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8875B1 - 안경 착용자의 원시와 근시 사이의 각도를 측정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안경 착용자의 원시와 근시 사이의 각도를 측정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8875B1
KR101318875B1 KR1020087020922A KR20087020922A KR101318875B1 KR 101318875 B1 KR101318875 B1 KR 101318875B1 KR 1020087020922 A KR1020087020922 A KR 1020087020922A KR 20087020922 A KR20087020922 A KR 20087020922A KR 101318875 B1 KR101318875 B1 KR 1013188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er
angle
recording means
measuring
orien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0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4079A (ko
Inventor
쟝-필립 싸야그
Original Assignee
아? 프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 프랑스 filed Critical 아? 프랑스
Publication of KR20080094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40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8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88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2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 A61B3/024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for determining the visual field, e.g. perimeter typ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3/00Assembling; Repairing; Cleaning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3/00Assembling; Repairing; Cleaning
    • G02C13/003Measuring during assembly or fitting of specta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yeglasses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경 착용자의 원시에 대응하는 제1 위치와, 근시에 대응하는 제2 위치 사이에 형성된 각도 Δ를 측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와 제2 위치 각각에서 안경의 방위를 기록할 수 있는 기록수단(22)과, 상기 방위의 함수로서 상기 각도 Δ를 결정하는 프로세싱 수단(30)을 포함하고, 원시의 경우 착용자의 자세를 한정하는 시각 기준 소자(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안경, 위치결정 부품, 브랜치, 기록수단, 프로세싱 수단, 보정렌즈

Description

안경 착용자의 원시와 근시 사이의 각도를 측정하는 장치{DEVICE FOR MEASURING THE ANGLE BETWEEN FAR SIGHT AND NEAR SIGHT ON A PATIENT WEARING SPECTACLES}
본 발명은 안경 착용자의, 원시에 대응되는 제1 위치와 근시에 대응되는 제2 위치 사이에 형성된 각도 Δ를 측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안경업 분야에서, 안경테에 관하여 착용자의 생리적인 지표를 측정하는 다양한 방법 및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들에 의하면, 동영상 카메라로 측정한 것을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렇게 획득된 이미지를 프로세싱(processing)하는 수단에 의해 적절한 결과 측정치를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측정치를 가지고, 안경사들은 착용자에 맞추어 보정렌즈를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원시와 근시를 허용하는 보정렌즈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보정렌즈를 포함하는 안경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각 보정렌즈(2)는 상기 보정렌즈의 상부부분과 측면부분을 차지하는 제1 영역(4)과, 상기 보정렌즈의 중앙 하부부분을 차지하는 제2 영역(6)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영역은 원시용으로 착용자에 의해 사 용되는 부분인 반면에, 상기 제2 영역은 근시용이다. 이러한 제1 및 제2 영역은 모두 일반적으로 소위 연속 채널(channel)이라고 불리는 중간영역에 의해 분리된다. 근시라 함은 80 ㎝ 미만에 있는 시야, 특히 약 40 ㎝인 시야, 즉 착용자의 손에 잡힌 문서를 읽는데 사용되는 시야를 의미한다.
상기 보정렌즈의 상부 가장자리와 상기 제2 영역(6)의 상부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 d는 착용자에 따라 변한다. 상기 d를 결정하기 위하여, 안경사는 착용자에게 멀리 보라고 한 후 가까이 보라고 요구하며, 안경사는 양 시야 사이에 착용자의 안경의 위치의 차이, 즉 양 시야 사이에서의 착용자의 수직방향 머리 움직임의 정도를 인지하게 된다. 이러한 양 위치 사이의 각도 차이 Δ에 의해, 안경사는 착용자를 위한 적절한 거리값 d를 알 수 있다.
