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6452B1 - 원심 펌프용 유동 출력 노즐 - Google Patents

원심 펌프용 유동 출력 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6452B1
KR101316452B1 KR1020117030141A KR20117030141A KR101316452B1 KR 101316452 B1 KR101316452 B1 KR 101316452B1 KR 1020117030141 A KR1020117030141 A KR 1020117030141A KR 20117030141 A KR20117030141 A KR 20117030141A KR 101316452 B1 KR101316452 B1 KR 1013164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ck
pocket
diameter
transition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30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6857A (ko
Inventor
해지트 에스. 헌잔
마이클 에스. 버튼
Original Assignee
선다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다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선다인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20036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68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6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64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445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50/00Geometry
    • F05D2250/50Inlet or outlet
    • F05D2250/52Outl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펌프용 유동 출구는 포켓부 직경을 형성하는 포켓부를 포함하고 있다. 포켓부 하류의 목부는 포켓부 직경보다 작은 목부 직경을 형성한다.

Description

원심 펌프용 유동 출력 노즐{FLOW OUTPUT NOZZLE FOR CENTRIFUGAL PUMP}
본 발명은 원심 펌프, 더 구체적으로는 체절점(shut-off)에서 안정된 양정(head) 대 유동 성능을 제공하는 출력 노즐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원심 펌프는 저유동에서 평탄해지거나 처지는(droopy) 경향이 있는 양정 대 유동 곡선을 갖는다. 이 효과는 체절점에서 또는 제로-유동 시에 보다 현저하게 되고, 불안정한 곡선을 초래한다.
시스템 저항의 약간의 변화에 의해 큰 유동 변동이 초래될 수 있고, 및/또는 펌프 장비가 허용불가능한 유동 지점에서 작동하게 할 수 있으므로, 불안정한, 즉 처지거나 편평한 양정 대 유동 성능은 작동을 복잡하게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측면에 따른 펌프의 유동 출구가 포켓부 직경을 형성하는 포켓부를 포함하고 있다. 포켓부 하류에 목부(throat)가 포켓부 직경보다 작은 목부 직경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측면에 따른 원심 펌프는 수집기를 형성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있다. 수집기 내의 임펠러가 회전축을 따라 형성된다. 수집기에 인접한 포켓부가 포켓부 직경을 형성한다. 포켓부 하류의 목부는 포켓부 직경보다 작은 목부 직경을 형성한다.
이하의 개시된 비제한적인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특징이 당업자에게 자명해질 것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함께 수반되는 도면은 아래와 같이 간략하게 설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원심 펌프 조립체의 개괄적인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2는 라인 2-2를 따라 취한 도 1의 원심 펌프 조립체에 대한 개괄적인 횡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노즐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관련 기술 노즐을 도시하는 원심 펌프 조립체에 대한 개괄적인 횡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노즐의 비제한적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원심 펌프 조립체에 대한 부분 횡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에 도시되어 있는 노즐에 대한 확대 횡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노즐의 다른 비제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원심 펌프 조립체에 대한 부분적인 횡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에 도시되어 있는 원심 펌프 조립체에 대한 확대 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관련 기술 노즐과 비교되는 도 4, 도 5 및 도 8의 노즐의 전양정(TDH)/유동 곡선이다.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노즐에 인접한 포켓부를 도시하는 원심 펌프 조립체의 횡방향 치수 관계에 대한 도면이다.
도 7b는 와류 폭(volute width)에 대한 노즐의 포켓부를 도시하는 원심 펌프 조립체의 종방향 치수 관계에 대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노즐의 다른 비제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원심 펌프 조립체에 대한 부분적인 횡단면도이다.
도 1에는 원심 펌프 조립체(10)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비록, 자기 구동식 원심 펌프 조립체(10)가 개시된 비제한적인 실시예로 도시되어 있지만, 다양한 펌프가 본 명세서의 개시내용으로부터 이득을 얻게 된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펌프 조립체(10)는 일반적으로 하우징(12)과, 임펠러(14)와 내측 자석 조립체(16)와, 샤프트(18)와, 샤프트 지지부(20, 22)와, 봉쇄 쉘(24)을 포함하고 있다. 유동 입구(26)가 축(Y)을 규정하고, 샤프트(18) 둘레의 환형체와, 임펠러(14)가 둘레에서 회전하는 전방 샤프트 지지부(20)(도 2)에 의해 형성된다. 유동 출구(28)가 축(Y)과 교차하는 축(X)을 규정하고, 하우징(12) 내에 형성된 수집기(30)에 대한 접선방향 통로로서 형성되며, 상기 수집기는 유동 출구(28)가 임펠러(14)와 연통하도록 임펠러(14)를 수용하고 있다.
