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3184B1 - 와이퍼 블레이드 - Google Patents

와이퍼 블레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3184B1
KR101323184B1 KR1020087006914A KR20087006914A KR101323184B1 KR 101323184 B1 KR101323184 B1 KR 101323184B1 KR 1020087006914 A KR1020087006914 A KR 1020087006914A KR 20087006914 A KR20087006914 A KR 20087006914A KR 101323184 B1 KR101323184 B1 KR 1013231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ping
wiper blade
wiping strip
tilting
we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6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3281A (ko
Inventor
한스 브라운
파울 빈넨
빔 부제이네
빔 베르보벤
스벤 볼프가르텐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80063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32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3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31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06Means, or measures taken, for influencing the aerodynamic quality of the wipe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2001/3827Wiper blades characterised by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or wiping element
    • B60S2001/3829Wiper blades characterised by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or wiping element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squeegee or coat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2001/3827Wiper blades characterised by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or wiping element
    • B60S2001/3836Wiper blades characterised by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or wiping element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 Ink J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핑 스트립(24)을 구비한 와이퍼 블레이드(10)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와이핑 스트립은 틸팅 웨지(38)(tilting wedge) 그리고 와이핑 스트립 후방부(rear)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핑 스트립 후방부들은 하나의 틸팅 웨브(36)를 통해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틸팅 웨브(36)의 측면에는 추가의 웨브(42)가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와이퍼 고무(wiper rubber)의 경도가 적어도 64 쇼어(Shore)를 초과하지 않고, 상기 웨브들 사이의 간격이 변동되며, 마찰값이 1보다 작거나 또는 특수한 타입의 고무를 제공하는 것이 제안된다.

Description

와이퍼 블레이드 {WIPER BLADE}
본 발명은 독립 청구항의 전제부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에 관한 것이다.
스프링 밴드 형태의 지지 소자를 구비한 상기와 같은 와이퍼 블레이드의 경우에, 상기 지지 소자는 와이퍼 암으로부터 유래하여 유리창에 작용하는 와이퍼 블레이드의 압착력을, 와이퍼 블레이드가 적용되는 전체 와이핑 필드에 걸쳐서 가급적 균일하게 보장해야만 한다. 상기 하중을 받지 않은 지지 소자의 상응하게 사전에 결정된 곡률에 의해서 - 다시 말해 단지 와이퍼 블레이드의 양쪽 단부만 창유리에 인접하는 경우에는 - 구 모양으로 구부러진 차량 창유리의 곡률 반지름이 와이퍼 블레이드의 각각의 위치에서 변동되더라도,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작동 중에 창유리에 완전하게 적용되는 와이핑 블레이드의 단부들은 바로 그때에 창유리에 대하여 인장된 지지 소자에 의해서 하중을 받게 된다. 다시 말하자면, 와이퍼 블레이드의 곡률은 와이핑 필드 안에 있는 세척될 창유리에서 측정된 가장 큰 곡률보다 약간 더 클 수밖에 없는데, 그 이유는 와이핑 작동 중에는 와이핑 스트립 혹은 창유리에 인접하는 상기 와이핑 스트립의 와이퍼 립(wiper lips)이 소정의 파워로 지속적으로 창유리를 향하여 프레스 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지지 소자는 종래의 와이퍼 블레이드(DE-OS 15 05 397)에서 실시되는 바와 같은, 와이핑 스트립 내에 배치된 두 개의 스프링 레일을 구비한 복잡한 지지 브래킷(bracket) 구조를 대체해 주는데, 그 이유는 상기 지지 소자가 압착력 분배 기능 외에 고무 탄성적인 와이핑 블레이드에 필수적인 가로 보강 효과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자면, 상기 공지된 와이퍼 블레이드의 경우에, 하나의 와이퍼 암에 의해서 메인 브래킷에 가해지는, 창유리 쪽을 향하는 지지력은 두 개의 클로 브래킷(claw bracket)으로 전달되고, 상기 두 개의 클로 브래킷으로부터 네 개의 클로를 거쳐 고무 탄성적인 와이핑 스트립에 분배된다.
