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4971Y1 - 반발력 외부조정이 가능한 힌지장치 - Google Patents

반발력 외부조정이 가능한 힌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4971Y1
KR200424971Y1 KR2020060014975U KR20060014975U KR200424971Y1 KR 200424971 Y1 KR200424971 Y1 KR 200424971Y1 KR 2020060014975 U KR2020060014975 U KR 2020060014975U KR 20060014975 U KR20060014975 U KR 20060014975U KR 200424971 Y1 KR200424971 Y1 KR 2004249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shaft
cam member
spring
housing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49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우
Original Assignee
피케이텍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케이텍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피케이텍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149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49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49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497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0Preserving with acids; Acid fermen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4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deep-frozen 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50/00Machines or articles related to building
    • F16C2350/54Hinges, e.g. sliding bearings for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inges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기에 장착된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스프링의 반발력 조정이 가능하여 스프링을 교체하지 않고도 해당 중량 적용범위를 넓혀 범용적으로 사용이 가능토록 하는 반발력 외부조정이 가능한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일측이 도어고정부로 되고 타측에 캠이 형성되며 도어 개폐시 회전운동하는 도어측 캠부재와, 상기 도어측 캠부재의 캠에 대응 형성되며 샤프트에 끼워지고 스프링에 의하여 탄지되며 회동불능 상태에서 도어측 캠부재의 회전운동에 의하여 직선운동하는 본체측 캠부재로 구성되는 힌지유니트가 하나의 하우징 좌우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힌지장치에 있어서, 외부에서 상기 좌우 스프링의 압축길이 조정이 가능토록 개구부가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하우징 내부 공간 좌우에는, 중앙부에 공구물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구물림부 좌우에 왼나사부와 오른나사부가 대칭으로 형성되는 메인샤프트; 상기 메인샤프트의 왼나사부/오른나사부에 각각 대칭으로 나사결합되고 하우징에 의하여 회동이 저지되어 상기 메인샤프트 상에서 직선이동 가능한 좌우의 스프링받침대; 및 상기 메인샤프트 좌우에 상기 스프링받침대에 이어서 각각 스프링, 본체측 캠부재, 도어측 캠부재 순으로 조립되는 힌지유니트;가 설치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메인샤프트의 공구물림부 대응위치에 형성되는 공구출입구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반발력 외부조정이 가능한 힌지장치{A HINGE DEVICE ABLE TO EXTERNALLY ADJUST RESILIENCE}
도 1a는 종래 기술의 구성도
도 1b는 도어고정부가 양측에 구비된 종래 기술의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상태 투시도
도 4a는 본 도 3의 단면도
도 4b는 도 4a의 가변상태도
도 5는 도 4a의 A-A선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 고안의 반발력 외부조정이 가능한 힌지장치 1a: 힌지유니트
10: 도어측 캠부재 11: 도어고정부 12: 캠
13: 중공축 20: 본체측 캠부재 30: 스프링
40: 메인샤프트 41: 공구물림부 43: 외나사부
45: 오른나사부 53,55: 스프링받침대 60: 하우징
61: 개구부 63: 가이드웨이 65: 캡
본 고안은 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기에 장착된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스프링의 반발력 조정이 가능하여 스프링을 교체하지 않고도 해당 중량 적용범위를 넓혀 범용적으로 사용이 가능토록 하는 반발력 외부조정이 가능한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김치 냉장고 등과 같이 개구가 상면에 위치되어 상향 개폐되는 도어는 저장물의 인출시 직립에 가깝게 완전 개방될 뿐만 아니라 예컨대 60° 또는 30° 정도의 비스듬히 열린 상태에서도 정지상태가 유지되어 냉기유출을 최소화시키고 도어 자유낙하에 따른 위험으로부터 안전성을 갖출것 등이 요구된다.
종래 기술의 힌지장치(100)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본체에 설치되는 하우징(160)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캠부가 내치되고 일측이 도어에 고정되어 회전운동을 하는 도어측 캠부재(110)와, 상기 도어측 캠부재(110)에 대응하며 스프링(130)에 의하여 탄지되고 회동불능 상태에서 도어측 캠부재(110)의 회전운동에 의하여 직선 슬라이드운동을 하게 되는 본체측 캠부재(12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힌지장치는 캠이 나선면을 갖는 톱니형상으로 다중 형성되고, 도어가 소정 각도상으로 개방된 정지상태에서 도어의 회전이 억제되도록 해당각도 상의 도어 토오크 값보다 상기 스프링(130)의 반발력이 크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도 어의 개방상태가 스프링(130)의 반발력에 의하여 일정 각도 이상의 영역에서는 어떤 기울기에서라도 정지상태가 유지되는 푸리스톱 기능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130)은 힌지장치가 적용되는 도어의 중량에 따라 결정 선택되고 압축길이가 조정된다.
