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6602B1 - 차량의 엔진 직결형 발전 장치의 변속기측 커플링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엔진 직결형 발전 장치의 변속기측 커플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6602B1
KR101316602B1 KR1020130081656A KR20130081656A KR101316602B1 KR 101316602 B1 KR101316602 B1 KR 101316602B1 KR 1020130081656 A KR1020130081656 A KR 1020130081656A KR 20130081656 A KR20130081656 A KR 20130081656A KR 101316602 B1 KR101316602 B1 KR 101316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key
vehicle
transmission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1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태봉
조윤호
이기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맥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맥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맥시스
Priority to KR1020130081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66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6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66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8Structural association of electric generators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e.g. with turbines
    • H02K7/1807Rotary generators
    • H02K7/1815Rotary generator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reciprocating piston engi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의 차량용 알터네이터와는 별개로 차량의 엔진과 변속기 사이에 직접 결합되어 엔진을 원동 기구로 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차량의 엔진 직결형 발전 장치의 변속기측 커플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차량의 엔진 직결형 발전 장치의 변속기측 커플링 장치는 차량 전장품에 전력을 공급하는 알터네이터가 엔진과 변속기 사이에 병렬로 연결된 차량의 엔진과 변속기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고, 엔진측 출력 샤프트 및 변속기측 입력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여 회전 자계를 발생시키는 회전자 조립체 및 상기 회전자 조립체의 주위에 고정 설치되어 회전 자계에 의해 교류 전기를 발생시키는 고정자 조립체를 구비한 차량의 엔진 직결형 발전 장치에 적용되되, 상기 회전자 조립체를 구성하는 회전자 코어가 삽입되는 외주면을 갖는 회전자코어 삽입부, 상기 회전자코어 삽입부의 좌측에 상기 회전자코어 삽입부와 일체로 형성되되 외주면에는 키결합용 기어가 형성되어 있는 엔진측 기어키부 및 상기 회전자코어 삽입부의 중심을 가로지르는 중심축의 우측단부에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키결합용 기어가 형성되어 있는 변속기측 기어키부를 포함하는 회전자 샤프트 및 속이 빈 원통체로 이루어지고 내주면에는 상기 회전자 샤프트의 상기 변속기측 키기어부에 키결합되는 키결합용 기어가 형성되어 있는 키결합용 보어 및 탄성을 갖는 원판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키결합용 보어의 우측단부에 고정 결합되는 탄성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변속기측 커플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차량의 엔진 직결형 발전 장치의 변속기측 커플링 장치{transmission coupling apparatus for electricity generating apparatus coupled directly with engine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엔진 직결형 발전 장치의 변속기측 커플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엔진과 변속기 사이에 직접 결합되어 엔진을 원동 기구로 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차량의 엔진 직결형 발전 장치에 적용 가능한 변속기측 커플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차량에는 차량에 구비된 각종 전장품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발전기가 구비되는데, 배터리는 차량이 정지된 상태에서 시동을 걸거나 오디오 기기를 동작시키는데 주로 사용되고, 발전기는 차량의 시동이 걸린 상태에서 엔진을 원동 기구로 하여 전기를 생산한 후에 이를 차량의 각종 전장품에 공급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차량의 발전기를 통상적인 용어로 제너레이터(generator)라고 하며, 더 구체적인 용어로 교류 발전기를 의미하는 알터네이터(alternateor)라고 한다.
