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0182B1 -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0182B1
KR101320182B1 KR1020120019236A KR20120019236A KR101320182B1 KR 101320182 B1 KR101320182 B1 KR 101320182B1 KR 1020120019236 A KR1020120019236 A KR 1020120019236A KR 20120019236 A KR20120019236 A KR 20120019236A KR 101320182 B1 KR101320182 B1 KR 101320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touch panel
pattern
portable terminal
tou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9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7518A (ko
Inventor
김기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120019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0182B1/ko
Priority to US13/669,973 priority patent/US20130222284A1/en
Publication of KR20130097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75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0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01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33Hand-held transcei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방식이 적용된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의 물리적 흡착을 방지하는 휴대용 단말기로서, 사용자의 터치가 입력되는 터치 패널; 상기 터치 패널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하나 이상의 패턴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유막 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막 방지부가, 상기 터치 패널 중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마주하는 일 면인 제1 면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중 상기 터치 패널과 마주하는 일 면인 제2 면 중 하나 이상의 면에 형성된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조 방법 {Mobile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유막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유막 방지부를 형성하여 터치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의 유막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전 제품의 슬림화 및 슬림화 경향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도 슬림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리고 최근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방식으로 터치 센서(정전식, 정압식, 적외선 식 등)를 이용한 입력 방식이 적용된 휴대용 단말기가 늘어감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이 커지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부(1)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터치 센서가 포함된 디스플레이 부(1)는 터치 패널(10)과 상기 터치 패널(10)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디스플레이 패널(20)을 배치하는 측면 지지부(31)를 포함한다. 그리고, 터치 패널(10)과 디스플레이 패널(20) 사이의 공기를 포함하는 틈(S)이 형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10)을 조작하는 과정에서 가해지는 외력 또는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지 않고 주머니나 가방 속에 오랜 시간 방치하는 경우 주변 물건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터치 패널(10)이 만곡되어 유막 현상이 발생하였다.
유막 현상은 매끈한 표면을 갖는 두 물체가 서로 맞닿으면 두 물체 사이에 반데르발스의 힘에 의한 물리적 흡착으로 진공 현상이 발생하여 나타난다.
종래의 경우 휴대용 단말기의 두께가 두껍거나(터치 패널(10)과 디스플레이 패널(20) 사이의 간격이 0.5 mm 이상임) 디스플레이 패널(20)의 크기가 작았기 때문에 유막 현상이 발생하지 않았다. 터치 패널(10)과 디스플레이 패널(20) 사이의 간격이 충분히 확보되어 두 패널이 흡착될 가능성이 작았고, 크기가 작은 경우에도 측면 지지부(31)에 의한 지지력으로 인해 터치 패널이 만곡되는 정도가 약하였기 때문에 두 패널이 흡착될 가능성이 작았다.
그러나 제품의 슬림화와 디스플레이 화면의 대형화 경향에 따라 외력(F)에 의한 터치 패널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변형량도 점차 커지게 되었다. 특히, 태블릿 제품의 경우 변형 량의 정도가 더욱 심해졌다.
따라서, 이러한 요인들을 조절하여 유막 현상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있었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합지 구조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부(3)의 단면도이다.
터치 패널(10)과 디스플레이 패널(20) 사이에 공기를 포함하는 대략 0.3 내지 0.5 mm 정도의 틈이 형성된다. 이러한 틈이 좁아질수록 터치 패널(10)과 디스플레이 패널(20)은 접촉하기 쉬워지고 유막 현상이 나타나기가 쉬워진다.
도 2의 경우 유막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기를 포함하는 틈을 형성하지 않도록 터치 패널(10)과 디스플레이 패널(20) 사이에 중간층(50)을 형성할 수 있다. 중간층(50)은 자외선 경화형 수지(UV Resin)를 터치 패널(10)과 디스플레이 패널(20) 사이에 채워 넣고 경화시켜 형성되거나, 광학 투명 접착 필름(OCA; Optical Clear Adhesive)으로 터치 패널(10)과 디스플레이 패널(20)을 접착하여 형성된다.
이 경우, 터치 패널(10)과 디스플레이 패널(20)이 중간층(50)으로 인하여 물리적으로 밀착되지 않기 때문에 유막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합지 구조의 경우 터치 패널(10)과 디스플레이 패널(20)이 일체화되어 분리되지 않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어느 하나에 불량이 발생한 경우 전체를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제품 생산의 수율을 현저히 떨어뜨리는 요소가 된다. 또한, 합지 구조의 경우 이물질에 의한 불량이 발생할 수 있고, 이는 공정이 끝난 후에야 확인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제품의 생산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휴대용 단말기의 생산 비용에서 터치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의 비중이 크기 때문에 이러한 요소는 제품 가격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품 수리 시 터치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분리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패널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합지 구조를 위한 접착층의 추가로 기본적인 단가가 높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얇은 두께를 가지면서도 유막 현상을 개선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원하는 패턴 형상과 원하는 위치에 패턴을 형성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의 선명도를 개선하면서도 유막 현상을 개선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합지 구조와 같이 제품의 생산 수율을 떨어뜨리거나 제조 비용을 증가시키지 않고 유막 현상을 개선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방식이 적용된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의 물리적 흡착을 방지하는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의 터치가 입력되는 터치 패널; 상기 터치 패널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하나 이상의 패턴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유막 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막 방지부가, 상기 터치 패널 중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마주하는 일 면인 제1 면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중 상기 터치 패널과 마주하는 일 면인 제2 면 중 하나 이상의 면에 형성된다.
