36)가 관통 삽입되어 있는 계지부(37)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와 같은 계지부(37)의 양측에는 상기 조절볼트(36)에 결합되어 있는 조절너트(38)(38')가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상기의 조절너트(38)(38')의 회전에 따라 상기의 전달대(50)는 조절거치구(30)로부터 근접되거나 이격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조절거치구(30)가 스프링(33)의 반력에 의해 외측방향으로 최대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의 전달대(50)에 대한 위치 조정 및 그로 인한 눈금대(40)의 이동을 통해 상기의 눈금대(40) 중심이 고정거치구(20)와 조절거치구(30)의 중앙에 정확히 위치할 수 있도록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가로대(10)를 따라 이동하는 세로대(60)는 선단에 안치부(61)가 형성되어 있고 하단에는 가로대(10)와의 체결부(62)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의 안치부(61)에는 별도로 구비된 계측기(70)가 장착되는 것이고 상기의 체결부(62)는 하측으로 개방된 끼움부(63)를 통해 가로대(10)의 상부에 올려놓아 거치되게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끼움부(63)는 도 9의 도시와 같이 선단으로 가로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안내부(65)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와 같은 안내부(65)의 저면에는 롤러(64)가 결합 형성되어 있어 상기의 롤러(64)에 의해 기로대(10)의 상면을 타고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상기 끼움부(63)의 하측으로는 회전 가능한 잠금볼트(66)를 결합 형성하여 상기의 잠금볼트(66)를 이용하여 상기의 세로대(60)가 가로대(10)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특히, 상기의 계측기(70)는 Leica사의 모델명 DISTO-D5 제품이 적용된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계측기(70)에는 카메라와 레이저 발사부 및 이들을 이용하여 피사체와의 거리와 기울기 및 피사체의 촬영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레일 편위 측정장치는, 도 10의 도시와 같이 내부의 스프링(33)의 반력으로 인해 조절거치구(30)가 외향 돌출된 상태에서의 고정거치구(20) 및 조절거치구(30)에 대한 이격 폭이 120cm라고 하고 이때의 눈금대(40) 중심은 이들 사이의 60cm에 위치하고 있다고 하며, 이를 설치하고자 하는 레일 폭이 100cm라고 가정할 때, 상기의 조절거치구(30)는 20cm의 내측 이동이 있어야 하는 것이므로 도 11의 도시와 같이 상기의 조절거치구(30)에 대한 가압으로 인해 조절거치구(30)가 레일 폭과 일치하여 레일 상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고, 상기의 조절거치구(30)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의 전달대(50) 역시 20cm의 이동이 동반되는 것인데 상기의 눈금대(40)는 대기어(11)와 소기어(12)(12')의 기어비에 의해 전달대(50)와는 달리 10cm만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60cm 지점에 위치하고 있던 눈금대(40)의 중심은 50cm 지점으로 이동하게 되어 결국 레일 폭 100cm의 중심부에 정확히 일치하여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상기의 눈금대(40) 중심은 조절거치구(30)의 유동량과 관계없이 항상 고정거치구(20)와 조절거치구(30) 또는 레일의 중심부에 정확히 일치하여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의 대기어(11)와 소기어(12)(12')는 가로대(10)의 표면으로 노출되어 있을 것이므로 이들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 및 미관을 위해 상기 대기어(11)와 소기어(12)(12')가 위치한 가로대(10)의 양측부에 별도의 커버블록(도면에서의 부호는 생략함)을 장착하되, 상기의 커버블록은 전기한 눈금대(40) 및 전달대(50)와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내측면에서의 가공홈이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도 12의 도시와 같이 레일(100)의 이격 폭과 일치하여 본 발명의 측정장치가 레일(100) 