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3219B1 - 타임쉬프트 기능을 제공하는 촬영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타임쉬프트 기능을 제공하는 촬영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3219B1
KR101323219B1 KR1020070002166A KR20070002166A KR101323219B1 KR 101323219 B1 KR101323219 B1 KR 101323219B1 KR 1020070002166 A KR1020070002166 A KR 1020070002166A KR 20070002166 A KR20070002166 A KR 20070002166A KR 101323219 B1 KR101323219 B1 KR 101323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recording
unit
storage unit
comm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2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5146A (ko
Inventor
강준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2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3219B1/ko
Publication of KR20080065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51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3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32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07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static stores, e.g. storage tubes or semiconductor memories

Abstract

타임쉬프트 기능을 제공하는 촬영장치 및 그 방법이 제공된다. 본 촬영장치는, 영상을 임시 저장하는 저장부 및 타임 쉬프트 명령이 입력되면, 기록 명령에 대응하여 촬영된 영상보다 이전에 촬영된 영상인 이전 영상을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기록 명령이 입력되기 전에 촬영된 영상이 기록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디지털 캠코더, 타임쉬프트, 기록

Description

타임쉬프트 기능을 제공하는 촬영장치 및 그 방법{The Photographing apparatus of providing timeshift function and the method thereof}
도 1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캠코더의 내부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캠코더의 영상을 기록하는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촬영부 120: DSP
125: 제1 저장부 130: 비디오 입력부
135: 비디오 출력부 140: 오디오 처리부
145: USB 인터페이스 150: 백엔드부
180: 기록부 185: 제2 저장부
190: 조작부 195: 제어부
본 발명은 촬영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타임 쉬프트(timeshift) 기능을 제공하는 촬영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촬영장치는 피사체를 촬상하여 생성된 영상를 저장하는 장치이며, 대표적인 예로 디지털 카메라와 디지털 캠코더를 들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촬영장치를 이용하여 촬영되어 저장된 영상을 재생할 수도 있으며, 이때 재생되는 영상은 촬영장치에 연결된 TV에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는 촬영장치를 통해 영상을 기록함에 있어서, 처음부터 촬영장치를 기록모드로 전환시킨 후 영상을 기록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기록할 장면을 관찰하다가, 기록하고 싶은 장면이 존재할 때 비로소, 촬영장치를 기록모드로 전환시킨다.
그러나, 촬영장치가 기록모드로 전환하여 촬영된 영상을 기록하기 위해서는 최소한의 가동 시간이 소요되게 된다. 그리하여 사용자가 기록하고자 하는 장면의 전체 또는 일부를 기록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사용자는 개인마다 순발력이나, 촬영장치를 다루는 능력의 차이로 인해 기록하고자 하는 장면이 지나가고 나서 기록모드로 전환하는 명령을 촬영장치에 입력할 수 있는 경우도 적지않게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록 명령이 입력되기 전에 촬영된 영상을 임시 저장하고, 기록명령이 입력되면, 기록 명령에 대응하여 촬영된 영상 뿐만 아니라, 임시 저장되어 있는 이전에 촬영된 영상도 함께 기록하도록 하는 촬영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촬영장치는, 영상을 임시 저장하는 저장부; 및 타임 쉬프트 명령이 입력되면, 기록 명령에 대응하여 촬영된 영상보다 이전에 촬영된 영상인 이전 영상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영상을 기록하는 기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기록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이전 영상을 독출하고, 독출된 상기 이전 영상이 상기 기록부에 기록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전 영상이 상기 기록부에 기록되고 나서, 상기 기록명령에 대응하여 촬영된 영상이 상기 기록부에 기록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에서 독출된 상기 이전 영상은, 상기 기록명령이 입력될 때 촬영된 영상보다 특정 시간 이전에 촬영된 영상에서부터 상기 기록명령에 대응하여 촬영된 영상의 직전 영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의 용량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될 영상의 용량이 상기 저장부의 저장용량 이상이 되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 중 가장 먼저 저장된 영상을 상기 