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7534B1 - 힌지 - Google Patents

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7534B1
KR101317534B1 KR1020070003930A KR20070003930A KR101317534B1 KR 101317534 B1 KR101317534 B1 KR 101317534B1 KR 1020070003930 A KR1020070003930 A KR 1020070003930A KR 20070003930 A KR20070003930 A KR 20070003930A KR 101317534 B1 KR101317534 B1 KR 1013175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shaft
door
hous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3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6454A (ko
Inventor
신정호
송기훈
박상호
정길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3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7534B1/ko
Priority to PCT/KR2007/003976 priority patent/WO2008084903A1/en
Priority to CN2007800497722A priority patent/CN101611279B/zh
Priority to US12/522,852 priority patent/US8161603B2/en
Publication of KR20080066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64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7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75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1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 E05D7/1005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by axially moving free pins, balls or sockets
    • E05D7/1011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by axially moving free pins, balls or sockets biased by free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2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 E05F1/1207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with a coil spring parallel with the pivot axis
    • E05F1/1223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with a coil spring parallel with the pivot axis with a compression or traction sp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38Cams; Ram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26Form, shape
    • E05Y2800/292Form, shape having apertures
    • E05Y2800/296Slo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71Secondary wings, e.g. pass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3Door in door constru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4Door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역회전시 일정구간 회동조작에 의해 탄성력을 발생시켜 나머지 역회전구간 동안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된 힌지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하우징(300); 하우징(300)의 내부에 수용되는 샤프트(400); 상기 샤프트(400)를 따라 직선운동하는 가이드부재(500); 및 상기 가이드부재(500)의 이동에 따라 압축 및 신장되는 탄성부재(540)가 포함되고, 상기 가이드부재(500)와 하우징(300) 중 어느 한쪽에는 궤도홈(380)이 형성되고, 다른 한쪽에는 상기 궤도홈(380)을 따라 이동하는 안내돌기(520)가 형성되며, 상기 궤도홈(380)은 상기 샤프트(400)의 정회전과 역회전에 따라 상기 안내돌기(520)가 다른 경로로 이동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편의성과 안전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힌지, 탄성, 샤프트, 회전

Description

힌지 { A hinge apparatus }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힌지장치가 채용된 냉장고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힌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홈바도어에 장착된 모습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힌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힌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힌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요부구성인 하우징의 내측을 보인 부분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힌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도어힌지의 장착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7 내지 도 10 은 본 발명에 의한 힌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보인 상태도.
도 11 은 본 발명에 의한 힌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요부구성인 안내돌기의 이동 경로를 개략적으로 보인 개요도.
도 12 는 본 발명에 의한 힌지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 도.
도 13 은 본 발명에 의한 힌지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요부구성인 가이드링의 결합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14 는 본 발명에 의한 힌지장치가 구비된 도어가 냉장고에 채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
도 15 는 본 발명에 의한 힌지장치가 구비된 도어가 조리기기에 채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
도 16 은 본 발명에 의한 힌지장치가 구비된 도어가 실내 도어에 채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
도 17 은 본 발명에 의한 힌지장치가 구비된 도어가 자동차에 채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냉장고 본체 120. 냉장고 도어
140. 개구부 160. 홈바도어
180. 홈바 200. 힌지장치
300. 하우징 370. 링장착부
372. 궤도홈 돌출부 380. 궤도홈
382. 제1안내홈 384. 제2안내홈
385. 정지구간 386. 압축구간
387. 복귀구간 390. 레치
400. 샤프트 420. 메인샤프트
440. 서브샤프트 460. 서브스프링
500. 가이드부재 520. 안내돌기
540. 탄성부재 600. 가이드링
620. 궤도홈 천공부 700. 조리기본체
720. 오븐도어 800. 벽체
820. 도어 900. 차체
920.자동차 도어
본 발명은 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역회전시 일정구간 회동조작에 의해 탄성력을 발생시켜 나머지 역회전구간 동안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된 힌지장치 및 힌지장치가 구비된 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힌지장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가 지지되는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힘을 가하는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 실내/외의 도어 또는 가전제품, 가구, 자동차 등 회전조작이 가능한 다양한 대상에 적용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힌지장치는 단순 축결합에 의해 회전체와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도어와 같은 회전체를 조작함에 있어 상기 회전체를 열기 위한 회전 조작 후에는 반드시 닫기 상기 회전체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켜 닫기 위한 회전 조작을 실시하여야만 한다.
이와 같은 반복조작은 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하게 되며, 상황에 따라서 사용자가 반복 조작하기 힘든 상황이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상기 힌지장치와 별도로 도어와 같은 회전체에 오토클로징장치가 더 구비되어 상기 회전체가 자동으로 복귀하여 닫힐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오토클로징장치가 더 구비된 경우에는 도어와 같은 회전체에 별도의 구성을 장착하여야만 하므로 설치 장소 및 조건에 제약을 가질 뿐만 아니라, 별도의 구성이 추가되어 외관을 저해함은 물론 비용이 상승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을 위해, 근래에는 도어와 같은 회전체가 자동으로 닫힐 수 있도록 하는 오토클로징 기능을 가지는 힌지가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5-0097736호에는, 외력을 제거하였을 때 도어가 자동으로 닫힐 수 있도록 하는 자동닫힘 기능을 갖춘 도어용 힌지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도어의 개방작동에 따라 실린더바디 내에서 힌지축과 함께 베인이 피벗되며, 이로 인해 질소가스가 충진된 가스팩의 압력이 높아지게 된다. 그리고 도어에서 외력이 제거되면 질소가스의 팽창압력으로 인해 베인과 힌지축이 역방향으로 피벗되며, 이것에 의해 도어가 자동으로 닫히도록 구성된다.
한편,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5-0083278호에는, 도어를 개방한 상태에서 외력을 제거하면 힌지장치 자체의 힘으로 도어를 자동으로 닫을 수 있는 자동닫힘 기능을 갖춘 도어용 힌지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도어의 개방작동에 따라 서로 경사지게 접하는 캠부재가 서로 피벗되며, 도어에서 외력이 제거되면, 지지수단의 지지력에 의해 서로 경사를 가지고 접하는 캠부재 중 하나의 캠부재가 승강되면서 다른 캠부재가 피벗되어 도어가 자동으로 닫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644009호에는, 유압을 이용한 방식과 스프링을 이용한 방식이 조합되며, 도어를 개방하여 일정각도(대략 90°)에서는 개방이 유지되고, 일정각도 이내의 각도에서는 자동으로 닫히도록 하는 슬림형 자동복귀 힌지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원통형의 제1가이드통, 제2가이드통 및 제3가이드통과, 상기 제1가이드통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캠샤프트와, 상기 캠샤프트와 연동하며 제2 및 제3가이드통의 내측에 유방폐회로를 형성하는 피스톤 유닛 및 체크밸브와 제3가이드통에 구비되는 탄성부재로 구성되어 도어의 개방시 압축된 탄성부재에 의해 회전하면서 도어가 자동으로 닫히도록 하며, 도어가 닫힐 때 폐유압회로에 의해 댐핑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힌지장치들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종래의 힌지장치들은 도어의 개방을 위한 회전조작시에 압축력이 발생되고, 이때 발생하는 압축력에 대응하는 복원력에 의해 도어가 회동하여 닫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가 자동으로 닫힐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상기 도어의 개방시에 필연적으로 압축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힘을 가해주어야만 하므로 도어의 개방작업이 불편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압축력에 대응하는 힘에 의해 도어가 자동으로 닫힐 때, 충격이 가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댐핑장치 또는 댐핑구조가 구비되어야만 한다.
