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5506B1 - 맞춤상품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를 이용하는 시스템 - Google Patents

맞춤상품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를 이용하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5506B1
KR101325506B1 KR1020120005804A KR20120005804A KR101325506B1 KR 101325506 B1 KR101325506 B1 KR 101325506B1 KR 1020120005804 A KR1020120005804 A KR 1020120005804A KR 20120005804 A KR20120005804 A KR 20120005804A KR 101325506 B1 KR101325506 B1 KR 1013255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tomer
product
unit
recommendation
displa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5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4886A (ko
Inventor
백범진
송춘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도브투래빗
백범진
송춘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도브투래빗, 백범진, 송춘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도브투래빗
Priority to KR1020120005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5506B1/ko
Publication of KR20130084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48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5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55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06Q50/6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디스플레이 장치, 그를 이용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객의 체형을 자동으로 판별하여 맞춤상품을 제공하고, 그 맞춤상품을 착용한 고객 이미지를 제공하는 맞춤상품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를 이용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고객의 신장을 측정하기 위한 신장 측정부, 고객의 체중을 측정하기 위한 체중 측정부, 신장 측정부와 체중 측정부에서 측정한 값과 기 저장된 표준체형 값을 비교함으로써 고객의 체형과 성별을 판단하는 판단부, 고객의 체형에 따라 적합한 추천상품을 적어도 하나 이상 디스플레이하는 상품추천부, 및 고객의 요청에 의해 추천상품을 착용한 모습을 촬영하여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 된 이미지 중에서 선택된 이미지를 확대하는 촬영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객은 자신이 촬영한 이미지를 원격지의 지인에게 제공함으로써 구매에 대한 조언을 받을 수 있고, 또한 판매자는 타인에게 제품에 대한 소개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맞춤상품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를 이용하는 시스템{DIGITAL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CUSTOMIZED PRODUCT AND USING SYSTEM THERE OF}
본 발명은 상품의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객의 체형을 자동으로 판별하여 맞춤상품을 제공하고, 그 맞춤상품을 착용한 고객 이미지를 제공하는 맞춤상품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맞춤상품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를 이용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쇼핑몰, 백화점, 슈퍼마켓, 대형 의류 매장과 같은 곳에서는 고객들이 상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진열대를 사용하여 상품을 디스플레이한다. 상품의 진열에 있어서, 하나의 진열대에는 동일한 상품군의 여러 상품이 진열되고, 고객은 원하는 상품군에서 여러 상품을 비교하여 선택 구매한다. 그러나 이러한 비교 구매 시 고객은 상품의 차이를 구별하거나 자신의 체형에 맞는지 알기 위해서 많은 시간을 상품 앞에서 보내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각 매장에서는 상품의 판매를 위해 점원을 고용하여 고객에게 일대일 방식으로 상품에 대한 설명을 하고 있다. 이 경우 점원은 상품을 팔기에만 급급하여 고객을 설득함으로써 고객의 판단을 흐리게 한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고객이 의류를 구매하는 경우, 고객은 의류를 입어보고 짧은 시간 동안 거울을 통해 직접 보거나, 점원의 평가에 의존하여 상품을 구매하기 때문에 상품에 대한 확신이 부족한 채로 점원의 설득에 의해 고객의 의사가 반영되지 않은 채 의류를 구입하는 상황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그리고 지인들과 함께 쇼핑을 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지인들에게 자신이 구매하고자 하는 관심상품에 대한 평가를 받지 못한다.
이와 같은 이유로 고객의 체형에 맞는 상품을 제시하고 고객이 직접 상품을 착용한 이미지를 비교하여 판단하거나, 지인에게 자신의 착용모습을 바로 전송함으로써 신뢰성 있는 조언을 구하는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고객의 체형과 성별을 판별함으로써 추천상품을 제공하고, 고객은 추천상품을 착용하여 촬영한 후에 촬영된 이미지를 확인함으로써 추천상품이 자신의 체형과 어울리는지 고객이 직접 판단할 수 있는 맞춤상품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를 이용하는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르는 맞춤상품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장치는, 고객의 신장을 측정하기 위한 신장 측정부, 고객의 체중을 측정하기 위한 체중 측정부, 신장 측정부와 체중 측정부에서 측정한 값과 기 저장된 표준체형 값을 비교함으로써 고객의 체형과 성별을 판단하는 판단부, 고객의 체형에 따라 적합한 추천상품을 적어도 하나 이상 디스플레이하는 상품추천부, 및 고객의 요청에 의해 추천상품을 착용한 모습을 촬영하여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된 이미지 중에서 선택된 이미지를 확대하는 촬영부를 포함한다.
