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0313B1 - 전기로의 하부 전극 교체용 틸팅장치 - Google Patents

전기로의 하부 전극 교체용 틸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0313B1
KR101320313B1 KR1020110134413A KR20110134413A KR101320313B1 KR 101320313 B1 KR101320313 B1 KR 101320313B1 KR 1020110134413 A KR1020110134413 A KR 1020110134413A KR 20110134413 A KR20110134413 A KR 20110134413A KR 101320313 B1 KR101320313 B1 KR 101320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electrode
tilting
seating
electric furnace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4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7641A (ko
Inventor
장두환
김종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10134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0313B1/ko
Publication of KR20130067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76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0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03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3/00Hearth-type furnaces, e.g. of reverberatory type; Tank furnaces
    • F27B3/06Hearth-type furnaces, e.g. of reverberatory type; Tank furnaces with movable working chambers or hearths, e.g. tiltable, oscillating or describing a composed movement
    • F27B3/065Hearth-type furnaces, e.g. of reverberatory type; Tank furnaces with movable working chambers or hearths, e.g. tiltable, oscillating or describing a composed movement tilt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1/00Arrangement of elements for electric heating in or on furnaces
    • F27D11/08Heating by electric discharge, e.g. arc discharge
    • F27D11/10Disposition of electr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rnace Details (AREA)
  • Vertical, Hearth, Or Arc Furn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로에서 고철을 용해하기 위한 주 설비인 하부 전극의 멀티핀을 조립하기 용이하도록 하부 전극을 경동시키는 전기로의 하부 전극 교체용 틸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로의 하부 전극 교체용 틸팅장치는 전기로에 구비된 하부 전극의 멀티핀을 교체하기 위하여 하부 전극을 경동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하부 전극이 수평상태로 안착되면서 고정되도록 상기 하부 전극의 하단부 둘레를 둘러싸는 안착 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안착 프레임의 외주면에는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샤프트축이 돌출되어 구비되는 안착 유닛과; 상기 안착 유닛을 경동시켜 상기 하부 전극이 수직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샤프트축을 지지하면서 회전시키는 경동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로의 하부 전극 교체용 틸팅장치{TILTING APPARATUS FOR CHANGING LOWER ELECTRODE OF ELECTRIC FURNACE}
본 발명은 전기로의 하부 전극 교체용 틸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로에서 고철을 용해하기 위한 주 설비인 하부 전극의 멀티핀을 조립하기 용이하도록 하부 전극을 경동시키는 전기로의 하부 전극 교체용 틸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선 및 용강을 생산하기 위한 방법은 고로 조업 및 전기로 조업으로 나누어진다. 고로 조업은 철광석과 코크스를 이용하여 고로에서 용선을 생산하는 방법이고, 전기로 조업은 고철을 이용하여 전기로에서 용강을 생산하는 방법이다.
전기로 조업은 전극 사이에 고철을 적치한 다음 전기를 통전시켜 이때 발생되는 아크(arc)열을 이용하여 고철을 용융시키는 조업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전기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전기로(10)는 내부에 고철을 용융시킨 용강을 담도록 내화물로 구성된 노체(11) 및 노체(11) 상단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된 커버인 루프(12)를 포함한다. 그리고 전기로(10) 노체(11)의 측하부에는 생산된 용강을 배출시키기 위한 출강구(16)가 형성된다.
한편, 상부 전극봉(13)이 루프(12)를 관통하여 노체(11) 내부로 삽입되고, 노체(11)의 하부에는 다수의 멀티핀(Multy-Pin)(15)이 형성된 하부 전극(14)이 장착된다. 그래서 전기로(10) 내에 장입된 고철은 상부 전극봉(13)과 하부 전극(14)에서 발생되는 아크열에 의해 용해가 된 후 출강구(16)를 통해 래들(ladle))로 출강되어 후속 공정으로 이송된다.