하지만, 댐핑을 위한 구성이 추가될 경우 오일의 저항으로 인해 신속한 도어의 개폐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도어의 개방시 많은 힘이 들게 되어 상황에 따라서는 사용자에게 불편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역회전시 일정구간 회동조작에 의해 탄성력을 발생시켜 나머지 역회전구간 동안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된 힌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삭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힌지는, 하우징;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를 따라 직선운동하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가이드부재의 이동에 따라 압축 및 신장되는 탄성부재가 포함되고, 상기 가이드부재와 하우징 중 어느 한쪽에는 궤도홈이 형성되고, 다른 한쪽에는 상기 궤도홈을 따라 이동하는 안내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궤도홈은 상기 샤프트의 정회전과 역회전에 따라 상기 안내돌기가 다른 경로로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궤도홈의 일측에는 상기 샤프트의 정회전과 역회전에 따라 상기 안내돌기의 이동경로를 안내하는 레치가 더 구비된다.
상기 궤도홈은, 상기 안내돌기의 회동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안내홈과; 상기 제1안내홈의 양단을 연결하며, 상기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만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샤프트는 외주면의 적어도 일측이 평면을 형성하는 평키(Flat key)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샤프트와 키결합된다.
상기 샤프트의 후반부와 상기 하우징의 사이에는 상기 샤프트를 탄성지지하는 서브스프링이 더 구비된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 궤도홈은, 상기 샤프트의 정회전시 상기 가이드부재가 정지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정지구간과; 상기 정지구간의 일단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샤프트의 역회전시 상기 탄성부재를 압축하는 압축구간과; 상기 압축구간의 일단에서 상기 정지구간의 다른 일단까지 연장되어, 상기 탄성부재가 복원되는 복원구간이 포함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힌지장치 및 힌지장치가 구비된 도어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힌지장치는 회전 동작되는 다양한 도어에 장착될 수 있을 것이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냉장고의 홈바에 적용된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자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힌지장치가 채용된 냉장고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힌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홈바도어에 장착된 모습을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냉장고의 본체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측이 구획되어 각각 냉장실과 냉동실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고 본체(100)의 개구된 전면에는 냉장고 도어(120)가 구비된다. 상기 냉장고 도어(120)는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을 각각 선택적으로 차폐하기 위한 것으로, 회동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되거나, 서랍식으로 인출/입되면서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냉장고 도어(120)에는 홈바(180)가 구비된다. 상기 홈바(180)는 상기 냉장고 본체(100) 내부공간에 수납된 음식물, 또는 상기 냉장고 도어(120) 이면에 수납된 음식물을 상기 냉장고 도어(120)를 개폐하지 않고 용이하게 꺼낼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냉장고 도어(120)에 대략 사각형상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된 개구부(140)와 상기 개구부(140)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홈바도어(160)로 구성된다.
상기 홈바도어(160)는 상기 개구부(140)를 차폐할 수 있도록 상기 개구부(140)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회동에 의해 상기 개구부(140)를 선택적으로 차폐할 수 있도록 상기 개구부(140)와 홈바도어(160)는 힌지결합된다.
즉, 상기 홈바도어(160)에는 상기 홈바도어(160)와 개구부(140)가 힌지결합되도록 하는 힌지장치(200)가 구비되어, 상기 홈바도어(160)가 상기 개구부(140)에 회동 가능한 상태로 장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힌지장치(200)는 상기 홈바도어(160)의 내부 좌측과 우측 하단에 구비되며, 아래에서 설명할 하우징(300)을 관통하는 스크류에 의해 상기 홈바도어(160)의 내부에 고정 장착되며, 아래에서 설명할 샤프트(400)의 선단부가 상기 홈바도어(160)의 양 측면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장착된다.
이를 위해, 상기 홈바도어(160)의 내부 좌우측 하부에는 하우징(300)의 외면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 형성된 장착부(162)가 형성되며, 상기 홈바도어(160)의 양측면 하부에는 샤프트(400)의 일측이 관통되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 록 하는 샤프트홀(16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홈바도어(160)의 양 측면으로 돌출된 샤프트(400)는 상기 개구부(140)의 내측면에 삽입되어 상기 홈바도어(160)가 상기 샤프트(400)를 축으로 회동하여 개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 를 참고로 하여 힌지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힌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 이고,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힌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힌지장치(200)는 하우징(300)과, 샤프트(400), 가이드부재(500), 탄성부재(5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300)은 상기 힌지장치(200)의 외부 형상을 형성하는 것으로,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샤프트(400)와 가이드부재(500) 및 탄성부재(540)를 비롯한 다양한 구성들이 장착될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하우징(300)의 외주면 양측에는 상기 힌지장치(200)의 장착을 위한 결합부(320)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320)는 상기 홈바도어(160)의 장착부(162)에 상기 하우징(300)을 밀착시킨 후 상기 홈바도어(160)의 일측과 스크류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소정의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기 하우징(300)은 내부에 다양한 구성들의 장착이 용이하도록 상부하우징(300)과 하부하우징(300)으로 구성되어 서로 길이방향으로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300)의 우측면에는 샤프트(400)의 일단이 관통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제1관통구(340)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300)의 좌측면에는 샤프트(400)의 타단이 관통되어 노출되는 제2관통구(36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300)의 내주면에는 궤도홈(380)이 더 형성된다. 상기 궤도홈(380)은 상기 하우징(300)과 샤프트(400)의 상대적인 회전 및 가이드부재(500)의 선택적인 축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것으로, 그 상세한 구성은 아래에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300)의 내측에는 샤프트(400)가 구비된다. 상기 샤프트(400)는 상기 홈바도어(160)와 상기 개구부(140)가 축결합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환봉형상으로 형성되며, 메인샤프트(420)와 서브샤프트(440)로 구성된다.
