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5392B1 - 사출 금형의 사출물 취출 장치 - Google Patents

사출 금형의 사출물 취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5392B1
KR101315392B1 KR1020120063517A KR20120063517A KR101315392B1 KR 101315392 B1 KR101315392 B1 KR 101315392B1 KR 1020120063517 A KR1020120063517 A KR 1020120063517A KR 20120063517 A KR20120063517 A KR 20120063517A KR 101315392 B1 KR101315392 B1 KR 1013153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injection
guide
pin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3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호
Original Assignee
경성정밀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성정밀주식회사 filed Critical 경성정밀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3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53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5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5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4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 B29C45/4471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using flexible or pivotable undercut form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005Ejector constructions; Ejector operat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4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 B29C2045/445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using the movable undercut forming element for ejection of the moulded art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출 금형에 있어 언더 컷을 가지는 사출물을 취출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바깥쪽 반대 방향으로 일정 곡률을 이루도록 가이드 홀이 형성되어 가동 형판의 하부 일 측에 구비되는 제1 고정 가이드 판과;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바깥쪽 반대 방향으로 일정 곡률을 이루도록 가이드 홀이 형성되어 가동 코어부의 하부 일 측에 구비되는 제2 고정 가이드 판과; 일 단부에 변형 코어부가 구비되는 취출 핀으로 이루어져, 가이드 홀을 통해 바깥쪽 방향으로 곡률을 그리며 승강하여 언더 컷을 가지는 사출물을 밀어내는 취출 코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사출 금형의 사출물 취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사출 금형의 사출물 취출 장치{Ejecting device for injection molding}
본 발명은 사출 금형에 있어 언더 컷을 가지는 사출물을 취출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바깥쪽 반대 방향으로 일정 곡률을 이루도록 가이드 홀이 형성되어 가동 형판의 하부 일 측에 구비되는 제1 고정 가이드 판과;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바깥쪽 반대 방향으로 일정 곡률을 이루도록 가이드 홀이 형성되어 가동 코어부의 하부 일 측에 구비되는 제2 고정 가이드 판과; 일 단부에 변형 코어부가 구비되는 취출 핀으로 이루어져, 가이드 홀을 통해 바깥쪽 방향으로 곡률을 그리며 승강하여 언더 컷을 가지는 사출물을 밀어내는 취출 코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사출 금형의 사출물 취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사출 금형은, 고정 판과 가동 판의 사이에 구비되는 캐비티에 액상 수지를 주입 냉각시켜 원하는 형상의 제품을 성형하는 장치로서, 성형이 완료되면 가동 판을 하부 방향으로 이동시켜 금형을 개방한 다음 취출 핀을 작동시켜 성형된 사출물을 취출한다.
사출물을 취출함에 있어 금형의 개방 작업만으로 사출물을 빼낼 수 없는 오목한 부분을 언더 컷이라고 한다. 이러한 언더 컷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 방식 중의 하나는 도 5에 개시된 것과 같이, 일 측에 언더 컷 부분을 형성하고 있는 핀을 일정 각도 경사져 작동시켜 사출물을 취출하는 것이다.
즉, 일정 각도 기울어진 핀(10)을 구성하되, 상기 핀(10)의 일 측에는 언더 컷을 생성하기 위한 변형 코어부를 형성하여 스프링(15)에 의해 밀판(20)에 접촉하도록 한다. 이럴 경우, 금형의 개방 후 밀판(20)이 전진하면 핀(10)의 가로 방향 운동에 의해 사출물(30)의 내측에서 언더 컷을 성형한 핀(10)이 벗어나면서 사출물이 자연스럽게 취출되는 것이다. 하지만, 이 방식은 핀의 가로 방향 운동량, 밀판의 스트로크, 그리고 핀의 경사 각도 등의 정확한 설정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게다가 언더 컷이 예각을 이루는 경우 빼기 공정이 곤란하여, 언더 컷에 버어(burr)가 발생하는 등의 사출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6은 언더 컷 문제를 해결하는 다른 방식 중의 하나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45760호 및 일본 공개특허 특개평7-266344호가 그 예이다. 이 기술은 핀(340)의 일 측에 언더 컷을 생성하기 위한 변형 코어부가 형성된다는 점은 전술한 기술과 동일하나, 밀판(310)의 작동에 따라 핀(340)이 수직 상승하는 일정 시점에 핀의 상측부가 탄성적으로 복원되면서 사출물(P)을 밀어내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전술한 상이하다.
