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4030B1 - 이물질 배출라인이 구비된 베어링 하우징 - Google Patents

이물질 배출라인이 구비된 베어링 하우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4030B1
KR101324030B1 KR1020120080050A KR20120080050A KR101324030B1 KR 101324030 B1 KR101324030 B1 KR 101324030B1 KR 1020120080050 A KR1020120080050 A KR 1020120080050A KR 20120080050 A KR20120080050 A KR 20120080050A KR 101324030 B1 KR101324030 B1 KR 101324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bearing
discharge line
discharg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0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우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우스
Priority to KR1020120080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40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4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40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5/00Rigid support of bearing units; Housings, e.g. caps, covers
    • F16C35/02Rigid support of bearing units; Housings, e.g. caps, covers in the case of sliding-contact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41/00Other accessories, e.g. devices integrated in the bearing not relating to the bearing function as such
    • F16C41/005Fluid passages not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tary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 쌍의 베어링 및 상기 베어링의 사이에 개재되는 칼라가 수용되기 위한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 본체와, 상기 하우징 본체의 양측에 결합되어 상기 각 베어링의 외륜을 고정시키는 하우징 커버와, 상기 하우징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어 각 베어링의 일측면과 하우징 본체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제1 배출라인과, 상기 각 하우징 커버에 형성되어 각 베어링의 타측면과 상기 제1 배출라인을 연통시키는 제2 배출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베어링 하우징의 내부에 배출라인을 형성시켜 구동축과 베어링의 작동에 따라 발생되는 이물질을 배출시키도록 함으로써, 베어링 하우징의 내부에 이물질이 축적되는 것을 방지하여 구동축 및 베어링의 작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물질 배출라인이 구비된 베어링 하우징 {BEARING HOUSING HAVING EXHAUST LINE OF FOREIGN SUBSTANCE}
본 발명은 이물질 배출라인이 구비된 베어링 하우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베어링 하우징의 내부에 배출라인을 형성시켜 구동축과 베어링의 작동에 따라 발생되는 이물질을 배출시키도록 함으로써, 베어링 하우징의 내부에 이물질이 축적되는 것을 방지하여 구동축 및 베어링의 작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이물질 배출라인이 구비된 베어링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회전되는 구동축의 지지를 위해 베어링이 구동축에 삽입되고, 상기한 베어링은 베어링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어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구동축 및 베어링은 구동축의 회전에 의해 베어링과 구동축이 갈리게 되고, 이에 따라 발생하는 이물질들이 베어링 하우징 내부에 축적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베어링 하우징 내부에 이물질이 축적되면, 베어링의 외륜과 내륜의 사이 및 축과 베어링의 사이에 이물질이 인입되어 구동축 및 베어링의 작동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베어링 하우징의 내부에 배출라인을 형성시켜 구동축과 베어링의 작동에 따라 발생되는 이물질을 배출시키도록 함으로써, 베어링 하우징의 내부에 이물질이 축적되는 것을 방지하여 구동축 및 베어링의 작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이물질 배출라인이 구비된 베어링 하우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한 쌍의 베어링 및 상기 베어링의 사이에 개재되는 칼라가 수용되기 위한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 본체와, 상기 하우징 본체의 양측에 결합되어 상기 각 베어링의 외륜을 고정시키는 하우징 커버와, 상기 하우징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어 각 베어링의 일측면과 하우징 본체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제1 배출라인과, 상기 각 하우징 커버에 형성되어 각 베어링의 타측면과 상기 제1 배출라인을 연통시키는 제2 배출라인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제1 배출라인은 상기 칼라의 외측 외주 전 영역과 하우징 본체 내부와의 사이에 형성되어 각 베어링의 일측면과 연통되는 배출공간과, 상기 배출공간과 하우징 본체의 외부를 상호 연통시키는 배출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배출라인은 상기 하우징 커버의 내부에 형성되는 흡입공간과, 상기 하우징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흡입공간과 상기 배출공을 상호 연통시키는 연결공과, 상기 흡입공간과 베어링의 타측면을 상호 연통시키는 흡입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공은 다수로 구비되어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공은 배출공에 대응하는 개수로 형성되어 각 배출공과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 본체의 외부로부터 상기 