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3353B1 - 휴대 단말기용 손잡이 겸 거치구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용 손잡이 겸 거치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3353B1
KR101323353B1 KR1020130047226A KR20130047226A KR101323353B1 KR 101323353 B1 KR101323353 B1 KR 101323353B1 KR 1020130047226 A KR1020130047226 A KR 1020130047226A KR 20130047226 A KR20130047226 A KR 20130047226A KR 101323353 B1 KR101323353 B1 KR 1013233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ain body
pedestal
groove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7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훈
Original Assignee
(주)스마트이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스마트이지 filed Critical (주)스마트이지
Priority to KR1020130047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33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3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33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를 바닥면에 일정 각도로 세워지게 지지하는 제1지지대 및 손가락을 넣어 잡을 수 있는 제2지지대가 구비되어 휴대 단말기를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몸에 무리가 없고, 사용이 편리한 휴대 단말기용 손잡이 겸 거치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용 손잡이 겸 거치구는, 휴대 단말기(T)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받침대(100); 일면이 상기 받침대(100)의 일면에 중첩되게 배치되면서 회전되게 장착되는 본체(200); 상기 본체(200)에 가로축(600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지지대(600); 상기 본체(200)에 세로축(700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손을 집어넣을 수 있는 손잡이홈(710)이 형성된 제2지지대(700);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용 손잡이 겸 거치구 {Apparatus of grip and stand for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용 손잡이 겸 거치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마트폰, 전자사전, 게임기, 태블릿 PC 및 네비게이션 등의 휴대 단말기의 커버에 장착되며, 손으로 움켜 잡거나 테이블 등에 여러 각도로 거치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용 손잡이 겸 거치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는 핸드폰, PDA, PMP, 네비게이션, 게임기, 태블릿PC 및 전자사전 등과 같은 휴대용 통신기기 또는 디스플레이로, 무선통신망을 사용하거나 내부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이동하면서도 인터넷 사용, 전화 통화, 영화 감상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최근에는 스크린을 접촉하여 조작할 수 있는 태블릿 패드가 탑재된 터치폰이나 스마트폰 등이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 중 최근에 출시된 스마트폰 등은 전화 또는 문자 메시지의 수발신 기능뿐만 아니라 문서작업, 인터넷 사용, 이메일 수발신 등 활용 영역이 매우 다양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를 장소나 시간에 구애됨이 없이 사용함으로써 손목, 어깨, 목 등의 통증을 호소하는 이들이 많아지고 있는데, 이는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 방법상 두 손으로 잡고 이용하는 신체 동작의 제약 사항 때문이라 할 수 있다.
000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64735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체를 바닥면에 일정 각도로 세워지게 지지하는 제1지지대 및 손가락을 넣어 잡을 수 있는 제2지지대가 구비되어 휴대 단말기를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몸에 무리가 없고, 사용이 편리한 휴대 단말기용 손잡이 겸 거치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용 손잡이 겸 거치구는, 휴대 단말기(T)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받침대(100); 일면이 상기 받침대(100)의 일면에 중첩되게 배치되면서 회전되게 장착되는 본체(200); 상기 본체(200)에 가로축(600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지지대(600); 상기 본체(200)에 세로축(700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손을 집어넣을 수 있는 손잡이홈(710)이 형성된 제2지지대(700); 를 포함한다.
일단이 상기 본체(200)를 관통하여 상기 받침대(100)에 결합되며, 상기 본체(200)를 상기 받침대(100)에 회전되게 결합시키는 회전축(300)과; 접시 형상의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축(300)에 장착되고, 상기 받침대(100)의 타면에 압축된 상태로 배치되며, 상기 받침대(100)를 상기 본체(200)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400); 를 더 포함한다.
상기 회전축(300)의 일단과 상기 탄성부재(400) 사이에 장착되며, 상기 탄성부재(400)와 면접촉되는 받침판(500); 을 더 포함하되, 상기 받침대(100)의 타면에는 상기 본체(200) 방향으로 오목한 도피홈(120)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400) 및 상기 받침판(500)은 상기 도피홈(120)에 삽입 배치된다.
상기 받침대(100)의 일면에는 상기 본체(200) 방향으로 볼록한 지지돌기(110)가 형성된다.
상기 받침대(100)의 타면에는 테두리를 따라 안내돌기(130)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안내돌기(130) 사이에는 휴대 단말기(T)에 연속적으로 착탈 가능한 접착 테이프로 이루어진 접착부재(150)가 구비된다.