촬영부는 촬영된 이미지를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또는 이메일로 공유하기 위한 네트워크 수단 및 촬영된 이미지를 프린팅하기 위한 프린터를 포함한다.
추천상품은 매장의 진열위치를 명기한 코드번호를 동반하여 디스플레이된다.
상품 추천부는 고객의 디스플레이된 이미지 터치에 의해 제어된다.
고객의 안면을 촬영하여 촬영된 영상과 기 저장된 남성과 여성의 얼굴의 특징 및 두발의 평균길이를 각각 비교하여 고객의 성별을 판단하는 얼굴 감지부를 더 포함한다.
신장 측정부는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다.
또한,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르는 맞춤상품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방법은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고객의 신장을 측정하는 단계, 무게 센서를 이용하여 고객의 체중을 측정하는 단계, 고객의 얼굴을 감지하여 고객의 성별을 판별하는 단계, 고객의 신장정보와 고객의 체중정보를 통해 고객의 체형을 판별하는 단계, 고객의 체형과 고객의 성별 정보를 이용하여 고객에게 추천상품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고객의 요청에 의해 추천상품을 착용한 고객을 촬영하는 단계, 및 고객이 선택한 이미지를 확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촬영된 이미지를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SNS 또는 이메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촬영된 이미지를 프린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르는 맞춤상품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고객의 체형을 측정한 정보를 전송하고, 정보에 따른 상품정보를 수신받아 디스플레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측정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고객의 체형을 판단하고, 상기 고객의 체형에 적합한 맞춤상품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객은 자신의 체형에 맞는 상품을 추천받기 때문에 상품을 고르기 위해 소비되는 시간을 절약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고객은 자신이 착용한 상품의 이미지를 보고 비교판단하기 때문에 구입한 상품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고객은 자신이 촬영한 이미지를 원격지의 지인에게 제공함으로써 구매에 대한 조언을 받을 수 있고, 또한 판매자는 타인에게 제품에 대한 소개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맞춤상품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
도 2 내지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맞춤상품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방법의 실 예를 보여주기 위한 사진.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복수 개의 맞춤상품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는 맞춤상품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를 이용하는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5의 동일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기재하였다.
본 발명의 기본 원리는 고객의 신장과 체중을 측정하여 고객의 체형과 성별을 판별함으로써 고객의 체형과 성별에 맞는 추천상품을 제공하고, 고객이 추천상품을 착용하여 촬영한 후에 촬영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추천상품이 자신의 체형과 어울리는지 고객이 직접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맞춤상품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맞춤상품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고객의 신장을 측정하기 위한 신장 측정부(110), 고객의 체중을 측정하기 위한 체중 측정부(120), 신장 측정부(110)와 체중 측정부(120)에서 측정된 값과 기 저장된 표준체형 값을 비교함으로써 고객의 체형과 성별을 판단하는 판단부(130), 고객의 체형과 성별에 따라 고객에게 적합한 추천상품을 적어도 하나 이상 디스플레이하는 상품 추천부(140), 및 고객의 요청에 의해 추천상품을 착용한 모습을 촬영하여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된 이미지 중에서 선택된 이미지를 확대하는 촬영부(150)를 포함한다.
도 1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는 맞춤상품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신장 측정부(110)는 고객의 신장을 측정한다. 따라서 신장 측정부(110) 는 고객의 키를 측정할 수 있는 적외선 센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체중 측정부(120)는 고객의 체중을 측정할 수 있는 무게 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신장 측정부(110)와 체중 측정부(120)에서 측정된 고객의 신장과 체중을 토대로 다음의 표준체형 표인 [표 1]에 의해 체형과 성별을 구분할 수 있다.
