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4119B1 - 달맞이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학습능력, 인지기능 및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달맞이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학습능력, 인지기능 및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4119B1
KR102564119B1 KR1020200142987A KR20200142987A KR102564119B1 KR 102564119 B1 KR102564119 B1 KR 102564119B1 KR 1020200142987 A KR1020200142987 A KR 1020200142987A KR 20200142987 A KR20200142987 A KR 20200142987A KR 102564119 B1 KR102564119 B1 KR 102564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evening primrose
dementia
memory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2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7884A (ko
Inventor
정진우
김철환
이영경
황병수
황용
안은정
서민정
신수영
양인준
최경민
Original Assignee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filed Critical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Priority to KR1020200142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4119B1/ko
Publication of KR20220057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78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4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41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A23L5/23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by extraction with solv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달맞이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학습능력, 인지기능 및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기능 및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은 달맞이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Description

달맞이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학습능력, 인지기능 및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IMPROVING LEARNING ABILITY, COGNITIVE FUNCTION AND MEMORY, INCLUDING EVENING PRIMROSE EXTRACT}
본 발명은 달맞이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학습능력, 인지기능 및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달맞이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면서, 인지기능 및 기억력을 개선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를 통하여 학습능력을 개선하거나 알츠하이머, 치매 등의 인지 및 기억력 장애를 예방할 수 있는 기능성 식품 등 여러 분야에 활용되도록 할 수 있다.
인간의 뇌에는 모두 1000억 개의 신경세포가 존재하며 이 들은 각 각 주위의 다른 신경세포들과 평균 1만개 정도의 시냅스(synapse)라고 하는 부위로 연결되어 서로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다. 이들 시냅스를 통하여 신경세포들 사이에 긴밀한 정보전달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 때 매개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신경전달물질(neurotransmitter)이다. 신경세포들은 신경전달물질을 방출하여 수용체(receptor)를 자극시키고 이를 통하여 서로 정보를 교환하는 것이다. 인간의 두뇌가 기억을 저장하는 방식은 바로 시냅스의 연결강도를 지속적인 화학적, 전기적 자극을 통하여 강화하는 과정으로 이를 장기강화(long - term potentiation, LPT)라고 하며 이러한 지속적 자극을 통한 시냅스간의 신경전달 네트워크가 강화되는 시냅스의 특성을 시냅스가소성(synaptic plasticity)이라고 한다.
신경전달물질에 의하여 시냅스(synapse)에서 정보 전달이 화학적으로 이루어진다는 사실은 20세기 초에 실험적으로 증명되었다. 아세틸콜린(acetylcholine, ACh), 놀에피네프린(norepinephrine), 도파민(dopamine, DA), 가바(GABA), 글라이신 및 글루타민산 등을 통하여 두뇌 신경 작용이 일어나게 된다.
한편, 노화, 스트레스 또는 외상 등에 의하여 두뇌 신경 작용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사회적 보면 스트레스가 많은 현대인의 특성, 정보 전달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사회적 특성, 고령화 인구가 증가하고 그에 따라 노인성 질환들이 증가하는 연령적 특성이 맞물리면서 다양한 사회적 원인에 의하여 특히 학습 및 기억력이 퇴화되어 발생하는 질환들이 발생하고 있다.
이는 가벼운 정도에 있어서는 불편 또는 사회 경쟁에 있어 불리한 일이 될 수 있으며, 심각한 질환으로 발전된 경우에는 환자 본인 뿐만 아니라 가족에게도 큰 고통이 되고 있다.
따라서 작게는 스트레스로 인한 건망증으로 일상생활에서 크고 작은 불편을 겪기도 하며, 심각하게는 치매나 알츠하이머와 같은 심각한 질병으로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건망증(Amnesia)은 기억장애의 하나로 잘 기억하지 못하거나 잊어버리는 정도가 심한 병적인 상태를 말하고, 순간밖에 경과하지 않았는데도 그것을 기억하지 못하고 곧 잊어버리는 것을 전진성 건망증이라고 한다. 이는 대개 열병이나 중독상태에 있는 정신착란 같은 경우에 많이 나타나며, 또한 외상을 입었거나 졸도하였거나 머리에 전기충격을 받았을 때에는 역행건망증이 일어난다. 이것은 처음에는 일단 기억해내기는 하지만, 얼마 지나서 기억을 재생하려고 하면 과거를 더듬어 한참 동안 이것저것 따져야만 생각해낼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두 가지 건망증이 함께 나타나는 일도 적지 않다. 이 밖에도 어떤 일정한 시기에만 나타나는 경우도 있으며, 어떤 사람의 경우는 그것만이 잊혀지는 부분건망증도 있다
한편 치매는 일반적으로 인간의 인지기능, 지적능력, 감정 및 행동변화 등에서 뚜렷한 손상을 나타내는 복합 임상 증후군으로서, 기억력, 주의력, 언어기능, 시공간 능력 등의 대뇌피질 기능장애가 발생하여 일상, 사회생활을 영위하는데 큰 어려움을 겪게 되는 상태이다. 치매라고 정의할 때는 기억력을 포함하여 다른 인지기능 중 한 가지 이상의 장애가 있는 경우를 말하며, 단순히 기억력만 떨어진 경우는 치매라고 하지 않는다.