저장부로부터 삭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은, 타임 쉬프트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타임 쉬프트 명령이 입력되면, 기록명 령에 대응하여 촬영된 영상보다 이전에 촬영된 영상인 이전 영상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기록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기록 명령이 입력되면, 저장된 상기 이전 영상을 독출하는 단계; 및 독출된 상기 이전 영상을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록단계는, 독출된 상기 이전 영상을 기록하고 나서, 상기 기록명령에 대응하여 촬영된 영상을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독출된 상기 이전 영상은, 상기 기록명령이 입력될 때 촬영된 영상보다 특정 시간 이전에 촬영된 영상에서부터 상기 기록명령에 대응하여 촬영된 영상의 직전 영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저장단계는,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의 용량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될 영상의 용량이 상기 저장부의 저장용량 이상이 되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 중 가장 먼저 저장된 영상을 상기 저장부로부터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피사체를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부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기록매체에 기록된 영상을 신호처리하는 신호처리부; 상기 촬영된 영상을 임시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촬영 또는 재생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촬영된 영상을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디스크 로더; 상기 촬영된 영상이 기록되는 광기록매체; 및 촬영모드 또는 재생모드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촬영된 영상을 상기 광기록매체에 기록할 경우, 상기 저장부에 기저장된 영상을 상기 광기록매체에 기록한 후 촬영된 영상을 상기 광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피사체를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부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신호처리하는 신호처리부; 상기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촬영된 영상을 임시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촬영된 영상이 기록되는 기록매체;를 포함하고, 상기 촬영된 영상을 기록매체에 기록할 경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을 먼저 기록한 후 상기 촬영된 영상을 기록한다.
또한, 상기 기록매체는, 광기록매체, HDD 또는 착탈식 기록매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피사체를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부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신호처리하는 신호처리부; 상기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촬영된 영상을 기록하는 기록매체;를 포함하고, 상기 기록매체는, 촬영된 영상을 임시 저장하는 임시 저장영역; 및 촬영된 영상을 기록하는 기록영역;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촬영된 영상을 기록매체에 기록할 경우, 상기 임시 저장영역에 저장된 영상을 상기 기록영역에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캠코더의 내부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캠코더는 촬영부(110), 신호처리부(Digital Signal Processor:DSP)(120), 제1 저장부(125), 비디오 입력부(130), 비디오 출력 부(135), 오디오 처리부(140), USB 인터페이스(145), 백엔드부(150), 제2 저장부(160), LCD(165), EEPROM(175), 기록부(180), 조작부(190), 및 제어부(195)를 구비한다.
촬영부(110)는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광전변환하고, 전기신호에 대해 소정의 신호처리를 수행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촬영부(110)는, 렌즈부(111), CCD(113)(Charge Coupled Device), CDS/AGC/ADC(115) (Correlated Double Sampler / Auto Gain Controller / Analog-to-Digital converter), CCD 구동부(117) 및 렌즈 구동부(119)를 구비한다.
렌즈부(111)는 촬영대상에 대한 광학상을 후술할 CCD(113)의 광학면 상에 결상시킨다.
렌즈 구동부(119)는 렌즈부(111)를 구동시키는데, 구체적으로는 렌즈부(111)를 줌-모터(미도시)로 구동시켜 줌인/줌아웃(zoom-in/zoom-out)시키고, 렌즈부(111)를 포커스-모터로 구동시켜 초점을 조절하며, 아이리스-모터를 구동시켜 렌즈부(111)에 마련된 조리개(미도시)의 개폐량을 조절한다.
CCD(113)는 CCD 구동부(117)에 의해 구동되며, 렌즈부(111)에 의해 광학면 상에 결상된 광학상에 상응하는 전기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촬상소자의 일종이다.
CDS/AGC/ADC(115)는 CCD(113)에서 출력되는 전기신호에 대해 상관이중 샘플링(Correlated Double Sampling), 자동이득제어(Auto Gain Controlling), A/D 변환 등의 신호처리를 수행한다.
DSP(120)는 촬영부(110) 또는 비디오 입력부(130)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에 대한 신호처리를 수행하여 백엔드부(150)로 출력하는 소자이다. DSP(120)가 신호처리를 수행함에 있어서는 제1 저장부(125)를 버퍼로 이용한다.
