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8177B1 - 터치 윈도우용 데코 필름 - Google Patents

터치 윈도우용 데코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8177B1
KR101808177B1 KR1020160091473A KR20160091473A KR101808177B1 KR 101808177 B1 KR101808177 B1 KR 101808177B1 KR 1020160091473 A KR1020160091473 A KR 1020160091473A KR 20160091473 A KR20160091473 A KR 20160091473A KR 101808177 B1 KR101808177 B1 KR 1018081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attern
printing
adhesive
bas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1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민
Original Assignee
(주)세경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경하이테크 filed Critical (주)세경하이테크
Priority to KR1020160091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81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8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81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호 테이프층과, 상기 보호 테이프층 하부면에 형성되는 점착층과, 상기 점착층 하부면에 형성되는 베이스 필름층과, 상기 베이스 필름층 하부면에 형성되고, 색상 및 형상을 표현하는 인쇄층과, 상기 인쇄층 하부면에 형성되는 코팅층과, 상기 코팅층 하부면에 형성되고, 소정의 패턴으로 디자인된 UV 패턴층과, 상기 UV 패턴층 하부에 상기 패턴에 상응하도록 형성되고, 소정의 투과율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증착층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코팅층은 상기 인쇄층과 상기 UV 패턴층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인쇄층과 상기 UV 패턴층의 상호 화학적 또는 물리적 반응을 물리적으로 방지하여, 베이스 필름층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열전사 방식으로 인쇄되는 인쇄층과 점착층 또는 UV 패턴층 사이의 반응을 억제하도록, 코팅층의 점착층과 인쇄층 사이에 게재된 구성 또는 코팅층의 인쇄층과 UV 패턴층 사이에 게재된 구성으로 적층구조를 형성하여서, 인쇄층 하부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반투명층들을 투과하여 색편차없는 파스텔톤의 색상 및 연한 색상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터치 윈도우용 데코 필름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터치 윈도우용 데코 필름{Decoration Film for Touch Window}
본 발명은 터치 윈도우용 데코 필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터치 스크린 적용 스마트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 화면에 버튼, 데코 또는 회사 로고를 다양한 색상 및 형상으로 표현하기 위해서 부착되는 터치 윈도우용 데코레이션 필름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을 적용한 스마트폰, 태블릿 PC 및 차량용 내비게이션이 대중화되었고, 또한 터치스크린용 액정디스플레이 모듈을 보호하기 위한 강화유리에 회사 로고 또는 입력 버튼이 인쇄된 데코레이션 필름(데코 필름)이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다.
도 1은 전술한 종래의 터치 윈도우용 데코 필름의 구조를 예시한 것인데, 참조하면, 보호 테이프층(11) 하부에 점착층(12)이, 점착층(12) 하부에 베이스 필름층(13)이, 베이스 필름층(13) 하부에 UV 패턴층(14)이, UV 패턴층(14) 하부에 증착층(15)이, 증착층(15) 하부에 실크 인쇄층(16)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로 형성되고, 증착층(15)을 통해서 다양한 색상을 구현하게 된다.
하지만, 증착층(15)을 통해서 구현할 수 있는 색상이 제한되는데, 증착층(15)은 짙은 색상(예컨대, 금색, 은색, 또는 청색)만을 표현할 수 있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소비자의 다양한 취향 및 디자인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연한 색상(예컨대, 노랑 또는 핫핑크) 또는 파스텔톤의 색상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착층(21) 하부면에 연한 색상 또는 파스텔톤의 색상으로 인쇄된 인쇄층(22)과 점착층(21) 상부면에 형성된 테이프층(23)으로 적층된 별도의 필름을 점착층(12) 상부에 추가로 구성하여야 하는데, 이는 필름의 전체적인 두께가 불필요하게 두꺼워지게 되며, 데코 필름 완성품까지의 전체 제조 공정 구조(SCM 구조)가 복잡해지고, 그에 상응하여 불량 발생률이 증가하여 수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연한 색상 또는 파스텔톤의 색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면서도, 필름의 전체적인 두께를 얇게 형성할 수 있으며, SCM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불량 발생률을 최소화하여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터치 윈도우용 데코 필름을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제1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은, 보호 테이프층과, 상기 보호 테이프층 하부면에 형성되는 점착층과, 상기 점착층 하부면에 형성되는 베이스 필름층과, 상기 베이스 필름층 하부면에 형성되고, 색상 및 형상을 표현하는 