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3412B1 - 회전 다각 코어 유니트 - Google Patents

회전 다각 코어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3412B1
KR100793412B1 KR1020060021006A KR20060021006A KR100793412B1 KR 100793412 B1 KR100793412 B1 KR 100793412B1 KR 1020060021006 A KR1020060021006 A KR 1020060021006A KR 20060021006 A KR20060021006 A KR 20060021006A KR 100793412 B1 KR100793412 B1 KR 1007934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unit
inclined pin
guide block
pair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1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1463A (ko
Inventor
임재구
Original Assignee
(주) 부광테크
정원기계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부광테크, 정원기계 (주) filed Critical (주) 부광테크
Priority to KR1020060021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3412B1/ko
Publication of KR20070091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14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3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34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005Ejector constructions; Ejector operating mechanisms
    • B29C45/401Ejector pin constructions or moun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4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 B29C45/4435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using inclined, tiltable or flexible undercut forming elements driven by the ejecto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005Ejector constructions; Ejector operating mechanisms
    • B29C45/401Ejector pin constructions or mountings
    • B29C2045/4021Adjustable ejector p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플라스틱 사출물을 사출성형하는 하금형의 코어에 연결되어 완성된 사출물을 이젝팅 시키는 경사핀과; 이 경사핀을 수용하여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블록과; 이 가이드블록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고정판결합체; 및 이 하고정판결합체에 장착되며 내부에 곡면 형상을 갖는 한 쌍의 장홈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 유닛바디와, 장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고 장홈의 곡면을 따라 회동할 수 있도록 한 쌍의 장홈에 각각 안착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부재와, 이 슬라이딩부재의 회동방향에 대하여 직교한 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양측부가 한 쌍의 슬라이딩부재와 각각 결합하며 상부를 통해 경사핀의 하단이 고정결합하는 회동부재를 구비하는 코어유닛을 포함하는 회전 다각 코어 유니트가 제공된다. 개시된 회전 다각 코어 유니트에 따르면, 경사핀이 그 길이방향으로 미끄러져 움직이는 동시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경사핀 자체 휨, 절단 및 파손이 발생할 우려가 적고, 경사핀의 경사각도에 대한 허용 공차 및 가이드블록들의 장착위치에 대한 허용 공차의 폭을 확대시켜 용이한 장착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금형, 사출, 이젝팅, 코어, 볼부싱, 가이드, 회전, 슬라이딩

Description

회전 다각 코어 유니트{Core unit able to rotate versatilely}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의 사이드도어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 사이드도어의 내부패널에 대한 일부분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다각 코어 유니트의 사시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플라스틱 사출물을 사출성형하는 하금형의 일부분 및 타부분에 설치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다각 코어 유니트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도 3에 도시된 가이드블록의 분해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도 3에 도시된 코어유닛의 분해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 다각 코어 유니트의 사시도이고,
도 8a 및 도 8b는 플라스틱 사출물을 사출성형하는 하금형의 일부분 및 타부분에 설치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 다각 코어 유니트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7에 도시된 가이드블록의 이동 및 회전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a 및 도 10b는 도 7에 도시된 코어유닛의 분해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200..회전 다각 코어 유니트
110,210...경사핀 120,220...가이드블록
121,221...볼부싱 122,222...부싱바디
130,230...코어유닛 135,235...유닛바디
131,231...바디벽체 132,232...연결부재
136...슬라이딩부재 137...회동부재
140...하원판부재 150,250...코어유닛용 가이드블록
160...하고정판결합체 211...이동홈
253...끼움돌기 236...회전이동부재
본 발명은 플라스틱금형용 회전 다각 코어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사이드도어의 포켓 등과 같이 코어가 적용되어 플라스틱성형 되어야하는 플라스틱금형에 적용되어 성형 완료후 사출물을 이젝팅(ejecting) 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경사핀을 지지하기 위한 회전 다각 코어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이하, 차량 사이드도어 플라스틱성형을 예로 들어 종래기술을 설명하면 다음 과 같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의 사이드도어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 사이드도어의 내부패널에 대한 일부분 사시도이다.