상기 각 유막 방지부는, 베이스 층; 및 상기 베이스 층 상에 형성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층은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 중 하나의 면에 상기 하나 이상의 패턴이 나머지 하나의 면을 향하도록 적층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패턴은 투명 전극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각 패턴이,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중 하나 이상의 면의 일부 영역에 마이크로미터 단위의 두께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막 방지부가,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에 모두 형성되고, 상기 각 유막 방지부의 패턴이 서로 같은 극으로 대전되어 상기 터치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척력을 유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각 유막 방지부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백라이트 유닛의 전원이 오프된 경우, 상기 전원 공급부가 상기 각 유막 방지부에 전기를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가,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상기 각 유막 방지부에 전기를 인가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마주하도록 형성된 전극 패턴을 포함하는 하부 전극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유막 방지부가 상기 제2 면에 형성되고, 상기 전극 패턴과 상기 유막 방지부의 패턴이 서로 같은 극으로 대전되어 상기 터치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척력을 유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하부 전극 및 상기 유막 방지부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백라이트 유닛의 전원이 오프된 경우, 상기 전원 공급부가 상기 하부 전극 및 상기 유막 방지부에 전기를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가,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상기 하부 전극 및 상기 유막 방지부에 전기를 인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제조 방법은 터치 입력 방식이 적용된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터치가 입력되는 터치 패널과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마련하는 제1 단계; 및 상기 터치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물리적 흡착을 방지하도록, 상기 터치 패널 중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마주하는 일 면인 제1 면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중 상기 터치 패널과 마주하는 일 면인 제2 면 중 하나 이상의 면에 하나 이상의 패턴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유막 방지부를 형성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각 패턴은,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 중 하나 이상의 면의 일부 영역에 마이크로미터 단위의 두께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패턴이 형성된 베이스 층을 마련하는 단계; 및 상기 베이스 층을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 중 하나의 면에 상기 하나 이상의 패턴이 나머지 하나의 면을 향하도록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패턴은, 상기 터치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상기 베이스 층에 마이크로미터 단위의 두께를 갖는 패턴 물질층을 형성하고; 상기 패턴 물질층을 부분 에칭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패턴은, 내부에 전극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상기 터치 패널의 상기 제1 면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제2 면 중 하나 이상인 면을 패턴 물질이 포함된 용액에 침지시키고; 상기 용액에 침지된 면에 상기 전극 패턴과 대응하는 패턴이 형성되도록, 상기 전극 패턴에 전기를 인가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패턴은 투명 전극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화면의 대형화와 제품의 슬림화에 따른 유막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디스플레이 화면의 선명도를 보장하고, 제품의 생산 수율을 증가시키고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유막 방지부를 구비하면 되므로 유막 방지를 위한 터치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의 간격을 넓히는 등의 추가적인 두께 증가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제품의 슬림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유막 방지부로 바람직하게는 투명 전극 물질을 사용하는데, 이미 기존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의 선명도(사용자가 화면을 보는 것을 방해하지 않음)를 저해하지 않는 것이므로, 유막 방지부를 형성하더라도 우수한 디스플레이의 선명도를 보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저가의 유막 방지부의 추가로 유막 현상 발생을 크게 개선하므로 유막 방지부를 형성하더라도 생산 비용이 거의 증가하지 않는다. 또한, 기존 투명 전극 물질을 그대로 사용할 경우 기존 공정에 더미 투명 전극 패턴의 부착 공정만 있으면 되므로 생산 효율도 높아진다. 그에 따라, 제품의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고 공정의 효율성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더미 투명 전극 패턴을 형성하여 표면 조도를 높이는 방식의 경우 별도 전류를 소모하지 않고 다른 부품 또는 터치 패널과의 간섭을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다양한 제품에 적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척력을 이용하는 방식의 경우 주기적으로 미세 전류만 흘려주면 되므로 전력 소모가 매우 적으며, 바람직하게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백라이트 유닛이 오프되는 상태에서 동작하므로 다른 부품, 특히 터치 패널과의 간섭 없이 동작 가능해 진다. 그에 따라, 보다 효율적으로 유막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부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합지 구조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부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유막 방지 패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부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부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부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부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부의 구동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부의 하부 전극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공정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부의 유막 방지부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공정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부의 유막 방지부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공정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부 (4)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부(5)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부(4, 5)는 디스플레이 패널(20), 터치 패널(10) 및 하나 이상의 유막 방 지부(60, 7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0)과 상기 터치 패널(10) 사이의 간격 또는 틈(S)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지지부(31)와 같은 지지 구조에 의해 유지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막 방지부(60, 70)는 상기 터치 패널(10) 중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0)과 마주하는 일 면인 제1 면(16)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0) 중 상기 터치 패널(10)과 마주하는 일 면인 제2 면(17) 중 하나 이상의 면에 형성된다.