종래 기술의 문제점은 원시에 있는 안경의 위치가 매우 불완전한 방식으로 측정된다는 것이다. 사실, 착용자에게 멀리 응시하라고 요구하는 안경사는 착용자가 무엇을 보는지 정확하게 알지 못한다. 착용자는 특별한 물체에 이끌려 한 번 힐끔 볼 수 있고, 한 번 힐끔 봤을 경우의 위치는 원시에 정확하게 대응되지 않는다. 원시에 있는 안경의 적절한 위치에 대한 불확실성은 이러한 사실로부터 야기되고, 따라서 거리값 d가 정확성이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사실은 착용자가 원시에서 근시로 움직일 때 또는 그 반대의 경우일 때 안경을 조절해야(움직여야)하므로 착용자에게 불편함을 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을 제공하며 상기 각도 Δ가 더 정확한 방법으로 측정될 수 있는 장치를 제안하고, 이로 인해 착용자에게 제1 및 제2 영역의 가장자리가 제2 영역의 시야에 맞게 조절된 보정렌즈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안경 착용자의 원시에 대응하는 제1 위치와, 근시에 대응하는 제2 위치 사이에 형성된 각도 Δ를 측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와 제2 위치 각각에서 안경의 방위를 기록할 수 있는 기록수단과, 상기 방위의 함수로서 상기 각도 Δ를 결정하는 프로세싱 수단을 포함하고, 원시에 있는 경우 착용자의 자세를 한정하는 시각 기준 소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이다.
상기 시각 표준 소자에 의해, 제1 위치는 정확한 방법으로 측정되고, 따라서 원시와 근시에 대응되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의 각도 Δ가 정확한 방법으로 측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는 측정하는 동안에 상기 안경에 기계적으로 결합된 위치결정 부품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결정 부품은 하나 이상의 기준표시를 포함하고, 상기 기록수단은 상기 기준표시의 방위를 기록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장치는 상기 기록수단의 높이를 조절하는 변위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록수단은 동영상 카메라이고, 상기 프로세싱 수단은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패키지(software package)와 같은 이미지 프로세싱 모듈을 포함하고 있어 양 위치 각각에서 시각 기준 소자의 방위를 측정하고 양 위치로부터 형성된 각도 Δ의 값을 추론할 수 있다.
상기 시각 기준 소자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록수단에 일체형이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원시용 영역과 근시용 영역을 포함하는 보정렌즈를 가지는 안경을 도시하고,
도 2a 및 도 2b는 각각 위치결정 부품이 제공된 안경의 정면도와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3은 원시에 있는 위치결정 부품의 방위를 측정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고,
도 4는 근시에 있는 위치결정 부품의 방위를 측정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고,
도 5는 본 발명인 장치의 프로세싱 수단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안경에 설치된 위치결정 부품(8)은 도 2a와 도 2b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위치결정 부품은 실질적으로 수평인 브릿지(12)와, 상기 수평 브릿지의 단부에 제공되는 보정렌즈(2)의 전면이 지지되는 제1 브릿지(14)와, 보정렌즈의 후면에 지지되는 제2 브릿지(16)를 포함한다. 상기 위치결정 부품은 하나 이상의 기준표시(18)를 포함한다. 상기 기준표시는 상기 측정장치에 의해 기록되고 측정된다. 원시와 근시 사이에서 착용자 머리의 위치 차이로부터 야기되는 방위의 차이는 안경사가 착용자에 적합한 거리값 d(도 1에 도시됨)를 정확하게 한정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위치결정 부품은 수평선에 대한 안경의 적절한 위치결정을 검사하는 기준표시(20)와 같은 추가적인 기준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기준표시(20)는 상기 기준표시(18)의 방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기준표시(18)의 방위는 이러한 기준표시(20)들 사이를 잇는 선분(l) 위에 있는 기준표시(18)의 높이의 함수이다.