스프링 탄성적인 지지 소자를 구비한 와이퍼 블레이드의 경우에, 상기 지지 소자는 차량 창유리 방향으로는 스프링 탄성을 가지고, 와이퍼가 움직이는 방향으로는 소정의 휨 강도(bending stiffness)를 갖는다. 작동 상태에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는 와이퍼 암의 지지력에 의해서 차량 창유리 방향 쪽으로 하중을 받으며, 이 경우에는 와이퍼 립이 차량 창유리에 인접한다.
와이핑 중에는, 선회 동작에 의해서 발생하는 파워가 고무 프로파일 측면에서 작용한다. 와이핑 스트립 후방부는 상기 측면 파워에 의해서 움직이는 반면, 와이퍼 립은 처음에는 자신의 위치를 유지한다. 이 경우에는, 상기 와이핑 스트립 후방부와 틸팅 웨지(tilting wedge) 사이에 있는 얇은 웨브(web)가 자체의 높은 탄성 변형 가능성 때문에 틸팅 조인트로서 작용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와이퍼 립은 상기 틸팅 웨지에서는 유리 표면에 대하여 대략 55°의 영각(attack angle)을 취하게 된다. 이와 같은 끌어당기는 위치는 와이퍼 립의 작동 위치이다. 상기 위치에서 틸팅 웨지는, 상기 틸팅 웨지의 외부 상부 쇼울더(shoulder)가 와이핑 스트립 후방 부의 하부면에 인접할 정도까지 기울어진다. 창유리 와이퍼의 진자와 같은 와이핑 동작으로 인해, 상기 동작의 최종 위치에서는 방향 전환점이 나타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틸팅 웨지는 반대 방향으로 접히고, 곧 이어서 재차 끌어 당겨진 작동 위치를 취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접히는 과정에 의하여, 특히 와이퍼 블레이드의 경우에는, 스프링 탄성적인 지지 소자에 의해 장애를 일으키는 잡음이 형성된다. 또한, 와이퍼 고무는 틸팅 웨브의 영역에서는 매우 심하게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이와 같은 탄성 변형은 사용 시간의 경과에 따라 와이퍼 고무 프로파일을 영구적으로 변형시키고, 상기 와이퍼 고무 프로파일의 변형은 처음에는 단지 창유리 와이퍼의 와이핑 효과에만 악영향을 미치다가, 나중에는 심지어 접히는 동작까지 방해할 수도 있다.
독일 실용신안 DE 9104461.8 U1호에는, 와이핑 블레이드 후방부와 틸팅 웨지의 스토핑 쇼울더 사이에 댐핑 스트립(damping strip)이 제공된 와이핑 스트립이 공지되어 있다. 상기 와이핑 스트립의 틸팅 웨지가 방향 전환점에서 접히면, 상기 쇼울더는 우선 댐핑 스트립에 충격을 가하게 되고, 상기 댐핑 스트립이 와이핑 스트립 후방부에 인접할 때까지 상기 댐핑 스트립을 밀어준다. 그럼으로써, 작용 속도에 제동이 걸리고, 접히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도 감쇄된다. 하지만, 스프링 탄성적인 지지 소자들을 구비한 와이퍼 블레이드의 경우에는 상기 댐핑 정도가 항상 충분하지는 않다. 특히 와이퍼 블레이드의 길이가 매우 긴 경우에는, 접히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이 장애를 일으키게 된다.
독립 청구항의 특징들을 갖는 와이퍼 블레이드의 장점은, 틸팅 웨브의 측면에 배치된 추가의 웨브들에 의하여, 경사 위치가 증가함에 따라 한 측면에서는 틸팅 웨지에 상승된 압력이 가해지고, 다른 측면에서는 상기 틸팅 웨지에 상승된 인장력이 가해짐으로써, 상기 추가의 웨브들이 변위 과정을 연속적으로 감쇠시킨다는 것이다. 따라서, 한편으로는, 원하는 바와 같이, 틸팅 웨지의 쇼울더가 완전한 속도로 와이핑 스트립 후방부의 쇼울더를 향하여 충돌하는 현상이 방지되고, 그럼으로써 접히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장애를 일으키는 잡음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 끌어당기는 위치에 있는 틸팅 웨지에 가해지는 지속적인 파워는 변위 자체가 전환점에서 확실하게 이루어지도록 영향을 미친다. 특히 이미 오랜 시간 동안 주변 영향들에 노출되었던 와이퍼 블레이드의 경우에는, 때때로 문제점들이 발생할 수 있다. 부드러운 와이퍼 고무가 사용됨으로써, 상기와 같은 조치는 보완된다. 이와 같은 보완은 웨브들이 추가의 지지 기능까지 담당하기 때문에 가능해지며, 만약에 상기와 같은 지지 기능이 없다면, 틸팅 웨브는 와이퍼 고무가 부드러운 경우에는 단지 단시간 동안만 하중을 유지하게 될 것이다. 웨브의 사용에 의하여 주관적인 잡음 감도가 이미 1/4로 줄어들 수 있다면, 부드러운 와이퍼 고무의 사용에 의해서는 상기 값이 다시 한 번 동일한 팩터만큼 줄어들게 된다.
