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2833B1 - 이차원 실시간 공초점 영상에 기반한 티―레이 토모그래피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차원 실시간 공초점 영상에 기반한 티―레이 토모그래피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2833B1
KR101322833B1 KR1020120050782A KR20120050782A KR101322833B1 KR 101322833 B1 KR101322833 B1 KR 101322833B1 KR 1020120050782 A KR1020120050782 A KR 1020120050782A KR 20120050782 A KR20120050782 A KR 20120050782A KR 101322833 B1 KR101322833 B1 KR 101322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light
subject
distance
focal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0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성태
김재훈
박욱기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50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28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2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2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9/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9/02Interferometers
    • G01B9/02041Interferometer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imaging or detection techniques
    • G01B9/02042Confocal imag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31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 G01N21/35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using infrared ligh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4Pris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Bio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eomet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브테라헤르츠 내지 테라헤르츠 광의 공초점 거리(confocal distance)가 짧다는 특성에 착안하여, 별도의 조리개나 픽셀(pixel) 단위의 피사체 스캔 과정 없이, 렌즈에 의해 결정되는 2차원 초점면에 어레이형 광 검출기를 배치하여, 피사체의 단면에 대한 실시간 2차원 영상을 빠른 시간 내에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는 테라헤르츠 토모그래피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차원 실시간 공초점 영상에 기반한 티―레이 토모그래피 장치 및 방법{T-ray Tomography Apparatus and Method Based on Two-Dimensional Real-time Confocal Imaging}
본 발명은 T-ray(테라헤르츠 광)을 이용한 토모그래피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초점 이미징(confocal imaging) 기법에 기초하여 신속하게 피사체 내부의 초점면을 조절하여 빠른 시간 내에 여러 초점면에 대한 3차원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테라헤르츠 토모그래피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1955년 Marvin Minsky에 의해 최초로 제안된 공초점 이미징(confocal imaging) 기법은, 2개의 조리개를 사용하여 렌즈에 의해 결정되는 정확한 피사면과 검출면 이외의 다른 지점에서 들어오는 영상정보를 차단하여 영상의 콘트라스트(contrast)를 높이는 기술이다. 최근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THz(테라헤르츠) 대역에서 공초점 현미경(confocal microscope)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공초점 현미경에서는 조리개 구멍 크기의 픽셀(pixel) 단위로 샘플을 스캔하여 영상정보를 획득하여야 하므로 2차원/3차원 영상을 얻기 위해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한계가 있다.
