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2876B1 - 유체 연결용 연결 요소 - Google Patents

유체 연결용 연결 요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2876B1
KR101322876B1 KR1020110101457A KR20110101457A KR101322876B1 KR 101322876 B1 KR101322876 B1 KR 101322876B1 KR 1020110101457 A KR1020110101457 A KR 1020110101457A KR 20110101457 A KR20110101457 A KR 20110101457A KR 101322876 B1 KR101322876 B1 KR 1013228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housing
plug connector
indicator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1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6759A (ko
Inventor
안드레아스 바우어
마르크 라스테터
슈테판 만
Original Assignee
노르마 저머니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르마 저머니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노르마 저머니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20036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67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2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28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intained only by friction of the parts being join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flexible hooks
    • F16L37/0985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flexible hooks the flexible hook extending radially inwardly from an outer part and engaging a bead, recess or the like on an inner part
    • F16L37/0987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flexible hooks the flexible hook extending radially inwardly from an outer part and engaging a bead, recess or the like on an inner part the flexible hook being progressively compressed by axial tensile loads acting on the coup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3/00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 F16L13/007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specially adapted for joining pipes of dissimilar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86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latching members pushed radially by spring-like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1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ring provided with teeth or fi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10Indicators for correct coup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하우징을 구비한 유체 연결용 연결 요소가 제공되는바, 그 유체 연결용 연결 요소는 플러그 커넥터를 축방향으로 수용하도록 구성 및 배치된 삽입 부위와 래치 요소를 포함하고, 래치 요소는 플러그 커넥터와 걸리도록 구성 및 배치되고 또한 제1 위치와 제2 위치 간으로의 축방향 당김 움직임에 의하여 하우징에 대해 움직여질 수 있는 것이다. 유체 연결용 연결 요소는 안전 요소도 포함한다. 제2 위치에서, 래치 요소는 안전 요소에 의하여 채워질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공간의 막힘을 해소한다.

Description

유체 연결용 연결 요소{Connecting element for a fluid connection}
[관련된 출원의 상호 참조]
본 발명은 2010년 10월 9일자로 출원된 독일 특허 출원 제10 2010 048 107.6호에 의한 우선권의 수혜를 주장하는바, 그 특허의 기재사항은 명시적으로 그 전체가 참조로서 여기에 포함된다.
[기술 분야]
본 발명은 플러그 커넥터를 축방향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된 삽입 부위를 갖는 하우징을 구비한 유체 연결용 연결 요소에 관한 것이다. 그 하우징은 플러그 커넥터를 걸도록(latch) 제공된 래치 요소를 구비한다. 안전 요소도 제공된다.
위에서 언급된 유형의 연결 요소들은 예를 들어 자동차의 연료 라인(fuel line) 또는 우레아 라인(urea line)과 같은 두 개의 라인들을 연결하는데에 이용된다. 또한 그들은 라인을 파이프 연결부에 연결하는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연결 요소의 일 단부를 대응되는 연결부에 용접하는 것도 생각해 볼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는, 예를 들어 유체 라인(fluid line)의 일 단부와 파이프 연결부(pipe connection)에 의하여 형성된다. 그 결과, 이와 같은 유형의 플러그 커넥터는 래치 요소가 걸릴 수 있는 주변 칼라(perimeter collar)를 구비한다.
유체기밀성 연결(fluid tight)을 얻기 위하여는, 플러그 커넥터에 대한 연결 요소의 확고한 연결이 필수적이다. 그 조립은 종종, 예를 들어 컨베이어 벨트와 같은 것에 의하여 시간 압박 하에서 수행된다. 연결 요소가 플러그 커넥터에 적절히 연결되었는지의 여부, 즉 플러그 커넥터가 충분히 삽입 부위 안으로 깊이 삽입되었는지 그리고 래치 요소에 걸리었는지를 상대적으로 신속히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안전 요소로서 조립 표시기를 제공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조립 표시기는, 플러그 커넥터가 하우징 내측에서 래치 요소와 걸리는 때에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움직여질 수 있다. 따라서, 플러그 커넥터가 하우징 내에서 걸릴 때까지는 작업자가 예를 들어 조립 표시기를 누름에 의하여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움직일 수 없고, 따라서 확고한 연결이 형성된다. 그러면 조립 표시기의 위치는 걸림이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나타내게 된다.
공지된 해결안은, 플러그 커넥터가 하우징 내에서 걸린 때에만 안전 요소의 움직임이 일어나는 것을 언제나 보장하지는 않는다. 일반적으로 플러그 커넥터에 의한 안전 요소의 막힘이 일어나는데, 이로써 이미 플러그 커넥터가 하우징 안으로 상대적으로 깊이 삽입되었지만 아직 걸리지는 않은 때에 안전 요소의 움직임은 가능하지 않다. 그러나, 플러그 커넥터가 하우징 안으로 삽입되기 전에는 안전 요소의 움직임이 방지되지 않는다. 따라서, 부정확한 작업이 배제될 수 없다.
또한, 플러그 커넥터가 적절히 걸리지 않아 인장력을 받으면 다시 해제(분리)될 수 있는 경우에도 안전 요소의 움직임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완전한 조립을 보장하는 유체 연결용 연결 요소를 제공할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완전한 조립이 보장되도록 하는 연결 요소에 관한 것이다.
시예들에 따르면, 위에서 기술된 유형의 연결 요소는, 하우징에 대해 움직여질 수 있는 래치 요소를 포함하고, 그 움직임은 하우징과 래치 요소 간의 제1 위치와 제2 위치 간으로의 축방향 당김 움직임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제2 위치에서의 래치 요소는, 안전 요소에 의하여 채워질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공간의 막힘을 해소한다.
래치 요소의 제1 위치에서, 이 공간은 막힌다. 안전 요소, 또는 안전 요소의 일부분이나 돌출부는, 올바른 조립이 완료될 때까지 그 공간에 맞물릴 수 없는바, 즉 하우징과 래치 요소 간에 축방향 인장력이 가해질 때에만 그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에서 "축방향"이라 함은, 플러그 커넥터의 삽입 방향 또는 삽입 부위의 대칭 축의 방향을 지칭한다. 조립 중에, 플러그 커넥터는, 래치 요소에 걸릴 때까지 연결 요소의 삽입 부위 안으로 삽입된다. 또한, 그것은 정지부에 대해 부딪치게 될 수도 있다. 연결 요소와 플러그 커넥터 간에 발생되는, 즉 연결 요소나 플러그 커넥터에서 축방향으로 가해지는 인장력을 통하여, 연결 요소 밖으로 플러그 커넥터를 당기려는 시도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플러그 커넥터가 래치 요소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이 당김 움직임은 래치 요소로 전달되어, 래치 요소가 하우징에 대해 축방향으로 움직여진다. 래치 요소가 플러그 커넥터에 적절히 걸려 있지 않다면, 플러그 커넥터가 그 인장력에 의하여 래치 요소로부터 분리될 것이다. 이것은 작업자가 명확히 알아차릴 수 있는 것이다. 만일 플러그 커넥터가 래치 요소에 적절히 걸려 있다면, 즉 그것이 연결 요소에 적절히 수용되어 있다면, 하우징과 플러그 커넥터 또는 래치 요소 간의 당김 움직임은 플러그 커넥터의 분리로 귀결되지 않을 것이다. 그 대신에, 래치 요소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움직여지는 때에, 안전 요소의 움직임을 위한 공간이 이 움직임에 의하여 해제된다. 따라서, 당김 움직임에 의하여 래치 요소가 하우징에서 축방향으로 움직여진 때에만, 안전 요소가 그 공간 안으로 움직여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당김 움직임은 플러그 커넥터에 의하여 래치 요소로 전달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해결안으로 인하여, 플러그 커넥터가 래치 요소에 걸린 때에, 즉 완전한 조립이 이루어진 때에만 안전 요소의 움직임이 일어나게 된다. 이로써, 연결 요소와 플러그 커넥터 간의 연결의 안전성이 보장된다.
