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7043B1 - 캡슐형 내시경 - Google Patents

캡슐형 내시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7043B1
KR101317043B1 KR1020097010747A KR20097010747A KR101317043B1 KR 101317043 B1 KR101317043 B1 KR 101317043B1 KR 1020097010747 A KR1020097010747 A KR 1020097010747A KR 20097010747 A KR20097010747 A KR 20097010747A KR 101317043 B1 KR101317043 B1 KR 101317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s
subject
transmission
capsule endoscope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0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5634A (ko
Inventor
가즈아키 다무라
데츠오 미나이
진 오하라
Original Assignee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85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56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7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70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61B1/041Capsule endoscopes for ima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11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signal transmission
    • A61B1/00016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signal transmission using wireless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26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A61B5/0028Body tissue as transmission medium, i.e. transmission systems where the medium is the human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7Endoradiosondes
    • A61B5/073Intestinal transmitt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Endoscope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피검체 내에 도입되어 피검체 내 정보를 취득하고, 그 취득한 피검체 내 정보를 상기 피검체를 통해서 외부에 송신하는 캡슐형 내시경은 그 외주면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전극을 갖는다. 전극 선택 수단은 복수의 전극 중에서 송신 전력 손실이 적은 2개의 전극을, 피검체 내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이용되는 송신 전극으로서 선택한다. 송신 수단은 피검체 내 정보를 피검체의 외부에 송신하기 위하여 전극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2개의 송신 전극을 사용한다.

Description

캡슐형 내시경{CAPSULE TYPE ENDOSCOPE}
본 발명은, 피검체 내에 도입되어, 그 피검체 내를 이동하면서, 피검체를 신호 전달 매체로 사용하여 피검체 내 정보를 체외 수신 장치에 송신하는 캡슐형 내시경에 관한 것이다.
현재, 내시경의 분야에 있어서, 삼킬 수 있는 형태의 캡슐형 내시경이 실용화되어 있다. 이 캡슐형 내시경은, 촬상 기능과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다. 또한, 캡슐형 내시경이 관찰(검사)을 위해 피검체의 입으로부터 도입된 후, 자연적으로 배출되기까지 기관, 예컨대 위나 소장 등의 내부에서 그 연동 운동에 따라 이동하면서 순차적으로 촬상을 행하여, 피검체 내의 정보를 취득한다.
캡슐형 내시경이 체강 내를 이동하는 동안, 체내에서 취득된 피검체 내 정보(화상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무선 통신에 근거하여 외부로 송신되어, 외부에 마련된 메모리에 축적된다. 피검체가 무선 통신 기능과 메모리 기능을 구비한 수신기를 휴대하면, 피검체는, 캡슐형 내시경을 삼킨 후, 캡슐형 내시경이 배출되기까지 자유롭게 행동할 수 있다.
또한, 캡슐형 내시경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 방식의 하나로서, 피검체를 신호 전달 매체로서 이용하여, 화상 데이터를 외부에 송신하는 인체 통신 방식이 제안되어 있다. 예컨대, JP-A 2006-513670(공개)에 있어서는, 캡슐형 내시경의 외주면에 2개의 신호 전극이 마련되고, 화상 데이터에 따른 전위차가 두 전극 사이에 발생되어, 피검체 내에 전류를 흐르게 한다. 그리고, 피검체 밖에 배치된 체외 수신 장치의 수신 전극 사이에 흐르는 전류량이 검출되면, 인체를 신호 전달 매체로서 이용하여, 화상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JP-A 2006-513670에 있어서의 캡슐형 내시경은 송신 전극이 외표면에 배치되는 구성을 가져, 피검체 내에 투입된 캡슐형 내시경의 송신 전극의 접촉 상태는, 피검체 내를 이동하면 변한다. 결과적으로, 캡슐형 내시경의 송신 신호를 송신하는데 이용되는 송신 전극 사이의 임피던스도 피검체 내에서 변한다. 그 때문에, 전극 사이 임피던스의 변화에 대하여 송신 전극과 피검체의 사이에는 임피던스 부정합이 생겨, 캡슐형 내시경의 송신 신호 전력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반면에, JP-A 2006-513670(공개)에 있어서는, 송신 전극 사이의 임피던스의 변화에 대한 제어 방법이 특별히 설명되어 있지 않아, 송신 신호 전력의 손실이 수신 신호 레벨의 저하를 불러오기 쉽다. 이 때문에, 수신 신호가 노이즈의 영향을 받기 쉬워져, 캡슐형 내시경 시스템으로서 통신의 안정성이 떨어지기 쉽다.
