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4929B1 - 강화유리 보호글라스 및 이의 생산방법 - Google Patents

강화유리 보호글라스 및 이의 생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4929B1
KR101324929B1 KR1020120103319A KR20120103319A KR101324929B1 KR 101324929 B1 KR101324929 B1 KR 101324929B1 KR 1020120103319 A KR1020120103319 A KR 1020120103319A KR 20120103319 A KR20120103319 A KR 20120103319A KR 101324929 B1 KR101324929 B1 KR 101324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tempered glass
glass
adhesive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3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종환
Original Assignee
정종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종환 filed Critical 정종환
Priority to KR1020120103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49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4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4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77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ntaining polyes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65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247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ontaining decorations or patterns for aesthetic reasons
    • B32B17/10256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ontaining decorations or patterns for aesthetic reasons created by printing techniqu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807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807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 B32B17/1099After-treatment of the layered product, e.g.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83/00Adhesive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83/04Polysiloxa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제품 화면 상부에 부착되는 강화유리 보호글라스와 이의 생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강화유리의 하부에 기재층을 부착시키되 기재층에 인쇄층을 형성시켜서 다수의 강화유리 보호글라스를 동시에 생산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생산효율을 극대화시킨 강화유리 보호글라스 및 이의 생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강화유리 보호글라스 및 이의 생산방법{Protecting glass having tempered glas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전자제품 화면 상부에 부착되는 강화유리 보호글라스와 이의 생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강화유리의 하부에 기재층을 부착시키되 기재층에 인쇄층을 형성시켜서 다수의 강화유리 보호글라스를 동시에 생산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생산효율을 극대화시킨 강화유리 보호글라스 및 이의 생산방법에 관한 것이다.
드폰과 같이 사람이 항상 소지하고 다니는 전자제품은 그 화면이 스크래치와 같은 손상을 받기 쉽다. 이에 화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화면의 상부에 보호필름을 부착시키는 경우가 많다.
보호필름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는데, 본 발명은 이 중 강화유리 보호글라스와 관련된다. 도 1은 강화유리 보호글라스가 부착된 핸드폰의 개략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같이, 이러한 강화유리 보호글라스(10)는 전자제품의 화면 상부에 부착되는데, 전자제품의 실제 화면에 해당하는 부분은 투명한 투명창(12)이 형성되고, 전자제품의 실제 화면의 가장자리에 해당하는 부분(11)은 불투명하게 생산되는데, 여기서 불투명한 부분은 강화유리에 불투명층을 인쇄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도 2는 종래의 강화유리 보호글라스의 생산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종래에는 강화유리(10)의 하부면에 필요한 인쇄층(12)을 형성하고, 인쇄층(12)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는 메꿈처리(13)를 하여 인쇄층과 동일한 높이로 만든 후에 그 하단부에 PET 기재층(20)을 부착시키는 방식으로 생산되었다. 