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7172B1 - 계단식 다단조립이 가능한 직립식 옹벽블럭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블럭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계단식 다단조립이 가능한 직립식 옹벽블럭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블럭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7172B1
KR101317172B1 KR1020110088257A KR20110088257A KR101317172B1 KR 101317172 B1 KR101317172 B1 KR 101317172B1 KR 1020110088257 A KR1020110088257 A KR 1020110088257A KR 20110088257 A KR20110088257 A KR 20110088257A KR 101317172 B1 KR101317172 B1 KR 101317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retaining wall
wall block
front panel
fasten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8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5018A (ko
Inventor
김철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테어텍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테어텍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테어텍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10088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7172B1/ko
Publication of KR20130025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50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7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7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3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립식 옹벽블록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옹벽의 블럭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전방 패널과 상기 전방패널에 일체로 형성된 후방패널을 가지며, 상기 전방패널의 후면 양측면에는 상기 후방패널과의 연결부분에 상기 전방패널의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체결홈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패널과, 상기 하부패널의 상기 후방패널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인접한 옹벽블럭의 상기 전방패널에 맞닿아 체결되는 상부패널을 구비하며, 상부패널은 상기 후방패널과 동일한 폭과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전방패널에 형성된 체결홈과 동일한 깊이와 폭을 가지는 상부체결홈을 구비하며, 하부패널에는 상기 절토사면의 내부에 고정되는 앵커가 삽입 고정되는 고정용고정용 전방패널과 하부패널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고, 인접한 직립식 옹벽블럭 조립체 사이에 배치되는 보조패널을 더욱 구비하여, 옹벽을 구성하는 벽체의 상하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시공기간이 단축될 뿐만 아니라, 고정용 앵커 등 네일링 삽입이 격자형으로 시공하여 하부패널에만 실시하여도 상부 패널 및 하부패널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동일한 고정효과를 발휘할 수 있어서 시공기간 및 시공비가 단축될 수 있고, 계단식으로 경사를 두어 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시공시 블럭의 전도 등으로 인한 안전사고의 방지를 도모하고 상하부 패널의 맞물림에 의해 사면의 붕괴방지와 안정에 효과적이다.

Description

계단식 다단조립이 가능한 직립식 옹벽블럭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블럭시공방법{STEP AND STAND TYPE RETAINING WALL BLOCK AND THE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옹벽블록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계단옹벽의 블럭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붕괴 우려가 있는 절토 사면에 옹벽을 설치하고자 할 때에 계단식으로 다단 조립이 가능한 직립식 옹벽블럭을 이용하여 옹벽을 계단식으로 설치함으로써 절토사면의 붕괴 방지용 옹벽을 저렴하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는 직립식 옹벽블록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계단옹벽의 블럭 조립체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도로와 단지의 개발 및 확장으로 인하여 절토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며, 이로 인해 천재지변과 인공절토로 인하여 해마다 사면이 붕괴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도로나 단지의 유지관리차원에서 낙석산사태위험지구와 붕괴위험지구에 대한 사면의 안정과 유지에 대한 개선대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특히, 여름철 집중호우로 인하여 산사태와 낙석이 다량으로 발생하여 주민의 안정적인 생활권을 침해하고 있으며, 다발성 붕괴로 인하여 차량통행의 장애를 가지고 오는 등 국민의 생활여건을 침해하고 있으며, 따라서 이러한 절토사면의 붕괴를 방지할 대책이 절실한 상황이다.