작동 시에, 모터(32)가 외측 자석 조립체(34)에 동력 공급하여, 내측 자석 조립체(16)의 자기 응답으로 인해 하우징(12) 내에서 임펠러(14)가 회전하게 된다. 자기 구동식 원심 펌프는, 펌프 조립체가 밀봉 요건을 최소화하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부식성 유체를 펌핑하는 데에 매우 적합하다.
도 2를 참조하면, 유동 출구(28)는 노즐(40)을 포함하고 있다. 비록, 노즐(40)은 개시되어 있는 비제한적인 실시예에서 별개의 구성부품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대안으로서 노즐(40)이 유동 출구(28) 내에 일체로 기계가공되고, 및/또는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노즐(40)은 유리하게도 현재 기술의 유동 출구(F)(관련 기술; 도3)에 비하여 체절점까지 상승하는 양정 대 유동 곡선을 제공하는 내부 형상을 형성한다.
도 4a를 참조하면, 노즐(40)은 비제한적인 일 실시예에 있어서, 대체로 포켓부(42A)와, 목부(44A)와, 변이부(46A)와, 확산부(48A)를 축(X)을 따라 포함하고 있는 노즐(40A)일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포켓부(42A)는 대체로 직경(Dp)을 규정하고, 목부(44A)는 대체로 직경(Dth)을 규정하며, 변이부(46A)는 대체로 직경(Dt)을 규정하고, 확산부(48A)는 대체로 방출 직경(Dd)을 규정한다.
포켓부(42A)는 목부(44A)의 상류의 유동 출구(28) 내에 형성될 수 있다. 포켓부는 비제한적인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별개의 노즐(40A)을 수용하는 하우징(12) 의 일부일 수 있다. 즉, 노즐(40A)은 하우징(12)과 별개로 제조된다.
노즐(40A)은 노즐(40)의 하류 단부에서 방출부(50A)를 형성한다. 목부(44A)는 대체로 원통형이고, 포켓부(42A)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다. 목부(44A)는 변이부(46A)와 연통하고 있다. 변이부(46A)는 확산부(48A)와 연통하는 비교적 짧은 절두원추형일 수 있다. 확산부(48A)는 비교적 긴 절두원추형일 수 있다.
노즐(40) 구성은 유동이 설정되는 한 방출부(50A)에서의 압력 회복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저 유동 또는 제로 유동에서는 압력 회복이 있더하더라도 거의 없고, 이러한 압력 회복은 전양정(Total Dynamic Head)(TDH)/유동 곡선에 의해 도시되는 바와 같은 종래의 관련 기술 구성(도 3)의 강하성 양정 대 유동 곡선 유형을 초래할 수 있다. 목부(44A)를, 임펠러(14)로부터 확산부(48A)와 결합된 유동 출구(28) 방출 통로 내로 역방향 변위시킴으로써 체절점까지 유리한 상승성 곡선이 촉진된다.
도 5a를 참조하면, 노즐(40)의 다른 비제한적인 실시예가 대체로 포켓부(42B)와, 목부(44B)와, 변이부(46B)와, 확산부(48B)를 축(X)을 따라 형성하는 노즐(40B)일 수 있다. 변이부(46B)는 대체로 목부(44B) 직경(Dth)(도 5b)으로부터 직경(Dt)으로 변화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노즐(40A)은 전양정(TDH)/유동 곡선(A)을 제공하는데, 이 곡선은 안정되고 체절점까지 상승하지만, 노즐(40B){곡선(B)}과 비교하여 더 낮은 TDH 값에서 약간 평탄화되는 경향이 있다. 목부(44)의 직경 및 길이가 전양정/유동 곡선 형상을 변화시키지만, 곡선은 안정되게 유지된다.
포켓부(42)는 축(X)을 따라(도 7a) 펌프 회전축(Y)과 포켓부(42)와 목부(44) 사이의 교차부와의 사이의 각도(α)에 의해 형성되는 포켓 높이(Lp)를 형성한다. 일반적으로, 포켓부(42)는 체절점에서 곡선 형상을 안정화시킨다. 비제한적인 일실시예에 있어서, 포켓부 직경(Dp)은 와류 폭(Vw)(도 7b)와 동일하거나 더 작다.