디스플레이 패널(20)은 영상을 출력하도록 형성되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액정 표시 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0)은 하부 하우징으로부터 터치 패널(10) 방향으로 순서대로 도광판, 프리즘, 후면 편광판, 후면 유리, 전면 유리 및 전편 편광판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패널(20)에서 전면 편광판은 필름 재질을 주로 사용하므로 매끄러운 표면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터치 패널(10)은 정전식 패널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감압식 터치 패널 등에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경우 정전식 터치 패널 중 일 방식을 기준으로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종류의 정전식 패널에 적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전극층이 하나로 구성되고 해당 전극층의 평면과 저면에 전극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패널(10)에 전극층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0)과 평행하게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공기 틈(S)이 형성되고, 터치 패널(10)의 표면으로 사용자의 터치가 입력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 패널(10)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0)은 0.5 mm 이하의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원하는 제품의 크기에 맞추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10)은 외부 노출면으로부터 순서대로 윈도우 글라스(11), 제1 접착층(12), 상부 전극(13), 제2 접착층(14) 및 하부 전극(15)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접착층(12, 14)으로 광학 투명 접착제(Optical Clear Adhesive)와 같은 접착 테이프를 사용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투명 접착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전극(13)과 하부 전극(15)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필름이나, 유리 등으로 이루어진 캐리어 필름 위에 투명 전극 물질로 전극 패턴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극 패턴은 캐리어 필름 위에 롤투롤(Roll to roll) 장치와 같은 박막 코팅 장치를 사용하거나, 스퍼터링(Sputtering) 장치와 같은 증착 장비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막 방지부(60, 70)는 상기 터치 패널(10)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0) 사이의 접촉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 면(16)과 제2 면(17) 중 하나 이상의 면에 마이크로미터 단위의 두께를 갖는 하나 이상의 패턴(61, 71)을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도 3의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부(4)의 경우 터치 패널(10)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0)과 마주보는 제1 면(16)에 하나 이상의 패턴(61)을 포함하는 유막 방지부(60)가 형성될 수 있고, 도 4의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부(5)의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20)에서 상기 터치 패널(10)과 마주보는 제2 면(17)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패턴(71)을 포함하는 유막 방지부(70)가 형성될 수 있다.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디스플레이 패널(20)과 터치 패널(10)에 모두 유막 방지부(60, 70)가 형성될 수도 있다.
유막 현상의 경우 터치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의 크기, 두 패널 사이의 간격 및 표면 조도(roughness)의 영향을 받는다. 특히, 터치 패널(10)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20)의 크기, 표면 조도(surface roughness)(또는 표면 거칠기) 및 사이 간격에 영향을 받는다.
본 발명의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 및 터치 패널의 크기와 간격을 종래와 같이 유지하면서 표면 조도를 높임으로써 유막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막 방지부(60, 70)가 상기 터치 패널(10)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20)에 서로 마주보는 면에 형성되어 서로 마주하는 면 중 어느 하나의 면이 거칠어지게 보정한다. 따라서, 터치 패널(10)과 디스플레이 패널(20)의 사이에 적용되는 반데르발스의 힘이 약해져 두 패널의 물리적 흡착이 방지되고 그에 따라 유막 현상이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패턴(61, 71)은 상기 제1 면(16)과 제2 면(17) 중 하나 이상의 면의 일부 영역에 마이크로미터 단위의 두께를 갖도록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두께는 1 내지 1000 ㎛ 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1 ㎛ 미만인 경우 표면 조도를 거칠게 하기 어려워 유막 현상의 방지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1000 ㎛ 초과인 경우 제품의 두께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상기 패턴(61, 71)은 마이크로미터 단위의 두께를 갖기 때문에 제품의 두께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유막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얇은 두께를 갖는 제품을 제조하는 데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패턴(61, 71)은 패턴 또는 유막 방지부를 형성하기 위한 다양한 조건,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의 선명도를 확보, 즉, 디스플레이의 투명성 및 빛 투과성을 확보하고, 제품의 슬림화를 위해 단말기 두께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정도의 얇고 작은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다양한 조건들을 만족하기 위해 투명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투명 물질로 광 투과성을 갖는 다양한 물질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투명 전극 물질, 예를 들면 인듐 주석 산화물(ITO; Indium Tin Oxide)과 같은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턴(61, 71)은 투명 물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화면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 선명도가 높은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투명 전극 물질로 이루어져 얇은 두께의 패턴을 형성하기가 쉬워 질 수 있다. 패턴의 형성 방법에 관하여는 이하 제조 방법에 관한 설명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유막 방지부를 구성할 수 있는 패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터치 패널(10)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패턴(61)의 형상을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패턴(61)은 디스플레이 패널(20)에서 터치 패널(10) 방향으로 위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패턴(71)의 형상에도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나 이상의 패턴(61, 71)은 유막 방지부(60, 70)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패널(10)의 하부 전극(15)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0) 방향으로 위에 하나 이상의 패턴(61)이 유막 현상을 개선하도록 최적의 형태와 모양을 갖도록 패터닝 될 수 있다.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도 5에서 (a)의 격자 형상 패턴(61a), (b)의 마름모 형상 패턴(61b) 및 (c)의 막대 형상 패턴(61c)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패턴(61)의 형상을 다양하게 제어하고, 위치를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화면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패턴은 다른 부품들과는 연결되지 않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전력 소모나 노이즈 문제를 고려할 필요가 없게 된다. 