여기서, PET 기재층(20)의 상부와 하부에는 점착제층(21,23)을 도포하고 보호지(22,24)를 부착시킨 상태에서, 상부 보호지(22)를 제거한 후에 강화유리(10)와 PET 기재층(20)을 접합시키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생산방법은 강화유리에 인쇄층과 메꿈처리한 후에 인쇄층과 메꿈처리부에 손상을 입히지 않고 절단하는 것이 불가능한 관계로, 강화유리를 화면의 크기로 절단한 다음, 화면크기로 절단된 개개의 강화유리의 하부면에 인쇄층을 형성시키고 메꿈처리를 하고, 보호지를 부착시키는 등의 절차가 매우 복잡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방법은 개개의 강화유리보호글라스 별로 인쇄층과 메꿈처리 단계 등을 거치게 되어서, 그 공정이 매우 복잡하고, 생산효율이 극히 낮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강화유리의 하부에 기재층을 부착시키되 기재층에 인쇄층을 형성시켜서 다수의 강화유리 보호글라스를 동시에 생산할 수 있도록 하여 생산효율을 극대화시킨 강화유리 보호글라스 및 이의 생산방법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핸드폰을 포함한 전자제품의 화면 상부에 부착되는 강화유리 보호글라스는, 강화유리; 상기 강화유리의 하부에 위치하는 상부점착제층; 상기 상부점착제층의 하부에 부착되는 기재층; 상기 기재층의 하부에 선택된 부분에만 인쇄방식으로 인쇄되는 인쇄층; 상기 기재층의 하부에서 상기 인쇄층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상기 인쇄층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메꿈층; 및 상기 인쇄층과 메꿈층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점착제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하부점착제층의 하부와 강화유리의 상부 중의 어느 한 곳이상에는 보호지가 부착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기재층은 PET재질로 만들어지고, 상부점착제층은 아크릴계 점착제로 만들어지고, 하부점착제층은 실리콘계점착제로 만들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핸드폰을 포함한 전자제품의 화면 상부에 부착되는 강화유리보호글라스의 생산방법은, 강화유리를 부착될 화면의 크기에 맞도록 생산하는 강화유리부 생산단계; 인쇄층이 형성된 기재부를 생산하는 기재부 생산단계; 및 상기 강화유리부 생산단계에서 생산된 강화유리부와 기재부 생산단계에서 생산된 기재부를 접합시키는 합지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기재부 생산단계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재층의 일면에 각각 인쇄층을 인쇄하는 인쇄단계; 상기 인쇄단계를 거친 기재층의 인쇄층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인쇄층과 동일한 높이로 메꿈층을 형성하는 메꿈단계; 상기 메꿈단계를 거친 메꿈층의 하부에는 점착제가 부착된 하부보호지를 부착하고, 상기 메꿈층이 형성되지 않은 기저층의 타면에는 점착제가 부착된 상부 보호지를 부착시키는 보호지부착단계; 및 상기 기재층을 화면의 크기에 맞도록 절단하여 기재부를 완성하는 절단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기재층은 PET재질로 만들어지고, 상부보호지에 부착된 점착제는 아크릴계 점착제로 만들어지고, 하부보호지에 부착된 점착제는 실리콘계점착제로 만들어진다.
본 발명에 의해, 다수의 기재층에 동시에 인쇄층과 메꿈층의 형성이 가능하고, 아울러 다수의 강화유리를 동시에 절단이 가능하게 되므로, 하나 하나의 강화유리에 인쇄층을 형성하는 종래의 생산방법에 비하여 상당히 향상된 속도로 제품생산이 가능하게 되어서 생산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다.
종래에는 강화유리의 하부에 인쇄층을 형성하고 절단시 품질에 문제가 있었으나, 본 발명에 의하면 품질의 저하가 없이 생산효율이 극대화 되고, 이로 인하여 인건비 등의 상당한 생산원가 절감효과가 있다.
도 1은 강화유리 보호글라스가 부착된 핸드폰의 개략도,
도 2는 종래의 강화유리 보호글라스의 생산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강화유리 보호글라스의 생산단계의 흐름도,
도 4는 기재부 생산단계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합지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강화유리보호글라스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종래 기술과 같이, 강화유리의 일면에 인쇄, 메꿈처리후에 절단시 품질에 문제가 생길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강화유리에 인쇄층을 형성시키지 않고, 대신 기재층을 만드는 커다란 기재층 필름의 하부에 다수의 인쇄층 및 메꿈처리를 한후에 기재층 필름을 개개의 화면의 크기에 맞도록 절단하여 한번의 공정으로도 다수의 인쇄층과 메꿈처리가 가능하게 하여 상당히 향상된 생산효율로 강화유리 보호글라스를 생산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강화유리 보호글라스의 생산단계의 흐름도이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강화유리 보호글라스의 생산단계는 기재부 생산단계(S1), 강화유리부 생산단계(S2) 및 합지단계(S3)를 포함한다. 여기서 기재부 생산단계(S1)와 강화유리부 생산단계(S2)를 동시에 진행할 수도 있고, 둘 중의 어느 하나를 먼저 진행할 수도 있다.
이하 각 단계별로 설명한다.
강화유리부 생산단계(S2)는 강화유리를 생산하고자 하는 강화유리 보호글라스의 크기에 맞도록 절단하는 단계이다. 종래에는 절단된 강화유리에 인쇄등의 단계를 진행하게 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단순히 강화유리를 생산하고자 하는 강화유리 보호글라스의 크기에 맞도록 절단만 한다. 따라서 대면적의 강화유리를 동시에 다수의 원하는 크기의 강화유리로 절단만 하면 되므로 강화유리부 생산단계는 종래 방식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신속하고 대량생산이 가능하게 진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강화유리는 일반적으로 터치스크린의 보호용으로 사용되는 강화유리를 사용하면 되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강화유리의 일면에는 보호지가 부착될 수 있다. 보호지는 기재층이 부착되는 반대면에 부착되어서, 제품의 생산공정 및 제품의 이송 및 판매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강화유리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따라서 강화유리에 부착되는 보호지는 최종적으로 소비자에 의해 제거된다.