본 발명은 목적은 송신 신호 전력 손실을 저감하고, 안정적으로 통신할 수 있는 캡슐형 내시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국면에 따르면, 피검체 내에 도입되어 피검체 내 정보를 취득하고, 그 취득한 피검체 내 정보를 상기 피검체를 통해서 외부에 송신하는 캡슐형 내시경으로서, 상기 캡슐형 내시경의 외주면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전극과, 상기 복수의 전극 중에서 송신 전력 손실이 적은 2개의 전극을, 상기 피검체 내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전극으로서 선택하는 전극 선택 수단과, 상기 전극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2개의 송신 전극을 이용하여, 상기 피검체 내 정보를 상기 피검체의 외부에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구비하는 캡슐형 내시경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캡슐형 내시경을 이용한 캡슐형 내시경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2는 캡슐형 내시경의 내부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캡슐형 내시경의 송신 전극과 피검체 사이의 송신 신호 전력 손실을 저감하기 위한 송신 신호 전극 선택 방법에 관한 피드백 제어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4(a), 4(b), 4(c), 및 4(d)는 캡슐형 내시경의 외주면상에 배치되는 송신 전극 A1~An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임피던스 측정 회로의 구체적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캡슐형 내시경을 이용한 캡슐형 내시경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캡슐형 내시경 시스템은, 캡슐형 내시경(2)과, 수신 장치(3)와, 표시 장치(4)와, 휴대형 기록 매체(5)를 구비하고 있다.
캡슐형 내시경(2)은, 피검체(1)의 내부에 도입되어, 피검체(1)의 내부를 이동하면서 반복하여 촬상을 행하여 피검체 내 정보(예컨대, 피검체(1)의 내부의 화상 데이터)를 취득한다. 또한, 캡슐형 내시경(2)은 이 취득한 피검체 내 정보를 포함하는 소정 신호를 수신 장치(3)에 송신한다.
수신 장치(3)는, 캡슐형 내시경(2)으로부터의 송신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신호로부터 화상을 도출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신 장치(3)는 수신 전극(6a~6n)과, 처리 장치(7)를 포함한다. 수신 전극(6a~6n)은 피검체(1)의 외표면에 배치되어, 캡슐형 내시경(2)으로부터의 송신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전극이다. 처리 장치(7)는, 수신 전극(6a~6n)으로부터의 수신 신호로부터 피검체(1)의 내부의 화상을 도출한다.
표시 장치(4)는, 예컨대, 캡슐형 내시경(2)에 의해 얻어진 피검체(1)의 내부의 화상을 표시한다. 이 표시 장치(4)는, 휴대형 기록 매체(5)에 의해 얻어지는 데이터에 근거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예컨대, 워크스테이션으로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표시 장치(4)는, 휴대형 기록 매체(5)에 기록된 데이터로부터 영상 신호를 재생하여, 예컨대, CRT 디스플레이 또는 액정 디스플레이에 재생된 신호를 표시하는 기능을 갖는다.
