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5329B1 - 단조품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단조품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5329B1
KR101315329B1 KR1020130072632A KR20130072632A KR101315329B1 KR 101315329 B1 KR101315329 B1 KR 101315329B1 KR 1020130072632 A KR1020130072632 A KR 1020130072632A KR 20130072632 A KR20130072632 A KR 20130072632A KR 101315329 B1 KR101315329 B1 KR 1013153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ixed
movable beam
elevating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2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복호
임규복
신진혁
Original Assignee
임규복
주식회사 신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규복, 주식회사 신일 filed Critical 임규복
Priority to KR1020130072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53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5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53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3/00Details of machines for forging, pressing, or hammering
    • B21J13/08Accessories for handling work or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KMAKING FORGED OR PRESSED METAL PRODUCTS, e.g. HORSE-SHOES, RIVETS, BOLTS OR WHEELS
    • B21K27/00Handling devices, e.g. for feeding, aligning, discharging, Cutting-off means; Arrange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30Feeding material to pr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조품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상호 평행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수평의 고정빔과, 상기 고정빔에 그 양단부가 지지되며 고정빔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가동빔과, 상기 고정빔을 수평으로 지지하는 다리를 포함하는 크레인과; 상기 가동빔에 설치되며 가동빔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에 지지된 상태로 수직으로 연장되고 승강운동 가능한 다수의 수직승강봉과; 상기 이송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수직승강봉에 고정되어 수직승강봉과 함께 승강운동 가능한 승강플레이트와; 상기 승강플레이트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과; 상기 승강플레이트의 하부에 위치하되 수직승강봉의 하단부에 고정되며, 일측부로 개방되고 하부에 도어가 구비되어 있는 버켓과; 상기 버켓의 도어를 개폐하는 개폐수단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단조품 이송장치는, 단조품이 이송 전용 버킷에 담긴 상태로 이송되며 특히 버킷이 바닥에 닿은 상태에서 개방되므로 단조품에 충격이 전달될 염려가 없어 단조품의 손상을 야기하지 않는다.

Description

단조품 이송장치{Forging product transfer device}
본 발명은 단조품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단조장치에서 단조된 단조품은 가령 컨베이어를 통해, 단조품을 담기 위해 대기하고 있는 파레트로 이동되어 모아진다. 그런데 상기 단조장치에서 단조를 마친 단조품은 매우 고온으로 달구어진 상태이므로 외부의 충격에 의해 쉽게 변형될 수 있다. 쇠를 불에 달군 상태로 망치로 타격하면 쉽게 변형되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이러한 이유로 단조장치에서 방금 나온 단조품은, 냉각되기 전까지 외부의 충격을 받지 않도록 조심스럽게 취급되어야 하며, 이를 위한 여러 가지 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가령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은 회동케이스(15)를 설치하여 컨베이어에서 파레트(21)로 떨어지는 단조품의 충격을 최소화하는 장치도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회동케이스(15)를 적용한 단조품 이송장치는, 단조품에 가해지는 충격을 충분하게 없애는데 한계가 있었다.
도 1은 종래 단조품 이송장치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의 단조품 이송장치는, 단조장치(11)에서 나오는 단조품을 수평 이송시키는 컨베이어(13)와, 상기 컨베이어(13)의 단부에 상하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케이스(15)와, 상기 회동케이스(15)를 지지핀(19a)을 중심으로 상하 회동시키는 액츄에이터(17)를 구비한다. 상기 액츄에이터(17)는 컨베이어(13)의 측부에 수직으로 고정된다.
상기 액츄에이터(17)의 작동로드(17a)의 상단부에는 회동로드(19)가 연결되고 상기 회동로드(19)에는 사이드로드(15b)가 고정된다. 상기 사이드로드(15b)는 회동케이스(15)의 측벽에 고정되어 있는 막대형 부재이다.
상기 회동로드(19)와 사이드로드(15b)는 일직선을 이루며 용접 고정되어 전체적으로 하나의 몸체를 이루며, 액츄에이터(17)의 작동시 상기 지지핀(19a)을 중심으로 회동운동 한다.