전기로 조업을 반복하여 실시하게 되면 노체(11) 내 중앙 하부의 내화물이 용손되게 되고, 이렇게 용손된 내화물에 하부 전극(14)의 멀티핀(15)이 노출됨으로써 멀티핀(15)이 손상 및 변형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그러면 상부 전극봉(13)과 하부 전극(14) 간의 통전이 불량하게 되므로 일정 회 이상의 사용횟수가 되면 주기적으로 하부 전극(14)에서 멀티핀(15)을 교체하는 작업을 실시하여 한다.
도 2는 종래에 하부 전극에서 멀티핀을 교체하는 작업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전극(14)은 대략 200여 개의 멀티핀(15)이 조립되어 있다. 그래서 하부 전극(14)에서 멀티핀(15)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먼저 전기로(10)에서 취외시킨 하부 전극(14)을 하부 전극 적치대(미도시)에 안착시킨 후 작업자가 하부 전극(14)의 하부에서 임팩트 렌치(Impact Wrench)를 사용하여 멀티핀(15)을 체결하고 있는 너트를 해체한 후 변형 또는 마모된 멀티핀(15)을 제거하고 새로운 멀티핀(15)을 하나씩 조립하여야 한다.
하지만, 이러한 멀티핀(15)의 교체작업은 작업자가 하부 전극(14)의 하부에서 위를 쳐다보고 무거운 임팩트 렌치를 치켜 올려 해체 및 조립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작업자세가 불안정하게 되어 작업자가 근골격계 질환의 위험에 노출되며, 멀티핀(15)의 해체시 하부 전극에 고착되어 있던 내화물 잔해가 작업자에게 낙하되어 작업자가 위험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작업자의 작업자세가 불안정하여 멀티핀(15)의 교체 작업에 장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기로의 하부 전극에서 멀티핀을 교체할 때 전기로에서 취외된 하부 전극을 수직상태로 경동시켜 작업자가 안정된 자세에서 멀티핀의 교체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로의 하부 전극 교체용 틸팅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로의 하부 전극 교체용 틸팅장치는 전기로에 구비된 하부 전극의 멀티핀을 교체하기 위하여 하부 전극을 경동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하부 전극이 수평상태로 안착되면서 고정되도록 상기 하부 전극의 하단부 둘레를 둘러싸는 안착 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안착 프레임의 외주면에는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샤프트축이 돌출되어 구비되는 안착 유닛과; 상기 안착 유닛을 경동시켜 상기 하부 전극이 수직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샤프트축을 지지하면서 회전시키는 경동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안착 프레임의 내주면에는 상기 하부 전극이 거치되도록 서로 이격되어 다수개의 거치 플레이트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안착 유닛은 상기 안착 프레임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안착 프레임의 내측영역으로 진입되도록 작동되는 다수개의 이동 스토퍼 수단이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어, 상기 하부 전극의 하단부가 상기 거치 플레이트와 이동 스토퍼 수단 사이에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 스토퍼 수단은 상기 안착 프레임의 외주면에서 상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이동 실린더와; 상기 이동 실린더의 로드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상기 고정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안착 프레임의 내측영역으로 진입되는 스토퍼를 포함한다.
상기 경동 유닛은 상기 안착 유닛에 구비되는 한 쌍의 샤프트가 회전되도록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틸팅블럭과; 상기 한 쌍의 틸팅블럭이 설치되는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수단은 일측에 상기 샤프트의 단부가 고정되는 회동암과; 일측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회동암의 타측에 핀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회동암을 회동시키는 경동 실린더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는 실린더 브래킷과; 상기 경동 실린더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 브래킷에 제 1 핀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경동 실린더가 상하 회동되도록 하는 제 1 체결체와; 상기 경동 실리더의 로드에 설치되고, 상기 회동암에 제 2 핀을 매개로 연결되는 제 2 체결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기로에서 취외된 하부 전극을 고정시킨 수평상태에서 고정한 후 수직상태로 경동시켜 작업자가 멀티핀의 교체를 안정된 자세로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멀티핀의 분해 및 조립을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어 하부 전극의 교체작업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기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종래에 하부 전극에서 멀티핀을 교체하는 작업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로의 하부 전극 교체용 틸팅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착 유닛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동 유닛의 요부는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로의 하부 전극 교체용 틸팅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로의 하부 전극 교체용 틸팅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착 유닛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동 유닛의 요부는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로의 하부 전극 교체용 틸팅장치는 다수의 멀티핀(15)이 장착된 하부 전극(14)이 수평상태로 안착되면서 고정시키는 안착 유닛(100)과, 상기 안착 유닛(100)을 경동시켜 상기 하부 전극(14)이 수직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경동 유닛(200)을 포함한다.