즉, 핀의 상측부를 외력이 작용하면 복원력을 가지도록 기하학적으로 구성하되, 외력이 해제되면 본래 형상으로 복원되도록 하여, 언더 컷의 형성 각도와 관계없이 핀이 가동 금형(230)의 홈을 통해 수직방향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이 기술은 일견 언더 컷의 형성 각도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는 장점은 어느 정도 기대된다. 하지만, 핀의 상측부를 기하학적으로 구성하고 이 부분에 외력을 작용하거나 해제하는 방식으로 사출물을 취출한다는 점에서 핀과 가동 금형 상호 간의 잦은 마찰에 따라 마모 문제가 심각해지는 단점이 있다. 게다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핀의 상측부 복원력이 급격하게 감소 될 수 있다는 점에서 당초에 예측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는 점에 그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 제1999-0023720호, 일본 공개특허 특개평7-266344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4576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언더 컷이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지더라도 취출 과정에서 간섭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사출물을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반복적인 취출 작업을 수행하더라도 취출 핀과 금형 상호 간의 마모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뿐 아니라, 취출 핀의 복원력 저하가 문제되지 않은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고정 코어부(15) 및 고정 형판(16)이 구비되는 고정 판(10)과, 밀판(24) 및 가동 형판(28)과 가동 코어부(25)가 구비되는 가동 판(20)으로 이루어지는 사출 금형에 있어 언더 컷을 가지는 사출물을 취출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제1 수직 관통 홀(142)과 상기 제1 수직 관통 홀(142)과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바깥쪽 방향으로 일정 곡률을 이루는 제1 가이드 홀(146)이 형성되어, 상기 가동 형판(26)의 하부 일 측에 구비되는 제1 고정 가이드 판(140)과; 상기 제1 수직 관통 홀(142)과 동일 축 상에 형성되는 제2 수직 관통 홀(162)과 상기 제2 수직 관통 홀(162)과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바깥쪽 방향으로 일정 곡률을 이루는 제2 가이드 홀(166)이 형성되어, 상기 가동 코어부(25)의 하부 일 측에 구비되는 제2 고정 가이드 판(160)과; 일정 곡률을 이루는 취출 핀(220)이 구비되되, 그 일 단부에는 변형 코어부(222)가 형성되어 상기 밀판(24)의 상승에 따라 상기 취출 핀(220)이 상기 제1 고정 가이드 판(140) 및 제2 고정 가이드 판(160)의 제1, 2 가이드 홀(146, 166)을 통해 바깥쪽 방향으로 곡률을 그리며 승강하여 상기 변형 코어부(222)에 의해 형성된 언더 컷을 가지는 사출물을 밀어내는 취출 코어와; 상기 밀판(24)의 승강에 따라 상기 제1, 2 수직 관통 홀(142, 162)을 통해 승강하여 사출물을 밀어내도록 상기 밀판(24)에 구비되는 밀핀(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특징은, 고정 코어부(15) 및 고정 형판(16)이 구비되는 고정 판(10)과, 밀판(24) 및 가동 형판(28)과 가동 코어부(25)가 구비되는 가동 판(20)으로 이루어지는 사출 금형에 있어 언더 컷을 가지는 사출물을 취출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되 각각이 바깥쪽 반대 방향으로 일정 곡률을 이루도록 제1 가이드 홀(152, 156)이 형성되어, 상기 가동 형판(26)의 하부 일 측에 구비되는 제1 고정 가이드 판(150)과;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되 각각이 바깥쪽 반대 방향으로 일정 곡률을 이루도록 제2 가이드 홀(172, 176)이 형성되어, 상기 제1 고정 가이드 판(140)과 동일 축 상의 상기 가동 코어부(25)의 하부 일 측에 구비되는 제2 고정 가이드 판(170)과; 상호 간에 반대 방향의 일정 곡률을 그리는 좌, 우 취출 핀(240, 260)이 구비되되 각각의 일 단부에는 변형 코어부(242, 262)가 형성되어, 상기 밀판(24)의 상승에 따라 상기 좌, 우 취출 핀(240, 260)이 상기 제1 고정 가이드 판(150) 및 제2 고정 가이드 판(170)의 제1, 2 가이드 홀을 통해 상호 간에 반대의 바깥쪽 방향으로 곡률을 그리며 승강하여 상기 변형 코어부(242, 262)에 의해 형성된 언더 컷을 가지는 사출물을 밀어내는 취출 코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에 있다.