이러한 절토사면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기술로서, 한국특허 제1007566호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절토사면 보강용 옹벽 구조물을 설치하는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도 1에 나타낸 종래의 절토사면 보강용 옹벽구조물은 절토사면의 하단 전방에 블럭을 적층하고, 블럭의 전방에는 콘크리트로 제조된 외벽패널을 기초에 일체로 형성하며, 적층되는 블럭에는 강선 등 네일링 부재를 설치하여 네일링 부재의 타끝단을 절토사면의 내측에 고정시켜 절토사면을 보강하는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도 1에 나타낸 종래의 옹벽구조물은 적층되는 블럭 이외에 외벽패널을 제조하여야 하며, 네일링 부재를 적층되는 블럭 및 외벽패널에 각각 고정하여야 하므로 시공에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비용이 고가로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절토사면에 발달하는 불연속면에 의해 평면활동이 예상되거나, 절토사면의 침식 등에의해 절토사면의 불안정성이 예상될 때에 그 시공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없고, 적층되는 블럭과 절토사면 사이에 뒷채움을 하여야 한다고 하는 불편함이 있기 때문에, 최근에는 활동블럭을 억제하고 절개면 표면에 대한 보호기능을 목적으로 하는 계단식 옹벽이 널리 적용되고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계단식 옹벽은 절토사면의 하단에 기초를 설치한 후, 옹벽을 적층하여 시공하되, 각각의 층의 옹벽은 상부로 갈수록 점차 절토사면측으로 후퇴하여 시공하여 계단식으로 단층이 지도록 시공하는 방안이다.
또한, 이러한 계단식 옹벽의 설치 이외에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국특허공보 제1993-0000629호에는 옹벽을 구성하기 위한 바닥면부까지 토사의 안식각에 따라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절토작업을 하고, 절토경사면 최하단부에 수평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앵커구멍을 옹벽면에 직각에 가까운 방향으로 굴착하며, 상기 앵커구멍의 중심부에 지중볼트를 삽입한 후 시멘트 모르타르등으로 상기 앵커구멍을 채워넣어 양생시키고, 상기 지중볼트의 말단 나사부에 그 중앙부에 오목부 및 구멍부가 형성되어 있는 지압판을 끼운 후 너트로서 체결하며, 성토층을 형성하고, 전체 옹벽을 완성하는 옹벽시공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종래의 계단식 옹벽 및 압축토 옹벽(PEM)에 있어서는, 현장에서 철근을 조립설치한 후 거푸집을 제작하여 부착시켜 고정하고, 콘크리트타설 및 양생, 거푸집해체 등의 순서를 반복하여 단(段)마다 완성시키므로서 공기가 많이 소요되고, 조립형의 의지식옹벽은 단면의 형태가 비교적 작아서 붕괴된 배면지반의 토압에 직접적으로 저항할 경우 무게가 가볍고 필수적으로 앵커(Anchor)를 사용하여 긴장력을 주고, 핀으로 고정시키는 공정이 추가되어 적용에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또한, 상술한 종래의 기술들은 하부에서부터 시공하는 반중력식 옹벽 또는 직립으로 시공이 가능하지만 개개의 옹벽을 현장시공하거나 개개의 패널을 순차적으로 쌓아서 각각의 패널마다 소일 네일링이나 앵커를 설치하여야 하므로 공사기간이 많이 소요되고 공사비가 과다하게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공사기간이 많이 소요되어 시공기간 중에 추가의 붕괴가 발생할 수 있으며, 기존의 조립식옹벽에서 발생하는 조립부품이 다양하고 조립과정이 단순화되어 있지 않아서 그 사용과 적용이 제한적으로 이루어져 있는 실정이다.
또한, 상술한 종래의 기술은 수직으로만 시공이 가능하여 시각적으로 불안한 요소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개개의 패널을 쌓아올리고 네일링을 삽입하여야만 비로소 자립되므로 시공과정에서 안전사고의 문제가 많이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직립식 옹벽 블럭 조립체를 상하부 패널로 나누어 그 자체로서 조립이 용이하고 체결이 견고하도록 구성하여 붕괴된 절토사면의 하부에서부터 상부로 옹벽 블럭 조립체를 순차적으로 조립시켜서 공사기간의 절약과 동시에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는 계단식 다단조립이 가능한 직립식 옹벽블럭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직립식 옹벽블럭 조립체를 이용하여 시공이 간단하고 조립이 용이한 블럭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직립식 옹벽블럭 조립체는 절토사면의 전방에 설치되는 복수의 직립식 옹벽블럭이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어 형성되는 옹벽블럭 조립체로서, 전방 패널과 상기 전방패널의 후면측에 일체로 형성된 후방패널을 가지는 하부패널과, 상기 하부패널의 상기 후방패널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인접한 옹벽블럭의 상기 전방패널에 맞닿아 체결되는 상부패널을 구비하며, 상기 전방패널의 후면 양측면에는 상기 후방패널과의 연결부분에 상기 