도 3 및 도 4는 각도 Δ와 각도 Δ에 따른 결과인 거리 d를 측정하기 위하여, 공지의 방법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이용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인 장치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경에 설치된 위치결정 부품을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예를 들어 동영상 카메라, 또는 높이가 조절되는 변위수단이 되는 기둥(24)에 설치된 사진기와 같은 기록수단(22)을 포함한다. 원시인 동안에 상기 위치결정 부품의 기준표시의 방위를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장치는 착용자를 위해 시각 기준 소자(26)를 포함한다. 상기 시각 기준 소자는 예를 들어 상기 기록수단 바로 위 또는 바로 아래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시각 기준 소자는 상기 기록수단의 렌즈를 둘러싸는 고리형 타입일 수 있다. 상기 시각 기준 소자는 반드시 상기 기록수단에 가까이 있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기록수단 뒤에 형성된 벽에 부착될 수도 있다.
종래기술의 장치에 따르면, 착용자는 원시에 있는 착용자 머리의 위치를 나 타내게 되는 기준을 스스로 선택한다. 이때 착용자는 그 기준으로서, 원시에 있어서 자연스러운 자세가 되는 것과 완벽하지 대응하지 않는 지점만 취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착용자가 상기 시각 기준 소자 쪽을 한번 쳐다 보게 함으로써 이러한 부정확성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보정렌즈의 평균 평면과 수직축에 의하여 형성된 각도 β는 상기 시각 기준 소자(18)(도 2a 및 도 2b에 도시됨)의 방위를 촬영된 이미지에서 분석함으로써 프로세싱 수단에 의해 계산된다. 이러한 분석은 이미지 프로세싱 소프트웨어 패키지를 가지고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정방법은 근시에도 동일한 방법으로 적용된다. 착용자는 읽기 위해 가까이 가져가는 통상의 자세로 들고 있는 문서(28)를 보도록 유도된다. 상기 보정렌즈의 평균 평면과 수직축 사이에 형성된 각도 α는 상기 각도 β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프로세싱 수단에 의해 계산된다. 착용자의 보정렌즈의 거리값 d(도 1)는 이때 각도 차이 Δ = α - β 로부터 공지의 방법으로 추론된다.
도 3과 도 4에서는, 원시와 근시에서 상기 보정렌즈의 평균 평면에 의해 형성된 각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브랜치들 또는 상기 기준표시(18)과 같이 안경에 기계적으로 결합된 다른 부품과 같은 안경의 나머지 부품들은 원시와 근시 사이에서 다른 방위를 가지고, 이러한 방위의 차이 또한 각도 차이 Δ를 형성한다.
따라서, 원시와 근시에서의 방위는 착용자를 상기 기록수단에 대해 상대적으로 옆에 위치시킴으로써(원시 에서 상기 시각 기준 소자는 기록수단에 대해 항상 착용자를 향하도록 위치되어 있음) 측정될 수 있고, 상기 프로세싱 수단은 이때 원시와 근시 사이에서 안경의 브랜치의 각도 차이 또는 기준표시의 각도 차이, 또는 안경 또는 상기 위치결정 부품의 다른 부분의 각도 차이를 측정함으로써 각도 Δ를 측정한다.
도 5는 상기 프로세싱 수단(30)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상기 프로세싱 수단은 상기 동영상 카메라(22)에 의해 전송된 이미지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저장 모듈(32)와, 저장된 이미지에서 상기 기준표시(18)의 방위를 측정하는 이미지 프로세싱 모듈(34)을 포함한다. 상기 모듈은 착용자와 상기 기록수단 사이의 거리 D를 계산할 수 있다. 원시와 근시에서 착용자의 자세에 대응되는 상기 저장된 이미지로부터, 상기 프로세싱 수단(30)은 각도 α와 β를 연속적으로 측정하고, 이로부터 각도 차이 Δ = α - β를 추론하고 이러한 각도 차이로부터 거리값 d를 추론한다.