상기 구성의 힌지장치는 대개 도어의 좌우 양측에 대향하여 설치되는데 비하여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하우징(260) 내에 도어측 캠부재(210) 및 본체측 캠부재(220)가 샤프트(240)양측으로 설치되는 힌지장치(200)가 부품비 및 설치공수를 줄이고 기기를 콤팩트하게 만들 수 있는 이점이 있어 각광받고 있다.
그런데 상기 도어측 캠부재가 양측으로 설치되는 힌지장치(200)는 조립시 스프링(230)이 수용되는 공간의 길이, 다시 말하면 스프링의 압축길이가 결정되어 있어 중량이 다른 도어에 적용될 경우, 부득불 조립을 모두 해체하고 스프링을 교체해야 되는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일단 완제품으로 조립된 힌지장치는 해당 중량의 도어에만 적용할 수 밖에 없는 한계를 지니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기기에 장착된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스프링의 반발력 조정이 가능하여 스프링을 교체하지 않고도 해당 중량 적용범위를 넓혀 범용적으로 사용이 가능토록 하는 반발력 외부조정이 가능한 힌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에 따른 반발력 외부조정이 가능한 힌지장치는,
일측이 도어고정부로 되고 타측에 캠이 형성되며 도어 개폐시 회전운동하는 도어측 캠부재와, 상기 도어측 캠부재의 캠에 대응 형성되며 샤프트에 끼워지고 스프링에 의하여 탄지되며 회동불능 상태에서 도어측 캠부재의 회전운동에 의하여 직선운동하는 본체측 캠부재로 구성되는 힌지유니트가 하나의 하우징 좌우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힌지장치에 있어서,
외부에서 상기 좌우 스프링의 압축길이 조정이 가능토록 개구부가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하우징 내부 공간 좌우에는,
중앙부에 공구물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구물림부 좌우에 왼나사부와 오른나사부가 대칭으로 형성되는 메인샤프트;
상기 메인샤프트의 왼나사부/오른나사부에 각각 대칭으로 나사결합되고 하우징에 의하여 회동이 저지되어 상기 메인샤프트 상에서 직선이동 가능한 좌우의 스프링받침대; 및
상기 메인샤프트 좌우에 상기 스프링받침대에 이어서 각각 스프링, 본체측 캠부재, 도어측 캠부재 순으로 조립되는 힌지유니트;가 설치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메인샤프트의 공구물림부 대응위치에 형성되는 공구출입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반발력 외부조정이 가능한 힌지장치에 대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상태 투시도, 도 4a는 본 도 3의 결합 단면도, 도 4b는 도 4a의 가변상태도, 도 5는 도 4a의 A-A선 확대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반발력 외부조정이 가능한 힌지장치(1)는 일측이 도어고정부(11)로 되고 타측에 캠(12)이 형성되며 도어 개폐시 회전운동하는 도어측 캠부재(10)와, 상기 도어측 캠부재의 캠(12)에 대응 형성되며 샤프트에 끼워지고 스프링(30)에 의하여 탄지되며 회동불능 상태에서 도어측 캠부재(10)의 회전운동에 의하여 직선운동하는 본체측 캠부재(20)로 구성되는 힌지유니트(1a)가 하나의 하우징(60) 좌우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힌지장치에 있어서, 외부에서 상기 좌우 스프링(30)의 압축길이 조정이 가능토록 개구부(61)가 형성된 하우징(60)을 포함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60) 내부 공간 좌우에는 중앙부에 공구물림부(41)가 형성되고 상기 공구물림부(41) 좌우에 왼나사부(43)와 오른나사부(45)가 대칭으로 형성되는 메인샤프트(40), 상기 메인샤프트(40)의 왼나사부/오른나사부에 각각 대칭으로 나사(n)결합되고 하우징(60)에 의하여 회동이 저지되어 상기 메인샤프트(40) 상에서 직선이동 가능한 좌우의 스프링받침대(53)(55) 및 상기 메인샤프트 좌우에 상기 스프링받침대(53)(55)에 이어서 각각 스프링(30), 본체측 캠부재(20), 도어측 캠부재(10) 순으로 조립되는 힌지유니트(1a)가 설치되고, 상기 개구부(61)는 상기 메인샤프트의 공구물림부(41) 대응위치에 형성되는 공구출입구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60)은 메인샤프트(40)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본체측 캠부재(20)와 스프링받침대(53)(55)의 회동을 저지하고 직선이동시키기 위한 가이드웨이(63)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본체측 캠부재(20)와 스프링받침대(53)(55)는 둘레에 상기 가이드웨이(63)에 대응하는 요홈(c)이 형성된다.