상기 밀판(24)의 상부 일 측에는 가이드 장 홈(120)이 형성되고; 상기 취출 핀(220)의 타단부는 상기 가이드 장 홈(120) 내부에 위치하는 이동판(230)과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밀판(24)의 상부 일 측에는 가이드 장 홈(120)이 형성되고; 상기 좌, 우 취출 핀(240, 260)의 각 타단부는 상기 가이드 장 홈(120) 내부에 위치하며 상호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판(250, 270)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장 홈(120)은 좌, 우 공간으로 분리되며, 상기 각 이동판(250, 270)이 각각의 공간에서 병진 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 측 단부에 언더 컷을 형성하는 변형 코어부가 구비된 취출 핀을 일정 곡률을 이루며 승강하는 구조 또는, 일 측 단부에 언더 컷을 형성하는 변형 코어부가 구비되되 상호 간에 반대 방향으로 일정 곡률을 그리며 승강하는 좌, 우 한 쌍의 취출 핀 구성을 제안함으로써, 언더 컷이 어떠한 형상 및 각도로 이루어지더라도 취출 핀이 상승하는 과정에서 밀핀 과의 간섭 현상이나, 취출 핀 상호 간에 간섭 현상을 원천적으로 배제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본 발명은 취출 핀의 이동을 가이드 함에 있어 동일한 곡률을 가지며 형성되는 가이드 홀을 이용하는 구성을 제안함으로써, 취출 핀의 마모가 발생하지 않아 반복적인 사출 작업을 수행하더라도 언더 컷을 정밀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해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사출 금형의 사출물 취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 구성도.
도 2는 도 1 개시 실시예의 개략적인 작동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사출 금형의 사출물 취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 구성도.
도 4는 도 3 개시 실시예의 개략적인 작동 구성도.
도 5는 종래 사출 금형의 사출물 취출 장치의 개략적인 일 구성도.
도 6은 종래 사출 금형의 사출물 취출 장치의 개략적인 다른 구성도.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본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자명한 사항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사출 금형의 사출물 취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 구성도이며, 도 2는 도 1에 개시된 실시예의 개략적인 작동 구성도를 보여준다. 도면에 개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제1 고정 가이드 판(140)과 제2 고정 가이드 판(160), 그리고 취출 코어(200) 및 밀핀(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 고정 가이드 판(140)은 상기 가동 형판(26)의 하부 일 측에 구비되어 후술할 취출 핀(220)의 운동을 가이드 하는 부분이다. 제1 고정 가이드 판(140)에는 제1 수직 관통 홀(142)과, 상기 제1 수직 관통 홀(142)과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바깥쪽 방향으로 일정 곡률을 이루는 가이드 홀(146)이 형성된다.
상기 제2 고정 가이드 판(160)은 제1 고정 가이드 판(140)과 더불어 취출 핀(220)의 운동을 가이드 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제1 고정 가이드 판(140)과 동일 축 상의 상기 가동 코어부(25)의 하부 일 측에 구비된다. 제1 고정 가이드 판(140)과 동일하게 제2 고정 가이드 판(160)에도 제2 수직 관통 홀(162)과, 상기 제2 수직 관통 홀(162)과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바깥쪽 방향으로 일정 곡률을 이루는 가이드 홀(166)이 형성된다.
