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7320B1 - 청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억력 및 학습 능력 증진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청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억력 및 학습 능력 증진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7320B1
KR101317320B1 KR1020110078568A KR20110078568A KR101317320B1 KR 101317320 B1 KR101317320 B1 KR 101317320B1 KR 1020110078568 A KR1020110078568 A KR 1020110078568A KR 20110078568 A KR20110078568 A KR 20110078568A KR 101317320 B1 KR101317320 B1 KR 1013173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extract
present
dementia
active ingred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8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9992A (ko
Inventor
이창호
김인호
한대석
김영언
박동준
최준혁
이혜성
조승목
Original Assignee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식품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to US13/822,714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30171278A1/en
Priority to PCT/KR2011/006853 priority patent/WO2012036506A2/ko
Priority to CN201180044377.1A priority patent/CN103153323B/zh
Publication of KR20120029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9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7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7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sychia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억력 및 학습 능력 증진용 조성물 및 인지기능장애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아세틸콜린스테라아제의 활성을 억제, 항산화 활성(예컨대, 활성산소종) 및 NMDA 리셉터와의 친화력을 통하여 신경세포, 특히 대뇌 기저부의 신경세포의 손상을 억제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신경세포를 보호 및 손상의 예방 효과를 통하여 기억력 및 학습 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인지기능장애로 질환을 예방 및 치료 할 수 있는 효능을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억력 및 학습 능력의 증진 효능, 또는 인지기능장애를 예방 및 치료 효능을 가지는 청호 추출물의 의약 및 식품으로서의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청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억력 및 학습 능력 증진용 조성물{Compositions for Improving Memory Power and Learning Ability Comprising Extract from Artemisia Apiaceae as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청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억력 및 학습 능력 증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뇌에는 모두 1000억 개의 신경세포가 존재하며 이 들은 각 각 주위의 다른 신경세포들과 평균 1만개 정도의 시냅스(synapse)라고 하는 부위로 연결되어 서로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다. 이들 시냅스를 통하여 신경세포들 사이에 긴밀한 정보전달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 때 매개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신경전달물질(neurotransmitter)이다. 신경세포들은 신경전달물질을 방출하여 수용체(receptor)를 자극시키고 이를 통하여 서로 정보를 교환하는 것이다. 인간의 두뇌가 기억을 저장하는 방식은 바로 시냅스의 연결강도를 지속적인 화학적, 전기적 자극을 통하여 강화하는 과정으로 이를 장기강화(long - term potentiation, LPT)라고 하며 이러한 지속적 자극을 통한 시냅스간의 신경전달 네트워크가 강화되는 시냅스의 특성을 시냅스가소성(synaptic plasticity)이라고 한다.
신경전달물질에 의하여 시냅스(synapse)에서 정보 전달이 화학적으로 이루어진다는 사실은 20세기 초에 실험적으로 증명되었다. 현재 알려져 있는 신경전달물질로는 아세틸콜린(acetylcholine, ACh), 놀에피네프린(norepinephrine), 도파민(dopamine, DA), 가바(GABA), 글라이신 및 글루타민산 등이 있다(표 1).
종류 신경전달물질 존재부위 기능 관련질병 관련약물
아민 아세틸콜린
( ACh )
자율신경계
중뇌신경계
선분비
(간, 소화액분비), 평활근이나 골격근의 수축 및 이완, 기억
소화성궤양 , 치매 항궤양제
( pirenzepine ), 항치매제
( tacrine )
세로토닌
(5- HT )
중뇌신경계 감정, 수면 감정장애, 환각 항울약
( imipramine )
카테콜아민 도파민
( DA )
중뇌신경계
( 선조체 , 측좌핵 )
정신, 운동 정신분열증, 파킨슨병 항정신제
( haloperidol ) 항파킨슨약
(L- dopa )
놀에피네프린
( NA )
자율신경계
(교감신경)
중뇌신경계
평활근, 심근 수축, 감정, 의식, 식욕 감정장애 항울약
( desipramine )
아미노산 글라이신
( Gly )
중뇌신경계 운동신경기능제어 경련 경련약
( strychine )
가바
( GABA )
중뇌신경계 수면,
골격근 긴장도
경련 수면약( barbital )
트란키라이저
( benzodiazepine )
근이완약
( baclofen )
글루타민산
( Glu )
중뇌신경계 기억 신경세포사 항경련약 , 신경세포사억제약
폴리펩타이드 Substance P ( SP ) 중뇌신경계 통각전달, 장관수축 - 소염제
엔케팔린
( Enk )
중뇌신경계 통각억제, 장관수축억제 - 진통제
( morphine )
가스 일산화질소
( NO )
내장, 중뇌신경계 (소뇌 등) 혈관확장, 기억 신경세포사 항협심증약
( nitroglycerin )
노인성 치매의 일종인 알츠하이머병으로부터 유발되는 기억력 및 학습능력의 상실 등 인지 기능 장애는 대뇌 기저부의 아세틸콜린성 신경세포의 손상에서 비롯된다는 연구결과에 의해 무스카린성 아세틸콜린 수용체(muscarine acetylcholine receptor)에 대한 효능제(agonist), 아세틸콜린 생성촉진제,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 저해제 등 여러 가지 작용기전에 따라 아세틸콜린성 신경세포의 기능을 강화시켜줄 수 있는 약물들이 개발되어 왔다. 현재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 저해제로 타크린(tacrine)이 개발되어 있으나 위장장애와 같은 일부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어 천연 식물소재로부터 저해활성소재를 탐색하여 활용할 필요가 있다.