웨브를 사용하면 64 쇼어(Shore) 미만의 와이퍼 고무 경도가 선택될 수 있다고 나타났다. 이와 같은 정도의 경도에서는, 웨브에 의해서 이미 주관적인 잡음 감도가 현저하게 줄어들고, 와이핑 스트립은 오랜 기간 동안 수명을 보장해주는 범위 안에서 자신의 기계적인 값들을 유지하게 된다. 웨브가 없고 경도가 약간 더 큰 대등한 와이핑 스트립에 비해, 경우에 따라서는 심지어 사용 기간의 연장까지도 기대할 수 있다. 경도가 50 내지 60 쇼어 사이에서 변동되면, 인식 가능한 정도로 수명을 줄이지 않으면서 잡음을 더욱 줄일 수 있다.
54 내지 58 쇼어의 경도를 갖고, 최적 조건이 56 쇼어인 와이퍼 블레이드가 선택되면, 접히는 과정에서 주관적으로 느끼게 되는 잡음은 청력 한계의 범위까지 줄어들 수 있으며, 그럼에도 전체적인 와이핑 동작 그리고 와이퍼 블레이드의 수명은 용인할 수 있는 정도 이상으로 유지된다.
접히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을 줄일 수 있는 추가의 가능성은, 웨브들의 상호 간격을 와이퍼 블레이드를 따라가면서 변동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은 가능성에서의 장점은, 파워가 높은 영역, 다시 말해 연결 장치의 영역에서 웨브 밀도가 더 높으면, 상기 웨브들의 상호 간격은 와이퍼 블레이드의 적어도 한 단부 영역에서보다 더 작다는 것이다. 이 경우에도 와이퍼 블레이드의 기계적인 안정성은 오히려 개선되고, 그럼에도 접히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은 줄어든다. 따라서, 연결 장치가 와이퍼 블레이드의 중간 영역에 배치되는 상황이 매우 빈번하게 발생하는 경우에는, 상기 중간 영역으로부터 와이퍼 블레이드의 단부들까지의 간격이 커진다고 나타났다.
틸팅 영역에 웨브를 구비한 와이퍼 블레이드 그리고 창유리와의 마찰값이 1보다 작은 와이퍼 고무의 표면이 조합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접히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에 대하여 주관적으로 감지하는 음의 크기는 줄어들 수 있다. 이와 같은 감소 정도는 상기 마찰값이 0.8 또는 특히 0.6인 경우에는 더 증가할 수 있다.
틸팅 영역에 있는 웨브들과 관련하여 와이핑 스트립의 재료를 특수한 재료로 선택함으로써도, 접히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의 음 크기가 영향을 받을 수 있다. 한 바람직한 경우에는, 와이퍼 고무는 실제로 폴리클로로프렌(Polychloroprene)으로 이루어진다. 와이퍼 고무가 EPDM, CR 또는 천연 고무와 같은 재료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재료를 함유하는 경우에도, 접히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에 대하여 주관적으로 느끼는 음의 크기는 줄어들 수 있다.
도 1은 일점쇄선으로 표시된 와이퍼 암을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사시도이며,
도 2는 지지 소자가 표시된, 도 1에 비해 확대 도시된 와이핑 스트립이고,
도 3은 도 2의 선 Ⅲ-Ⅲ을 따라 절단한 단면이며,
도 4는 도 3에 따른 한 변형예이고,
도 5는 도 2의 화살표 V를 따라 바라보고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6은 도 5의 세부 사항 Ⅵ의 한 변형예이고,
도 7 및 도 8은 도 6의 변형예이며, 그리고
도 9는 도 1의 추가의 변형예이다.