치매의 원인으로는 퇴행성 뇌질환인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이나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에서부터 뇌출혈, 대사성질환인 간성뇌병증, 윌슨병(Wilson's Disease), 감염성 질환인 신경매독, 후천성면역결핍증, 알코올과 같은 약물중독, 뇌외상 등 다양한 병인이 있으며, 어떤 형태로는 중추신경계에 구조적, 기능적 이상을 초래할 수 있는 질환은 치매를 유발할 수가 있다. 그 중에서도 알츠하이머병에 의한 치매가 50 ~ 60 %로 가장 많으며, 뇌혈관 질환에 의한 치매가 그 다음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노인 중 치매 환자 수는 46만 명 정도이며, 2020년에는 70만 명, 2040년에는 200만명에 이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서울대학교병원. 치매 노인 유병률 조사. 보건복지가족부. p.132, 2008). 치매는 장기간의 치료를 요하는 점과 그 증상의 특성 때문에 생활 불편 정도가 암과 같은 다른 중증 질환보다도 심하며, 환자의 관리와 보호에 드는 신체적, 심리적, 경제적 부담 또한 크다. 노년인구의 급속한 증가속도와 치매유병률 추이로 미루어 볼 때, 치매는 사회적, 국가적 해결책이 필요한 과제임이 분명하다.
기억 인지 장애는 알츠하이머 질환자들이 처음으로 겪는 증상이며 또한 가장 흔한 증상이다. 알츠하이머병의 초기에 환자들은 최근의 대화나 일의 내용을 자세하게 기억하지 못하는 최근 기억(recent memory) 장애를 겪게 되는데, 이는 해마의 신경세포가 손상되어 최근 기억을 저장하는 기능이 떨어진 데에서 기인한다. 하지만 이 시기에는 먼 과거에 있었던 사건들에 대한 과거 기억(remote long-term memory)은 상대적으로 잘 유지된다. 그러나 병이 점차 진행됨에 따라 장기기억의 저장과 관련된 대뇌피질이 손상되면서 이러한 과거의 기억도 점차 장애를 보이게 된다.
이러한 알츠하이머병의 증상은 베타-아밀로이드(β-amyloid)의 침착에 의한 세포독성뿐만 아니라 콜린신경계통의 시냅스 장애와도 관련이 깊다(PM et el., Interactions between the amyloid and cholinergic mechanisms in Alzheimer's disease. Neurochem Int., 53 : pp. 103-111, 2008). 콜린신경계통의 기능장애는 알츠하이머질환자의 기억과 인지 기능 장애에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뇌의 Meynert 기저핵(basal nucleus of Meynert) 콜린성 뉴런은 측두엽, 해마 그리고 편도체(amygdala)와 연관되어 기억과 인지 기능에 관계하게 되는데, 알츠하이머 질환자의 뇌에서는 측두엽에서 78%, 해마에서 60%, Meynert 기저핵에서는 67%까지 신경세포가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뇌세포가 세포독성에 의해 손상을 입게 되면 어떠한 정보의 전달, 즉 신경전달물질의 대사에 장애가 있게 되며 이것이 기억인지장애를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이미 많은 연구자들이 알츠하이머병에서 아세틸콜린(acetylcholine)과 이의 합성에 관계되는 효소(choline acetyltransferase)의 선택적인 감소를 꾸준히 보고하여 왔다. 더구나,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뇌에서는 정상적인 사람의 뇌기능에 비해 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nicotinic acetylcholine receptor), 무스카린성 아세틸콜린 수용체(muscarinic acetylcholine receptor)의 감소뿐만 아니라 콜린의 재흡수와 아세틸콜린의 분비 기능 또한 저하되어 있다.
이러한 콜린신경계통의 장애를 반전시키기 위해 여러 가지 콜린성 약물이 개발되었으나, 그 중 현재까지 가장 효과적이고 많이 쓰이고 있는 것은 아세틸콜린분해효소 억제제(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 AchEI)이다.
현재 FDA의 승인을 얻어 시판되고 있는 것은 도네페질(donepezil), 리바스티그민(rivastigmine), 갈란타민(galanthamine)이 있으며, 이들 약물은 시냅스 틈에서 아세틸콜린의 분해를 억제하여 농도를 높여 줌으로써 치료효과를 나타낸다. 이들 약물은 초반에는 인지 기능이나 일상생활의 호전을 보이나 9개월에서 1년 정도 지나면 투여 이전 상태로 돌아간다는 점에서 병의 진행을 근본적으로 막지는 못한다. 비교적 조기에 사용해야 효과를 볼 수 있으며, 중증 치매의 경우에는 효과가 미약하다. 공통적인 부작용으로 아세틸콜린의 증가로 인한 오심, 설사, 식욕감퇴, 현기증, 근육 경련, 수면 장애 등이 나타나고, 심각한 부작용으로는 실신을 동반하는 서맥이 있다. 이외에도 신경세포의 손상을 억제하는 메만틴(memantine; NMDA 수용체 차단제), 신경세포 보호효과가 있는 은행잎 추출물 (ginko biloba), 중국 한약재에서 추출한 후페르진(huperzine A; 가역적 AChEI) 등이 있으며, 타우 단백,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의 형성, 침착 억제, 항산화, 항염증효과 등 알츠하이머병의 병리기전과 연관하여 다양한 치료제 개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장기간 복용하여도 부작용 등의 문제가 없는 천연물이 각광을 받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천연물은 섭취가 편리하고, 부작용의 문제가 없다는 장점을 가지지만 인지기능 및 기억력 개선 등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하는 천연물은 상당히 제한적이라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기억력 및 인지기능을 향상에 관련된 인자 등을 활성화시키는 기능들을 탐색하고, 이로부터 선정된 천연식물 소재들을 이용하여 기억력 및 인지기능장애를 치료 및 예방할 수 있는 물질과 이에 대한 제조방법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KR 10-1049493 B1 KR 10-2012-0029992 A
본 발명의 목적은 천연물을 기반으로 한 기억력 및 인지기능 개선효과를 가지는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통하여 부작용의 문제없이 장기간 사용하면서 상기 기억력 및 인지기능 개선효과를 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달맞이 꽃 추출물이 포함된 인지기능 및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조성물을 통하여 우수한 인지기능 및 기억력 개선활성을 나타낼 수 있고, 이를 통하여 건망증, 치매 등의 예방 활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 학습능력을 증진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조성물을 포하면서 학습능력 증진용, 기억력 개선 또는 치매 예방 등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식품 또는 기능성 식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상기 식품을 통하여 다양한 제형으로 제공되도록 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기능 및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은 달맞이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10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용매로 추출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달맞이 추출물은 달맞이 꽃의 꽃; 달맞이 꽃의 잎; 달맞이 꽃의 줄기; 달맞이 꽃의 뿌리; 달맞이 꽃의 종자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추출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억력 및 인지기능 개선용 식품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기능장애 예방 또는 개선용 기능성 식품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인지기능장애는 치매, 학습장애, 실인증, 건망증, 실어증, 실행증, 섬망, AIDS 유발 치매, 빈스완거 병, 루이소체 치매, 전두측두엽성 치매, 경도 인지 장애, 다발성 경색성 치매, 픽병, 의미치매, 알츠하이머성 치매 또는 혈관성 치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기능 및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은 달맞이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달맞이꽃은 첫 해에는 원줄기 없이 뿌리잎이 방석처럼 자라다가 겨울을 지내고 다음 해에 줄기를 만들어 곧추 자라 꽃피는 두해살이풀을 말한다. 