도 1은 종래 차량의 발전 계통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차량의 발전 계통은 회전자(64)와 고정자(62)로 이루어진 발전기(60), 엔진(10)과 변속기(20) 연결축에 키 결합되어 이들과 함께 회전하는 구동 풀리(30), 발전기(60)의 회전자 샤프트(66)에 키 결합되어 발전기 회전자(64)와 함께 회전하는 종동 풀리(40), 구동 풀리(30)와 종동 풀리(40)를 연결하는 벨트(50) 및 발전기(60)의 고정자(62)에 연결되어 발전기(60)에 의해 생산된 전기를 충전하는 배터리(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엔진(10)의 출력 샤프트가 회전하면 그 회전력이 변속기(20)에 전달됨과 함께 구동 풀리(30)를 통해 벨트(50)에도 전달됨으로써 그 샤프트가 종동 풀리(40)와 키 결합된 발전기(60)의 회전자(64)가 함께 회전하게 되고, 이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 자계에 의해 고정자(62) 코일에서 전기가 발생되게 된다. 이러한 전기는 도시하지 않은 정류기 등을 통해 직류 전원으로 변환된 후에 차량의 각종 전장품을 동작시킴과 함께 배터리를 충전하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차량용 발전기는 단순히 차량의 엔진이 동작하는 동안에 차량용 전장품을 구동시키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전력, 예를 들어 1~2㎾ 정도의 소규모 전력만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이러한 종래의 차량용 발전기로는 레저용 또는 긴급 구호용 등의 차량 외부의 각종 전장품을 원활하게 동작시킬 수가 없다. 결과적으로, 레저용 또는 긴급 구호용 등의 차량 외부의 전장품을 야외에서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화석 원료로 동작하는 독립적인 발전기를 차량에 싣고 다녀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한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0-309226호에는 차량의 엔진과 변속기 사이에 직결되어 종래 차량의 알터네이터와 스타터의 기능을 겸비하는 발전 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나 이 역시 차량 내부의 전장품을 동작시키는 용도로 제안되었기 때문에 레저용 또는 긴급 구호용 등의 차량 외부의 전장품을 동작시키기에는 발생 전력이 너무 작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기존의 차량용 알터네이터와는 별개로 차량의 엔진과 변속기 사이에 직접 결합되어 엔진을 원동 기구로 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차량의 엔진 직결형 발전 장치의 변속기측 커플링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의 엔진 직결형 발전 장치의 변속기측 커플링 장치는 차량 전장품에 전력을 공급하는 알터네이터가 엔진과 변속기 사이에 병렬로 연결된 차량의 엔진과 변속기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고, 엔진측 출력 샤프트 및 변속기측 입력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여 회전 자계를 발생시키는 회전자 조립체 및 상기 회전자 조립체의 주위에 고정 설치되어 회전 자계에 의해 교류 전기를 발생시키는 고정자 조립체를 구비한 차량의 엔진 직결형 발전 장치에 적용되되, 상기 회전자 조립체를 구성하는 회전자 코어가 삽입되는 외주면을 갖는 회전자코어 삽입부, 상기 회전자코어 삽입부의 좌측에 상기 회전자코어 삽입부와 일체로 형성되되 외주면에는 키결합용 기어가 형성되어 있는 엔진측 기어키부 및 상기 회전자코어 삽입부의 중심을 가로지르는 중심축의 우측단부에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키결합용 기어가 형성되어 있는 변속기측 기어키부를 포함하는 회전자 샤프트 및 속이 빈 원통체로 이루어지고 내주면에는 상기 회전자 샤프트의 상기 변속기측 키기어부에 키결합되는 키결합용 기어가 형성되어 있는 키결합용 보어 및 탄성을 갖는 원판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키결합용 보어의 우측단부에 고정 결합되는 탄성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변속기측 커플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탄성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는 외측 방향으로 수직 형성되어 있는 수직 림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차량의 엔진 직결형 발전 장치의 변속기측 커플링 장치에 따르면, 차량에 기 구비된 알터네이터와는 별개로 차량의 엔진과 변속기 사이에 발전기를 직렬로 연결함으로써 차량 주행시에 큰 동력 손실을 초래하지 않으면서도 차량의 아이들링 상태에서 레저용 또는 긴급 구호용 등으로 차량 외부에 10㎾ 내외의 상대적인 대전력을 공급할 수가 있고, 이에 따라 화석연료 발전기를 따로 실어 날라야 하는 불편함을 제거할 수 있다.
더욱이, 변속기측 입력 샤프트가 변속기측 커플러의 탄성 플레이트에 결합되기 때문에 비록 변속기의 토크 컨버터에 의해 축 방향 하중이 인가되더라도 탄성 플레이트의 판스프링 작용에 의해 이러한 축 방향 하중이 흡수되고, 결과적으로 이러한 축방향 하중이 발전기의 회전자 샤프트에는 인가되지 않게 된다.