휴대형 기록 매체(5)는, 처리 장치(7) 및 표시 장치(4)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고, 양 장치에 대한 장착시에 정보의 출력 및 기록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휴대형 기록 매체(5)는, 캡슐형 내시경(2)이 피검체(1)의 체강 내를 이동하고 있는 동안은 처리 장치(7)에 장착되어 캡슐형 내시경(2)의 피검체 내 정보를 기록한다. 그리고, 캡슐형 내시경(2)이 피검체(1)로부터 배출된 후에, 휴대형 기록 매체(5)가 처리 장치(7)로부터 제거되어 표시 장치(4)에 장착되고, 표시 장치(4)는 휴대형 기록 매체(5)에 기록되어 있는 피검체 내 정보를 판독한다. 휴대형 기록 매체(5)에 의해 처리 장치(7)와 표시 장치(4)의 사이에서 데이터가 송수신되면, 처리 장치(7)가 표시 장치(4)와 케이블로 접속된 경우와는 달리, 캡슐형 내시경(2)이 피검체(1)의 내부를 이동중이더라도, 피검체(1)가 자유롭게 행동할 수 있다.
도 2는, 캡슐형 내시경(2)의 내부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즉, 캡슐형 내시경(2)은, 배터리(8)와, 전원 공급 회로(9)와, LED(10)와, LED 구동 회로(11)와, 촬상 소자(CCD)(12)와, 촬상 소자 구동 회로(13)와, 신호 생성 회로(14)와, 정합 회로(15)와, 전극 선택 회로(16)와, 임피던스 측정 회로(17)와, 시스템 제어 회로(18)와, 송신 전극(A1~An)을 갖는다.
배터리(8)는 캡슐형 내시경(2)의 전원이다. 전원 공급 회로(9)는 배터리(8)로부터 전력을 생성하여, 이 전력을 캡슐형 내시경(2)의 각 구성 요소에 공급한다. 캡슐형 내시경(2)의 각 구성 요소는 전원 공급 회로(9)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구동 에너지로서 사용하여 동작한다.
LED(10)는 피검체(1)의 내부를 촬상할 때에 피검체(1)의 내부의 촬상 영역을 조명하는 광원이다. LED 구동 회로(11)는 LED(10)를 구동하는 구동 회로이다. 촬상 소자(12)는 LED(10)에 의해 조명된 촬상 영역으로부터의 반사광상(reflected light image)을 촬상하여 화상 신호를 취득하는 CCD 촬상 소자이다. 촬상 소자 구동 회로(13)는 촬상 소자(12)를 구동하는 구동 회로이다. 촬상 소자(12)에 의해 취득된 화상 신호는, 시스템 제어 회로(18)에 의해 디지털화되고, 이에 따라 피검체(1)의 체내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여기서, 광원 및 촬상 소자로서 반드시 LED 및 CCD 촬상 소자가 사용될 필요는 없다. 예컨대, 촬상 소자로서 CMOS 촬상 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캡슐형 내시경(2)은, 시스템 제어 회로(18)에 의해 얻어진 화상 데이터를 소정의 송신 신호로 변환하여, 피검체(1)를 통해서 수신 장치(3)에 안정적으로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송신 수단을 구성하는 신호 생성 회로(4)는, 시스템 제어 회로(18)에 의해 취득된 피검체(1)의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예컨대, 변조를 행하여, 수신 장치(3)에 화상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송신 신호를 생성한다.
정합 회로(15)는 송신 전극(A1~An)과 피검체(1) 사이의 임피던스 정합을 행하기 위해, 신호 생성 회로(14)에 의해 생성된 송신 신호의 특성 임피던스를 변경한다. 구체적으로는, 정합 회로(15)는, 캐패시터 성분, 인덕터 성분, 저항 성분의 임피던스를 가변하는 구성을 포함하여, 그 송신 신호의 특성 임피던스를 변경한다. 이 구성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정합 회로(15)로서, 송신 전극(A1~An)과의 사이에 직렬 또는 병렬로 임피던스 가변 소자가 삽입되는 구성이 채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정합 회로(15)를 사용함으로써, 예컨대, 송신 신호의 특성 임피던스, 송신 신호의 전력, 송신 신호의 위상, 또는 송신 신호의 주파수 등의 특성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정합 회로(15)는 피검체 내에 흐르는 전류의 최대치를 규정하는 전류 보호 저항 소자를 구비한다.