청호 (Artemisia apiaceae Herba)는 2년생 초본으로 우리나라 중부 이남의 들이나 인가의 빈터, 개울가의 모래땅에 흔히 나는 월년초이다. 40~150 cm정도이 크기에 전체에 털이 없고, 줄기에 가지가 많다. 기원은 개사철쑥의 전초로서 여름철 꽃이 피기 전에 채취하여 그늘에 말려서 사용한다. 주요 성분으로는 아보타민(abrotamine), 비타민 A, β-보우어보넨(β-bourbonene), 카료필렌(caryophyllene), α-피넨(α-pinene), β-피넨(β-pinene), 1,8-시네올(1,8-cineole), α-투존(α-thujone) 등이 있다. 효능으로는 지혈, 해열, 이담, 구충 효과 등이 알려져 있다.
인간의 두뇌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는 플라보노이드로는 콩에서 발견되는 이소플라본(isoflavones), 차와 코코아, 붉은 포도주에서 발견되는 플라바놀 (flavanols), 그리고 안소시아닌 (anthocyanins) 등이 있으며 그 작용 기전은 이소플라본의 경우 뇌에서 에스트로젠의 작용을 모방하며 플라바놀과 안소시아닌은 미토젠 활성 단백질 키나아제(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PK) 경로와 PI3키나아제 (phosphoinositide 3-kinase, PI3 kinase)/Akt 신호전달 단계 반응과 같은 뉴런의 신호전달 경로와 상호 작용한다. MAPK와 PI3 키나아제 경로 둘 모두 뇌의 해마와 피질에서 기억 저장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이 들 경로의 키나아제들을 활성화시킴으로써 기억과 학습을 증진시키는 잠재력을 갖는다. 또한 기억과 연관된 유전자의 발현에 관련되는 cAMP response element binding (CREB)과 같은 단백질의 활성화를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영국의 킹스 컬리지 런던(kings college london0 연구팀에 의하면 브로콜리, 감자, 오렌지, 사과 및 무에 함유되어 있는 성분들이 알츠하이머병 치료제와 동일한 방식으로 작용한다는 사실을 밝혀내었으며, 이 들 성분들이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을 파괴시키는 효소인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를 저해한다는 사실을 밝혀내었다.
따라서, 생약재 및 식물소재 등으로부터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 저해제 및 수용체 활성을 촉진시킬 수 있는 작용제(agonist) 및 길항제(antagonist)와 기억력 및 인지기능을 향상에 관련된 단백질을 활성화시키는 기능들을 탐색하고, 이로부터 선정된 천연식물 소재들을 이용하여 기억력 및 인지기능장애를 치료 및 예방할 수 있는 물질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자들은 기억력 및 학습능력을 효과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으며 인체에 안전한 물질, 특히 식물-유래 물질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하였고, 그 결과 종래부터 한약재로 사용되고 있는 청호가 기억력 및 학습능력을 증진시키는데 매우 유효하다는 것을 규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청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억력 및 학습 능력 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청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기능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청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억력 및 학습 능력 증진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청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기능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청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기능장애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청호(Artemisia apiaceae)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억력 및 학습 능력 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청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기능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기억력 및 학습능력을 효과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으며 인체에 안전한 물질, 특히 식물-유래 물질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하였고, 그 결과 종래부터 한약재로 사용되고 있는 청호가 기억력 및 학습능력을 증진시키는데 매우 유효하다는 것을 규명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이용되는 청호 추출물은 청호에 추출용매를 처리하여 수득하는 경우에는, 다양한 추출용매가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극성 용매 또는 비극성 용매를 이용할 수 있다. 극성 용매로서 적합한 것은, (i) 물, (ii) 알코올(바람직하게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노말-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노말-부탄올, 1-펜탄올, 2-부톡시에탄올 또는 에틸렌글리콜), (iii) 아세트산, (iv) DMFO(dimethyl-formamide) 및 (v) DMSO(dimethyl sulfoxide)를 포함한다. 