기재부 생산단계(S1)는 인쇄단계(S1-1), 메꿈단계(S1-2), 보호지부착단계(S1-3) 및 절단단계(S1-4)를 포함한다. 여기서 절단단계(S1-4) 이전에는 기재부를 구성하는 기재층 필름이 절단되지 않은 대면적의 상태로 공정이 진행되고, 절단단계(S1-4)를 거치면서 원하는 크기로 절단된다. 도 4는 기재부 생산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기재부(200)는 기재층(210)의 상부와 하부에 보호지가 부착된 형태이다.
인쇄단계(S1-1)는 기재층(110)을 형성할 대면적의 기재층 필름 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쇄층(120)을 인쇄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기재층(110)은 강화유리(200)의 일면에 부착되는 부분으로서, 기재층(110)의 재질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투명하면서도 인쇄가 가능한 재질이어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재질을 사용한다.
기재층 필름은 기재층(110)의 크기로 절단되기 이전의 대면적의 필름을 말하며, 이는 통상적으로 롤의 형태로 공급되어진다. 이하에서는 개개의 기재층에 대한 생산과정에 대한 설명은 기재층으로 명시하여 설명하고, 기재층필름 자체에 대한 생산과정에 대한 설명은 기재층필름으로 명시하여 설명한다.
인쇄층(120)은 기재층(110)의 일면에 형성하는데, 인쇄층(120)을 형성하는 인쇄방법은 통상적으로 인쇄하는 방법을 사용하면 된다. 예를들어, 실크인쇄, 디지털프린팅 등의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인쇄층(120) 형성에 사용되는 재료도 종래의 강화유리의 인쇄층(120)을 형성시키는데 사용되는 재료를 그대로 사용되는 것을 사용하면 되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인쇄층(120)이 형성되는 부분은 종래의 강화유리(200)의 일면에 인쇄되던 부분에 인쇄될 수도 있으나, 필요에 의해 자유롭게 선정할 수 있으며, 일예로서 핸드폰에서 터치스크린의 가장자리 테두리 부분을 들 수 있다.
메꿈단계(S1-2)는 도 4(c)와 같이 인쇄단계(S1-1)를 거친 기재층(110)에서 인쇄층(120)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인쇄층(120)과 동일한 높이로 메꿈층(13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기재층(110)에서 인쇄층(120)이 형성된 부분과 인쇄층(120)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은 인쇄층(120)의 높이만큼 단차가 존재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기재층(110)의 굴곡이 생기게 된다. 기재층(110)에 굴곡이 생기면, 터치스크린에서 나오는 빛이 굴절이 될 수도 있고, 또한 그 굴곡으로 인하여 강화유리 보호글라스와 터치스크린이 밀착되지 않은 부분이 생기게 되고 이로 인하여 터치스크린에 부착된 강화유리 보호글라스가 쉽게 박리될 수도 있기 때문에 메꿈층(130)은 반드시 존재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서의 메꿈층(130)은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일예로서 UV경화액을 인쇄층(120)이외에 부분에 도포시킨 후에, UV를 이용하여 경화시키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UV경화액은 통상적으로 터치스크린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을 사용하면 되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보호지부착단계(S1-3)는 도 4(d)와 같이 메꿈단계(S1-2)를 거친 기재층 필름에서 인쇄층(120)과 메꿈층(130)의 하부에는 하부보호지(150)를 부착시키고, 기재층 필름의 타면에는 상부보호지(140)를 부착하는 단계이다.
하부보호지(150)는 보호지(152)와 그 일면에 형성된 하부점착제층(151)이 부착되어 있어서, 이는 인쇄층(120)과 메꿈층(130)의 하부에 부착된다. 추후 소비자가 터치스크린에 본 발명에 의한 강화유리 보호글라스를 부착시킬 경우에 이 보호지(152)를 제거하고 터치스크린에 부착을 하게 된다.
하부점착제층(151)의 종류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소비자가 추후 터치스크린에 부착시 재부착이 가능하여야 하고, 또한 일부분만 접촉을 시켜도 자가 접착 확산에 의해 쉽게 접착이 될 수 있는 재질의 실리콘계 점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보호지(140)는 보호지(142)와 그 일면에 형성된 상부점착제층(141)이 부착되어 있어서, 이는 PET필름의 인쇄층(120)과 메꿈층(130)이 형성되지 않은 면에 부착된다. 다만, 이 보호지(142)는 합지과정에서 제거되며, 합지과정까지 PET필름의 일면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부점착제층(141)은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일단 부착이 되면 분리가 되지 않으면서도 투명에 가깝게 빛을 투과여야 하므로 광학용 투명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학용 투명 접착제는 빛을 97%이상 투과해 마치 유리와 같은 기능을 하면서도 기존의 양면테이프에 비하여 화면의 선명도를 높여주는 동시에 접착성도 상당히 양호하다. 광학용 투명 접착제의 구체적인 예시로서는 아크릴계 점착제를 들 수 있다.