상기 메인샤프트(420)는 상기 하우징(300)의 내부 우측부에 장착되어, 상기 힌지장치(200)와 개구부(140)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300) 우측면의 제1관통구(340)를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300)의 우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140)에 결합 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메인샤프트(420)는 전체적으로 지지부(422)와 안내부(424)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422)는 원형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메인샤프트(420)의 후단 부(도 4 에서 좌측단) 형상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422)는 아래에서 설명할 서브스프링(460)의 전단을 지지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서브스프링(460)을 압축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안내부(424)는 상기 메인샤프트(420)의 대부분의 형상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지지부(422)와 같은 직경의 환봉형상에서 좌우 양측면이 평면을 형성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안내부(424)가 전체적으로 평키(Flat key)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안내부(424)는 아래에서 설명할 가이드부재(500)가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부재(500)의 축방향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메인샤프트(420)의 후단부(도 4 에서 좌측단)에는 서브샤프트(440)가 장착된다. 상기 서브샤프트(440)는 상기 메인샤프트(420)의 후방에서 상기 메인샤프트(420)와 결합되어 상기 메인샤프트(420)를 구속하는 것으로,
상기 메인샤프트(420)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환봉형상으로 형성되며, 좌측단은 볼트의 헤드형상과 같이 다소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우측단은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메인샤프트(420)의 후단과 나사결합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서브샤프트(440)는 상기 하우징(300) 좌측면의 제2관통구(360)를 관통하여 삽입되며, 상기 하우징(300)의 내측에서 서브스프링(460)을 관통하여 상기 메인샤프트(420)의 후단에 결합된다.
상기 서브스프링(460)은 상기 메인샤프트(420)가 상기 하우징(300)의 내측으로 완전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압축스프링으로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300)과 상기 메인샤프트(42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메인샤프트(420)의 삽입시 압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힌지장치가 장착된 상기 홈바도어(160)의 장착시 상기 개구부(140)의 일측과 상기 메인샤프트(420)의 단부의 결합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 서브샤프트(440)는 상기 하우징(300)의 좌측방에서 제2관통구(360)를 관통하도록 삽입되며, 상기 메인샤프트(420)의 좌측면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메인샤프트(420)가 상기 서브스프링(460)에 의해 밀려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지지하는 한편, 삽입된 상기 서브스프링(460)이 좌굴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300)의 내측에는 가이드부재(500)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부재(500)는 상기 홈바도어(160)의 회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축방향 이동하여 탄성부재(540)를 선택적으로 압축하는 것으로, 상기 메인샤프트(420)의 안내부(424)가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가이드부재(500)는 상기 하우징(300)의 내주면 형상과 대응하는 원형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소정의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재(500)의 대략 중앙부에는 상기 메인샤프트(420)의 안내부(424)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샤프트홀(164)이 형성된다.
상기 샤프트홀(164)은 상기 메인샤프트(420)의 안내부(424) 단면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메인샤프트(420)와 상기 가이드부재(500)가 키결합 방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부재(500)가 상기 메인샤프트(420)를 따라 수평이동 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상기 메인샤프트(420)를 축으로 회전하는 것은 불가능하도록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재(500)의 외주면에는 안내돌기(520)가 형성된다. 상기 안내돌기(520)는 상기 하우징(300)의 내주면에 형성된 궤도홈(380)을 따라 상대이동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300)의 회동에 따라 상기 궤도홈(380)에 수용되어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안내돌기(520)는 상기 가이드부재(500) 외주면의 대응하는 양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상기 궤도홈(380)의 폭과 대응하는 직경을 가지는 원형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기 가이드부재(500)의 후방에는 탄성부재(540)가 구비된다. 상기 탄성부재(540)는 상기 가이드부재(500)를 탄성 지지하는 것으로, 압축스프링이 채용되며, 상기 가이드부재(500)의 선택적인 축방향 이동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압축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부재(500)와 하우징(300) 사이에 개재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탄성부재(540)는 상기 샤프트(400) 및 서브스프링(460)을 모두 내측에 수용가능하도록 이들의 외주면보다 더 큰 내주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300)의 내측 후단과 상기 가이드부재(500)의 후면에 각각 접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부재(500)가 장착되는 위치와 대응하는 상기 하우징(300)의 외주면에는 궤도홈(380)이 형성된다. 상기 궤도홈(380)에 관하여 도 5 를 참고로 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힌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요부구성인 하우징의 내측을 보인 부분 사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300)의 내 주면 일측에는 궤도홈(380)이 형성된다.
상기 궤도홈(380)은 상기 가이드부재(500)의 선택적인 축방향 이동을 강제하여 상기 탄성부재(540)를 선택적으로 압축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부재(500)의 안내돌기(520)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궤도홈(380)은 상기 하우징(300)의 내주면을 따라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제1안내홈(382)과 제2안내홈(384)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안내홈(382)은 상기 홈바도어(160)가 열릴 때(정회전) 상기 안내돌기(520)를 안내하는 것으로, 상기 안내돌기(520)가 회동하는 방향 즉, 상기 힌지장치(200)의 축방향과 수직한 방향의 하우징(300) 내주면을 따라 소정의 길이만큼 형성된다.
상기 제1안내홈(382)의 길이는 상기 홈바도어(160)가 닫힌 상태에서 완전히 열릴 때 까지 즉, 상기 하우징(300)이 90°가량 회동하는 동안 상기 안내돌기(520)가 회동하는 거리만큼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300)의 내주면 상부에서 하부까지 연장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안내홈(382)의 양단에는 상기 제2안내홈(384)이 연결 형성된다. 상기 제2안내홈(384)은 상기 홈바도어(160)가 닫힐 때(역회전) 상기 안내돌기(520)를 안내하는 것으로, 좌측방향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만곡되어 형성됨으로써 상기 가이드부재(500)가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함은 물론 상기 안내돌기(520)의 이동에 따라 상기 하우징(300)이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궤도홈(380)을 상기 가이드부재(500)의 수평방향 이동을 기준으 로 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제1안내홈(382)은 상기 안내돌기(520)가 회동하는 구간으로 상기 안내돌기(520)가 회동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안내돌기(520)는 상기 하우징(300)의 회동에 의해 상기 제1안내홈(382)을 따라 이동하지만 상기 가이드부재(500)는 정지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안내홈(382)은 상기 가이드부재(500)가 정지상태를 유지하는 정지구간(385)이 된다.
상기 정지구간(385)의 일단에는 압축구간(386)이 연결 형성된다. 상기 압축구간(386)은 상기 가이드부재(500)가 수평방향 즉, 상기 메인샤프트(42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구간으로, 이때 상기 가이드부재(500)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정지구간(385)은 상기 정지구간(385)의 일단에서 상기 하우징(300)의 좌측으로 만곡되어 형성되며 이때, 상기 압축구간(386)의 상단을 우측으로 연장하게 될 경우 상기 정지구간(385)의 대략 중앙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압축구간(386)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압축구간(386)은 상기 하우징(300)의 축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므로, 상기 안내돌기(520)가 상기 압축구간(386)을 따라 이동할 때에는 필연적으로 상기 탄성부재(540)가 압축될 수 밖에 없으며, 상기 압축구간(386)이 상기 하우징(300)의 내주면을 따라 만곡되어 형성되므로, 상기 안내돌기(520)의 이동에 따라 상기 하우징(300)은 회동할 수 밖에 없게 된다.