구체적으로, DSP(120)는 촬영부(110)에서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에 대한 포맷변환과 영상 스케일을 조정하기 위한 디지털 줌, AWB(Auto White Balance) 등을 수행하여, 백엔드부(150)로 출력한다. 또한, DSP(120)는 렌즈 구동부(119)를 제어하여 AF(Auto Focus), AE(Auto Exposure) 등을 수행한다.
뿐만 아니라, DSP(120)는 촬영부(110)에서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를 동영상에 적합한 압축포맷인 MPEG 포맷의 파일로 압축하여 백엔드부(150)로 출력한다. 그리고, DSP(120)는 백엔드부(150)로 입력받은 MPEG 포맷의 파일을 신장하여 생성한 비디오 신호를 백엔드부(150)로 출력한다
제1 저장부(125)는 DSP(120)가 영상 신호처리를 수행함에 있어 필요한 기록공간을 제공하는 버퍼이다. 제1 저장부(125)는 플래시 메모리(189) 및/또는 SDRAM(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으로 구현할 수 있다. 특히 제1 저장부(125)는 DSP(120)에서 출력된 압축되지 않은 비디오 신호를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도 있다.
비디오 입력부(130)는 외부기기로부터 비디오 신호을 입력받아 DSP(120) 및/또는 백엔드부(150)로 전달한다.
오디오 처리부(140)는 마이크 등의 오디오 입력소자를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Analog to Digital Converting)하여 백엔드부(150)로 전달한다. 그리고, 오디오 처리부(140)는 백엔드부(15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Digital to Analog Converting)하여 스피커나 연결된 외부기기로 출력한다.
USB 인터페이스(145)는 PC, 프린터 등과 같은 USB 기기와 디지털 캠코더 간의 USB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비디오 출력부(135)는 백엔드부(150)에서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를 연결된 외부기기(예를 들면, TV)로 출력한다.
백엔드부(150)는 비디오 신호 및/또는 오디오 신호에 대한 압축, 신장, 재생처리 등의 신호처리를 담당하는 소자이다. 백엔드부(150)는 크게 디코더(152) 및 인코더(154)를 구비하고, 다시 인코더(154)는 비디오 인코더(153), 오디오 인코더(157), 및 혼합부(155)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디코더(152)는 DSP(12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이때, 영상은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지칭한다)을 디스플레이에 적합하게 압축해제하여 LCD(165) , 비디오 출력부(135) 및 오디오 처리부(140)로 출력한다.
그리고, 백엔드부(150)는 기록부(180)로부터 입력되는 압축 파일을 신장하여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복원하며, 복원된 비디오 신호는 LCD(165)로 출력하고, 복원된 오디오 신호는 오디오 처리부(140)로 출력한다.
복원된 영상을 LCD(165)로 출력함에 있어, 백엔드부(150)는 복원된 영상에 OSD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백엔드부(150)는 DSP(120)로부터 입력받은 MPEG 포맷의 파일을 기록부(180)로 전달하며, 기록부(180)로부터 입력받은 MPEG 포맷의 파일을 DSP(120)로 전달한다.
또한, 인코더(154)는 DSP(120)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처리부(140)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압축하고, 압축을 통해 생성한 압축 파일을 기록부(180)로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비디오 인코더(153)는 DSP(120) 또는 비디오 입력부(130)를 통해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를 소정 포맷으로 압축하고, 오디오 인코더(157)는 오디오 처리부(140)에서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소정 포맷을 압축한다. 또한, 혼합부(155)는 비디오 인코더(153)에서 출력되는 압축된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인코더(157)에서 출력되는 압축된 오디오 신호를 하나의 영상으로 혼합한다.
제2 저장부(160)는 백엔드부(150)가 신호처리를 수행함에 있어 필요한 기록공간을 제공하는 버퍼이다. 뿐만 아니라, 제2 저장부(160)에는 백엔드부(150)내의 혼합부(155)에 출력된 영상이 일시적으로 저장된다. 그리고, 제어부(195)의 제어하에 제2 저장부(160)내의 영상이 기록부(180)로 인가될 수 있다.