전극 선택 회로(16)는 정합 회로(15)에 의해 정합된 송신 신호를 송신 전극(A1~An) 중에서 선택된 2개의 전극에 공급한다. 구체적으로는, 전극 선택 회로(16)는, 시스템 제어 회로(18)로부터의 전압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2개의 송신 전극을 선택하고, 선택된 송신 전극에 송신 신호를 공급한다. 이 전극 선택 회로(16)의 동작은 뒤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송신 전극(A1~An)은 정합 회로(15)로부터 출력되는 송신 신호를 피검체(1)의 내부에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극이다. 각 송신 전극(A1~An)은 도전성을 갖고, 또한 내식성에 우수하여 인체에 무해한 금속으로 구성되어, 캡슐형 내시경(2)의 외주면에 배치된다. n은 필요에 따라 설정되는 전극의 개수를 의미하고, 2 이상의 정수이다.
임피던스 측정 회로(17)는 임의의 2개의 송신 전극 사이의 임피던스를 측정하고, 측정된 임피던스를 시스템 제어 회로(18)에 출력한다.
시스템 제어 회로(18)는 LED 구동 회로(11), 촬상 소자 구동 회로(13), 신호 생성 회로(14), 정합 회로(15), 전극 선택 회로(16), 및 전원 회로(9)의 동작을 제어하고, 촬상 소자(12)에 의해 얻어진 화상 신호로부터 피검체(1)의 동작 데이터를 생성한다.
도 3은 캡슐형 내시경(2)의 송신 전극과 피검체(1) 사이의 송신 신호 전력 손실을 저감하기 위한 송신 신호 전극 선택 방법에 관한 피드백 제어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송신 신호를 송신하기에 앞서, 시스템 제어 회로(18)는 송신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전극을 결정한다(단계 S101). 즉, 시스템 제어 회로(18)는 전극 선택 회로(16)에 전압 제어 신호를 송신하고, 전극 선택 회로(16)는 이 신호를 수신하여 송신 전극(A1~An) 중에서, 2개의 전극을 선택한다. 첫 번째에는 임의의 2개의 송신 전극이 선택될 수 있다.
송신 전극이 결정된 후, 시스템 제어 회로(18)는 선택된 2개의 송신 전극에 송신 신호를 송신하는 처리를 행한다(단계 S102). 즉, 촬상 소자(12)에 의해 얻어진 화상 데이터가 신호 생성 회로(14)에 송신되고, 신호 생성 회로(14)는, 예컨대, 변조 등의 처리를 행하여 송신 신호를 생성한다. 정합 회로(15)가 임피던스 정합을 행한 후, 단계 S101에서 선택된 2개의 송신 전극에 신호 생성 회로(14)에 의해 생성된 송신 신호가 공급된다.
다음으로, 임피던스 측정 회로(17)는 송신 신호를 송신하는데 사용된 2개의 송신 전극 사이의 임피던스를 측정한다(단계 S103). 즉, 임피던스 측정 회로(17)는 단계 S102에 있어서, 2개의 전극에 송신 신호가 공급되고 있을 때에, 송신 신호 를 이용하여, 2개의 송신 전극 사이의 임피던스를 측정하고, 측정된 임피던스를 시스템 제어 회로(18)에 출력한다.