한편, 상기 압축구간(386)의 단부에는 복귀구간(387)이 형성된다. 상기 복귀 구간(387)은 상기 탄성부재(540)의 탄성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재(500)가 상기 메인샤프트(420)를 따라 이동하도록 하는 것으로, 이때 상기 가이드부재(500)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복귀구간(387)은 상기 압축구간(386)의 단부에서 상기 정지구간(385)의 다른 단부까지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정지구간(385)과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압축구간(386)과 복귀구간(387)은 상기 정지구간(385)의 대략 중앙부를 기준으로 한다면 대칭되도록 형성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복귀구간(387)은 상기 탄성부재(540)가 압축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안내돌기(520)가 상기 복귀구간(387)에 들어서게 되면 상기 탄성부재(540)를 가압하는 외부의 힘이 없는 한 상기 탄성부재(540)는 탄성 복원되며, 이때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안내돌기(520)는 상기 복귀구간(387)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복귀구간(387)은 상기 압축구간(386)의 단부에서 상기 정지구간(385)까지 상기 하우징(300)의 외주면을 따라 만곡 형성됨으로써 상기 안내돌기(520)가 상기 복귀구간(387)을 따라 이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하우징(300)이 회동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상기 궤도홈(380)은 정지구간(385)과 압축구간(386) 및 복귀구간(387)이 연결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궤도홈(380)을 구성하는 제1안내홈(382)과 제2안내홈(384)은 폐루프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안내돌기(520)가 상기 홈바도어(160)의 조작에 따라 연속적으로 상기 궤도홈(380) 내에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궤도홈(380)의 일측에는 레치(390)가 더 구비된다. 상기 레치(390)는 상기 안내돌기(520)의 이동경로를 안내하는 것으로, 상기 안내돌기(520)가 상기 궤도홈(380)의 일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한편, 상기 홈바도어(160)의 회동 방향에 따라 상기 안내돌기(520)의 이동 경로가 다르도록 강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레치(390)는 상기 궤도홈(380)의 일측,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안내홈(382)의 일단(도 5 에서 하단)에 장착된다. 상기 레치(390)는 상기 홈바도어(160)가 회동하여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 다시 닫힐 때(역회전할 때) 상기 안내돌기(520)가 다시 제1안내홈(382)을 따라 이동하지 않고 제2안내홈(384)을 따라 이동하도록 강제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안내홈(382)이 끝나는 단부에서 시계방향(도 5 에서 볼 때)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상기 레치(390)는 회동레버(392)와 회전축으로 구성되며, 상기 회동레버(392)는 상기 제1안내홈(382)을 가로방향으로 차폐할 수 있도록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궤도홈(380)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하여 회전축(394)에 의해 축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레치(390)는 상기 안내돌기(520)가 진행하는 방향으로만 회동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안내돌기(520)가 진행할 때 시계방향 회동에 의해 개방되며, 상기 안내돌기(520)가 지나고 난 후에는 내장된 탄성체(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다시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여 상기 제1안내홈(382)을 차폐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레치(390)는 상기 제1안내홈(382)을 차폐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반시계방향(도 5 에서 볼 때)으로 회동하지 않도록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궤도홈(380)의 외측에 형성된 단턱에 의해 반시계방향의 회동이 구속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궤도홈(380)은 상기 안내돌기(520)가 상기 가이드부재(500)의 외주면 양측에 형성된 경우, 각각의 안내돌기(52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300)의 내주면 양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상기 각각의 궤도홈(380)에는 상기 레치(390)가 구비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 상기 궤도홈(380)이 상기 가이드부재(500)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궤도홈(380)에 수용되는 상기 안내돌기(520)는 상기 하우징(300)의 내주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것이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500)의 일측에 상기 궤도홈(380)의 일측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레치(390)가 장착될 것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힌지장치(200)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작용을 도면을 참고로 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힌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도어힌지의 장착을 보인 분해 사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냉장고 도어(120)의 개구부(140)에는 홈바도어(160)가 장착된다.
상기 홈바도어(160)의 양측면 하부에는 상기 힌지장치(200)가 구비된다. 상기 힌지장치(200)는 상기 홈바도어(160)의 좌우 양측면으로 상기 샤프트(400)의 단 부가 돌출될 수 있도록 장착되며, 상기 돌출된 샤프트(400)의 단부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홈바도어(160)의 장착을 위해 상기 샤프트(400)의 돌출된 단부를 누르게 되면, 상기 돌출된 샤프트(400) 즉, 상기 메인샤프트(420)의 단부는 내측으로 삽입된다. 상기 메인샤프트(420)가 상기 홈바도어(160)의 내측으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하우징(300) 내부의 서브스프링(460)은 압축상태가 되고, 상기 메인샤프트(420)의 후단에 결합된 상기 서브샤프트(440)는 상기 하우징(30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상기 샤프트(400)가 상기 홈바도어(160)의 내측으로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홈바도어(160)는 상기 개구부(140)의 내측으로 삽입 가능한 상태가 되며, 상기 홈바도어(160)를 상기 개구부(140)에 맞추어 삽입하게 되면, 상기 서브스프링(460)의 탄성에 의해 상기 메인샤프트(420)는 상기 홈바도어(160)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개구부(140)에 형성된 결합구(142)에 삽입된다.
즉, 상기 메인샤프트(420)의 일단이 상기 개구부(140)의 결합구(142)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홈바도어(160)는 상기 개구부(140)에 축결합되며, 상기 홈바도어(160)의 회동에 따라 상기 홈바도어(160)와 결합된 하우징(300)이 함께 회동 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홈바도어(160)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하여 상기 홈바도어(160)를 회동시키게 되면, 상기 홈바도어(160)와 함께 상기 하우징(300)이 회동하게 된다.
도 7 내지 도 10 은 본 발명에 의한 힌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보인 상태도이고, 도 11 은 본 발명에 의한 힌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요부구성인 안내돌기의 이동 경로를 개략적으로 보인 개요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도 7 에는 상기 홈바도어(160)가 상기 개구부(140)를 완전히 차폐하도록 닫힌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하우징(300)은 상기 홈바도어(160)의 내측에 고정되고, 상기 메인샤프트(420)의 일단이 상기 냉장고 도어(120)의 개구부(140)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로, 상기 홈바도어(160)의 회동에 따라 상기 샤프트(400)를 축으로 하여 상기 하우징(300)이 회동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300)의 내측에서 상기 서브스프링(460)과 탄성부재(540)는 정상상태로서, 상기 메인샤프트(420)와 가이드부재(500)가 상기 서브스프링(460)과 탄성부재(540)를 압축하고 있지 않은 상태이다.