가령 상기 회동로드(19)가 상승하면 사이드로드(15b)가 하부로 회동하고, 회동로드(19)가 하강하면, 사이드로드(15b)가 상향 회동하는 것이다. 상기 사이드로드(15b)는 회동케이스(15)의 측벽에 고정되므로 결국 회동케이스(15)가 상하로 회동하는 것이다.
상기 회동케이스(15)는 컨베이어(13)를 통과한 단조품을 받아들인 후, 하부로 회동하여 단조품을 파레트(21)에 가급적 충격을 받지 않도록 떨어뜨리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회동케이스(15)의 출구부에는 도어(15a)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도어(15a)는 별도의 개폐 액츄에이터(미도시)에 의해 개폐되는 것으로서, 가령 회동케이스(15)가 하향 회동한 상태로 개방되어 내부에 모아진 단조품을 파레트(21)로 쏟는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단조품 이송장치는, 상기 회동케이스(15)가 적용되어 있다 하더라도, 단조품이 회동케이스(15)로부터 낙하하는 방식이므로, 단조품에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지 못한다. 특히 상기 파레트(21)가 비워져 있을 경우, 파레트(21)의 바닥과 회동케이스(15)의 높이차이가 크기 때문에, 회동케이스(15)에서 떨어지는 단조품이 충격에 의해 변형되기가 매우 쉬웠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단조품이 이송 전용 버킷에 담긴 상태로 이송되며 특히 버킷이 바닥에 닿은 상태에서 개방되므로 단조품에 충격이 전달될 염려가 없어 단조품의 손상을 야기하지 않는 단조품 이송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단조품 이송장치는, 상호 평행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수평의 고정빔과, 상기 고정빔에 그 양단부가 지지되며 고정빔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가동빔과, 상기 고정빔을 수평으로 지지하는 다리를 포함하는 크레인과; 상기 가동빔에 설치되며 가동빔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에 지지된 상태로 수직으로 연장되고 승강운동 가능한 다수의 수직승강봉과; 상기 이송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수직승강봉에 고정되어 수직승강봉과 함께 승강운동 가능한 승강플레이트와; 상기 승강플레이트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과; 상기 승강플레이트의 하부에 위치하되 수직승강봉의 하단부에 고정되며, 일측부로 개방되고 하부에 도어가 구비되어 있는 버켓과; 상기 버켓의 도어를 개폐하는 개폐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동빔은; 상기 고정빔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가동빔과, 상기 상부가동빔의 하부에 평행하게 위치하는 하부가동빔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상부가동빔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부가동빔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사각판 형태의 상부이송플레이트와, 상기 하부가동빔의 하부에 지지되며 하부가동빔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하부이송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승강봉은, 네 개가 상기 상부이송플레이트와 하부이송플레이트의 네 귀퉁이부를 관통하여 수직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상부이송플레이트의 상부에 고정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축에 고정되는 스프로킷과, 상기 스프로킷에 걸쳐지는 것으로서, 그 일단부가 상기 승강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상기 모터의 구동시 승강플레이트를 승강시키는 체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체인의 타단부는, 신축성 연결줄에 의해 승강플레이트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버켓은;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어온 단조품을 그 측부로 받아들일 수 있도록 측부로 개방되어 있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중력의 영향으로 하부로 처져 개방되는 도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승강플레이트의 하부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액츄에이터에 의해 승강운동하며 그 양측에 와이어홀더가 구비되어 있는 와이어인장판과, 상기 도어와 와이어홀더를 연결하며 와이어홀더의 상승시 도어를 상부로 당겨올려 도어를 닫는 와이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단조품 이송장치는, 단조품이 이송 전용 버킷에 담긴 상태로 이송되며 특히 버킷이 바닥에 닿은 상태에서 개방되므로 단조품에 충격이 전달될 염려가 없어 단조품의 손상을 야기하지 않는다.
