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1717B1 - 침대용 엔드 패널의 고정구 - Google Patents

침대용 엔드 패널의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1717B1
KR101321717B1 KR1020110114808A KR20110114808A KR101321717B1 KR 101321717 B1 KR101321717 B1 KR 101321717B1 KR 1020110114808 A KR1020110114808 A KR 1020110114808A KR 20110114808 A KR20110114808 A KR 20110114808A KR 101321717 B1 KR101321717 B1 KR 101321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end panel
pressing
insertion pip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4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9661A (ko
Inventor
김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퍼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퍼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퍼시스
Priority to KR1020110114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1717B1/ko
Publication of KR20130049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96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1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17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47C19/028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for joining separate bedstea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47C19/021Bedstead frames

Abstract

본 발명은 침대용 엔드 패널에 형성된 삽입파이프를 가압 또는 가압 해제함으로써 엔드 패널이 침대 프레임에서 장착 또는 분리되도록 하는 침대용 엔드 패널의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침대용 엔드 패널의 고정구는, 침대용 엔드 패널에 형성된 삽입파이프가 삽입 결합되는 삽입홀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며, 침대 프레임의 모서리에 고정될 수 있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회전에 따라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는 상기 삽입파이프의 외주면을 탄력적으로 가압 또는 가압 해제하는 락킹부;가 포함된다.