최근 T-ray(테라헤르츠 광)를 이용하여 신속한 3차원 측정 검사에 대한 요구가 많아지고 있다. 3차원 구조물에 대한 T-ray 투시 영상을 구현하기 위해서 종래의 공초점 현미경과 같이 조리개를 적용하게 되면 2차원 영상 획득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게 된다. 또한 3차원 영상을 구현하기 위해 초점면을 바꾸기 위한 절차가 복잡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브테라헤르츠 내지 테라헤르츠 광의 공초점 거리(confocal distance)가 짧다는 특성에 착안하여, 별도의 조리개나 픽셀(pixel) 단위의 피사체 스캔 과정 없이, 렌즈에 의해 결정되는 2차원 초점면에 어레이형 광 검출기를 배치하여, 피사체의 단면에 대한 실시간 3차원 영상을 빠른 시간 내에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는 테라헤르츠 토모그래피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먼저, 본 발명의 특징을 요약하면,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테라헤르츠 토모그래피 방법은, 광원에서 발생하는 서브테라헤르츠 내지 테라헤르츠 광의 공초점 파라미터(confocal parameter)의 거리에 피사체를 위치시키고, 상기 피사체로부터 제1렌즈의 초점거리만큼 떨어진 상기 제1렌즈로 상기 피사체를 투과한 광을 집광하며, 상기 제1렌즈로부터 상기 제1렌즈의 초점거리와 제2렌즈의 초점거리의 합만큼 떨어진 상기 제2렌즈로 상기 제1렌즈를 투과한 광을 집광하여, 상기 제2렌즈로부터 상기 제2렌즈의 초점거리 떨어진 이미지 센서를 통해 상기 피사체에 대한 상기 광의 투시 영상을 획득하되, 상기 광의 공초점 파라미터 거리에 있는 상기 피사체의 단층면을 변화시켜 단층별 투시 영상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른, 테라헤르츠 토모그래피 장치는, 서브테라헤르츠 내지 테라헤르츠 광을 발생하여 피사체로 조사하기 위한 광원; 상기 피사체를 투과한 광을 집광하여 투과시키는 제1렌즈; 상기 제1렌즈에서 나오는 광을 집광하여 투과시키는 제2렌즈; 및 상기 제2렌즈에서 나오는 광을 검출하는 2차원 어레이 형태의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피사체를 상기 광원으로부터 상기 광의 공초점 파라미터(confocal parameter)의 거리에 위치시켜서, 상기 피사체로부터 상기 제1렌즈의 초점거리 떨어진 상기 제1렌즈로 상기 피사체를 투과한 광을 집광하고, 상기 제1렌즈로부터 상기 제1렌즈의 초점거리와 상기 제2렌즈의 초점거리의 합만큼 떨어진 상기 제2렌즈로 상기 제1렌즈를 투과한 광을 집광하여, 상기 제2렌즈로부터 상기 제2렌즈의 초점거리만큼 떨어진 상기 이미지 센서를 통해 상기 피사체에 대한 상기 광의 투시 영상을 획득하되, 상기 광의 공초점 파라미터 거리에 있는 상기 피사체의 단층면을 변화시켜 단층별 투시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렌즈, 상기 제2렌즈, 및 상기 이미지 센서를 수동으로 또는 기계적 장치를 이용해 상기 광의 진행 방향 전후로 이동시켜 투시 영상 획득을 위한 단층면을 변화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피사체와 상기 제1렌즈 사이에 상기 광의 광경로 거리를 변화시키는 프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리즘은 수동으로 또는 기계적 장치를 이용해 상기 광의 진행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1프리즘과 제2프리즘을 포함하고, 상기 제1프리즘 및 상기 제2프리즘 중 하나 이상을 상기 광의 진행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켜 투시 영상 획득을 위한 단층면을 변화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피사체와 상기 제1렌즈 사이에 상기 광의 광경로 거리를 변화시키는 유전체 디스크(disk)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유전체 디스크를 하나씩 추가하여 상기 공초점 파라미터 거리의 정수배씩 광경로 거리를 변화시킬 수 있으며, 또는, 위치별로 다른 두께를 갖는 상기 유전체 디스크를 이동시켜서 상기 공초점 파라미터 거리의 정수배씩 광경로 거리를 변화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테라헤르츠 토모그래피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3차원 구조물에 대한 고속 T-ray 단층 영상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며, 특히, 고속 탐지가 요구되는 생산라인 상에서 식품이물이나 위해물질 대한 영상 검출을 위한 중요한 요소 기술로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라헤르츠 토모그래피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공초점 파라미터(confocal parameter)를 이용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투시 영상 획득 대상의 단층면을 변화시키기 위한 프리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투시 영상 획득 대상의 단층면을 변화시키기 위한 유전체 디스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라헤르츠 토모그래피 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라헤르츠 토모그래피 장치(100)는, 광원(110), 제1렌즈(120), 제2렌즈(130), 및 이미지 센서(140)를 포함하고, 이외에도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미지 센서(140)에서 발생되는 전기적 신호를 처리하여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컴퓨터 등 신호 처리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광원(110)은 서브테라헤르츠 내지 테라헤르츠 광(T-ray)을 발생하여 피사체로 조사한다. 서브테라헤르츠 내지 테라헤르츠 광(T-ray)은 예를 들어, 0.01THz ~ 100THz 범위의 주파수를 갖는 전자파 형태의 광일 수 있다. 피사체는 의류, 건축자재, 건조식품 등 이물이나 위해 물질이 들어 있는지 여부를 알기 위하여 고속 탐지가 요구되는 다양한 3차원 구조물일 수 있다.