먼저, 도 1을 참고하면, 차량의 바디(B)에는 사이드도어(D)가 여닫힐 수 있게 장착되는데, 이와 같은 사이드도어(D) 대부분은 내부 및 외부패널이 이중의 상자모양으로 형성됨으로써 도어 레귤레이터 등과 같은 장치부품들을 내장시킬 수 있는 형태로 제작된다.
도 2를 참고하면, 이 중 내부패널(1)은, 대개 플라스틱금형에 의해 성형되는 합성수지재로 되어 있으며, 차량 사용중 물건을 넣을 수 있는 포켓부 등과 같은 수납공간이 외면 측에 형성되며, 내면 측에는 윈도우 조정장치, 도어 잠금장치 등의 장착을 위한 다수의 장착구(2)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플라스틱 사출물에 수납공간이나 장착구 등과 같은 부가적 형상, 특히 그 자체에 격리된 공간이 내장되는 형태의 부가적 형상이 구성되는 때에는 플라스틱금형에 그 격리된 공간의 형상에 해당하는 모양을 가지는 코어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 경우 플라스틱성형 완료 후 플라스틱 사출물을 원형 손상 없이 이젝팅 시키는데에는 특별한 기술이 필요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이와 같이 코어가 개재되는 플라스틱금형은, 통상의 금형과 마찬가지로 상금형과 하금형으로 나누어지고, 상기 장착구 형성을 위하여 하금형에 코어부를 장착하게 되며, 사출물(내부패널)을 하금형으로부터 뽑아내기 위한 이젝팅장치가 부가적으로 구비되는데, 이와 같은 이젝팅 장치는 대개 하금형 코어부의 이젝팅시 이젝팅 작동의 축 역할을 하는 경사핀의 상단을 각각 체결하고, 상기 경사핀을 관통시켜 지지하면서 길이방향으로 미끄러져 움직일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하는 가이드블록을 하금형 해당 다수 개소에, 그리고 상기 하금형 하측의 하원판부재 해당 다수 개소에, 또한 상기 하원판부재 하측의 하고정판결합체 해당 다수 개소에 각각 장착하는 형태인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이젝팅장치는, 경사핀이 그 길이방향으로만 움직일 수가 있을 뿐 회동 불가능한 것이어서, 플라스틱성형시 발생하는 변형력에 의해 휨이 발생되기 쉽고 절단 내지는 심할 경우 파손될 수도 있을 뿐 아니라, 곡면의 형상을 가진 코어부의 경우에는 적용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이젝팅장치는 경사핀의 경사각도에 대한 허용공차와 가이드블록의 장착위치에 대한 허용공차의 한계가 매우 작아서 그 만큼 장착작업을 어렵게 하며, 따라서 고도로 숙련된 기술을 요하게 되고, 장착에 소요되는 작업시간도 길어지게 함으로써, 결국 생산성을 떨어뜨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경사핀 자체 휨, 절단 및 파손이 발생할 우려가 적고, 경사핀의 경사각도에 대한 허용 공차 및 가이드블록들의 장착위치에 대한 허용 공차의 폭을 확대시켜 용이한 장착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개선한 회전 다각 코어 유니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회전 다각 코어 유니트는, 플라스틱 사출물을 사출성형하는 하금형의 코어에 연결되어 완성된 사출물을 이젝팅 시키는 경사핀과; 상기 경사핀을 수용하여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블록과; 상기 가이드블록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고정판결합체; 및 상기 하고정판결합체에 장착되며 내부에 곡면 형상을 갖는 한 쌍의 장홈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 유닛바디와, 상기 장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고 상기 장홈의 곡면을 따라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장홈에 각각 안착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부재와,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회동방향에 대하여 직교한 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양측부가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부재와 각각 결합하며 상부를 통해 상기 경사핀의 하단이 고정결합하는 회동부재를 구비하는 코어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하금형과 코어유닛 사이에는 하원판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하원판부재 상면에는 상기 경사핀을 수용하여 안내하는 코어유닛용 가이드블록이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플라스틱 사출물을 사출성형하는 하금형의 코어에 연결되어 완성된 사출물을 이젝팅 시키는 경사핀과; 상기 경사핀을 수용하여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블록과; 상기 가이드블록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고정판결합체와; 상기 하고정판결합체에 장착되며 내부에 곡면 형상을 갖는 한 쌍의 장홈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 유닛바디와, 양측이 상기 한 쌍의 장홈에 각각 안착되며 상부를 통해 상기 경사핀의 하단이 고정결합하는 구 형상의 회전이동부재를 구비하는 코어유닛과; 상기 하금형과 코어유닛 사이에 배치되는 하원판부재; 및 상기 하원판부재 상면에 장착되며, 상기 경사핀을 수용하여 안내하는 코어유닛용 가이드블록을 포함하는 회전 다각 코어 유니트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경사핀에는 