목부 직경(Dth)은, 목부(44) 직경의 감소로 인해 더 가파른 곡선(C)이 되도록, 대체로 원하는 작동 곡선을 제어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목부 직경(Dth)은 Dp보다 작다.
변이부(46)의 형상은 또한 곡선 형상에 영향을 준다. 예를 들어, 단차형 변이부(46)(도 5a)가 체절 양정(shut-off head)을 증가시키고, 곡선 형상(곡선 B 참고)을 가파르게 하는 한편, 경사형(점진적인) 변이부(46)(도 4)는 대체로 체절 양정을 감소시키고, 곡선을 평탄화시키지만 안정되게 유지시킨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변이부(46) 직경 : Dt
Figure 112011100088575-pct00001
(1.6 to 2.1)Dth 이다.
변이부 길이 Lt
Figure 112011100088575-pct00002
0.55 Ld - Lth.
여기서,
Ld는 확산부 길이이다.
Lth는 목부 길이이다.
트리밍(trimming)이라고도 불리우는 임펠러 직경의 감소가 더 낮은 TDH 값에서의 곡선 형상을 유지시킨다(곡선 C' 및 곡선 B' 참조). 이에 따라, 다양한 임펠러 직경에 대해 성능 특성이 유지될 수 있다.
변이부의 제거(Lt = 0; 도 8)로 인하여 더 많은 유동을 전달하는 비교적 더 평탄한 형상을 가진 감소된 체절점을 초래한다. 더 높은 유동율에서 강하(drop-off)가 발생된다(곡선 D 참고). 목부 길이(Lth)는, 방출부 직경(Dd)과 정합하도록 대략 5-7도의 확산부 각도(θd)와 적절한 확산부 길이(Ld)를 유지시키는 요건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확산부(48)는 대체로 속도 수두(velosity head)를 압력으로 변환시킨다. 일반적인 확산부(48)는 2θd의 사잇각을 규정한다. 변이부(46)를 가진 노즐(40)에 있어서(도 4 및 도 5), 사잇각은 대략 10 내지 11도이다. 변이부(46)가 없는 노즐(40C)에 있어서(도 8), 사잇각은 대략 14도까지 될 수 있다.
유사한 도면부호에 의해 몇 개의 도면에 걸쳐서 대응하는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가 식별되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비록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서는 특정 구성부품 구성이 개시되어 있지만, 다른 구성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비록 특정 단계 순서가 도시, 설명 및 청구되고 있지만, 다르게 지시되어 있지 않다면 단계는 임의의 순서로 분리되거나 조합되어 수행될 수 있고, 본 발명으로부터 이익을 얻게 된다.
상기 설명은 제한적이라기보다는 예시적인 것이다. 본 명세서에는 다양한 비제한적 실시예가 개시되어 있지만, 당업자라면 상기 교시에 비추어 볼 때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보호범위 내에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보호범위 내에서는 구체적으로 설명된 것과 다르게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는 진정한 보호범위와 내용을 결정하도록 고찰되어야만 한다.

Claims (26)

  1. 펌프용 유동 출구이며,
    포켓부 직경, 포켓부 길이, 및 상기 포켓부 직경을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와류 폭에 의해 형성되는 포켓부와,
    상기 포켓부 하류의 목부로서, 상기 목부는 목부 직경 및 목부 길이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목부 직경은 상기 포켓부 직경보다 작은, 목부를 포함하며,
    상기 포켓부 길이는 목부에 의해 형성된 출구 축을 따라 포켓부와 목부 사이의 교차부와 펌프 회전축과의 사이의 각도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포켓부 직경은 포켓부의 와류 폭과 동일하거나 또는 더 작으며,
    상기 목부 직경은 상기 포켓부 직경의 0.3배와 동일하거나 또는 더 작은
    펌프용 유동 출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출구는 임펠러의 회전축과 교차하는 축을 따라 규정되는
    펌프용 유동 출구.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부의 하류에 변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변이부는 단차형 변이부를 형성하는
    펌프용 유동 출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부의 하류에 변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변이부는 경사형 변이부를 형성하는
    펌프용 유동 출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부의 하류에 변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변이부는 상기 목부 직경의 1.6 내지 2.1배인 변이부 직경을 형성하는
    펌프용 유동 출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부의 하류에 변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변이부 길이(Lt)는 Lt
    Figure 112013046003506-pct00015
    0.55Ld - Lth 에 의해 규정되고, Lth는 목부 길이이며, Ld는 상기 변이부 하류의 확산부의 확산부 길이인
    펌프용 유동 출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부의 측부는 확산부 각도를 형성하는
    펌프용 유동 출구.