LCD(165)는 백엔드부(150)에서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소자의 일종이다.
EEPROM(175)은 백엔드부(150)가 신호처리/신호전달을 수행함에 있어 필요한 프로그램과 데이터가 기록된 메모리이다.
기록부(180)는 백엔드부(150)에서 출력되는 압축 파일을 기록매체에 기록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기록부(180)는 디스크 로더(181), 메모리카드 인터페이스(183), 멀티 슬롯(185), 메모리 컨트롤러(187) 및 플래시 메모리(189)를 구 비한다.
디스크 로더(181)는 백엔드부(150)로부터 입력되는 압축 파일을 장착된 디스크에 기록한다. 또한, 디스크 로더(181)는 장착된 디스크에 기록된 압축 파일을 읽어들여 백엔드부(150)로 출력한다. 디스크로서 CD(Compact Disk), DVD(Digital Versatile Disk), BD(Blue-ray Disk), HD-DVD(High Definition-DVD)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메모리카드 인터페이스(183)는 백엔드부(150)로부터 입력되는 압축 파일을 멀티 슬롯(185)에 장착되는 다양한 메모리카드에 기록한다.
또한, 메모리카드 인터페이스(183)는 장착된 다양한 메모리 카드에 기록된 압축 파일을 읽어들여 백엔드부(150)로 출력한다. 메모리 카드로서 MMC(MultiMedia Card), SD(Secure Digital)카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메모리 컨트롤러(187)는 백엔드부(150)로부터 입력되는 압축 파일을 내장된 메모리인 플래시 메모리(189)에 기록한다. 또한, 메모리 컨트롤러(187)는 플래시 메모리(189)에 기록된 압축 파일을 읽어들여 백엔드부(150)로 출력한다.
디스크, 메모리카드, 플래시 메모리(189)는 기록매체의 일종이다. 상술한 기록매체이외에도 광기록매체, HDD 또는 착탈식 기록매체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기록매체는 영상을 임시 저장하는 임시 저장영역과 영상을 기록하는 기록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영상이 기록매체 기록될 때 임시 저장영역에 저장된 영상이 기록영역에 기록되는 방식으로 기록이 수행될 수 있다.
조작부(190)는 디지털 캠코더의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버튼을 구비한 다. 선택버튼이 구비된 조작부(190)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촬영된 영상을 기록하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조작부(190)는 촬영모드와 재생모드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과 관련된 디지털 캠코더의 모드는 '타임 쉬프트 모드' 및 '기록모드'가 있다. '타임 쉬프트 모드'는 촬영된 소정 분량의 영상을 기록부(180)에 기록하기 전에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모드'이다. 그리고, '기록 모드'는 '기록 명령이 입력되면, 타임 쉬프트 모드시 저장부에 기저장되어 있는 영상을 기록부(180)에 기록하고 나서, 기록명령이 입력된 후에 촬영된 영상을 기록부(180)에 기록하는 모드'이다.
조작부(190)는 메뉴화면을 통해 사용자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195)는 조작부(19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조작명령에 따라 DSP(120)의 신호처리/신호전달 동작과 백엔드부(150)의 신호처리/신호전달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사용자가 조작부(190)를 통해 '타임 쉬프트 모드'를 입력하면, 제어부(195)는 혼합부(155)에서 출력된 영상을 제2 저장부(160)로 인가한다.
제어부(195)가 영상을 제2 저장부(160)에 저장함에 있어서, 제2 저장부(160)에 저장된 영상의 용량과 제2 저장부(160)에 저장될 영상의 용량을 제2 저장부(160)의 저장용량과 비교한다. 제2 저장부(160)에 저장된 영상 및 저장될 영상의 용량이 제2 저장부(160)의 저장용량 미만이면, 제어부(195)는 혼합부(155)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제2 저장부(160)에 저장한다. 그러나, 제2 저장부(160)에 저장된 영상 및 저장될 영상의 용량이 제2 저장부(160)의 저장용량 이상이면, 제어부(195)는 제2 저장부(160)에 가장 먼저 저장된 영상을 삭제한 후, 혼합부(155)에서 출력된 영상을 제2 저장부(160)에 저장한다.