Description

침대용 엔드 패널의 고정구{FIXING APPARATUS OF END PANEL FOR BED}
본 발명은 침대용 엔드 패널의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침대용 엔드 패널에 형성된 삽입파이프를 가압 또는 가압 해제함으로써 엔드 패널이 침대 프레임에서 장착 또는 분리되도록 하는 침대용 엔드 패널의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침대는 일반적으로 머리 쪽, 그리고 다리 쪽에 침대용 엔드 패널이 장착된다. 종래의 침대용 엔드 패널의 장착 구조로는 등록실용신안 제20-0309236호 침대 헤드보드용 지지구가 포함된 구조의 예를 들 수 있다.
상기 등록실용신안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의 수직지지부(20)와 엔드 패널(30)의 하단지지면(40)을 절곡하여 구성하고, 수직방향의 일정한 길이로 지지대(50)를 형성하며, 그 끝단을 절곡부(60)로 구성하고, 수직지지부(20)와 지지대(50)의 적정위치에 볼트(80) 결합되는 볼트공을 천공한 침대 헤드보드용 지지구를 이용하여 침대용 엔드 패널(30)을 침대 프레임(90)에 고정하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침대용 엔드 패널의 장착 구조는 이처럼 보통은 침대 프레임에 일체로 고정되는 장착 구조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환자용 침대 등의 경우에는 응급 상황시 응급처치나 환자의 이송이 용이하도록 침대용 엔드 패널이 손쉽게 분리될 수 있는 분리장착 구조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 침대용 엔드 패널의 장착 구조는 상기한 등록실용신안처럼 엔드 패널의 분리 장착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침대용 엔드 패널의 장착 구조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침대용 엔드 패널이 손쉽게 분리 또는 장착되도록 하는 침대용 엔드 패널의 고정구를 제시하고자 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침대용 엔드 패널의 고정구는, 침대용 엔드 패널에 형성된 삽입파이프가 삽입 결합되는 삽입홀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며, 침대 프레임의 모서리에 고정될 수 있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회전에 따라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는 상기 삽입파이프의 외주면을 탄력적으로 가압 또는 가압 해제하는 락킹부;가 포함된다.
상기 몸체부는, 측면에 함몰부가 형성되면서 상기 삽입홀의 옆쪽이 개방되는 개방부가 형성되며, 상기 락킹부는, 상기 함몰부 내측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개방부로 노출된 상기 삽입파이프의 외주면을 가압 또는 가압 해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함몰부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는 힌지핀이 더 포함되고, 상기 락킹부는, 상기 힌지핀이 관통 결합되면서 상기 함몰부의 내측에서 회전가능하도록 배치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에서 연장형성되는 파지부; 및 끝단까지 이르는 길이 전체에서 일측면이 상기 회전부의 외측면과 이격되도록 상기 회전부에서 원호상으로 연장형성되는 가압부;가 포함되어, 사용자가 상기 파지부를 파지하여 측방으로 회전 또는 반전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가압부의 타측면이 상기 개방부로 노출되는 삽입파이프의 외주면을 탄력적으로 가압 또는 가압 해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의 타측면에 가압돌기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지부의 단부 일측면에 당김이 용이하도록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침대의 이동과정에서 충돌하는 경우에 충돌하는 물체와의 접촉면을 따라 구르면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몸체부의 모서리 부위에 구름바퀴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락킹부의 손쉬운 회전 작동에 따라 침대용 엔드 패널을 고정구로부터 용이하게 분리 또는 장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때, 엔드 패널의 삽입파이프를 가압하는 가압부가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가압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락킹부를 회전 작동하는 편의성이 제고된다.
그리고, 가압부의 가압돌기에 의하여 삽입파이프의 외주면이 탄력적으로 가압되므로, 삽입파이프가 삽입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몸체부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구름바퀴가 더 포함됨으로써, 침대의 이송시 고정구의 파손이 방지되면서 원활한 이송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침대용 엔드 패널의 장착 구조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용 엔드 패널의 고정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고정구의 분해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도 2에 도시된 락킹부의 작동 상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침대용 엔드 패널의 고정구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용 엔드 패널의 고정구(1)는, 몸체부(100)와 락킹부(20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고정구(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대용 엔드 패널(2)에 형성된 삽입파이프(3)가 삽입 결합된 상태에서 이 삽입파이프(3)를 가압 또는 가압 해제함으로써 침대용 엔드 패널(2)이 고정구(1)에서 장착 또는 분리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 고정구(1)가 침대 프레임(5)의 모서리부위에 고정됨으로써, 침대용 엔드 패널(2)은 침대 프레임(5)에 대하여 장착 또는 분리가능한 결합 구조를 갖게 된다.