상기 제2 수직 관통 홀(162)은 제1 수직 관통 홀(142)과 동일 축 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면에 표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 고정 가이드 판의 경우와 유사하게 제2 고정 가이드 판 역시 볼트 등과 같은 다양한 체결 수단을 이용하여 가동 코어부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취출 코어(200)는 언더 컷을 가지는 사출물을 밀어내는 부분으로서, 취출 코어에는 일정 곡률을 이루는 취출 핀(220)이 구비되며, 상기 취출 핀(220)의 일 단부에는 변형 코어부(222)가 형성된다. 상기 변형 코어부(222)는, 고정 형판(16)에 구비되는 고정 코어부(15)와 가동 형판(28)에 구비되는 가동 코어부(25)와 더불어 코어부를 형성한다. 특히, 상기 변형 코어부는 사출물의 언더 컷을 형성하게 되며, 그 형상은 개시된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면부호 17, 27 각각은 고정 코어부(15) 및 가동 코어부(25)의 내부 성형면이며, C는 캐비티이다.
상기 제1, 2 고정 가이드 판(140, 160) 각각에 형성되는 제1, 2 가이드 홀(146, 166)의 곡률은 상기 취출 핀(220)의 곡률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취출 핀(220)이 제1, 2 가이드 홀(146, 166)을 관통하여 승, 하강해야 함을 감안하면, 제1, 2 가이드 홀의 수평 폭은 취출 핀의 수평 폭 보다 조금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한편, 상기 제1, 2 고정 가이드 판(140, 160) 각각의 장착 위치는 취출 핀이 이루는 곡률, 취출 핀의 승, 하강 정도, 그리고 금형의 구조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해야 하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결정할 일이 아니다.
상기 밀핀(300)은 사출물을 밀어내는 주된 핀으로서 밀판(24)에 구비되어 상기 밀판(24)의 승강에 따라 제1, 2 고정 가이드 판(140, 160) 각각에 형성되는 제1, 2 수직 관통 홀(142, 162)을 통해 승강하게 된다. 상기 밀핀(300)의 단부는 언더 컷이 형성되지 않은 사출물의 일면 부위와 접한 상태에서, 밀판(24)이 상승하면 취출 핀(220)과 함께 사출물(P)을 밀어낸다.
한편, 본 발명은 밀판(24)의 상부 일 측에 가이드 장 홈(120)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 장 홈(120) 내부에서 병진 운동하는 이동판(230)을 취출 핀(220)의 타단부와 결합하는 구성을 제안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밀판(24)이 상승하면 이동판(230)은 가이드 장 홈(120) 내부에서 병진 운동하게 되고, 이동판(230)과 그 단부가 결합된 취출 핀(220)은 이동판의 병진 운동에 따라 바깥쪽 방향으로 곡률을 그리며 승강하게 된다. 미설명 도면부호 226은 취출 핀과 이동판의 결합부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취출 장치의 작동 구성을 살펴본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취출 장치의 취출 핀 타단부에는 이동판이 장착되는 경우를 상정한다.
금형이 밀폐된 상태에서 게이트 러너(14)를 통해 수지 조성물이 캐비티(C)로 주입되어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사출물(P)이 경화된다. 사출물(P)이 경화되면, 고정 판(10)이 가동 판(20)으로부터 분리된다. 즉, 고정 취부판(12)에 고정 결합된 고정 형판(16)이 가동 형판(28)과 분리됨에 따라, 가동 코어부(25)와 합형된 상태를 이루는 고정 코어부(15)가 사출물(P)과 분리된다.