Figure 112012004837515-pat00001
[표 1]은 신장과 체중에 따른 표준체형을 보여준다. 따라서 고객의 신장과 체중을 측정하여 고객의 체형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 1]을 참조하여 신장에 비해 표준체중이 낮은 경우, ‘LOW’라고 판단하고, 표준체형인 경우 ‘NOMARL’, 신장에 비해 표준체중이 높은 경우, ‘HIGH’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표 1]을 참조하면 신장과 체중에 따른 성별도 판단할 수 있다. 즉 남성과 여성의 표준체형은 차이가 나기 때문에 그 차이를 이용하여 성별을 판단한다. 그러나 표준체형의 차이가 근소한 경우에는 성별의 판단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보조적으로 얼굴 감지부(125)를 이용하여 성별을 판단한다. 이 경우 얼굴 감지부(125)는 고객의 안면을 촬영하여 촬영된 영상과 기 저장된 남성과 여성의 얼굴의 특징 및 두발의 평균길이를 각각 비교하여 성별을 판단한다.
판단부(130)는 [표 1]과 같은 표준체형 표를 저장하고 있기 때문에 신장 측정부(110)와 체중 측정부(120)에서 측정된 고객의 신장과 체중으로 고객의 체형과 성별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성별을 판단하기 위해 얼굴 감지부(125)에서 제공하는 성별정보를 이용하여 체형으로 판단하기 어려운 구간에서의 남녀 성별을 판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판단부(130)에서 고객의 체형과 성별이 판별되면, 상품 추천부(140)는 고객의 체형에 따른 추천상품을 제공한다.
여기서 판단부(130)는 고객의 체형을 표준체형을 기준으로 ‘LOW’, ‘NORMAL’ ‘HIGH’로 판단하였지만, 고객의 실제 신장정보와 실제 체중정보를 더 반영한 정보를 상품 추천부(140)로 제공한다. 그러면 상품 추천부(140)는 고객의 체형과 신장 및 체중정보를 반영하여 고객의 사이즈에 적합한 추천상품을 디스플레이한다.
그러면 고객은 상품 추천부(140)에서 디스플레이한 추천상품들 중 자신의 기호에 맞는 상품들을 터치로 드래그하여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품 추천부(140)가 제공할 수 있는 상품은 그 매장에서 판매하는 상품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포츠 용품점에서 상품 추천부(140)가 추천상품을 제공하는 경우, 다수의 트레이닝복과 운동화와 같은 제품을 추천상품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저장된 추천상품에는 매장의 진열위치를 명기한 코드번호를 동반하여 디스플레이되기 때문에 고객은 자신이 선택한 추천상품을 매장에서 용이하게 발견할 수 있다.
그러면 고객은 상품 추천부(140)에서 제공받아 자신이 선택한 상품들을 직접 찾아서 착용해 볼 수 있다. 여기서 촬영부(150)는 고객이 추천상품을 착용한 모습을 다각도에서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객이 T셔츠를 입는 경우, T셔츠를 입은 상태에서 정면 후면, 좌측 면, 우측 면을 촬영할 수 있다.
그 후, 고객은 자신이 촬영한 이미지들 중 기호에 맞는 이미지를 선택하여 서로 비교해보면서 자신의 체형과 어울린다고 판단되는 T셔츠를 선택할 수 있다.
이렇게 고객은 상품 추천부(140)에서 제공한 추천상품을 자신이 직접 착용한 후 그 모습을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 중 일부를 선택하여 서로 비교함으로써 자신의 스타일에 맞는 T셔츠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고객은 촬영부(150)에 구비된 네트워크 수단(151)을 이용하여 지인들에게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또는 이메일로 촬영한 이미지를 선택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고객은 지인들의 평가를 받아 좀더 만족스러운 T셔츠를 선택할 수 있고, 또한 추천상품을 지인에게 전송함으로써 판매자는 지인들에게 자신의 상품을 소개할 수도 있다. 그리고 고객은 촬영부에 구비된 프린터(152)를 통해 자신이 선택한 이미지를 즉시 출력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고객은 자신의 체형에 적합한 상품을 추천받아 실제로 착용한 모습을 촬영하여, 그 이미지를 비교하여 선택함으로써 좀더 만족할 수 있는 상품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자신이 촬영한 이미지들을 지인들과 공유함으로써 자신이 선택한 상품을 소개할 수도 있다.
도 2 내지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맞춤상품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방법의 실 예를 보여주기 위한 사진이다.
우선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맞춤상품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매장의 내부에 배치된다.