즉, 터치 패널의 전극 층과 같이 전원이 인가되는 것이 아니고 단지 하나의 물리적 계층을 추가하게 되므로, 전력 소모가 없고 터치 패널 조작 시 노이즈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터치 패널(10)과 디스플레이 패널(20)을 연결하는 합지 구조와 달리, 터치 패널(10)과 디스플레이 패널(20)을 연결하도록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제품의 생산에 있어서 어느 하나에 불량이 발생하여도 전부를 교체할 필요가 없어 제품의 생산 수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도 5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형성되는 패턴의 영역을 최소화하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패턴의 폭(t1)이 서로 인접하는 패턴과 패턴 사이의 간격(t2)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부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부의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유막 방지부(60' 70')는, 상기 터치 패널(10)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20)에 대향하는 면에 형성된 베이스 층(65, 75) 및 상기 베이스 층(65, 75)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0) 또는 터치 패널(10)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형성된 상기 하나 이상의 패턴(61, 7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의 제3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부(6)의 경우 터치 패널(10)에 순서대로 베이스 층(65)과 하나 이상의 패턴(61)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베이스 층(65)은 하부 전극과 유사하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등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필름 또는 플레이트, 유리 재질로 이루어진 필름 또는 플레이트와 같은 캐리어 필름 또는 플레이트일 수 있다. 즉, 베이스 층은 투명성이 확보되는 얇은 재질의 필름 또는 플레이트를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캐리어 필름 위에 하나 이상의 패턴(61)이 기판 처리 공정 유사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의 제4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부(7)의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20)에 순서대로 베이스 층(75)과 하나 이상의 패턴(71)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20)의 경우 터치 패널(10) 방향으로 형성되는 최외곽층에 해당하는 베이스 층(75)에 하나 이상의 패턴(71)을 형성하여, 도 6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터치 패널(10)과 디스플레이 패널(20) 사이의 물리적 흡착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층(75)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0)의 편광판일 수 있고, 편광판 위에 하나 이상의 패턴(71)이 형성되어 더미 편광판을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더미 전극 또는 더미 편광판은 0.05 내지 0.1 mm의 두께를 갖고 있으므로 하나 이상의 패턴이 하나의 부품으로 보다 쉽게 운반 및 적용될 수 있다. 즉, 터치 패널(10)의 제1 면(16)에 더미 전극을 부착하거나, 디스플레이 패널(20)의 제2 면(17)에 더미 편광판을 부착하는 방식으로 별도의 추가 공정 없이 간단한 방법으로 유막 현상을 방지하는 유막 방지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터치 패널에 사용되는 전극층(13, 15)을 그대로 유막 방지 구조로 활용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20)의 유막 방지부(70, 70')와 터치 패널(10)의 전극층(13, 15)을 활용하여 척력을 유도하는 유막 방지 구성으로 활용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별도의 추가 공정이 없이도 이미 제품에 사용된 부품을 활용하여 유막 방지 구조를 형성하므로, 생산 비용이 절감되고 효율성이 증대될 수 있다 확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패턴(61, 71)이 형성된 상기 베이스 층(65, 75)을 상기 터치 패널(10)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0)에 광학 투명 접착제(OCA)와 같은 투명 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간단한 방법으로 부착하여 유막 방지부(60', 70')를 형성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부(8)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부(9)의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부(8)는 제1 면(16) 및 제2 면(17)에 모두 유막 방지부(60, 60', 70, 70')가 형성되고, 각 유막 방지부(60, 60', 70, 70')의 패턴이 서로 같은 극으로 대전되어 상기 터치 패널(10)과 디스플레이 패널(20) 사이에 척력을 유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막 방지부는 제1 면(16)에 형성되는 제1 유막 방지부(60, 60')와 제2 면(17)에 형성되는 제2 유막 방지부(70, 7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유막 방지부(60, 60')는 상기 터치 패널(10)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1 패턴을 포함하고, 제2 유막 방지부(70, 70')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0)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2 패턴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패턴과 제2 패턴은 도 2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패턴(61, 71)일 수 있으며, 중앙부에 형성된 하나의 제1 패턴 또는 제2 패턴이거나, 소정의 형상으로 반복 형성된 제1 패턴 또는 제2 패턴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패턴과 상기 제2 패턴은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서로 같은 극으로 대전 되어 상기 터치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척력을 유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제1 패턴과 제2 패턴이 대응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패턴 형상을 갖는 경우 척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패턴과 제2 패턴은 서로 대칭, 즉 대응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1 패턴과 제2 패턴은 일부 중첩된 영역을 갖고 척력을 유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패턴이 도 5의 (c)와 같은 막대형 패턴인 경우 제2 패턴도 제1 패턴과 대칭되는 형상의 막대형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막대형 패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척력이 형성되게 할 수 있다.
즉, 제1 면(16)과 제2 면(17)에 형성되는 유막 방지부(60, 60', 70, 70')에 같은 극의 전원을 인가시켜, 제1 면(16)과 제2 면(17) 사이에 척력을 유도하여 상기 터치 패널(10)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0)의 물리적 흡착을 방지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유막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부(9)의 유막 방지 구조는 상기 터치 패널(10)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0)과 마주하도록 형성된 전극 패턴을 포함하는 하부 전극(15)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면(17)에 상기 유막 방지부(70, 70')가 형성되고, 상기 전극 패턴과 상기 유막 방지부(70, 70')의 패턴이 서로 같은 극으로 대전되어 상기 터치 패널(10)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0) 사이에 척력을 유도하도록 유막 방지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막 방지부(70, 70')는 디스플레이 패널(20)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패턴(71)을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터치 패널(10)에는 하나 이상의 전극이 형성될 수 있다. 별도의 구성을 부가하지 않고, 상기 터치 패널(10)의 전극과 제2 면의 유막 방지부(70, 70')의 하나 이상의 패턴(71)을 활용하여 제1 면(16)과 제2 면(17) 사이에 척력을 유도할 수 있다.