인쇄층과, 상기 인쇄층 하부면에 형성되는 코팅층과, 상기 코팅층 하부면에 형성되고, 소정의 패턴으로 디자인된 UV 패턴층과, 상기 UV 패턴층 하부에 상기 패턴에 상응하도록 형성되고, 소정의 투과율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증착층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코팅층은 상기 인쇄층과 상기 UV 패턴층 사이에 개재되어서, 상기 인쇄층과 상기 UV 패턴층의 상호 화학적 또는 물리적 반응을 물리적으로 방지하는, 터치 윈도우용 데코 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제2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은, 보호 테이프층과, 상기 보호 테이프층 하부면에 형성되는 점착층과, 상기 점착층 하부면에 형성되는 코팅층과, 상기 코팅층 하부면에 형성되고, 색상 및 형상을 표현하는 인쇄층과, 상기 인쇄층 하부면에 형성되는 베이스 필름층과, 상기 베이스 필름층 하부면에 형성되고, 소정의 패턴으로 디자인된 UV 패턴층과, 상기 UV 패턴층 하부에 상기 패턴에 상응하도록 형성되고, 소정의 투과율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증착층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코팅층은 상기 점착층과 상기 인쇄층 사이에 개재되어서, 상기 점착층과 상기 인쇄층의 상호 화학적 또는 물리적 반응을 물리적으로 방지하는, 터치 윈도우용 데코 필름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인쇄층은, 상기 UV 패턴층, 상기 증착층, 및 상기 실크 인쇄층을 순차적으로 투과하는 파스텔 톤의 색상을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인쇄층은 열전사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증착층 하부면에 형성되는 실크 인쇄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베이스 필름층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열전사 방식으로 인쇄되는 인쇄층과, 점착층 또는 UV 패턴층 사이의 반응을 억제하도록, 코팅층이 점착층과 인쇄층 사이에 게재된 구성 또는 코팅층이 인쇄층과 UV 패턴층 사이에 게재된 구성으로 적층 구조를 형성하여서, 인쇄층 하부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반투명층들을 투과하여 인쇄층으로부터 색편차없는 파스텔톤의 색상 및 연한 색상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별도의 추가적인 필름 구성없이, 연한 색상 또는 파스텔톤의 색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면서도, 필름의 전체적인 두께를 얇게 형성할 수 있으며, SCM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불량 발생률을 최소화하여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터치 윈도우용 데코 필름의 적층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2의 (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터치 윈도우용 데코 필름의 적층 구조를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2의 (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터치 윈도우용 데코 필름의 적층 구조를 예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전술한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2의 (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터치 윈도우용 데코 필름을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2의 (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터치 윈도우용 데코 필름은, 보호 테이프층(111)과, 점착층(112)과, 베이스 필름층(113)과, 인쇄층(114)과, 코팅층(115)과, UV 패턴층(116)과, 증착층(117)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구성된다.
보호 테이프층(111)은 후술하는 점착층(112)의 상부에 형성되어서 점착층(112)을 외부 이물질로부터 보호하여 점착층(112)의 점착력을 유지하는데, 강화 유리층(미도시)과 점착층(112)의 상호 부착 결합시 제거될 수 있다. 한편, 강화 유리층은 내충격성, 내열성 및 안전성이 양호한 강화 유리로 이루어져 터치 스크린용 액정디스플레이모듈(미도시)을 보호한다.
점착층(112)은 보호 테이프층(111) 하부면에 형성되는데, 점착층(112)은 액상의 접착 수지(resin), 예컨대 자외선(UV) 경화제를 도포한 후 UV 경화시켜서 형성될 수 있고, OCA(Optically Clear Adhesive;광학성 투명 접착테이프)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접착 수지는 아크릴레이트 수지, UV 경화성 수지, 실리콘 수지 또는 우레탄 수지일 수 있으나, 광투과율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강화 유리층과 안정적으로 부착 결합될 수 있다면 특별히 제한적이지 않다.
베이스 필름층(113)은 점착층(112) 하부면에 형성되는데, 베이스 필름층(113)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필름 또는 폴리 카보네이트 필름으로 형성되어서 강화 유리층의 파손시 유리 파편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인쇄층(114)은 베이스 필름층(113)의 하부면에 형성되고, 색상 및 형상을 표현한다. 예컨대, 인쇄층(114)은 잉크 열전사 방식으로 그 두께, 색상 및 층의 조합에 의하여 투과성을 조절하여 다양한 색상 및 형상을 구현하는데, 인쇄층(114)의 형성으로 후술하는 증착층(117)을 다층으로 형성할 필요가 없어서 전체적인 구성 및 공정이 간소화될 수도 있다. 여기서, 잉크 열전사 방식으로 인쇄층(114)을 형성하면 그 두께를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할 수 있고, 전체적인 필름의 두께도 얇게 형성할 수 있다.