제1렌즈(120)는 피사체를 투과한 광을 집광하여 투과시키며, 제2렌즈(130)는 제1렌즈(120)에서 나오는 광을 집광하여 투과시키고, 이미지 센서(140)는 제2렌즈(130)에서 나오는 광을 검출하고, 이때 광 검출에 따라 발생한 전기적 신호는 컴퓨터 등 신호 처리장치에서 처리되어 피사체에 대한 T-ray 의 투시 영상이 획득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140)는 포토 다이오드, CMOS이미지 센서, CCD이미지 센서 등의 형태일 수 있고, 광 검출 신호를 발생하는 광 감지 소자가 2차원 어레이 형태로 구비된 센서 형태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피사체가 광원(110)으로부터 T-ray의 공초점 파라미터(confocal parameter)의 거리에 위치하며, 피사체로부터 제1렌즈(120)의 초점거리(f1) 떨어진 제1렌즈(120)를 이용해 피사체를 투과한 광을 집광하고, 제1렌즈(120)로부터 제1렌즈(120)의 초점거리(f1)와 제2렌즈(130)의 초점거리(f2)의 합(f1+f2)만큼 떨어진 제2렌즈(130)를 이용해 제1렌즈(120)를 투과한 광을 집광한다. 이에 따라 제2렌즈(130)로부터 제2렌즈(130)의 초점거리(f2) 떨어진 이미지 센서(140)(예, 포토 다이오드, CMOS이미지 센서, CCD이미지 센서 등)가 광 검출 신호를 발생함으로써 피사체에 대한 T-ray의 투시 영상이 획득될 수 있다.
이때 T-ray의 공초점 파라미터(confocal parameter) 거리에 있는 피사체의 해당 단층면을 변화시킴으로써 피사체에 대한 단층별(P1,..Pm,..Pn) 투시 영상을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공초점 파라미터(confocal parameter)를 이용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의류, 건축자재, 건조식품 등의 투시영상에 효과적인 T-ray는 Rayleigh range로 정의되는 공초점 파라미터(confocal parameter) zc가 매우 짧다는 특성이 있다. 공초점 파라미터(confocal parameter) zc는 [수학식 1]과 같이 정의되며, 여기서, λ는 T-ray의 파장, ω0는 T-ray의 광원(110)으로부터 공초점 파라미터(confocal parameter) (거리) zc위치에 있는 waist(허리)에서 광(beam)의 반경이다. 광원(110)으로부터 공초점 파라미터(confocal parameter) (거리) zc위치는 도 2와 같이 평면파(plane wave)에서 구면파(spherical wave)로 변화되는 경계점 위치에 해당한다.
[수학식 1]
Figure 112012038231341-pat00001
기존의 X-ray나 가시광을 이용한 투시 영상의 경우 대부분 zc가 피사체 크기 보다 훨씬 크거나 평면파(plane wave)로 이루어진 평행광으로 간주되고, 원거리 장(far field) 영역에 해당하며, depth of focus가 길어 물체가 초점 평면에 위치하지 않더라도 투영(projection) 원리에 의해 영상이 형성된다.
그러나, T-ray의 위와 같은 공초점 파라미터(confocal parameter) zc가 매우 짧다는 특성에 착안하여, waist(허리)에 위치된 좁은 폭의 해당 단층면(예, 도 1에서 Pm)을 투과한 T-ray는 제1렌즈(120), 제2렌즈(130)를 투과에 이미지 센서(140)에 결상될 수 있지만, 제1렌즈(120)로부터 초점거리(f1) 이외의 지점(예, 도 1에서 Pn 등)에서 산란된 T-ray는 제1렌즈(120)에서 결상되지 못하고 흩어지게 되어 피사체에 어떤 이물질 등이 있어도 이미지 센서(140)에서 의미있는 영상을 획득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광원(110)으로부터 공초점 파라미터(confocal parameter) (거리) zc위치에 있는waist(허리)에 피사체의 해당 단층면이 오도록 변화시킴으로써 피사체에 대한 단층별(P1,..Pm,..Pn) 투시 영상을 획득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별도의 조리개나 픽셀 단위의 스캔 과정이 필요없이 위와 같은 장치(100) 구성으로 3차원 구조물에 대한 단층별(P1,..Pm,..Pn) 투시 영상이 실시간으로 용이하게 획득될 수 있다.