그 외주면을 따라 이동홈이 형성되며; 상기 코어유닛용 가이드블록은 상기 이동홈에 끼움 결합하는 끼움돌기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닛바디는, 하부가 상기 하고정판결합체에 고정되며, 측부에 상기 장홈이 각각 마주보도록 형성되어 이격배치되는 한 쌍의 바디벽체; 및 상기 한 쌍의 바디벽체를 평행하게 이격시킨 상태에서 결합시키는 두 개 이상의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블록은, 상기 경사핀이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관통하는 볼부싱; 및 상기 볼부싱이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부싱바디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 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 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다각 코어 유니트의 사시도이고, 도 4a는 플라스틱 사출물을 사출성형하는 하금형의 일부분에 설치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다각 코어 유니트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며, 도 4b는 플라스틱 사출물을 사출성형하는 하금형의 타부분에 설치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다각 코어 유니트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도 3에 도시된 가이드블록의 분해 사시도 및 단면도이며, 도 6a 및 도 6b는 도 3에 도시된 코어유닛의 분해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여기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먼저,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다각 코어 유니트(100)는, 경사핀(110)과, 가이드블록(120) 및 코어유닛(130)을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다각 코어 유니트(100)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금형(3)의 코어부(4)에 경사핀(110)의 상단이 체결되고, 이 경사핀(110)이 관통되는 상태하에서 가이드블록(120)이 코어부(4)의 하측으로 각각 매립되도록 설치되며, 경사핀(110)의 하단에는 코어유닛(130)이 결합되어진 것이다.
즉, 상기 경사핀(110)은, 플라스틱금형용 하금형(3)의 코어부(4)에 연결되어 상기 코어부(4)를 완성된 사출물(1)로부터 이젝팅 시키는 것으로서, 상단은 코어부(4)와 결합하며, 하단은 코어유닛(130)과 결합한다.
또한, 코어부(4)와 코어유닛(130) 사이에는 가이드블록(120)이 배치되며, 상기 경사핀(110)에 관통되어 회동 및 위치이동 가능하도록 결합한다. 이러한 상기 가이드블록(120)은, 경사핀(110)을 수용하여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핀(110)이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관통하는 볼부싱(121) 및 이 볼부싱(121)이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부싱바디(12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볼부싱(121)은,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핀(110)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경사핀(110)에 관통되어 결합하고, 부싱바디(122)는 하금형(3)에 장착되며, 부싱바디(122)에는 볼부싱(121)이 부싱바디(122)에 미끄러져 움직여 회동할 수 있도록 결합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다각 코어 유니트(100)는, 하금형(3)과 코어유닛(130) 사이에 하원판부재(140)를 구비하고, 상기 하원판부재(140) 상면에 장착되는 코어유닛용 가이드블록(150)을 더 구비함으로써, 상기 지지핀(110)을 더욱 효과적으로 지지시킬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코어유닛용 가이드블록(150)의 구성은 가이드블록(120)과 동일하므로 코어유닛용 가이드블록(15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코어유닛(130)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닛바디(135)와, 슬라이딩부재(136) 및 회동부재(137)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유닛바디(135)는, 가이드블록(120)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고정판결합체(160)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하부가 하고정판결합체(160)에 고정되어 이격배치되는 한 쌍의 바디벽체(131) 및 이 한 쌍의 바디벽체(131)를 평행하게 이격시킨 상태에서 결합시키는 두 개 이상의 연결부재(13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하고정판결합체(160)는, 상밀판(161)과, 하밀판(162) 및 하고정판(163)을 포함하며, 상밀판(161)에는 바디벽체(131)의 외측부가 고정되고, 하밀판(162)에는 바디벽체(131)의 하부가 고정되며, 하고정판(163)은 하밀판(162)의 하부에 고정배치된다.