또한, 사용자가 조작부(190)를 통해 '기록 모드'를 입력하면, 제어부(195)는, 제2 저장부(160)에 저장된 영상 중 소정 분량의 영상을 기록부(180)로 인가하여 기록하고 나서, 기록 모드 입력 후에 촬영된 영상을 기록부(180)에 인가한다.
한편, 제어부(195)는 백엔드부(150)에서 출력되는 압축 파일이 디스크, 메모리카드 및 플래시 메모리(189) 중 어느 하나에 기록되도록 백엔드부(150)와 기록부(180)를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타임 쉬프트 모드 명령이 입력된 후, 기록 모드 명령이 입력되면 영상이 기록부(180)에 기록되는 과정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캠코더의 영상을 기록하는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타임 쉬프트 모드 명령이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S210-Y), 백엔드부(150)는 압축된 영상을 생성한다(S220). 구체적으로, CCD(113)는 렌즈부(111)를 통해 입사되는 피사체의 광학상을 촬상하여 DSP(120)로 인가한다. DSP(120)는 CCD(113)에서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에 대한 포맷 변환과 비디오 스케일을 조정하기 위한 디지털 줌, AWB(Auto White Balance) 등을 수행하여, 백엔드부(150)로 출력한다.
그리고 백엔드부(150) 내의 비디오 인코더(153)는 DSP(120)에서 출력된 비디오 신호를 압축하여 혼합부(155)로 인가하고, 오디오 인코더(157)는 오디오 처리부(140)에서 출력된 오디오 신호를 압축하여 혼합부(155)로 인가한다. 그러면 혼합 부(155)는 압축된 비디오 신호 및 압축된 오디오 신호를 혼합하여 압축된 영상을 생성한다.
제어부(195)는 혼합부(155)에서 출력되는 압축된 영상을 제2 저장부(160)에 저장하기 위해 제2 저장부(160)에 저장된 영상의 용량과 제2 저장부(160)에 저장될 영상의 용량이 제2 저장부(160)의 저장용량 이상인지 판단한다(S230). 왜냐하면, 제2 저장부(160)의 저장용량은 한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제2 저장부(160)에 저장된 영상의 용량과 제2 저장부(160)에 저장될 영상의 용량이 제2 저장부(160)의 저장용량 이상이라고 판단되면(S230-Y), 제어부(195)는 제2 저장부(160)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 중 가장 먼저 저장된 영상을 삭제한다(S240). 그리고, S230단계를 반복한다.
그러나, 제2 저장부(160)에 저장된 영상의 용량과 제2 저장부(160)에 저장될 영상의 용량이 제2 저장부(160)의 저장용량 미만이라고 판단되면(S230-N), 제어부(195)는 혼합부(155)에서 출력된 영상을 제2 저장부(160)에 저장한다(S250). 이와 같이 S210 단계에서 S250단계까지 수행되는 일련의 과정이 타임 쉬프트 모드 명령이 입력되었을 때 디지털 캠코더가 수행하는 과정이다.
한편, 제어부(195)는 기록 모드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판단한다(S260).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촬상되는 피사체를 관찰하다가 기록하고자 하는 중요한 장면이 있으면, 사용자는 조작부(190)에 구비된 '기록 모드' 버튼을 선택한다. 그러면, 제어부(195)는 기록 모드 명령이 입력되었다고 판단한다.
기록 모드 명령이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S260-Y), 제어부(195)는 제2 저장 부(160)에 저장되어 있는 5분 분량의 이전 영상을 독출하여 기록부(180)로 인가하고, 기록부(180)는 인가받은 이전 영상을 기록한다(S270). 여기서 5분 분량의 이전 영상이라 함은, 기록 모드 명령이 입력된 시점을 기준으로, 5분 전에 촬영된 영상에서부터 기록 모드 명령이 입력되기 바로 직전에 촬영된 영상을 의미한다.