제1지지대(600)는, 일단이 상기 본체(200)에 회전되게 결합되는 제1지지다리(610); 일단이 상기 제1지지다리(610)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지지다리(620); 를 포함한다.
상기 제1지지다리(610)의 타단은 상기 받침대(100)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제2지지다리(620) 방향으로 점점 돌출되게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다리(620)의 일단은 상기 받침대(100)의 반대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제1지지다리(610) 방향으로 점점 돌출되게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1지지다리(610)의 타단에는 상기 제2지지다리(620) 방향으로 결합돌기(611)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다리(620)의 일단에는 상기 결합돌기(611)가 삽입 배치되는 결합홈(621)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200)의 타면에는, 상기 받침대(100)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2지지대(700)가 삽입 배치되는 안착홈(210)과, 상기 안착홈(210)과 연통되며 상기 받침대(100)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개방홈(220)이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대(600)는 상기 본체(200)의 테두리를 따라 측부에 배치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용 손잡이 겸 거치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상기 제1지지다리(610)와 상기 제2지지다리(620)가 일직선을 이룬 상태에서, 상기 제1지지대(600)가 상기 본체(200)에 대하여 일정 각도 회전되며, 이로 인해 상기 휴대 단말기(T)를 책상이나 탁자 등에 기울어진 상태로 거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2지지다리(620)는 상기 제1지지다리(610)에 대해 약 90도 회전되어 절첩되며, 이로 인해 상기 휴대 단말기(T)를 책상이나 탁자 등에 더 낮은 각도로 기울어지게 하여 거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지지대(700)에 상기 손잡이홈(710)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2지지대(700)가 상기 본체(200)에 대하여 대략 90도 정도 회전된 상태일 때, 상기 손잡이홈(710)에 사용자의 손을 끼워 넣을 수 있고, 이로 인해 휴대 단말기(T)를 손으로 잡고 이동할 때 휴대 단말기(T)를 보다 안정적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상기 본체(200)가 상기 받침대(100)에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로 회전되게 장착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상기 본체(200)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사용을 편리하게 하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상기 탄성부재(400)가 상기 받침대(100)와 상기 받침판(500) 사이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받침대(100)와 상기 본체(200) 사이의 밀착력에 의해 상기 본체(200)에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졌을 경우에만 상기 본체(200)가 회전되도록 하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손잡이 겸 거치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손잡이 겸 거치구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의 회전 상태를 나타낸 평면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지지대의 사용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지지대의 절첩시 사용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지지대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손잡이 겸 거치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손잡이 겸 거치구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의 회전 상태를 나타낸 평면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지지대의 사용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지지대의 절첩시 사용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지지대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손잡이 겸 거치구는 받침대(100), 접착부재(150), 본체(200), 회전축(300), 탄성부재(400), 받침판(500), 제1지지대(600) 및 제2지지대(700)로 이루어진다.
상기 받침대(100)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이며, 금속 재질의 얇은 판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받침대(100)는 프레스 금형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받침대(100)는 휴대 단말기(T)의 후면, 즉 휴대 단말기(T)의 화면의 반대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여기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T)는 핸드폰, PDA, PMP, 네비게이션, 게임기, 태블릿PC 또는 전자사전 등이 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대(100)의 일면에는 후술할 상기 본체(200) 방향, 즉 휴대 단말기(T)의 반대 방향으로 볼록하게 지지돌기(110)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돌기(110)는 상기 받침대(100)의 테두리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테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지지돌기(110)는 후술할 상기 본체(200)의 일면과 접하며, 상기 본체(200)와 상기 받침대(100)가 면 접촉이 아닌 선 접촉되게 한다.
이와 같이, 상기 받침대(100)에 상기 본체(200) 방향으로 상기 지지돌기(110)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받침대(100)와 상기 본체(200) 사이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하고, 이로 인해 상기 본체(200)의 회전시 상기 받침대(100)와 상기 본체(200) 사이의 마찰을 줄이고, 회전을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대(100)의 타면에는 후술할 상기 휴대단말기(T) 방향으로 오목한 도피홈(120)이 형성된다.
상기 도피홈(120)은 원형으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후술할 상기 탄성부재(400) 및 받침판(500)이 삽입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도피홈(120)은, 후술할 상기 탄성부재(400) 및 받침판(500)이 상기 받침대(100)의 타면에 돌출되게 배치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형성된 것이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대(100)의 타면에는 테두리를 따라 안내돌기(130)가 연속적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안내돌기(130)의 돌출 높이는 약 0.5mm가 적당하며, 이러한 상기 안내돌기(130) 사이에는 후술할 상기 접착부재(150)가 구비된다.