임피던스 측정 회로(17)로부터 임피던스를 수신하면, 시스템 제어 회로(18)는 수신된 임피던스가 송신 신호의 효율적인 송신이 가능한 규정된 범위 내인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104). 예컨대, 외주면에 배치된 복수의 전극을 갖는 캡슐형 내시경(2)에서는, 선택된 두 전극이 함께 인체에 접촉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2개의 선택된 전극 사이의 임피던스가 높아져 송신 전력 손실이 증가된다. 또한, 두 전극이 함께 인체에 접촉하고 있는 경우의 2개의 전극 사이의 임피던스는 인체에 접촉하고 있지 않은 경우보다 낮아져 송신 전력 손실이 감소된다. 단, 임피던스가 너무 낮으면 통신의 효율이 저하된다. 따라서, 임피던스를 전극 선택의 판단 기준으로서 이용함으로써, 캡슐형 내시경이 피검체 내를 이동하여 송신 전극의 접촉 상태가 변화하더라도, 송신 신호 손실이 적고 또한 효율적으로 통신을 행할 수 있는 2개의 전극의 조합을 판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단계 S104의 판정의 결과로서 전극 사이의 임피던스가 규정된 범위 내가 아니라고 결정되면, 제어는 단계 S101로 되돌아가고, 시스템 제어 회로(18)는 다른 조합을 선택하도록 전압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그 후, 단계 S102와 그 이후의 단계의 처리가 재개된다. 한편, 단계 S104의 판정의 결과로서 전극 사이의 임피던스가 규정된 범위 내라고 결정되면, 시스템 제어 회로(18) 및 전극 선택 회로(16)는 선택되지 않은 전극을 설정한다(단계 S105). 이 선택되지 않은 전극의 설정으로서는, 예컨대, 전극 선택 회로(16)에 의해 선택된 2개의 송신 전극 이외의 선택되지 않은 전극의 전위를 풀다운(pull down)(소정의 저전위로 감소) 또는 풀업(pull up)(소정의 고전위로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설정은 시스템 제어 회로(18)로부터 전극 선택 회로(16)에 제어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행하면 좋다. 각 선택되지 않은 전극의 전위가 고정 전위로 설정되면, 각 선택되지 않은 전극이 현재 선택되어 있는 2개의 송신 전극으로부터 공급되는 송신 신호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감소될 수 있다.
도 4(a)~도 4(d)는 캡슐형 내시경(2)의 외주면상에 배치되는 송신 전극(A1~An)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에 나타낸 캡슐형 내시경(22a)은, 링 형상의 송신용 전극(A1~An)이 캡슐형 내시경의 장축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또한 전극 간격이 서로 같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4(b)에 나타낸 캡슐형 내시경(22b)은, 직사각형 송신 전극(A1~An)이 캡슐형 내시경의 장축 방향에 대하여 수평으로, 또한 전극 간격이 서로 같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4(c)에 나타낸 캡슐형 내시경(22c)은, 정사각형 송신 전극(A1~An)이 캡슐형 내시경의 외주면상에 격자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4(d)에 나타낸 캡슐형 내시경(22d)은, 송신 전극 (A1~An)이 캡슐형 내시경의 장축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는 링 형상의 송신 전극과, 캡슐형 내시경의 장축 방향에 대하여 수평으로 배치되는 직사각형 송신 전극과, 캡슐형 내시경의 돔 형상부에 배치되는 송신 전극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4(a)~도 4(d)에 나타낸 구성에 따라, 캡슐형 내시경(2)의 송신 전극(A1~An)이 피검체에 접촉할 가능성이 향상된다. 이 구조에 따라, 송신 전극 사 이의 임피던스 변동뿐만 아니라, 전극 선택 회로(16)의 기능을 함께 억제할 수 있다.
또, 송신 전극의 형상이나 크기는 도 4(a)~도 4(d)에 나타낸 것에 한정되지 않고, 송신 전극은 캡슐형 내시경(2)의 외주면에 임의의 형상 및 임의의 크기로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임피던스 측정 회로(17)의 구체적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캡슐형 내시경(2)으로부터 피검체 밖의 수신 장치(3)에 공급되는 송신 신호는 임피던스 측정 회로(17)를 통과하여 송신되어 전극 선택 회로(16)에 의해 선택된 2개의 송신 전극에 공급된다. 여기서, 시스템 제어 회로(18)로부터 전압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전극 선택 회로(16)는, 2개의 송신 전극 사이에 임피던스 측정 회로(17)로부터의 송신 신호에 따른 전압이 생성되도록 송신 전극(A1~An)의 접속을 전환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송신 전극 중 한쪽이 임피던스 측정 회로(17)에 접속되고, 다른 쪽이 그라운드에 접속된다.