그리고, 촬영부(110)는 기록 모드 명령에 대응하여 영상을 촬영하고, 백엔드부(150)는 촬영된 영상을 압축한다(S280). 압축된 영상은 기록부(180)로 인가되고, 기록부(180)는 제2 저장부(160)에 인가된 5분 분량의 이전영상 다음에 압축된 영상을 기록한다(S290).
이와 같이, 기록 모드 명령이 입력되기 전에 촬영된 영상도 기록 모드 명령이 입력된 후에 촬영된 영상과 함께 기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타임 쉬프트 모드시 영상을 임시저장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기록하고자 하는 장면을 보다 안전하게 기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의 S270 및 S280에서는, 기록 모드 명령이 입력되면, 제2 저장부(160)에 저장된 이전 영상을 기록부(180)에 기록하고 나서, 기록 모드 명령에 따라 영상을 촬영한다고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타임쉬프트 모드인지 기록모드인지 관계없이 촬영부(110) 및 DSP(120)은 동일할 기능을 수행하고, 단지 백엔드부(150)는 타임쉬프트 모드시 압축된 영상을 제2 저장부(160)로 인가하고, 기록 모드시 압축된 영상을 기록부(180)로 인가할 뿐이다. 따라서, S270 및 S280 단계는 동일 시간대에 공존할 수 있다.
또한, 본원에서 백엔드부(150)는 타임쉬프트 모드시 압축된 영상을 제2 저장 부(160)로 인가하고, 기록 모드시 압축된 영상을 기록부(180)로 인가한다고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백엔드부(150)는 기록 모드시에도 압축된 영상을 기록부(180)이 아닌 제2 저장부(160)로 인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제어부(195)는 기록 모드 명령이 입력되면, 기록 모드 명령이 입력되는 시점을 기준으로 소급하여 소정 시간 이전에 촬영된 영상부터 촬영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제2 저장부(160)에 저장된 영상을 독축하여 기록로 인가한다. 그리고, 기록 중단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95)는 기록 중단 명령이 입력되기 직전에 촬영된 영상까지 제2 저장부(160)에서 독출하여 기록부(180)로 인가한다. 그리고 기록부(180)는 인가받은 영상을 기록한다.
또한, 소정 분량의 이전 영상는 사용자에 의해서 자유로이 설정할 수 있음도 물론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실시예에서 제시한 디지털 캠코더가 아닌 다른 촬영장치에도 적용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기록 명령이 입력되기 전에 촬영된 영상 임시로 저장할 수 있고, 기록명령이 입력되면 기록 명령에 따라 촬영된 영상 뿐만 아니라, 이전에 촬영된 영상도 함께 기록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6)

  1.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임시 저장하는 저장부; 및
    타임 쉬프트 명령이 입력된 후 기록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기록 명령에 대응하여 촬영된 영상보다 특정 시간 이전에 촬영된 영상부터 상기 기록 명령에 대응하여 촬영된 영상을 상기 저장부에 임시 저장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의 용량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될 영상의 용량이 상기 저장부의 저장용량 이상이 되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 중 가장 먼저 저장된 영상을 상기 저장부로부터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영상을 기록하는 기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기록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이전 영상을 독출하고, 독출된 상기 이전 영상이 상기 기록부에 기록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전 영상이 상기 기록부에 기록되고 나서, 상기 기록명령에 대응하여 촬영된 영상이 상기 기록부에 기록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서 독출된 상기 이전 영상은,
    상기 기록명령이 입력될 때 촬영된 영상보다 특정 시간 이전에 촬영된 영상에서부터 상기 기록명령에 대응하여 촬영된 영상의 직전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5. 삭제
  6.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타임 쉬프트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타임 쉬프트 명령이 입력된 후 기록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기록 명령에 대응하여 촬영된 영상보다 특정 시간 이전에 촬영된 영상부터 상기 기록 명령에 대응하여 촬영된 영상을 임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저장단계는,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의 용량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될 영상의 용량이 상기 저장부의 저장용량 이상이 되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 중 가장 먼저 저장된 영상을 상기 저장부로부터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기록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기록 명령이 입력되면, 저장된 상기 이전 영상을 독출하는 단계; 및
    독출된 상기 이전 영상을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 영장치의 제어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단계는,