상기 홈바도어(160)의 개방을 위해 사용자가 상기 홈바도어(160)를 파지한 후 하방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상기 홈바도어(160)에 결합된 상기 하우징(300)이 상기 샤프트(400)를 축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홈바도어(160)가 완전하게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기 하우징(300)이 대략 90°만큼 회동하여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상기 홈바도어(160)가 개방되기 위해 회동(정회전)할 때에는 상기 안내돌기(520)가 상기 궤도홈(380)의 제1안내홈(382)을 따라 이동하게 되며, 이때, 상기 가이드부재(500)는 축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게 되어 상기 탄성부재(540)에 의한 외 력을 받지 않게 되어 자연스러운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홈바도어(16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안내돌기(520)가 상기 궤도홈(380)의 ①위치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홈바도어(160)의 회동에 따라 상기 정지구간(385)을 지나게 되어 상기 궤도홈(380)의 ②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안내돌기(520)는 상기 레치(390)를 지나게 되는데, 상기 안내돌기(520)가 상기 레치(390)를 지나기 위해 상기 레치(390)와 접하게 되면, 상기 레치(390)는 시계방향(도 11 에서 볼 때)으로 회동하여 상기 안내돌기(520)가 상기 레치(390)를 지나 상기 궤도홈(380)의 ②위치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안내돌기(520)가 상기 레치(390)를 지나 상기 궤도홈(380)의 ②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레치(390)는 내장된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제1안내홈(382)을 차폐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안내돌기(520)는 상기 홈바도어(160)를 닫기 위한 회동(역회전)시 상기 제1안내홈(382)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되며, 상기 레치(390)에 의해 제2안내홈(384)을 따라 이동하도록 강제된다.
상기 홈바도어(160)가 개방된 상태에서 음식물의 수납 작업을 실시하게 되며, 수납작업을 완료하게 되면, 상기 홈바도어(160)를 다시 회동시켜 상기 개구부(140)를 차페하게 된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개방된 상기 홈바도어(160)를 상방으로 들어올리는 조작을 하게 되며, 상기 홈바도어(160)가 회동(역방향)됨에 따라 상기 하우징(300) 또한 함께 회동하게 된다.
상기 홈바도어(160)를 닫기 위해 상기 홈바도어(160)를 회동시키는 조작은 상기 홈바도어(160)가 대략 45°각도가 될 때까지 들어올려야 하며, 이와 같은 조작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가 압축된다.
이를 도 9 를 참고로 하여 살펴보면, 상기 홈바도어(160)가 닫히기 위해 회동함에 따라 상기 하우징(300) 또한 함께 회동(역방향)하게 된다. 상기 하우징(300)의 회동에 따라 상기 안내돌기(520)는 상기 하우징(300)의 내주면에 형성된 궤도홈(380)의 제2안내부(424) 보다 상세하게는 압축구간(386)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 압축구간(386)은 상기 하우징(300)의 내주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만곡되므로, 상기 하우징(300)이 회동(역방향)하게 되면, 상기 안내돌기(520)는 상기 하우징(300)을 따라 강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안내돌기(520)의 이동으로 상기 가이드부재(500)가 좌측(도 9 에서 볼 때)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부재(500)가 좌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540)는 압축되고, 상기 안내돌기(520)가 상기 궤도홈(380)의 ③의 위치에 올 때까지 점점 압축된다. 상기 홈바도어(160)를 대략 45°각도 만큼 상방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상기 안내돌기(520)는 상기 궤도홈(380)의 ③의 위치에 위치하게 되며, 이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부재(500)는 상기 하우징(300)의 내측에서 가장 좌측으로 이동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홈바도어(160)를 조금 더 상방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상기 안내돌기(520)는 상기 궤도홈(380)의 제2안내부(424) 일측을 따라 상기 압축구간(386)을 지나 상기 복귀구간(387)으로 들어서게 된다. 즉, 상기 안내돌기(520) 상기 궤도홈(380)의 좌측 끝단 부분인 ③의 위치를 지나게 되면, 상기 압축구간(386)을 지나 상기 복귀구간(387)으로 진입하게 된다.
도 10 에는 상기 홈바도어(160)가 닫히기 위해 대략 60°가량 회동(역방향)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300) 또한 상기 홈바도어(160)와 함께 회동하게 된다. 이때에는 상기 안내돌기(520)가 상기 궤도홈(380)의 제2안내부(424)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복귀구간(387)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 안내돌기(520)가 상기 복귀구간(387)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가이드부재(500)에는 상기 탄성부재(540)의 복원에 의한 탄성력이 전달되며, 상기 탄성부재(54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재(500)는 상기 메인샤프트(420)의 안내부(424)를 따라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복귀구간(387)은 좌측에서 우측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가이드부재(500)는 상기 탄성부재(540)의 탄성력에 의해 원활하게 이동하게 되고, 상기 하우징(300)의 내주면에 형성된 상기 복귀구간(387)을 따라 이동하는 안내돌기(520)에 의해 상기 하우징(300)은 회동하게 된다.
즉, 상기 안내돌기(520)가 상기 복귀구간(387)에 들어서게 되는 순간 외부에서 힘을 가해주지 않게 되더라도 상기 탄성부재(540)가 가지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재(500)는 축방향으로 강제 이동하게 되고, 상기 하우징(300)의 내주면에 형성된 상기 궤도홈의 형상을 따라 이동하는 안내돌기에 의해 상기 하우징은 강제회동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탄성부재(540)가 완전하게 인장되어 정상상태가 되면, 상기 하우징(300)은 회동(역방향)완료하게 되고, 상기 홈바도어(160)는 상기 개구부(140)를 차폐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재(500)는 완전하게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가이드부재(500)의 안내돌기(520)는 다시 상기 궤도홈(380)의 ①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홈바도어(160)를 조작하여 개방하게 되면, 상기 하우징(300)의 회동에 의해 상기 안내돌기(520)는 상기 궤도홈(380)의 ①에서 ②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홈바도어(160)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대략 45°각도만큼 들어올리게 되면, 상기 안내돌기(520)는 상기 궤도홈(380)의 ②에서 ③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홈바도어(160)를 대략 45°이상 회동시킨 후 상기 홈바도어(160)에서 손을 떼게 되면, 상기 안내돌기(520)는 상기 궤도홈(380)의 ③을 지나 다시 ①로 복귀하게 된다.