또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임피던스 측정 회로(17)는 브랜치 라인 커플러 회로(19)와, 드라이버 회로(20)와 A/D 변환 회로(21)를 갖는다.
브랜치 라인 커플러 회로(19)는 정합 회로(15)로부터 입력되는 송신 신호를 전극 선택 회로(16)에 의해 선택된 2개의 송신 전극에 분배하고, 또한 전극 선택 회로(16)에 의해 선택된 2개의 송신 전극과 피검체 내의 임피던스 부정합에 의해 발생되는 반사 신호를 시스템 제어 회로(18)에 분배한다.
드라이버 구동 회로(20)는 브랜치 라인 커플러 회로(19)에 의해 분배된 반사 신호를 증폭하고, 증폭된 신호를 A/D 변환 회로(21)에 출력한다. A/D 변환 회로(21)는 드라이버 회로(20)로부터 아날로그 신호로서 출력되는 반사 신호를 시스템 제어 회로(18)에 의해 처리될 수 있도록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구성이 구비되면, 2개의 송신 전극 사이의 임피던스의 절대값에 따른 신호 강도가 검출될 수 있다. 또한, 시스템 제어 회로(18)가 2개의 송신 전극 사이의 임피던스가 정합 조건의 임계값에 합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면, 전극 선택 회로(16)의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여기서, 임피던스 측정 회로(17)에 있어서 브랜치 라인 커플러 회로(branch line coupler circuit)(19) 대신에, 예컨대, 서큘레이터 회로(circulator circuit)나 방향성 결합 회로(directional coupler circuit)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브랜치 라인 커플러 회로(19)도 집중 상수 소자(lumped constant element)를 이용할 뿐만 아니라, 예컨대, 마이크로스트립 라인 등의 분포 상수 소자(distributed constant element)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임피던스 측정 방법으로서, 브랜치 라인 커플러를 이용한 방법 대신에, Ⅰ-Ⅴ 컨버터를 사용한 자동 평균 브리지(auto-balance bridge)를 이용한 방법이 채용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피검체(1)와 피검체(1) 내에 도입되어 이동하는 캡슐형 내시경(2)의 송신 전극(A1~An)의 사이에서 접촉 상태가 변화하고, 이 결과, 출력 임피던스가 변화하더라도, 캡슐형 내시경(2)의 외주면에 배치된 복수의 송신 전극으로부터 최적의 전극이 선택될 수 있어 피검체(1)에 안정 적인 송신 신호의 공급이 가능하다.
즉, 피검체(1)와 캡슐형 내시경(2)의 외주면상에 배치된 송신 전극 사이의 접촉 상황이 변화하면, 전극은 임피던스 부정합에 의한 송신 전력 손실이 감소되는 임피던스 조건(즉, 임피던스가 규정된 범위 내)을 만족하는 다른 2개의 전극으로 전환되어 전환된 전극에서 송신이 행해진다. 따라서, 송신 전력 손실이 감소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어, 피검체에 계속적으로 안정한 송신 신호가 공급될 수 있다.