따라서, 하우징(60) 내에서 상기 본체측 캠부재(20)와 스프링받침대(53)(55)는 상기 가이드웨이(63)에 의하여 직선이동만 가능토록 구속된다.
상기 하우징(60)의 개구부(61)에는 개폐가 자유로운 캡(65)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캡(65)은 탈착이 용이하도록 돌조가 형성된 탄력지지편(65a)이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메인샤프트의 공구물림부(41)는 스패너 등의 공구(T)가 잡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육면부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며 반경이 메인샤프트(40)의 기본 반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도어측 캠부재(10)는 하우징 내부로 인입되는 중공축(13)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메인샤프트(40)는 상기 중공축(13)의 중공부(13a)에 결합되며 상기 본체측 캠부재(20)는 상기 중공축(13) 상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져도 무방하다.
이때 상기 메인샤프트(40)에 대한 도어측 캠부재(10)의 결합은 회전이 자유롭도록 헐겁게 끼워진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67'은 하우징의 마감캡, '69'는 체결수단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지닌 본 고안에 따른 반발력 외부조정이 가능한 힌지장치(1)의 작용상태를 살펴본다.
본 고안은 하나의 하우징(60) 내에 도어측 캠부재(10)가 좌우 양쪽에 구비되되 메인샤프트(40)의 회전을 외부에서 조정가능하게 하며, 상기 메인샤프트(40)에 왼나사부(43)와 오른나사부(45)를 형성하고 여기에 회전이 저지되는 스프링받침대(53)(55)를 각각 나합시킴으로써 메인샤프트(40)를 회전시키는 방향에 따라 좌우의 스프링받침대(53)(55)가 직선이동되고 이에 따라 스프링(30)의 반발력을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이미 조립완료된 힌지장치를 설정 스프링의 반발력보다 더 무거운 중량의 도어에 장착할 경우, 외부에서 하우징 개구부(61)의 상기 캡(65)을 열고 공구(T)를 투입시켜 메인샤프트의 공구물림부(41)를 회전시키면 상기 왼나사부(43)와 오른나사부(45)에 각각 나사결합된 좌우의 스프링받침대(53)(55)는 상기 가이드웨이에 의하여 메인샤프트(40)와 같이 회전할 수 없으므로 가이드웨이(63)를 타고 각각 받히고 있는 스프링(30)을 밀어내면서 직선이동된다.
이때, 메인샤프트(40)의 회전방향 결정은 왼나사부(43) 및 오른나사부(45)가 좌우 어느 쪽에 위치되었는가에 따라 결정되며, 회전 조작시 스프링(30)의 반발저 항이 전해지므로 조작자는 압축방향 및 이완방향을 직감적으로 구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프링받침대(53)(55)가 직선이동되어 스프링(30)의 압축길이를 단축시킴으로 반발력을 증대시켜 보다 큰 중량의 도어를 푸리스톱 가능하게 힌지장치가 지지한다.
이러한 스프링의 반발력 조정은 도어에 장착된 상태에서 푸리스톱을 확인하며 진행 가능하여 작업이 대단히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반대로 스프링의 반발력을 낮출 경우에는 메인샤프트(40)를 스프링 압축시의 회전방향과 반대로 회전 조정하면 된다.
이상,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반발력 외부조정이 가능한 힌지장치는 기기에 장착된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스프링의 반발력 조정이 가능하여 스프링을 교체하지 않고도 해당 중량 적용범위를 넓혀 범용적으로 사용이 가 능토록 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일측이 도어고정부(11)로 되고 타측에 캠(12)이 형성되며 도어 개폐시 회전운동하는 도어측 캠부재(10)와, 상기 도어측 캠부재의 캠(12)에 대응 형성되며 샤프트에 끼워지고 스프링(30)에 의하여 탄지되며 회동불능 상태에서 도어측 캠부재(10)의 회전운동에 의하여 직선운동하는 본체측 캠부재(20)로 구성되는 힌지유니트(1a)가 하나의 하우징(60) 좌우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힌지장치에 있어서,
    외부에서 상기 좌우 스프링(30)의 압축길이 조정이 가능토록 개구부(61)가 형성된 하우징(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발력 외부조정이 가능한 힌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60) 내부 공간 좌우에는,
    중앙부에 공구물림부(41)가 형성되고 상기 공구물림부(41) 좌우에 왼나사부(43)와 오른나사부(45)가 대칭으로 형성되는 메인샤프트(40);
    상기 메인샤프트(40)의 왼나사부/오른나사부에 각각 대칭으로 나사(n)결합되고 하우징(60)에 의하여 회동이 저지되어 상기 메인샤프트(40) 상에서 직선이동 가능한 좌우의 스프링받침대(53)(55); 및
    상기 메인샤프트 좌우에 상기 스프링받침대(53)(55)에 이어서 각각 스프 링(30), 본체측 캠부재(20), 도어측 캠부재(10) 순으로 조립되는 힌지유니트(1a);가 설치되고,
    상기 개구부(61)는 상기 메인샤프트의 공구물림부(41) 대응위치에 형성되는 공구출입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발력 외부조정이 가능한 힌지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60)은 메인샤프트(40)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본체측 캠부재(20)와 스프링받침대(53)(55)의 회동을 저지하고 직선이동시키기 위한 가이드웨이(63)가 복수개소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본체측 캠부재(20)와 스프링받침대(53)(55)는 둘레에 상기 가이드웨이(63)에 대응하는 요홈(c)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발력 외부조정이 가능한 힌지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60)의 개구부(61)에는 개폐가 자유로운 캡(65)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발력 외부조정이 가능한 힌지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샤프트의 공구물림부(41)는 육면부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발력 외부조정이 가능한 힌지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측 캠부재(10)는 하우징 내부로 인입되는 중공축(13)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메인샤프트(40)는 상기 중공축(13)의 중공부(13a)에 결합되며 상기 본체측 캠부재(20)는 상기 중공축(13) 상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짐을 특징으로 하는 반발력 외부조정이 가능한 힌지장치.