맞춤상품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매장에 배치될 때는 고객의 눈에 잘띄는 곳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매장에서 취급하는 상품을 광고하기 위한 광고동영상(a)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3은 디지털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이용하기 위해 매장을 찾은 고객을 보여주는 사진이고, 도 4는 고객이 신장과 체중을 측정하는 것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우선 도 4를 참조하면 고객이 체중 측정부(120) 위로 오르면 고객의 체중이 측정된다. 그리고 신장 측정부(110)는 체중 측정부(120) 상단에 구비되어 고객의 머리 위로 적외선을 조사하여 고객의 신장을 측정한다. 신장이 큰 고객을 위해서 신장 측정부(110)는 체중 측정부(120) 상단 천장에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신장 측정부(110)는 천장에 구비되지 않더라도 고객의 키보다 높은 곳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와 같이 체중 측정부(120) 위로 고객이 올라가면 고객의 체형을 측정하는 동안 스캐닝 화면(b)이 도 5와 같이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고객의 체형을 측정하기 위해서 고객의 머리 위로 구비된 신장 측정부(110)에서 고객의 신장이 측정되고, 고객이 올라간 체중 측정부(120)에서 고객의 체중이 측정된다.
도 6과 같이 신장 측정부(110)와 체중 측정부(120)에 의해 측정된 고객의 신장정보(c)와 체중정보(d)가 디스플레이되고, 얼굴 감지부(125)에서 판단된 고객의 얼굴형태에 따른 성별(e)이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고객의 체중정보와 신장정보에 [표 1]과 같은 기준이 적용되어 고객의 체형이 산출된다(f). 판단부(130)는 고객의 체형을 표준체형을 기준으로 ‘LOW’, ‘NORMAL’ ‘HIGH’로 판단할 수 있지만, 고객의 실제 신장정보와 실제 체중정보를 더 반영한 정보를 상품 추천부(140)로 제공한다.
만약 정보들(c, d, e, f)이 고객이 알고 있는 정보와 상이하다면 고객은 ‘RETRY’(g)를 터치하여 재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객의 체형정보가 산출되고 나면, 고객은 ‘NEXT’(h)를 터치할 수 있다.
그러면 상품 추천부(140)는 도 7과 같이 고객의 체형에 맞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추천상품의 이미지들(i)을 제공한다.
고객이 도 8과 같이 운동화를 드래그하여 ‘WISH LIST’(j)에 올려놓으면, 도 9와 같이 선택한 상품의 상세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데 상세정보로는 매장에서 상품위치를 식별하는 코드번호(k)와 상품의 가격(l)이 표시된다. 고객은 상품의 위치를 식별하는 코드번호(k)로 상품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도 10은 촬영부(150)를 활성화하기 위해 ‘MIRROR’(m) 버튼을 터치하는 것을 보여주는 이미지고, 도 11은 고객이 실제 상품을 착용하고 있는 모습을 촬영하는 것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0에서, 고객이 ‘MIRROR’ 버튼을 터치하면 촬영부(150)가 활성화된다. 그러면 고객은 촬영부(150)를 통해 여러 벌의 옷을 다양한 방면에서, 예를 들면 정면, 후면, 좌우측면에서 촬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촬영된 이미지는 도 11과 같이 화면에 디스플레이된다.
도 12는 고객이 촬영한 복수개의 이미지에서 자신이 비교하고 싶은 이미지를 선택하는 것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우선 고객은 촬영한 복수개의 이미지들 중에서 자신이 비교하고 싶은 이미지를 선택하면 ‘1’(n), ‘2’(o)와 같이 선택한 이미지의 일련번호가 화면에 표시된다.
도 13은 고객이 선택한 이미지 ‘1’(n), ‘2’(o)를 비교하는 것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우선 고객은 복수개의 이미지들 중에 두 개의 이미지(n, o)를 선택한 후, 비교를 실행하는 버튼을 터치한다. 그러면, 선택된 두 개의 이미지(n, o)는 비교하기 용이하게 확대되어 디스플레이된다.
도 14는 고객이 자신이 촬영한 이미지를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또는 이메일로 전송하기 위해 주소를 입력하는 것을 보여주는 화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촬영부(150)에 포함된 네트워크 수단(151)을 이용하여 이메일 주소창(p)에 하단 화면에 구비된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이메일 주소를 입력하고 ‘Send’(q)를 터치함으로써 지인에게 자신이 촬영한 이미지를 전송할 수 있다.