Claims (7)

  1. 안경 착용자의 원시에 대응하는 제1 위치와, 근시에 대응하는 제2 위치 사이에 형성된 각도 Δ를 측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 상기 제1 위치 및 제2 위치 각각에서 안경의 방위를 기록할 수 있는 기록수단(22)과,
    - 상기 방위의 함수로서 상기 각도 Δ를 결정하는 프로세싱 수단(30)을 포함하고,
    원시의 경우 착용자의 자세를 한정하는 시각 기준 소자(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측정하는 동안에 상기 안경에 기계적으로 결합된 위치결정 부품(8)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결정 부품은 하나 이상의 기준표시(18)를 포함하고, 상기 기록수단(22)은 상기 기준표시(18)의 방위를 기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기록수단(22)의 높이를 조절하는 변위수단(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수단은 동영상 카메라(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수단(30)은 이미지 프로세싱 모듈(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 기준 소자(26)는 상기 기록수단(22)의 근처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 기준 소자(26)는 상기 기록수단(22)의 위에 또는 아래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87020922A 2006-01-31 2007-01-31 안경 착용자의 원시와 근시 사이의 각도를 측정하는 장치 KR1013188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6/00876 2006-01-31
FR0600876A FR2896682B1 (fr) 2006-01-31 2006-01-31 Dispositif de mesure de l'angle, pour un patient porteur de lunettes, entre la vision de loin et la vision de pres.
PCT/FR2007/050721 WO2007088313A1 (fr) 2006-01-31 2007-01-31 Dispositif de mesure de l'angle, pour un patient porteur de lunettes, entre la vision de loin et la vision de pr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4079A KR20080094079A (ko) 2008-10-22
KR101318875B1 true KR101318875B1 (ko) 2013-10-17

Family

ID=37027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0922A KR101318875B1 (ko) 2006-01-31 2007-01-31 안경 착용자의 원시와 근시 사이의 각도를 측정하는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00149486A1 (ko)
EP (1) EP1981394A1 (ko)
JP (1) JP2009529143A (ko)
KR (1) KR101318875B1 (ko)
CN (1) CN101378693A (ko)
FR (1) FR2896682B1 (ko)
WO (1) WO20070883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31002B1 (fr) * 2008-05-09 2010-08-20 Acep France Ensemble de mesure de parametres ophtalmiques
FR2931258B1 (fr) 2008-05-15 2010-05-28 Acep France Installation de determination de l'orientation de verres ophtalmiques d'une monture
FR2932577B1 (fr) * 2008-06-12 2010-08-27 Essilor Int Realisation d'un verre ophtalmique progressif personnalise
KR101075972B1 (ko) * 2009-04-02 2011-10-21 (주) 휴아이 렌즈처방을 위한 매개변수 측정장치
DE102009025215A1 (de) * 2009-06-17 2010-12-30 Carl Zeiss Vision Gmbh Methode und Vorrichtung zur Ermittlung der habituellen Kopfhaltung
FR2965364B1 (fr) * 2010-09-23 2013-07-05 Acep France Methode de selection de lentilles ophtalmiques progressives
KR101300670B1 (ko) * 2012-11-14 2013-08-27 (주)뷰아이텍 누진렌즈의 누진대 길이 설정을 위한 안구회선각 측정장치 및 그 방법
ES2536259B2 (es) * 2013-11-20 2015-12-18 Universidad De Sevilla Procedimiento para la medición de la longitud de progresión real de un paciente para la fabricación de una lente progresiva
FR3015058B1 (fr) 2013-12-16 2017-12-08 Essilor Int Procede de controle de la conformite de montage d'une monture et de verres correcteurs
EP3413122B1 (de) 2017-06-08 2020-03-04 Carl Zeiss Vision International GmbH Verfahren, vorrichtung und computerprogramm zum bestimmen eines nah-durchblickpunktes
US11048100B2 (en) 2018-04-20 2021-06-29 Optikam Tech, Inc. System and method for obtaining ophthalmic measurements for progressive lenses that accurately account for body stature and posture
CN110595441B (zh) * 2018-06-13 2021-10-12 杭州海康微影传感科技有限公司 瞄具
CN110236481B (zh) * 2019-07-05 2021-08-03 青岛大学 一种视力检验装置