유리하게는, 래치 요소의 제2 위치에서, 안전 요소가 래치 요소와 하우징 간의 축방향 움직임을 막는다. 안전 요소가 그 공간을 채우고 따라서 플러그 커넥터가 래치 요소에 적절히 걸렸음을 표시하는 때에는, 래치 요소와 하우징 간의 추가적인 축방향 움직임이 불가능하게 되는데, 이것은 안전 요소로 인하여 래치 요소가 그 공간으로 되돌아 밀리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이다. 이로써, 연결 요소와 플러그 커넥터 간의 상대 움직임이 방지된다. 그 대신에 안정적인 연결이 얻어진다.
유리하게는 래치 요소가 적어도 하나의 탄성 래치 핑거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2, 3, 또는 4 개의 탄성 래치 핑거들을 갖는다. 이와 같은 유형의 래치 핑거는 탄성적인 래치 요소를 제공하는 상대적으로 간편한 방안을 제공한다. 래치 핑거들의 탄성적인 구현형태를 통하여, 추가적인 접합부(additional joint)가 필요하지 않게 된다. 위와 같은 탄성으로 인하여, 필요시되는 사전부하(preloading)도 생략될 수 있다. 수개의 래치 핑거들은 플러그 커넥터가 래치 핑거들 사이로 삽입될 수 있도록 원형의 형태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로써 래치 핑거들이 플러그 커넥터의 주변 칼라에 의하여 펼쳐지고 칼라를 관통한 후에 칼라에 걸리게 된다.
래치 핑거가 그 반경방향 내측에 홈 및/또는 돌출부를 갖는다면 유리할 것이다. 돌출부는 확실한 연결을 형성하도록 플러그 커넥터의 칼라 뒤에 맞물리는데에 이용된다. 홈은 칼라를 수용하고 확실한 연결을 형성하는데에 이용된다. 이와 같은 유형의 실시예를 통하여, 플러그 커넥터와 래치 요소 간에 상대적으로 높은 인장력 또는 축방향 힘이 전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래치 요소의 제2 위치에서의 래치 핑거의 변형이 하우징에 의하여 방지된다. 래치 요소의 제2 위치는, 플러그 커넥터가 래치 요소에 적절히 걸리고 또한 하우징과 래치 요소 간에 축방향의 당김 움직임이 이루어지는 때에만 도달된다. 래치 요소의 제2 위치에서는, 안전 요소가 제2 위치로 조정되어 래치 요소와 하우징 간의 추가적인 축방향 움직임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래치 핑거(들)의 변형도 하우징에 의하여 방지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플러그 커넥터의 뜻하지 않은 해제(풀림)이 사실상 더 이상 가능하지 않게 된다. 플러그 커넥터의 해제는, 안전 요소를 제1 위치로 되돌려 움직이고, 후속하여 제1 위치로 뒤로 밀음에 의하여만 이루어질 수 있다. 그 다음에, 래치 요소와 플러그 커넥터 간의 걸림을 해제하기 위하여는, 래치 핑거들의 탄성 변형도 필요하다. 따라서, 플러그 커넥터의 분리를 위하여는 특정 순서에 따른 수 개의 손동작에 의한 움직임들이 필요하다. 우연한 해제는 사실상 배제된다.
바람직하게는, 래치 요소가 하우징 내측에 배치되고, 제1 위치와 제2 위치 간의 움직임만이 가능하도록 래치 요소가 하우징 내측에 확실하게(positively) 보유될 수 있다. 래치 요소가 하우징으로부터 유실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래치 요소의 움직임이 하우징 내측에서 일어나기 때문에, 연결 요소의 축방향 길이가 하우징과 래치 요소 간의 움직임에 의하여 변경되지 않게 된다. 또한, 래치 요소는 하우징 내측에 상대적으로 보호되는 방식으로 배치되어서, 환경적이니 영향으로 인하여 더렵혀질 위험이 없다.
유리하게는, 래치 핑거의 부위에서, 개구가 하우징 내에 마련된다. 또한, 래치 요소의 제2 위치에서는, 래치 핑거의 일 단부가 하우징에 의하여 덮인다. 래치 핑거들이 수 개 있는 경우에는, 그에 대응되는 갯수의 개구들이 제공되어야 한다. 래치 핑거들의 부위에 개구들이 있음으로 인하여, 래치 핑거들의 탄성적인 변형, 특히 반경방향으로의 폭 확장을 위한 충분한 공간이 가용하게 된다. 플러그 커넥터의 삽입 중에, 래치 요소는 제1 위치에 있고, 래치 핑거들은 개구들 안으로 변형될 수 있다. 조립이 완료된 후, 즉 래치 요소가 제2 위치로 당겨진 때에는, 래치 핑거들의 반경방향 외향으로의 변형이 더 이상 가능하지 않게 되는데, 이것은 래치 핑거들의 단부들이 하우징에 의하여 덮이기 때문이다.
바람직하게는, 래치 핑거가 반경방향 외향으로의 돌출부를 구비하는데, 그 돌출부는 개구 안으로 연장된다. 이 돌출부는 개구 안에서 래치 요소의 안내를 야기하여, 하우징 내측에서의 래치 요소의 비틀림이 방지된다. 동시에, 돌출부는 정지부(stop)로서 사용될 수 있는바, 이에 의하여 래치 요소의 제2 위치로의 움직임이 제한된다.
바람직하게는, 래치 핑거가, 개구를 통하여 연장되는 해제 레버를 구비한다. 래치 핑거들이 여러개 있는 경우에는, 각 래치 핑거가 해제 레버를 구비한다. 이 해제 레버의 도움을 받아, 래치 핑거들에 대하여 외측으로부터 압력이 가해질 수 있고, 이로써 래치 요소가 제1 위치에 있는 때에 래치 핑거들의 단부들이 반경방향으로 폭확장된다. 이로써 플러그 커넥터의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해제 레버들은 개구들을 통하여 연장되기 때문에, 외측으로부터의 용이한 접근이 가능하다.