상에 안치되면 가로대(10)로부터 세로대(60)를 이동시켜 전차선의 편위 지점에 대하여 계측기(70)를 통해 정확한 표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고, 계측기(70)를 통해 전차선의 높이를 정확히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계측기(70)의 레이저를 통해 편차를 갖는 전차선의 경우 정확한 위치에 가설될 수 있도록 교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고, 복선의 전차선인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계측장치를 반대방향으로 장착함에 따라 좌,우 정확한 대칭 상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전차선을 가설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차선 편위 측정장치는 양측에 나란하게 배치된 레일의 중심부를 정확히 가르키는 눈금대(40)로부터 전차선에 대한 편위 및 높이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것이고 전차선의 편위에 따른 편차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바로잡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고정거치구(20)와 조절거치구(30)에 형성되어 있는 로울러 베어링(21)에 의해 본 발명의 측정장치를 간편하게 레일을 따라 이동시키며 전차선에 대한 점검이나 확인 및 교정 가설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레일 간의 이격 폭이 상이한 경우 혹은 가변 구간이 발생하더라도 상기의 조절거치구(30)는 가로대(10) 내부의 스프링(33)을 압축시키거나 이완시키며 레일(100)의 설치 폭을 따라 유동되는 것이고, 조절거치구(30)의 유동이 발생하더라도 그 유동력은 전달대(50)를 통해 눈금대(40)로 전달되면서 눈금대(40)의 중앙이 정확히 레일의 중심부를 지시하므로 별도의 중심부 확인이나 설정 작업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는 편리함을 갖고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전차선 변위 측정장치는 도 13 및 도 14의 도시와 같이 고정거치구(20) 및 조절거치구(30)에 상기의 계측기(70)를 가로방향으로 고정시켜 이를 통해 레일(100)의 기울기에 대한 측정도 가능한 것으로, 상기의 조절거치구(30) 또는 고정거치구(20)의 상부 일측에 별도의 계측기고정판(71)을 결합 형성하고, 상기 조절거치구(30) 또는 고정거치구(20)의 상부 일측에는 별도의 인식판(72)을 고정 형성함에 따라 계측기고정판(71)에 설치되는 계측기(70)가 상기 인식판(72)을 향하여 레이저를 조사하면 이로부터 상기 계측기(70)에는 레일 간 이격 폭과 기울기가 표시될 것이므로 상기 레일(100)에 대한 이격 폭 및 기울기의 확인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레일(100)의 기울기에 대한 확인과 점검은 곡선 구간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전차선 편위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상기와 같은 레일(100)의 이격 폭과 기울기에 대한 확인과 점검을 함께 수행할 수 있으므로 선로 및 전차선의 가설 및 시공과 유지 보수 공사에서 현저한 효율성을 연출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계측기고정판(71)과 인식판(72)은 각기 고정거치구(20) 또는 조절거치구(30)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 형성함에 따라 선로의 기울기 점검이 필요없는 경우에는 작업자와의 간섭이 최대한 회피될 수 있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놓고 이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만 계측기(70)와 인식판(72)이 대응될 수 있도록 이들 계측기고정판(71)과 인식판(72)을 세워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란 전차선 편위 측정장치는 기존의 편위 측정장치에 비하여 제작상의 편리함은 물론 사용상의 편리함이 매우 뛰어난 것이고, 레일의 기울기와 같은 부가 작업을 함께 수행할 수 있어 더욱 합리적인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 가로대 11 : 대기어
12,12' : 소기어
20 : 고정거치구 21 : 로울러 베어링
30 : 조절거치구 31 : 삽입부
32 : 고정구 33 : 스프링
34 : 슬릿공 35 : 스토퍼
36 : 조절볼트 37 : 계지부
38,38' : 조절너트