상기 안착 유닛(100)은 전기로(10)에서 취외된 하부 전극(14)을 고정시키는 수단으로서, 상기 하부 전극(14)의 하단부 둘레를 둘러싸는 안착 프레임(110)과, 상기 안착 프레임(110)의 외주면에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안착 프레임(110)의 내측영역으로 진입되도록 작동되는 다수개의 이동 스토퍼 수단(120)을 포함한다.
상기 안착 프레임(110)은 상기 하부 전극(14)의 하단부를 둘러싸면서 고정시키는 수단으로서, 상기 안착 프레임(110)은 상기 하부 전극(14)의 하단부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 예를 들어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안착 프레임(110)의 형상은 원통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하부 전극(14)의 하단부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안착 프레임(110)의 내주면에는 상기 하부 전극(14)이 거치되도록 다수개의 거치 플레이트(111)가 서로 이격되어 안착 프레임(110)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거치 플레이트(111)는 4개가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그래서 전기로(10)에서 취외된 하부 전극(14)의 하단부가 상기 거치 플레이트(111)의 상단에 거치되면서 상기 하부 전극(14)이 상기 안착 프레임(110)의 내부에 안착되는 것이다.
상기 이동 스토퍼 수단(120)은 상기 안착 프레임(110)의 거치 플레이트(111)에 안착된 상기 하부 전극(14)을 상기 안착 프레임(110)에 고정시키는 수단으로서, 상기 안착 프레임(110)의 외주면에서 상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고정 플레이트(121)와, 상기 고정 플레이트(121)에 설치되는 이동 실린더(125)와; 상기 이동 실린더(125)의 로드(126)에 설치되는 스토퍼(127)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 플레이트(121)는 상기 이동 실린더(125)를 상기 안착 프레임(110)에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그 형상은 특정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스토퍼(127)가 상기 안착 프레임(110)의 내측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면 어떠한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고정 플레이트(121)에는 상기 이동 실린더(125)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고정 플레이트(121)에서 외측 방향으로 이격되어 다수의 스트로크(122)를 매개로 고정 설치되는 이격 플레이트(123)가 설치된다. 그래서 상기 이동 실린더(125)가 상기 이격 플레이트(123)에 고정된다.
상기 이동 실린더(125)는 로드(126)를 작동시켜 상기 스토퍼(127)를 상기 안착 프레임(110)의 내측으로 진입시킬 수 있는 다양한 실린더가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에어 실린더를 채택하여 사용하였다. 그리고 상기 이동 실린더(125)의 로드(126)는 상기 이동 실린더(125)의 작동에 의해 상기 고정 플레이트(121)를 관통하여 상기 안착 프레임(110)의 내부로 진입된다.
상기 스토퍼(127)는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이동 실린더(125)의 로드(126)에 일체로 고정된다. 그래서, 상기 이동 실린더(125)의 작동에 의해 이동 실린더(125)의 로드(126)와 함께 상기 안착 프레임(110)의 내부로 진입되어 상기 거치 플레이트(111)에 안착된 상기 하부 전극(14)의 하단부 상단까지 위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하부 전극(14)의 하단부가 상기 거치 플레이트(111)와 스토퍼(127) 사이에서 고정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안착 프레임(110)의 외주면에는 상기 안착 프레임(110)을 경동시키기 위한 축이 되는 한 쌍의 샤프트축(112)이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경동 유닛(200)은 상기 하부 전극(14)이 안착되어 고정된 안착 유닛(100)을 경동시켜 상기 하부 전극(14)을 수직상태로 유지시키는 유닛으로서, 상기 경동 유닛(200)은 상기 안착 프레임(110)의 외주면에 구비된 한 쌍의 샤프트축(112)이 회전되도록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틸팅블럭(210)과, 상기 한 쌍의 틸팅블럭(210)이 설치되는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220)과,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220)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샤프트축(112)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230)을 포함한다.