해제 레버는 래치 핑거의 자유 단부에 접착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나, 해제 레버 및 래치 핑거들, 또는 래치 요소 전체는, 예를 들어 사출성형 공정에 의하여 일체로서 제작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래치 요소의 제1 위치에서는 해제 레버가 안전 요소를 위한 공간으로 돌출되고, 제2 위치에서는 그 공간의 막힘이 해소된다. 따라서, 안전 요소의 움직임은 해제 레버(들)에 의하여 해제되거나 막혀진다. 동시에, 안전 요소는 래치 요소의 움직임을 방지하는데, 왜냐하면 해제 레버가 점유했었을 공간을 안전 요소가 채우기 때문이다. 이 실시예를 통하여, 연결 요소 내측에서의 플러그 커넥터의 성공적인 걸림 후에 래치 요소가 하우징 내측에서 축방향으로 변위되게 하는 당김 움직임의 후속 적용 전에는, 안전 요소의 움직임이 가능하지 않게 됨이 보장된다. 동시에, 래치 요소가 상기 공간에 들어가고 안전한 연결을 나타내자마자, 래치 요소의 하우징 안으로 되돌아가는 움직임은 안전 요소에 의하여 방지된다. 따라서, 플러그 커넥터의 우연한 해제는 안전 요소에 의하여 방지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안전 요소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간으로 움직여질 수 있는 조립 표시기로서 구현 또는 형성되는바, 래치 요소의 제2 위치에서는 조립 표시기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움직이기 위한 공간의 막힘이 해소된다. 따라서, 래치 요소가 제2 위치에 있는 때에, 즉 플러그 커넥터가 래치 요소에 의하여 적절히 잠겨진(locked) 때에만, 조립 표시기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움직여질 수 있다. 조립 표시기는 손에 의하여 제2 위치로 눌려질 수 있는바, 이로써 그 공간이 조립 표시기에 의하여 채워진다. 따라서 조립 표시기는, 제2 위치로 움직여진 때에 하우징에서의 래치 요소의 축방향 움직임을 방지하는 안전 요소로서의 기능을 유지한다. 따라서, 조립 표시기가 배치된 위치는, 외부에서 명확히 인식될 수 있다. 특히, 제1 위치와 제2 위치 간에 상대적으로 큰 거리가 극복되어야 하는 때에는, 조립 표시기의 제1 위치가 제2 위치로부터 명확히 구별될 수 있다. 그러므로, 조립 공정이 완전히 이루어졌는지의 여부가 한 번 힐끗 봄으로써도 판별가능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조립 표시기가 베이스를 구비하며, 그 베이스로부터는 두 개의 다리부가 연장되고, 조립 표시기가 그 다리부들에 의하여 하우징에서 안내될 수 있다. 따라서, 조립 표시기는 U자 형상으로 구현 또는 형성된다.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의 조립 표시기의 움직임 중에, 다리부들은, 래치 요소의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의 움직임에 의하여 막힘 해소된 공간 안으로 움직여진다. 그 결과, 다리부들은 래치 요소가 제1 위치로 되돌아가는 움직임을 방지하는데에 이용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예를 들어 축방향 움직임에 직각으로 조립 표시기가 움직여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다리부들의 단부들이 베이스로부터 멀리 향하도록 다리부들이 브라켓에 연결되고, 특히 그 브라켓의 일 단부는 접착력에 의하여 접합부를 거쳐 연결되며 다른 단부는 래치 연결부를 거쳐 연결된다. 이와 같은 유형의 브라켓은 조립 표시기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로써 브라켓은 예를 들어 다리부들 둘 다에 의하여 걸릴 수 있다. 그러나, 브라켓을 조립 표시기와 일체로서 형성 또는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방식에 의하면, 접착력에 의한 접합부가 브라켓과 일 단부 사이에 제공된다. 이 유형의 실시예는 비용면에서 효과적인 제작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다리부들이 축방향으로의 폭이 제2 섹션보다 넓은 제1 섹션을 갖는다. 제1 섹션은 특히 베이스에서 시작된다. 이 유형의 실시예에 의하면, 조립 표시기가, 안내될 하우징을 통하여 그랬을 것처럼, 하우징에서 측방향으로 다리부들을 통하여 맞물리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조립이 완료될 때까지, 즉 조립 표시기가 제1 위치에 배치되는 때까지, 조립 표시기는 하우징 상에서 제2 섹션을 거쳐 그렇게 안내된다. 조립 표시기가 하우징 상의 폭넓은 제1 섹션을 통하여 안내되도록 하는 조립 표시기의 움직임은, 그에 대응되는 공간의 막힘이 래치 요소 또는 해제 레버에 의하여 해소된 때에만 가능하게 된다. 제1 섹션과 제2 섹션 사이의 천이부에는 단차부가 제공될 수 있는데, 이로써 래치 요소의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의 움직임은, 래치 요소가 제1 위치에 있는 한 형태 폐쇄(form closure)에 의하여 방지된다. 이와 같은 유형의 실시예를 통하여, 조립 표시기의 오류 작동이 사실상 배제되고, 동시에 조립 표시기를 위한 상대적으로 긴 안내 길이가 가용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섹션의 폭은 베이스의 폭에 대응된다. 이것은 상대적으로 단순한 구현 형태를 제공한다. 동시에,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가장자리가 필요하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하우징은 각 측부에 하나의 돌출부를 구비하는데, 그 돌출부는 조립 표시기의 다리부들에 있는 길이방향 요부에 맞물린다. 이 돌출부들에 의하여,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의 움직임 중에 조립 표시기의 안내가 이루어진다. 동시에, 조립 표시기의 축방향 위치가 하우징 상에 고정되고, 또한 조립 표시기가 하우징 상에 확보된다.
추가적인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적어도 두 개의 공간들이 서로 직경방향으로 대향되게 제공되어서, 일 공간의 부위 각각에서의 안전 요소는 내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갖는다. 따라서, 돌출부들이 반경방향 내향으로 사전부하를 받도록, 안전 요소가 구현 또는 형성될 수 있다. 래치 요소가 제2 위치로 축방향으로 변위됨에 따라서, 안전 요소의 돌출부들은 자동적으로, 래치 요소에 의하여 막힘 해소되었던 두 개의 공간들 안으로 움직이게 된다. 그러면 래치 요소는 더 이상 쉽게 되돌려 움직여질 수 없고, 제2 위치에 유지된다. 서로 직경방향으로 대향되게 위치된 두 개의 공간들을 마련함으로써, 힘의 도입이 상대적으로 균일하게, 특히 대칭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안전 요소는 제1 링 섹션을 갖는 것이 특히 바람직한데, 제1 링 섹션은 두 개의 섹션들, 특히 돌출부들이 마련되고 직경방향으로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 두 개의 편평 섹션들과, 두 개의 만곡 섹션들을 구비한다. 만곡 섹션들은 하우징으로부터 떨어져 이격된다. 이와 같은 유형의 실시예에 의하면, 돌출부들에 반경방향 내향의 사전부하(preload)를 가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된다. 떨어져 이격된 만곡 섹션들에 의하면, 만곡 섹션들이 예를 들어 손에 의해서 반경방향 내향으로 눌려짐으로써, 돌출부들에 의한 공간들의 막힘 해소가 이루어질 수 있다. 만곡 섹션들과 하우징 사이의 거리로 인하여, 이를 위한 충분한 공간이 있게 된다. 만곡 섹션들을 반경 방향으로 안으로 누르는 중에는, 돌출부들이 반경방향 외향으로 움직이면서 편평 섹션들이 움직여져서, 그 공간들의 막힘해소가 이루어지며, 래치 요소는 제1 위치로 되돌려 눌려질 수 있어서, 그에 뒤이어 플러그 커넥터의 해제가 가능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안전 요소가 제2 링 섹션을 구비하고, 제2 링 섹션은 특히 하우징에 확실한 방식으로 보유된다. 링 섹션에 의하여, 안전 요소는 상대적으로 간편하게 유실되지 않게 확보되도록 하우징에 부착될 수 있다. 확실한 연결에 의하여, 상기 제2 링 섹션은 안전 요소의 조립을 위하여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어서, 안전 요소가 하우징에 신뢰성있게 부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2 링 섹션은 내부 홈을 가지며, 이 홈은 예를 들어 하우징에 있는 대응되는 돌출부와 상호작용한다.
유리하게는, 링 섹션들이 적어도 두 개의 웹들을 거쳐서 서로에 대해 연결되는데, 그 웹들은 특히 편평 섹션들에 마련된다. 그 웹들 사이에는 각각 간극이 제공된다. 그 웹들로 인하여, 다른 링 섹션의 형상이 영향을 받지 않고 링 섹션의 탄성 변형이 가능하게 된다. 동시에, 간극으로 인하여, 래치 핑거들 또는 해제 레버에 대한 접근이 가능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방사상 밀봉재가 하우징, 특히 하우징의 삽입 부위에 마련된다. 이 방사상 밀봉재는 삽입 방향에서 래치 요소의 뒤에, 즉 하우징의 더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방사상 밀봉재로 인하여, 플러그 커넥터와 연결 요소 사이에서의 상대적으로 기밀성인, 특히 유체기밀성인 연결이 이루어진다. 방사상 밀봉재가 래치 요소보다 연결 요소의 개구로부터 더 멀리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는 경우, 그것은 당김 움직임 중에 발생하는 래치 요소의 움직임 중에 악영향을 받지 않는다. 동시에, 그것은 연결 요소의 내측에 상대적으로 보호되는 방식으로 배치되어서, 그 밀봉재에 대한 손상 또는 오염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지 않는다.