또한, 상기 바디벽체(131)의 각각의 측부에는 장홈(131a)이 바디벽체(131)의 가로방향으로 형성되며, 이러한 한 쌍의 바디벽체(131)는 측부에 형성된 장홈(131a)이 서로 마주보도록 이격 배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슬라이딩부재(136)는, 한 쌍이 구비되어 바디벽체(131)에 형성된 장홈(131a)에 각각 안착된다. 이러한 슬라이딩부재(136)는, 장홈(131a)과 맞닿는 면이 장홈(131a)의 형상에 대응하는 곡면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장홈(131a)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음은 물론,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홈(131a)의 곡면을 따라 회동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회동부재(137)는, 한 쌍의 슬라이딩부재(136) 사이에 배치되어 상부를 통해 경사핀(110)의 하단과 고정결합한다. 이러한 회동부재(137)는, 양 측부가 각각의 슬라이딩부재(136)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슬라이딩부재(136)의 회동방향에 대하여 직교한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아래에, 도 4a 및 도 4b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다각 코어 유니트(100)의 작동예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플라스틱금형을 이용하여 플라스틱 사출물을 사출성형하는 과정에서, 합성수지 용융물의 주입 응고가 완료되면, 상금형(미도시)을 들어올리고, 하금형(3)을 하강시키게 되며, 이때 이젝팅수단에 의해 사출물(1)이 취출된다.
상기 이젝팅수단으로 구비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다각 코어 유니트(1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하금형(3)이 하강될 때 사출물과 함께 경사핀(110) 상단에 연결된 코어부(4)를 완성된 사출물(1)의 장착구(2)로부터 이젝팅 시키도록 작용되며, 이때 경사핀(110)은 그 어느 지점을 중심으로 회동되어야만 한다.
즉, 하금형(3)의 하강 작용에 따라 경사핀(110)의 상단이 눌리게 되므로 경사핀(110)이 하원판부재(140)에 장착된 코어유닛용 가이드블록(150) 부위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것이며, 이때 경사핀(110)의 하단 역시 코어유닛(130)에 의하여 회동된다.
이와 같은 경사핀(110)의 회동 작용은 가이드블록(120)과 코어유닛용 가이드블록(150) 및 코어유닛(130)에 의해 가능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 가이드블록(120) 및 코어유닛용 가이드블록(150)이 볼부싱(121,151)과, 부싱바디(122,152) 및 경시판(110)이 서로 미끄러져 움직이도록 결합하여 경사핀(110)이 회동할 수 있게 함으 로써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경사핀(110)의 상, 하단은 회동에 따라 그 위치가 이동되는데, 이는 가이드블록(120) 및 코어유닛용 가이드블록(150)의 볼부싱(121,151)으로부터 경사핀(110)이 길이방향으로도 미끄러져 움직이게 되며, 코어유닛(130)의 회동부재(137)에 의해 경사핀(110)의 하단이 회동됨과 아울러, 슬라이딩부재(136)가 가로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경사핀(110) 상, 하단의 위치 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다각 코어 유니트(100)는, 코어유닛(130)의 슬라이딩부재(136)가 가로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뿐만 아니라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홈(131a)의 곡면을 따라 회동 가능하므로, 상기 경사핀(110)을 회동부재(137)의 회동방향을 가로지르는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단을 코어부(4)와 연결하고 회동부재(137)를 통해 하단을 회동시킴으로써, 코어부(4)를 더욱 용이하게 노출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회전 다각 코어 유니트(100)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 다각 코어 유니트의 사시도이고, 도 8a는 차량 사이드도어의 내부패널을 사출성형하는 하금형의 일부분에 설치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 다각 코어 유니트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며, 도 8b는 차량 사이드도어의 내부패널을 사출성형하는 하금형의 타부분에 설치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 다각 코어 유니트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7에 도시된 가이드블록의 이동 및 