상기 틸팅블럭(210)은 상기 샤프트축(112)이 관통되는 원형의 관통홀(211)이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축(112)이 상기 관통홀(211)을 관통하여 통과됨에 따라 상기 샤프트축(112)이 상기 틸팅블럭(210)에서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220)은 상기 틸팅블럭(210)이 설치되는 수단으로서, 상기 안착 프레임(110)이 경동되어 수직상태가 될 수 있도록 충분한 높이를 갖고 지면에서 상부방향으로 직립되어 설치된다. 그래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220)의 상부 영역 일측에 상기 틸팅블럭(210)이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220)의 상부 영역 타측에는 상기 회전수단(230)이 설치된다.
상기 회전수단(230)은 하부 전극이 고정된 안착 프레임(110)을 수직 상태로 경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샤프트축(112)을 회전시키는 수단으로서, 상기 회전수단(230)은 상기 틸팅블럭(210)을 통과한 상기 샤프트축(112)의 단부가 고정되는 회동암(231)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220)의 상부 영역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암(231)을 회동시키는 경동 실린더(235)를 포함한다.
상기 회동암(231)은 일측에 상기 샤프트축(112)이 고정되도록 삽입홈(23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삽입홈(232)은 상기 샤프트축(112)과 회동암(231)이 일체로 회동되도록 하기 위하여 다각형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샤프트축(112)의 단부도 상기 삽입홈(232)의 형상에 대응되어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삽입홈(232)의 형상 및 샤프트축(112)의 단부 형상을 사각형으로 구현하였다.
한편, 상기 샤프트축(112)의 단부에는 엔드 플레이트(231a)가 볼트(231b)를 매개로 체결되어 상기 회동암(231)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암(231)의 타측은 상기 경동 실린더(235)가 설치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경동 실린더(235)는 일측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220)에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회동암(231)의 타측에 핀(pin)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회동암(231)을 회동시키는 수단으로서, 상기 경동 실린더(235)는 상기 회동암(231)이 회동되는 동작에 대응하여 유연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220)에 설치된다.
부연하자면, 상기 베이스 프레임(220)에는 실린더 브래킷(221)이 설치되고, 상기 경동 실린더(235)의 단부에는 상기 실린더 브래킷(221)에 제 2 핀(237a)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경동 실린더(235)가 상하 회동되도록 하는 제 1 체결체(237)가 장착되고, 상기 경동 실린더(235)의 로드(236)에는 상기 회동암(231)에 제 2 핀(239a)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회동암(231)이 원활하게 회동되도록 하는 제 2 체결체(239)가 장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로의 하부 전극 교체용 틸팅장치의 사용상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로의 하부 전극 교체용 틸팅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다수의 멀티핀(15)이 장착된 하부 전극(14)을 전기로(10)에서 취외하게 되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전극(14)을 수평상태로 안착 프레임(110)의 거치 플레이트(111)에 안착시킨다. 이 상태에서 각각의 이동 실린더(125)를 작동시켜 다수의 스토퍼(127)가 하부 전극(14)의 하단부 상면까지 진입하도록 한다. 그러면 하부 전극(14)은 하면이 상기 거치 플레이트(111)에 지지되고 상면이 상기 스토퍼(127)에 지지되면서 상기 거치 플레이트(111)와 스토퍼(127) 사이에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하부 전극(14)을 경동시켜 수직상태가 되도록 한다.
부연하자면, 도 6b와 같이 안착 프레임(110)이 수평상태에서 경동 실린더(235)를 작동시키면 경동 실린더(235)의 로드(236)가 전진되면서 회동암(231)을 회전시킨다. 그러면 회동암(231)과 일체로 안착 프레임(110)의 샤프트축(112)이 회전되면서 안착 프레임(110)이 수직상태가 되고, 이에 따라 안착 프레임(110)에 고정된 하부 전극(14)도 수직상태가 된다.