도 1은 종래 단조품 이송장치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조품 이송장치에서의 크레인을 별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조품 이송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일부 측면도이다.
도 4는 상기 도 3에 도시한 버켓의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상기 도 4에 도시한 버켓의 기본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조품 이송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조품 이송장치에서의 크레인을 별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단조품 이송장치에 적용되는 크레인(31)은, 상호 평행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수평의 고정빔(33)과, 상기 고정빔(33)에 그 양단부가 지지되며 고정빔(33)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가동빔(37)과, 상기 고정빔(33)을 수평으로 지지하는 다리(35)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빔(33)은 사각형의 형태를 취하며 네 귀퉁이부가 다리(35)에 받쳐져 수평을 유지한다. 상기 다리(35)는 가동빔(37)의 하부에 버켓(59)을 승강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충분한 높이를 제공한다.
상기 가동빔(37)은, 상부가동빔(37a)과 하부가동빔(37b)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가동빔(37a)과 하부가동빔(37b)은 상호 고정되어 한 몸체를 이룬다. 상기 상부가동빔(37a)과 하부가동빔(37b)은 그 양단부가, 고정빔(33)에 걸쳐진 상태로 고정빔(33)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상기 상부가동빔(37a)은 고정빔(33)의 상면에 지지되고, 하부가동빔(37b)은 고정빔(33)의 저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고정빔(33)의 상면 및 저면에 가이드레일(33a)이 설치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상부가동빔(37a)과 하부가동빔(37b)은 상호 평행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고정빔(33)의 상하부에서, 고정빔(33)의 두께 이상의 길이로 이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부가동빔(37a)과 하부가동빔(37b)을 이격 배치한 것은 후술할 수직승강봉(47)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사실, 상기 상부가동빔(37a)이나 하부가동빔(37b) 중 하나만 없어도, 버켓(59)의 이동이나 정지시 관성력에 의해 수직승강봉(47)이 측방향으로 흔들릴 것인데, 이와 같이 가동빔을 상하로 이격 배치함으로써 이러한 흔들림 현상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가동빔(37a)의 상부에는 상부이송플레이트(37)가 설치되어 있고, 하부가동빔(37b)의 저면에는 하부이송플레이트(41)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상부이송플레이트(37)는 상부가동빔(37a)의 상면에서, 상부가동빔(37a)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고, 하부이송플레이트(41)는, 하부가동빔(37b)의 저면에서 하부가동빔(37b)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상부가동빔(37a)과 하부가동빔(37b)에 별도의 가이드레일(미도시)이 구비되어 있어야 함은 물론이다.
상기 상부이송플레이트(39)는 일정두께를 갖는 사각 철판으로서 중앙에 관통구멍(39a)을 갖는다. 상기 관통구멍(39a)은 후술할 체인(45)이 통과하는 구멍이다. 상기 하부이송플레이트(41)도 일정두께를 갖는 사각 철판으로서 마찬가지로 중앙에 체인(45)이 통과하는 사각의 관통구멍(41a)을 갖는다. 아울러 상기 하부이송플레이트(41)의 저면 네 귀퉁이부에는, 지지보스(41b)가 고정된다.
상기 지지보스(41b)는 수직승강봉(47)을 통과시키며 지지하는 부재로서 원통의 형태를 취하며 수직승강봉(47)의 외주면에 대해 미끄럼운동한다.
특히 상기 상부이송플레이트(39)와 하부이송플레이트(41)는, 별도의 연결부재(미도시)를 통해 한 몸체로 결합하여 동시에 움직인다.