전방패널의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체결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후방패널은 상기 전방패널의 폭보다 상기 체결홈의 깊이만큼 양측으로 더욱 돌출되는 폭을 구비하며, 상기 상부패널은 상기 후방패널과 동일한 폭과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전방패널에 형성된 체결홈과 동일한 깊이와 폭을 가지는 상부체결홈을 구비하며 상기 상부체결홈의 형성에 의해 돌출되는 부분이 인접한 옹벽블럭의 전방패널의 체결홈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여기서, 상기 하부패널에는 상기 절토사면의 내부에 고정되는 앵커나 네일이 삽입 고정되는 고정용 홈이 상기 전방패널과 하부패널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후방패널 또는 상기 상부패널의 후면측에는 표면으로부터 절개하여 형성된 절개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접한 직립식 옹벽블럭 조립체 사이에 배치되는 보조패널을 더욱 구비하며, 상기 보조패널은 상기 하부패널로만 구성된 제 1 보조패널과 상기 상부패널로만 구성된 제 2 보조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직립식 옹벽블럭 조립체의 시공방법은, 절토사면 전방 하단부에 기초받침대를 설치하는 단계와, 전방 패널과 상기 전방패널의 후면측에 일체로 형성된 후방패널을 가지는 하부패널과, 상기 하부패널의 상기 후방패널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인접한 옹벽블럭의 상기 전방패널에 맞닿아 체결되는 상부패널을 구비하며, 상기 전방패널의 후면 양측면에는 상기 후방패널과의 연결부분에 상기 전방패널의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체결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후방패널은 상기 전방패널의 폭보다 상기 체결홈의 깊이만큼 양측으로 더욱 돌출되는 폭을 구비하며, 상기 상부패널은 상기 후방패널과 동일한 폭과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전방패널에 형성된 체결홈과 동일한 깊이와 폭을 가지는 상부체결홈을 구비하며 상기 상부체결홈의 형성에 의해 돌출되는 부분이 인접한 옹벽블럭의 전방패널의 체결홈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직립식 옹벽블럭을 상기 기초받침대의 상부에 일정간격 이격하여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직립식 옹벽블럭 사이에 상부패널로만 구성된 제 2 보조패널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직립식 옹벽블럭과 보조패널을 인접하여 배치하여 복수의 단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형성된 복수의 단의 최상단의 블럭사이에 상기 하부패널로만 구성된 제 1 보조패널을 삽입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블럭의 복수의 단의 설치시에는 상기 하부패널 및 제 1 보조패널에 미리 형성된 고정용 홈에 앵커 또는 네일을 삽입하고 상기 앵커 또는 네일을 절토사면의 내부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절토사면에 붕괴가 발생할 경우와 미리 붕괴를 예방하고자 하는 절토사면에서 계단식 옹벽블럭 조립체를 하부패널 및 상부패널로 조립식으로 구성하여, 옹벽을 구성하는 벽체의 상하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시공기간이 단축될 뿐만 아니라, 고정용 앵커나 네일링 삽입이 격자형으로 시공하여 하부패널에만 실시하여도 상부 패널 및 하부패널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동일한 고정효과를 발휘할 수 있어서 시공기간 및 시공비가 단축될 수 있다.
또한, 수직시공인 종래의 기술과는 달리 약간의 경사를 두어 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시공시 블럭의 전도 등으로 인한 안전사고의 방지를 도모하고 시각적으로도 안정감을 얻을 수 있고, 상하부 패널의 맞물림에 의해 사면의 붕괴방지와 안정에 효과적이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기술에 의한 절토사면의 보강용 블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에 의한 직립식 옹벽블럭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4a는 사시도, 도 4b는 정면도, 도 4c는 평면도, 도 4d는 측면도, 도 4e는 배면도이다.
도 5a 및 5b는 본 발명에 의한 직립식 옹벽블럭의 조립도이다.
도 6a 및 6b는 본 발명에 의한 보조패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 내지 7h는 본 발명에 의한 직립식 옹벽블럭조립체의 시공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직립식 옹벽블럭 조립체의 기초받침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계단식 다단조립이 가능한 직립식 옹벽블럭 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블럭시공방법에 대하여 실시예로써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계단식 다단조립이 가능한 직립식 옹벽블럭 조립체는 직립식 옹벽블럭(1)과 보조패널(2a, 2b)을 구비한다.