한편, 경동 실린더(235)의 작동에 의해 상기 회동암(231)이 회동될 때 상기 회동암(231)은 원호형상으로 회동된다. 하지만, 경동 실린더(235)의 로드(236)와 회동암(231)은 제 2 핀(239a)이 체결된 제 2 체결체(239)에 의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회동암(231)의 회동에 대응하여 경동 실린더(235)의 로드(236)도 유연하게 스윙되면서 전진된다.
또한, 상기 경동 실린더(235)의 단부는 제 2 핀(237a)이 체결된 제 1 체결체(237)에 의해 상기 베이스 프레임(220)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회동암(231)의 회동에 대응하여 경동 실린더(235)도 유연하게 스윙된다. 이에 따라 경동 실린더(235)의 로드(236)의 직선 운동이 회동암(231)의 원호 형상의 운동으로 유연하게 전환되는 것이다.
이렇게 하부 전극(14)이 수직상태로 전환된 상태에서 자세가 유지되면 작업자는 종래와 같이 하부 전극(14)의 하부에서 위를 쳐다보고 멀티핀(15)의 교체작업을 실시하는 것이 아니라 전방을 바라보면서 멀티핀(15)의 교체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작업자의 작업효율이 향상되는 동시에 작업자의 자세가 안정되어 작업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0: 전기로 14: 하부 전극
15: 멀티핀 100: 안착 유닛
110: 안착 프레임 120: 이동 스토퍼 유닛
121: 고정 플레이트 125: 이동 실린더
127: 스토퍼 200: 경동 유닛
210: 틸팅블럭 220: 베이스 프레임
230: 회전수단 231: 회동암
235: 경동 실린더 237: 제 1 체결체
239: 제 2 체결체

Claims (6)

  1. 전기로에 구비된 하부 전극의 멀티핀을 교체하기 위하여 하부 전극을 경동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하부 전극이 수평상태로 안착되면서 고정되도록 상기 하부 전극의 하단부 둘레를 둘러싸는 안착 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안착 프레임의 외주면에는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샤프트축이 돌출되어 구비되는 안착 유닛과;
    상기 안착 유닛을 경동시켜 상기 하부 전극이 수직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샤프트축을 지지하면서 회전시키는 경동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경동 유닛은
    상기 안착 유닛에 구비되는 한 쌍의 샤프트가 회전되도록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틸팅블럭과;
    상기 한 쌍의 틸팅블럭이 설치되는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포함하는 전기로의 하부 전극 교체용 틸팅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착 프레임의 내주면에는 상기 하부 전극이 거치되도록 서로 이격되어 다수개의 거치 플레이트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안착 유닛은 상기 안착 프레임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안착 프레임의 내측영역으로 진입되도록 작동되는 다수개의 이동 스토퍼 수단이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어,
    상기 하부 전극의 하단부가 상기 거치 플레이트와 이동 스토퍼 수단 사이에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로의 하부 전극 교체용 틸팅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동 스토퍼 수단은
    상기 안착 프레임의 외주면에서 상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이동 실린더와;
    상기 이동 실린더의 로드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상기 고정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안착 프레임의 내측영역으로 진입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전기로의 하부 전극 교체용 틸팅장치.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일측에 상기 샤프트의 단부가 고정되는 회동암과;
    일측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회동암의 타측에 핀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회동암을 회동시키는 경동 실린더를 포함하는 전기로의 하부 전극 교체용 틸팅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는 실린더 브래킷과;
    상기 경동 실린더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 브래킷에 제 1 핀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경동 실린더가 상하 회동되도록 하는 제 1 체결체와;
    상기 경동 실리더의 로드에 설치되고, 상기 회동암에 제 2 핀을 매개로 연결되는 제 2 체결체를 포함하는 전기로의 하부 전극 교체용 틸팅장치.