코팅층(115)은 인쇄층(114) 하부면에 형성되는데, 전술한 인쇄층(114)과 후술한 UV 패턴층(116) 사이에 개재되어서, 인쇄층(114)과 UV 패턴층(116)의 상호 화학적 또는 물리적 반응을 물리적으로 차단하여 방지한다. 즉, 인쇄층(114)과 UV 패턴층(116)의 반응을 차단함으로써 색편차 없는 인쇄층(114)의 연한 색상 또는 파스텔톤의 색상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코팅층(115)으로 인해서, 인쇄층(114)으로부터 투명 또는 반투명층, 예컨대 UV 패턴층(116), 증착층(117), 및 실크 인쇄층(118)을 순차적으로 투과하여 색편차 없는 파스텔톤의 색상 또는 연한 색상(노랑,핫핑크)을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UV 패턴층(116)은 코팅층(115)의 하부면에 형성되고, 소정의 패턴으로 디자인된다.
증착층(117)은 UV 패턴층(116) 하부에 UV 패턴층(116)의 패턴에 상응하도록 형성되고, 소정의 투과율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증착층(117)은 UV 패턴층(116)에 형성된 패턴을 유지하고, 투과율 또는 반사율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증착층(117)은 전기전도성을 가진 투명 도전층으로서 인듐, 크롬, 주석 또는 ITO(Indium Tin Oxide)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증착층(117) 하부면에 실크 인쇄층(118) 및 투명층(119)을 추가적으로 구성할 수도 있는데, 실크 인쇄층(118)에는 로고, 제품 모델명, 버튼 또는 특정 무늬가 인쇄될 수도 있다.
(a)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코팅층이 인쇄층과 UV 패턴층 사이에 게재된 적층 구성으로 인해서, 인쇄층 하부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투명층 또는 반투명층들을 투과하여 색편차없는 색상(특히, 핑크)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도 2의 (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터치 윈도우용 데코 필름의 적층 구조를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2의 (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터치 윈도우용 데코 필름은, 보호 테이프층(111)과, 점착층(112)과, 코팅층(115)과, 인쇄층(114)과, 베이스 필름층(113)과, UV 패턴층(116)과, 증착층(117)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구성된다.
보호 테이프층(111)은 후술하는 점착층(112)의 상부에 형성되어서 점착층(112)을 외부 이물질로부터 보호하여 점착층(112)의 점착력을 유지하는데, 강화 유리층(미도시)과 점착층(112)의 상호 부착 결합시 제거될 수 있다. 한편, 강화 유리층은 내충격성, 내열성 및 안전성이 양호한 강화 유리로 이루어져 터치 스크린용 액정디스플레이모듈(미도시)을 보호한다.
점착층(112)은 보호 테이프층(111) 하부면에 형성되는데, 점착층(112)은 액상의 접착 수지, 예컨대 자외선 경화제를 도포한 후 UV 경화시켜서 형성될 수 있고, OCA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접착 수지는 아크릴레이트 수지, UV 경화성 수지, 실리콘 수지 또는 우레탄 수지일 수 있으나, 광투과율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강화 유리층과 안정적으로 부착 결합될 수 있다면 특별히 제한적이지 않다.
코팅층(115)은 점착층(112) 하부면에 형성되는데, 전술한 점착층(112)과 후술한 인쇄층(114) 사이에 개재되어서, 점착층(112)과 인쇄층(114)의 상호 화학적 또는 물리적 반응을 물리적으로 차단하여 방지한다. 즉, 코팅층(115)은 점착층(112)과 인쇄층(114)의 반응을 차단함으로써 색편차 없는 인쇄층(114)의 연한 색상 또는 파스텔톤의 색상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코팅층(115)으로 인해서, 인쇄층(114)으로부터 투명층 또는 반투명층, 예컨대 베이스 필름층(113), UV 패턴층(116), 증착층(117), 및 실크 인쇄층(118)을 순차적으로 투과하여 색편차 없는 파스텔톤의 색상 또는 연한 색상(노랑,핫핑크)을 표현할 수 있다.