CN110313887B (zh) * 2019-07-05 2021-08-03 青岛大学 一种异构视力表及视力检验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38495A2 (en) * 1999-02-22 2000-09-27 Nidek Co., Ltd. Device for measuring eye points of a subject with respect to a spectacle fram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31455B2 (en) * 2005-03-22 2008-10-07 Amo Manufacturing Usa, Llc Pupilometer for pupil center drift and pupil size measurements at differing viewing distances
DE10033983A1 (de) * 2000-04-27 2001-10-31 Frank Mothes Einrichtung zur Bestimmung der Brillenglas-Zentrierdaten
FR2829842B1 (fr) * 2001-09-19 2003-12-05 Jean Philippe Sayag Dispositif d'acquisition des parametres de positionnement de verres ophtalmiques sur une monture de lunettes
US7441895B2 (en) * 2004-03-26 2008-10-28 Hoya Corporation Spectacle lens supply system, spectacle wearing parameter measurement apparatus, spectacle wearing test system, spectacle lens, and spectacle
DE102004021407A1 (de) * 2004-04-30 2005-11-17 Rupp + Hubrach Gmbh & Co. Kg Meßgerät
FR2894687B1 (fr) * 2005-12-13 2008-02-15 Essilor Int Procede de determination d'une lentille ophtalmique progressiv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38495A2 (en) * 1999-02-22 2000-09-27 Nidek Co., Ltd. Device for measuring eye points of a subject with respect to a spectacle fr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81394A1 (fr) 2008-10-22
FR2896682B1 (fr) 2008-05-02
CN101378693A (zh) 2009-03-04
FR2896682A1 (fr) 2007-08-03
KR20080094079A (ko) 2008-10-22
JP2009529143A (ja) 2009-08-13
US20100149486A1 (en) 2010-06-17
WO2007088313A1 (fr) 2007-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8875B1 (ko) 안경 착용자의 원시와 근시 사이의 각도를 측정하는 장치
US8556420B2 (en) Method and system for the on-line selection of a virtual eyeglass frame
US10201273B2 (en) Method for determining ocular measurements using a consumer sensor
US10890786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an adaptive parameter for a spectacle lens accommodated in a spectacle frame
CN102333476B (zh) 用于确定眼睛支点位置的方法和设备
US8360580B2 (en) Method of measuring the position, in a horizontal direction in the sagittal plane, of a remarkable point of an eye of a subject
JP5078616B2 (ja) 一対の累進焦点眼鏡レンズを決定する方法
KR101964575B1 (ko) 안경 렌즈를 위한 원거리 시각적 지점 결정
US9971172B2 (en) Method for determining the far visual point for a spectacle lens and system therefor
JP6232287B2 (ja) 累進焦点眼鏡用レンズを選択する方法
US10048516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measuring human faces and eyeglass frames
US20110128495A1 (en)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orientation of ophthalmic lenses belonging to a frame
JP4754756B2 (ja) 眼科レンズをフィッティングするための方法
KR20140138660A (ko) 안경을 착용하는 개인의 행동, 자세 또는 기하-형태 특성을 결정하는 방법
US20160327814A1 (en) Apparatus, accessory,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diameter of a lens to be mounted onto a glasses frame, or for controlling the mounting of a glasses lens onto a glasses frame
JP5351691B2 (ja) 眼球下転量測定装置及び眼球下転量測定方法
US20170205642A1 (en) Eye Examining System And Method For Examining Eyes
US11215849B2 (en) Pantoscopic tilt measurement device
US20020053143A1 (en) Measuring instrument for establishing the mounting lens angle of a spectacle frame
US1142895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 reference head posture of a subject
EP3721289B1 (en) Method and assembly for verifying the mounting of an ophthalmic lens in a frame
US20200196860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a pupillary distance of an individual
WO2018185264A1 (en) Measurement support device for spectacle frame
US20220221740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at least an optical feature of a progressive lens to be placed in a frame for vision correction of a subje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