배출공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와 연결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베어링 하우징의 내부에 배출라인을 형성시켜 구동축과 베어링의 작동에 따라 발생되는 이물질을 배출시키도록 함으로써, 베어링 하우징의 내부에 이물질이 축적되는 것을 방지하여 구동축 및 베어링의 작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배출라인이 구비된 베어링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배출라인이 구비된 베어링 하우징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배출라인이 구비된 베어링 하우징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배출라인이 구비된 베어링 하우징의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배출라인이 구비된 베어링 하우징은,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베어링(110) 및 베어링(110)의 사이에 개재되는 칼라(120)가 수용되기 위한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 본체(100)와, 하우징 본체(100)의 양측에 결합되어 각 베어링(110)의 외륜을 고정시키는 하우징 커버(130)와, 하우징 본체(100)의 내부에 형성되어 각 베어링(110)의 일측면과 하우징 본체(100)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제1 배출라인(200)과, 각 하우징 커버(130)에 형성되어 각 베어링(110)의 타측면과 제1 배출라인(200)을 연통시키는 제2 배출라인(300)을 포함한다.
먼저, 하우징 본체(100)는 대략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부재로서, 양측에 개방된 형태의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상기한 각 수용공간에 베어링(110)이 삽입되어 설치되고, 각 베어링(110)의 사이에 칼라(collar)(120)가 개재된다.
그리고, 하우징 커버(130)는 중심부에 구동축이 삽입되기 위한 삽입공이 형성된 링 형태의 부재로서, 하우징 본체(100)의 양측에 결합된다. 이때, 하우징 커버(130)의 내측 직경은 베어링(110)의 외륜의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으로 형성되어 하우징 커버(130)가 하우징 본체(100)에 결함됨으로써 베어링(110)의 외륜을 하우징 본체(100)에 고정시키게 된다.
한편, 제1 배출라인(200)은 배출공(210) 및 배출공간(220)으로 구성된다.
배출공간(220)은 칼라(120)의 외측 외주 전 영역과 하우징 본체(100) 내부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이다. 다시 말하면, 하우징 본체(100)의 수용공간 중 칼라(120)가 설치되는 공간은 칼라(12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배출공(210)은 배출공간(220)과 하우징 본체(100)의 외부를 연통시키기 위한 구멍으로, 배출공간(220)에서부터 하우징 본체(100)의 외측으로 천공된다. 상기한 배출공(210)은 직사각 형태인 하우징 본체(100)의 각 면에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하우징 본체(100)가 직사각 형태인 것을 예로 들고 있기 때문에 배출공(210)이 4개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우징 본체(100)의 형태에 따라 다수개로 형성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그 개수를 줄일 수도 있다. 즉, 배출공(210)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제2 배출라인(300)은 연결공(310), 흡입공간(320) 및 흡입공(330)으로 구성된다.
흡입공간(320)은 하우징 커버(130)의 내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하우징 커거(130)의 전 영역에 걸쳐 형성된다.
그리고, 연결공(310)은 하우징 본체(100)의 내부에 형성되어 흡입공간(320)과 배출공(210)을 상호 연통시키도록 형성된다. 이때, 연결공(310)은 배출공(210)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되어 각 배출공(210)과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흡입공(330)은 하우징 커버(130)에 형성되는 구멍으로서, 베어링(110)의 외륜을 고정시키는 하우징 커버(130)의 내측부에 형성되어 베어링(110)의 타측면 상과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연결부재(400)와 흡입펌프(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연결부재(400)는 배출공(210)의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어 일측이 배출공(210)에 탈착 가능하도록 끼워져 설치된다. 연결부재(400)의 타측은 에어 호스 등에 의해 흡입펌프와 연결 설치된다.
상기한 연결부재(400)는 다수로 구비되어 각 배출공(210)에 각각 설치될 수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한개 또는 두개의 배출공(210)에만 설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배출라인이 구비된 베어링 하우징의 작동상태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구동축(미도시)의 회전에 의해 이물질이 베어링 하우징 내부에 축적되면, 구동축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연결부재(400)를 각 배출공(210)에 설치한다.
그 후, 흡입펌프를 작동시키게 되면, 칼라(120)가 설치된 베어링(110)의 측면 측에 축적된 이물질은 배출공간(220)과 배출공(210)을 통해 연결부재(400) 측으로 배출된다.
이와 동시에, 하우징 커버(130) 측에 위치된 베어링(110)의 측면 측에 축적된 이물질은 흡입공(330)을 통해 흡입공간(320) 측으로 흡입되고, 흡입공간(320)으로 흡입된 이물질은 연결공(310)을 통해 배출공(210) 측으로 이동되어 연결부재(400) 측으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작동되는 본 발명은 베어링 하우징의 내부에 축적된 이물질을 제1 배출라인(200) 및 제2 배출라인(300)을 통해 베어링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때문에, 베어링 하우징의 내부에 이물질이 축적되는 것을 방지하여 구동축 및 베어링(110)의 작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자명하다.
100 : 하우징 본체 110 : 베어링
120 : 칼라 130 : 하우징 커버
200 : 제1 배출라인 210 : 배출공
220 : 배출공간 300 : 제2 배출라인
310 : 연결공 320 : 흡입공간
330 : 흡입공 400 : 연결부재