40 : 눈금대 41,41' : 래크부
50 : 전달대 51 : 래크부
60 : 세로대 61 : 안치부
62 : 체결부 63 : 끼움부
64 : 롤러 65 : 안내부
66 : 잠금볼트
70 : 계측기 71 : 계측기고정판
72 : 인식판
100 : 레일

Claims (8)

  1. 가로대(10)의 일측 끝단에는 고정거치구(20)를 결합 형성하고 가로대(10)의 타측 끝단에는 가로대(10)로부터 유동되게 한 조절거치구(30)를 결합 형성하며, 상기 가로대(10)의 일측에는 눈금대(40)를 형성하고 가로대(10)의 타측에는 전달대(50)를 형성하며, 상기 가로대(10)에는 선단에 계측기(70)가 장착되게 한 안치부(61)와 하단에 가로대(10)를 따라 유동되게 한 체결부(62)가 형성된 세로대(60)를 장착하되,
    상기 전달대(50)는 조절거치구(30)와 연결되어 조절거치구(30)와 함께 전달대(50)가 유동되게 하고, 상기 전달대(50)의 유동력을 전달받게 한 눈금대(40)는 상기 전달대(50)와 함께 유동하도록 구성한 전차선 편위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거치구(20)와 조절거치구(30)는 레일(100)의 상면 및 일측면과 간섭하도록 "ㄱ"자의 형태를 갖게 하고, 상기 레일(100)과 대응하는 외면에는 로울러 베어링(21)을 결합 형성하고, 상기 조절거치구(30)는 일측에 상기 가로대(10)의 내부로 삽입되게 한 삽입부(31)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가로대(10)의 내부에는 상기 삽입부(31)의 끝단으로부터 이격된 고정구(32)를 형성하되, 이들 삽입부(31)와 고정구(32)의 사이에는 별도의 스프링(33)을 탄력 고정하여 상기의 조절거치구(30)가 스프링(33)에 의해 탄력 설치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차선 편위 측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거치구(30)의 삽입부(31)에는 슬릿공(34)을 형성하고, 상기 슬릿공(34)의 내부에는 가로대(10)에 고정된 스토퍼(35)를 형성하여 상기 삽입부(31)를 갖는 조절거치구(30)가 슬릿공(34)의 범위 내에서 가로대(10)로부터 유동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차선 편위 측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거치구(30)와 전달대(50)는 조절거치구(30)로부터 고정 돌출되는 별도의 조절볼트(36)에 의해 서로 고정되게 하되,
    상기 전달대(50)의 끝단 일측에는 상기 조절볼트(36)가 관통되게 한 계지부(37)를 형성하고, 상기 계지부(37)에 삽입된 조절볼트(36)에는 계지부(37)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조절너트(38)(38')를 결합 형성하여 상기 조절너트(38)(38')의 회전에 따라 조절볼트(36)에 고정되는 전달대(50)의 위치가 가변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차선 편위 측정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대(50)는 일측에 래크부(51)를 형성하여 상기 래크부(51)가 가로대(10)에 결합 형성된 별도의 대기어(11)와 치합되게 하고, 상기 전달대(50)의 타측에 형성된 눈금대(40)에는 양측에 래크부(41)(41')를 형성하여 상기의 래크부(41)(41')가 상기 대기어(11)로부터 동축 회전되게 한 별도의 소기어(12)(12')에 치합되게 구성하되,
    상기 대기어(11)와 소기어(12)(12')의 기어비는 2:1이 되게 하여, 전달대(50)의 이동량 대비 눈금대(40)는 절반의 이동량을 갖고 동일방향으로 함께 유동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차선 편위 측정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대(60)의 체결부(62)는, 하측으로 가로대(10)가 삽입되게 한 끼움부(63)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63)의 선단에는 저면에 롤러(64)가 결합 된 안내부(65)를 돌출 형성하며, 상기 끼움부(63)의 하측에는 회전 가능한 잠금볼트(66)를 힌지 결합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차선 편위 측정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거치구(30)의 상부에는 계측기고정판(71)을 힌지 결합 형성하고, 고정거치구(20)의 상부에는 상기 계측기고정판(71)에 장착되는 계측기(70)를 향하는 인식판(72)을 힌지 결합 형성하여,
    상기 계측기(70)에 의한 인식판(72)으로의 레이저 조사를 통해 서로 이격된 레일 간의 폭과 레일의 기울기에 대한 측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차선 편위 측정장치.