도 3은 상기 크레인에 지지되는 버켓 등의 구성을 도시한 일부 측면도이고, 도 4는 상기 도 3에 도시한 버켓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5a 및 도 5b는 상기 도 4에 도시한 버켓의 기본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이송플레이트(39)와 하부이송플레이트(41)가 수직방향으로 위아래에 배치되어 있고, 네 개(도면에는 두 개만 도시되어 있음)의 수직승강봉(47)이 상기 상부이송플레이(39)와 하부이송플레이트(41)를 두께방향으로 관통하여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수직승강봉(47)은 일정직경을 갖는 환봉으로서, 그 상단부가 상기 상부이송플레이트(39)의 상부로 연장되어 있고, 하단부가 버킷(59)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수직승강봉(47)을 들어올림에 따라 버킷(59)이 따라 올라가는 것이다. 상기 수직승강봉(47)은 상하부이송플레이트(39,41)에 지지된 상태로 승강가능하고, 상하부이송플레이트(39,41)의 수평 이동시 수직을 유지한 상태로 함께 이송된다.
한편, 상기 하부이송플레이트(41)의 하부에는 승강플레이트(51)가 설치된다. 상기 승강플레이트(51)는 일정두께를 갖는 사각 철판으로서 네 귀퉁이부로 수직승강봉(47)을 통과시킨 상태로 수직승강봉(47)에 고정된다. 상기 승강플레이트(51)와 수직승강봉(47)은 서로 고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가령 승강플레이트(51)가 승강하게 되면 수직승강봉(47)도 함께 승강운동 한다.
아울러 상기 승강플레이트(51)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상부이송플레이트(39)의 상부에 고정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해 회전토오크를 발생하는 구동모터(43)와, 상기 구동모터(43)의 구동축에 고정되는 스프로킷(43a)과, 상기 스프로킷(43a)에 걸쳐지며 하부로 늘어뜨려진 체인(4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프로킷(43a)은 구동모터(43)의 구동에 의해 좌우로 회전하며, 상기 체인(45)을 이동시킨다. 상기 체인(45)은 그 양단부가 이어진 것이 아니라 단절된 상태로서, 그 일단부는 체인고정부(51a)에 고정되어 있고, 타단부는 연결줄(49)을 통해 체인고정부(51a)에 연결된다.
상기 체인고정부(51a)는 승강플레이트(51)의 상면 중앙에 고정되어 있는 부재로서, 체인(45)의 일단부와 연결줄(49)을 고정한다.
상기 연결줄(49)은 신축성 로프, 가령 고무줄로서 상기 체인(45)의 타단부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체인고정부(51a)에 묶인다. 상기 연결줄(49)은 체인이 도 7의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할 때 늘어난다.
이와 같이 연결줄(49)을 적용함으로써, 체인(45)의 기동시 체인의 타단부가 과도히 흔들리는 것이 방지되고, 체인이 화살표 b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때 체인의 타단부가 승강플레이트(51)의 상부로 자연스럽게 돌아오게 된다.
또한 상기 승강플레이트(51)의 하부에는 액츄에이터(53)가 설치된다. 상기 액츄에이터(53)는, 실린더(53a)와 작동로드(53b)로 구성된 것으로서, 작동로드(53b)는 고정판(55)을 통해 승강플레이트(51)의 저면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실린더(53a)의 하부에는 사각판 형태의 와이어인장판(57)이 고정된다. 상기 와이어인장판(57)은 일정두께를 갖는 플레이트형 부재로서, 실린더(53a)의 하부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액츄에이터(53)를 구동하면, 실린더(53a)와 와이어인장판(57)이 승강운동 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와이어인장판(57)의 양단부에는 와이어홀더(57a)가 구비된다. 상기 와이어홀더(57a)는 와이어(61)가 걸리는 부분이다. 상기 와이어홀더(57a)는 와이어의 중앙부를 건 상태에서, 와이어인장판(57)의 상승시 와이어(61)를 당겨 올려 와이어(61)의 양단부에 고정되어 있는 도어(59b)를 당겨 올리는 역할을 한다.
상기 버킷(59)은 각 수직승강봉(47)의 하단부에 고정된 속이 빈 케이스(59a)와, 상기 케이스(59a)의 하부에 구비되는 한 쌍의 도어(59b)로 구성된다. 상기 버켓(59)은 컨베이어(13)로부터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하는 단조품을 그 측부로 받아들인 후, 목표지점으로 이동하여 하강한 상태로 도어를 개방하여 단조품을 내리는 역할을 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버킷(59)은, 세 개의 측벽부(59e)와 하나의 천장부(59f)로 이루어진 케이스(59a)와, 상기 케이스(59a)의 하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도어(59b)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59a)의 내부공간(59d)은 컨베이어로부터 단조품을 넘겨 받을 수 있도록 일측으로 개방되어 있다. 상기 버킷(59)의 개방된 부분이 컨베이어를 향하는 면이다.