다음으로, 밀판(24)이 상승한다. 밀판(24)이 상승하면, 밀판(24)의 상부 일 측 가이드 장 홈(120)에 위치하는 이동판(230)이 좌측 방향으로 병진 운동하게 되며, 밀핀(300)은 수직 방향으로 상승하게 된다. 이동판(230)이 좌측 방향으로 병진 운동하면, 이동판(230)과 단부가 결합되어 있는 취출 핀(220)은 상방으로 자연스럽게 상승하게 된다.
즉, 밀핀(300)은 제1, 2 고정 가이드 판(140, 160)의 제1, 2 수직 관통 홀(142, 162)을 통해 상승하면서 사출물(P)을 밀어내며, 취출 핀(220)은 제1, 2 고정 가이드 판(140, 160)의 제1, 2 가이드 홀(146, 166)을 따라 상승하면서 사출물(P)을 밀어낸다. 사출물(P)을 밀어냄에 있어, 밀핀(300)은 수직 상방으로 상승하면서 사출물(P)을 밀어내게 되고, 취출 핀(220)은 일정 곡률을 그리며 바깥 방향으로 사출물(P)을 밀어낸다.
이에 따라, 취출 핀(220)의 일 단부, 즉 사출물(P)의 언더 컷을 형성한 취출 핀(220)의 변형 코어부가 일정 곡률을 그리며 바깥 방향으로 벌어짐에 따라 언더 컷을 가지는 사출물(P)은 자연스럽게 취출 핀(220)과 분리되면서 취출되고, 다음 사출 작업을 대기하게 된다. 미설명 도면부호 26, 29 각각은 스페이서 블록과 가이드 핀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종래와 달리 취출 핀의 일 측 단부에 언더 컷을 형성하는 변형 코어부를 구성하고, 취출 핀 자체를 일정 곡률을 이루는 구조로 제안함으로써, 언더 컷이 어떠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더라도 취출 핀이 상승하는 과정에서 사출물이 자연스럽게 취출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취출 핀의 이동을 가이드 함에 있어 동일한 곡률을 가지며 형성되는 가이드 홀을 이용하는 구성을 제안함으로써, 취출 핀의 마모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종래와 달리 반복적인 사출 작업을 수행하더라도 언더 컷을 정밀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해준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사출 금형의 사출물 취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 구성도이며, 도 4는 도 2에 개시된 실시예의 개략적인 작동 구성도를 보여준다.
이 실시예는, 취출 코어를 구성함에 있어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별도의 밀핀을 두지 않는 대신에 상호 간에 반대 방향의 일정 곡률을 그리는 좌, 우 취출 핀(240, 260)을 이용하여 사출물을 취출한다는 점에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 즉, 취출 핀을 좌, 우 한 쌍으로 구성하되, 각 취출 핀의 일 단부에 변형 코어부(242, 262)를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변형 코어부(242, 262)는 상호 간에 반대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와 달리 서로 상이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취출 핀이 상호 간에 반대 방향의 일정 곡률을 그린다는 점에서, 제1 고정 가이드 판(150)에 형성되는 제1 가이드 홀(152, 156)은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각각이 바깥쪽 반대 방향으로 일정 곡률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제2 고정 가이드 판(170)에 형성되는 제2 가이드 홀(172, 176) 역시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각각이 바깥쪽 반대 방향으로 일정 곡률을 이룬다.
상기 제1, 2 고정 가이드 판(150, 170) 각각에 형성되는 제1, 2 가이드 홀의 곡률은 좌, 우 취출 핀(240, 260)의 곡률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좌, 우 취출 핀(240, 260)이 제1, 2 가이드 홀을 관통하여 승, 하강해야 함을 감안하면, 제1, 2 가이드 홀 각각의 수평 폭은 좌, 우 취출 핀의 수평 폭 보다 조금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게, 이 실시예에 있어서도 밀판(24)의 상부 일 측에 가이드 장 홈(120)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 장 홈(120) 내부에서 상호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판(250, 270)을 좌, 우 취출 핀(240, 260)의 각 타단부와 결합하는 구성을 제안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밀판(24)이 상승하면 각 이동판(250, 270)은 가이드 장 홈(120) 내부에서 반대 방향으로 병진 운동하게 되고, 이동판(250, 270)과 그 단부가 결합된 좌, 우 취출 핀(240, 260) 각각은 이동판의 반대 방향 병진 운동에 따라 상호 간에 반대의 바깥쪽 방향으로 곡률을 그리며 승강하게 된다.