즉, 상기 터치 패널(10)의 하부 전극(15)의 전극 패턴과, 제2 면(17)에 형성된 유막 방지부(70, 70')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패턴(71, 도 7 참조)이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되거나, 서로 겹침 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면(17)의 하나 이상의 패턴(71)은 상기 하부 전극(15)의 전극 패턴과 대칭되거나 겹침 면적을 갖도록 상기 전극 패턴에 대응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터치 패널(10)의 하부 전극(15)과 디스플레이 패널(20)의 하나 이상의 패턴(71)에 서로 같은 극의 전류가 인가되어 형성되는 척력으로, 상기 터치 패널(10)과 디스플레이 패널(20)의 물리적 흡착을 방지할 수 있다.
하부 전극(15)의 전극 패턴과 상기 유막 방지부(70, 70')의 하나 이상의 패턴(71)은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서로 같은 극으로 대전 되어 상기 터치 패널(10)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0) 사이에 척력을 유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전극 패턴과 하나 이상의 패턴(71)이 서로 대응하는 형상 및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경우 척력은 극대화될 수 있다.
도 9의 제6 실시예의 경우 제1 면(16)에 유막 방지부를 형성하지 않고 터치 패널(10)의 하부 전극(15)을 활용하여, 제2 면(17)에 형성된 유막 방지부(70, 70')만으로도 척력을 형성하여 더욱 간단한 방법으로 유막 방지 구조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 경우 휴대용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부의 구조가 보다 단순해질 수 있고 두께도 축소될 수 있다.
특히,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및 제6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부(8, 9)는 제1 면(16)과 제2 면(17)의 유막 방지부에(제5 실시예) 또는 하부 전극(15)과 제2 면(17)의 유막 방지부(제6 실시예)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어되어 정해진 시점에 동일한 전원을 하부 전극 또는 하나 이상의 유막 방지부에 공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유막 방지부에 연결되는 별도의 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하여 유막 방지부의 작동으로 다른 부품들에 간섭 현상 또는 노이즈가 발생하지 않게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구동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제5 및 제6 실시예와 같이 하나 이상의 유막 방지부 또는 하부 전극에 전원이 인가되어 척력이 유도되는 경우 전력 소비나 다른 부품과의 노이즈 발생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조작하지 않는 경우, 즉,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백라이트 유닛의 전원이 오프되는 경우 제1 면(16)과 제2 면(17)의 유막 방지부에 또는 하부 전극(15)과 제2 면(17)의 유막 방지부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부는 일정 조건 하에서 오프(off)되는데, 이 경우 백라이트 유닛의 전원이 오프(off)된다.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구체적으로 1)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또는 2) 휴대용 단말기가 특정 응용 프로세스를 수행하지 않는 상태, 즉 어플리케이션 코어(Application Core)가 슬립(sleep) 모드에 진입한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백라이트 유닛의 전원이 오프(off)되거나, 터치 패널의 전원이 오프(off)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백라이트 유닛의 전원이 오프되는 경우에 제1 면(16)과 제2 면(17)의 유막 방지부에 또는 하부 전극(15)과 제2 면(17)의 유막 방지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이유는,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조작하는 상태 또는 어플리케이션 코어가 동작하는 상태에서 제1 면(16)과 제2 면(17)의 유막 방지부에 또는 하부 전극(15)과 제2 면(17)의 유막 방지부에 전원을 인가하면 다른 구성부의 동작에 간섭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를 켠 상태(S10)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백라이트 유닛의 전원이 오프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터치부는 온/오프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백라이트 유닛의 전원이 오프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유막 방지 구성이 비활성 또는 활성화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백라이트 유닛의 전원이 오프되는 경우(S120) 상기 제1 면(16)과 제2 면(17)의 유막 방지부(60, 60', 70, 70')(도 8 참조)에 또는 하부 전극(15)과 제2 면(17)의 유막 방지부(70, 70')(도 9 참조)에 전원이 인가되고(S131),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백라이트 유닛의 전원이 오프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S120) 유막 방지부(60, 60', 70, 70')로의 전원이 차단 될 수 있다(S133).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백라이트 유닛의 전원이 오프되는 경우 제1 면(16)과 제2 면(17)의 유막 방지부(60, 60', 70, 70')(도 8 참조) 또는 하부 전극(15)과 제2 면(17)의 유막 방지부(70, 70')(도 9 참조)에 일정 시간 간격으로 전원을 인가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타이머 등을 포함하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유막 현상은 특히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지 않고 주머니나 가방 속에 오랜 시간 방치하는 경우 힘이 가해져 자주 발생한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지 않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백라이트 유닛의 전원이 오프되는 경우 터치 패널(10)에 전원을 차단하여 터치 모듈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유막 방지부에 전원을 공급하여 효율적으로 유막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는 활성 모드의 경우 유막 방지부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고, 터치 패널(10)에 전원을 공급하여 제품의 사용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막 방지부를 적용하여 0.1 mm 이내의 두께로 유막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합지 구조와 달리 제품의 생산 수율이 떨어진다거나 불량률이 증가하여 비용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항상 유막 방지부 또는 터치 패널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고 필요한 순간에만 전원을 공급하여 소비 전력의 낭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백라이트 유닛의 전원이 오프되는 경우, 상기 제1 면(16)과 제2 면(17)의 유막 방지부(60, 60', 70, 70')에 또는 하부 전극(15)과 제2 면(17)의 유막 방지부(70, 70')에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전원이 인가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지속적으로 유막 방지부에 전원을 인가하지 않아 전력이 지나치게 소모되지 않게 할 수 있다.