비극성 용매로서 적합한 것은, 아세톤, 아세토나이트릴, 에틸 아세테이트, 메틸 아세테이트, 플루오로알칸, 펜탄, 헥산, 2,2,4-트리메틸펜탄, 데칸, 사이클로헥산, 사이클로펜탄, 디이소부틸렌, 1-펜텐, 1-클로로부탄, 1-클로로펜탄, o-자일렌, 디이소프로필 에테르, 2-클로로프로판, 톨루엔, 1-클로로프로판, 클로로벤젠, 벤젠, 디에틸 에테르, 디에틸 설파이드,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1,2-디클로로에탄, 어닐린, 디에틸아민, 에테르, 사염화탄소 및 THF를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추출용매는 (a) 물, (b)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 (c) 상기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d) 아세톤, (e) 에틸 아세테이트, (f) 클로로포름, (g) 부틸아세테이트, (h) 1,3-부틸렌글리콜, (i) 헥산 및 (j) 디에틸에테르를 포함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추출물은 물, 메탄올, 에탄올 또는 이의 조합을 청호에 처리하여 수득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당업계에서 조추출물(crude extract)로 통용되는 의미를 갖지만, 광의적으로는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분획(fractionation)한 분획물도 포함한다. 즉, 청호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얻은 것뿐만 아니라, 여기에 정제과정을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얻은 것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추출물을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통과시켜 얻은 분획,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 (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청호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청호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기억력 및 학습능력 증진 뿐 만 아니라 인지능력장애 예방 및 치료에 매우 효과적으로 작용한다.
상기 본원발명의 효과들은 신경세포, 바람직하게는 대뇌 기저부의 아세틸콜린성 신경세포의 보호 및 손상을 억제시킴으로써 발휘된다.
아세틸콜린(Acetylcholine)은 신경말단에서 분비되너 신경의 자극을 근육에 전달하는 신경전달물질로 자극이 전달이 끝나면 아세틸콜린스테라아제(Acetylcholinesterase)에 의하여 콜린과 아세테이트로 분해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아세틸콜린스테라아제(Acetylcholinesterase)의 활성을 억제시킴으로써 아세틸콜린스테라아제에 의한 아세틸콜린의 분해를 억제하여 신경세포의 보호 및 손상을 억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항산화 활성을 통하여 신경세포의 손상으로 인한 기억력 감퇴 및 학습능력 저하를 억제할 뿐 만 아니라 신경세포의 손상을 예방하여 기억력 및 학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 “활성산소종”은 유기호흡을 하는 생물에게 있어 필수적인 산소가, 세포 내의 효소 그리고 대부분의 전자 운반 과정 혹은 에너지대사 과정 중에 불완전하게 환원되거나 펩티드 성장인자, 사이토카인들 및 다양한 작용의 자극에 의해 발생되는 산소부산물들을 의미한다. 즉, 활성산소종은 프리 래디칼(free radical: 어떠한 원자 또는 분자가 외곽궤도에 짝 없는 전자를 가지고 있는 형태)을 가져 안정되지 못한 상태를 의미하며, 그로 인해 강한 활성을 가진다.
활성산소종은 생산이 과잉되면 생체에 대해 독성 즉, 산화적 손상(oxidative stress)을 가져온다 하여 유해산소라고 명명되기도 한다. 세포내의 거대한 분자(단백질, 지질 등)를 산화시킴으로써 세포의 항상성을 파괴하고, 세포를 사멸시키는 등의 작용으로 세포조직 내에 치명적인 손상을 유발하며, 암, 근이형증, 알츠하이머병, 파킨슨씨병, 허혈성질환, 동맥경화증과 같은 다양한 퇴행성 질병의 원인과 일반적 노화와 관계가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활성산소종에는 수퍼옥사이드 아니온 래디칼(superoxide anion radical: O2 -), 하이드로겐 퍼옥사이드(hydrogen peroxide: H2O2), 하이드록시 래디칼(hydroxyl radical: OH) 외에도 리피드 퍼옥사이드(lipid peroxide), 리트릭 옥사이드(Nitric oxide: NO), 퍼옥시니트리트(peroxinitrite: NO3 2 -), 티올퍼옥시 래디칼(thiol peroxy radical: R-SO2-)등이 있으며, 이 중 H2O2가 TGF, -1, PDGF 및 EGF등의 자극에 의해 생성되는 주종으로, 2차 신호전달 물질로서 가장 주목받는다. 그 이유는 전이금속과 반응하지 않는 한 상대적으로 안정하고, 독성이 적으며, 쉽게 확산되어 세포막을 통과할 수 있기 때문에 외부자극에 반응하여 빠른 시간 내에 생성 소멸되어야 하는 신호전달 물질로 적합한 특성을 가지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항산화 활성을 가지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의 발생을 억제 또는 제거하여, 궁극적으로 신경세포의 손상을 억제하여 기억력 및 학습능력 증진 뿐 만 아니라 인지기능장애를 예방 및 치료가 가능한 조성물이다.