도 1은 종래 차량의 발전 계통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엔진 직결형 발전 장치를 구비한 차량의 발전 계통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차량의 엔진 직결형 발전 장치를 엔진측 커플러 및 변속기측 커플러 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4a, 도 4b 및 도 4c는 각각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차량의 엔진 직결형 발전 장치의 정면도,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차량의 엔진 직결형 발전 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6은 도 4a에서 A-A선을 취하여 본 종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차량의 엔진 직결형 발전 장치가 엔진 및 변속기에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차량의 엔진 직결형 발전 장치의 변속기측 커플링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엔진 직결형 발전 장치를 구비한 차량의 발전 계통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인바, 도 1과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차량의 엔진 직결형 발전 장치에 따르면, 종래 차량의 알터네이터와는 별개로 엔진(10)과 변속기(20)의 연결축 사이에 종래 알터네이터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전력, 예를 들어 10㎾ 내외의 대전력을 생산하는 발전기(100), 바람직하게는 교류 발전기가 직접 결합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엔진(10)과 발전기(100) 및 변속기(20)가 직렬로 연결되는데, 차량의 주행시에는 통상적으로 발전기(100)에서 발생된 전력이 사용되지 않고 엔진의 공회전 상태, 즉 아이들링 상태에서만 발전기(100)에서 발생된 전력이 사용된다(물론 주행시에도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차량이 주행중이어서 발전기(100)가 무부하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비록 엔진(10)과 변속기(20) 사이에 발전기(100)가 개재된다 하더라도 엔진(10)에서 발생된 동력이 거의 손실됨이 없이 변속기(20)에 전달되게 된다.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차량의 엔진 직결형 발전 장치를 엔진측 커플러 및 변속기측 커플러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4a, 도 4b 및 도 4c는 각각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차량의 엔진 직결형 발전 장치의 정면도,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차량의 엔진 직결형 발전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a에서 A-A선을 취하여 본 종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차량의 엔진 직결형 발전기는 가로로 누은 형상의 중공의 원통체로 이루어진 외부 하우징(110); 가로로 누은 형상의 중공의 통체로 이루어지며 복수의 고정자 코일을 지지한 채로 외부 하우징(110)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는 고정자 하우징(122)과 고정자 하우징(122)의 내주면을 따라 고정 설치되는 복수의 고정자 코일 뭉치(124)로 이루어진 고정자 조립체(120); 중심에 회전자 샤프트(134)가 구비된 원통체로 이루어진 회전자 코어(132)와 회전자 코어(132)의 외주면을 따라 고정 설치되는 복수의 자석(136), 예를 들어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져서 고정자 조립체(12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자 조립체(130); 회전자 샤프트(134)의 엔진측 단부와 엔진(10)의 출력단 사이에 개재되어 발전기(100)와 엔진(10) 사이에서 발생하는 축하중을 완화시키는 엔진측 커플러(140) 및 회전자 샤프트(134)의 변속기측 단부와 변속기(20)의 입력단 사이에 개재되어 발전기(100)와 변속기(20) 사이에서 발생하는 축하중을 완화시키는 변속기측 커플러(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서, 외부 하우징(110)은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알루미늄을 사용한 주조 또는 다이캐스팅 공법에 의해 제작될 수 있는데, 적소에는 고정자 조립체(120)를 냉각시키는 냉각수의 순환을 위한 냉각수 유입구(112)와 냉각수 유출구(미도시)가 마련되어 있다. 외부 하우징(110)에는 또한 고정자 조립체(120)에서 발생된 3상 교류 전기가 출력되는 터미널 및 외부 하우징(110)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자 조립체(130)의 회전각도(회전수)를 감지하는 리졸버의 센싱값이 출력되는 센서 출력 터미널이 통합되어 있는 터미널 박스(114)가 마련되어 있다.