회전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a 및 도 10b는 도 7에 도시된 코어유닛의 분해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먼저,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 다각 코어 유니트(200)는, 경사핀(210)과, 가이드블록(220) 및 코어유닛(230)을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 다각 코어 유니트(2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다각 코어 유니트(100)와 마찬가지로,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금형(13)의 코어부(14)에 경사핀(210)의 상단이 체결되고, 이 경사핀(210)이 관통되는 상태하에서 볼부싱(221) 및 부싱바디(222)를 구비하는 가이드블록(220)이 코어부(14)의 하측으로 매립되도록 설치되며, 경사핀(210)의 하단에는 코어유닛(230)이 결합되어진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 다각 코어 유니트(2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다각 코어 유니트(100)와 마찬가지로, 하금형(13)과 코어유닛(230) 사이에 하원판부재(140)를 구비하고, 상기 하원판부재(140) 상면에 장착되는 코어유닛용 가이드블록(250)을 더 구비함으로써, 상기 경사핀(210)을 더욱 효과적으로 지지시킬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경사핀(210)에는, 코어유닛용 가이드블럭(250)이 배치되는 부분에 그 외주면을 따라 이동홈(211)이 형성되며, 코어유닛용 가이드블록(250)의 부싱바디(252)에는 이 이동홈(211)에 끼움 결합하는 끼움돌기(253)가 일체로 형성되어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경사핀(210)은, 끼움돌기(253)에 결합된 이동홈(211)의 경로에 따라 이동하며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홈(211)은, 그 일부가 경사핀(210)의 외주면에 이 경사핀(2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그 상부에서 우측 상부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며, 그 연장부분의 끝 부분에서 다시 경사핀(210)의 길이방향 상부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경사핀(21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홈(211)의 경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우측방향으로 대략 90° 정도의 각도로 회전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코어유닛(230)은,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닛바디(231) 및 회전이동부재(236)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유닛바디(23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다각 코어 유니트(100)의 유닛바디(135)와 그 구성이 동일하므로, 유닛바디(235)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회전이동부재(236)는, 한 쌍의 바디벽체(231) 사이에 배치되어 양측이 바디벽체(231)에 형성된 장홈(231a)에 각각 안착되며, 상부를 통해 경사핀(110)의 하단과 고정결합한다. 이러한 회전이동부재(236)는, 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장홈(231a)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음은 물론,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홈(131a)의 곡면을 따라 회동할 수도 있고, 수평방향으로 회전할 수도 있다.
도 10a 및 도 10b에서 설명되지 않은 부호 '231'은 바디벽체를, '232'는 연결부재를 지칭한다.
아래에, 도 8a 및 도 8b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 다각 코어 유니트(200)의 작동예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 다각 코어 유니트(200)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다각 코어 유니트(100)와 마찬가지로, 하금형(13)이 하강될 때 경사핀(110) 상단에 연결된 코어부(14)를 완성된 사출물(11)의 장착구(12)로부터 이젝팅 시키도록 작용한다.
특히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 다각 코어 유니트(200)는, 곡면 형상을 가진 장착구(12)의 사출을 위하여 이 장착구(12)의 형상에 대응하는 곡면 형상을 가진 코어부(14)를 사출물(11)로부터 이젝팅 시킴에 있어서, 경사핀(110) 상단에 연결된 코어부(14)를 그 곡면 형상에 따라 회전시켜 사출물(11)로부터 노출시킴으로써, 상기 곡면 형상을 가진 코어부(14)를 용이하게 이젝팅 시킬 수 있다.