본 발명은 NMDA (N-methyl-D-aspartate) 리셉터와 결함하여 신경세포의 사멸을 억제함으로써 신경세포의 보호 및 손상을 억제시킨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NMDA 리셉터와 결합하여 신경세포 손상으로 인한 기억력 및 학습능력의 저하를 억제시킬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인지능력장애를 예방 및 치료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NMDA (N-methyl-D-aspartate) 리셉터의 길항제(antagonist)로 작용하여 신경세포의 손상을 억제시킴으로써 기억력 및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고 인지능력장애를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인지기능장애’는 기억처리, 지각 및 문제해결과 같은 인지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질환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인지기능장애를 예방 및/또는 치료할 수 있는 조성물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아세틸콜린스테라아제(Acetylcholinesterase)의 활성을 억제, 항산화 활성(예컨대, 활성산소종) 및 NMDA (N-methyl-D-aspartate) 리셉터와의 결합을 통하여 인지기능장애를 예방 및/또는 치료할 수 있는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의 인지기능장애는 치매(dementia), 학습장애(learning disorder), 실인증(agnosia), 건망증(amnesia), 실어증(aphasia), 실행증(apraxia) 또는 섬망(delirium)을 의미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AIDS 유발 치매(AIDS dementia complex), 빈스완거 병(Binswanger's disease), 루이소체 치매(dementia with Lewy Bodies), 전두측두엽성 치매(frontotemporal dementia), 경도 인지 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 다발성 경색성 치매(multi-infarct dementia), 픽병(Pick's disease), 의미치매(semantic dementia), 알츠하이머성 치매(Alzheimer's dementia) 또는 혈관성 치매(vascular dementia)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a) 상술한 본 발명의 청호 추출물의 약제학적 유효량; 및 (b)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약제학적 유효량”은 상술한 청호 추출물의 효능 또는 활성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약제학적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 방식으로 적용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일반적인 투여량은 성인 기준으로 0.001-100 ㎎/kg 범위 내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시럽제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산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식품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유효성분으로서 청호 추출물뿐 만 아니라,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술한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청호 추출물 이외에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두충 추출액, 대추 추출액, 감초 추출액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ⅰ) 본 발명은 청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억력 및 학습 능력 증진용 조성물 및 인지기능장애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ⅱ) 본 발명은 아세틸콜린스테라아제의 활성을 억제, 항산화 활성(예컨대, 활성산소종) 및 NMDA 리셉터와의 친화력을 통하여 신경세포, 특히 대뇌 기저부의 신경세포의 손상을 억제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ⅲ) 본 발명은 신경세포를 보호 및 손상의 예방 효과를 통하여 기억력 및 학습 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인지기능장애로 질환을 예방 및 치료 할 수 있는 효능을 발휘한다.
(ⅳ) 또한, 본 발명은 기억력 및 학습 능력의 증진 효능, 또는 인지기능장애를 예방 및 치료 효능을 가지는 청호 추출물의 의약 및 식품으로서의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청호 에탄올 추출물의 AChE를 저해시키는 효과를 나타낸 결과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청호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효과를 나타낸 결과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청호 에탄올 추출물의 NMDA 리셉터 결합 효과를 나타낸 결과이다.
도 4는 스코폴라민으로 유도된 기억력 결핍 랫트에서 수동회피 실험시 빛을 회피하여 암실로 들어가는데 까지 걸리는 시간(step-through latency, STL)에 청호 에탄올 추출물이 미치는 개선 효과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5는 방사형 8방 미로 실험에서 청호 에탄올 추출물이 스코폴라민-처리 래트의 기억력에 미치는 효과를 나타낸 그림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특정 물질의 농도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경우, 고체/고체는 (중량/중량) %, 고체/액체는 (중량/부피) %, 그리고 액체/액체는 (부피/부피) %이다.
실험재료 및 방법
실험에 사용된 청호는 제천 한방약초(http://www.jchanbang.com) 사이트에서 건조된 상태의 청호를 구입하여 블렌더 KA2610(Jworldtech, 대한민국)로 분쇄하였다. 분쇄된 청호 분말 2 kg에 80% 에탄올을 1:10 비율로 첨가하여 COSMOS-660 초고속 진공 저온 추출기(kyungseo, 대한민국)에서 끓기 시작한 시점을 기준으로 6시간 동안 95℃에서 추출하였다. 청호 추출액은 80℃에서 감압 농축하여 시험시료로 사용하였다.