인쇄층(114)은 코팅층(115)의 하부면(후술한 베이스 필름층(113)의 상부면)에 형성되고, 색상 및 형상을 표현한다. 예컨대, 인쇄층(114)은 잉크 열전사 방식으로 그 두께, 색상 및 층의 조합에 의하여 투과성을 조절하여 다양한 색상 및 형상을 구현하는데, 인쇄층(114)의 형성으로 후술하는 증착층(117)을 다층으로 형성할 필요가 없어서 전체적인 구성 및 공정이 간소화될 수 있다. 여기서, 잉크 열전사 방식으로 인쇄층(114)을 형성하면 그 두께를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 필름층(113)은 인쇄층(114)의 하부면에 형성되는데, 베이스 필름층(113)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필름 또는 폴리 카보네이트 필름으로 형성되어서 강화 유리층의 파손시 유리 파편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코팅층(115) 하부에 인쇄층(114)이, 인쇄층(114) 하부에 베이스 필름층(113)이 적층되어 있는 구조로 기재하였으나, 이는 제조 공정 순서에 의한 것이 아닌 필름의 단순 적층 구조를 순차적으로 상술한 것으로, 베이스 필름층(113) 상부에 인쇄층(114)이 열전사 방식으로 형성되고, 점착층(112)과 인쇄층(114)의 반응을 억제하기 위해 그 사이에 코팅층(115)이 게재되는 구조로 이해되어야 한다.
UV 패턴층(116)은 베이스 필름층(113)의 하부면에 형성되고, 소정의 패턴으로 디자인된다.
증착층(117)은 UV 패턴층(116) 하부에 UV 패턴층(116)의 패턴에 상응하도록 형성되고, 소정의 투과율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증착층(117)은 UV 패턴층(116)에 형성된 패턴을 유지하고, 투과율 또는 반사율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증착층(117)은 전기전도성을 가진 투명 도전층으로서 인듐, 크롬, 주석 또는 ITO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증착층(117) 하부면에 형성되는 실크 인쇄층(118) 및 투명층(119)을 추가적으로 구성할 수도 있는데, 실크 인쇄층(118)에는 로고, 제품 모델명, 버튼 또는 특정 무늬가 인쇄될 수도 있다.
(b)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코팅층이 점착층과 인쇄층 사이에 게재된 구성으로 인해서, 인쇄층 하부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투명층 또는 반투명층들을 투과하여 색편차없는 색상(특히, 핑크)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도 2의 (a) 및 (b)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 필름층 상부 또는 하부에 연한 색상 및 파스텔톤의 색상을 표현하는 인쇄층을 형성하고 각각 점착층 및 UV 패턴층과의 반응을 방지하는 코팅층을 게재하여서, 별도의 필름 구성 없이도 색편차없는 연한 색상 및 파스텔톤의 색상, 특히 핑크 색상을 인쇄층 하부에 적층된 투명층 또는 반투명층을 투과하여 구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11 : 보호 테이프층 112 : 점착층
113 : 베이스 필름층 114 : 인쇄층
115 : 코팅층 116 : UV 패턴층
117 : 증착층 118 : 실크 인쇄층
119 : 투명층

Claims (5)

  1. 보호 테이프층과,
    상기 보호 테이프층 하부면에 형성되는 점착층과,
    상기 점착층 하부면에 형성되는 베이스 필름층과,
    상기 베이스 필름층 하부면에 형성되고, 파스텔톤 색상 및 형상을 표현하는 인쇄층과,
    상기 인쇄층 하부면에 형성되는 코팅층과,
    상기 코팅층 하부면에 형성되고, 소정의 패턴으로 디자인된 UV 패턴층과,
    상기 UV 패턴층 하부에 상기 패턴에 상응하도록 형성되고, 소정의 투과율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증착층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코팅층은 상기 인쇄층과 상기 UV 패턴층 사이에 상기 인쇄층 및 상기 UV 패턴층 보다 얇은 두께로 코팅되어 개재됨에 따라 상기 인쇄층과 상기 UV 패턴층의 상호 화학적 또는 물리적 반응을 물리적으로 방지함으로써, 상기 인쇄층은 상기 UV 패턴층 및 증착층을 순차적으로 투과하여 색편차 없이 상기 인쇄층에 의한 파스텔 톤의 색상을 나타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윈도우용 데코 필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은 열전사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윈도우용 데코 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착층 하부면에 형성되는 실크 인쇄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윈도우용 데코 필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은,
    상기 UV 패턴층, 상기 증착층, 및 상기 실크 인쇄층을 순차적으로 투과하여 파스텔 톤의 색상을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윈도우용 데코 필름.