도 1에 도시된 와이퍼 블레이드(10)는 밴드 형태로 길게 늘어진, 스프링 탄성적인, 하나 또는 다수의 부품으로 구성된 지지 소자(12)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소자는 하중을 받지 않은 상태에서는 세로 방향으로 구부러져 있다. 세척될 창유리(14)로부터 떨어져서 마주한, 상기 지지 소자의 볼록한 상부 또는 외부 밴드 측면(16)(도 1 및 2)의 중앙 섹션에는, 예를 들어 상기 밴드 측면에 평탄하게 인접하는 연결 장치(18)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 장치에 의해 와이퍼 블레이드(10)는 자동차 차체에서 뻗는, 구동된 와이퍼 암(20)과 해체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구부러진 지지 소자(12)의 창유리를 향하고 있는 오목한 하부 또는 내부 밴드면 또는 밴드 측면(22)에는 길게 늘어진, 고무 탄성적인 와이핑 스트립(24)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와이핑 스트립은 세로 축과 평행하게 지지 소자(12)까지 연장된다. 와이퍼 암의 자유 단부에는,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대응 연결 수단들이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 수단들은 와이퍼 블레이드의 연결 장치(18)와 조인트의 방향으로 상호 작용한다.
와이퍼 암(20) 그리고 그와 더불어 와이퍼 블레이드(10)도 세척될 창유리에 대하여 화살표(26)의 방향으로 하중을 가하고 있으며, 상기 창유리의 세척될 표면은 도 1에서 일점쇄선(14)으로 표시되어 있다. 상기 일점쇄선이 창유리 표면의 가장 큰 곡률을 나타내주기 때문에, 그 단부(10')가 창유리(14)에 인접하는, 여전히 하중을 받지 않는 와이퍼 블레이드(10)의 곡률은 최대 창유리 곡률보다 더 크다는 사실을 분명하게 알 수 있다. 다시 말해, - 하중을 받지 않은 상태에서 - 와이퍼 블레이드는 창유리에 대하여 오목한 형태로 진행한다. 압착력(화살표(26)) 하에서는, 와이핑 동작을 수행하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10)의 와이퍼 립(28)은 자신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창유리 표면(14)에 인접하고, 연장 위치와 거의 근사한 작동 위치로 변형된다. 이때 밴드 형태의 스프링 탄성적인 지지 소자(12) 내에서는 응력이 형성되며, 상기 응력은 와이핑 스트립(24) 혹은 상기 와이핑 스트립의 와이퍼 립(28)이 자신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자동차 창유리(14)에 정상적으로 인접하도록 해준다. 일반적으로 구 모양으로 구부러진 창유리가 구형 표면의 한 섹션이 아니기 때문에, 와이퍼 블레이드(10)는 자신의 와이핑 동작(화살표 (30)) 중에 와이퍼 암(20)에 대하여, 창유리 표면(14)의 개별 위치 및 진행 형태에 계속해서 적응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와이퍼 암(20)과 와이퍼 블레이드(10) 사이에서는, 연결부의 조인트 축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진동 동작(이중 화살표 (32))을 가능케 하는 관절 형태의 연결부가 반드시 필요하다.
도 2에 도시된 와이핑 스트립(24)은 와이핑 스트립 후방부(34)를 가지며, 상기 후방부는 틸팅 웨브(36)를 통해 틸팅 웨지(38)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틸팅 웨지의 하부면에는 와이퍼 립(28)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틸팅 웨브(36)의 측면에서는 두 개의 세로 방향 홈(40)이 연장되며, 상기 홈의 상부면은 와이핑 스트립 후방부(34)에 의해서 형성되고, 상기 홈의 하부면은 틸팅 웨지(38)에 의해서 형성된다. 세로 방향 홈(40) 내부에는, 상기 세로 방향 홈(40)의 길이에 걸쳐서 웨브들(42)이 분배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웨브들은 틸팅 웨브(36)의 측면에 배치되어 있다.