상기 도어(59b)는 두 개가 하나의 쌍을 이루며, 중력에 의해 하부로 처져 개방되거나, 상기 와이어(61)에 의해 화살표 f 방향으로 당겨 올려져 닫히는 원리를 갖는다.
상기 도어(59b)가 중력의 작용에 의해 하부로 처져 개방될 수 있도록, 도어(59b)는 케이스(59a)에 대해 힌지부(59c)로 연결된다. 상기 힌지부(59c)는 도어(59b)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와이어(61)가 작용하지 않으면, 도어(59b)는 중력의 작용에 의해 도 5b에 도시한 바와같이 하부로 처져 개방된다.
상기 와이어(61)는 인장능력을 갖는 강선으로서, 대략 중앙부가 상기 와이어홀더(57a)에 걸쳐진 상태로, 양단부가 상기 도어(59b)의 와이어고정부(63)에 각각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액츄에이터(53)를 동작시켜 와이어인장판(57)을 승강시키면, 와이어(61)가 화살표 f 방향으로 인장되고, 그에 따라 도 5a에 도시한 바와같이, 도어(59b)가 상부로 당겨 올려져 케이스(59a)의 하부를 차단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인장판(57)을 최대한 하강하여 와이어(61)에 인장력을 제거하면, 도 5b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도어(59b)는 중력의 작용에 의해 하향 회동하여 개방된다. 결국 상기 액츄에이터(53)를 동작시킴에 의해 도어(59b)의 개폐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조품 이송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상기 상하부이송플레이트(39,41)를 수평 이동시켜, (단조품(A)을 수용한) 버킷(59)을 파레트(21)의 연직 상부에 도달시킨 상태의 모습이다.
상기와 같이, 버킷(59)이 파레트(21)의 연직 상부에 도달하였다면, 상기 구동모터(43)를 구동하여 체인(45)을 화살표 b 방향으로 이동시켜, 버킷(59)을 파레트(21)의 내부로 내린다. 상기 버킷(59)은 파레트(21) 내부로 최대한 하향 이동한다. 파레트(21)에 단조품(A)이 미리 공급되어 쌓여 있다면, 쌓인 부분까지 내려진다. 선행 공급되어 있던 단조품이 없다면, 파레트(21)의 바닥면까지 내려감은 물론이다.
상기 버킷(59)이 최대한 내려갔다면,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같이, 액츄에이터(53)를 구동하여 와이어인장판(57)을 화살표 c 방향으로 내려 와이어(61)를 최대한 느슨하게 한다.
상기 과정을 통해 버킷(59)이 완전히 하강하여 단조품(A)에 받쳐져 있고 와이어(61)가 느슨하게 되었다면, 상기 구동모터(43)를 동작시켜 체인(45)을 화살표 d방향으로 감아 올린다. 이 때 와이어(61)는 느슨한 상태를 계속 유지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이 체인(45)이 상부로 당겨올려짐에 따라, 승강플레이트(51)와 수직승강봉(47)과 버킷(59)이, 파레트(21)의 상부로 상승한다. 이 때 상기 도어(59b)는 중력의 작용에 의해 개방되어, 버킷(59) 내부의 단조품(A)을 버킷(59)이 머물러 있던 자리에 내려 놓는다. 상기 버킷(59)은 가지고 있던 단조품(A)을 그 자리에 남겨 놓은채 상승하는 것이다.
상기 도어(59b)가, 버킷(59)이 상승한 상태에서 개방되는 것이 아니라, 버킷(59)의 상승과 동시에 개방되는 것이므로, 단조품은 바닥에 충돌하는 것이 아닌 것이다.