  9. 원심 펌프이며,
    수집기를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수집기 내의 임펠러로서, 회전축을 갖는 임펠러와,
    상기 수집기에 인접한 포켓부로서, 포켓부 직경을 형성하는 포켓부와,
    상기 포켓부 하류의 목부로서, 상기 포켓부 직경보다 작은 목부 직경을 형성하는 목부를 포함하며,
    상기 목부 직경은 상기 포켓부 직경의 0.3배와 동일하거나 또는 더 작은
    원심 펌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부는 펌프의 하우징 내에 형성되는
    원심 펌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목부는 노즐 내에 형성되고, 상기 노즐은 상기 하우징 내에 장착되는
    원심 펌프.
  12. 삭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목부의 하류에 변이부를 더 포함하는
    원심 펌프.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변이부의 하류에 확산부를 더 포함하는
    원심 펌프.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부는 목부에 의해 형성된 출구 축을 따라 포켓부와 목부 사이의 교차부와 회전축과의 사이의 각도에 의해 형성되는 포켓 길이를 형성하는
    원심 펌프.
  16. 제15항에 있어서,
    포켓부 직경은 포켓부의 와류 폭과 동일하거나 또는 더 작으며, 상기 와류 폭은 상기 포켓부 길이 및 상기 포켓부 직경을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원심 펌프.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목부의 하류에 변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변이부는 상기 목부 직경의 1.6 내지 2.1배인 변이부 직경을 형성하는
    원심 펌프.
  18. 제17항에 있어서,
    변이부 길이(Lt)는 Lt
    Figure 112013046003506-pct00016
    0.55Ld - Lth 에 의해 규정되고, Lth는 목부 길이이며, Ld는 상기 변이부 하류의 확산부의 확산부 길이인
    원심 펌프.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변이부의 하류에 확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변이부는 5 내지 7도의 확산부 각도를 형성하는
    원심 펌프.
  2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부 및 목부는 상기 하우징의 유동 출구 내에 배치된 단일형 노즐 내에 형성되는
    원심 펌프.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형 노즐은 상기 목부의 하류에 변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변이부의 하류에 확산부를 포함하는
    원심 펌프.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부 및 목부는 유동 출구 내에 배치된 단일형 노즐 내에 형성되는
    펌프용 유동 출구.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형 노즐은 상기 목부의 하류에 변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변이부의 하류에 확산부를 포함하는
    펌프용 유동 출구.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부 직경은 포켓부의 상기 와류 폭보다 더 작은
    펌프용 유동 출구.
  25.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부 직경은 포켓부의 상기 와류 폭보다 더 작은
    원심 펌프.
  26. 제9항에 있어서,
    하우징은 내부 공동을 형성하며, 상기 내부 공동 내에 배치된 내측 자석 조립체 및 상기 하우징 외부에 배치된 외측 자석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 자석조립체는 상기 내측 자석 조립체를 통해 상기 임펠러를 회전시키기 위해 모터에 의해 동력을 공급받는
    원심 펌프.
KR1020117030141A 2009-06-17 2010-05-06 원심 펌프용 유동 출력 노즐 KR1013164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485,991 US8419358B2 (en) 2009-06-17 2009-06-17 Flow output nozzle for centrifugal pump
US12/485,991 2009-06-17
PCT/US2010/033826 WO2010147709A1 (en) 2009-06-17 2010-05-06 Flow output nozzle for centrifugal pump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6857A KR20120036857A (ko) 2012-04-18
KR101316452B1 true KR101316452B1 (ko) 2013-10-08

Family

ID=42797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30141A KR101316452B1 (ko) 2009-06-17 2010-05-06 원심 펌프용 유동 출력 노즐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419358B2 (ko)
EP (1) EP2443347B1 (ko)
JP (1) JP2012530863A (ko)
KR (1) KR101316452B1 (ko)
CN (1) CN102459918A (ko)
BR (1) BRPI1014127A2 (ko)
CA (1) CA2765508C (ko)
WO (1) WO20101477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46525B1 (de) * 2011-07-13 2017-03-29 Oase GmbH Kreiselpumpe mit Spiralgehäuse