즉, 하금형(13)의 하강 작용에 따라 경사핀(210)의 상단이 눌리게 되면, 경사핀(210)의 하단이 코어유닛(130)에 의하여 회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경사핀(210)은 가이드블록(220) 및 코어유닛용 가이드블록(250) 내부를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경사핀(210)은, 코어유닛용 가이드블록(250)에 형성되어 이동홈(211)에 끼움 결합한 끼움돌기(253)에 의해 이동경로가 가이드 되어, 이동홈(211)의 경로에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회전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핀(210)의 하단과 결합한 회전이동부재(236)가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회전함으로써 가능하며, 이러한 회전이동부재 (236)의 회전은 경사핀(210)에 형성된 이동홈(211)과 이 이동홈(211)에 의해 가이드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 다각 코어 유니트(200)는, 가이드블록(220) 및 코어유닛용 가이드블록(250)의 볼부싱(221,251)으로부터 경사핀(210)이 길이방향으로도 미끄러져 움직이게 되고, 회전이동부재(236)가 가로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장홈(231a)의 곡면을 따라 회동함과 아울러 수평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경사핀(210) 상,하단의 위치 이동 및 회전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회전 다각 코어 유니트에 따르면, 경사핀이 그 길이방향으로 미끄러져 움직이는 동시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경사핀 자체 휨, 절단 및 파손이 발생할 우려가 적고, 경사핀의 경사각도에 대한 허용공차 및 가이드블록들의 장착위치에 대한 허용공차의 폭을 확대시켜 용이한 장착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회전이동부재를 구비하여 경사핀을 수평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곡면 형상을 가진 코어부를 용이 하게 이젝팅 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플라스틱 사출물을 사출성형하는 하금형의 코어에 연결되어 완성된 사출물을 이젝팅 시키는 경사핀과;
    상기 경사핀을 수용하여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블록과;
    상기 가이드블록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고정판결합체와;
    상기 하고정판결합체에 장착되며 내부에 곡면 형상을 갖는 한 쌍의 장홈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 유닛바디와, 양측이 상기 한 쌍의 장홈에 각각 안착되며 상부를 통해 상기 경사핀의 하단이 고정결합하는 구 형상의 회전이동부재를 구비하는 코어유닛과;
    상기 하금형과 코어유닛 사이에 배치되는 하원판부재; 및
    상기 하원판부재 상면에 장착되며, 상기 경사핀을 수용하여 안내하는 코어유닛용 가이드블록을 포함하는 회전 다각 코어 유니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핀에는 그 외주면을 따라 이동홈이 형성되며;
    상기 코어유닛용 가이드블록은 상기 이동홈에 끼움 결합하는 끼움돌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다각 코어 유니트.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바디는,
    하부가 상기 하고정판결합체에 고정되며, 측부에 상기 장홈이 각각 마주보도록 형성되어 이격배치되는 한 쌍의 바디벽체; 및
    상기 한 쌍의 바디벽체를 평행하게 이격시킨 상태에서 결합시키는 두 개 이상의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회전 다각 코어 유니트.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블록은,
    상기 경사핀이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관통하는 볼부싱; 및
    상기 볼부싱이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부싱바디를 포함하는 회전 다각 코어 유니트.