고객은 지인들에게 자신이 촬영한 이미지를 실시간 제공하여 상품을 선택하는데 조언을 받을 수도 있고, 자신이 선택한 상품을 소개할 수도 있다.
또한, 고객은 촬영부(150)에 포함된 프린터(152)를 이용하여 자신이 촬영한 이미지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다양하고 편리한 방법으로, 복수의 이미지들을 생성하고 용이하게 전송 및 활용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은, 프로그램 코드로 구현되어 다양한 유형의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메모리,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레지스터, 하드디스크, 리무버블 디스크, 메모리 카드, USB 메모리, CDROM 등과 같이, 단말기에서 판독 가능한 다양한 유형의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러한 기록 매체가 연결되거나 탑재되는 장치에서 상술한 디스플레이 방법이 실행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복수 개의 맞춤상품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맞춤상품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장치(210)는 매장 내에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서버(220)가 추가로 구비되어, 복수 개가 구비되는 디지털 디스플레이 장치(220)를 다음과 같이 제어한다.
우선 디지털 디스플레이 시스템(210)은 신장 측정부(211)에서 측정된 고객의 신장과, 체중 측정부(212)에서 측정된 고객의 체중, 및 얼굴 감지부(213)에서 감지된 고객의 얼굴 정보를 제1 통신부(214)를 통해 유무선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서버(220)로 전송한다.
그러면 서버(220)에 구비된 제2 통신부(221)는 제1 통신부(214)의 송신한 정보를 수신받아 판단부(222)로 제공한다.
이때, 제1 통신부(214)와 제2 통신부는 양방향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어댑터를 구비한다.
판단부(222)는 제공받은 정보로 고객의 체형을 판단하고, 판단된 고객의 체형 정보를 상품 추천부(223)로 제공하면, 상품 추천부(223)는 고객의 체형에 적합한 상품정보를 제2 통신부(221)로 전송한다.
따라서 추천부(223)에는 상품들의 정보가 기록된 저장매체(a)가 더 구비된다.
저장매체(a)란 자기저장장치, 광 저장장치, 반도체 저장장치 등 자료기록이 가능한 전자장치를 말한다.
제1 통신부(211)는 제2 통신부(21)로부터 전송된 상품정보를 표시부(215)로 제공하면, 표시부(215)는 제공받은 상품정보를 고객에게 디스플레이한다.
이 후의 동작은 도 7 내지 도 14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10: 신장 측정부 120: 체중 측정부
125: 얼굴 감지부 130: 판단부
140: 상품 추천부 150: 촬영부
151: 네트워크 수단 152: 프린터

Claims (9)

  1. 고객의 신장을 측정하기 위한 신장 측정부;
    상기 고객의 체중을 측정하기 위한 체중 측정부;
    상기 신장 측정부와 상기 체중 측정부에서 측정한 값과 기 저장된 표준체형 값을 비교함으로써 상기 고객의 체형과 성별을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판단된 고객의 체형에 적합한 것으로 기록된 추천상품을 적어도 하나 이상 디스플레이하는 상품추천부;
    상기 고객의 요청에 의해 상기 추천상품을 착용한 모습을 촬영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이미지 중에서 선택된 이미지를 확대하는 촬영부; 및
    상기 고객의 안면을 촬영하여 촬영된 영상과 기 저장된 남성과 여성의 얼굴의 특징 및 두발의 평균길이를 각각 비교하여 상기 고객의 성별을 판단하는 얼굴 감지부
    를 포함하되,
    상기 촬영부는
    촬영된 이미지를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또는 이메일로 공유하기 위한 네트워크 수단; 및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프린팅하기 위한 프린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상품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상품은
    매장의 진열위치를 명기한 코드번호를 동반하여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상품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추천부는
    상기 고객의 디스플레이된 이미지 터치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상품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장치.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 측정부는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상품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장치.
  7.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고객의 신장을 측정하는 단계;
    무게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고객의 체중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고객의 얼굴을 감지하여 상기 고객의 성별을 판별하는 단계;
    상기 고객의 신장정보와 상기 고객의 체중정보를 통해 상기 고객의 체형을 판별하는 단계;
    상기 고객의 체형과 상기 고객의 성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고객에게 추천상품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고객의 요청에 의해 상기 추천상품을 착용한 상기 고객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고객이 선택한 이미지를 확대하는 단계;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SNS 또는 이메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프린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상품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방법.