AChE ( Acetylcholinesterase ) 저해활성의 측정
청호추출물의 AChE (Acetylcholinesterase) 저해활성의 측정은 Ellman 등의 방법을 변형하여 사용하였다(Ellman, G. L., et al, Biochem . Pharmacol ., 7:88-95, (1961)). AChE 저해활성은 AChE가 아세틸티오콜린(acetylthiocholine)을 가수분해할 때 생성되는 반응산물인 티오콜린(thiocholine)이 DTNB(5,5'-dithio bis(-2-nitrobenzoic acid))와 반응하여 노란색의 NTB(2-nitrobenzoic acid)를 생성하므로, 이때 생성되는 NTB를 412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관찰하였다.
즉, 500 ㎕ 큐벳(cuvette)을 반응조로 하여 0.1 M SPB(sodium phosphate buffer; pH 8.0) 445 ㎕와 시료검액 25 ㎕(최종농도 100 ㎍/㎖)를 첨가하고, 커플링제인 0.001 M DTNB 18 ㎕(Sigma Aldrich, St.Louis, MO, USA)와 기질인 0.0075 M 아세틸티오콜린 요오드 6 ㎕(Sigma Aldrich, St.Louis, MO, USA)를 넣은 후 25℃의 항온조에서 4분간 반응시켰다. 반응 즉시 효소인 아세티콜린스테아제 6 ㎕(0.072 unit(Sigma Aldrich, St.Louis, MO, USA))를 첨가하여 25℃의 항온조에서 12분 동안 반응시킨 후 412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모든 실험군은 3회 중복으로 실시하여 흡광도의 평균값을 구했으며, 청호추출물의 AChE 저해활성 효과는 청호추출물 대신 동량의 0.1 M SPB(pH 8.0)를 넣은 대조군의 흡광도 값과 청호추출물을 넣은 실험군의 흡광도 값을 이용하여 아래와 같이 계산하여 산출하였다. 한편, 양성 대조구는 100 ㎍/㎖ 농도의 타크린(Sigma Aldrich, St.Louis, MO, USA)과 에세린(Sigma Aldrich, St.Louis, MO, USA)을 사용하였다.
Figure 112011061004704-pat00001

항산화 활성의 측정
청호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은 Cayman사의 항산화 어세이 키트를 이용하여 ABTS(2,2‘-azino-di-[3-ethylbenzthiazoline silphonate])가 메트마이오글로빈(metmyoglobin)에 의해서 ABTS+로 산화되는 것을 억제하는 정도를 405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관찰하였다.
즉, 메트미오글로빈과 과산화수소를 반응시키면 페릴 마이오글로빈(ferryl myoglobin) 라디칼이 생성되는데, 이 때 생성된 페릴마이오글로빈 라디칼은 ABTS를 라디칼 양이온을 가진 ABTS+로 산화시키고 이것은 405㎚에서 녹색을 나타낸다. 청호추출물 속에 존재하는 항산화제는 전자공여 라디칼 소거에 의해 이 반응을 억제함으로써 녹색을 띄는 ABTS 라디칼 생성을 억제하고 이를 흡광도 값으로 측정하여 나타낼 수 있다. 이 때, ABTS의 산화를 억제하는 청호추출물 속 항산화제의 양은 토코페롤 유사체인 트롤록스(Trolox)와 비교하여 표기하였다.
96 웰에 청호추출물 10 ㎕와 메트마이오글로빈 10 ㎕(Cayman Chemical Company, MI, USA), 크로모겐 150 ㎕(Cayman Chemical Company, MI, USA)를 넣고 40 ㎕의 과산화수소(Cayman Chemical Company, MI, USA)를 첨가하여 반응시켰다. 뚜껑을 덮고 상온에서 5분간 반응시킨 뒤 405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모든 실험군은 3회 중복으로 실시하여 흡광도의 평균값을 구했으며, 청호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은 시료 대신 농도별로 희석된 동량의 트롤록스 표준 용액(Trolox standard solution,Cayman Chemical Company, MI, USA))을 넣어 측정한 후, 시료를 넣은 실험군의 흡광도 값과 비교하여 나타내었다.
NMDA 리셉터 친화성 테스트
NMDA 수용체의 친화력은 마우스의 대뇌에서 분리한 NMDA 수용체와 [3H]-글리신과의 결합력을 식물추출물이 저해하는 정도를 측정함으로써 알아보았다.
96 웰 플레이트에 마우스의 대뇌에서 분리한 멤브레인 180 ㎕와 농도별로 희석된 청호 추출물 10 ㎕, 300 nM [3H]-글리신((Sigma Aldrich, St.Louis, MO, USA) 10 ㎕를 넣고, 얼음 위에서 40분간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난 후, 글래스 피버 필터(glass fiber filter; 1450-421 Filtermat A)를 이용하여 셀 하베스터(MicroBeta FilterMate-96 Harvester, USA)에서 필터링 한 후 오븐에서 완전히 건조시켰다. 건조 후, 칵테일 용액을 넣고 바이크로베타 카운터(MicroBeta counter; Wallac 1450 MicroBeta counter, Perkin-Elmer, USA)를 이용하여 방사능을 측정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특이적인 결합을 계산하였다. 모든 실험군은 3회 중복으로 실시하여 평균값을 구했으며, 비-특이적인 결합의 계산을 위해서 1 mM의 D-세린을 사용하였다. 식물 추출물의 특이적인 결합과 NMDA 수용체의 친화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하여 산출하였다.