이때, 상기 궤도홈(380)의 ③에서 ①까지 상기 안내돌기(520)가 이동하는 것은 탄성부재(540)의 탄성력에 의한 것으로, 사용자가 가하는 외력에 의한 것이 아니라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는 전술한 바람직한 실시예 외에도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을 것이며, 이하에서는 대표적인 다른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물론 이하에서 설명할 다른 실시예의 구성 대부분은 전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많은 부분 유사하며,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3 은 본 발명에 의한 힌지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요부구성인 가이드링의 결합구조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14 는 본 발명에 의한 힌지장치가 구비된 도어가 냉장고에 채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힌지장치(200)는 상기 하우징(30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300)의 내측에는 샤프트(400)가 구비된다. 상기 샤프트(400)의 일측은 상기 하우징(30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개구부(140)의 일측과 결합되며, 상기 샤프트(400)의 타측은 상기 서브스프링(460)에 의해 상기 하우징(300)의 내측에서 탄성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400)의 일측에는 상기 샤프트(400)를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부재(500)가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부재(500)와 상기 하우징(300) 사이에는 탄성부재(540)가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부재(500)를 탄성 지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300)의 내측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가이드링(600)이 장착되는 링장착부(370)가 형성된다. 상기 링장착부(370)는 상기 하우징(300)의 외측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며, 가이드링(600)의 외경과 대응하는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가이드링(600)의 장착시 가이드링(600)이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링장착부(370)의 일측,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안내돌기(520)와 대응하는 상기 하우징(300)의 내측면에는 궤도홈 돌출부(372)가 더 형성되다. 상기 궤도홈 돌출부(372)는 아래에서 설명할 가이드링(600)의 궤도홈 천공부(620)와 함께 전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궤도홈(380)과 동일한 형상을 형성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대응하는 형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안내돌기(520)가 안내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하우징(300)의 링장착부에는 가이드링(600)이 장착된다. 상기 가이드링(600)은 상기 링장착부(370)와 대응하는 폭을 가지는 관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300)에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대칭되는 형상으로 절개되어 각각이 상기 하우징(300)의 링장착부(370)에 장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링장착부(370)의 일측에는 궤도홈 천공부(620)가 형성된다. 상기 궤도홈 천공부(620)는 상기 궤도홈 돌출부(372)와 함께 상기 궤도홈(380)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궤도홈 돌출부(372)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궤도홈 돌출부(372)보다 다소 크게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링(600)의 장착시 상기 궤도홈 돌출부(372)와 상기 궤도홈 천공부(620) 사이에 이격된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이격된 공간의 형상은 상기 궤도홈(380)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안내돌기(520)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안내돌기(520)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300)의 내부 일측,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궤도홈 돌출부(372)의 일측에는 상기 궤도홈(380)의 일측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레치(390)가 형성된다. 상기 레치(390)는 상기 홈바도어(160)가 완전히 개방되었을 때, 상기 안내돌기(520)가 역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으로, 폐루프(Close loop) 형상으로 형성된 궤도홈(380)을 따라 일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강제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홈바도어(160)를 개방할 때에는 상기 하우징(300)이 아무런 저항 없이 회동하게 되며, 완전히 개방된 상기 홈바도어(160)를 닫기 위해 회동할 경우에는 상기 안내돌기(520)가 상기 궤도홈(380)을 따라 이동하게 되어, 상기 가이드부재(500)가 상기 탄성부재(540)를 압축하게 된다.
상기 홈바도어(160)를 닫기 위해 대략 45°가량 회동(역회전)시킨 후 놓게 되면, 상기 안내돌기(520)는 상기 궤도홈(380)의 정점을 지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부재(500)는 상기 탄성부재(540)에 의해 우측으로 강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안내돌기(520)는 상기 하우징(300)의 궤도홈(380)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하우징(300)이 강제 회동하여 상기 홈바도어(160)가 완전하게 닫힐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힌지장치는 전술한 실시예들 외에도 다양하게 변경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샤프트(400)가 상기 홈바도어(160)의 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하우징(300)이 상기 개구부(140)의 내측 즉, 상기 냉장고 도어(120)의 일측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궤도홈(380)의 형상이 대칭되는 형상이 아닌 다른 폐루프 형상으로 변경할 수 있을 것이며, 이 경우 상기 궤도홈(380)의 형상을 변경하여 상기 탄성부재(540)의 압축구간과 상기 탄성부재(540)의 탄성력에 의해 자동 회동되는 구간을 설정가능할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힌지장치는 홈바도어(160) 외에도 회동조작에 의 해 개폐되는 다양한 대상에 적용 가능할 것이며,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힌지장치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들의 힌지장치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동일한 도면부호를 기재하기로 한다.
도 14 는 본 발명에 의한 힌지장치가 구비된 도어가 냉장고에 채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힌지장치(200)는 상기 냉장고 도어(120)에 구비된다.
상기 냉장고 도어(120)는 좌측도어와 우측도어로 구성되며 각각은 좌측과 우측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냉장고 본체(100)의 내부를 선택적으로 차폐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냉장고 도어(120)의 좌우측 단부 상부와 하부에는 힌지장치(20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힌지장치(200)의 하우징(300)은 상기 냉장고 도어(120)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힌지장치(200)의 샤프트(400) 단부는 상기 냉장고 도어(120)의 상단과 하단으로 돌출되어 상기 냉장고 본체(100)의 일측과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냉장고 도어(120)를 개폐하기 위한 회동 조작에 따라 상기 하우징(300)이 회동하게 되며, 상기 힌지장치(200)의 내부에 구비된 탄성부재(540)에 의해 상기 냉장고 도어(120)는 일정구간에서 자동으로 닫히게 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냉장고 도어(120)의 개방을 위한 회동 (정회전)시에는 상기 하우징(300) 내부의 탄성부재(540)가 압축되지 않아, 외력의 영향을 받지 않고 상기 냉장고 도어(120)를 개방하게 된다.
그리고, 개방된 상기 냉장고 도어(120)를 닫기 위해서 사용자는 상기 냉장고 도어(120)를 회동(역방향)시켜 상기 냉장고 도어(120)를 일정구간 압축시키게 되며, 이때 상기 힌지장치(200) 내부의 탄성부재(540)가 압축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고 도어(120)가 일정구간 이상 회동한 후에는 상기 탄성부재(540)가 복원되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냉장고 도어(120)가 완전하게 회동(역회전)하여 닫히게 된다.
그리고, 도 15 는 본 발명에 의한 힌지장치가 구비된 도어가 조리기기에 채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힌지장치(200)는 조리기기의 오븐도어(720)에도 구비된다.
상기 조리기기의 외형을 형성하는 조리기본체(700)의 전면에는 전방으로 회동하여 개방되는 오븐도어(720)가 장착되며, 상기 오븐도어(720)에는 상기 힌지장치(200)가 구비되어 상기 오븐도어(720)가 상기 조리기본체(7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힌지장치(200)의 하우징(300)은 상기 오븐도어(720)의 양측 하단에 결합되며, 상기 힌지장치(200)의 샤프트(400)는 상기 오븐도어(720)의 양측면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돌출된 상기 샤프트(400)의 단부는 상기 조리기본체(700)와 결합되어 상기 오븐도어(720)의 회동조작에 따라 상기 하우징(300)이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오븐도어(720)의 개방을 위한 회동(정회전)시에는 외력의 영향이 없이 상기 오븐도어(720)를 회동조작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오븐도어(720)를 닫기 위한 회동(역회전)시에는 일정각도(45°)만큼 회동하는 동안에는 상기 탄성부재(540)를 압축하고, 일정각도 이상 회동된 후에는 상기 탄성부재(540)의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상기 오븐도어(720)가 회동하여 닫히게 된다.