각각의 웨브(42)는 틸팅 웨브(36)로부터 출발하여 측면에서 상기 세로 방향 홈(40)의 개방된 측면을 향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와이핑 스트립 후방부(34)를 틸팅 웨지(38)와 연결한다. 상기 웨브(42)는 와이핑 스트립(24)의 부분이기 때문에, 와이핑 스트립 후방부(34), 틸팅 웨브(36) 그리고 틸팅 웨지(38)와 재료 결합 방식 으로 연결되어 있다. 하지만, 웨브(42)를 별도로 형성하여 세로 방향 홈(40) 내부에 삽입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와이핑 스트립(24)을 위한 재료로서는 부드러운 와이핑 고무가 선택되었다. 와이핑 고무의 경도는 쇼어 단위로 지시되며, 상기 경도의 측정 치수는 소정의 파워가 가해질 때에 표준 바디를 와이핑 고무의 표면 내부로 삽입하기 위한 파워와 등가이다. 종래의 와이핑 고무들은 64 쇼어 이상의 경도를 갖는다. 틸팅 웨브(36)의 영역에 웨브(42)를 사용하면, 와이퍼 블레이드의 안정도가 전체적으로 상승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는 와이핑 고무를 위하여 50 내지 60 쇼어의 경도, 특히 54 내지 58 쇼어의 경도도 선택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와이핑 고무는 56 쇼어의 경도를 가지며, 이와 같은 경도를 갖는 와이핑 고무에 의해서는, 접히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은 웨브가 없고 보다 단단한 와이핑 고무를 갖춘 하우징의 1/16까지 줄어들게 된다.
접히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의 음 크기가 공지된 측정 단위인 손(Sone)으로 지시되면, 웨브가 없고 표준적인 경도를 갖는 종래의 와이퍼 블레이드에서 상기 음의 크기는 거의 12 손의 값에 해당한다. 경도가 56 쇼어인 와이핑 고무와의 연결부에 웨브를 삽입함으로써, 접히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의 음 크기는 1 손 미만까지 줄어들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정도는 알람 시계의 똑딱거리는 소리보다 더 낮다.
도 3에서는, 각각의 웨브(42)가 틸팅 웨브(36)로부터 출발하여 상기 틸팅 웨브(36)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웨브(42)가 틸팅 웨브(36)의 양면에 배치되어 있다는 것도 알 수 있다. 도 3의 웨브들(42)이 상기 틸팅 웨브(36)의 양 측면에 일직선으로 배치되어 있다면, 도 4는 상기 양 측면의 웨브들(42)이 각각 변위 배치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웨브들(42) 상호 간의 간격(a)은 10 mm 내지 50 mm이고, 바람직하게는 20 mm이다. 도 4에 따라 웨브들(42)이 변위 배치된 경우에, 상기 웨브들(42)을 틸팅 웨브(36)의 양 측면에서 바라본다면, 각각 10 mm의 간격이 나타나게 된다. 와이퍼 스트립(24)의 길이에 걸쳐서 웨브들(42)은 균일하게 제공된다. 하지만, 예를 들어 공명의 이유에서, 상기 간격(a)을 와이핑 스트립(24)의 길이에 걸쳐서 변동시키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간격(a)은, 와이퍼 블레이드의 중간 영역, 즉 연결 장치(18)의 영역에서는 상기 간격이 더 작고, 와이퍼 블레이드(10)의 단부 쪽으로 가면서 상기 간격이 증가하는 방식으로 변동된다. 따라서, 간격(a1)은 간격(a2)보다 작고, 상기 간격(a2)은 간격(a3)보다 작으며, 상기 간격(a3)은 재차 간격(a4)보다 작다. 웨브의 개수는 당연히 실시예에 도시된 개수로 한정되지 않으며, 오히려 특히 와이퍼 블레이드의 길이에 따라서 결정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핑 고무와 창유리(14) 사이에서는 마찰값(R)을 갖는 마찰이 우세하다. 도 2에서 와이퍼 블레이드는 정지 위치에서 도시되어 있고, 끌어당기는 위치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실시예에서, 와이핑 고무의 표면은, 창유리(14)와 와이핑 고무 사이의 마찰이 마찰값 R = 0.6에 의해서 결정되는 특성을 갖는다. 이와 같은 상황은 웨브(42)와 연합하여 최상의 상태를 만들어준 다. 마찰값 R을 0.8 미만으로 또는 1 미만으로 설정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와이핑 스트립(24)의 와이핑 고무는 여러 실시예들에서 실제로 폴리클로로프렌으로 이루어졌다. 하지만, 상기 와이핑 고무는 EPDM, CR 또는 천연고무 재료들 중에서 한 가지 재료를 함유할 수도 있다.