또한 나아가, 본 발명은 이 경우, 상기 가이드 장 홈(120)은 좌, 우 공간으로 분리되며, 좌, 우 취출 핀(240, 260) 각각의 단부와 결합되는 각 이동판(250, 270)이 상기 분리된 공간에서 상호 간에 반대 방향으로 병진 운동하는 구성을 배제하지 않는다. 이 구성은 이동판(250, 270)이 제한된 각자의 개별 공간에서 병진 운동한다는 점에서 상호 간에 발생할 수 있는 간섭을 원천적으로 배제할 수 있도록 해준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이 실시예의 작동 구성을 살펴본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취출 장치의 좌, 우 취출 핀 각 타단부에는 이동판이 장착되는 경우를 상정한다.
수지 조성물이 캐비티(C)로 주입된 다음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여 사출물(P)이 경화되면, 고정 판(10)이 가동 판(20)으로부터 분리되어 고정 코어부(15)가 사출물(P)과 분리된다. 다음으로, 밀판(24)이 상승하면, 밀판(24)의 상부 일 측 가이드 장 홈(120)에 위치하는 이동판(250, 270) 각각이 반대 방향으로 병진 운동하게 되며, 이동판(250, 270)의 병진 운동에 의거하여, 이동판(250, 270)과 단부가 결합되어 있는 좌, 우 취출 핀(240, 260) 각각은 상방으로 자연스럽게 상승하게 된다.
즉, 좌 취출 핀(240)은 제1, 2 고정 가이드 판(150, 170)의 제1, 2 가이드 홀(152, 172)을 통해 바깥쪽 방향으로 곡률을 그리며 상승하게 되며, 우 취출 핀(260)은 제1, 2 고정 가이드 판(150, 170)의 제1, 2 가이드 홀(156, 176)을 통해 상기 좌 취출 핀(240)과는 반대의 바깥쪽 방향으로 곡률을 그리며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사출물(P)은 좌, 우 취출 핀(240, 260)의 상방 운동에 따라 가동 코어부(25)로부터 분리되면서 수직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밀판(24)이 더욱 상승하여 좌, 우 취출 핀(240, 260)을 승강시키면 사출물(P)의 언더 컷을 형성한 좌, 우 취출 핀의 각 변형 코어부가 일정 곡률을 그리며 서로 반대의 바깥 방향으로 벌어짐에 따라 언더 컷을 가지는 사출물(P)은 자연스럽게 좌, 우 취출 핀(240, 260)과 분리되면서 취출되고, 다음 사출 작업을 대기하게 된다.