나아가 상부점착제층(141)과 하부점착제층(151)은 이를 기재층(110), 메꿈층(130) 및 인쇄층(120)의 일면에 도포한 후에 여기에 보호지를 부착시키는 방식으로 상부보호지(140)와 하부보호지(150)를 형성시킬 수도 있다.
절단단계(S1-4)는 기재층필름을 핸드폰 화면의 크기에 맞도록 절단하여 다수의 기재층(110)을 완성하는 단계이다.
실질적으로 절단단계(S1-4)의 전까지는 기재층필름에 다수의 기재층(110)이 존재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인쇄 및 메꿈처리가 동시에 일어나게 되므로 그 생산공정이 종래의 방법에 비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하게 된다.
합지단계(S3)에서는 기재부 생산단계(S1)에서 생산된 기재층(110)의 메꿈층(130)의 타면에 부착된 보호지(142)를 제거하고, 여기에 강화유리부 생산단계(S2)에서 화면의 크기로 절단된 강화유리(200)를 부착시켜서 본 발명에 의한 화유리보호글라스를 완성하게 된다. 도 5는 합지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이러한 단계를 거쳐서 완성된 본 발명에 의한 강화유리보호글라스의 단면도이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강화유리 보호글라스는 강화유리(210), 상부점착제층(141), 기재층(110), 인쇄층(120), 메꿈층(130), 하부점착제층(151)을 포함한다.
강화유리(210)는 통상적으로 터치스크린에 사용되는 것이다.
상부점착제층(141)은 강화유리의 하부에 위치하여 이는 강화유리(210)와 기재층(110)을 접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부점착제층(141)은 다양한 점착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아크릴계 점착제인 광학용 투명점착제를 사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층(110)은 인쇄층(120)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층으로서, PET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쇄층(120)은 기재층(110)의 하부에 위치하며, 이는 실크인쇄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종래의 강화유리에 인쇄되던 부분이 기재층(110)의 하부에 형성된 것이다.
메꿈층(130)은 인쇄층(120)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메꾸어 지는 것으로서, 메꿈층(130)의 형성은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UV경화액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점착제층(151)은 메꿈층(130)과 인쇄층(120)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에 의한 강화유리 보호글라스를 터치스크린에 부착시키기 위한 층이다. 하부점착제층(151)은 다양한 점착제가 사용될 수 있으나, 실리콘계 점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하부점착제층(151)의 하부면과 강화유리(210)의 상부면에는 본 발명에 의한 강화유리 보호글라스의 양면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지가 부착될 수 있으며, 이들 보호지는 소비자에 의해 최종적으로 제거된다.
100;기재부
110:기재층
120:인쇄층
130:메꿈층
140:상부보호지
150:하부보호지
200:강화유리부
210:강화유리

Claims (5)

  1. 핸드폰을 포함한 전자제품의 화면 상부에 부착되는 강화유리 보호글라스에 있어서,
    강화유리;
    상기 강화유리의 하부에 위치하는 상부점착제층;
    상기 상부점착제층의 하부에 부착되는 기재층;
    상기 기재층의 하부에 선택된 부분에만 인쇄방식으로 인쇄되는 인쇄층;
    상기 기재층의 하부에서 상기 인쇄층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상기 인쇄층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메꿈층;
    상기 인쇄층과 메꿈층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점착제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보호글라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점착제층의 하부와 상기 강화유리의 상부 중의 어느 한 곳이상에는 보호지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보호글라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은 PET재질로 만들어지고, 상부점착제층은 아크릴계 점착제로 만들어지고, 하부점착제층은 실리콘계점착제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보호글라스.
  4. 핸드폰을 포함한 전자제품의 화면 상부에 부착되는 강화유리보호글라스의 생산방법에 있어서,
    강화유리를 부착될 화면의 크기에 맞도록 생산하는 강화유리부 생산단계;
    인쇄층이 형성된 기재부를 생산하는 기재부 생산단계; 및
    상기 강화유리부 생산단계에서 생산된 강화유리부와 기재부 생산단계에서 생산된 기재부를 접합시키는 합지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기재부 생산단계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재층의 일면에 각각 인쇄층을 인쇄하는 인쇄단계;
    상기 인쇄단계를 거친 기재층의 인쇄층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인쇄층과 동일한 높이로 메꿈층을 형성하는 메꿈단계;
    상기 메꿈단계를 거친 메꿈층의 하부에는 점착제가 부착된 하부보호지를 부착하고, 상기 메꿈층이 형성되지 않은 기저층의 타면에는 점착제가 부착된 상부 보호지를 부착시키는 보호지부착단계;
    상기 기재층을 화면의 크기에 맞도록 절단하여 기재부를 완성하는 절단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보호글라스 생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은 PET재질로 만들어지고, 상부보호지에 부착된 점착제는 아크릴계 점착제로 만들어지고, 하부보호지에 부착된 점착제는 실리콘계점착제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보호글라스 생산방법.