틸팅 웨브(36)는 와이핑 스트립 후방부(34)와 틸팅 웨지(38) 사이에 존재하는 고유한 작용 연결부로서, 상응하게 치수 설계되어야만 한다. 웨브(42)의 두께(d)는 상기 틸팅 웨브(36)의 두께(D)보다 더 작게 유지된다.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웨브(42)의 두께(d)는 틸팅 웨브(36)의 두께(D)의 절반이다.
언급한 바와 같이, 웨브(42)는 와이핑 스트립 후방부(34)와 틸팅 웨지(38) 사이에 존재하는 연결부이고, 상기 틸팅 웨브(36)로부터 출발하여 상기 세로 방향 홈(40)의 각각 하나의 개방된 측면까지 연장된다. 이 경우에 분명한 사실은, 제조와 관련된 여러 가지 이유들에서, 웨브(42)를 틸팅 웨브(36)와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하지만, 웨브(42)와 틸팅 웨브(36) 사이에 있는 틈을 그대로 유지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세로 방향 홈(40)의 개방된 측면에 대해서도 상황은 유사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브(42)는 와이퍼 스트립 후방부(34)의 외부 에지(44)를 틸팅 웨지(38)의 외부 에지(46)와 직선(45)으로 연결한다.
도 6 내지 도 8에는, 도 5에 대한 변형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6에서 두 개 외부 에지(44 및 46)의 연결부는 중공 웨지(48)의 형태로 형성되었고, 이와 같은 형상은 챔퍼링(chamfering) 작용이 작다는 장점을 갖는다. 도 7에 도시된 예는 세 가지 변형예들 중에 한 변형예다. 웨브(42)의 외부 측면(50)은 비스듬하게 진 행하고, 상기 외부 에지들 중에서 단 하나의 외부 에지(44 또는 46)와만 연결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모든 웨브들(42)이 외부 에지(44)로부터 또는 외부 에지(46)로부터 출발하여 세로 방향 홈(40) 내부로 비스듬하게 진행하도록 상기 웨브들(42)을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외부 에지(44) 또는 상기 외부 에지(46)로부터 각각 교대로 출발하도록 형성할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한다. 도 8에 따른 추가의 한 변형예에서는, 각 웨브(42)의 외부 측면(52)이 각각의 세로 방향 홈(40) 내부로 변위 되었다. 따라서, 상기 외부 측면은 상기 외부 에지들 중에서 어떤 외부 에지(44 또는 46)와도 접촉하지 않게 된다.
와이퍼 블레이드(10)의 접히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을 줄이거나 또는 완전히 제거하려는 목적은 도 5 내지 도 8에 따른 각각의 변형예에 의해서 달성된다. 웨브(42)의 외부 측면을 상응하게 형성함으로써, 상이한 요구 조건들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중요한 것은, 웨브(42)에 할당될 스프링 특성 곡선이 상기 외부 측면의 형태에 의해서 강하게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이다. 상기 스프링 특성 곡선은 예를 들어 더 비스듬하게 또는 더 평탄하게 형성되거나 또는 체감적인(degressive) 혹은 점진적인(progressive) 진행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웨브(42)의 외부 측면의 상이한 형태들을 서로 조합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합은 웨브들(42)이 연속하는 경우에 이루어질 수 있거나 또는 하나의 웨브(42) 안에 있는 상기 웨브의 외부 에지에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에는, 웨브들(42)이 각각 단 하나의 측면(54 혹은 56)에서만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마주 놓인 측면(56 혹은 54)에서는 단지 인접만 하거나 또는 심지어 작은 간격조차도 갖지 않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연속하는 웨브들(42)이 교대로 자신의 상부 측면(54)에 그리고 자신의 하부 측면(56)에 일체로 형성되고, 마주 놓인 측면은 각각 비어 있는 형상도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와이핑 스트립 후방부(34)로부터 출발하는 웨브(42)에 의해서는 압력은 틸팅 웨지(38)에 가해질 수 있으나, 인장력은 중단된다.