몸체부(100)는, 침대 프레임(5)의 모서리 부위에 고정된다. 고정 방식으로는 끼움 결합, 볼트 등과 같은 고정부재에 의한 결합 등 다양한 고정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몸체부(100)는 일측에 삽입홀(101)이 형성된다. 삽입홀(101)은 몸체부(100)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이 삽입홀(101)로 침대용 엔드 패널(2)에 형성된 삽입파이프(3)가 삽입 결합된다. 이때, 삽입파이프(3)는 후술할 가압부(230)에 의해 가압되는 부위의 상, 하측으로 단턱이 형성되도록 하여, 가압되는 부위가 홈부(4)로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230)에 의해 삽입파이프(3)의 홈부(4)가 가압될 때, 가압에 의해서도 삽입파이프(3)가 고정됨은 물론이고, 단턱 부위가 가압부(230)의 상, 하측면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삽입파이프(3)가 삽입홀(101)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락킹부(200)는 몸체부(100)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회전에 따라 삽입홀(101)에 삽입된 삽입파이프(3)의 홈부(4) 외주면을 탄력적으로 가압 또는 가압 해제함으로써, 삽입파이프(3)가 삽입홀(101)에 삽입된 상태에서 몸체부(100)로부터 이탈되지 못하게 하거나 또는 몸체부(100)로부터의 이탈을 자유롭게 한다.
락킹부(200)의 구체적인 구조의 일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몸체부(100)는 락킹부(200)가 수용되어 결합되도록 함몰부(110)가 형성된다. 함몰부(110)는 몸체부(100)의 측면에서 내측으로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함몰부(110)의 내측에는 삽입홀(101)의 측면부위가 개방되는 개방부(102)가 형성된다. 락킹부(200)는 함몰부(110)의 내측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회전에 따라 개방부(102)를 통해 노출된 삽입파이프(3)의 홈부(4) 외주면을 가압 또는 가압 해제하게 된다.
락킹부(200)는 회전부(210)와, 파지부(220)와, 가압부(230)가 포함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부(210)는 함몰부(110)의 내측에서 회전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이를 위해서 몸체부(100)에는 힌지핀(150)이 결합될 수 있다. 힌지핀(150)은 함몰부(110)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면서 몸체부(100)에 결합되는데, 이때 함몰부(110)의 내측에서 배치되는 회전부(210)에 관통 결합됨으로써, 회전부(210)는 함몰부(110)의 내측에서 회전가능하도록 배치된다. 회전부(210)는 개방부(102)와 이격된 위치의 함몰부(110) 내측에 배치되며, 삽입홀(101)의 길이방향과 힌지핀(150)의 길이방향은 대체로 평행하다.
파지부(220)는 회전부(210)의 일측에서 연장형성된다. 파지부(220)는 그 끝단을 사용자가 파지하여 회전시킴에 따라 회전부(210)와 일체로 회전하게 되며, 회전에 따라 끝단이 몸체부(100)의 측방으로 돌출되거나, 또는 반전 회전에 따라 끝단이 함몰부(110)의 내측으로 수용될 수 있다.
가압부(230)는 회전부(210)에서 연장형성되며, 힌지핀(150)을 두르듯이 원호상으로 연장형성된다. 이때, 가압부(230)의 내측면이 되는 일측면은 마주하는 회전부(210)의 외측면과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이격된다. 그리고, 외측면이 되는 타측면은 개방부(102)와 마주하게 된다. 이때, 가압부(230)는 그 길이 상에서 가압부(230)의 타측면으로부터 힌지핀(150)까지의 최단거리가 삽입파이프(3)의 외주면으로부터 힌지핀(150)까지의 최단거리보다 크게 형성되는 구간이 있다. 따라서, 파지부(220)의 회전에 따라 일체로 가압부(230)가 회전할 때, 가압부(230)의 타측면은 상기한 구간 동안에, 삽입파이프(3)의 외주면과 접촉한 상태로 회전하게 된다. 가압부(230)는 그 끝단이 자유단을 형성하게 되며, 가압부(230)의 일측면이 회전부(210)의 내측면과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가압부(230)의 타측면이 삽입파이프(3)의 외주면과 접촉하여 회전할 때 가압부(230)가 탄력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압부(230)의 길이방향에서 끝단 쪽, 즉 자유단 쪽에 가까울수록 가압부(230)의 변형정도가 크며, 반대쪽, 즉 회전부(210)에서 가압부(230)가 연장되기 시작하는 가압부(230) 부위 쪽으로 갈수록 가압부(230)의 변형정도는 작다. 따라서, 가압부(230)와 삽입파이프(3)의 접촉 부위가 가압부(230)의 끝단에 가까울수록 가압부(230)가 삽입파이프(3)의 외주면에 가하는 가압력은 크지 않으며, 이로 인해 삽입파이프(3)가 삽입홀(101)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허용된다. 그러나, 가압부(230)의 회전에 따라 가압부(230)와 삽입파이프(3)의 접촉 부위가 회전부(210)에서 연장되기 시작하는 가압부(230) 부위 쪽에 가까울수록 가압부(230)가 삽입파이프(3)에 가하는 가압력이 커져, 삽입파이프(3)가 삽입홀(101)로부터 이탈되지 못하고 고정된다.