이하,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부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제조 방법은 터치 입력 방식이 적용된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터치가 입력되는 터치 패널과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마련하는 제1 단계; 및 상기 터치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물리적 흡착을 방지하도록, 상기 터치 패널 중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마주하는 일 면인 제1 면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중 상기 터치 패널과 마주하는 일 면인 제2 면 중 하나 이상의 면에 하나 이상의 패턴을 포함하는 유막 방지부를 하나 이상 형성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각 패턴은,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 중 하나 이상의 면의 일부 영역에 마이크로미터 단위의 두께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터치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결합하기에 앞서, 유막 방지부에 전원이 인가하여 척력을 유도하는 실시예의 경우 유막 방지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와이어 패턴과 같은 회로 패턴을 구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막 방지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경우 터치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결합한 뒤 기 설정된 시간 간격 또는 기 설정된 조건 하에서 전원을 공급하여 척력을 유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하나 이상의 패턴을 포함하는 마이크로미터 단위의 유막 방지부를 형성하기 때문에 별도의 유막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더 나아가 디스플레이 화면의 선명도를 보장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이 합지 구조와 달리 디스플레이 패널과 터치 패널이 쉽기 분리될 수 있어 제품 생산의 수율이 향상될 수 있고, 불량률도 감소하여 제조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막 방지부는 상기 터치 패널 중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마주하는 일 면인 제1 면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중 상기 터치 패널과 마주하는 일 면인 제2 면 중 하나 이상의 면에 하나 이상의 패턴이 부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유막 방지부는 베이스 층 위에 하나 이상의 패턴을 형성하여 제1 면 또는 제2 면에 부착하는 방식으로 사용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유막 방지부는 운반 및 이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베이스 층 위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단계가 상기 하나 이상의 패턴이 형성된 베이스 층을 마련하는 단계와 터치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의 물리적 흡착을 방지하도록 상기 베이스 층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패턴이,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 중 하나의 면에서 나머지 하나의 면을 향하도록 상기 베이스 층을 적층하는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패널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직접 패턴을 형성할 필요가 없이 베이스 층에 형성하여 하나의 부품을 부착하여 유막 방지부를 형성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조 공정이 보다 단순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 층, 터치 패널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패턴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베이스 층, 터치 패널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분 에칭 방식 또는 도금 유사 방식을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의 가장 아래 면에는 하부 전극이, 즉 기판 위에 하부 전극 패턴이 형성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영향을 외부로 노출하기 위한 방향으로 가장 윗면에는 편광판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패턴은, 상기 터치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상기 베이스 층에 마이크로미터 단위의 두께를 갖는 패턴 물질층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턴 물질층을 포토리소그라피(photolithography)와 같은 방식으로 원하는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마스크를 형성한 뒤 일부만 노출시켜 노출된 부분만 에칭하는 부분 에칭 방식으로 하나 이상의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패턴이 형성된 부분은 표면 거칠기가 향상되어 유막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터치 패널에 하나 이상의 패턴을 형성하는 경우 이러한 부분 에칭 공정은 하부 전극을 제조하는 공정과 동시에 진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금 유사 방식으로 유막 방지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내부에 전극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상기 터치 패널의 상기 제1 면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제2 면 중 하나 이상인 면을 패턴 물질이 포함된 용액에 침지시키고; 상기 용액에 침지된 면에 상기 전극 패턴과 대응하는 패턴이 형성되도록, 상기 전극 패턴에 전기를 인가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전극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1의 (a)를 참조하면, 하부 전극(15)을 제조하기 위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또는 유리 등으로 구성된 기판(150)을 마련한다. 그리고 그 위에 전극 물질층(151')을 형성한다.
그리고, 도 11의 (b)를 참조하면 포토리소그라피 공정을 통하여 마스크를 형성한 뒤 부분 에칭하는 방식으로 기판(150) 위에 원하는 형상의 하부 전극 패턴(151)을 형성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식으로 전극 패턴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후, 도 11의 (c)를 참조하면, 전극 패턴(151)을 연결하는 와이어 패턴(153)을 은과 같은 도전성 물질을 포함하는 전극 페이스트로 인쇄하여 형성할 수 있다.
하부 전극(15)에서 전극 패턴(151) 사이의 간격은 대략 0.1 내지 0.2 mm 정도로 매우 작다. 또한, 와이어 패턴(153) 사이의 간격은 0.03 내지 0.08 mm 정도로 하부 전극 패턴 사이의 간격보다 더 좁아질 수 있다.