특이적인 결합 = 총 결합 - 비-특이적인 결합
Figure 112011061004704-pat00002
(* CPM : Counts per minute)
수동회피시험 및 방사형 미로 실험
청호를 대상으로 수동회피 및 미로실험 등의 동물행동학 실험을 실시하였다. 수동회피 실험의 경우 대조군, 스코폴라민(scopolamine)(3 ㎎/㎏, i.p.)을 처리한 군 및 스코폴라민 처리후 타크린(tacrine)(10 mg/kg p.o.) 및 청호 추출물을 투여한 군에 대해 전기쇼크를 주고 24시간 후 어두운 상자로 들어가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또한, 수동회피 실험을 통하여 확인된 단순기억력 증진효과와 더불어, 보다 구체적인 학습능력 향상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방사형 8방 미로장치(8-arm radial maze)를 이용하여 오류 횟수를 측정하는 획득시행 실험을 수행하였다.
통계처리
본 연구의 실험결과는 평균과 표준편차로 표시하고 유의성 검정은 시그마 플롯(Sigma Plot)을 이용하여 Student's t-테스트를 실시하였다.
결과 및 고찰
AChE ( Acetylcholinesterase ) 저해활성의 측정
아세틸콜린은 신경말단에서 분비되어 신경의 자극을 근육에 전달하는 신경전달물질로 자극의 전달이 끝나면 AChE에 의해서 콜린과 아세테이트로 분해된다.
노인성 치매로 인해 유발되는 기억력 상실 및 학습력 저하와 같은 인지기능 장애는 대뇌 기저부의 아세틸콜린성 신경세포 손상으로부터 기인된다는 가설이 가장 확실시 되고 있으며, 현재 전 세계적으로 가장 활발하게 연구, 개발되고 있으며 FDA의 허가를 받은 치매 개선제는 모두 AChE 저해제이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효소활성을 평가함으로써 AChE 저해활성이 있는 식물자원을 탐색하였다.
청호 에탄올 추출물을 대상으로 하여 전기뱀장어로부터 정제된 AChE에 대한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도 1과 같다.
한편, 청호 에탄올추출물이 양성대조구로 사용한 100 ㎍/㎖ 농도의 타크린에 비해서는 낮은 수준의 AChE 저해활성을 나타냈으며, 1 ㎎/㎖의 시료 농도에서 청호(89.44 ± 4.05 %, 80 %, 에탄올 추출물)가 80% 이상의 높은 수준의 효소 저해활성을 보여주었다. 또한 이들 시료는 모두 0.01 - 10 mg/㎖ 농도에서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효소활성을 저해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도 1).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볼 때, 청호 에탄올 추출물이 AChE 저해활성이 뛰어난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항산화 활성의 측정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은 세포의 지질, 단백질 및 DNA를 공격하여 과산화지질과 산화단백질 등을 생성하고 노화를 촉진하며, 뇌 조직에 산화적 손상과 뇌세포의 파괴를 일으켜 치매를 유발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것이 치매를 예방하고 치료하는데 매우 중요한 것으로 여겨진다.
일반적으로 활성산소종은 자동산화 반응을 통해 연쇄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에 체내에서는 항산화제가 자동산화반응 중에 생성되는 라디칼에 수소원자를 공여함으로써 이 반응을 종결시킨다.
이렇게 항산화제는 전자 전달계에서 라디칼 소거에 의해서 산화를 억제하게 되는데, 본 실험에서는 지실 에탄올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함으로써 기억력 증진에 도움을 주는 천연물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식물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은 총 항산화력을 측정하는 Cayman사의 항산화제 어세이 키트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실험결과는 도 2에 나타내었다.
항산화 활성의 측정결과, 청호추출물은 10-100 ㎍/㎖ 농도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10 ㎍/㎖ 농도에서 청호의 에탄올 추출물(Trolox 0.33 mM 이상의 효과)이 양성 대조구인 트롤록스와 비교했을 때 더 높은 수준의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항산화 활성의 측정 결과는 기억력 증진 소재 발굴을 위한 보조적인 자료로 활용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NMDA 리셉터 친화성 테스트
최근 글루타메이트 및 NMDA (N-methyl-D-aspartate) 등 각종 흥분성 아미노산에 의한 뇌세포의 손상을 방지함으로써 치매를 제어하고자 하는 연구가 주목 받고 있다.