    독출된 상기 이전 영상을 기록하고 나서, 상기 기록명령에 대응하여 촬영된 영상을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독출된 상기 이전 영상은,
    상기 기록명령이 입력될 때 촬영된 영상보다 특정 시간 이전에 촬영된 영상에서부터 상기 기록명령에 대응하여 촬영된 영상의 직전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070002166A 2007-01-08 2007-01-08 타임쉬프트 기능을 제공하는 촬영장치 및 그 방법 KR1013232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2166A KR101323219B1 (ko) 2007-01-08 2007-01-08 타임쉬프트 기능을 제공하는 촬영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2166A KR101323219B1 (ko) 2007-01-08 2007-01-08 타임쉬프트 기능을 제공하는 촬영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5146A KR20080065146A (ko) 2008-07-11
KR101323219B1 true KR101323219B1 (ko) 2013-10-30

Family

ID=39816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2166A KR101323219B1 (ko) 2007-01-08 2007-01-08 타임쉬프트 기능을 제공하는 촬영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32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6176B1 (ko) * 2013-09-27 2020-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촬영 장치 및 방법
JP6438046B2 (ja) * 2014-04-04 2018-12-12 レッド.コム,エルエルシー キャプチャモード付きビデオカメラ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7901U (ko) * 1995-01-12 1996-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전 영상신호를 저장하는 기능이 있는 캠코더
KR100251957B1 (ko) * 1997-12-12 2000-04-15 윤종용 이전화면에 대한 선택적 스냅샷 기능을 구비한디지털비디오캠코더 및 그 구현 방법
KR20050052312A (ko) * 2004-03-02 2005-06-02 변동환 소급 녹화 및 실시간 편집 가능한 디지털 캠코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7901U (ko) * 1995-01-12 1996-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전 영상신호를 저장하는 기능이 있는 캠코더
KR100251957B1 (ko) * 1997-12-12 2000-04-15 윤종용 이전화면에 대한 선택적 스냅샷 기능을 구비한디지털비디오캠코더 및 그 구현 방법
KR20050052312A (ko) * 2004-03-02 2005-06-02 변동환 소급 녹화 및 실시간 편집 가능한 디지털 캠코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5146A (ko) 2008-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92273B2 (en) Digital camera accommodating recording media from other digital cameras
JP4725183B2 (ja) 撮像装置、および方法
KR101357776B1 (ko) 설정정보 변경이 용이한 촬영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7535495B2 (en) Digital camera, control method thereof and portable terminal
KR100971741B1 (ko) 촬상장치
JP4993012B2 (ja) 撮像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
KR101341983B1 (ko) 화상 처리장치, 촬상 장치 및 화상 처리방법과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080103740A (ko) 통합 단자를 갖는 영상기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6261953A (ja) 記録再生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撮像装置
JP4901673B2 (ja) 撮像装置、記録装置、再生装置、撮像方法、記録方法、再生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323219B1 (ko) 타임쉬프트 기능을 제공하는 촬영장치 및 그 방법
JP5164610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4015580A (ja) 記録装置
KR100714697B1 (ko) 동영상 녹화 장치 및 방법
KR101480407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이의 제어 방법 및 상기 제어방법을 기록한 기록 매체
JP2008160564A (ja) カメラ装置およびカメラ装置におけるチャプタデータ生成方法
JP4462660B2 (ja) 静止画像記録装置及び方法並びに撮像装置
JP5159473B2 (ja) 撮像装置
JP2004120367A (ja) デジタルカメラ
JP4332811B2 (ja) 撮像装置、携帯電話装置、および画像データ再生方法
KR101545902B1 (ko) 촬상 장치, 기록 장치, 재생 장치, 촬상 방법, 기록 방법, 재생 방법 및 기록 방법에 관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저장 매체
KR20080057142A (ko) 카메라 기기 및 카메라 기기의 정지 화상 생성 방법
JP4228479B2 (ja)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JP4234662B2 (ja) 電子機器およびそのデータ記録方法
JP2001057647A (ja)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