KR1020110134413A 2011-12-14 2011-12-14 전기로의 하부 전극 교체용 틸팅장치 KR101320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4413A KR101320313B1 (ko) 2011-12-14 2011-12-14 전기로의 하부 전극 교체용 틸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4413A KR101320313B1 (ko) 2011-12-14 2011-12-14 전기로의 하부 전극 교체용 틸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7641A KR20130067641A (ko) 2013-06-25
KR101320313B1 true KR101320313B1 (ko) 2013-10-22

Family

ID=48863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4413A KR101320313B1 (ko) 2011-12-14 2011-12-14 전기로의 하부 전극 교체용 틸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03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9311B1 (ko) * 2019-05-27 2020-07-02 현대로템 주식회사 용선 레이들용 고정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6514A (ko) * 1996-07-23 1997-02-21 헤르베르크 르쩨하크 멜트다운 장치 및 이 장치를 이용한 강 제조방법
KR20000034401A (ko) * 1998-11-30 2000-06-26 이구택 정련로 내화물 마모 상태 감시방법
JP2002526739A (ja) 1998-10-07 2002-08-20 エス・エム・エス・デマーク・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鋼を製造する直流アーク炉及びこれに対する方法
JP2010265485A (ja) 2009-05-12 2010-11-25 Jfe Steel Corp アーク炉の操業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6514A (ko) * 1996-07-23 1997-02-21 헤르베르크 르쩨하크 멜트다운 장치 및 이 장치를 이용한 강 제조방법
JP2002526739A (ja) 1998-10-07 2002-08-20 エス・エム・エス・デマーク・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鋼を製造する直流アーク炉及びこれに対する方法
KR20000034401A (ko) * 1998-11-30 2000-06-26 이구택 정련로 내화물 마모 상태 감시방법
JP2010265485A (ja) 2009-05-12 2010-11-25 Jfe Steel Corp アーク炉の操業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7641A (ko) 2013-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29191B (zh) 熔炉,特别是电弧炉
KR101320313B1 (ko) 전기로의 하부 전극 교체용 틸팅장치
KR101235614B1 (ko) 래들 리프팅 장치
CN219551196U (zh) 一种用于扒渣头快速更换机构及扒渣机
JP2011031299A (ja) プレス機械
RU2508243C2 (ru) Устройство крепления емкостей для сбора твердых фрагментов, выполненное с возможностью поворота на конце подвижного кронштейна, в частности, устройство крепления шарнирных черпаков ковша для снятия корки
KR101765973B1 (ko) 아크 용해로 장치
JP4282038B2 (ja) 溶解炉
CN113334008A (zh) 电渣熔炼用自耗电极与假电极的自动对正和焊接设备
KR20170047477A (ko) 글라스 파쇄장치
KR100777234B1 (ko) 전기로의 편심노저 출강구 오프너
CN217071079U (zh) 一种铸造件火焰气割夹持固定装置
CN215797954U (zh) 一种使用方便且安全的金属吊挂座
CN218349947U (zh) 一种熔样夹具
KR20040087752A (ko) 래들상부의 지금제거장치
KR101758262B1 (ko) 금형으로 주조된 전극 상에 연결 헤드를 고정하기 위한 공구, 관련 시설 및 방법
CN215880504U (zh) 电渣熔炼用自耗电极与假电极的自动对正和焊接设备
RU2636793C2 (ru) Дуговая печь
KR20230026019A (ko) 주편 제조 장치
JP2007197769A (ja) 高炉ベルレスシュート交換用マンホール蓋の着脱装置及び着脱方法
JP5073720B2 (ja) プラズマトーチの電極交換装置、プラズマ溶融炉およびプラズマトーチの電極交換方法
KR20060076670A (ko) 실시간 교환이 가능한 전극봉 분리 및 장착 장치
KR102139630B1 (ko) 용기 장치 및 부착물 제거방법
KR200450698Y1 (ko) 래들로 천정의 캐스팅 작업용 지그
KR200218612Y1 (ko) 전기로 상부 데크의 장입물 고착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