NMDA 수용체는 신경세포에서 가장 중요한 Ca2 + 채널로 작용하여 NMDA 등 각종 NMDA 작용제(agonist)에 의해 신경세포 내로 Ca2 +의 유입을 촉진시킴으로써 신경세포의 사멸(apoptosis)을 유도한다.
따라서 식물추출물과 NMDA 수용체와의 친화력을 측정함으로써 우수한 효능을 가진 NMDA 수용체의 길항제(antagonist)를 식물 소재로부터 탐색하고자 하였다.
청호 에탄올추출물을 대상 시료로 하여 이러한 시료가 마우스의 대뇌에서 분리한 NMDA 수용체와 이 수용체의 글리신 결합 사이트에 선택적인 리간드로 알려져 있는 [3H]-글리신과의 결합을 저해하는 효과를 지표로 하여 NMDA 수용체에 대한 친화력을 탐색해 보았다.
청호추출물을 0.01, 0.1, 1 및 10 mg/㎖ 농도로 각각 희석하여 수용체에 대한 친화력을 검색한 결과는 표 3에 나타내었으며, 청호 추출물은 NMDA 수용체에 대하여 농도 의존적으로 결합하였다(도 3).
특히, 10 mg/㎖의 고농도에서 청호(62.21% 결합)는 60% 이상의 NMDA 수용체와의 결합력을 나타내었다.
수동회피시험을 이용한 청호 추출물의 기억력 개선 효과 확인
청호를 대상으로 수동회피 및 미로실험 등의 동물행동학 실험을 실시하였다. 수동회피 실험의 경우 대조군은 24시간 전에 받은 전기쇼크를 기억해 어두운 상자로 들어가는 시간이 훈련 시험(training test)과 비교하여 현저히 증가하였으나, 스코폴라민(scopolamine)(3 ㎎/㎏, i.p.)을 처리한 군은 기억력 상실로 인하여 전기충격을 잊어버리고 빠르게 어두운 상자로 이동함으로 밝은 상자에서의 체류시간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현저히 짧음이 확인되었다. 반면 스코폴라민으로 기억력 손상 후, 양성대조군으로 타크린(tacrine)(10 mg/kg p.o.)을 투여한 군에서 밝은 방에 머무르는 시간이 현저히 증가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5주간 청호 추출물을 투여한 군에서의 밝은 상자에서의 체류시간은 스코폴라민 군과 비교하여 현저히 증가하였다. 따라서 청호 에탄올 추출물이 스코폴라민으로 손상된 기억력을 회복시키는데 상당한 효과를 나타냄이 확인되었다.
방사형 미로 실험을 이용한 청호 추출물의 기억력 개선 효과 확인
수동회피 실험을 통하여 확인된 단순기억력 증진효과를 좀 더 수준이 높은 기억력(공간기력)을 검증할 수 있는 장치인 방사형 미로장치를 이용하여 청호 추출물이 학습과 기억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보다 구체적으로 조사하였다. 방사형 미로 학습에서 오류 횟수를 측정하는 획득시행 실험에서 정상군 (1.6)은 음성 대조군 (3.25)에 비해서 더 낮은 오류 횟수를 나타냈으며, 양성 대조군인 타크린 (1.75)군과 청호 모두 스코폴라민으로 단기기억을 억제시킨 군보다 오류 횟수가 감소하였다.
기억력과 인지기능의 감퇴현상은 콜린성 신경계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보고에 따르면 후시냅스(postsynapse)에 있는 muscarinic 수용체의 길항제인 스코폴라민은 전시냅스(presynapse)에서 유리되는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과 무스카린 수용체(muscarinic receptor)의 결합을 저해하여 정보전달을 하는 것을 일시적으로 차단함으로서, 학습과 기억력을 손상시키게 된다. 본 실험 결과는 아세틸콜린과 무스카린 수용체의 결합을 방해하는 스코폴라민의 작용을 억제하여 기억력과 인지기능의 감퇴현상을 최소화시키는데 영향을 준 것으로 보여 진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1)

  1. 청호(Artemisia apiaceae)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억력 및 학습 능력 증진용 조성물.
  2. 청호(Artemisia apiaceae)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기능장애(cognitive disorder)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아세틸콜린스테라아제(Acetylcholinesterase)의 활성을 억제시키는 기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항산화 활성의 기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의 발생을 억제 또는 제거하는 기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NMDA (N-methyl-D-aspartate) 리셉터의 길항제(antagonist)로 작용하는 기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기능 장애는 치매, 학습장애, 실인증, 건망증, 실어증, 실행증 또는 섬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기능장애는 AIDS 유발 치매, 빈스완거 병, 루이소체 치매, 전두측두엽성 치매, 경도 인지 장애, 다발성 경색성 치매, 픽병, 의미치매, 알츠하이머성 치매 또는 혈관성 치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청호(Artemisia apiaceae)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억력 및 학습 능력 증진용 식품 조성물.