상기 과정을 마친 후, 버킷(59)이 완전히 상승하였다면, 상기 액츄에이터(53)를 구동하여 와이어인장판(57)을 올린다. 와이어인장판(57)이 상승함에 따라 와이어(61)가 다시 인장되어 도어(59b)가 닫히게 됨은 물론이다. 이 상태로 단조품을 전달받으러 상기 컨베이어(도 3의 13)로 다시 이동한다.
한편, 상기 버킷(59)의 도어(59b)를 개방하기 위하여 별도의 제어부(미도시)와 충격센서(미도시)를 적용할 수 있다. 가령 버킷(59)이 바닥에 접촉하는 것을 감지하여, 버킷(59)이 최대한 하강한 사실을 제어부로 보내어, 제어부로 하여금 상기 구동모터(43)를 구동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높이센서를 적용하여, 가령 파레트에 쌓인 단조품의 높이가 파레트 용량의 70% 내지 80% 정도의 범위에 도달할 경우, 그 사실을 제어부로 보내어, 제어부가 상기 상하부이송플레이트(39,41)를 컨트롤하여 다음 파레트로 적재할 수 있게 할 수 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1:단조장치 13:컨베이어 15:회동케이스
15a:도어 15b:사이드로드 17:액츄에이터
17a:작동로드 19:회동로드 19a:지지핀
21:파레트 31:크레인 33:고정빔
33a:가이드레일 35:다리 37:가동빔
37a:상부가동빔 37b:하부가동빔 39:상부이송플레이트
39a:관통구멍 41:하부이송플레이트 41a:관통구멍
41b:지지보스 43:구동모터 43a:스프로킷
45:체인 47:수직승강봉 49:연결줄
51:승강플레이트 51a:체인고정부 53:액츄에이터
53a:실린더 53b:작동로드 55:고정판
57:와이어인장판 57a:와이어홀더 59:버켓
59a:케이스 59b:도어 59c:힌지부
59d:내부공간 59e:측벽부 59f:천장부
61:와이어 63:와이어고정부

Claims (6)

  1. 상호 평행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수평의 고정빔과, 상기 고정빔에 그 양단부가 지지되며 고정빔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가동빔과, 상기 고정빔을 수평으로 지지하는 다리를 포함하는 크레인과;
    상기 가동빔에 설치되며 가동빔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에 지지된 상태로 수직으로 연장되고 승강운동 가능한 다수의 수직승강봉과;
    상기 이송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수직승강봉에 고정되어 수직승강봉과 함께 승강운동 가능한 승강플레이트와;
    상기 승강플레이트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과;
    상기 승강플레이트의 하부에 위치하되 수직승강봉의 하단부에 고정되며, 일측부로 개방되고 하부에 도어가 구비되어 있는 버켓과;
    상기 버켓의 도어를 개폐하는 개폐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조품 이송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빔은;
    상기 고정빔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가동빔과, 상기 상부가동빔의 하부에 평행하게 위치하는 하부가동빔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상부가동빔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부가동빔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사각판 형태의 상부이송플레이트와, 상기 하부가동빔의 하부에 지지되며 하부가동빔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하부이송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승강봉은, 네 개가 상기 상부이송플레이트와 하부이송플레이트의 네 귀퉁이부를 관통하여 수직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조품 이송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상부이송플레이트의 상부에 고정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축에 고정되는 스프로킷과,
    상기 스프로킷에 걸쳐지는 것으로서, 그 일단부가 상기 승강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상기 모터의 구동시 승강플레이트를 승강시키는 체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조품 이송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의 타단부는, 신축성 연결줄에 의해 승강플레이트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조품 이송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켓은;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어온 단조품을 그 측부로 받아들일 수 있도록 측부로 개방되어 있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중력의 영향으로 하부로 처져 개방되는 도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조품 이송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승강플레이트의 하부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액츄에이터에 의해 승강운동하며 그 양측에 와이어홀더가 구비되어 있는 와이어인장판과,
    상기 도어와 와이어홀더를 연결하며 와이어홀더의 상승시 도어를 상부로 당겨올려 도어를 닫는 와이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조품 이송장치.