한편, 가압부(230)는 그 길이 상에서 가압부(230)의 타측면으로부터 힌지핀(150)에 이르는 거리가 삽입파이프(3)의 외주면에서 힌지핀(150)에 이르는 거리와 같거나 또는 오히려 작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가압부(230)의 타측면에 삽입파이프(3)의 외주면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돌기(23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230)는 회전시 가압부(230)의 타측면이 삽입파이프(3)의 외주면을 가압하지는 않지만, 가압돌기(231)가 형성된 부위에 이르러서는 가압부(230)가 가압돌기(231)에 의해 삽입파이프(3)의 외주면을 탄력적으로 가압하게 된다. 그리고 파지부(220)를 반전 회전시킴으로써, 가압돌기(231)와 삽입파이프(3)의 접촉 상태가 해제되어 삽입파이프(3)에 대한 가압이 해제될 수 있다. 가압돌기(231)는 앞서 설명된, 가압부(230)의 타측면으로부터 힌지핀(150)에 이르는 거리가 삽입파이프(3)의 외주면에서 힌지핀(150)에 이르는 거리보다 크게 형성되는 가압부(230)의 예에서도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파지부(220)는 회전에 따라 그 끝단이 함몰부(110)로 수용되는 경우에 몸체부(100)의 측면과 연장되는 면을 이루는 것이 외관상 바람직하다. 따라서, 파지부(220)의 외측면은 몸체부(100)의 측면과 연장되는 면을 이루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파지부(220)의 끝단이 함몰부(110) 내측으로 더 삽입되지 않도록, 함몰부(110)의 일측에는 파지부(220) 끝단의 삽입을 제한하는 단턱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파지부(220)의 끝단 일측면에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당길 때, 당김이 용이하도록 요철면을 형성하기 위한 걸림돌기(22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함몰부(110)는 사용자가 파지부(220)의 끝단을 파지하기 쉽도록 손의 일부를 넣을 수 있는 공간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몸체부(100)에는 구름바퀴(3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고정구(1)가 구비된 침대가 환자용으로 사용되는 경우에, 침대를 이송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때 침대의 모서리가 벽면 등과 같은 물체에 충돌하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고정구(1)는 침대 프레임(5)의 모서리에 설치되기 때문에, 몸체부(100)가 벽면과 충돌하게 되며, 이 경우 파손 염려가 있음은 물론이고, 또한 벽면과의 마찰로 인해 침대의 이송이 원활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몸체부(100)는 구름바퀴(300)가 더 구비됨으로써, 충돌하는 물체와의 접촉면을 따라 구르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침대의 이송시 벽면 등에 부딪히더라도 파손 염려 없이 용이하게 미끄럼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구름바퀴(300)는 몸체부(100)의 모서리 부위에 설치되며, 바람직하게는 몸체부(100)에 내장된 상태에서 몸체부(100)의 모서리 외측 방향으로 구름바퀴(300)의 외측면 일부가 노출되도록 구비되어, 고정구(1)의 전체적인 부피를 최소화하면서, 구름바퀴(300)가 몸체부(100)로부터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표시된 도면부호 151은 힌지핀(150)을 고정시키기 위한 멈춤링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고정구(1)에 포함되는 락킹부(200)에 의해 삽입파이프(3)의 외주면이 가압 또는 가압 해제되는 작동상태를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부(220)의 끝단이 몸체부(10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파지부(220)를 회전시키면, 삽입파이프(3)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가압부(230)의 타측면 부위가 가압부(230) 끝단에 가까운 곳에서 형성되어 가압부(230)가 삽입파이프(3)에 가하는 가압력이 크지 않거나 소멸된다. 따라서, 삽입파이프(3)는 삽입홀(101)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파지부(220)를 반전 회전시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230)의 끝단이 단턱부(111)에 안착되면서 함몰부(110)로 수용되도록 하면, 이 회전 과정에서 삽입파이프(3)와 접촉되는 가압부(230)의 타측면 부위가 회전부(210)에서 연장이 시작되는 가압부(230) 부위 쪽으로 가까워지게 된다. 가압부(230)가 삽입파이프(3)에 가하는 가압력이 증가하게 되며, 가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삽입파이프(3)가 삽입홀(101)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특히 도시된 예에서처럼 가압돌기(231)가 형성된 경우에는 접촉부위가 이 가압돌기(231)에 이르게 되었을 때, 가압돌기(231)에 의해 삽입파이프(3)에 대한 가압력이 최대가 되어 삽입파이프(3)는 더욱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때, 가압돌기(231)는 가압부(230)의 길이 상에서 소정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소정 위치란, 파지부(220)의 끝단이 단턱부(111)에 안착되어 파지부(220)의 외측면이 몸체부(100)의 측면과 연장된 면을 이루었을 때, 즉 삽입파이프(3)를 고정하기 위한 락킹부(200)의 작동이 완료되는 상태로 파지부(220)의 회동이 이루어졌을 때, 가압돌기(231)가 삽입파이프(3)의 외주면을 가압하게 되는, 가압부(230) 길이 상에서의 위치를 말한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 침대용 엔드 패널의 고정구 2; 침대용 엔드 패널
3; 삽입파이프 4; 홈부
5; 침대 프레임 100; 몸체부
101; 삽입홀 102; 개방부
110; 함몰부 111; 단턱부
112; 공간부 150; 힌지핀
151; 멈춤림 200; 락킹부
210; 회전부 220; 파지부
221; 걸림돌기 230; 가압부
231; 가압돌기 300; 구름바퀴