또한, 도 16 은 본 발명에 의한 힌지장치가 구비된 도어가 실내 도어에 채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힌지장치(200)는 실내 도어(820)에도 구비된다.
실내외의 공간의 출입구에는 도어(820)가 구비되어 실내공간을 선택적으로 차폐하게 되며, 상기 도어(820)는 회동에 의해 상기 실내공간을 차폐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820)의 일측 상단과 하단에는 힌지장치(20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힌지장치(200)의 하우징(300)은 상기 도어(820)의 내측에 고정되며, 상기 도어(820)의 상단과 하단으로 상기 힌지장치(200)의 샤프트(400) 일단이 돌출된다. 상기 돌출된 샤프트(400)의 일단은 상기 도어(820)가 장착되기 위한 벽체(800) 또는 문틀 등에 고정되며, 이에 따라 상기 도어(820)가 회동 가능하게 된다. 물론 상기 도어(820)의 회동시 상기 하우징(300)은 함께 회동하게 된다.
상기 도어(820)의 개방을 위한 회동(정회전)시에는 아무런 저항을 받지 않고 상기 도어(820)가 회동하게 되며, 상기 도어(820)를 닫기 위한 회동(역회전)시에는 상기 도어(820)를 닫기 위한 일정 각도(45°)만큼의 회동조작에 의해 상기 힌지장치(200)에 구비된 탄성부재(540)가 압축되고, 일정 각도만큼의 회동조작 완료 후에는 상기 탄성부재(540)의 탄성력에 자동으로 회동되어 상기 도어(820)가 닫히게 된 다.
이와 같은 상기 힌지장치(200)는 실내외의 도어(820)외에도 가구 등에 장착되는 도어에도 장착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한편, 도 17 은 본 발명에 의한 힌지장치가 구비된 도어가 자동차에 채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힌지장치(200)는 자동차의 도어(820)에도 구비된다.
자동차의 차체(900)에는 회동에 의해 개폐되는 자동차 도어(920)가 구비되며, 상기 자동차 도어(920)에는 상기 힌지장치(200)가 구비되어 상기 자동차의 차체(900)에 상기 자동차 도어(920)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힌지장치(200)의 하우징(300)은 상기 자동차 도어(920)의 상단과 하단에 고정 장착되며, 상기 힌지장치(200)의 샤프트(400) 단부가 상기 자동차 도어(920)의 상단과 하단으로 돌출된다. 돌출된 상기 샤프트(400)의 단부는 상기 자동차의 차체(900)에 고정되어 상기 자동차 도어(920)의 개방을 위한 회동시 상기 하우징(300)이 함께 회동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자동차 도어(920)의 개방을 위해서는 상기 자동차 도어(920)를 당겨서 회동(정회전)시키게 되며, 이때 상기 힌지장치(200)에서는 별도의 힘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상기 자동차 도어(920)가 원활하게 개방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자동차 도어(920)가 완전하게 개방된 후, 상기 자동차 도어(920)를 다시 닫기 위해서는 상기 자동차 도어(920)를 밀어서 회동(역회전)시키게 되며, 이때 상기 힌지장치(200)에서는 회동 초기에 상기 힌지장치(200)에 내장 된 탄성부재(540)가 압축되고, 상기 자동차 도어(920)가 일정 각도만큼 회동 된 후에는 상기 압축된 탄성부재(54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자동차 도어(920)가 완전하게 회동하여 닫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 에서는 상기 궤도홈(380)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가이드부재(500)에 의해 탄성부재(540)가 압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상기 힌지장치(200)의 내부에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캠부재를 장착함으로써 역회전시 상기 탄성부재(540)를 압축하고 상기 탄성부재(540)의 탄성력에 의해 완전하게 역회전 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힌지장치에서는, 홈바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회동(정회전)시에는 탄성부재가 압축되지 않도록 하여, 개방시에는 힘이 가해지지 않도록 하는 한편, 상기 홈바도어를 닫기 위한 회동(역회전)시에는 일정구간에서 탄성부재가 압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자동으로 닫히는 구조를 가지는 힌지장치가 채용된 종래의 도어에서 개방을 위한 회동시 탄성부재가 압축되거나, 오링 또는 가스를 압축하기 위한 외력을 가해주지 않아도 되므로 보다 용이하게 홈바도어의 개방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홈바도어를 닫기 위해서 초기 일정각도 만큼만 상기 홈바도어를 회동시키게 되면, 상기 힌지장치에 내장된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홈바도어가 자동으로 닫힐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홈바도어를 비롯한 다른 도어들을 닫고자 할 때에는 일정각도만큼만 회동시키는 조작에 의해서 상기 홈바도어를 완전하게 닫을 수 있게 되어 사용 편의성이 보다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힌지장치에는 서브스프링이 구비되어 상기 샤프트의 선택적인 삽입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힌지장치가 구비된 홈바도어의 장착시에 상기 샤프트를 일시적으로 삽입시켜 보다 용이하게 장착 되도록 함으로써,서비스성 및 조립 작업성이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14)

  1. 하우징;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를 따라 직선운동하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가이드부재의 이동에 따라 압축 및 신장되는 탄성부재가 포함되고,
    상기 가이드부재와 하우징 중 어느 한쪽에는 궤도홈이 형성되고, 다른 한쪽에는 상기 궤도홈을 따라 이동하는 안내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궤도홈은 상기 샤프트의 정회전과 역회전에 따라 상기 안내돌기가 다른 경로로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힌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궤도홈의 일측에는 상기 샤프트의 정회전과 역회전에 따라 상기 안내돌기의 이동경로를 안내하는 레치가 더 구비되는 힌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궤도홈은,
    상기 안내돌기의 회동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안내홈과;
    상기 제1안내홈의 양단을 연결하며, 상기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만곡되어 형성되는 제2안내부가 포함되는 힌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외주면의 적어도 일측이 평면을 형성하는 평키(Flat key)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샤프트와 키결합되는 힌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후반부와 상기 하우징의 사이에는 상기 샤프트를 탄성지지하는 서브스프링이 더 구비되는 힌지.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궤도홈은,
    상기 샤프트의 정회전시 상기 가이드부재가 정지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정지구간과;
    상기 정지구간의 일단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샤프트의 역회전시 상기 탄성부재를 압축하는 압축구간과;
    상기 압축구간의 일단에서 상기 정지구간의 다른 일단까지 연장되어, 상기 탄성부재가 복원되는 복원구간이 포함되는 힌지.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070003930A 2007-01-12 2007-01-12 힌지 KR1013175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3930A KR101317534B1 (ko) 2007-01-12 2007-01-12 힌지
PCT/KR2007/003976 WO2008084903A1 (en) 2007-01-12 2007-08-20 Hinge
CN2007800497722A CN101611279B (zh) 2007-01-12 2007-08-20 铰链
US12/522,852 US8161603B2 (en) 2007-01-12 2007-08-20 Hin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3930A KR101317534B1 (ko) 2007-01-12 2007-01-12 힌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6454A KR20080066454A (ko) 2008-07-16