이는 전체에 짧은 털이 나고 줄기에 잎은 어긋나며 꽃은 황색이고 여름에 잎겨드랑이에 1개씩 밤에 펴서 다음 날 아침에 진다. 또한 꽃의 직경은 5cm 내외이며 4장의 꽃받침, 4장의 꽃잎, 8개의 수술, 그리고 1개의 암술이 있다. 열매는 윗부분이 벌어져 수백 개의 종자가 나온다. 큰달맞이꽃과 애기달맞이꽃 등이 같은 속에 속한다. 정원에 심기는 낮달맞이꽃은 낮에 꽃 핀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당업계에서 조추출물(crude extract)로 통용되는 의미를 갖지만, 광의적으로는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분획(fractionation)한 분획물도 포함한다. 즉, 초석잠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수득한 것뿐만 아니라, 여기에 정제과정을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얻은 것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추출물을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통과시켜 얻은 분획,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초석잠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유효성분"이란 단독으로 목적하는 활성을 나타내거나 또는 그 자체는 활성이 없는 담체와 함께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성분을 의미한다.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10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용매로 추출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용매는 에탄올 또는 주정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용매범위에 의하는 경우 기억력 및 인지기능 활성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수득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상기 달맞이 추출물은 달맞이 꽃의 꽃; 달맞이 꽃의 잎; 달맞이 꽃의 줄기; 달맞이 꽃의 뿌리; 달맞이 꽃의 종자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추출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달맞이 꽃 추출물은 상기 달맞이 꽃의 꽃; 달맞이 꽃의 잎 및 달맞이 꽃의 줄기의 혼합물을 추출한 것일 수 있다. 상기 혼합물에 대한 추출로 제조된 추출물에 의하는 경우 각 추출물의 개별적인 활성에 비하여 보다 우수한 상승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즉 달맞이 꽃의 지상부의 경우 각 부위의 단독 추출물에 비하여 기억력 및 인지기능개선에 보다 우수한 활성을 나타낸다. 이는 달맞이 꽃의 각 부위별로 포함되어 있는 유효활성 성분의 차이 및 그 상호작용에 기인한 결과로 평가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달맞이 꽃 추출물은 상기 달맞이 꽃의 꽃 추출물을 포함하고 상기 달맞이 꽃의 꽃 100 중량부에 대하여 달맞이 꽃의 잎 60 내지 100 중량부 및 달맞이 꽃의 줄기 40 내지 80 중량부를 혼합하여 추출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각 부위에 포함된 활성성분의 상호 작용에 의한 상승효과로서, 보다 적은 함량으로 높은 기억력 및 인지기능 개선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세포독성 또는 장기간 사용에 따른 부작용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원지 추출물, 곰피 추출물, 방풍나무 추출물 및 차즈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상호작용에 의한 상승효과로 기억력 및 인지기능 개선 활성이 높아질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기억력 및 인지기능 개선용 조성물은 상기 달맞이 꽃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곰피 추출물 1 내지 5 중량부, 방풍나물 10 내지 20 중량부 및 차즈기 추출물 1 내 5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기억력 및 인지기능개선 활성이 우수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일정한 범위로 달맞이 꽃 지상부가 조합된 추출물에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추가적은 상승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보다 적은 함량으로 우수한 인지기능 및 기억력 개선효과와 함께 인지기능 장애에 대한 예방 및 개선효과가 나타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억력 및 인지기능 개선용 식품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식품은 일반 식품, 가공식품,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식품을 포함하는 것으로 하며, 예시적으로 상기 식품에 대한 제형으로는 음료, 차, 정제, 육류가공식품, 스낵, 인스턴트식품 등으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인지기능 또는 기억능력을 개선하거나 허혈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 허혈 재관류 손상의 예방 또는 개선시키기 위해 섭취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식품첨가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또는 개선)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의 종류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식품, 특히 기능성 식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은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및 조미제를 포함한다. 예컨대,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유효성분 이외에 천연 탄수화물 또는 향미제를 추가 성분으로서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모노사카라이드(예컨대, 글루코오스, 프럭토오스 등), 디사카라이드(예컨대, 말토스, 수크로오스 등), 올리고당, 폴리사카라이드(예컨대,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 또는 당알코올(예컨대,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쓰리톨 등)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향미제는 천연 향미제(예컨대,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등)와 합성 향미제(예컨대,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이외에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더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기능장애 예방 또는 개선용 기능성 식품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인지기능장애는 치매, 학습장애, 실인증, 건망증, 실어증, 실행증, 섬망, AIDS 유발 치매, 빈스완거 병, 루이소체 치매, 전두측두엽성 치매, 경도 인지 장애, 다발성 경색성 치매, 픽병, 의미치매, 알츠하이머성 치매 또는 혈관성 치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천연물을 기반으로 한 기억력 및 인지기능 개선효과를 가지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를 통하여 부작용의 문제없이 장기간 사용하면서 상기 기억력 및 인지기능 개선효과를 낼 수 있다.