KR2020060014975U 2006-06-05 2006-06-05 반발력 외부조정이 가능한 힌지장치 KR2004249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4975U KR200424971Y1 (ko) 2006-06-05 2006-06-05 반발력 외부조정이 가능한 힌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4975U KR200424971Y1 (ko) 2006-06-05 2006-06-05 반발력 외부조정이 가능한 힌지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0176A Division KR100815972B1 (ko) 2006-06-05 2006-06-05 반발력 외부조정이 가능한 힌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4971Y1 true KR200424971Y1 (ko) 2006-08-28

Family

ID=41773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4975U KR200424971Y1 (ko) 2006-06-05 2006-06-05 반발력 외부조정이 가능한 힌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497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972B1 (ko) 2006-06-05 2008-03-21 피케이텍시스템 주식회사 반발력 외부조정이 가능한 힌지장치
WO2008084903A1 (en) * 2007-01-12 2008-07-17 Lg Electronics Inc. Hing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972B1 (ko) 2006-06-05 2008-03-21 피케이텍시스템 주식회사 반발력 외부조정이 가능한 힌지장치
WO2008084903A1 (en) * 2007-01-12 2008-07-17 Lg Electronics Inc. Hinge
US8161603B2 (en) 2007-01-12 2012-04-24 Lg Electronics Inc. Hin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76887B2 (en) Two-stage adjustable door hinge
TWI655353B (zh) 總成、鉸接系統總成、用於促進鉸鏈中的變摩擦阻力的方法、用於使經定位成用於相對於彼此進行旋轉移動的組件之間的摩擦阻力變化的方法
US7107649B2 (en) Hinge device
KR20130058731A (ko) 조절가능한 토크 힌지
US20120000130A1 (en) Stay for opening and closing of door
RU2671761C2 (ru) Ступенчатый фиксатор двери
JP2018521241A (ja) 低嵩高ヒンジ
KR101019780B1 (ko) 웜 내치기어 및 이를 이용하는 자동 복귀 및 정지 기능을갖는 힌지장치
KR200424971Y1 (ko) 반발력 외부조정이 가능한 힌지장치
KR20210038213A (ko) 회전도어용 힌지장치
KR200190938Y1 (ko) 자동 록킹기능을 갖는 도어 힌지장치
KR100815972B1 (ko) 반발력 외부조정이 가능한 힌지장치
KR102147878B1 (ko) 개방 각도를 설정할 수 있는 도어 힌지용 스토퍼
US11781359B2 (en) Small bulkiness hinge
US20210095506A1 (en) Hinge device for rotating door
KR100585277B1 (ko) 프리스톱 및 슬로우다운 힌지장치
KR100479006B1 (ko) 김치냉장고용 힌지장치
KR20180034037A (ko) 도어의 위치 조절 및 각도 유지가 가능한 플랩형 도어 힌지
CN112384674B (zh) 枢转门
KR200349830Y1 (ko) 프리스톱 및 슬로우다운 힌지장치
KR200340468Y1 (ko) 도어힌지
KR200380537Y1 (ko) 프리스톱 및 슬로우다운 힌지장치
KR20150055231A (ko) 댐퍼 조립체 및 이를 가지는 도어 회전장치
KR200158216Y1 (ko) 냉장고의 도어 힌지장치
KR0137351Y1 (ko) 도어의 열림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23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