연결 요소의 일 단부가 커넥터 플러그가 안으로 삽입될 수 있는 삽입 부위를 갖는 한편, 연결 요소의 다른 단부는 예를 들어 용접 플랜지를 가질 수 있다. 연결 요소의 다른 단부를 제1 단부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 등으로서 구현하는 것도 생각해 볼 수 있는바, 즉 다른 단부에 삽입 부위가 제공되도록 구현하는 것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 경우, 두 개의 래치 요소들과 두 개의 안전 요소들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우징을 갖는 유체 연결용 연결 요소에 관한 것인바, 그것은 플러그 커넥터를 축방향으로 수용하도록 구성 및 배치된 삽입 부위, 및 플러그 커넥터에 걸리도록 구성 및 배치되어 제1 위치와 제2 위치 간으로의 축방향 당김 움직임을 통해 하우징에 대해서 움직일 수 있는 래치 요소를 포함한다. 연결 요소는 안전 요소도 포함한다. 제2 위치에서, 래치 요소는 안전 요소에 의하여 채워질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공간의 막힘을 해소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래치 요소가 제2 위치에 위치된 때에, 안전 요소는 래치 요소와 하우징 간의 축방향 움직임을 막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래치 요소가 제2 위치에 위치된 때에, 안전 요소는 래치 요소와 하우징 간의 축방향 움직임을 막는 적어도 하나의 공간에 맞물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나아가, 래치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래치 핑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적인 래치 핑거는 2, 3, 또는 4 개의 탄성적인 래치 핑거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은, 제2 위치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래치 핑거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래치 요소는 하우징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하우징에서 적어도 하나의 래치 핑거의 부위에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래치 요소가 제2 위치에 있는 때에, 그 래치 핑거의 단부는 하우징에 의하여 덮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래치 핑거는 개구 안으로 연장되는 반경방향 외향의 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래치 핑거는 개구를 통하여 연장되는 해제 레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래치 요소가 제1 위치에 있는 때에 해제 레버는 안전 요소를 위한 공간 안으로 돌출될 수 있고, 제2 위치에 있는 때에는 해제 레버가 공간의 막힘을 해소하도록 움직일 수 있다.
나아가, 안전 요소는 제1 표시기 위치와 제2 표시기 위치 간으로 움직일 수 있는 조립 표시기를 포함할 수 있고, 래치 요소가 제2 위치에 있는 때에 조립 표시기의 제1 표시기 위치로부터 제2 표시기 위치로의 움직임을 위한 공간의 막힘이 해소될 수 있다. 조립 표시기는 베이스 및 베이스로부터 연장된 두 개의 다리부들을 구비할 수 있고, 조립 표시기는 하우징 상에서 안내될 수 있다. 베이스로부터 멀리 향하는 다리부들의 단부들에는 브라켓이 연결될 수 있고, 그 브라켓은 일 단부에서 접착력에 의하여 접합부를 거쳐 연결될 수 있으며, 다른 단부에서는 래치 연결부를 거쳐 연결될 수 있다. 다리부들은 축방향에서의 폭이 제2 섹션보다 더 클 수 있는 제1 섹션을 가질 수 있고, 제1 섹션은 베이스에서 시작된다. 또한, 다리부들에 있는 길이방향의 요부에 맞물리도록, 하우징의 각 측부에는 돌출부가 제공된다.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은 직경방향으로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 적어도 두 개의 공간들을 포함할 수 있고, 안전 요소는 그 적어도 두 개의 공간들의 부위에서 내향으로 돌출된 개별의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안전 요소는 제1 링 섹션을 포함할 수 있는바, 제1 링 섹션은 직경방향으로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고 돌출부들이 마련될 수 있는 두 개의 편평 섹션들과 하우징으로부터 떨어져 이격된 두 개의 만곡 섹션들을 구비한다. 안전 요소는 제2 링 섹션을 포함할 수 있는바, 특히 제2 링 섹션은 하우징에 확실한 방식으로 보유된다. 나아가, 제1 링 섹션과 제2 링 섹션은 적어도 두 개의 웹들을 거쳐서 서로 연결될 수 있고, 그 웹들은 편평 섹션에 마련되는 것이며, 그 웹들 사이에는 간극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과 장점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면 명확히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여, 완전한 조립을 보장하는 유체 연결용 연결 요소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관한 비제한적인 예들을 통하여 아래에 기재된 복수의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서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히 설명될 것인바, 여기에서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수 개의 도면들에 걸쳐서 유사한 부분들을 나타낸다.
도 1 에는 제1 실시예의 연결 요소가 도시되어 있고;
도 2 에는 삽입된 플러그 커넥터를 구비한 연결 요소가 도시되어 있고;
도 3 에는 연결 요소의 측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4 에는 연결 요소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5 에는 삽입된 커넥터 플러그(connector plug)를 구비한 연결 요소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6 에는 조립 표시기로서 형성되거나 또는 구현된 안전 요소의 3차원 모습이 도시되어 있고;
도 7 에는 연결 요소의 제2 실시예의 측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8 에는 도 7 에 따른 연결 요소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9 에는 삽입된 커넥터 플러그를 구비한 도 7 에 따른 연결 요소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10 에는 조립 표시기로서 형성 또는 구현된 안전 요소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고;
도 11 에는 도 10 에 따른 조립 표시기가 폐쇄된 형태로 도시되어 있고;
도 12 에는 다른 실시예의 연결 요소가 도시되어 있고;
도 13 에는 도 12 에 따른 연결 요소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14 에는 안전 요소의 3차원 모습이 도시되어 있고;
도 15 에는 도 14 에 따른 안전 요소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시되는 특정예들은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서만 제공되는 것이고, 본 발명의 개념과 원리를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으면서도 가장 유용한 것으로 생각되는 것을 제시하도록 제공된 것이다. 이 점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조적 세부사항들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이해를 위하여 필요한 것 이상으로 세밀하게 제공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도면을 참고하여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읽음으로써 본 발명을 어떻게 구현하고 실시할 것인지를 이해할 것이다.
도 1 에는 연결 요소(1)가 3차원의 모습으로 도시되어 있다. 연결 요소(1)는 두 개의 유체 라인들을 연결하는 역할을 하고, 이를 위하여 일 단부에 있는 플러그인 단부 섹션(plug-in end section; 2)과 다른 단부에 있는 삽입 부위(3)를 구비한다. 파이프 연결부(pipe connection) 또는 유체 라인(fluid line)의 대응되는 플러그인 단부 섹션 또는 플러그 커넥터(도 1 에 도시되지 않음)는, 삽입 부위(3) 안으로 축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연결 요소(1)는 래치 요소(5)가 배치되는 하우징(4)을 구비한다. 또한, 조립 표시기로서 형성 또는 구현되는 안전 요소(6)는 하우징(4) 상에서 안내된다. 안전 요소(6)는 U자 형상으로 형성 또는 구현된다. 도 1 내지 도 11 에 관한 설명과 관련하여, 이하에서는 안전 요소(6)를 조립 표시기로 호칭하는데, 이것은 이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의 안전 요소의 특수한 구현형태 때문이며, 그 위치로 인하여 완전한 조립이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명확히 판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안전 요소(6)는 조립 표시기를 나타내며, 조립 표시기도 참조 번호 6 으로 표시될 것이다.
조립 표시기(6)는 베이스(7)를 구비하며, 베이스의 각 단부에 위치된 다리부(leg)(8, 9)는 베이스(7)에 대해 직각으로 연장된다. 각 다리부(8, 9)는 제2 섹션(11)보다 축방향으로 폭이 더 넓은 제1 섹션(10)을 구비한다. 이로써 제2 섹션(11)은 다리부들(8, 9)의 자유 단부들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1 섹션(10)은 베이스(7)에서 시작된다.