KR1020160091473A 2016-07-19 2016-07-19 터치 윈도우용 데코 필름 KR1018081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1473A KR101808177B1 (ko) 2016-07-19 2016-07-19 터치 윈도우용 데코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1473A KR101808177B1 (ko) 2016-07-19 2016-07-19 터치 윈도우용 데코 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8177B1 true KR101808177B1 (ko) 2017-12-12

Family

ID=60943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1473A KR101808177B1 (ko) 2016-07-19 2016-07-19 터치 윈도우용 데코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8177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2231A (ko) * 2018-12-12 2020-06-22 (주)세경하이테크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72230A (ko) * 2018-12-12 2020-06-22 (주)세경하이테크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200119632A (ko) * 2019-04-10 2020-10-20 (주)세경하이테크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의 잉크젯 그라데이션 장치 및 그 방법
KR20210023176A (ko) * 2019-08-22 2021-03-04 주식회사 영우 곡면부착 성능이 개선된 테이프
KR20210031073A (ko) * 2019-09-11 2021-03-19 (주)세경하이테크 데코레이션 기능을 갖는 광학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KR20220083112A (ko) * 2020-12-11 2022-06-20 (주)세경하이테크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
KR20220083108A (ko) * 2020-12-11 2022-06-20 (주)세경하이테크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4929B1 (ko) * 2012-09-18 2013-11-01 정종환 강화유리 보호글라스 및 이의 생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4929B1 (ko) * 2012-09-18 2013-11-01 정종환 강화유리 보호글라스 및 이의 생산방법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2231A (ko) * 2018-12-12 2020-06-22 (주)세경하이테크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72230A (ko) * 2018-12-12 2020-06-22 (주)세경하이테크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2163362B1 (ko) * 2018-12-12 2020-10-08 (주)세경하이테크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2163360B1 (ko) * 2018-12-12 2020-10-08 (주)세경하이테크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200119632A (ko) * 2019-04-10 2020-10-20 (주)세경하이테크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의 잉크젯 그라데이션 장치 및 그 방법
KR102218924B1 (ko) * 2019-04-10 2021-02-23 (주)세경하이테크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의 잉크젯 그라데이션 장치 및 그 방법
KR20210023176A (ko) * 2019-08-22 2021-03-04 주식회사 영우 곡면부착 성능이 개선된 테이프
KR102314523B1 (ko) 2019-08-22 2021-10-21 주식회사 영우 곡면부착 성능이 개선된 테이프
KR20210031073A (ko) * 2019-09-11 2021-03-19 (주)세경하이테크 데코레이션 기능을 갖는 광학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KR102309720B1 (ko) * 2019-09-11 2021-10-07 (주)세경하이테크 데코레이션 기능을 갖는 광학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KR20220083112A (ko) * 2020-12-11 2022-06-20 (주)세경하이테크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
KR20220083108A (ko) * 2020-12-11 2022-06-20 (주)세경하이테크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
KR102521211B1 (ko) * 2020-12-11 2023-04-25 (주)세경하이테크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
KR102521207B1 (ko) 2020-12-11 2023-04-25 (주)세경하이테크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8177B1 (ko) 터치 윈도우용 데코 필름
KR101574923B1 (ko) 탈부착이 가능한 윈도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탈부착 방법
CN106064545B (zh) 壳体、制造壳体的方法以及包括壳体的电子设备
TWI460461B (zh) Display device with decorative film and protective panels
KR101675225B1 (ko) 탈부착층을 가진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5906572B2 (ja) 表示用前面板の製造方法、およ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US9665225B2 (en) Touch display device
CN203472238U (zh) 一种外装饰防爆膜
CN110174962A (zh) 附带遮光层的透明板
KR101668627B1 (ko) 터치 윈도우용 데코필름의 제조 방법
KR101692341B1 (ko) 터치 윈도우용 데코필름
KR101512185B1 (ko) 디스플레이 기능을 가지는 패널
KR20140065155A (ko) 터치 스크린 패널 보호용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TWM450786U (zh) 觸控裝置
US11301070B2 (en) Apparatus of display having adhesion reduction layer formed micro protrusion design
KR102214938B1 (ko) 터치 윈도우용 일체형 데코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되는 터치 윈도우용 일체형 데코필름
CN107911981A (zh) 一种可变色盖板及电子设备
JP6061774B2 (ja) 飛散防止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パネル
US20170205911A1 (en) Touch substrat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touch display panel
CN105005402A (zh) 触控面板
KR20140080188A (ko) 실제 소재를 이용한 고강도 보호필름 및 그 제조방법
TW201413530A (zh) 觸控面板
CN110016300B (zh) 显示屏保护膜
KR101902801B1 (ko) 지문인식용 홈키 커버 글라스 윈도우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홈키 커버 글라스 윈도우
TWM510474U (zh) 觸控面板結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