Claims (4)

  1. 피검체 내에 도입되어 피검체 내 정보를 취득하고, 그 취득한 피검체 내 정보를 상기 피검체를 통해 외부로 송신하는 캡슐형 내시경으로서,
    상기 캡슐형 내시경의 외주면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전극과,
    상기 복수의 전극 중에서 송신 전력 손실이 적은 2개의 전극을 상기 피검체 내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이용되는 송신 전극으로서 선택하는 전극 선택 수단과,
    상기 전극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2개의 송신 전극을 사용하여, 상기 피검체 내 정보를 상기 피검체의 외부로 송신하는 송신 수단
    을 구비하는 캡슐형 내시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선택 수단은 상기 복수의 전극 중 2개의 전극 사이의 임피던스에 따라 상기 송신 전극을 선택하는 캡슐형 내시경.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선택 수단은 상기 복수의 전극 중에서 선택된 2개의 전극 이외의 선택되지 않은 전극의 전위를 소정의 저전위로 감소 또는 소정의 고전위로 증가시 키는 것을 더 행하는 캡슐형 내시경.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선택 수단은 상기 복수의 전극 중에서 선택된 2개의 전극 이외의 선택되지 않은 전극의 전위를 소정의 저전위로 감소 또는 소정의 고전위로 증가시키는 것을 더 행하는 캡슐형 내시경.
KR1020097010747A 2006-11-27 2007-10-23 캡슐형 내시경 KR1013170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319145A JP5086618B2 (ja) 2006-11-27 2006-11-27 カプセル型内視鏡
JPJP-P-2006-319145 2006-11-27
PCT/JP2007/070982 WO2008065839A1 (en) 2006-11-27 2007-10-23 Capsule type endoscop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5634A KR20090085634A (ko) 2009-08-07
KR101317043B1 true KR101317043B1 (ko) 2013-10-11

Family

ID=39464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0747A KR101317043B1 (ko) 2006-11-27 2007-10-23 캡슐형 내시경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221314B2 (ko)
EP (1) EP2086383A4 (ko)
JP (1) JP5086618B2 (ko)
KR (1) KR101317043B1 (ko)
WO (1) WO200806583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4035A (ko) * 2019-12-11 2021-06-21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캡슐형 내시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OP20080381B1 (ar) * 2007-08-23 2023-03-28 Amgen Inc بروتينات مرتبطة بمولدات مضادات تتفاعل مع بروبروتين كونفيرتاز سيتيليزين ككسين من النوع 9 (pcsk9)
US8162828B2 (en) * 2007-11-08 2012-04-24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Blood content detecting capsule
US20100329520A2 (en) * 2007-11-08 2010-12-30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Method and System for Correlating Image and Tissue Characteristic Data
US9131847B2 (en) * 2007-11-08 2015-09-15 Olympu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bnormal living tissue
US9017248B2 (en) * 2007-11-08 2015-04-28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Capsule blood detection system and method
KR100953562B1 (ko) * 2007-12-17 2010-04-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인체 통신 시스템 및 방법
TW201008542A (en) * 2008-08-26 2010-03-01 Everest Display Inc Capsule endoscope with embedded metal contacts
JP5096268B2 (ja) * 2008-09-02 2012-12-12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カプセル誘導システム
KR100906464B1 (ko) * 2008-11-26 2009-07-08 주식회사 인트로메딕 내시경 및 그 작동방법
JP5284846B2 (ja) * 2009-03-30 2013-09-11 オリンパス株式会社 生体内観察システム、該生体内観察システムの作動方法
JP2010240104A (ja) * 2009-04-03 2010-10-28 Olympus Corp 体内観察システム、該体内観察システムの駆動方法
KR101329847B1 (ko) * 2010-07-26 2013-11-14 주식회사 팬택 인체통신을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1276162B1 (ko) * 2011-04-05 2013-06-18 주식회사 인트로메딕 캡슐 내시경 장치, 캡슐형 내시경 장치의 영상 처리 방법 및 캡슐형 내시경 장치로부터 전송된 영상의 처리 장치
KR101347142B1 (ko) * 2012-04-06 2014-01-09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송수신 전극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력 전송 방법
KR20180001043A (ko) * 2016-06-24 2018-01-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캡슐 내시경, 그것을 포함하는 이미지 처리 시스템 및 그것에 포함되는 이미지 부호화 장치