상기 안내돌기(130)는 상기 접착부재(150)가 상기 받침대(100)의 타면에 부착될 때 위치를 가이드하고, 상기 접착부재(150)가 상기 받침대(100)에서 밀려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한편, 상기 접착부재(150)는 대략 사각형 형상이며, 상기 안내돌기(130) 사이, 즉 상기 안내돌기(130) 안쪽에 배치되고, 상기 받침대(100)의 타면에 고정 장착된다.
상기 접착부재(150)는 휴대 단말기(T)에 연속적으로, 즉 반복적으로 착탈 가능한 점착물로 이루어진 접착 테이프이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접착부재(150)는 고무자석이나, 접착력이 있는 실리콘 패드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200)는 대략 세로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이며, 두께가 상기 받침대(100)보다 두껍고, 재질은 합성 수지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본체(200)는 일면이 상기 받침대(100)의 일면에 중첩되게 배치되면서 상기 받침대(100)에 회전되게 장착된다.
즉, 상기 본체(200)의 휴대 단말기(T) 방향 일면은 상기 받침대(100)의 휴대 단말기(T) 반대방향 일면과 마주보게 배치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상기 회전축(300)을 중심으로 서로 맞대어 비비듯이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모두 회전된다.
이와 같이, 상기 본체(200)가 상기 받침대(100)에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로 회전되게 장착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상기 본체(200)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사용을 편리하게 하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200)의 좌우 양 측부에는 후술할 상기 제1지지대(60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본체(200)의 타면에는 상기 받침대(100) 방향으로 오목한 안착홈(210) 및 개방홈(220)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210)은 대략 좌우 방향으로 반전된 'ㄷ' 자 형상으로 파인 골이며, 내부에는 후술할 상기 제2지지대(700)가 삽입 배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본체(200)에 후술할 상기 제2지지대(700)가 삽입되는 상기 안착홈(210)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2지지대(700)의 미사용시 상기 제2지지대(700)를 안전하게 보관하고, 제품의 외관을 심플하게 보이도록 하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상기 개방홈(220)은 대략 사각형 형상이며, 상기 안착홈(210)의 중간 부분과 연통되게 배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본체(200)에 상기 안착홈(210)과 연통되는 상기 개방홈(220)이 형성됨으로써, 후술할 상기 제2지지대(700)를 상기 안착홈(210)에서 이동시킬 때, 상기 개방홈(220)에 손가락 등을 집어넣어 상기 제2지지대(700)를 쉽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한편, 상기 회전축(300)은 일반적인 리벳과 같이 대략 원통형의 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200)의 두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휴대 단말기(T) 방향의 일단이 상기 본체(200)를 관통하여 상기 받침대(100)에 리벳 결합되며, 타단은 일단보다 큰 직경을 갖는다.
여기에서 리벳 결합이라 함은, 상기 회전축(300)의 일단이 상기 받침대(100)의 타면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그 일단을 상기 받침대(100)의 타면에 융착하여 빠지지 않게 결합시키는 방법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회전축(300)은 상기 받침대(100)의 도피홈(120) 안쪽으로 관통 되게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회전축(300)은 상기 본체(200)를 상기 받침대(100)에 회전되게 결합시키는 기능을 한다.
한편, 상기 회전축(300)에는 상기 탄성부재(400) 및 상기 받침판(500)이 각각 장착된다.
상기 탄성부재(40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접시 형상의 판 스프링이며, 상기 회전축(300)에 끼워지게 장착되고, 상기 받침대(100)의 타면, 즉 상기 도피홈(120)에 삽입 배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탄성부재(400)는 상기 받침대(100)의 타면과 후술할 상기 받침판(500) 사이에 압축된 상태로 배치되며,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받침대(100)를 상기 본체(200)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여 상기 받침대(100)를 상기 본체(200)에 밀착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400)가 상기 받침대(100)와 상기 받침판(500) 사이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받침대(100)와 상기 본체(200) 사이의 밀착력에 의해 상기 본체(200)에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졌을 경우에만 상기 본체(200)가 회전되도록 하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상기 받침판(500)은 금속 재질의 원형판으로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300)에 끼워지고, 상기 회전축(300)의 일단과 상기 탄성부재(400) 사이에 장착되며, 상기 도피홈(120)에 삽입 배치되고, 상기 탄성부재(400)와 면 접촉된다.