본 발명은 달맞이 꽃 추출물이 포함된 인지기능 및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을 통하여 우수한 인지기능 및 기억력 개선활성을 나타낼 수 있고, 이를 통하여 건망증, 치매 등의 예방 활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 학습능력을 증진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포하면서 학습능력 증진용, 기억력 개선 또는 치매 예방 등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식품 또는 기능성 식품을 제공한다. 특히 상기 식품을 통하여 다양한 제형으로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인지기능 및 기억력 개선은 단순히 인지기능 (cognitive function) 및 기억력의 둔화가 회복되거나 보다 개선되는 의미뿐만 아니라. 뇌 신경질환에 의하여 발생한 인지기능 및 기억력 저하의 현상이 예방 또는 개선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뇌 신경질환 예방 및 개선용 의약품은 상기 실크 유래 펩타이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실크 유래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상기 뇌 신경질환은 치매, 헌팅톤 질병, 파킨슨씨 질병 및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 등과 같은 신경 퇴행성 질환, 허혈성 뇌졸중 등과 같은 허혈 또는 재관류에 의한 질환, 우울증, 정신분열증 및 심적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와 같은 정신 질환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타아밀로이드 모델에서 세포 생존율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타아밀로이드 모델에서 LDH 발현 평가에 대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타아밀로이드 모델에서 활성산소종 변화에 대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타아밀로이드 모델에서 활성산소종 변화에 대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타아밀로이드 모델에서 환원된 GSH(reduced glutathione) 변화에 대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타아밀로이드 모델에서 산화 스트레스에 의한 세포내 활성산화종 변화에 대한 것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포 보호 활성에 관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포 보호 활성에 관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포 보호 활성에 관한 것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포 보호 활성에 관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토콘드리아 탈분극 및 막 전위 측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조예 1: 추출물의 제조]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채집한 달맞이꽃을 물로 씻은 후 실온에서 공기로 건조하였다. 달맞이 꽃을 꽃; 잎; 줄기; 뿌리; 종자로 분류하여 선별한 뒤 각각 분쇄하여 분말을 얻었다. 상기 각 분말을 에탄올과 혼합하여 추출한 뒤 필터 여과 및 진공농축하여 용매가 제거된 추출물로서, 달맞이 꽃에 대하여 각각 꽃 추출물(AE); 잎 추출물(BE); 줄기추출물(CE); 뿌리 추출물(DE) 및 종자추출물(EE)를 분말 형태로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분말은 디메틸설폭사이드 (dimethyl sulfoxide, DMSO)에 녹여 100 mg/ml의 원액 (stock solution)을 제조한 후 4℃에서 보관하였다. 원액은 생리식염수를 사용하여 원하는 농도로 희석시켜 실험을 진행하였다.
또한 상기 각 부위별 추출물의 혼합에 의한 상승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의 [표 1]과 같은 조성으로 달맞이 꽃의 각 부위를 혼합 및 추출하여 혼합추출물 AP0A 내지 AP0G을 제조하였다.
APOA APOB APOC APOD APOE APOF APOG
AE 100 100 100 100 100 100 100
BE 40 60 80 100 120 80 80
CE 20 40 60 80 100 60 60
DE - - - - - 80 -
EE - - - - - - 80
(단위: 중량부)
[실험예 1: 인지능력 및 기억력 개선 평가 실험]
1. 베타아밀로이드로 유도된 신경세포 독성 보호 효과
제조예에 따른 각 추출물이 알츠하이머형 치매의 원인 물질로 알려진 베타아밀로이드에 의한 신경세포 독성 및 사멸을 억제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기존문헌에 기재된 방법을 응용하여 베타아밀로이드를 처리하는 베타아밀로이드 모델로 적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하였다(Jang JH et al., Ergothioneine rescues PC12 cells from beta-amyloid-induced apoptotic death, Free Radic. Biol. Med., 36(3), pp.288-299, 2004).
2. 세포 생존율 평가
세포 생존율을 분석하기 위해 처리된 인간신경세포(SH-SY5Y)를 6-웰 플레이트(6-well plate)에 3 x 105 cells/ml로 접종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상기 AE 내지 EE 및 AP0A 내지 AP0G를 20, 40, 80 μg/ml 농도로 처리한 뒤 24시간동안 배양하였다. 그 결과 각 실시예가 모든 실시예에서 상기 농도 범위에 의하는 경우 세포 생존율에 영향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하의 실험에서는 상기 세포 생존율에 영향이 없는 범위에서 각 실시예의 농도를 조절하여 그 활성을 평가하였다.