상기 직립식 옹벽블럭(1)은 절토사면의 전방에 설치되는 옹벽블럭으로서, 하부패널(10)과, 상부패널(20)을 구비한다.
도 4a 내지 4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하부패널(10)은 소정의 폭과 높이 및 길이를 갖는 장방형 입방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패널(10)은 전방을 향하여 돌출된 전방패널(11)과 상기 전방패널과 일체로 형성된 후방패널(1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방패널(11)은 상기 후방패널(12)과 동일한 높이와 동일한 두께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방패널(11)과 상기 후방패널(12)과의 사이, 즉 상기 전방패널의 후면 양측면에는 상기 후방패널과의 연결부분에 상기 전방패널의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체결홈(11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홈(11a)의 폭은 상기 전방패널의 두께의 1/2로 형성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옹벽블럭을 일정간격 이격하여 배치한 후 보조패널의 돌출부분이나 인접한 옹벽블럭의 상부패널의 돌출부분이 삽입되어 끼워맞추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후방패널(12)은 상기 전방패널과 동일한 높이와 두께를 가지되, 상기 전방패널의 폭보다는 더 큰 폭을 갖도록 구성되어, 정면에서 볼 때 상기 전방패널로부터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후방패널(12)의 폭은 상기 전방패널로부터 상기 체결홈의 깊이에 상응하는 길이만큼 양측으로 각각 돌출되는 폭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후방패널(12)의 후면측, 즉 상기 전방패널에 대향하는 측에는 상기 후방패널의 표면으로부터 일정 두께만큼 절개하여 형성된 절개홈(1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개홈(15)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직립식 옹벽블럭을 대형의 크기로 제조할 때에 상기 직립식 옹벽블럭의 자중을 경감시켜 시공의 편의를 도모할 뿐만 아니라 상기 옹벽블럭의 제조에 소요되는 재료를 절감하여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패널(10)에는 상기 절토사면의 내부에 고정되는 앵커가 삽입 고정되는 고정용 홈(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용 홈(14)은 상기 전방패널과 하부패널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전방패널의 전방측 표면과 상기 후방패널의 후방측 표면에는 대략 직사각 형상의 오목부(13)를 형성하고, 상기 오목부의 중앙에 상기 고정용 홈이 위치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오목부에는 상기 오목부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의 지지플레이트를 삽입하여 상기 고정용 홈에 삽입되는 앵커를 지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고정용 홈(14)에 앵커를 삽입하고 앵커의 일끝단을 상기 옹벽블럭에 고정한 후, 타끝단을 상기 절토사면의 내부에 고정하여 순차적으로 배치된 복수 단의 옹벽블럭을 더욱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고정용 홈(14)은 상기 옹벽블럭의 콘크리트 타설 전에 원형의 플라스틱 제품을 미리 삽입하여 설치함으로써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용 홈(14)은 상기 하부패널에만 설치되므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패널 및 하부패널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직립식 옹벽블럭을 상하 및 좌우로 엇갈려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배치할 때에, 상기 고정용 홈은 격자형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복수의 단으로 적층할 때에 매 단마다 앵커를 고정할 필요가 없이 2개의 단마다 고정하더라도 상부 패널 및 하부패널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동일한 고정효과를 발휘할 수 있어서 시공기간 및 시공비가 단축될 수 있다.
상기 하부패널(10)의 상부에는 상부패널(20)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패널(20)은 상기 하부패널(10)의 상기 후방패널(12)의 상부에 직립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패널(20)의 높이와 두께와 폭은 상기 후방패널의 높이와 두께와 폭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패널의 전방측의 양측면에는 상기 상부패널의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상부체결홈(20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체결홈(20a)의 폭은 상기 상부패널의 두께의 1/2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방패널에 형성된 체결홈과 동일한 깊이와 폭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옹벽블럭을 일정간격 이격하여 배치한 후 보조패널의 돌출부분이나 인접한 옹벽블럭의 하부패널의 전방패널의 돌출부분이 삽입되어 끼워맞추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옹벽블럭 조립체는 보조패널(2a, 2b)을 더욱 구비한다.