도 1 에서는, 플러그 커넥터가 아직 연결 요소(1) 안으로 삽입되지 않았다. 따라서, 조립 표시기(6)가 밖으로 빼내어진 위치에 있는데, 이것은 래치 요소(5)와 플러그 커넥터 간에 잠금이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조립 표시기(6)는 제1 위치에 있다. 조립 표시기(6)의 움직임은 래치 요소(5)의 해제 레버(12)들에 의하여 방지되는데, 그 해제 레버는 조립 표시기(6)의 움직임을 위하여는 막히지 말아야 하는 두 개의 공간들 안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그 공간들은 서로 직경방향으로 반대측에 놓이며, 외부를 향하여 반경방향으로 노출되게 구현 또는 형성된다. 동시에, 제1 섹션(10)과 제2 섹션(11) 사이에 형성 또는 구현되는 단차부(step; 13)는 해제 레버(12)에 대해 지탱되고, 따라서 조립 표시기(6)의 움직임이 방지된다.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조립 표시기(6)의 다리부들(8, 9) 각각은 길이방향 요부(14)를 구비하는데, 그 요부 안으로는 하우징(4)의 돌출부(15)가 맞물린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조립 표시기(6)가 도시된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움직이는 중에 있어서의 안내가 이루어진다.
도 2 에서는, 플러그 커넥터(16)가 연결 요소(1)에 연결되어 있는바, 즉 하우징(4)의 삽입 부위(3) 안으로 삽입되어 있다. 플러그 커넥터(16)는, 래치 요소(5)가 플러그 커넥터(16)의 주변 칼라(peripheral collar)와 걸리도록, 하우징(4) 안으로 가능한 깊이 밀어넣어져 있다. 후속하여, 플러그 커넥터(16)를 다시 하우징(4) 밖으로 당기려고 하는 시도가 있는 것처럼, 축방향의 당기는 움직임이 플러그 커넥터(16) 또는 하우징(4)에 가해질 수 있다. 이로써, 래치 요소(5)가 하우징(4)의 삽입 개구(17)의 방향으로 플러그 커넥터(16)에 대해 축방향으로 움직여진다. 그러면, 래치 요소(5)의 해제 레버(12)들이 조립 표시기(6)를 위한 공간의 막힘을 해소하여, 래치 요소가 도시된 바와 같은 제2 위치로 움직여질 수 있다. 이로써, 조립 표시기(6)의 제1 섹션(10)이 래치 요소(5)의 움직임에 의하여 막힘이 해소된 공간을 차지하게 된다. 그러므로, 래치 요소(5)를 되돌려 움직이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조립 표시기(6)를 도 2 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도 1 에 도시된 제1 위치로 되돌려 움직이는 것이 행해져야 할 것이다.
도 3 에는, 도 1 에 도시된 연결 요소(1)가 측면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삽입 부위(3)는 플러그인 커넥터(plug-in connector)를 수용할 수 있도록 확대된 직경을 갖는다는 것이 식별될 수 있다.
래치 요소(5)의 일 실시예가 도 4 에 도시되어 있다. 래치 요소(5)는 총 네 개의 래치 핑거들(18, 19)을 구비하는바, 도 4 에는 그 중 두 개의 모습만이 보여질 수 있다. 래치 핑거들(18, 19)은 탄성 방식으로 구현 또는 형성되고, 그들의 자유 단부들에는 돌출부들(20, 21)이 제공되는데, 그 돌출부들은 반경방향 내향으로 돌출된다. 돌출부들(20, 21) 각각에 인접하여서는 홈(22, 23)이 있는데, 이 홈은 플러그 커넥터(16)의 칼라 또는 링 플랜지를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플러그 커넥터(16)가 연결 요소(1)의 삽입 부위(3) 안으로 삽입된 때에, 래치 핑거들(18, 19)은 반경방향 외향으로 눌려지고, 이로써 하우징(4)의 개구들(24, 25) 안으로 움직이게 된다. 따라서, 래치 요소(5)의 반경방향 확장은 상대적으로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해제 레버들(12, 13)은 래치 핑거들(18, 19)과 일체로 형성 또는 구현되어서, 해제 레버들(12, 13)을 누름에 의하여 래치 핑거들(18, 19)의 단부들이 반경방향 외향으로 변경된다. 이로써, 삽입 부위(3) 안으로 삽입된 플러그 커넥터의 해제도 가능하다.
방사상 밀봉재들(radial seal; 26, 27)은 하우징(4) 내측에서 래치 요소(5)보다 삽입 개구(17)로부터 더 먼 거리에 배치되는데, 이 방사상 밀봉재들은 플러그 커넥터(16)에 대한 유체기밀성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방사상 밀봉재들(26, 27) 사이에는 클램핑 링(clamping ring ;28)이 배치된다.
래치 핑거들(18, 19) 각각은 돌출부(29, 30)를 구비하는바, 그 돌출부는 개구(24, 25)를 향하여 반경방향 외향으로 연장된다. 이 돌출부들(29, 30)은 한편으로는 유실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래치 요소(5)가 하우징(4)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없다. 또한, 그들은, 당김 움직임(즉 도 4 에서 우측으로의 움직임)에 의한 래치 요소(5)의 움직임과 함께 래치 핑거들(18, 19)의 단부들이 하우징(4)과 접촉하여 래치 핑거들(18, 19)을 반경방향 내향으로 움직이는 때에 이용된다. 이로써 확고한 잠금이 보장된다. 돌출부들(29, 30)은 홈들(22, 23)과 동일한 축방향 레벨에 배치된다. 그러면 래치 핑거들(18, 19)도 홈들(22, 23)의 부위에서 적절한 재료 강도를 갖는다.
도 5 에는 삽입된 플러그 커넥터(16)를 구비한 연결 요소(1)가 도시되어 있다. 플러그 커넥터(16)의 주변 칼라(31)는 래치 요소(1)에 걸려 있다. 이로써 주변 칼라(31)는 래치 핑거들(18, 19)의 홈들(22, 23)에 수용되는데, 여기에서 돌출부들(20, 21)은 주변 칼라(31) 뒤에서 맞물린다. 그러므로, 래치 요소(5)와 플러그 커넥터(16) 사이에서 상대적으로 큰 축방향 힘이 전달될 수 있다. 축방향 인장력의 적용을 통하여, 플러그 커넥터(16)는 하우징(4) 밖으로 거리(s) 만큼 당겨질 수 있는데, 이에 의하면 래치 요소(5)는 도 4 에 도시된 제1 위치로부터 도 5 에 도시된 제2 위치로 거리(s) 만큼 이동될 수 있다. 이로써, 제2 위치는 삽입 개구(17)에 축방향으로 가깝게 위치된다. 하우징(4)에 대한 래치 요소(5)의 이와 같은 움직임을 통하여, 하우징(4)의 두 개의 외측 측부들에서는 공간이 막히지 않게 되고, 이로써 조립 표시기(6)가 제2 위치 안으로 눌려질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제1 섹션(10)과 제2 섹션(11) 사이의 폭의 차이는 래치 요소(5)가 하우징(4) 내측에서 축방향으로 움직여질 수 있는 거리(s)에 대응된다. 제1 섹션(10)은 이제 래치 요소(5)의 해제 레버들(12, 13)과 동등한 레벨에 위치된다. 그러므로, 래치 요소(5)는 다시 하우징(4) 안으로 밀려질 수 없게 된다. 동시에 래치 핑거들(18, 19)이 그들의 단부들에서 하우징(4)에 대해 반경방향 외향으로 지탱되기 때문에, 래치 요소(5)의 도시된 제2 위치에서는 래치 핑거들(18, 19)의 탄성적인 외향으로의 변형이 가능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플러그 커넥터(16)는 연결 요소(1)의 하우징(4)으로부터 분리될 수 없게 된다.
도 6 에는 조립 표시기(6)가 개별적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에서는 조립 표시기가 도 1 내지 도 5 에 걸쳐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상태로 도시되어 있으며, 대응되는 참조 번호들이 부여되어 있다.
도 7 에는 제2 실시예의 연결 요소(1)가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에서 동일한 요소들에는 앞서 설명된 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재된 참조번호와 동일한 참조 번호가 부여되어 있으며, 유사한 요소들에는 앞선 실시예의 참조번화에 100을 더한 참조 번호가 부여되어 있다.