KR102188758B1 (ko) * 2018-12-13 2020-12-09 주식회사 인트로메딕 인체통신을 이용하여 신호를 전달하는 인체 삽입 장치
KR102275776B1 (ko) * 2019-11-29 2021-07-13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캡슐 내시경용 체내 적응형 안테나 시스템
CN113285766B (zh) * 2020-02-20 2022-12-1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人体通信的信号传输方法与装置、人体通信收发器
KR102655756B1 (ko) 2020-12-09 2024-04-08 주식회사 엔도핀 캡슐 내시경 장치
KR20220099092A (ko) 2021-01-05 2022-07-12 주식회사 엔도핀 캡슐 내시경 제어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24774A (ja) 2005-05-17 2006-11-30 Sony Corp 通信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11766A (en) * 1970-03-02 1973-01-16 Jones & Laughlin Steel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measuring resultant tension forces in steel strip by sequentially establishing flux paths across said strip
IL163684A0 (en) * 2000-05-31 2005-12-18 Given Imaging Ltd Measurement of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issue
KR100522132B1 (ko) * 2003-01-25 2005-10-1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인체통신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수신방법 및 수신장치
KR100873683B1 (ko) * 2003-01-25 2008-12-1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인체통신방법, 인체통신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캡슐형 내시경
WO2005044094A1 (ja) * 2003-11-11 2005-05-19 Olympus Corporation カプセル型医療装置システム、及びカプセル型医療装置
KR100723307B1 (ko) * 2005-10-25 2007-05-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통신 장치
KR100799571B1 (ko) * 2006-06-20 2008-01-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인체를 이용한 통신장치 및 그 방법
US20090304093A1 (en) * 2006-08-01 2009-12-10 Intromedic. Co., Ltd Transmitting devic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a medium
JP4805056B2 (ja) * 2006-08-02 2011-11-02 オリンパス株式会社 被検体内導入装置、体外受信装置、及び被検体内情報収集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24774A (ja) 2005-05-17 2006-11-30 Sony Corp 通信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4035A (ko) * 2019-12-11 2021-06-21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캡슐형 내시경
KR102331477B1 (ko) * 2019-12-11 2021-11-29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캡슐형 내시경
US11909431B2 (en) 2019-12-11 2024-02-20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Chosun University Capsule-type endoscope capable of two-way communi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125623A1 (en) 2008-05-29
WO2008065839A1 (en) 2008-06-05
EP2086383A1 (en) 2009-08-12
JP5086618B2 (ja) 2012-11-28
KR20090085634A (ko) 2009-08-07
JP2008132050A (ja) 2008-06-12
EP2086383A4 (en) 2010-10-27
US8221314B2 (en) 2012-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7043B1 (ko) 캡슐형 내시경
US20100137708A1 (en) Intra-subject position detection system and intra-subject position detection method
JP4805056B2 (ja) 被検体内導入装置、体外受信装置、及び被検体内情報収集システム
US8175559B2 (en) Receiving apparatus
KR100522132B1 (ko) 인체통신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수신방법 및 수신장치
JP4286127B2 (ja) 被検体内位置検出システム
KR20060003052A (ko) 무선형 피검체 내 정보 취득 시스템, 피검체 내 도입 장치및 피검체 외부 장치
JP4751696B2 (ja) 受信装置
WO2018070215A1 (ja) 受信アンテナ、受信アンテナユニット、受信システム及び受信装置
US20200373955A1 (en) Receiving device and receiving method
JP4198022B2 (ja) 電力供給装置および電力供給システム
KR100980956B1 (ko) 간이 화상 표시 장치 및 수신 시스템
KR20150098505A (ko) 캡슐 내시경
JP2005334080A (ja) 被検体内導入装置および医療装置
JP2006149686A (ja) 位置検出装置および被検体内導入システム
JP2006075244A (ja) 受信装置
JP2005334540A (ja) 受信装置、電力供給装置および受信システム
JP2006080797A (ja) 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