다음으로 고정자 하우징(122) 역시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알루미늄을 주조 또는 다이캐스팅하여 제작될 수 있는데, 그 외주면에는 외주면을 나선형으로 복수 회(回) 감싸는 형태의 홈으로 이루어진 냉각수 순환홈(122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고정자 하우징(122)의 외주면이 외부 하우징(110)의 내주면에 밀착 결합됨으로써 냉각수 순환홈(122a)이 냉각수 순환로로 기능하게 된다. 외부 하우징(110)의 냉각수 유입구(112)와 냉각수 유출구는 각각 고정자 하우징(122)의 냉각수 순환홈(122a)의 일측 단부 및 타측 단부와 연통되어 있다.
고정자 하우징(122)에는 그 내주면을 따라 복수의 고정자 코일 뭉치(124)가 고정적으로 설치되는데, 이러한 각각의 고정자 코일 뭉치(124)는 코일이 보빈에 권취된 채로 고정자 코어에 고정되어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회전자 조립체(130)는 원주를 따라 복수의 수납 포켓이 형성되어 있는 회전자 코어(132), 회전자 코어(132)의 각 수납 포켓에 수납되어 고정되는 영구자석(136) 및 회전자 코어(132)의 내주면에 회전자 코어(132)와 함께 회전하도록 결합, 예를 들어 키 겹합되는 회전자 샤프트(1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회전자 샤프트(134)는 다시 회전자 코어(132)가 삽입되는 외주면으로 이루어진 회전자코어 삽입부(134a), 회전자코어 삽입부(134a)의 좌측에 회전자코어 삽입부(134a)와 일체로 형성되되 외주면에는 키결합용 기어가 형성되어 있는 엔진측 기어키부(134b) 및 회전자코어 삽입부(134a)의 중심을 가로지르는 중심축의 우측단부에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키결합용 기어가 형성되어 있는 변속기측 기어키부(134c)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자코어 삽입부(134a)는 좌측이 폐쇄되고 우측은 개방된 원통체로 이루어지고 중심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변속기측 기어키부(134c)를 형성하기 위한 중심축이 가로지르는데, 상기 중심축과 회전자코어 삽입부(134a)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회전자 조립체(130)를 외부 하우징(110)에 대해 마찰없이 회전하도록 결합하는 베어링, 예를 들어 볼 베어링(138)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엔진(10)의 출력측 샤프트를 발전기(100)의 회전자 조립체(130)에 연결하는 엔진측 커플러(140)는 내주면에 기어(142a)가 형성되어 있는 중공의 결합용 원통부(142)와 결합용 원통부(142)의 일단, 즉 좌측단에 외부를 향하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엔진측 커플러(140)가 회전자 조립체(130)와 함께 회전하도록 엔진측 커플러(140)를 회전자 조립체(130)에 고정하는 브라켓(144)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결합용 원통부(142)의 내주면에 형성된 엔진측커플러 기어(142a)는 비록 물리적으로는 동일 형상 및 동일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나 기능적으로는 회전자 샤프트(134)의 엔진측 키기어부(134b)에 키결합되는 키결합용 기어부와 엔진(10)의 출력 샤프트에 스플라인 결합되는 스플라인 결합용 기어부로 구분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구성에 의해 엔진측 커플러(140)는 상기 키결합용 기어부가 회전자 샤프트(134)의 엔진측 키기어부(134b)에 키결합된 채로 회전자 조립체(130)에 고정된다. 한편, 엔진측 커플러(140)의 상기 스플라인 결합용 기어부는 엔진(10)의 출력 샤프트에 스플라인 결합됨으로써 회전자 조립체(130)에 고정되어 있는 엔진측 커플러(140)가 엔진(10)의 출력 샤프트에 대해 전후로 섭동이 가능하고, 결과적으로 조립 공차에 따라 발전기(100)의 회전자 샤프트(134)에 가해질 수 있는 축방향 하중을 무리 없이 흡수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스플라인 결합용 기어부의 좌우 길이는 조립 공차보다 크게 형성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변속기측 커플러(150)는 속이 빈 원통체로 이루어지고 내주면에는 회전자 샤프트(134)의 변속기측 키기어부(134c)에 키결합되는 키결합용 기어가 형성되어 있는 키결합용 보어(152) 및 탄성을 갖는 원판으로 이루어져서 키결합용 보어(152)의 우측단부에 고정 결합, 예를 들어 볼팅 결합되는 탄성 플레이트(15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서, 탄성 플레이트(154)는 판스프링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탄성력이 매우 큰 금속 판재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한바, 