위와 같이 미세한 크기의 하부 전극 패턴 또는 와이어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미세 패턴 기술이 적용될 수 있으나, 그 간격이 매우 좁기 때문에 제조 과정에서 쇼트, 단선 및 기준 저항(100 내지 200 Ω) 이탈 등의 불량이 발생할 수 있고 이는 오동작의 주요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기판(150)으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과 같은 유연성 재질이 사용되는 경우 하부 전극 패턴(151) 또는 와이어 패턴(153)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변형으로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하부 전극의 하면에 유막 방지를 위한 하나 이상의 패턴을 형성하는 경우, 유막 방지를 위한 하나 이상의 패턴을 먼저 형성하면 위와 같은 이유로 하부 전극의 제조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면, 전체 공정에 소모된 노력과 비용은 모두 쓸모가 없어지게 된다.
따라서, 1차적으로 하부 전극 패턴을 형성하고 완성한 뒤, 동일한 미세 패턴 형성 방식으로 2차적으로 불량이나 신뢰성과 무관한 유막 방지를 위한 하나 이상의 패턴을 형성하여 제품 생산 공정을 보다 단순화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막 방지부를 형성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공정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도 11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하부 전극(15)을 형성한 다음에, 하부 전극(15)에 하나 이상의 패턴(61)을 포함하는 유막 방지부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2의 (a)를 참조하면, 하부 전극 패턴 형성된 하부 전극을 마련한 뒤, 하부 전극 패턴이 형성되지 않은 면에 패턴 물질층(61')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2의 (b)를 참조하면, 상기 패턴 물질층(61')을 포토리소그라피(photolithography)와 같은 방식으로 원하는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마스크를 형성한 뒤 일부만 노출시켜 노출된 부분만 에칭하는 부분 에칭 방식으로 하나 이상의 패턴(61)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부분 에칭 방법은 베이스 층이 포함된 유막 방지부의 실시예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막 방지부를 형성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공정 흐름도이다.
도 13의 (a)를 참조하면, 도 11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하부 전극(15)을 형성한 다음 하부 전극(15)에 전극 패턴(151)이 형성된 면에 절연층(160)을 부착한다. 그리고 절연층(160)이 형성된 하부 전극(15)을 패턴 물질(61″)이 포함된 전해 용액에 침지한다.
다음으로, 도 13의 (b)와 같이 상기 하부 전극(15)에 전기를 인가하여 하부 전극의 기판의 디스플레이 패널 방향 면에 패턴 물질(61″)이 하부 전극 패턴(61)이 형성된 위치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부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도금 유사 방식으로 하부 전극 패턴(61)을 형성하는 경우 전기 인가 시간, 전압 등을 조절하여 하나 이상의 패턴(61)의 두께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방식으로 하부 전극(15)에 형성된 하부 전극 패턴을 기판의 반대면에 복사하는 방식으로 유막 방지를 위한 하나 이상의 패턴(61)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다 안정적이고 기판에 영향을 덜 미치게 하여 하나 이상의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보다 신뢰성 있는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막 방지를 위한 하나 이상의 패턴은 투명 전극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투명 전극 물질이 사용되기 때문에 도 11의 실시예와 같은 방식으로 마이크로미터 단위를 갖는 얇은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별도의 공정을 추가하지 않고 하부 전극을 형성하는 투명 전극 물질을 사용하여 이와 유사한 패턴 형성 공정을 적용함으로써 더 간단한 방법으로 유막 방지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은 부분 에칭 및 전해 도금 유사 방식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패턴을 형성하여 1 내지 1000 ㎛의 두께를 갖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품 전체에 사이즈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도 유막 방지 구조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슬림화가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나 이상의 패턴은, 막대 형상, 격자 형상 및 마름모 형상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하나 이상의 형상의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원하는 부분에 원하는 형상의 패턴을 형성하고 나머지 영역은 노출시키도록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화면의 선명도를 유지 및 확보할 수 있다.