  8. 삭제
  9. 고객의 체형을 측정한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정보에 따른 상품정보를 수신받아 디스플레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측정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고객의 체형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고객의 체형에 적합한 것으로 기록된 추천상품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추천상품을 착용한 상기 고객을 촬영한 이미지를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SNS 또는 이메일로 전송하고, 상기 촬영한 이미지를 프린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상품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0120005804A 2012-01-18 2012-01-18 맞춤상품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를 이용하는 시스템 KR1013255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5804A KR101325506B1 (ko) 2012-01-18 2012-01-18 맞춤상품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를 이용하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5804A KR101325506B1 (ko) 2012-01-18 2012-01-18 맞춤상품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를 이용하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4886A KR20130084886A (ko) 2013-07-26
KR101325506B1 true KR101325506B1 (ko) 2013-11-07

Family

ID=48995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5804A KR101325506B1 (ko) 2012-01-18 2012-01-18 맞춤상품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를 이용하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55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0498A (ko) * 2014-12-10 2016-06-20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사용자 신체 데이터에 기반한 체형 분석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1027B1 (ko) * 2014-04-25 2022-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잠금 화면 표시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0566A (ko) * 2005-12-26 2006-05-10 주식회사 리얼디바이스 체질량지수 신장체중계
KR20100045594A (ko) * 2008-10-24 2010-05-0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개인 맞춤형 코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KR20100048733A (ko) * 2008-10-31 2010-05-11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사용자 고유 디자인을 지원하는 아바타 기반 의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KR20100135001A (ko) * 2009-06-16 2010-12-24 두원공과대학산학협력단 의류착용용 디지털 가상 거울 시스템 및 그 처리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0566A (ko) * 2005-12-26 2006-05-10 주식회사 리얼디바이스 체질량지수 신장체중계
KR20100045594A (ko) * 2008-10-24 2010-05-0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개인 맞춤형 코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KR20100048733A (ko) * 2008-10-31 2010-05-11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사용자 고유 디자인을 지원하는 아바타 기반 의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KR20100135001A (ko) * 2009-06-16 2010-12-24 두원공과대학산학협력단 의류착용용 디지털 가상 거울 시스템 및 그 처리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0498A (ko) * 2014-12-10 2016-06-20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사용자 신체 데이터에 기반한 체형 분석 방법 및 장치
KR101709648B1 (ko) 2014-12-10 2017-02-24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사용자 신체 데이터에 기반한 체형 분석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4886A (ko) 2013-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01912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virtual fitting rooms or hybrid stores
US8401914B1 (en) Method of operating retail store with mobile application for searching products available but not displayed in the store
US8401915B1 (en) Method of operating retail store with mobile application for searching products available for sale in the retail store
JP4991440B2 (ja) 商品販売装置、商品販売管理システム、商品販売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881939B1 (ko) 판매자 중심의 전자상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서비스 서버 및 사용자 단말기
WO2017085771A1 (ja) 精算支援システム、精算支援プログラム、及び精算支援方法
JP5109055B2 (ja) 電子広告端末を有するシステム
JP6463231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15088166A (ja) 情報提供方法
TW202147206A (zh) 店鋪裝置、店鋪系統、店鋪管理方法及程式
KR20150052890A (ko) 의류 제품 판매 지원 장치와 이와 통신 가능한 의류 제품 정보 관리 서버, 의류 연관 제품 추천 서버 및 의류 제품 정보 제공 방법
JP2018195017A (ja)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JP6565639B2 (ja) 情報表示プログラム、情報表示方法、及び情報表示装置
WO2013163103A1 (en) Method of operating retail store with mobile application for searching products available but not displayed in the store
JP2016009416A (ja) 販売促進システム、販売促進管理装置および販売促進管理プログラム
KR101325506B1 (ko) 맞춤상품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를 이용하는 시스템
JP2009140234A (ja) 自動販売機
US2020020255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KR20120057668A (ko) 오프라인 쇼핑몰에서 고객들 간의 커뮤니케이션 지원시스템 및 방법
KR101683830B1 (ko) 상점 위치 안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TWM575154U (zh) Product recommendation display system
JP6498065B2 (ja) 情報処理装置、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9079127A (ja) 顧客管理プログラム、容器、特徴抽出プログラム、顧客管理方法、特徴抽出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KR101927504B1 (ko) 신발 구매 결정 지원 시스템
JP2021189738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