3. 신경세포 독성 억제활성 평가
APOB에 의한 베타아밀로이드에 의한 독성의 억제 활성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APOB의 투여하고 신경세포사멸을 유도하는 물질인 베타 아밀로이드(β-amyloid)를 처리해 배양한 후, MTT 시험법을 이용하여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의 도 1을 참조하면, APOB를 처리한 경우 농도 의존적으로 베타아밀로이드에 대한 독성을 억제함으로서 세포 생존율이 향상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하여 APOB를 처리한 경우 농도 의존적으로 베타아밀로이드에 의한 독성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하여 APOB에 의하는 경우 알츠하이머형 치매 질환에 대한 개선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각 부위별, 혼합구성별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AE 내지 EE 및 AP0A 내지 AP0G를 사용하여 동일한 발법으로 베타아밀로이드의 독성에 대한 억제활성을 평가하였다. 객관적인 비교를 위하여 농도를 동일하게 유지하고 상기 APOB의 결과와 비교하여 1 내지 14의 지수로 표현하여 하기의 [표 2]에 나타내었다. 상기 지수를 그 숫자가 높을수록 인지장애질환에 대한 개선활성이 우수한 것이다.
AE BE CE DE EE APOA APOB APOC APOD APOE APOF APOG
2 2 2 1 1 3 7 8 7 3 1 1
(단위: 지수)
상기 [표 2]를 참조하는 경우, 달맞이 꽃의 각 개별 부위에 대한 추출물 보다는 그 지상부(꽃, 잎, 줄기)의 혼합추출물에 의하는 경우 베타아밀로이드의 독성에 대한 억제활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특히 APOB 내지 APOD에 의하는 경우 그 개선활성이 매우 뛰어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4. 라디칼 소거능에 대한 평가
베타아밀로이드에 의하여 유도된 산화 스트레스에 대하여 APOB를 통한 라디칼 소거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베타아미로이드 및 APOB 처리하여 산화 스트레스에 의한 세포 내 활성산소종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말론디알데하이드(MDA)을 측정하기 위하여 TBARS법을 사용하였다.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SOD)의 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SOD Assay Kit를 사용하였고, 글루타티온 퍼옥시다제(GPx)의 활성도는 Glutathione peroxidas cellular Activity Assay Kit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의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3 내지 5를 참조하면, APOB은 베타아밀로이드가 처리된 환경에서 산화 스트레스를 농도 유의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산화 스트레스에 의한 세포 내 활성산소종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활성산소종과 결합하면 탈아세틸화되어 형광을 띄는 dichlorodihydro-fluorescein diacetate (DCF-DA)를 사용하여 세포내 활성산소종의 발생 정도를 측정하였다. 하기의 도 6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APOB은 베타아밀로이드에 의하여 유도된 산화 스트레스가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AE 내지 EE 및 AP0A 내지 AP0G를 사용하여 동일한 발법으로 베타아밀로이드에 의하여 유도된 산화 스트레스에 대한 억제 활성을 평가하였다. 객관적인 비교를 위하여 동일한 농도에서 종합적으로 평가하면서 상기 APOB의 결과와 비교하여 1 내지 10의 지수로 하기의 [표 3]에 나타내었다. 상기 지수를 그 숫자가 높을수록 산화 스트레스에 대한 억제 활성이 우수한 것이다.
AE BE CE DE EE APOA APOB APOC APOD APOE APOF APOG
3 2 3 1 2 4 7 8 8 3 2 1
(단위: 지수)
상기 [표 3]을 참조하는 경우, 달맞이 꽃의 각 개별 부위에 대한 추출물 보다는 그 지상부(꽃, 잎, 줄기)의 혼합추출물에 의하는 경우 베타아밀로이드에 의하여 산화 스트레스에 대한 억제 활성에 대한 향상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APOB 내지 APOD에 의하는 경우 그 개선활성이 매우 뛰어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5. 아포토시스 세포 사멸
세포 아포토시스는 유세포 분석법 (BD, Mountain View, USA)을 통하여 진행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의 도 9에 나타내었다. 하기의 도 7 내지 10을 참조하면, 베타아밀로이드 모델에서 APOB을 처리한 경우 신경 세포 사멸이 방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결국, 상기 APOB는 인간신경세포(SH-SY5Y)에서 외부 산화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활성을 가지게 하고, 미토콘드리아 손상 및 세포 사멸을 억제하여 미토콘드라아 의존성 아포토시스(Apoptosis) 경로를 억제하여 허혈성 뇌질환에 대한 개선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AE 내지 EE 및 AP0A 내지 AP0G를 사용하여 동일한 미토콘드리아 손상 및 세포 사멸을 억제 활성을 평가하였다. 객관적인 비교를 위하여 농도를 동일하게 유지하고 상기 APOB의 결과와 비교하여 1 내지 14의 지수로 하기의 [표 4]에 나타내었다. 상기 지수를 그 숫자가 높을수록 미토콘드리아 손상 및 세포 사멸을 억제 효과가 우수한 것이다.