이러한 상기 받침판(500)은 상기 탄성부재(400)를 지지하여 상기 받침대(100)로 상기 탄성부재(400)의 탄성력이 충분히 전달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1지지대(600)는 대략 'ㄷ'자를 약 90도 회전시킨 형상이며, 돌출된 양단이 세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양단이 각각 상기 본체(200)의 측부에 가로축(600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여기에서 상기 가로축(600a)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방향으로 긴 리벳 또는 볼트가 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제1지지대(600)는 제1지지다리(610)와 제2지지다리(6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지지다리(610)는 2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200)의 가로 방향 양측,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양측에 각각 하나씩 배치되며, 일단이 각각 상기 가로축(600a)에 의해 상기 본체(200)에 회전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1지지다리(610)의 타단은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지지다리(610)의 타단은 상기 받침대(100)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제2지지다리(620) 방향으로 점점 돌출되는 경사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지지다리(610)의 타단에는 상기 제2지지다리(620) 방향으로 결합돌기(611)가 각각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가로축(600a)에 의해 상기 제2지지다리(620)에 회전되게 결합된다.
상기 제2지지다리(620)는 대략 90도 정도 회전된 'ㄷ' 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돌출된 양단이 상기 제1지지다리(610)의 타단에 각각 회전되게 장착된다.
또한, 상기 제2지지다리(620)의 상기 제1지지다리(610) 방향 일단은 상기 제1지지다리(610)의 타단과 대응되게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지지다리(620)의 일단은 상기 받침대(100)의 반대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제2지지다리(620) 방향으로 점점 돌출되는 경사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지지다리(620)의 일단에는 상기 결합돌기(611)가 삽입 배치되는 결합홈(621)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621)은 두께 방향 및 상기 제1지지다리(610) 방향으로 개방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홈(621)에 상기 결합돌기(611)가 삽입된 상태에서, 가로 방향으로 긴 리벳 또는 볼트에 의해 상기 결합돌기(611)와 상기 제2지지다리(620)의 일단은 상호 회전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지지다리(610)의 타단과 상기 제1지지다리(610)의 일단에 상호 대칭되는 경사면이 각각 형성됨으로써,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지지다리(610)와 상기 제2지지다리(620)가 일직선을 이룰 때, 상기 휴대 단말기(T)의 하중 방향과 상기 경사면이 대략 직교하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제2지지다리(620)가 상기 휴대 단말기(T)의 하중에 의해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한편, 위 구성으로 이루어진 상기 제1지지다리(6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지지다리(610)와 상기 제2지지다리(620)가 일직선을 이룬 상태에서, 상기 제1지지대(600)가 상기 본체(200)에 대하여 일정 각도 회전되며, 이로 인해 상기 휴대 단말기(T)를 책상이나 탁자 등에 기울어진 상태로 거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지지다리(620)는 상기 제1지지다리(610)에 대해 약 90도 회전하여 절첩되며, 이로 인해 상기 휴대 단말기(T)를 책상이나 탁자 등에 더 낮은 각도로 기울어지게 하여 거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2지지대(700)는 대략 'ㄷ'자를 좌우 방향으로 반전시킨 형상으로 형성되며, 돌출된 양단이 세로 방향으로 넓게 배치되고, 양단이 각각 세로축(700a)을 중심으로 상기 본체(2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여기에서 상기 세로축(700a)은 상기 제2지지대(700)의 양측단에서 각각 세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축이다.