상기 보조패널은 상기 하부패널로만 구성된 제 1 보조패널(2a)과 상기 상부패널로만 구성된 제 2 보조패널(2b)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보조패널은 상기 옹벽블럭을 복수의 단으로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체결한 후, 최상단의 옹벽블럭의 상부패널 사이에 상기 제 1 보조패널(2a)을 삽입하여 체결하거나, 최하단의 옹벽블럭의 하부패널 사이에 상기 제 2 보조패널(2b)을 체결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옹벽블럭을 제조하는 데에 소요되는 불필요한 재료의 양을 절감함과 동시에 조립시 인접 블럭과의 마찰을 줄이고 제조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패널 및 상기 하부패널의 모서리는 모따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원호형상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옹벽블럭 조립체의 시공방법에 대하여 도 5a, 5b 및 도 7a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직립식 옹벽블럭 조립체의 시공방법은, 우선, 절토사면 전방 하단부에 기초받침대(3)를 설치한다. 상기 기초받침대(3)를 복수개 인접하여 배치한 후, 상기 기초받침대의 상하부면에 설치된 오목한 절개부에 상부 연결판(3a)과 하부연결판(3b)을 삽입한 후, ㄷ자 형상의 꺽쇠와 너트를 이용하여 인접한 복수의 기초받침대를 고정한다.
그런 다음,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직립식 옹벽블럭(1)을 일정간격 이격하여 상기 기초받침대 위에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직립식 옹벽블럭은 각각의 독립체로서 공장에서 미리 제작되어 현장에 반입되거나 현장의 제작장에서 제작되어지며, 철제로 만들어진 거푸집을 반복사용하므로서 거푸집비용이 절감되어 지며, 고온의 증기양생에 의해 제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옹벽블럭은 절토사면의 붕괴 방지용으로서 상당한 측압을 받는 구조체이므로, 대략 1m높이 이상의 중량체로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옹벽블럭(1)에 미리 형성된 인양고리(도시하지 않음)에 인양고리를 걸어 인양장비를 통해 원하는 위치에 설치한다.
그런 다음, 일정간격 이격하여 배치된 상기 직립식 옹벽블럭의 상기 전방패널 사이에 상부패널로만 구성된 제 2 보조패널을 설치한다. 상기 제 2 보조패널(2b)의 설치는,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 2 보조패널의 상부체결홈에 상기 전방패널의 돌출부분이 끼워맞추어지고, 상기 전방패널의 체결홈에 상기 제 2 보조패널의 돌출부분이 끼워맞추어지도록 삽입함으로써 체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블럭의 최하단을 설치한 후, 최하단의 옹벽블럭과 절토사면과의 사이에 뒷채움을 실시한 후 다짐하여 최하단의 시공을 완료한다.
그런 다음, 상기 직립식 옹벽블럭을 인접하여 배치하여 복수의 단을 순차적으로 형성한다. 즉,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된 직립식 옹벽블럭(1) 사이에 상기 제 2 보조패널의 상부에 인접한 직립식 옹벽블럭(1')을 배치한다. 상기 인접한 직립식 옹벽블럭(1')의 하부패널(10') 중 전방패널의 체결홈에는 상기 직립식 옹벽블럭의 상부패널의 돌출부분이 끼워맞추어져 체결된다.
상기 인접한 직립식 옹벽블럭(1')의 상부패널(20')은 그 상단의 인접한 직립식 옹벽블럭의 하부패널에 삽입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직립식 옹벽블럭을 교대로 인접하여 배치하여 복수의 단을 순차적으로 형성한 후, 상기 형성된 복수의 단의 최상단의 블럭사이에 상기 하부패널로만 구성된 제 1 보조패널을 삽입하여 옹벽블럭의 시공을 완료한다.
즉, 최상단에는 상부패널만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므로, 이격된 상기 상부패널 사이에는 상기 상부패널에 끼워맞추어지는 하부패널로만 구성된 제 1 보조패널(2a)이 체결된다.