AE BE CE DE EE APOA APOB APOC APOD APOE APOF APOG
2 2 1 1 1 3 7 7 7 3 1 1
(단위: 지수)
상기 [표 4]를 참조하는 경우, 달맞이 꽃의 각 개별 부위에 대한 추출물 보다는 그 지상부(꽃, 잎, 줄기)의 혼합추출물에 의하는 경우 미토콘드리아 손상 및 세포 사멸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APOB 내지 APOD에 의하는 경우 그 개선활성이 매우 뛰어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6. 미토콘드리아 탈분극 및 막 전위 측정
외부 유해자극에 의한 활성산소종의 생성은 대부분 미토콘드리아 손상에 따른 전자전달계 기능 이상과 미토콘드리아 막의 파괴에 따른 활성산소종의 세포질로의 유출 등이 그 주된 기전으로 생각되고 있다. 미토콘드리아 탈분극의 정도와 양이온 성 염료 JC-1을 사용하여 형광 현미경(Olympus, Tokyo, Japan) 하에서 상용 키트(Beyotime)를 사용하여 베타아밀로이드 모델에서 APOB 처리에 따른 세포상 MMP 손실을 평가하였다. 도 11을 참조하면, 베타아미로이드 노출 후, MMP 소실이 유도되었지만, APOB를 처리한 경우 MMP를 유의하게 안정화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7. 동물실험
(1) 실험동물
1 주간의 순응 후 마우스를 무작위로 하기 6개군으로 10마리씩 나누었다. 본 발명에서 타크린 투여군은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정상대조군의 경우, 28일간 생리 식염수를 경구 투여하였다. 28일의 식이요법 후 모든 군에 대하여 일시적인 치매 상태를 유발하는 scopolamine (5 mg/kg)을 복강 주사한 뒤 24시간 후 마우스를 희생시켰다.
(2) 수중미로 실험(Morris Water Maze Test)
본 발명의 실험을 위하여 원형풀에 일정한 깊이의 물을 채웠다. 마우스는 5일 연속 수중 미로에서 숨겨진 플랫폼을 발견하도록 훈련하였다. 먼저 숨겨진 플랫폼을 찾기 위해 90 초를 주었으며, 90 초 동안 플랫폼을 찾지 못하면 마우스를 15 초 동안 두었다. 30 초 후에 탈출 대기 시간 (잠수 플랫 폼 찾기)을 기록하였으며, 모든 마우스가 90 초 이내에 플랫폼을 발견하면 실험이 완료되었다. 실험은 3 일 동안 동일한 시험 방법을 사용하여 수행되었으며 탈출 대기 시간이 기록되었다.
(3) Y-미로 실험(Y-maze test)
상기 수중미로와 동일한 양성대조군 및 정상대조군을 사용하면서 Y-미로 장치는 검은 아크릴 판으로 제작한 Y자 모양의 사방이 막힌 미로로 구성이 되어 있으며 각 가지는 서로 120°의 일정한 각도로 배치되어 있다. 각각의 가지를 A, B, C 지역으로 정한 후 하나의 가지에 실험동물을 조심스럽게 놓고, 8분 동안 자유롭게 Y-미로를 움직이도록 한 다음 실험동물이 들어간 각 가지를 천정에 설치한 카메라를 통해 컴퓨터 프로그램(Ethovision 3.1, Noduls, 네덜란드)으로 관찰하여 기록하였다. 각 가지에 들어간 횟수 및 순서를 측정하여 자발적 변경율(spontaneous alteration(%))을 평가하였다. 변경(alteration)은 3개의 다른 가지에 순차적으로 들어가는 경우 1점으로 인정하였다. 연속으로 들어가지 않을 경우 점수로 인정하지 않았다. 따라서 % 변경율 = [총 변경 수] / [가지에 들어간 총 횟수 - 2] x 100로 계산하였다.
(4) 조합 평가
하기의 도 12 및 13을 참조하면 수중미로 실험 및 Y-미로 실험를 진행한 결과, APOB가 스코폴라민에 의한 공간 기억 능력이 보호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AE 내지 EE 및 AP0A 내지 AP0G를 사용하여 상술한 방법과 동일하게 수중미로 실험(Morris Water Maze Test)을 진행하였다. 객관적인 비교를 위하여 농도를 동일하게 유지하고 상기 APOB의 결과와 비교하면서 1 내지 14의 지수로 하기의 [표 5]에 나타내었다. 상기 지수를 그 숫자가 높을수록 기억력 개선효과가 우수한 것이다.
AE BE CE DE EE APOA APOB APOC APOD APOE APOF APOG
3 1 1 1 1 3 7 9 8 4 1 1
(단위: 지수)
상기 [표 5]를 참조하는 경우, 달맞이 꽃의 각 개별 부위에 대한 추출물 보다는 그 지상부(꽃, 잎, 줄기)의 혼합추출물에 의하는 경우 항치매 활성이 우수하다는 점을 알 수 있다. 특히 APOB 내지 APOD에 의하는 경우 그 개선활성이 매우 뛰어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제조예 2: 혼합 추출물의 제조]
열수추출법으로 곰피 추출물(SGP), 방풍나무 추출물(SDS), 차즈기 추출물(SPF), 원지 추출물(SPT)을 제조하고 각 추출물을 하기의 [표 6]과 같은 조성에 따라 혼합 조성을 제조하였다.
M1 M2 M3 M4 M5 M6
APOB 100 100 100 100 100 100
SGP 0.1 1 3 5 10 -
SDS 1 10 15 20 40 -
SPF 0.1 1 3 5 10 -
SPT - - - - - 20
(단위: 중량부)
[실험예 2: 기억력 및 인지기능 개선 효과 실험]
1. DPPH radical 분석
생체에서 산화적 스트레스와 관련되어 있는 DPPH, superoxide anion과 같은 활성산소종에 대한 분석을 위하여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을 이용하여 APOB 및 M1 내지 M6의 radical 소거능력을 측정하였다. APOB 및 M1 내지 M6에 DPPH 용액을 가하여 반응시킨 후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DPPH radical 함량은 시료 첨가군과 대조군의 흡광도 비를 %값으로 환산하여 [표 7]에 나타내었다.