또한, 상기 제2지지대(700)의 양단 사이에는 손을 집어넣을 수 있는 손잡이홈(710)이 형성된다. 즉, 상기 손잡이홈(710)은 상기 제2지지대(700)의 양단 사이의 관통된 공간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2지지대(700)에 상기 손잡이홈(710)이 형성됨으로써,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지지대(700)가 상기 본체(200)에 대하여 대략 90도 정도 회전된 상태일 때, 상기 손잡이홈(710)에 사용자의 손을 끼워 넣을 수 있고, 이로 인해 휴대 단말기(T)를 손으로 잡고 이동할 때 휴대 단말기(T)를 보다 안정적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부속 청구 범위의 사상 및 영역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여러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영역 내에 있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00 : 받침대, 110 : 지지돌기,
120 : 도피홈, 130 : 안내돌기
150 : 접착부재, 200 : 본체,
210 : 안착홈, 220 : 개방홈,
300 : 회전축, 400 : 탄성부재,
500 : 받침판, 600 : 제1지지대,
600a : 가로축, 610 : 제1지지다리,
620 : 제2지지다리, 700 : 제2지지대,

Claims (8)

  1. 일면이 휴대 단말기(T)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면에 도피홈(120)이 형성되며, 타면 가장자리에는 테두리를 따라 지지돌기(110)가 돌출 형성된 받침대(100);
    일면이 상기 받침대(100)에 회전되게 결합되는 것으로, 타면에는 "ㄷ"자 형태의 안착홈(210)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210)과 연통되게 개방홈(220)이 형성된 본체(200);
    상기 도피홈(120) 내에 배치되고, 상기 받침대(100)에 대해 상기 본체(200)의 회전 가능 결합을 매개하는 회전축(300)에 결합되는 받침판(500);
    상기 받침대(100)와 상기 받침판(500)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회전축(300)에 결합되는 판상의 탄성부재(400);
    일단이 상기 본체(200)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1지지다리(610) 및 상기 한 쌍의 제1지지다리(610)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지지다리(620)를 포함한 제1지지대(600); 및
    "ㄷ"자 형태로, 상기 본체(200)의 타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회전 상태에 따라 상기 안착홈(210) 내에 수용되거나 외부로 돌출되는 제2지지대(700);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용 손잡이 겸 거치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다리(610)의 타단은 경사지게 형성되고, 타단 중심에는 결합돌기(611)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2지지다리(620)의 일단은 상기 제1지지다리(610)의 경사진 타단과 전면적으로 중첩되게 경사지게 형성되고, 일단 중심에는 상기 결합돌기(611)가 삽입되는 결합홈(621)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611)가 상기 결합홈(621)에 삽입되고, 상기 제1지지다리(610)의 타단과 상기 제2지지다리(620)의 일단이 중첩된 상태에서 체결수단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지지다리(610)에 대해 상기 제2지지다리(620)의 일방향 회전 각도가 일정범위 내로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손잡이 겸 거치구.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30047226A 2013-04-29 2013-04-29 휴대 단말기용 손잡이 겸 거치구 KR1013233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7226A KR101323353B1 (ko) 2013-04-29 2013-04-29 휴대 단말기용 손잡이 겸 거치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7226A KR101323353B1 (ko) 2013-04-29 2013-04-29 휴대 단말기용 손잡이 겸 거치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3353B1 true KR101323353B1 (ko) 2013-10-29

Family

ID=49639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7226A KR101323353B1 (ko) 2013-04-29 2013-04-29 휴대 단말기용 손잡이 겸 거치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33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33268A1 (ko) * 2015-02-16 2016-08-25 최성훈 휴대형 전자기기용 거치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5358B1 (ko) * 2012-04-05 2012-09-21 김정근 거치구를 갖는 손가락 끼움 홀더형 휴대폰 케이스
KR101253763B1 (ko) * 2012-07-16 2013-04-11 노선수 휴대기기용 다기능 액세서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5358B1 (ko) * 2012-04-05 2012-09-21 김정근 거치구를 갖는 손가락 끼움 홀더형 휴대폰 케이스
KR101253763B1 (ko) * 2012-07-16 2013-04-11 노선수 휴대기기용 다기능 액세서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33268A1 (ko) * 2015-02-16 2016-08-25 최성훈 휴대형 전자기기용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3437Y1 (ko)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
US10561228B2 (en) Phone grip attachment
KR101493023B1 (ko) 휴대용 전자기기 파지기구
CA3084999C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flipout phone holder and stand
JP2012227794A (ja) 携帯端末用指掛け及び携帯端末
TW201441794A (zh) 平板型電子裝置保護套
JP2016111681A (ja) 携帯電子端末保持具
KR20130007175U (ko) 모바일 단말기의 휴대용 고리
KR101323353B1 (ko) 휴대 단말기용 손잡이 겸 거치구
KR101280783B1 (ko) 모바일 단말기의 휴대용 고리
US20140159402A1 (en) Phone/tablet holder
JP3201193U (ja) 携帯電子機器の支持構造
KR20180011601A (ko) 탈착이 용이한 스마트폰 거치대
KR20120035810A (ko) 틸트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보호 케이스 클립 및 스탠드장치
KR101468850B1 (ko) 휴대용 단말기 홀더
CN205123834U (zh) 移动终端支架
TWM577519U (zh) 收納裝置及具有該收納裝置的電子設備
KR200463901Y1 (ko) 휴대 단말기 손목 거치 장치
KR200485274Y1 (ko) 휴대단말기 취부용 회전 작용 보조구
TW201521553A (zh) 可擕帶式電子終端
KR20200081198A (ko)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
TWD192875S (zh) Hand-held bracket
KR102189428B1 (ko) 휴대용 전자기기 웨어러블 고정기구
CN207100859U (zh) 一种具有手持设备放置台的背包
WO2016088514A1 (ja) 携帯電子端末保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