이 실시예는, 취출 핀을 상호 간에 반대 방향으로 일정 곡률을 그리며 승강하는 좌, 우 한 쌍으로 구성하고, 각 취출 핀의 일 단부에는 언더 컷을 형성할 수 있는 변형 코어부를 형성함으로써 별도의 밀핀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사출물을 자연스럽게 취출할 수 있도록 해준다. 더욱이, 각 취출 핀이 일정 곡률을 이루며 상호 간에 반대 방향으로 승강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언더 컷이 아무리 복잡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더라도 작업 과정에서 취출 핀 상호 간에 간섭이 발생하는 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나아가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별도의 기술적 특징이 부가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20 : 가이드 장 홈 140, 150 : 제1 고정 가이드 판
160, 170 : 제2 고정 가이드 판 220 : 취출 핀
222, 242, 262 : 변형 코어부 230, 250, 270 : 이동판 240 : 좌 취출 핀 260 : 우 취출 핀

Claims (5)

  1. 고정 코어부(15) 및 고정 형판(16)이 구비되는 고정 판(10)과, 밀판(24) 및 가동 형판(28)과 가동 코어부(25)가 구비되는 가동 판(20)으로 이루어지는 사출 금형에 있어 언더 컷을 가지는 사출물을 취출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제1 수직 관통 홀(142)과 상기 제1 수직 관통 홀(142)과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바깥쪽 방향으로 일정 곡률을 이루는 제1 가이드 홀(146)이 형성되어, 상기 가동 형판(26)의 하부 일 측에 구비되는 제1 고정 가이드 판(140)과;
    상기 제1 수직 관통 홀(142)과 동일 축 상에 형성되는 제2 수직 관통 홀(162)과 상기 제2 수직 관통 홀(162)과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바깥쪽 방향으로 일정 곡률을 이루는 제2 가이드 홀(166)이 형성되어, 상기 가동 코어부(25)의 하부 일 측에 구비되는 제2 고정 가이드 판(160)과;
    일정 곡률을 이루는 취출 핀(220)이 구비되되, 그 일 단부에는 변형 코어부(222)가 형성되어 상기 밀판(24)의 상승에 따라 상기 취출 핀(220)이 상기 제1 고정 가이드 판(140) 및 제2 고정 가이드 판(160)의 제1, 2 가이드 홀(146, 166)을 통해 바깥쪽 방향으로 곡률을 그리며 승강하여 상기 변형 코어부(222)에 의해 형성된 언더 컷을 가지는 사출물을 밀어내는 취출 코어와;
    상기 밀판(24)의 승강에 따라 상기 제1, 2 수직 관통 홀(142, 162)을 통해 승강하여 사출물을 밀어내도록 상기 밀판(24)에 구비되는 밀핀(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금형의 사출물 취출 장치.
  2. 고정 코어부(15) 및 고정 형판(16)이 구비되는 고정 판(10)과, 밀판(24) 및 가동 형판(28)과 가동 코어부(25)가 구비되는 가동 판(20)으로 이루어지는 사출 금형에 있어 언더 컷을 가지는 사출물을 취출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되 각각이 바깥쪽 반대 방향으로 일정 곡률을 이루도록 제1 가이드 홀(152, 156)이 형성되어, 상기 가동 형판(26)의 하부 일 측에 구비되는 제1 고정 가이드 판(150)과;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되 각각이 바깥쪽 반대 방향으로 일정 곡률을 이루도록 제2 가이드 홀(172, 176)이 형성되어, 상기 제1 고정 가이드 판(140)과 동일 축 상의 상기 가동 코어부(25)의 하부 일 측에 구비되는 제2 고정 가이드 판(170)과;
    상호 간에 반대 방향의 일정 곡률을 그리는 좌, 우 취출 핀(240, 260)이 구비되되 각각의 일 단부에는 변형 코어부(242, 262)가 형성되어, 상기 밀판(24)의 상승에 따라 상기 좌, 우 취출 핀(240, 260)이 상기 제1 고정 가이드 판(150) 및 제2 고정 가이드 판(170)의 제1, 2 가이드 홀을 통해 상호 간에 반대의 바깥쪽 방향으로 곡률을 그리며 승강하여 상기 변형 코어부(242, 262)에 의해 형성된 언더 컷을 가지는 사출물을 밀어내는 취출 코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금형의 사출물 취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판(24)의 상부 일 측에는 가이드 장 홈(120)이 형성되고; 상기 취출 핀(220)의 타단부는 상기 가이드 장 홈(120) 내부에 위치하는 이동판(230)과 결합되어; 상기 이동판(230)이 상기 가이드 장 홈(120) 내부에서 병진 운동하면 상기 취출 핀(220)은 바깥쪽 방향으로 곡률을 그리며 승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금형의 사출물 취출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밀판(24)의 상부 일 측에는 가이드 장 홈(120)이 형성되고; 상기 좌, 우 취출 핀(240, 260)의 각 타단부는 상기 가이드 장 홈(120) 내부에 위치하며 상호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판(250, 270)과 결합되어; 상기 이동판(250, 270)이 상기 가이드 장 홈(120) 내부에서 반대 방향으로 병진 운동하면 상기 좌, 우 취출 핀(240, 260)은 상호 간에 반대의 바깥쪽 방향으로 곡률을 그리며 승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금형의 사출물 취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장 홈(120)은 좌, 우 공간으로 분리되며, 상기 각 이동판(250, 270)이 각각의 공간에서 병진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금형의 사출물 취출 장치.