여기서,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블럭의 복수의 단의 설치시에는 상기 하부블럭 및 제 1 보조패널에 미리 형성된 고정용 홈에 앵커를 삽입하고 상기 앵커를 절토사면의 내부에 고정시킨다. 이 때, 하부패널로만 구성된 상기 제 1 보조패널 또는 상기 하부패널은 조립되는 옹벽블럭의 정면에서 볼 때, 상하 좌우 방향으로 교대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고정용 홈은 격자형으로 배치되며, 따라서복수의 단으로 적층할 때에 매 단마다 앵커를 고정할 필요가 없이 2개의 단마다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것은 자명하다.
1 : 직립식 옹벽블럭
2a : 제 1 보조패널
2b : 제 2 보조패널
3 : 기초받침대
10 : 하부패널
11 : 전방패널
12 : 후방패널
14 : 고정용 홈
15 : 절개홈
20 : 상부패널

Claims (8)

  1. 절토사면의 전방에 설치되는 복수의 직립식 옹벽블럭이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어 형성되는 옹벽블럭 조립체로서,
    전방 패널과 상기 전방패널의 후면측에 일체로 형성된 후방패널을 가지는 하부패널과,
    상기 하부패널의 상기 후방패널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인접한 옹벽블럭의 상기 전방패널에 맞닿아 체결되는 상부패널을 구비하며,
    상기 전방패널의 후면 양측면에는 상기 후방패널과의 연결부분에 상기 전방패널의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체결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후방패널은 상기 전방패널의 폭보다 상기 체결홈의 깊이만큼 양측으로 더욱 돌출되는 폭을 구비하며,
    상기 상부패널은 상기 후방패널과 동일한 폭과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전방패널에 형성된 체결홈과 동일한 깊이와 폭을 가지는 상부체결홈을 구비하며 상기 상부체결홈의 형성에 의해 돌출되는 부분이 인접한 옹벽블럭의 전방패널의 체결홈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식 다단조립이 가능한 직립식 옹벽블럭 조립체.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패널에는 상기 절토사면의 내부에 고정되는 앵커나 네일이 삽입 고정되는 고정용 홈이 상기 전방패널과 하부패널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식 다단조립이 가능한 직립식 옹벽블럭 조립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패널 또는 상기 상부패널의 후면측에는 표면으로부터 절개하여 형성된 절개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식 다단조립이 가능한 직립식 옹벽블럭 조립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인접한 직립식 옹벽블럭 사이에 배치되는 보조패널을 더욱 구비하며,
    상기 보조패널은,
    상기 하부패널로만 구성된 제 1 보조패널과 상기 상부패널로만 구성된 제 2 보조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식 다단조립이 가능한 직립식 옹벽블럭 조립체.
  7. 절토사면 전방 하단부에 기초받침대를 설치하는 단계와,
    전방 패널과 상기 전방패널의 후면측에 일체로 형성된 후방패널을 가지는 하부패널과, 상기 하부패널의 상기 후방패널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인접한 옹벽블럭의 상기 전방패널에 맞닿아 체결되는 상부패널을 구비하며, 상기 전방패널의 후면 양측면에는 상기 후방패널과의 연결부분에 상기 전방패널의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체결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후방패널은 상기 전방패널의 폭보다 상기 체결홈의 깊이만큼 양측으로 더욱 돌출되는 폭을 구비하며, 상기 상부패널은 상기 후방패널과 동일한 폭과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전방패널에 형성된 체결홈과 동일한 깊이와 폭을 가지는 상부체결홈을 구비하며 상기 상부체결홈의 형성에 의해 돌출되는 부분이 인접한 옹벽블럭의 전방패널의 체결홈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직립식 옹벽블럭을 상기 기초받침대의 상부에 일정간격 이격하여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직립식 옹벽블럭 사이에 상부패널로만 구성된 제 2 보조패널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직립식 옹벽블럭과 보조패널을 인접하여 배치하여 복수의 단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형성된 복수의 단의 최상단의 블럭사이에 상기 하부패널로만 구성된 제 1 보조패널을 삽입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식 다단조립이 가능한 직립식 옹벽블럭 조립체의 시공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블럭의 복수의 단의 설치시에는 상기 하부패널 및 제 1 보조패널에 미리 형성된 고정용 홈에 앵커 또는 네일을 삽입하고 상기 앵커 또는 네일을 절토사면의 내부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식 다단조립이 가능한 직립식 옹벽블럭 조립체의 시공방법.
