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5212B1 - 복합 커넥터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복합 커넥터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5212B1
KR101315212B1 KR1020060127463A KR20060127463A KR101315212B1 KR 101315212 B1 KR101315212 B1 KR 101315212B1 KR 1020060127463 A KR1020060127463 A KR 1020060127463A KR 20060127463 A KR20060127463 A KR 20060127463A KR 101315212 B1 KR101315212 B1 KR 1013152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nector
antenna
contact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7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4856A (ko
Inventor
김병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7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5212B1/ko
Publication of KR20080054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48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5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52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7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4Arrangements for testing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 커넥터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말기 본체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장착되는 안테나; 단말기 본체의 외부에서 진입되는 테스트 단자와 접속 가능하게 구비되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단말기 본체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테스트 단자가 끼워져 지지될 수 있게 형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그 일단은 상기 안테나에 연결되는 안테나 연결부재에 접촉하되 상기 테스트 단자의 진입시 상기 안테나 연결부재로부터 접점이 분리될 수 있게 형성되고, 그 타단은 상기 단말기 본체에 장착되는 무선신호 처리모듈에 직접 연결될 수 있게 설치되는 가변 연결단자를 포함함으로써, 모바일 스위치 커넥터와 안테나 커넥터를 하나의 커넥터에 구성함으로써, 회로기판에 장착되는 다른 회로부품들의 장착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복합 커넥터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OMPLEX CONNECTOR}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에 설치되는 회로기판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커넥터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에 장착되는 회로기판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커넥터에 외부 테스트 단자가 결합된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이동통신 단말기 200: 커넥터
210: 하우징 212: 가변 연결단자
213: 안테나 연결부재 220: 동축 케이블
300: 외부 테스트 단자
본 발명은 복합 커넥터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안테나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와 모바일 스위치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의 배치를 개선시킴으로써 안테나의 접속 신뢰성을 확보하고 실장공간을 절약하도록 한 복합 커넥터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을 위한 단말기는 사용자가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게 경량화되고 슬림화되어 가고 있는 반면, 단말기에 장착되는 안테나는 작고 제한된 장치에서도 일정 수준 이상의 통신 품질의 구현을 요구한다.
이동통신 단말기에 사용되는 안테나는 외부로 노출된 형태인 외장형 안테나가 먼저 개발되었으나, 미관을 저해할 수 있고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파손되기 쉬운 단점이 있어 단말기의 내부에 설치되는 형태인 내장형 안테나의 사용도 증가하고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테나를 설계하고 조립하는 과정에서 안테나의 실제적인 성능은 꾸준히 체크되어야 한다. 이러한 안테나의 테스트는 모바일 스위치(mobile switch)를 통해 이루어진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에 장착되는 인쇄회로기판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의 회로기판(30)에는 외부에서 직접 연결하여 테스트를 할 수 있도록 모바일 스위치(33)가 구비되어 있으며, 모바일 스위치(33)의 일측에는 안테나(도시되지 않음)가 연결되 기 위한 안테나 커넥터(32)가 구비되어 있다.
모바일 스위치(33)는 외부 테스트 단자의 접속시 자동적으로 안테나와 통신회로부품(31)의 연결을 차단하고 직접 테스트 단자와 통신회로부품(31)이 연결될 수 있게 되어 있다.
반면에, 안테나 커넥터(32)는 조립시 안테나 연결단자(도시되지 않음)가 플러그-인되어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기술에 따른 모바일 스위치는 설계 및 조립되는 단계에서 안테나 장치의 성능 테스트시 사용되므로, 평상시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 반면 항상 모바일 스위치는 장착된 상태로 있게 되어 불가피한 공간의 낭비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안테나 커넥터(32)는 그 크기가 작아지면서 회로기판(30)의 표면에 솔더링(soldering) 처리되어 장착되기도 하는데, 이동통신 단말기 외부에 충격이 발생되면 그 충격이 안테나 커넥터(32)에 그대로 전달되어 안테나 커넥터(32)가 회로기판(30)에 대한 고정력이 약화되고 전체적인 안테나 성능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러한 경향은 안테나와 안테나 커넥터(32)를 동축 케이블(coaxial cable)로 연결하는 경우에 빈번히 발생하기도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회로기판에 적용되는 커넥터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의 소형화 또는 슬림화를 이루는데 적합하도록 함과 아울러, 안테나 성능 구 현에 있어 신뢰성 높은 커넥팅을 구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단말기 본체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장착되는 안테나; 단말기 본체의 외부에서 진입되는 테스트 단자와 접속 가능하게 구비되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단말기 본체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테스트 단자가 끼워져 지지될 수 있게 형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그 일단은 상기 안테나에 연결되는 안테나 연결부재에 접촉하되 상기 테스트 단자의 진입시 상기 안테나 연결부재로부터 접점이 분리될 수 있게 형성되고, 그 타단은 상기 단말기 본체에 장착되는 무선신호 처리모듈에 직접 연결될 수 있게 설치되는 가변 연결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가변 연결단자의 상기 무선신호 처리모듈에 연결되는 단부를 고정하는 지지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가변 연결단자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도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가변 연결단자는 판스프링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무선신호 처리모듈이 설치되는 회로기판상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테스트 단자의 진입방향과 상기 가변 연결단자의 배치방향은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가변 연결단자의 개방된 단부에는 상기 안테나 연결부재를 향하여 돌출된 접촉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안테나와 안테나 연결부재 사이에는 동축 케이블(coaxial cable)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테스트 단자는 제1접촉단자 및 상기 제1접촉단자의 외곽에 상기 제1접촉단자와 동축(coaxial)을 이루는 제2접촉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접촉단자는 상기 하우징에 끼워질 수 있는 사이즈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커넥터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커넥터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2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두 개의 바디로 이루어진 형태를 예로 들고 있으며, 단말기 본체(101)와 단말기 본체(101)에 폴딩되어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는 폴더부(102)로 되어 있다. 다만, 본 실시예와 달리 하나의 바디로 이루어진 바 타입이나, 어느 한 바디가 다른 바디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되어 개폐되는 형태인 슬라이드 타입 등 알려진 다른 형태의 단말기에도 적용 가능하다.