  7. 삭제
  8. 삭제
KR1020130037407A 2013-04-05 2013-04-05 전차선 편위 측정장치 KR1013259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7407A KR101325990B1 (ko) 2013-04-05 2013-04-05 전차선 편위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7407A KR101325990B1 (ko) 2013-04-05 2013-04-05 전차선 편위 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5990B1 true KR101325990B1 (ko) 2013-11-07

Family

ID=49856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7407A KR101325990B1 (ko) 2013-04-05 2013-04-05 전차선 편위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5990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58592A (zh) * 2015-10-29 2016-01-20 上海绿亮电动车有限公司 电动自行车前后轮测量仪
CN108895946A (zh) * 2018-08-06 2018-11-27 河南省锅炉压力容器安全检测研究院新乡分院 波形炉胆检验尺
CN111089554A (zh) * 2019-11-28 2020-05-0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物体拟合方法、物体拟合装置、智能尺子及电子设备
KR20220105807A (ko) 2021-01-21 2022-07-28 가톨릭상지대학 산학협력단 전기철도용 자동편위 측정장치
KR102459150B1 (ko) 2022-01-10 2022-10-26 소후영 전차선의 높이 및 편위 디지털 측정장치
RU219811U1 (ru) * 2023-06-27 2023-08-08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Рузаевский завод химического машиностроения" (АО "Рузхиммаш")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мерения расстояния от уровня верха головок рельсов до опорной поверхности подпятника тележки
CN117381276A (zh) * 2023-10-30 2024-01-12 速维工程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压力容器焊接对接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88069A (ja) * 1995-01-09 1996-07-23 Sumitomo Electric Ind Ltd 電車線偏位センサ
KR20020003676A (ko) * 2000-06-24 2002-01-15 전계익 레이저 편위계
JP3638724B2 (ja) * 1996-06-27 2005-04-13 三和テッキ株式会社 架線測定装置と渡り線測定方法
KR100812885B1 (ko) * 2006-11-27 2008-03-11 금송전기 주식회사 전차선 편위측정 자동화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88069A (ja) * 1995-01-09 1996-07-23 Sumitomo Electric Ind Ltd 電車線偏位センサ
JP3638724B2 (ja) * 1996-06-27 2005-04-13 三和テッキ株式会社 架線測定装置と渡り線測定方法
KR20020003676A (ko) * 2000-06-24 2002-01-15 전계익 레이저 편위계
KR100812885B1 (ko) * 2006-11-27 2008-03-11 금송전기 주식회사 전차선 편위측정 자동화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58592A (zh) * 2015-10-29 2016-01-20 上海绿亮电动车有限公司 电动自行车前后轮测量仪
CN105258592B (zh) * 2015-10-29 2017-12-29 上海绿亮电动车有限公司 电动自行车前后轮测量仪
CN108895946A (zh) * 2018-08-06 2018-11-27 河南省锅炉压力容器安全检测研究院新乡分院 波形炉胆检验尺
CN111089554A (zh) * 2019-11-28 2020-05-0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物体拟合方法、物体拟合装置、智能尺子及电子设备
KR20220105807A (ko) 2021-01-21 2022-07-28 가톨릭상지대학 산학협력단 전기철도용 자동편위 측정장치
KR102459150B1 (ko) 2022-01-10 2022-10-26 소후영 전차선의 높이 및 편위 디지털 측정장치
RU219811U1 (ru) * 2023-06-27 2023-08-08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Рузаевский завод химического машиностроения" (АО "Рузхиммаш")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мерения расстояния от уровня верха головок рельсов до опорной поверхности подпятника тележки
CN117381276A (zh) * 2023-10-30 2024-01-12 速维工程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压力容器焊接对接装置
CN117381276B (zh) * 2023-10-30 2024-04-12 速维工程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压力容器焊接对接装置
KR102669112B1 (ko) 2024-02-16 2024-05-23 이상철 전차선의 편위 측정 자동화 장치 및 이를 활용한 편위 측정값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5990B1 (ko) 전차선 편위 측정장치
CN105292173B (zh) 一种自动测量轨检车
CN109781019B (zh) 一种轨距测量装置及测量方法
CN106274981B (zh) 一种轨道检测装置及检测方法
KR20150060251A (ko) 전차선로 레이저 측정장치
CN101761004A (zh) 用于中低速磁悬浮f型轨的轨道检测仪
CN110696855A (zh) 全自动轨道检查仪
CN209508735U (zh) 一种双棱镜铁路轨道几何状态检测装置
CN208568230U (zh) 风洞试验尾流测量升降装置
KR20130123878A (ko) 궤도 레일의 종구배와 횡구배 및 레일 궤간 자동 측정 장치
KR100812885B1 (ko) 전차선 편위측정 자동화장치
CN209910552U (zh) 一种别墅外墙施工用测量装置
KR20060111955A (ko) 전차선 측정 시스템
CN207208071U (zh) 一种轨道交通站台限界检测小车
CN103234442B (zh) 一种用于平台六自由度测量的装置
JP2015183428A (ja) 移動式軌道3点測定器(レーザー式)
CN203658006U (zh) 一种行人保护安全试验用的测量装置
CN110735367A (zh) 轨道安装系统及堆取料机
CN214951354U (zh) 一种道路桥梁施工测量装置
CN201897448U (zh) 白车身吊具检具
CN205642253U (zh) 一种可调节式建筑模板垂直度检测装置
CN210852453U (zh) 全自动轨道检查仪
CN203188074U (zh) 自行式轨道丈量仪
CN208621013U (zh) 一种多功能橡胶板检测台
CN208125679U (zh) 一种探轮实验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