이러한 탄성 플레이트(154)의 외주 가장자리에는 탄성 플레이트(154)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수직 림(154a)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서 참조번호 154b는 변속기측 입력 샤프트와 탄성 플레이트(154)를 고정시키기 위한 볼트 관통공을 나타내는바, 탄성 플레이트(154)가 보다 큰 탄성을 갖기 위해서는 이러한 볼트 관통공이 탄성 플레이트(154)에 그 중심축보다는 수직 림에 더 근접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차량의 시동이 걸린 상태에서는 변속기(20)의 토크 컨버터(torque converter)가 축방향으로 줄었다 늘었다를 반복하게 되고, 이러한 축방향 변위에 따라 발전기(100)의 회전자 샤프트(134)에 축하중이 인가되어 발전기(100)가 손상될 수도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축방향 하중을 변속기측 커플러(150)의 탄성 플레이트(154)에 의해 흡수함으로써 발전기(100)의 회전자 샤프트(134)에 축방향 하중이 인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차량의 엔진 직결형 발전 장치가 엔진 및 변속기에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차량의 엔진 직결형 발전 장치에 따르면, 엔진측 커플러(140)의 상기 스플라인 결합용 기어부가 엔진(10)의 출력 샤프트(es)에 스플라인 결합됨으로써 회전자 조립체(130)에 고정되어 있는 엔진측 커플러(140)가 엔진(10)의 출력 샤프트(es)에 대해 전후로 섭동이 가능하고, 결과적으로 조립 공차에 따라 발전기(100)의 회전자 샤프트(134)에 가해질 수 있는 축방향 하중을 무리 없이 흡수하게 된다.
이와 함께 변속기측 입력 샤프트(ts)는 변속기측 커플러(150)의 탄성 플레이트(154)에 결합되기 때문에 비록 변속기(10)의 토크 컨버터에 의해 축 방향 하중이 인가되더라도 탄성 플레이트(154)의 판스프링 작용에 의해 이러한 축 방향 하중이 흡수되고, 결과적으로 이러한 축방향 하중이 발전기(100)의 회전자 샤프트(134)에는 인가되지 않게 된다.
이상,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차량의 엔진 직결형 발전 장치의 변속기측 커플링 장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엔진, 20: 변속기,
30: 구동 풀리, 40: 종동 풀리,
50: 벨트, 60: 발전기,
62: 고정자, 64: 회전자,
70: 배터리, 100: 발전기,
110: 외부 하우징, 112: 냉각수 유입구,
114: 터미널 박스, 120 : 고정자 조립체,
122: 고정자 하우징, 122a: 냉각수 순환홈,
124: 고정자 코일 뭉치, 130: 회전자 조립체,
132: 회전자 코어, 134: 회전자 샤프트,
134a: 회전자코어 삽입부, 134b: 엔진측 기어키부,
134c: 변속기측 기어키부, 136: 영구자석,
138: 볼베어링, 140: 엔진측 커플러,
142: 결합용 원통부, 142a: 기어,
144: 브라켓, 150: 변속기측 커플러,
152: 보어, 154: 탄성 플레이트,
154a: 수직 림, 154b: 볼트 관통공

Claims (2)

  1. 차량 전장품에 전력을 공급하는 알터네이터가 엔진과 변속기 사이에 병렬로 연결된 차량의 엔진과 변속기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고, 엔진측 출력 샤프트 및 변속기측 입력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여 회전 자계를 발생시키는 회전자 조립체 및 상기 회전자 조립체의 주위에 고정 설치되어 회전 자계에 의해 교류 전기를 발생시키는 고정자 조립체를 구비한 차량의 엔진 직결형 발전 장치에 적용되되,
    상기 회전자 조립체를 구성하는 회전자 코어가 삽입되는 외주면을 갖는 회전자코어 삽입부, 상기 회전자코어 삽입부의 좌측에 상기 회전자코어 삽입부와 일체로 형성되되 외주면에는 키결합용 기어가 형성되어 있는 엔진측 기어키부 및 상기 회전자코어 삽입부의 중심을 가로지르는 중심축의 우측단부에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키결합용 기어가 형성되어 있는 변속기측 기어키부를 포함하는 회전자 샤프트 및
    속이 빈 원통체로 이루어지고 내주면에는 상기 회전자 샤프트의 상기 변속기측 키기어부에 키결합되는 키결합용 기어가 형성되어 있는 키결합용 보어 및 탄성을 갖는 원판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키결합용 보어의 우측단부에 고정 결합되는 탄성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변속기측 커플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의 엔진 직결형 발전 장치의 변속기측 커플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는 외측 방향으로 수직 형성되어 있는 수직 림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엔진 직결형 발전 장치의 변속기측 커플링 장치.