따라서, 공초점 파라미터(confocal parameter) zc 위치에 있는waist(허리)에 피사체의 해당 단층면이 오도록 변화시키기 위하여, 광학계 전체, 즉, 제1렌즈(120), 제2렌즈(130), 및 이미지 센서(140)와 피사체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를 조절해 주어야 한다. 이와 같은 광학계는 수동으로 또는 기계적 장치(예, 모터 등)를 이용해 T-ray의 진행 방향 전후로 이동시켜, 피사체와 제1렌즈(120) 사이의 거리가 변화되도록 함으로써 투시 영상 획득을 위한 해당 단층면이 변화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은 광학계는 그 크기가 크고 비교적 무거우며, 현장 시스템에서 피사체의 위치는 고정되어 있으므로, 광학계의 상대적인 위치를 조절하는 대신 도 3과 같이 피사체와 제1렌즈(120) 사이에 T-ray의 광경로 거리를 변화시키는 프리즘(121)을 이용하여 이러한 조작을 대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과 같이, 프리즘(121)은 수동으로 또는 기계적 장치(예, 모터 등)를 이용해 T-ray의 진행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1프리즘과 제2프리즘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제1프리즘 및 제2프리즘 중 하나 이상을 T-ray의 진행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켜, 피사체와 제1렌즈(120) 사이의 거리가 변화되는 효과를 이용하여 투시 영상 획득을 위한 해당 단층면이 변화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3의 제1프리즘 및 제2프리즘 중 하나 이상을 위 또는 아래로 이동시킴으로써 피사체와 제1렌즈(120) 사이의 광 경로 거리가 달라지게 되고, 이에 따라 제1렌즈(120)로부터 피사체 쪽으로 초점거리(f1)에 있는 공초점면, 즉, 투시 영상 획득을 위한 해당 단층면이 달라지고, 해당 초점면에 대한 투시 영상이 제1렌즈(120), 제2렌즈(130)를 투과해 이미지 센서(140)에 결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피사체와 제1렌즈(120) 사이에 T-ray의 광경로 거리를 변화시키는 프리즘(121)을 이용하면, 광학계를 움직이지 않아도 피사체에 대한 단층별(P1,..Pm,..Pn) 투시 영상을 획득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별도의 조리개나 픽셀 단위의 스캔 과정이 필요없이 위와 같은 장치(100) 구성으로 3차원 구조물에 대한 단층별(P1,..Pm,..Pn) 투시 영상이 실시간으로 용이하게 획득될 수 있으며, 컴퓨터 등 신호 처리장치에서 이를 조합하면 피사체 투시 영상에 대한 3차원 영상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외에도 위와 같은 프리즘(121) 대신에 내부적으로 광경로를 지연시키는 유전체 디스크(disk)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부적인 광경로 지연이 공초점 파라미터(confocal parameter) (거리) zc의 정수배에 해당하는 두께를 갖는 유전체 디스크(disk)를 순차적으로 하나씩 추가하면서 디스크리트한(discrete) 단층별(P1,..Pm,..Pn) 투시 영상을 실시간으로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다.
또는, 피사체와 제1렌즈(120) 사이에 T-ray의 광경로 거리를 변화시키는 유전체 디스크를 삽입하되, 도 4와 같이, 위치별로 유전체의 두께가 다른 유전체 디스크를 삽입하고, T-ray의 진행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러한 유전체 디스크를 수동으로 또는 기계적 장치(예, 모터 등)를 이용해 이동시킴으로써, 광 경로 거리가 달라지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전체 디스크의 각 위치별 i번째 층의 두께를 ti라 하고, 유전체의 굴절률을 n이라 하면, 유전체 디스크의 각 위치별 i번째 광 경로 거리는 n×ti가 될 수 있다. 각 위치별 i번째 층의 두께 ti에서 인접층과의 두께차이는 공초점 파라미터(confocal parameter) (거리) zc의 정수배 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렌즈(120)로부터 피사체 쪽으로 초점거리(f1)에 있는 공초점면, 즉, 투시 영상 획득을 위한 해당 단층면이 달라지고, 해당 초점면에 대한 투시 영상이 제1렌즈(120), 제2렌즈(130)를 투과해 이미지 센서(140)에 결상되고, 컴퓨터 등 신호 처리장치에서 이를 조합하면 피사체 투시 영상에 대한 3차원 영상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기존에는 공초점(confocal) 영상의 경우 confocal aperture라는 조리개를 사용하여 초점이 맞지 않는 빛은 차단하고 초점이 일치하는 부분의 빛만을 광검출기가 받아들여 콘트라스트(contrast)를 증가시킴으로써 전체적인 해상도(resolution)을 향상시켰다. 