KR1020130072632A 2013-06-24 2013-06-24 단조품 이송장치 KR1013153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2632A KR101315329B1 (ko) 2013-06-24 2013-06-24 단조품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2632A KR101315329B1 (ko) 2013-06-24 2013-06-24 단조품 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5329B1 true KR101315329B1 (ko) 2013-10-08

Family

ID=49637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2632A KR101315329B1 (ko) 2013-06-24 2013-06-24 단조품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532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5334B1 (ko) * 2016-08-26 2018-06-07 윤선규 자동확관장치
CN109513876A (zh) * 2018-09-28 2019-03-26 江苏利普机械有限公司 1600t锻件自动送料机构自动控制系统
CN114393170A (zh) * 2022-01-24 2022-04-26 浙江通特特钢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锻件加工用取件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78464A (ja) * 1991-12-27 1993-07-20 Amada Metrecs Co Ltd パレット移送装置
JP2005125371A (ja) 2003-10-24 2005-05-19 Murata Mach Ltd 工具支持体保持装置
KR100623048B1 (ko) 2004-12-22 2006-09-19 지성알미늄주식회사 알루미늄 튜브 자동 인발의 이송트레이장치
KR100974340B1 (ko) 2008-06-18 2010-08-05 주식회사 신아정밀 프레스가공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78464A (ja) * 1991-12-27 1993-07-20 Amada Metrecs Co Ltd パレット移送装置
JP2005125371A (ja) 2003-10-24 2005-05-19 Murata Mach Ltd 工具支持体保持装置
KR100623048B1 (ko) 2004-12-22 2006-09-19 지성알미늄주식회사 알루미늄 튜브 자동 인발의 이송트레이장치
KR100974340B1 (ko) 2008-06-18 2010-08-05 주식회사 신아정밀 프레스가공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5334B1 (ko) * 2016-08-26 2018-06-07 윤선규 자동확관장치
CN109513876A (zh) * 2018-09-28 2019-03-26 江苏利普机械有限公司 1600t锻件自动送料机构自动控制系统
CN114393170A (zh) * 2022-01-24 2022-04-26 浙江通特特钢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锻件加工用取件装置
CN114393170B (zh) * 2022-01-24 2024-02-23 浙江通特特钢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锻件加工用取件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5329B1 (ko) 단조품 이송장치
JP6266118B2 (ja) パレット段積み装置及びパレット段ばらし装置
CN108778961A (zh) 用于从存储系统提取单元的方法和装置
JP4777485B1 (ja) 荷降ろし装置
CN110902250B (zh) 一种车间智能输送系统及其输送方法
JP6228740B2 (ja) 玉掛け外し装置及び自動スリング式吊具
KR101230956B1 (ko) 원료배출이 용이한 하역장비용 버켓
CN103407882B (zh) 电动脱钩器和起重设备
CN109573435B (zh) 立体仓库系统
CN102417090B (zh) 斗式输送机的送料斗结构
JP6648908B2 (ja) 荷重試験用の構造体および構造体の製造方法
CN204604945U (zh) 自动卸胎装置
US20190375600A1 (en) Pallet Auto Box
JP4663253B2 (ja) 吊り具
JP2008280150A (ja) ボルト状物供給装置
JP6259712B2 (ja) グラブバケット式アンローダの運転支援装置
CN109507019A (zh) 一种砝码自动加载装置及其操作方法
ES2275957T3 (es) Dispositivo para hincar un objeto en el suelo.
KR101083796B1 (ko) 중량물 집게장치
KR102053157B1 (ko) 방청장치
JP2011105398A (ja) 自動ビレット保管搬送装置
KR20120119499A (ko) 어창용 리프트
JP6216743B2 (ja) フォーク式吊り装置
CN107758486B (zh) 用于集装箱卸料的吊具和利用吊具进行集装箱卸料的方法
US2994554A (en) To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