연결 요소(1)는, 삽입 부위(3)에 부가하여, 예를 들어 연료 탱크에 대해 연결 요소(1)를 연결시키는데에 이용되는 용접 플랜지(welding flange; 32)를 구비한 단부 부위(102)를 구비한다.
조립 표시기(106)는 두 개의 다리부들(108, 109)를 구비하는데, 그 다리부들은 베이스(107)로부터 직각으로 연장된다. 한편, 연결 요소(1)는 예를 들어 도 3 에 도시된 연결 요소(1)에 대응된다.
도 8 에는, 플러그 커넥터(16)이 삽입 부위(3) 안으로 삽입되기 전 상태의, 도 7 에 따른 연결 요소(1)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는 전체적으로 도 4 에 도시된 것에 대응되지만, 플러그인 단부 섹션(2) 대신에, 용접 플랜지(32)를 구비한 단부 섹션(102)이 제공되어 있고, 조립 표시기(6) 대신에 약간 상이한 방식으로 형성 또는 구현된 조립 표시기(106)가 제공되어 있다.
도 9 에는 도 7 및 도 8 에 따른 연결 요소(1)가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에서 플러그 커넥터(16)는 연결 요소(1)의 삽입 부위(3) 안으로 삽입되어 있고, 후속하여 하우징(4)과 플러그 커넥터(16) 사이에 축방향 힘이 가해졌다. 따라서 래치 요소(5)는 도 7 및 도 8 에 도시된 제1 위치로부터 도 9 에 도시된 제2 위치로 움직여져 있어서, 조립 표시기(106)가 도 7 및 도 8 에 도시된 제1 위치로부터 도 9 에 도시된 제2 위치로 움직여질 수 있다.
도 10 및 도 11 에는 조립 표시기(106)가 별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10 에는 조립 표시기(106)의 시작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조립 표시기(106)는 베이스(107)를 구비하는데, 베이스로부터는 두 개의 다리부들(108, 109)이 U자 형상으로 연장된다. 다리부(108)에는 연장부가 접합부(33)를 거쳐 접착 폐쇄(adhesive closure)에 의해서 구현 또는 형성되는바, 그 연장부는 다리부들(108, 109)을 베이스(107)에 대해 평행하게 연결하기 위하여 브라켓(34)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브라켓(34)은 래치 단부(latching end; 35)를 구비한다.
도 11 에는 브라켓(34)이 폐쇄된 조립 표시기(106)가 도시되어 있다. 다리부(109)에는 그에 대응되는 수용부(receptacle; 36)가 제공되는바, 이것은 브라켓(34)의 래치 단부(35)와의 걸림을 위한 것이다.
브라켓(34)를 닫음에 의하여, 조립 표시기(6)가 하우징(4) 또는 연결 요소(1) 상에서 유실되지 않도록 확고히 보유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 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이용된 바와 같이, 조립 표시기(6)에 있어서도, 조립 표시기(6)의 유실은 조립 표시기(6)의 다리부들(8, 9)에 있는 길이방향 요부(14)와 연계된 돌출부(15)에 의하여 방지된다.
도 12 에는 연결 요소(1)의 추가적인 예시적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플러그인 단부 섹션(2)과 삽입 부위(3)는 서로에 대하여 정렬되고, 따라서 이들은 공통의 축 상에 배치된다. 앞선 예시적인 실시예에서의 조립 표시기(6, 106)과 유사한 안전 요소(206)는, 래치 요소(5)가 우연히 축방향으로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용되며, 연결 요소(1)의 하우징(4)을 방사상으로 둘러싼다. 안전 요소는 제1 링 섹션(37) 및 제2 링 섹션(38)을 구비한다. 링 섹션들(37, 38)은, 두 개의 웹들(39, 40)을 거쳐서 서로 연결되고, 축방향으로 인접한 방식으로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다. 안전 요소(206)는 제2 링 섹션(38)에 의하여 확실한 방식(positive manner)으로 하우징(4)에 고정된다.
연결 요소의 보다 상세한 구현예는 도 13 으로부터 알 수 있는바, 도 13 에서는 동일한 부분들에 앞선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부여되었던 참조 번호들과 동일한 참조 번호들이 부여되었다. 안전 요소(206)들은 제1 링 섹션(37) 상에 내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들(41, 42)을 구비하는데, 래치 요소(5)가 도시되지 않은 플러그 커넥터에 잠기는 제2 위치에 있기 때문에, 그 돌출부들 각각은 해제 레버(12)들에 의하여 해제되는 영역 안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돌출부들(41, 42)은 래치 요소(5)가 제1 위치로 복귀하는 축방향 움직임을 방지하도록 형성 또는 구현된다. 이를 위하여,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돌출부들(41, 42)이 각각 두 개의 부분들로 구현 또는 형성되었지만, 한 개의 부분으로 된 돌출부의 구현도 가능하다.
제2 링 섹션(38)의 부위에서, 안전 요소(206)에는 내부 홈이 제공되는데, 그 내부 홈은 하우징(4)의 주변 플랜지(43)과 상호작용하여서, 안전 요소(206), 구체적으로는 제2 링 섹션(38)이 하우징(4)에 맞물려 결합됨으로써 보유된다.
도 14 에는 안전 요소(206)가 개별적으로 3차원의 모습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1 링 섹션(37) 및 제2 링 섹션(38)은 각각 두 개의 편평 섹션들(44, 45)을 구비하는데, 그 편평 섹션들은 두 개의 만곡 섹션들(46, 47)을 거쳐서 서로 연결된다. 따라서 만곡 섹션들(46, 47)은 공통된 원의 원형 섹션들을 이루고, 편평 섹션들(44, 45)은 정할선(secant line)들과 같은 형태를 형성한다. 웹들(39, 40)은 링 섹션들(37, 38)의 개별 편평 섹션들(44, 45) 상에 배치된다. 웹들(39, 40) 사이에는 간극(G)이 제공되어, 해제 레버(12)들의 작동이 가능하게 되는 공간이 안전 요소(206)에 갖추어진다.
편평 섹션들(44, 45) 사이의 거리는, 각각 서로에 대해 직경방향으로 대향되게 놓여진 만곡 섹션들(46, 47) 사이의 거리보다 작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편평 섹션들(44, 45)의 부위에 있는 안전 요소(206)가 연결 요소(1)의 하우징(4)에 대해 지탱되고, 만곡 섹션들(46, 47)은 하우징94)으로부터 떨어져 이격된다. 그러므로 안전 요소(206) 또는 편평 섹션들(44, 45)는 하우징(4)에 대하여 사전부하(preloading)를 가지고 지탱된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다. 만곡 섹션들(46, 47)에서의 압력에 의하여, 편평 섹션들(44, 45)은 반경방향으로 확장되어서, 편평 섹션들(44, 45) 사이의 거리가 확장된다. 이로써, 돌출부들(41, 42)도 유사하게 반경방향 외향으로 움직여지고, 래치 요소(5)의 제2 위치로부터의 제1 위치로의 움직임을 위하여 필요한 공간의 막힘이 해소된다. 따라서, 래치 요소가, 플러그 커넥터가 잠금해제될 수 있는 위치로 슬라이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5 에는 안전 요소(206)의 단면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제1 링 섹션(37) 상에 구현 또는 형성되고 반경방향 내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들(41, 42)이 각각 두 개의 부분들로 구현 또는 형성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유형의 실시예에 의하여 재료가 절감될 수 있다.
제2 링 섹션(38)에서는, 각 하나의 홈(48, 49)이, 하우징(4)의 플랜지(43)의 일부분을 수용하여 안전 요소(206)를 하우징(4)에 확실한 방식으로 유지시키도록 구현 또는 형성된다.