KR1020110088257A 2011-09-01 2011-09-01 계단식 다단조립이 가능한 직립식 옹벽블럭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블럭시공방법 KR101317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8257A KR101317172B1 (ko) 2011-09-01 2011-09-01 계단식 다단조립이 가능한 직립식 옹벽블럭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블럭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8257A KR101317172B1 (ko) 2011-09-01 2011-09-01 계단식 다단조립이 가능한 직립식 옹벽블럭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블럭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5018A KR20130025018A (ko) 2013-03-11
KR101317172B1 true KR101317172B1 (ko) 2013-10-15

Family

ID=48176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8257A KR101317172B1 (ko) 2011-09-01 2011-09-01 계단식 다단조립이 가능한 직립식 옹벽블럭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블럭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71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8340B1 (ko) * 2021-05-13 2021-12-13 주식회사 정성이엔씨 개량형 사면 보강체 및 이를 이용한 사면 보강 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0629B1 (ko) * 1989-06-08 1993-01-28 성낙영 옹벽 시공방법
KR20020002145A (ko) * 2000-06-29 2002-01-09 성낙영 다단식 옹벽용 기초블록 및 그를 이용한 상층부 옹벽의기초지반 보강공법
KR101007566B1 (ko) 2010-08-09 2011-01-14 (주)지성이씨에스 네일링 및 앵커링 수단이 동시 적용된 절토사면 보강용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KR20110093377A (ko) * 2010-02-12 2011-08-18 김진기 옹벽부재와 이를 이용한 옹벽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0629B1 (ko) * 1989-06-08 1993-01-28 성낙영 옹벽 시공방법
KR20020002145A (ko) * 2000-06-29 2002-01-09 성낙영 다단식 옹벽용 기초블록 및 그를 이용한 상층부 옹벽의기초지반 보강공법
KR20110093377A (ko) * 2010-02-12 2011-08-18 김진기 옹벽부재와 이를 이용한 옹벽시공방법
KR101007566B1 (ko) 2010-08-09 2011-01-14 (주)지성이씨에스 네일링 및 앵커링 수단이 동시 적용된 절토사면 보강용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5018A (ko) 2013-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02911A2 (en) Modular concrete building system
US20080184648A1 (en) Materials and methods for constructing a block wall
US20220064946A1 (en) Insulated concrete form construction method and system
US20130008125A1 (en) Construction method for new underground structure
KR101278326B1 (ko) 조형석 및 그를 이용한 조형석 옹벽
KR101211469B1 (ko) 옹벽축조용 조립식 블록이 구비된 옹벽 구조체 및 그를 이용한 옹벽시공방법
KR101317172B1 (ko) 계단식 다단조립이 가능한 직립식 옹벽블럭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블럭시공방법
KR20180121013A (ko) 기둥형 부벽체를 구비한 프리캐스트 조립식 옹벽
KR20090020082A (ko) 사면안정용 텐션 소일네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블록의시공방법
KR101677431B1 (ko) 대용량 콘크리트 옹벽
KR101182776B1 (ko) 계단식 다단조립이 가능한 옹벽블럭 조립체
KR102123205B1 (ko) 보강지지철물과 연결철물을 이용한 자연석 옹벽구조물의 시공 방법 및 설치구조
JP4834649B2 (ja) 盛土構造物を構築する盛土構造及び盛土構造構成用の擁壁ブロック並びに盛土構造物の構築工法
JP5548724B2 (ja) 太陽電池パネルの設置構造
JP2021130910A (ja) 壁モジュールによる構造物の製造方法
JP6279892B2 (ja) 壁面構築用型枠およびそれを用いた壁面の構築方法
JP6339979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製基礎材
KR100601126B1 (ko) 선반식 녹화 옹벽의 앵커링 구조
JP7378986B2 (ja)
JP7197841B2 (ja) プレキャスト製基礎ブロック
JP2512254B2 (ja) 人工地盤の構造及び住居の構造
JP3744922B2 (ja) Pc基礎梁部材ならびにその接続構造
JP4117205B2 (ja) 軽量盛土構造体
KR101650312B1 (ko) 콘크리트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JP3860012B2 (ja) 軽量盛土工法におけるコンクリート床版とh形鋼との間の支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