APOB M1 M2 M3 M4 M5 M6
DPPH radical(%) 62 67 57 48 52 61 49
2. 환원력 분석
Superoxide anion 라디칼 소거능은 Fridovich법에 따라 진행하였다. 시료 1 ml에 pH 6.6의 200 mM 인산 완충액 및 potassium ferricyanide를 각각 1 ml씩 차례로 가하여 반응시켰다. 여기에 10% TCA (trichloroacetic acid)용액을 상등액에 증류수 및 ferric chloride 혼합한 후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APOB 및 M1 내지 M6은 대조군의 값을 기준으로 흡광도 비를 %값으로 환산하여 하기의 [표 8]에 나타내었다.
APOB M1 M2 M3 M4 M5 M6
Superoxide anion(%) 217 227 287 321 278 206 276
3. Hydroxyl radical에 의한 DNA 손상 분석
Genomic DNA는 약간 변형된 표준 과정에 따라 PC12 세포로부터 추출하였다. DNA 용액에 APOB 및 M1 내지 M6와 200 μM FeSO4, 1 mM H2O2 및 50 μg/ml genomic DNA를 첨가하였다. 반응 종결 후 전기영동 하였다. 염색하여 후 UV로 LAS3000 image analyzer를 이용하여 관찰하였고, 무처리군을 기준으로 그 결과를 %화 하여 하기의 [표 9]에 나타내었고, 그 % 수치가 낮을수록 우수한 것이다.
APOB M1 M2 M3 M4 M5 M6
DNA oxidation(%) 79 81 63 58 64 78 61
4. ACE (Angiotensin I Converting Enzyme) 활성 측정
ACE 활성은 APOB 및 M1 내지 M6에 각각 붕산나트륨 완충액(pH 8.3)과 ACE 조효소액 가하여 예비반응을 진행한 후 시킨 후, HHL(hippuryl-histidyl-leucine)을 첨가하여 만든 기질을 가하여 반응하였다. 한편, ACE 조효소액은 sodium borate buffer (pH 8.3)에 rabbit lung acetone powder을 추출한 다음 원심분리하여 제조하였다. 반응 후 채취한 상등액을 건조 및 증류수를 혼합하고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음성대조군으로는 증류수를 사용하였으며, 무처리군을 기준(100%)으로 시료 첨가 전후의 흡광도 비를 %값으로 환산하여 하기의 [표 10]에 나타내었다.
APOB M1 M2 M3 M4 M5 M6
ACE inhibition(%) 200 207 214 224 219 195 227
5. AChE (Acetylcholine esterase) 활성측정
PC12 세포로부터 분리한 AchE (25 mU/ml) 50μl를 반응효소로, 0.1 M의 인산나트륨 완충액(pH 7.8)에 녹인 아세틸콜린 요오드화물을 기질로 하였고, 발색 시약은 5,5'-dithiobis-2-nitrobenzoic acid 및 탄산수소나트륨을 0.1 M 인산나트륨 완충액(pH 7.0) 10 ml에 용해하여 제조하였다. 반응 후, 분광광도계로 412 nm에서 흡광도 값을 측정하였다. AChE의 활성은 무처리군을 기준(100%)으로 APOB 및 M1 내지 M6의 첨가 전후의 흡광도 비를 %값으로 환산하여 하기의 [표 11]에 나타내었다.
APOB M1 M2 M3 M4 M5 M6
AChE activity(%) 69 70 64 64 67 76 63
6. C12세포에서 NF-κB 전사활성에 대한 시험
PC12 cells을 배양하면서 NF-κB promoter-luciferase construct를 이용하여 NF-κB의 전사 활성을 평가하여 APOB 및 M1 내지 M6에 대한 C12세포에서 NF-κB 전사활성에 대한 영향을 비교하였다. APOB의 결과를 10으로 하고, M1 내지 M6의 결과를 지수로 평가하여 [표 12]에 나타내었다. 상기 지수가 높을수록 NF-κB의 전사 활성이 우수한 것이다.
APOB M1 M2 M3 M4 M5 M6
Relative luciferase activity 10 9 13 15 12 10 15
결국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활성산소종의 제거, DNA 손상에 대한 항산화, ACE(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효소 저해활성, AChE(acetylcholine esterase) 저해 활성, NO(Nitric oxide) 생성 억제활성, NF-κB 전사활성 증가효과가 나타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M2 내지 M4의 혼합조성과 M6에 의하는 경우 일정한 상승효과가 나타나는 점을 알 수 있다.
7. 수중미로 실험
공간기억력 증진여부에 관한 평가로,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중미로 실험(Morris Water Maze Test)을 진행하였다. 한편 객관적인 비교를 위하여 APOB의 결과를 7로 고정하고 M1 내지 M10의 기억력 개선효과를 1 내지 14의 지수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의 [표 13]에 나타내었다. 한편 상기 지수는 그 숫자가 높을수록 효과가 우수한 것이다.