주변 플랜지(43)를 구비한 하우징(4)을 구현하는 대신에, 하우징(4)에 홈을 제공하고 스냅 링(snap ring)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한데, 스냅 링은 그 홈와 맞물리고 제2 링 섹션(38)의 홈들(48, 49) 안으로 들어온다. 그 결과, 하우징(4)의 구현이 단순화되고, 동시에 안전 요소(206)의 부착이 단순화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의하여, 신뢰성있는 조립이 보장되는 연결 요소가 얻어진다. 특히, 안전 요소 또는 조립 표시기의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의 움직임은, 플러그 커넥터가 연결 요소 또는 이것의 래치 요소에 의해 잠겨진(locked) 때에만 가능하다. 안전 요소 또는 조립 표시기는, 유실될 수 없고 연결 요소의 하우징에 안전하게 보유된다. 동시에, 연결 요소의 기능을 저해하지 않으면서도 플러그 커넥터의 의도적인 해제가 가능하다. 따라서, 연결 요소는 복수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예들은 설명을 위한 목적으로서만 제공될 것이고, 결코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여기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설명 및 예시를 위한 용어들일 뿐, 발명을 제한하는 용어들이 아니라는 점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첨부된 (현재 제시된 또는 보정된)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변형이 가능하다. 여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수단, 재료, 및 구현형태를 참조로 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여기에서 설명된 특정의 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재된 구조, 방법, 및 용도와 기능적으로 동등한 구조, 방법, 및 용도까지 포괄한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1: 연결 요소 2: 단부 섹션
3: 삽입 부위 4: 하우징
5: 래치 요소 6: 안전 요소 (조립 표시기)
7: 베이스 8, 9: 다리부
10: 제1 섹션 11: 제2 섹션

Claims (20)

  1. 하우징(housing)을 구비한 유체 연결용 연결 요소로서,
    플러그 커넥터(plug connector)를 축방향으로 수용하도록 구성 및 배치된 삽입 부위(insert region);
    플러그 커넥터와 걸리도록 구성 및 배치된 래치 요소(latching element)로서, 제1 위치(first position)와 제2 위치(second position) 사이의 축방향 당김 움직임을 통하여 하우징에 대해 움직여질 수 있는, 래치 요소; 및
    안전 요소(safety element);를 포함하고,
    래치 요소는, 제2 위치에서, 안전 요소에 의하여 채워질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공간의 막힘을 해소하는, 유체 연결용 연결 요소.
  2. 제 1 항에 있어서,
    래치 요소가 제2 위치에 위치된 때에, 안전 요소는 래치 요소와 하우징 간의 축방향 움직임을 막도록 위치될 수 있는, 유체 연결용 연결 요소.
  3. 제 1 항에 있어서,
    래치 요소가 제2 위치에 위치된 때에, 안전 요소는 래치 요소와 하우징 간의 축방향 움직임을 막는 적어도 하나의 공간에 맞물리게 위치될 수 있는, 유체 연결용 연결 요소.
  4. 제 1 항에 있어서,
    래치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적인 래치 핑거(latching finger)를 포함하는, 유체 연결용 연결 요소.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적인 래치 핑거는, 2, 3, 또는 4 개의 탄성적인 래치 핑거들 중 하나를 포함하는, 유체 연결용 연결 요소.
  6. 제 4 항에 있어서,
    하우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래치 핑거의 제2 위치에서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유체 연결용 연결 요소.
  7. 제 1 항에 있어서,
    래치 요소는 하우징 내측에 배치된, 유체 연결용 연결 요소.
  8. 제 4 항에 있어서,
    하우징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래치 핑거의 부위에 개구가 형성되고,
    래치 요소가 제2 위치에 있는 때에, 래치 핑거의 단부는 하우징에 의하여 덮이는, 유체 연결용 연결 요소.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래치 핑거는 개구(opening) 안으로 연장되는 반경방향 외향의 돌출부(projection)를 갖는, 유체 연결용 연결 요소.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래치 핑거는 개구를 통하여 연장되는 해제 레버(release lever)를 갖는, 유체 연결용 연결 요소.
  11. 제 10 항에 있어서,
    래치 요소가 제1 위치에 있는 때에, 해제 레버는 안전 요소를 위한 공간 안으로 돌출되고, 제2 위치에 있는 때에, 해제 레버는 그 공간의 막힘을 해소하도록 움직일 수 있는, 유체 연결용 연결 요소.
  12. 제 1 항에 있어서,
    안전 요소는 제1 표시기 위치(first indicator position)와 제2 표시기 위치(second indicator position) 간으로 움직일 수 있는 조립 표시기(assembly indicator)를 포함하고,
    래치 요소가 제2 위치에 있는 때에, 조립 표시기의 제1 표시기 위치로부터 제2 표시기 위치로의 움직임을 위한 공간의 막힘이 해소되는, 유체 연결용 연결 요소.
  13. 제 12 항에 있어서,
    조립 표시기는 베이스(base) 및 베이스로부터 연장되는 두 개의 다리부(leg)들을 구비하고, 조립 표시기는 하우징 상에서 안내되는, 유체 연결용 연결 요소.
  14. 제 13 항에 있어서,
    베이스로부터 멀리 향하는 다리부들의 단부들에는 브라켓(bracket)이 연결되고, 브라켓은 일 단부에서 접합부(joint)를 거쳐 접착력에 의하여 연결되며 또한 다른 단부에서는 래치 연결부(latching connection)를 거쳐 연결되는, 유체 연결용 연결 요소.
  15. 제 13 항에 있어서,
    다리부들은 제2 섹션(second section)보다 축방향으로 폭이 넓은 제1 섹션(first section)을 구비하고, 제1 섹션은 베이스에서 시작되는, 유체 연결용 연결 요소.
  16. 제 13 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각 측부에는 다리부들에 있는 길이방향 요부(recess)와 맞물리는 돌출부가 제공되는, 유체 연결용 연결 요소.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은 서로 직경방향으로 대향되게 마련된 적어도 두 개의 공간들을 포함하고,
    안전 요소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공간들의 부위에서 내향으로 돌출되는 개별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유체 연결용 연결 요소.
  18. 제 17 항에 있어서,
    안전 요소는 제1 링 섹션(first ring section)을 포함하고, 제1 링 섹션은, 서로 직경방향으로 대향되게 배치되고 돌출부들이 마련된 두 개의 편평 섹션(flattened section)들 , 및 하우징으로부터 떨어져 이격되는 두 개의 만곡 섹션(curved section)들을 구비한, 유체 연결용 연결 요소.
  19. 제 18 항에 있어서,
    안전 요소는 제2 링 섹션(second ring section)을 포함하고, 제2 링 섹션은 하우징에 맞물려 결합되는, 유체 연결용 연결 요소.
  20. 제 19 항에 있어서,
    제1 링 섹션과 제2 링 섹션은, 편평 섹션들 상에 마련되는 적어도 두 개의 웹(web)들을 거쳐서 서로 연결되고,
    웹들 사이에는 간극이 제공되는, 유체 연결용 연결 요소.