US20130298540A1 (en) * 2012-05-08 2013-11-14 Essam Tawfik Marcus Closed-cycle hydro-jet thruster
US9695826B1 (en) * 2012-06-28 2017-07-04 James Harmon Pitot tube pump and related methods
WO2016181821A1 (ja) * 2015-05-14 2016-11-17 株式会社デンソー 遠心式送風機
CN104948504A (zh) * 2015-07-10 2015-09-30 南阳新威机电有限公司 一种电气系统及其离心泵
EP4008907A4 (en) * 2019-09-03 2022-10-19 Guangdong Midea White Home Appliance Technology Innovation Center Co., Ltd. HEAT PUMP AND CLEANING DEVICE WITH I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89159A (en) * 1979-11-29 1983-06-21 Oy E. Sarlin Ab Centrifugal pump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29496A (en) * 1929-05-22 1933-10-10 Jacuzzi Bros Inc Centrifugal force pump
US1914919A (en) * 1931-10-30 1933-06-20 Allis Chalmers Mfg Co Centrifugal pump
US2144417A (en) * 1937-01-11 1939-01-17 Claude B Schneible Sludge pump
US2268358A (en) * 1939-03-13 1941-12-30 Edward T Turner Centrifugal pump
US3071077A (en) * 1958-11-25 1963-01-01 Ingersoll Rand Co Centrifugal pump
US3162135A (en) * 1961-02-20 1964-12-22 Sundstrand Corp Centrifugal pumps
US3131642A (en) * 1962-11-30 1964-05-05 Wilfley & Sons Inc A Standpipe connection for centrifugal pumps
GB1307312A (en) * 1970-03-31 1973-02-21 Weir Pumps Ltd Pump and a diffuser for the pump
US3647314A (en) * 1970-04-08 1972-03-07 Gen Electric Centrifugal pump
NZ211792A (en) * 1984-04-18 1986-09-10 Warman Int Ltd Centrifugal pump casing
JPH0779834B2 (ja) * 1988-11-30 1995-08-30 宇部興産株式会社 歳差式遠心ポンプ
CN2491636Y (zh) * 2001-07-25 2002-05-15 上海凯泉泵业(集团)有限公司 整合模块化切线泵
JP2007051592A (ja) * 2005-08-18 2007-03-01 Ebara Corp 羽根車及びポンプ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89159A (en) * 1979-11-29 1983-06-21 Oy E. Sarlin Ab Centrifugal pum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43347A1 (en) 2012-04-25
BRPI1014127A2 (pt) 2016-04-12
US20100322761A1 (en) 2010-12-23
EP2443347B1 (en) 2015-10-14
JP2012530863A (ja) 2012-12-06
CA2765508A1 (en) 2010-12-23
CN102459918A (zh) 2012-05-16
KR20120036857A (ko) 2012-04-18
CA2765508C (en) 2014-09-09
WO2010147709A1 (en) 2010-12-23
US8419358B2 (en) 2013-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6452B1 (ko) 원심 펌프용 유동 출력 노즐
CA2911924C (en) Improvements relating to centrifugal pump impellers
US8568095B2 (en) Reduced tip clearance losses in axial flow fans
CN105041720B (zh) 一种高效大过流旋流泵准环形压水室水力设计方法
CA2911772C (en) Nozzle-shaped slots in impeller vanes
JP6126743B2 (ja) 液体を圧送するためのプロペラポンプ
JP2004353655A (ja) 遠心羽根車
US20070009352A1 (en) Method and device for reducing pressure fluctuations in an induction pipe of a water turbine or water pump or water-pump turbine
JP2009079493A (ja) 可動翼軸流ポンプ
JP2008082317A (ja) 回転および収束ハブを備えるインペラおよびディフューザ
KR20150032686A (ko) 원심펌프의 임펠러 흡입 안내장치
US7153097B2 (en) Centrifugal impeller and pump apparatus
KR101261102B1 (ko) 펌프의 성능 특성 설정 방법 및 디퓨저 베인의 제조 방법
WO2008082428A1 (en) Reduced tip clearance losses in axial flow fans
KR102132233B1 (ko) 고비중 미세슬러리용 원심펌프의 오픈형 임펠러
JP2008202415A (ja) 遠心圧縮機
KR101920418B1 (ko) 원심펌프
JP2007239674A (ja) 羽根車および遠心ポンプ
JP2006009748A (ja) 遠心圧縮機
JP2016056741A (ja) 遠心式流体機械
US11480171B2 (en) Oil pump and scroll compressor
JP2010112277A (ja) 遠心圧縮機
JP5344838B2 (ja) 流体機械
RU2239725C2 (ru) Центробежный насос
JP2017082658A (ja) 遠心ポ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