APOB M1 M2 M3 M4 M5 M6
Morris Water Maze Test 7 5 11 12 12 6 10
(단위: 지수)
상기 [표 13]을 참조하면, M2 내지 M4에 따른 혼합조성에 의하는 경우 기억력 개선에 대한 추가적인 상승효과가 나타나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각 유효성분의 상호작용에 의한 상승효과가 도출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또한 M6의 경우에도 추가적인 상승작용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APOB에서 도출되는 인지 및 기억력 상승효과를 나타내는 활성은 원지 추출물과 상이하며, 원지 추출물과 상호작용에 의한 상승효과도 나타내는 것이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상기 달맞이 꽃 추출물 또는 달맞이 꽃의 지상부 추출물에 대한 혼합구성을 기초로, 기억력 및 두뇌 인지기능 개선을 위한 효과를 낼 수 있는 다양한 제품에 적용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6)

  1. 달맞이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달맞이꽃은 달맞이꽃의 꽃 100 중량부에 대하여, 달맞이꽃의 잎 60 내지 100 중량부 및 달맞이꽃의 줄기 40 내지 80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달맞이꽃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곰피 추출물 1 내지 5 중량부, 방풍나물 추출물 10 내지 20 중량부 및 차즈기 추출물 1 내지 5 중량부로 포함하는
    인지기능 및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10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용매로 추출된 것인
    인지기능 및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
  3. 삭제
  4. 제 1항 및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기억력 및 인지기능 개선용 식품.
  5. 제 1항 및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인지기능장애 예방 또는 개선용 기능성 식품.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기능장애는 치매, 학습장애, 실인증, 건망증, 실어증, 실행증, 섬망, AIDS 유발 치매, 빈스완거 병, 루이소체 치매, 전두측두엽성 치매, 경도 인지 장애, 다발성 경색성 치매, 픽병, 의미치매, 알츠하이머성 치매 또는 혈관성 치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기능성 식품.
KR1020200142987A 2020-10-30 2020-10-30 달맞이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학습능력, 인지기능 및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 KR102564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2987A KR102564119B1 (ko) 2020-10-30 2020-10-30 달맞이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학습능력, 인지기능 및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2987A KR102564119B1 (ko) 2020-10-30 2020-10-30 달맞이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학습능력, 인지기능 및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7884A KR20220057884A (ko) 2022-05-09
KR102564119B1 true KR102564119B1 (ko) 2023-08-04

Family

ID=81582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2987A KR102564119B1 (ko) 2020-10-30 2020-10-30 달맞이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학습능력, 인지기능 및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41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4360B1 (ko) * 2020-11-27 2023-05-22 경상북도(경상북도산림환경연구원) 달맞이꽃 추출물을 이용한 기억력 및 인지기능 개선용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41437A (ja) 2013-01-24 2014-08-07 Oriza Yuka Kk 学習記憶改善剤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7320B1 (ko) 2010-09-17 2013-10-11 한국식품연구원 청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억력 및 학습 능력 증진용 조성물
KR101049493B1 (ko) 2010-09-17 2011-07-15 한국식품연구원 정력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억력 및 학습 능력 증진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41437A (ja) 2013-01-24 2014-08-07 Oriza Yuka Kk 学習記憶改善剤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Granica et al., Chemical Composition,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Extracts Prepared from Aerial Parts of Oenothera biennis L. and Oenothera paradoxa Hudziok Obtained after Seeds Cultivation. J. Agric. Food Chem. 2013, Vol. 61, pp. 801-810 1부.*
Lee et al., In vitro assessment of selected Korean plants for antioxidant and antiacetylcholinesterase activities. PHARMACEUTICAL BIOLOGY. 2017, Vol. 55, No. 1, pp. 2205-2210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7884A (ko) 2022-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6818B1 (ko) 기억력 개선, 인지기능장애 및 뇌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64119B1 (ko) 달맞이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학습능력, 인지기능 및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
KR102011033B1 (ko) 성분 함량이 변화된 녹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지기능 개선용 조성물
US11071765B2 (en) Herbal compositions comprising extracts of Bacopa monnieri and Terminada chebula
KR20180041887A (ko) 고욤잎 및 포도송이 가지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071684B1 (ko) 팔각회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억력 및 학습 능력 증진용 조성물
KR101715342B1 (ko)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그령속 추출물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및 식품 조성물
EP3632418A1 (en) Brain-dysfunction preventing and/or improving composition containing lutein or salt thereof and processed product of plant belonging to genust
US10799551B2 (en) Composition for enhancing cognitive function comprising green tea extract which has modified amounts of ingredients
KR101916603B1 (ko) 무청 추출물을 포함하는 뇌신경 질환의 예방,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280421B1 (ko) 미나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학습능력 또는 기억력 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20130171278A1 (en) Composition for promoting memory and learning ability
KR102304605B1 (ko) 이팝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억력 개선, 인지능력 개선, 치매 예방, 지연,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10004691A (ko) 뇌기능 개선효과를 가지는 붉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 및 건강식품조성물
KR102466377B1 (ko) 꽃양귀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안구건조증 또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314680B1 (ko) 복분자 파우더를 함유한 화장품 조성물
WO2014038878A2 (ko) 머스크랫의 사향을 함유하는 뇌신경세포 보호 및 뇌질환 예방, 완화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80045B1 (ko) 연자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뇌신경세포 보호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20180032251A (ko) 바우히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Ruth Christiya et al. Screening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in vitro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Delonix elata L. leaf extracts.
KR20220160170A (ko) 세이지 추출물 및 서양고추나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억력, 인지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1699261B1 (ko) 상황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매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Gaviappa et al. Evaluation of 1-DNJ Isolated from Mulberry Plant for its Anticariogenic Efficacy
KR20190005244A (ko) 기억력 개선, 인지기능장애 및 뇌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00125843A (ko) 후박 추출물 및 황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두뇌 또는 인지기능 증진 또는 뇌신경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