1, 3, 4, 5, 6, 7, 8, 9: 디스플레이 부
10: 터치 패널
13: 상부 전극
15: 하부 전극
20: 디스플레이 패널
60, 60', 70, 70': 유막 방지부
61, 71: 패턴
65, 75: 베이스 층
80: 전원 공급부

Claims (18)

  1. 터치 입력 방식이 적용된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의 물리적 흡착을 방지하는 휴대용 단말기로서,
    사용자의 터치가 입력되는 터치 패널;
    상기 터치 패널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하나 이상의 패턴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유막 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막 방지부가, 상기 터치 패널 중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마주하는 일 면인 제1 면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중 상기 터치 패널과 마주하는 일 면인 제2 면에 모두 형성되고,
    상기 각 유막 방지부의 패턴이 서로 같은 극으로 대전되어 상기 터치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척력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유막 방지부는,
    베이스 층; 및
    상기 베이스 층 상에 형성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층은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 중 하나의 면에 상기 하나 이상의 패턴이 나머지 하나의 면을 향하도록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패턴은 투명 전극 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패턴이,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중 하나 이상의 면의 일부 영역에 마이크로미터 단위의 두께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각 유막 방지부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백라이트 유닛의 전원이 오프된 경우, 상기 전원 공급부가 상기 각 유막 방지부에 전기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가,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상기 각 유막 방지부에 전기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9. 터치 입력 방식이 적용된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의 물리적 흡착을 방지하는 휴대용 단말기로서,
    사용자의 터치가 입력되는 터치 패널;
    상기 터치 패널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하나 이상의 패턴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유막 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패널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마주하도록 형성된 전극 패턴을 포함하는 하부 전극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유막 방지부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중 상기 터치 패널과 마주하는 일 면에 형성되고,
    상기 전극 패턴과 상기 유막 방지부의 패턴이 서로 같은 극으로 대전되어 상기 터치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척력을 유도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하부 전극 및 상기 유막 방지부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백라이트 유닛의 전원이 오프된 경우, 상기 전원 공급부가 상기 하부 전극 및 상기 유막 방지부에 전기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가,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상기 하부 전극 및 상기 유막 방지부에 전기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3. 터치 입력 방식이 적용된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터치가 입력되는 터치 패널과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마련하는 제1 단계;
    상기 터치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물리적 흡착을 방지하도록, 상기 터치 패널 중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마주하는 일 면인 제1 면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중 상기 터치 패널과 마주하는 일 면인 제2 면 중 모두 또는 상기 제2 면에 하나 이상의 패턴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유막 방지부를 형성하는 제2 단계; 및
    서로 같은 극으로 대전되어 상기 터치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척력을 유도하도록, 상기 제1 면에 형성된 유막 방지부 또는 상기 터치 패널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마주하도록 형성된 전극 패턴을 포함하는 하부 전극과, 상기 제2 면에 형성된 유막 방지부에 전원을 인가시키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제조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패턴은,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 중 하나 이상의 면의 일부 영역에 마이크로미터 단위의 두께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제조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패턴이 형성된 베이스 층을 마련하는 단계; 및
    상기 베이스 층을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 중 하나의 면에 상기 하나 이상의 패턴이 나머지 하나의 면을 향하도록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제조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패턴은,
    상기 터치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상기 베이스 층에 마이크로미터 단위의 두께를 갖는 패턴 물질층을 형성하고;
    상기 패턴 물질층을 부분 에칭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제조 방법.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패턴은,
    내부에 전극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상기 터치 패널의 상기 제1 면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제2 면 중 하나 이상인 면을 패턴 물질이 포함된 용액에 침지시키고;
    상기 용액에 침지된 면에 상기 전극 패턴과 대응하는 패턴이 형성되도록, 상기 전극 패턴에 전기를 인가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제조 방법.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패턴은 투명 전극 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제조 방법.
KR1020120019236A 2012-02-24 2012-02-24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조 방법 KR1013201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9236A KR101320182B1 (ko) 2012-02-24 2012-02-24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조 방법
US13/669,973 US20130222284A1 (en) 2012-02-24 2012-11-06 Terminal having touch-input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9236A KR101320182B1 (ko) 2012-02-24 2012-02-24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7518A KR20130097518A (ko) 2013-09-03
KR101320182B1 true KR101320182B1 (ko) 2013-10-23

Family

ID=49002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9236A KR101320182B1 (ko) 2012-02-24 2012-02-24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30222284A1 (ko)
KR (1) KR1013201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75467B2 (ja) * 2014-12-17 2017-02-08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付き画像表示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90530B2 (ja) * 1998-09-10 2004-11-17 グンゼ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24087A (ja) * 2004-07-09 2006-01-26 Nec Corp 無線デバイス、その製造方法、その検査方法及び検査装置並びに無線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0015412A (ja) * 2008-07-04 2010-01-21 Hitachi Displays Ltd 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
KR101761580B1 (ko) * 2010-09-08 2017-07-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를 갖는 표시 장치
JP5606242B2 (ja) * 2010-09-24 2014-10-15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US9337833B2 (en) * 2011-11-14 2016-05-10 Atmel Corporation Driven shield for shaping an electric field of a touch sens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90530B2 (ja) * 1998-09-10 2004-11-17 グンゼ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7518A (ko) 2013-09-03
US20130222284A1 (en) 2013-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93036B (zh) 制造用于触摸屏的透明电路基板的方法
KR101009672B1 (ko) 터치 패널 내장형 액정 표시 장치
US9075469B2 (en) Stereoscopic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ouch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8624856B2 (en) Touch panel-integrate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363151B1 (ko) 터치스크린용 투명 회로 기판,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WO2010095189A1 (ja) 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
US20090086113A1 (en) Touch panel and touch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the same
US20110109622A1 (en) Stereoscopic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ouch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O2011132346A1 (ja) 表示装置
TWI489177B (zh) 彩色濾光片基板及觸控式液晶顯示屏
KR101901253B1 (ko)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100164885A1 (en)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touch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display device
KR200479733Y1 (ko) 편광자 모듈,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 이용한 터치 스크린
CN103186287A (zh) 一种触控显示屏及触控显示装置
CN101853114A (zh) 设有电极的电容触摸屏及其制造方法
US20170220160A1 (en) Touch Panel,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Touch Display Panel
WO2016009851A1 (ja) 静電容量結合方式タッチパネル入力装置付き表示装置
US20160253026A1 (en) Touch Panel,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and Touch Display Device
CN105974629A (zh) 触控式液晶面板以及液晶显示器
US7548366B2 (en) Electrophoretic display module and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KR101320182B1 (ko)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조 방법
CN201654751U (zh) 一种电容触摸屏
KR102047726B1 (ko) 인셀 터치 방식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작 방법
US10649254B2 (en) Display
KR101941444B1 (ko) 터치 및 입체 영상 표시 기능을 갖는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