그러나, 이와 같이 조리개를 사용하므로 픽셀 단위의 주사(scan)방식을 적용하게 되어 2차원 영상을 획득하는데 오랜 시간이 걸리게 되며, 3차원 영상 구현을 위하여 초점 거리를 변경하여야 하므로 광학계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component)들의 상대적 거리와 배율 등을 다시 조정해 주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T-ray의 confocal distance, 즉, T-ray의 공초점 파라미터(confocal parameter)의 거리 zc가 짧다는 특성과 2차원 이미지 센서(140)를 이용하여, 별도의 조리개와 픽셀 단위의 스캔 과정 없이 영상용 렌즈 시스템에 의해 정해진 공초점면(confocal 면)에 대한 실시간 2차원 영상화가 가능하고, 이를 조합해 3차원 영상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도 3과 같은 프리즘 세트(121)나 유전체 디스크(disk)를 피사체와 렌즈(120) 사이에 삽입하여 다른 구성요소들의 거리 조절 없이 광경로의 길이 변경을 통해 피사체의 공초점면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 간편하고 신속하게 3차원 영상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테라헤르츠 토모그래피 장치(100)
광원(110)
제1렌즈(120)
프리즘(121)
제2렌즈(130)
이미지 센서(140)

Claims (8)

  1. 광원에서 발생하는 서브테라헤르츠 내지 테라헤르츠 광의 공초점 파라미터(confocal parameter)의 거리에 피사체를 위치시키고,
    상기 피사체로부터 제1렌즈의 초점거리 떨어진 상기 제1렌즈로 상기 피사체를 투과한 광을 집광하며,
    상기 제1렌즈로부터 상기 제1렌즈의 초점거리와 제2렌즈의 초점거리의 합만큼 떨어진 상기 제2렌즈로 상기 제1렌즈를 투과한 광을 집광하여,
    상기 제2렌즈로부터 상기 제2렌즈의 초점거리 떨어진 이미지 센서를 통해 상기 피사체에 대한 상기 광의 투시 영상을 획득하되,
    상기 광의 공초점 파라미터 거리에 있는 상기 피사체의 단층면을 변화시켜 단층별 투시 영상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라헤르츠 토모그래피 방법.
  2. 서브테라헤르츠 내지 테라헤르츠 광을 발생하여 피사체로 조사하기 위한 광원; 상기 피사체를 투과한 광을 집광하여 투과시키는 제1렌즈; 상기 제1렌즈에서 나오는 광을 집광하여 투과시키는 제2렌즈; 및 상기 제2렌즈에서 나오는 광을 검출하는 2차원 어레이 형태의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피사체를 상기 광원으로부터 상기 광의 공초점 파라미터(confocal parameter)의 거리에 위치시켜서, 상기 피사체로부터 상기 제1렌즈의 초점거리 떨어진 상기 제1렌즈로 상기 피사체를 투과한 광을 집광하고, 상기 제1렌즈로부터 상기 제1렌즈의 초점거리와 상기 제2렌즈의 초점거리의 합만큼 떨어진 상기 제2렌즈로 상기 제1렌즈를 투과한 광을 집광하여, 상기 제2렌즈로부터 상기 제2렌즈의 초점거리 떨어진 상기 이미지 센서를 통해 상기 피사체에 대한 상기 광의 투시 영상을 획득하되,
    상기 광의 공초점 파라미터 거리에 있는 상기 피사체의 단층면을 변화시켜 단층별 투시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라헤르츠 토모그래피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 상기 제2렌즈, 및 상기 이미지 센서를 수동으로 또는 기계적 장치를 이용해 상기 광의 진행 방향 전후로 이동시켜 투시 영상 획득을 위한 단층면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라헤르츠 토모그래피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사체와 상기 제1렌즈 사이에 상기 광의 광경로 거리를 변화시키는 프리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라헤르츠 토모그래피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은 수동으로 또는 기계적 장치를 이용해 상기 광의 진행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1프리즘과 제2프리즘을 포함하고,
    상기 제1프리즘 및 상기 제2프리즘 중 하나 이상을 상기 광의 진행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켜 투시 영상 획득을 위한 단층면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라헤르츠 토모그래피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사체와 상기 제1렌즈 사이에 상기 광의 광경로 거리를 변화시키는 유전체 디스크(disk)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라헤르츠 토모그래피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디스크를 하나씩 추가하여 상기 공초점 파라미터 거리의 정수배씩 광경로 거리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라헤르츠 토모그래피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위치별로 다른 두께를 갖는 상기 유전체 디스크를 이동시켜서 상기 공초점 파라미터 거리의 정수배씩 광경로 거리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라헤르츠 토모그래피 장치.