KR1020130081656A 2013-07-11 2013-07-11 차량의 엔진 직결형 발전 장치의 변속기측 커플링 장치 KR101316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1656A KR101316602B1 (ko) 2013-07-11 2013-07-11 차량의 엔진 직결형 발전 장치의 변속기측 커플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1656A KR101316602B1 (ko) 2013-07-11 2013-07-11 차량의 엔진 직결형 발전 장치의 변속기측 커플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6602B1 true KR101316602B1 (ko) 2013-10-18

Family

ID=49638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1656A KR101316602B1 (ko) 2013-07-11 2013-07-11 차량의 엔진 직결형 발전 장치의 변속기측 커플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660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8174A (ko) * 2005-05-10 2008-02-27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엔진에 탑재되는 제너레이터/모터
KR20110004777A (ko) * 2009-07-08 2011-01-14 해밀턴 선드스트랜드 코포레이션 권선 계자 발전기용 겹쳐진 여자기 및 주 발전기 스테이지
JP2011234555A (ja) 2010-04-28 2011-11-17 Denso Corp 車両用交流発電機の配設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8174A (ko) * 2005-05-10 2008-02-27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엔진에 탑재되는 제너레이터/모터
KR20110004777A (ko) * 2009-07-08 2011-01-14 해밀턴 선드스트랜드 코포레이션 권선 계자 발전기용 겹쳐진 여자기 및 주 발전기 스테이지
JP2011234555A (ja) 2010-04-28 2011-11-17 Denso Corp 車両用交流発電機の配設構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42646B2 (en) Rotating electric machine and drive device
US6462430B1 (en) Hybrid car and dynamo-electric machine
US10500937B2 (en) Electric drive unit, hybrid drive device, and vehicle
JP5703698B2 (ja) 回転機及び車両
US9030062B2 (en) Cooling structure of rotating electric machine
US9935532B2 (en) Double-rotor type electrical rotating machines
PL203234B1 (pl) Przekształtnik elektromechaniczny
EP3493372B1 (en) Integrated starter generator and hybrid power system
JP2011507483A (ja) 電気機械変換器の作動方法、コントローラ、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938888B1 (ko) 모터와 알터네이터를 융합한 구동기계
EP2503683A1 (en) Drive system for a land craft
KR101316601B1 (ko) 차량의 엔진 직결형 발전 장치의 엔진측 커플링 장치
US20150233287A1 (en) Belt pulley arrangement for a belt drive for driving auxiliary units of a motor vehicle and method for driving an auxiliary unit of a motor vehicle connected via a belt pulley arrangement
JP2004232560A (ja) 内燃機関用補機駆動装置
KR101322358B1 (ko) 차량의 엔진 직결형 발전 장치
JP2008032135A (ja) 補機駆動装置
KR101316602B1 (ko) 차량의 엔진 직결형 발전 장치의 변속기측 커플링 장치
JP2008031937A (ja) 補機駆動装置
EP3091637A1 (en) A stator for an electrical machine of a working machine
KR101938889B1 (ko) 모터와 알터네이터를 융합한 전동차용 인휠 시스템
JP2010221775A (ja) ハイブリッド車用動力伝達装置
KR100971903B1 (ko) 동력 분할식 구동장치
WO2022161518A3 (zh) 双作用电机
KR101955029B1 (ko) 모터와 알터네이터를 병렬로 융합한 전동차용 인휠시스템
KR20150121967A (ko) 플라이휠을 이용한 자동차용 스타터 발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