다수의 틸팅 웨브들(36)이 위·아래로 겹쳐서 배치된 와이퍼 블레이드(10)의 경우에는, 상기 틸팅 웨브(36)에 상응하는 웨브들(42)이 각각의 틸팅 웨브에 할당될 수 있다는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와이퍼 블레이드들이 상기와 같이 높게 구성되는 경우에도, 접히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에 대하여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게 된다.

Claims (10)

  1. 와이핑 스트립(24)을 구비하며, 상기 와이핑 스트립이 틸팅 웨지(38) 그리고 와이핑 스트립 후방부(34)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핑 스트립 후방부는 하나의 틸팅 웨브(36)를 통해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틸팅 웨브(36)의 측면에 추가의 웨브들(42)이 배치되어 있는 와이퍼 블레이드에 있어서,
    와이핑 고무가 제공되며,
    상기 웨브들(42)의 간격은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10)의 적어도 한 단부 영역에서보다 연결 장치(18)의 영역에서 더 작은 간격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핑 고무의 경도가 64 쇼어(Shore)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핑 고무의 경도가 50 내지 60 쇼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4. 와이핑 스트립(24)을 구비하며, 상기 와이핑 스트립이 틸팅 웨지(38) 그리고 와이핑 스트립 후방부(34)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핑 스트립 후방부들은 하나의 틸팅 웨브(36)를 통해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틸팅 웨브(36)의 측면에 추가의 웨브들(42)이 배치되어 있는,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에 있어서,
    상기 웨브들(42)은 와이핑 스트립(24)의 길이에 걸쳐서 상호 이격되어 있고, 그 간격은 상기 와이핑 스트립(24)의 길이를 따라가면서 변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5. 삭제
  6. 제 4 항에 있어서,
    연결 장치(18)가 와이퍼 블레이드의 중간 영역에 배치되어 있고, 웨브들의 상호 간격은 상기 중간 영역으로부터 와이퍼 블레이드(10)의 단부 쪽으로 가면서 점차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7. 와이핑 스트립(24)을 구비하며, 상기 와이핑 스트립이 틸팅 웨지(38) 그리고 와이핑 스트립 후방부(34)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핑 스트립 후방부는 하나의 틸팅 웨브(36)를 통해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틸팅 웨브(36)의 측면에 추가의 웨브들(42)이 배치되어 있는,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에 있어서,
    상기 와이핑 고무의 표면은 1보다 작은 마찰값(R)으로 창유리와 마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핑 고무의 표면은 0.8 미만의 마찰값(R)으로 창유리와 마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9. 와이핑 스트립(24)을 구비하며, 상기 와이핑 스트립이 틸팅 웨지(38) 그리고 와이핑 스트립 후방부(34)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핑 스트립 후방부들은 하나의 틸팅 웨브(36)를 통해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틸팅 웨브(36)의 측면에 추가의 웨브들(42)이 배치되어 있는, 제 7 항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에 있어서,
    와이핑 고무가 폴리클로로프렌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10. 와이핑 스트립(24)을 구비하며, 상기 와이핑 스트립이 틸팅 웨지(38) 그리고 와이핑 스트립 후방부(34)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핑 스트립 후방부는 하나의 틸팅 웨브(36)를 통해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틸팅 웨브(36)의 측면에 추가의 웨브들(42)이 배치되어 있는,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에 있어서,
    와이핑 고무가 EPDM, CR 또는 천연 고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KR1020087006914A 2005-09-28 2006-09-07 와이퍼 블레이드 KR1013231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5046587.0 2005-09-28
DE102005046587A DE102005046587A1 (de) 2005-09-28 2005-09-28 Wischblatt
PCT/EP2006/066126 WO2007036420A1 (de) 2005-09-28 2006-09-07 Wischblat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3281A KR20080063281A (ko) 2008-07-03
KR101323184B1 true KR101323184B1 (ko) 2013-10-30

Family