KR1020120050782A 2012-05-14 2012-05-14 이차원 실시간 공초점 영상에 기반한 티―레이 토모그래피 장치 및 방법 KR101322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0782A KR101322833B1 (ko) 2012-05-14 2012-05-14 이차원 실시간 공초점 영상에 기반한 티―레이 토모그래피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0782A KR101322833B1 (ko) 2012-05-14 2012-05-14 이차원 실시간 공초점 영상에 기반한 티―레이 토모그래피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2833B1 true KR101322833B1 (ko) 2013-10-28

Family

ID=49639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0782A KR101322833B1 (ko) 2012-05-14 2012-05-14 이차원 실시간 공초점 영상에 기반한 티―레이 토모그래피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283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5470B1 (ko) * 2015-04-10 2017-03-14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집적영상 현미경 장치 및 심도범위 개선 방법
US10732045B2 (en) 2018-03-16 2020-08-04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for acquiring image using terahertz wav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0053A (ja) * 1995-01-11 1996-07-23 Olympus Optical Co Ltd 共焦点走査型光学顕微鏡
JP2003302666A (ja) 2002-04-09 2003-10-24 Inst Of Physical & Chemical Res テラヘルツ波発生装置とその同調方法
KR100790702B1 (ko) 2006-09-08 2008-01-02 삼성전기주식회사 공초점 전기발광 분광 현미경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0053A (ja) * 1995-01-11 1996-07-23 Olympus Optical Co Ltd 共焦点走査型光学顕微鏡
JP2003302666A (ja) 2002-04-09 2003-10-24 Inst Of Physical & Chemical Res テラヘルツ波発生装置とその同調方法
KR100790702B1 (ko) 2006-09-08 2008-01-02 삼성전기주식회사 공초점 전기발광 분광 현미경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5470B1 (ko) * 2015-04-10 2017-03-14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집적영상 현미경 장치 및 심도범위 개선 방법
US10732045B2 (en) 2018-03-16 2020-08-04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for acquiring image using terahertz wav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11118B (zh) 用于厚样本的epi照明傅立叶重叠关联成像
US10559393B2 (en) X-ray detector for phase contrast and/or dark-field imaging
US8675062B2 (en) Shape measuring device, observation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JP6503221B2 (ja) 3次元情報取得装置、及び、3次元情報取得方法
JP2018513967A (ja) 深度フィールドイメージング装置、方法および応用
CN103959040A (zh) 在智能手机上附接光学相干断层成像系统
KR20130132995A (ko) 광학특성 측정장치 및 광학특성 측정방법
CA2816726A1 (en) Image mapped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KR102086992B1 (ko) 핀홀 어레이를 사용하는 물체의 공초점형 이미징
JP2010054320A (ja) 形状測定装置及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N210036591U (zh) 一种基于频域oct技术的三维彩色动态成像装置
JPWO2013065796A1 (ja) 観察装置
CN113302541A (zh) 用于捕获任意平面之间的全光图像的过程和装置
JP5369563B2 (ja) 形状測定装置
US11567308B2 (en) Device and process for capturing microscopic plenoptic images with turbulence attenuation
KR101322833B1 (ko) 이차원 실시간 공초점 영상에 기반한 티―레이 토모그래피 장치 및 방법
JP2011185837A (ja) 異物検出装置
US11386561B2 (en) X-ray imaging apparatus and x-ray imaging method
US20130010304A1 (en) Optical tomography system
KR20120121022A (ko) 전역 광단층 영상기기의 이미지 해상도 향상방법
JP2012228544A5 (ko)
KR101226442B1 (ko) 고해상도 분광기를 구비한 광 단층촬영 시스템 및 그 방법
RU2734070C9 (ru) Способ измерения пространственного расстояния между малоразмерными объектами
JP2011083486A (ja) 生体組織識別装置及び方法
KR20150021346A (ko) 3차원 형상 측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