KR101317534B1 true KR101317534B1 (ko) 2013-10-15

Family

ID=39608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3930A KR101317534B1 (ko) 2007-01-12 2007-01-12 힌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161603B2 (ko)
KR (1) KR101317534B1 (ko)
CN (1) CN101611279B (ko)
WO (1) WO20080849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14620B2 (en) * 2008-01-29 2010-10-19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Hinge
US20090188080A1 (en) * 2008-01-29 2009-07-30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Hinge
CN102338537B (zh) * 2010-07-22 2015-11-25 博西华家用电器有限公司 家用电器
CN102322191B (zh) * 2011-05-23 2015-10-21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一种用于旋转式箱门的闭门结构和具有其的对开门冰箱
FI20120169A (fi) 2012-05-22 2014-01-14 Arctic Ip Invest Ab Pinnoitus- ja materiaalinvalmistusmenetelmä
WO2014120594A1 (en) * 2013-01-31 2014-08-07 G.S. Blodgett Corp. Hinge mechanism for pivotable door
TW201512553A (zh) * 2013-09-18 2015-04-01 Hon Hai Prec Ind Co Ltd 樞轉結構及具有該樞轉結構之可擕式電子裝置
PL3126764T3 (pl) * 2014-03-31 2020-11-16 Arçelik Anonim Sirketi Urządzenie chłodzące zawierające zespół zawiasu
US9782273B2 (en) * 2015-03-23 2017-10-10 Alwyn P. Johnson Flexible coupling system
CN106150250A (zh) * 2015-04-07 2016-11-23 田双 接力式缓冲装置系统
CN105755749B (zh) * 2016-05-19 2018-04-13 山东大成洗涤机械有限公司 全自动洗衣脱水机内门锁
CN110284303A (zh) * 2019-07-31 2019-09-27 蓬莱帕沃电力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自动锁及回转体侧门
CN112444060B (zh) * 2019-08-28 2022-06-21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带有切换组件的嵌入式冰箱
US11214998B2 (en) 2019-12-30 2022-01-04 Whirlpool Corporation Resilient retainer for a hinge assembly of an appliance door panel
US11466395B2 (en) * 2019-12-30 2022-10-11 Whirlpool Corporation Hinge assembly for an appliance lid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for
EP3907365A1 (en) * 2020-04-27 2021-11-10 B/E Aerospace, Inc. Stowage assembly and metho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3738A (ja) 2001-06-26 2003-01-08 Ntn Corp ドアオープナー
KR20040096425A (ko) * 2003-04-26 2004-11-16 삼성전자주식회사 김치냉장고 및 그 조립방법
US20070089273A1 (en) 2005-10-13 2007-04-26 Kang Dae K Hinge device for refrigerator
KR20070078312A (ko) * 2006-01-26 2007-07-31 안춘훈 비데용 힌지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15449A (en) * 1978-09-15 1980-08-05 Standard Keil Hardware Manufacturing Co. Self-closing hinge
US5600868A (en) * 1995-03-07 1997-02-11 Santa Barbara Research Center Deployment hinge
US5628089A (en) * 1995-05-18 1997-05-13 Motorola, Inc. Radiotelephone having a self contained hinge
US5682644A (en) * 1996-02-06 1997-11-04 Component Hardware Group, Inc. Hinge assembly
JP2002039161A (ja) * 2000-07-31 2002-02-06 Nifco Inc ヒンジユニット及びヒンジ構造
US7062817B2 (en) * 2003-03-14 2006-06-20 Winia Mando, Inc. Hinge assembly structure for opening and closing of door of storage facility
KR100735974B1 (ko) * 2003-11-05 2007-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김치냉장고의 도어용 힌지구조
CN100340734C (zh) * 2004-03-05 2007-10-03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储藏容器的铰链装置和具有其的储藏容器
CN1780541A (zh) * 2004-11-27 2006-05-31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铰链结构
KR200424971Y1 (ko) * 2006-06-05 2006-08-28 피케이텍시스템 주식회사 반발력 외부조정이 가능한 힌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3738A (ja) 2001-06-26 2003-01-08 Ntn Corp ドアオープナー
KR20040096425A (ko) * 2003-04-26 2004-11-16 삼성전자주식회사 김치냉장고 및 그 조립방법
US20070089273A1 (en) 2005-10-13 2007-04-26 Kang Dae K Hinge device for refrigerator
KR20070078312A (ko) * 2006-01-26 2007-07-31 안춘훈 비데용 힌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11279B (zh) 2012-08-22
CN101611279A (zh) 2009-12-23
US8161603B2 (en) 2012-04-24
KR20080066454A (ko) 2008-07-16
US20100000046A1 (en) 2010-01-07
WO2008084903A1 (en) 2008-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7534B1 (ko) 힌지
JP3998651B2 (ja) 貯蔵庫用ヒンジ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貯蔵庫
US9903146B2 (en) Bearing arrangement for a door
KR100938132B1 (ko) 도어클로저 어셈블리
US7062817B2 (en) Hinge assembly structure for opening and closing of door of storage facility
KR101343915B1 (ko) 가전 제품 도어의 싱글 힌지 댐핑 장치
US20150322705A1 (en) Door closer provided with unit for adding door-closing force
US20150315833A1 (en) Door closer
US20060273090A1 (en) Lid device
KR100781601B1 (ko) 냉장고 도어의 자동닫힘 장치
KR100457981B1 (ko) 냉장고 도어의 개폐장치
US20100071158A1 (en) Hinge assembly for foldable electronic devices
KR101603592B1 (ko) 냉장고 홈바용 댐핑장치
CN108468470B (zh) 具有折叠功能的门提手及卧式冷柜
JP2005220564A (ja) ロック機構付きステー装置
KR100596987B1 (ko) 힌지장치
KR100811223B1 (ko) 탄성지지구 및 이를 이용한 도어 개폐장치
KR101235919B1 (ko) 글로브박스의 체결장치
CN216841122U (zh) 一种阻尼铰链
KR100699252B1 (ko) 플로어힌지
KR100788912B1 (ko) 탄성지지구 및 이를 이용한 도어 개폐장치
KR970004287Y1 (ko) 냉장고의 도어 로킹장치
KR20060075873A (ko) 냉장고
KR20040056368A (ko) 김치저장고의 도어 개폐용 힌지조립체 및 이 힌지조립체설치구조
KR200275852Y1 (ko) 도어힌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