KR1020110101457A 2010-10-09 2011-10-05 유체 연결용 연결 요소 KR1013228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0048107A DE102010048107A1 (de) 2010-10-09 2010-10-09 Verbindungselement für eine Fluidverbindung
DE102010048107.6 2010-10-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6759A KR20120036759A (ko) 2012-04-18
KR101322876B1 true KR101322876B1 (ko) 2013-10-29

Family

ID=44545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1457A KR101322876B1 (ko) 2010-10-09 2011-10-05 유체 연결용 연결 요소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20086197A1 (ko)
EP (1) EP2439439B1 (ko)
JP (1) JP5220911B2 (ko)
KR (1) KR101322876B1 (ko)
CN (1) CN102444757B (ko)
DE (1) DE102010048107A1 (ko)
ES (1) ES2431596T3 (ko)
RU (1) RU2467242C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48728B2 (en) 2017-08-28 2022-02-15 Norma Germany Gmbh Line coupling and container hav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81336B1 (ja) * 2011-09-14 2012-11-28 株式会社オンダ製作所 継手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スペーサ
DE102011085398A1 (de) * 2011-10-28 2013-05-02 Fränkische Industrial Pipes GmbH & Co. KG Verbindungseinheit
DE102012000607A1 (de) * 2012-01-16 2013-07-18 Norma Germany Gmbh Kupplungselement und Entriegelungselement für das Kupplungselement
WO2014124287A2 (en) * 2013-02-08 2014-08-14 Norma U.S. Holding Llc Fuel line connector assembly
JP6347438B2 (ja) * 2013-09-02 2018-06-27 株式会社ニチリン コネクタ
GB201319795D0 (en) * 2013-11-08 2013-12-25 Eden Ltd Pipe Connector
DE102014107530A1 (de) 2014-05-28 2015-12-03 Voss Automotive Gmbh "Aufnahmeteil für eine Fluid-Steckkupplung und Fluid-Steckkupplung mit einem derartigen Aufnahmeteil"
US10422459B2 (en) 2015-01-14 2019-09-24 Norma U.S. Holding Llc Conduit connector with a primary and secondary latch
DE102015111895A1 (de) * 2015-07-22 2017-01-26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Fahrzeugkomponente und Kraftfahrzeug
US10883640B2 (en) 2016-06-24 2021-01-05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Fluid couplings, systems, and methods
US11149883B2 (en) 2016-06-24 2021-10-19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Fluid couplings, systems, and methods
JP6722607B2 (ja) * 2017-02-28 2020-07-15 三桜工業株式会社 配管継手
USD859618S1 (en) 2017-09-15 2019-09-10 Pentair Water Pool And Spa, Inc. Heating apparatus clip
CN110953229A (zh) * 2019-12-24 2020-04-0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对接结构及具有其的风扇
USD952805S1 (en) * 2020-01-02 2022-05-24 Changzheng Lin Water pipe quick connecto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08377C1 (de) * 1997-03-01 1998-06-18 Raymond A & Cie Lösbare Steckverbindung mit Montageanzeige
DE10230747B3 (de) * 2002-07-09 2004-04-08 Rasmussen Gmbh Steckkupplung zum Verbinden zweier Fluidleitungen
KR20050038618A (ko) * 2002-08-14 2005-04-27 보스 오토모티브 게임베하 유체 시스템용 플러그-인 커플링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66954A (en) * 1973-06-18 1975-02-18 Bowen Tools Inc Joint locking device
SE456271B (sv) * 1982-08-27 1988-09-19 Ekman K R Snabbkopplingsanordning for en slang, ett ror eller liknande organ
GB2145181B (en) * 1983-08-17 1987-01-28 Shell Int Research Retractable flow line connector
DE3741250A1 (de) * 1987-12-05 1989-06-15 Voss Armaturen Vorrichtung zum gegenseitigen verbinden von zwei leitungen, insbesondere kraftstoffleitungen
JP2691550B2 (ja) * 1988-03-01 1997-12-17 臼井国際産業株式会社 細径配管接続用コネクター
US4875715A (en) * 1988-04-22 1989-10-24 Itt Corporation Quick connect connector
US5152555A (en) * 1991-03-26 1992-10-06 Itt Corporation Quick connect insertion indicator clip
US5782502A (en) * 1995-12-29 1998-07-21 Itt Automotive, Inc. Radial-release quick connector
JP2002502483A (ja) * 1997-05-30 2002-01-22 デーヴィッドソン,ポール 管状部材を相互接続するためのコネクタ
DE19831897C2 (de) * 1998-07-16 2000-07-06 Rasmussen Gmbh Steckkupplung zum Verbinden zweier Fluidleitungen
JP2000062573A (ja) * 1998-08-21 2000-02-29 Masaru Fujii フロントガラスの除雪器
JP3709765B2 (ja) * 1999-07-21 2005-10-26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接続構造体
US6371529B1 (en) * 1999-12-28 2002-04-16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Quick connector with swivelable retainer housing
US6609731B2 (en) * 2000-09-19 2003-08-26 2R.L-Quip Connector
US6634678B2 (en) * 2001-03-20 2003-10-21 Deere & Co. Seed conduit detachable coupler having a seed cut off
JP4177586B2 (ja) * 2002-03-06 2008-11-05 臼井国際産業株式会社 細径配管接続用コネクタ
DE10250421A1 (de) * 2002-10-30 2004-05-13 A. Raymond & Cie Verbindungselement
FR2855590B1 (fr) * 2003-05-27 2006-10-20 Caillau Ets Embout de connexion rapide
JP4186064B2 (ja) * 2003-09-29 2008-11-26 ニッタ・ムアー株式会社 管継手の接続管理用チェッカー
JP4041457B2 (ja) * 2003-12-12 2008-01-30 三桜工業株式会社 クイックコネクタ
DE102004062887B3 (de) * 2004-12-27 2005-10-13 A. Raymond & Cie Kupplung
JP2006292166A (ja) * 2005-03-16 2006-10-26 Tokai Rubber Ind Ltd コネクタ装置及びチェッカー
ITRN20050057A1 (it) * 2005-09-08 2007-03-09 Bucchi S R L Dispositivo per il collegamento di tubi flessibili
US8939470B2 (en) * 2007-03-20 2015-01-27 Stephen H. Gunderson Quick connector for high pressure applications
JP5222580B2 (ja) * 2007-10-22 2013-06-26 株式会社東郷製作所 コネクタ
JP4554700B2 (ja) * 2008-09-26 2010-09-29 三桜工業株式会社 クイック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08377C1 (de) * 1997-03-01 1998-06-18 Raymond A & Cie Lösbare Steckverbindung mit Montageanzeige
DE10230747B3 (de) * 2002-07-09 2004-04-08 Rasmussen Gmbh Steckkupplung zum Verbinden zweier Fluidleitungen
KR20050038618A (ko) * 2002-08-14 2005-04-27 보스 오토모티브 게임베하 유체 시스템용 플러그-인 커플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48728B2 (en) 2017-08-28 2022-02-15 Norma Germany Gmbh Line coupling and container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467242C1 (ru) 2012-11-20
KR20120036759A (ko) 2012-04-18
JP2012087927A (ja) 2012-05-10
JP5220911B2 (ja) 2013-06-26
EP2439439A3 (de) 2012-08-22
DE102010048107A1 (de) 2012-04-12
US20120086197A1 (en) 2012-04-12
CN102444757A (zh) 2012-05-09
CN102444757B (zh) 2014-09-10
EP2439439B1 (de) 2013-09-25
ES2431596T3 (es) 2013-11-27
EP2439439A2 (de) 2012-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2876B1 (ko) 유체 연결용 연결 요소
USRE49411E1 (en) Secure tube coupling with automatic connection
US8336919B2 (en) Snap-on coupling for connecting a fluid pipe to a rigid end fitting with a connection indicator and method of inspecting this connection
US9599267B2 (en) Quick connection arrangement for detachably connecting a medium line to a connecting piece
JP5844231B2 (ja) コネクタ
US20080231045A1 (en) Quick-Action Coupling for Pipes
US20120119485A1 (en) Plug-in connector
US11460135B2 (en) Coupling element for connecting a first fluid-conducting line to a second fluid-conducting line, and coupling assembly
JPWO2007066675A1 (ja) クイックコネクタ及びチェッカー
WO2014050119A1 (ja) コネクタ
JP2007255668A (ja) クイックコネクタ
JP2010270867A (ja) クイックコネクタ及び配管接続構造
JP2018535370A (ja) 確実な流体接続のための分割可能なリングを備える管状急速連結器
EP1239209B1 (en) Quick connector with insertion indicator
JP6347438B2 (ja) コネクタ
CN102042452B (zh) 插入连接器
JP4798373B2 (ja) 接続確認チェッカー付きクイックコネクタ
KR20160003131A (ko) 체결 표시부를 갖는 신속 커플링
WO2014010234A1 (ja) コネクタ
US11598461B2 (en) Fluidic connection device for a fluid circuit of a motor vehicle
JP5787441B2 (ja) 配管用コネクタ
KR101681787B1 (ko) 관이음매
JP5581097B2 (ja) 封印具、及び継手連結体
JP2014526016A (ja) 差込み接続装置
CN114593297A (zh) 快速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