KR1020120063517A 2012-06-14 2012-06-14 사출 금형의 사출물 취출 장치 KR101315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3517A KR101315392B1 (ko) 2012-06-14 2012-06-14 사출 금형의 사출물 취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3517A KR101315392B1 (ko) 2012-06-14 2012-06-14 사출 금형의 사출물 취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5392B1 true KR101315392B1 (ko) 2013-10-07

Family

ID=49637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3517A KR101315392B1 (ko) 2012-06-14 2012-06-14 사출 금형의 사출물 취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539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2629A (ja) * 1993-03-12 1994-09-20 Mitsubishi Materials Corp 成形用金型
JPH09155930A (ja) * 1995-12-07 1997-06-17 Sekisui Chem Co Ltd 射出成形用金型
KR100793412B1 (ko) 2006-03-06 2008-01-15 (주) 부광테크 회전 다각 코어 유니트
JP2008137194A (ja) 2006-11-30 2008-06-19 Technocrats Corp アンダーカット処理機構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2629A (ja) * 1993-03-12 1994-09-20 Mitsubishi Materials Corp 成形用金型
JPH09155930A (ja) * 1995-12-07 1997-06-17 Sekisui Chem Co Ltd 射出成形用金型
KR100793412B1 (ko) 2006-03-06 2008-01-15 (주) 부광테크 회전 다각 코어 유니트
JP2008137194A (ja) 2006-11-30 2008-06-19 Technocrats Corp アンダーカット処理機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42838B2 (en) Mold with sliders
KR102281139B1 (ko) 사이드 게이트 자동절단장치를 구비한 사출금형
CN105291382A (zh) 一种内外多方向抽芯注射模具
CN105500639A (zh) 一种可实现多方向抽芯的机构和抽芯方法
KR20090123689A (ko) 슬라이드 코아의 이중 구동장치
KR101315392B1 (ko) 사출 금형의 사출물 취출 장치
CN102825740A (zh) 塑胶模具的顶出机构
KR100787196B1 (ko) 금형조립체의 내측 언더컷 성형장치 및 그 방법
CN102990875B (zh) 一种注塑模具防撞式侧抽滑块机构
KR100924926B1 (ko) 앵글러캠과 앵글러블록을 이용한 언더컷 처리 금형
CN103831952A (zh) 一种改进型外桶成形模具的自动抽芯脱模结构
KR100846850B1 (ko) 금형조립체의 취출장치
CN211161919U (zh) 多向成型的刀具压坯成型装置
CN111469357B (zh) 注塑模具的直顶内抽芯机构
CN108032489A (zh) 一种滑块中的弹簧衬套机构
CN211729971U (zh) 一种二次注塑模具
KR101170044B1 (ko) 내측 원형 언더컷 처리 구조를 갖는 사출금형 및 사출물 취출 방법
KR102027476B1 (ko) 성형품의 변형 방지를 위한 상측 이젝팅 구조를 갖는 다이캐스팅 금형
CN204249257U (zh) 动模二次分型机构
CN203637102U (zh) 一次开模两个方向抽芯机构
CN105437481B (zh) 一种具有机械式反顶机构的模具
KR200445760Y1 (ko) 사출금형의 언더컷 취출장치
CN107443677B (zh) 医疗检测胶囊内镜机器人下外壳注塑模具
CN210100576U (zh) 多向内抽滑块模具
CN115122596B (zh) 加工整圈大内倒扣产品的模具及该模具的开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