  10. (a) 상기 제 2 항의 조성물의 치료학적 유효량; 및 (b)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인지기능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11. 청호(Artemisia apiaceae)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기능장애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20110078568A 2010-09-17 2011-08-08 청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억력 및 학습 능력 증진용 조성물 KR101317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822,714 US20130171278A1 (en) 2010-09-17 2011-09-16 Composition for promoting memory and learning ability
PCT/KR2011/006853 WO2012036506A2 (ko) 2010-09-17 2011-09-16 기억력 및 학습 능력 증진용 조성물
CN201180044377.1A CN103153323B (zh) 2010-09-17 2011-09-16 记忆力及学习能力增强用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92028 2010-09-17
KR1020100092028 2010-09-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9992A KR20120029992A (ko) 2012-03-27
KR101317320B1 true KR101317320B1 (ko) 2013-10-11

Family

ID=46134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8568A KR101317320B1 (ko) 2010-09-17 2011-08-08 청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억력 및 학습 능력 증진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73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4006B1 (ko) 2016-07-27 2018-01-02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개똥쑥 추출물을 함유하는 해마신경재생 촉진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3855B1 (ko) 2019-02-14 2020-11-27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흑임자 오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인지기능 및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
KR102564119B1 (ko) 2020-10-30 2023-08-04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달맞이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학습능력, 인지기능 및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4081A (ko) * 2003-05-01 2004-11-09 학교법인고려중앙학원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저해용 약쑥 추출물 및 이의 정제방법
KR20050101818A (ko) * 2004-04-20 2005-10-25 신준식 신경보호작용을 가지는 생약 조성물
KR20070042405A (ko) * 2005-10-18 2007-04-23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항염증 활성을 갖는 쑥으로부터 분리한 수용성 분획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4081A (ko) * 2003-05-01 2004-11-09 학교법인고려중앙학원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저해용 약쑥 추출물 및 이의 정제방법
KR20050101818A (ko) * 2004-04-20 2005-10-25 신준식 신경보호작용을 가지는 생약 조성물
KR20070042405A (ko) * 2005-10-18 2007-04-23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항염증 활성을 갖는 쑥으로부터 분리한 수용성 분획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4006B1 (ko) 2016-07-27 2018-01-02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개똥쑥 추출물을 함유하는 해마신경재생 촉진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9992A (ko) 2012-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oskabady et al. Pharmacological effects of Rosa damascena
Ghimire et al. Moringa oleifera: A tree of life as a promising medicinal plant for neurodegenerative diseases
KR101694913B1 (ko) 양파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기능 또는 기억능력 개선용 조성물
KR101317320B1 (ko) 청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억력 및 학습 능력 증진용 조성물
KR101049493B1 (ko) 정력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억력 및 학습 능력 증진용 조성물
KR101071684B1 (ko) 팔각회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억력 및 학습 능력 증진용 조성물
Nandy et al. Bacopa monnieri: The neuroprotective elixir from the East—Phytochemistry, pharmacology, and biotechnological improvement
US20190336555A1 (en) Synergistic dietary supplement compositions for improving brain health
KR101384423B1 (ko) 자소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뇌신경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조성물
KR100462788B1 (ko) 천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뇌세포 보호 및 기억력 증진용조성물
EP1039919A1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mental capabilities in mammals
US20130171278A1 (en) Composition for promoting memory and learning ability
KR102564119B1 (ko) 달맞이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학습능력, 인지기능 및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
KR101748301B1 (ko) 질경이 추출물 및 인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30138679A (ko) 홍경천 발효물을 포함하는 인지기능 장애 또는 기억력 장애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50063905A (ko) 해당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코올성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Myint et al. Screening of phytochemicals,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Blumea lacera (Burm. f.) DC. leaf and root
WO2018056575A1 (ko) 바우히니아 속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Srivastava et al. An update on the emerging neuroprotective potential of Moringa oleifera and its prospects in complimentary neurotherapy
KR102429285B1 (ko) 천마복합처방을 포함하는 뇌신경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Gomathi et al. Neuroprotective effect of Pedalium murex Linn. leaf against lipopolysaccharide induced behavioural disorders in rats
KR100631432B1 (ko) 신경세포 보호활성을 갖는 아세틸시코닌을 포함하는퇴행성 뇌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Dsouza et al. Pharmacognostical investigation of Andrographis paniculata (Green Chiretta) and crystallization of the bioactive component andrographolide
WO2012036506A2 (ko) 기억력 및 학습 능력 증진용 조성물
KR20220170316A (ko) 퇴행성 질환을 예방 및 치료하고 기억력을 높이는 뇌 세포 보호 효과를 유도하는 건강보조식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