Claims (6)

  1. 한 쌍의 베어링 및 상기 베어링의 사이에 개재되는 칼라가 수용되기 위한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 본체와;
    상기 하우징 본체의 양측에 결합되어 상기 각 베어링의 외륜을 고정시키는 하우징 커버와;
    상기 하우징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어 각 베어링의 일측면과 하우징 본체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제1 배출라인과;
    상기 각 하우징 커버에 형성되어 각 베어링의 타측면과 상기 제1 배출라인을 연통시키는 제2 배출라인을 포함하는 이물질 배출라인이 구비된 베어링 하우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출라인은,
    상기 칼라의 외측 외주 전 영역과 하우징 본체 내부와의 사이에 형성되어 각 베어링의 일측면과 연통되는 배출공간과;
    상기 배출공간과 하우징 본체의 외부를 상호 연통시키는 배출공을 포함하는 이물질 배출라인이 구비된 베어링 하우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배출라인은,
    상기 하우징 커버의 내부에 형성되는 흡입공간과;
    상기 하우징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흡입공간과 상기 배출공을 상호 연통시키는 연결공과;
    상기 흡입공간과 베어링의 타측면을 상호 연통시키는 흡입공을 포함하는 이물질 배출라인이 구비된 베어링 하우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공은 다수로 구비되어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배출라인이 구비된 베어링 하우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공은 배출공에 대응하는 개수로 형성되어 각 배출공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배출라인이 구비된 베어링 하우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본체의 외부로부터 상기 배출공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와 연결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펌프를 더 포함하는 이물질 배출라인이 구비된 베어링 하우징.
KR1020120080050A 2012-07-23 2012-07-23 이물질 배출라인이 구비된 베어링 하우징 KR101324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0050A KR101324030B1 (ko) 2012-07-23 2012-07-23 이물질 배출라인이 구비된 베어링 하우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0050A KR101324030B1 (ko) 2012-07-23 2012-07-23 이물질 배출라인이 구비된 베어링 하우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4030B1 true KR101324030B1 (ko) 2013-11-01

Family

ID=49856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0050A KR101324030B1 (ko) 2012-07-23 2012-07-23 이물질 배출라인이 구비된 베어링 하우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403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4745A (ja) 1998-09-25 2000-04-11 Tomabechi Giken Kogyo:Kk 軸 受
JP2000263108A (ja) 1999-03-17 2000-09-26 Kawasaki Steel Corp 油膜軸受
JP2009293651A (ja) 2008-06-03 2009-12-17 Ntn Corp 車輪用軸受装置
JP4442347B2 (ja) * 2004-07-20 2010-03-3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クランク軸の軸受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4745A (ja) 1998-09-25 2000-04-11 Tomabechi Giken Kogyo:Kk 軸 受
JP2000263108A (ja) 1999-03-17 2000-09-26 Kawasaki Steel Corp 油膜軸受
JP4442347B2 (ja) * 2004-07-20 2010-03-3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クランク軸の軸受構造
JP2009293651A (ja) 2008-06-03 2009-12-17 Ntn Corp 車輪用軸受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03381A2 (en) Vacuum cleaner
US20170306958A1 (en) Oil-free screw compressor
US9997970B2 (en) Pump having a rotation prevention means and domestic appliance having a pump of this kind
CN105553169A (zh) 电动机
JP2015124653A (ja) スクロール流体機械
JP2016192877A (ja) 回転電機および圧縮機
KR101324030B1 (ko) 이물질 배출라인이 구비된 베어링 하우징
JP6600076B2 (ja) 錠剤移送装置
ES2657968T3 (es) Grupo motoventilador para un aparato de calefacción, ventilación y/o climatización para un vehículo automóvil
KR102266571B1 (ko) 가습장치
CN102011739B (zh) 轴流式风扇及其扇轮
KR20130116676A (ko) 압축기용 오일 실
CN107533966B (zh) 带静压密封件的马达
US20190105746A1 (en) Motor and spindle protection structure
KR102558360B1 (ko) 복수의 중공 샤프트들을 가지는 회전식 필터 배열체
JP2008200308A (ja) 吸込口体
CN104712575B (zh) 压缩机组件
JP2011017294A (ja) キャンドポンプ
JP2007320747A (ja) サクションローラ
KR102041163B1 (ko) 선박평형수 처리장치
KR101068879B1 (ko) 진공흡입형 원단피딩롤
US11962221B2 (en) Motor assembly and cleaner comprising same
KR101528078B1 (ko) 오일 이송용 입형 펌프
JP6268634B2 (ja) 部品実装装置
KR20160041126A (ko) 로터리 조인트 및 이를 구비하는 기판 세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