KR1020120103319A 2012-09-18 2012-09-18 강화유리 보호글라스 및 이의 생산방법 KR1013249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3319A KR101324929B1 (ko) 2012-09-18 2012-09-18 강화유리 보호글라스 및 이의 생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3319A KR101324929B1 (ko) 2012-09-18 2012-09-18 강화유리 보호글라스 및 이의 생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4929B1 true KR101324929B1 (ko) 2013-11-01

Family

ID=49856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3319A KR101324929B1 (ko) 2012-09-18 2012-09-18 강화유리 보호글라스 및 이의 생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492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7418A (ko) * 2015-12-31 2016-05-02 (주)세경하이테크 터치 윈도우용 데코필름의 제조 방법
KR101808177B1 (ko) * 2016-07-19 2017-12-12 (주)세경하이테크 터치 윈도우용 데코 필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04719A (en) 1989-08-30 1992-04-14 Revlon, Inc. Heat activated, quick release decals and associated methods
JP2000108294A (ja) 1998-10-01 2000-04-18 Dainippon Printing Co Ltd 無機質系化粧板
JP2008254406A (ja) 2007-04-12 2008-10-23 Shinko Buriki Insatsu Kojo:Kk 三次元装飾物および三次元装飾物の製造方法
KR20090112445A (ko) * 2008-04-24 2009-10-28 김용욱 화면 보호 윈도우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04719A (en) 1989-08-30 1992-04-14 Revlon, Inc. Heat activated, quick release decals and associated methods
JP2000108294A (ja) 1998-10-01 2000-04-18 Dainippon Printing Co Ltd 無機質系化粧板
JP2008254406A (ja) 2007-04-12 2008-10-23 Shinko Buriki Insatsu Kojo:Kk 三次元装飾物および三次元装飾物の製造方法
KR20090112445A (ko) * 2008-04-24 2009-10-28 김용욱 화면 보호 윈도우의 제조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7418A (ko) * 2015-12-31 2016-05-02 (주)세경하이테크 터치 윈도우용 데코필름의 제조 방법
KR101668627B1 (ko) 2015-12-31 2016-10-24 (주)세경하이테크 터치 윈도우용 데코필름의 제조 방법
KR101808177B1 (ko) * 2016-07-19 2017-12-12 (주)세경하이테크 터치 윈도우용 데코 필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86777B2 (ja) タッチ・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製造方法
CN109215511A (zh) 一种柔性显示面板的制备方法、柔性显示面板及显示装置
US10274768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0739628B2 (en) Strengthened glass panel for protecting the surface of a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CN105278158A (zh) 液晶显示器及其制造方法
KR101726916B1 (ko) 인쇄층이 형성된 터치 스크린 패널용 커버 윈도우 및 터치 스크린 패널용 커버 윈도우에 인쇄층을 형성하는 방법
CN101603657B (zh) 背光模块及包含其的光电装置
WO2014123165A1 (ja) 透明面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KR20120139407A (ko) 터치스크린용 데코레이션 필름의 제조방법 및 그 터치스크린용 데코레이션 필름
CN107942562A (zh) 显示装置及显示装置的制作方法
US8796056B2 (en) Method for fabricating a display panel
KR20190013174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2929026A (zh) 一种触控显示装置
KR101324929B1 (ko) 강화유리 보호글라스 및 이의 생산방법
KR101164632B1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용 보호시트
EP2653910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finished blank for variable-focus lens
JP2015068909A (ja) 電子機器用カバーガラスの製造方法
CN204883656U (zh) 一种触摸屏
JP2010090344A (ja) 両面粘着テープ、表示装置、貼り合わせ基板の製造方法及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WO2009020043A1 (ja) 表示装置組み立て用粘着テープ及びこれを用いた表示モジュールユニット
KR102176951B1 (ko) 점착성 보호필름을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부
KR20130096885A (ko) 강화유리를 이용한 휴대용단말기의 보호커버 및 이의 제조방법
JP3212491U (ja) パネルカバーシート
JP6320481B2 (ja)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と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TW201205365A (en) Explosion prevention film, touch panel with explosion prevention function and the manufacture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