KR1020060021006A 2006-03-06 2006-03-06 회전 다각 코어 유니트 KR1007934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1006A KR100793412B1 (ko) 2006-03-06 2006-03-06 회전 다각 코어 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1006A KR100793412B1 (ko) 2006-03-06 2006-03-06 회전 다각 코어 유니트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6017U Division KR200417864Y1 (ko) 2006-03-06 2006-03-06 회전 다각 코어 유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1463A KR20070091463A (ko) 2007-09-11
KR100793412B1 true KR100793412B1 (ko) 2008-01-15

Family

ID=38689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1006A KR100793412B1 (ko) 2006-03-06 2006-03-06 회전 다각 코어 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341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5392B1 (ko) 2012-06-14 2013-10-07 경성정밀주식회사 사출 금형의 사출물 취출 장치
KR101562508B1 (ko) 2015-08-31 2015-10-22 베세토(주) 코어유니트 가이드블록 어셈블리
WO2017218091A1 (en) 2016-06-13 2017-12-21 Progressive Components International Corporation Molded undercut release apparatus
KR20200001416A (ko) * 2018-06-27 2020-01-06 김정욱 금형의 경사코어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47374B1 (en) 2016-05-06 2022-02-15 Accura-Tec Inc. Core lifter with replaceable breakaway lifter blade coupling arrangement
WO2017193142A1 (en) 2016-05-06 2017-11-09 Accura-Tec, Inc. Core lifter for molding apparatus
KR102269011B1 (ko) * 2019-06-25 2021-06-25 주식회사 디피엠테크 가이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안경 제작 설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30443A (ja) * 2003-04-30 2004-11-25 Oiles Ind Co Ltd スライドコアガイド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射出成形金型機構
KR20060017473A (ko) * 2005-01-28 2006-02-23 (주) 부광테크 코어유닛가이드블럭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30443A (ja) * 2003-04-30 2004-11-25 Oiles Ind Co Ltd スライドコアガイド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射出成形金型機構
KR20060017473A (ko) * 2005-01-28 2006-02-23 (주) 부광테크 코어유닛가이드블럭어셈블리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5392B1 (ko) 2012-06-14 2013-10-07 경성정밀주식회사 사출 금형의 사출물 취출 장치
KR101562508B1 (ko) 2015-08-31 2015-10-22 베세토(주) 코어유니트 가이드블록 어셈블리
WO2017218091A1 (en) 2016-06-13 2017-12-21 Progressive Components International Corporation Molded undercut release apparatus
US10220556B2 (en) 2016-06-13 2019-03-05 Progressive Components International Corporation Molded undercut release apparatus
CN109476049A (zh) * 2016-06-13 2019-03-15 博革新元件国际公司 模制倒扣释放装置
EP3468760A4 (en) * 2016-06-13 2020-06-24 Progressive Components International Corporation DEVICE FOR DISPENSING SHAPED UNDERCUT
CN109476049B (zh) * 2016-06-13 2021-04-30 博革新元件国际公司 模制倒扣释放装置
KR20200001416A (ko) * 2018-06-27 2020-01-06 김정욱 금형의 경사코어 조립체
KR102094154B1 (ko) * 2018-06-27 2020-03-27 (주)정금형 금형의 경사코어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1463A (ko) 2007-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3412B1 (ko) 회전 다각 코어 유니트
US20120100246A1 (en) Slide core-pulling delayed mechanism and mould with the same
US8475156B2 (en) Injection mold
US7442032B2 (en) Injection mold having a cam actuator to move a sliding block
JP2001353728A (ja) 成型用金型の位置決め装置
JP4005737B2 (ja) ウインドガラスの昇降用スライダー
KR100613892B1 (ko) 코어유닛가이드블럭어셈블리
KR101241241B1 (ko) 인서트 사출금형
KR200417864Y1 (ko) 회전 다각 코어 유니트
KR100592347B1 (ko) 플라스틱금형용 가이드블럭
JP2009029084A (ja) 射出成形金型におけるバルブピンの駆動装置
KR100787196B1 (ko) 금형조립체의 내측 언더컷 성형장치 및 그 방법
KR200444895Y1 (ko) 코어 유니트용 가이드 블록 어셈블리
US20110280985A1 (en) Ejector retraction mechanism
KR101562508B1 (ko) 코어유니트 가이드블록 어셈블리
KR20090051645A (ko) 금형조립체
KR101815200B1 (ko) 코어 유니트
KR102361080B1 (ko) 발포 사출 성형용 금형장치
KR200392985Y1 (ko) 플라스틱금형용 가이드블럭
KR101501235B1 (ko) 언더컷 취출장치용 슬라이드 코어
KR200421396Y1 (ko) 코어유닛 가이드블록 어셈블리
CN109195772B (zh) 吹塑成形模具
KR100823340B1 (ko) 금형조립체의 내측 언더컷 성형장치 및 그 방법
JPH03222708A (ja) 射出成形用金型のアンダーカット処理構造
KR20100002934A (ko) 슬라이드코어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