Claims (6)

  1. 침대용 엔드 패널에 형성된 삽입파이프가 삽입 결합되는 삽입홀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고, 측면에 함몰부가 형성되면서 상기 삽입홀의 옆쪽이 개방되는 개방부가 형성되며, 침대 프레임의 모서리에 고정될 수 있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회전에 따라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는 상기 삽입파이프의 외주면을 탄력적으로 가압 또는 가압 해제하는 락킹부;가 포함되는 침대용 엔드 패널의 고정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락킹부는, 상기 함몰부 내측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개방부로 노출된 상기 삽입파이프의 외주면을 가압 또는 가압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엔드 패널의 고정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는 힌지핀이 더 포함되고,
    상기 락킹부는,
    상기 힌지핀이 관통 결합되면서 상기 함몰부의 내측에서 회전가능하도록 배치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에서 연장형성되는 파지부; 및 끝단까지 이르는 길이 전체에서 일측면이 상기 회전부의 외측면과 이격되도록 상기 회전부에서 원호상으로 연장형성되는 가압부;가 포함되어,
    사용자가 상기 파지부를 파지하여 측방으로 회전 또는 반전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가압부의 타측면이 상기 개방부로 노출되는 삽입파이프의 외주면을 탄력적으로 가압 또는 가압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엔드 패널의 고정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의 타측면에 가압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엔드 패널의 고정구.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의 단부 일측면에 당김이 용이하도록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엔드 패널의 고정구.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침대의 이동과정에서 충돌하는 경우에 충돌하는 물체와의 접촉면을 따라 구르면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몸체부의 모서리 부위에 구름바퀴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엔드 패널의 고정구.
KR1020110114808A 2011-11-04 2011-11-04 침대용 엔드 패널의 고정구 KR101321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4808A KR101321717B1 (ko) 2011-11-04 2011-11-04 침대용 엔드 패널의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4808A KR101321717B1 (ko) 2011-11-04 2011-11-04 침대용 엔드 패널의 고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9661A KR20130049661A (ko) 2013-05-14
KR101321717B1 true KR101321717B1 (ko) 2013-10-28

Family

ID=48660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4808A KR101321717B1 (ko) 2011-11-04 2011-11-04 침대용 엔드 패널의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171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7778A (ja) * 1994-06-13 1995-12-19 Paramount Bed Co Ltd ベッドにおけるボード係止機構
JP2534010Y2 (ja) 1992-11-13 1997-04-30 株式会社関西製作所 寝台等におけるボード固定装置
JP2002095552A (ja) * 2000-09-22 2002-04-02 France Bed Co Ltd ベッド装置のボード体
JP2004290417A (ja) 2003-03-27 2004-10-21 Seahonence Inc 寝台におけるボード取付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4010Y2 (ja) 1992-11-13 1997-04-30 株式会社関西製作所 寝台等におけるボード固定装置
JPH07327778A (ja) * 1994-06-13 1995-12-19 Paramount Bed Co Ltd ベッドにおけるボード係止機構
JP2002095552A (ja) * 2000-09-22 2002-04-02 France Bed Co Ltd ベッド装置のボード体
JP2004290417A (ja) 2003-03-27 2004-10-21 Seahonence Inc 寝台におけるボード取付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9661A (ko) 2013-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54724B2 (ja) 組立式柵
KR101299634B1 (ko) 잠금장치
KR101321717B1 (ko) 침대용 엔드 패널의 고정구
JP2008121321A (ja) キャビネット
JP3180814U (ja) スライドレールキットの取付構造
KR101395076B1 (ko) 도어록용 모티스
JP2014161732A (ja) 回転締付けアームからなる戻り防止機構を備えた調理容器用の着脱式把持装置
JP2018064678A (ja) 浴槽サポート手摺
JP2010215315A (ja) エレベータ乗場戸解錠装置
TWI524970B (zh) 穿透式棘輪扳手
KR200461773Y1 (ko) 미닫이도어의 이동안내부재 고정장치
JP4049796B2 (ja) フロアハッチ用取手
KR200444446Y1 (ko) 공구함 체결용 클램프의 잠금장치
CN212773991U (zh) 一种便捷式门锁结构
WO2014089919A1 (zh) 一种具有双锁座的马蹄形锁
JP3098256U (ja) 吊り具
KR200458679Y1 (ko) 붙박이장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JP5725752B2 (ja) ハンドル装置
JP3911484B2 (ja) 戸構造の内部解錠装置
JP2003239573A5 (ko)
JP4709182B2 (ja) 墜落防止用安全器
JP3170942U (ja) 安全フック
JP5481097B2 (ja) 足場用幅木
KR101089215B1 (ko) 도어의 안전걸이 장치
JP4373975B2 (ja) 開閉体装置及び該開閉体装置に用いられる吊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