ID=37433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6914A KR101323184B1 (ko) 2005-09-28 2006-09-07 와이퍼 블레이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778559B2 (ko)
KR (1) KR101323184B1 (ko)
DE (1) DE102005046587A1 (ko)
WO (1) WO20070364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33594B4 (de) * 2007-07-19 2020-08-06 Volkswagen Ag Wischerblatt für einen Scheibenwischer
FR2919553B1 (fr) * 2007-07-30 2009-10-23 Valeo Systemes Dessuyage Balai d'essuie-glace
EP2105362B2 (en) * 2008-03-28 2017-11-29 Federal-Mogul S.a. Wiper blad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12081A1 (de) 1996-03-27 1997-10-02 Bosch Gmbh Robert Wischerblatt
KR20020030918A (ko) * 2000-10-18 2002-04-26 류정열 자동차용 윈드 실드 와이퍼의 블레이드
JP2004017910A (ja) 2002-06-20 2004-01-22 Honda Motor Co Ltd ワイパブレードラバー
FR2867738A1 (fr) * 2004-03-16 2005-09-23 Volkswagen Ag Balai d'essuie-glace exempt d'etrier de retenu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096321A (fr) * 1953-03-09 1955-06-17 Productive Inv S élément perfectionné pour essuie-glace de pare-brise
DE1505397A1 (de) 1965-05-07 1969-10-30 Bosch Gmbh Robert Scheibenwischer fuer Fahrzeuge
DE9104461U1 (ko) 1991-04-12 1992-08-06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De
DE19805026C2 (de) * 1998-02-09 2000-01-20 Bosch Gmbh Robert Wischerblatt
DE102004050163A1 (de) * 2004-10-14 2006-04-27 Volkswagen Ag Wischblat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12081A1 (de) 1996-03-27 1997-10-02 Bosch Gmbh Robert Wischerblatt
KR20020030918A (ko) * 2000-10-18 2002-04-26 류정열 자동차용 윈드 실드 와이퍼의 블레이드
JP2004017910A (ja) 2002-06-20 2004-01-22 Honda Motor Co Ltd ワイパブレードラバー
FR2867738A1 (fr) * 2004-03-16 2005-09-23 Volkswagen Ag Balai d'essuie-glace exempt d'etrier de retenu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778559B2 (ja) 2011-09-21
JP2009509836A (ja) 2009-03-12
WO2007036420A1 (de) 2007-04-05
KR20080063281A (ko) 2008-07-03
DE102005046587A1 (de) 2007-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98905B2 (ja) ワイパブレード
JP4499791B2 (ja) ワイパーブレード
KR20020029433A (ko) 윈드실드 세척용 와이퍼 블레이드
US7484264B2 (en) Automobile windshield wiper blade
KR100764952B1 (ko) 차량 유리 세척용 와이퍼 블레이드
US8245350B2 (en) Wiper blade
JP4709385B2 (ja) 自動車の窓ガラス用のワイパブレード
CN101568453B (zh) 挡风玻璃刮水器橡皮
BRPI0612352A2 (pt) lámina limpadora aperfeiçoada para pára-brisa e palheta provida com a referida lámina limpadora
JP2001158239A (ja) ウインドウモールディング
KR101323184B1 (ko) 와이퍼 블레이드
US9533657B2 (en) Wiper blade of flat bar design
US20070113367A1 (en) Windscreen wiper device
FR2994917A1 (fr) Dispositif de lame d'essuyage de balai d'essuie-glace
CN105517857B (zh) 用于窗板刮拭装置的刮唇
FR2628047A1 (fr) Raclette a double canal pour balai d'essuie-glace
JP2006523809A (ja) 改良ウエイカバー
KR20100131497A (ko) 탄성을 가지고 길다랗게 형성된 이동부재와, 윈드스크린에 접하여 위치되는 유연한 재료의 길다란 와이퍼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
US20080201893A1 (en) Wiper blade of a windscreen wiper for motor vehicles
CN101772440B (zh) 用于汽车车窗刮雨器的刮刷,包括一个铰接部分
EP2470401A1 (en) A windscreen wiper device
KR200411027Y1 (ko) 자동차 와이퍼에 사용되는 소프트 블레이드
CN105329019B (zh) 用于车辆的玻璃刮拭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