단말기 본체(105)의 배면에는 착탈 가능한 배터리(110)가 장착될 있으며, 배터리(110)의 일측에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조립시 또는 사후적인 테스트시 외 부의 테스트 단자를 통하여 직접 성능을 체크할 수 있도록 테스트 단자가 진입되는 진입홀(105)이 형성된다. 진입홀(105)은 조립완료후 먼지와 같은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하여 마개(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씌워질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에 장착되는 회로기판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도 2의 진입홀(105)의 내부의 해당부위에는 커넥터(200)가 구비된다. 커넥터(200)는 회로기판(140)에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하여 실장되는 것이 가능하며, 외부 테스트 단자(후술하는 도 6에서 300으로 지시됨)가 끼워져 접속할 수 있도록 하우징(210)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커넥터(200)는 외부 테스트 단자의 연결시 회로기판(140)에 구비되는 무선신호 처리모듈(도시되지 않음)에 직접 연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위에서 설명한 "모바일 스위치(Mobile switch)"와 유사하나, 이후에서 설명하는 것처럼 안테나의 연결지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종래의 "모바일 스위치"의 기능을 포함한다고 볼 수 있다.
커넥터(200)는 단말기 본체(105)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장착되는 안테나(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는 동축 케이블(coaxial cable)(220)과 연결되어 있다. 안테나는 단말기 본체(105) 내부의 다른 부품들과 금속에 의해 영향을 받아 성능 확보하기가 어렵고 그 크기가 소형화될수록 대역폭과 편파 및 효율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안테나의 배치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설계와 제작에 있어 중요한 부분이다. 이에 따라, 동축 케이블(220)은 특히 안테나가 커넥터(200)로부터 멀리 배치되는 경우 안테나로부터 전송되거나 안테나로 전송되는 신호의 손실을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I-I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커넥터에 외부 테스트 단자가 결합된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우징(210)은 속이 빈 형태의 통(筒)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상단 중심부에는 외부 테스트 단자(300)의 중심부에 위치되는 제1접촉단자(310)가 진입할 수 있도록 관통홀(230)이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우징(210)의 내부의 각 부품 주변에는 절연체로 채워지는 것도 가능하다.
하우징(210)의 내부에는 외부 테스트 단자(300)와 안테나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가변 연결단자(212)가 설치되어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가변 연결단자(212)는 그 일단이 동축 케이블(220)에 연결되는 안테나 연결부재(213)에 접촉하되 외부 테스트 단자(300)의 제1접촉단자(310)가 진입시 안테나 연결부재(213)로부터 접점이 분리될 수 있게 형성되고 그 타단은 무선신호 처리모듈에 직접 연결될 수 있게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210)은 그 자체로 외부 테스트 단자(300)가 접속되면 그라운드가 연결될 수 있도록 회로기판(140)의 그라운드에 연결된 도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210)의 내부에는 가변 연결단자(212)의 무선신호 처리모듈에 연결되는 단부를 고정하는 제1지지부재(211)가 구비되어 있으며, 제1지지부재(211)의 하단은 회로기판(140)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제2지지부재(151)에 접하도록 위치되어 있다. 가변 연결단자(212)와 무선신호 처리모듈 사이를 연결하는 도선은 제1지지부 재(211)와 제2지지부재(151)를 따라 통과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가변 연결단자(212)는 제1지지부재(211)에 탄성변형이 가능한 도전 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며, 가변 연결단자(212)의 개방된 단부에는 안테나 연결부재(213)를 향하여 돌출된 접촉돌기(212)가 형성된다(도 5의 확대도 참조)
도 5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테스트 단자(300)는 중심부에 위치되는 제1접촉단자(310)와 제1접촉단자(310)의 외곽에 제1접촉단자(310)와 동축(co-axial)을 이루는 제2접촉단자(320)을 구비한다. 제2접촉단자(320)는 하우징(210)의 관통홀(230)에 끼워질 수 있는 사이즈로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의하면, 테스트 단자(300)의 진입방향과 가변 연결단자(212)의 배치방향은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됨으로써 테스트 단자(300)의 제1접촉단자(310)이 진입하여 오면 가변 연결단자(212)를 직각방향으로 용이하게 변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가변 연결단자(212)는 판스프링 타입으로 제1지지부재(211)에 지지되어 있어 제1접촉단자(310)가 진입하면 하방으로 변형되고, 외부 테스트 단자(300)를 제거하면 탄성에 의하여 안테나 연결부재(213)에 다시 접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회로기판(140)에 커넥터(200)가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설명하고 있지만, 커넥터(200)는 회로기판(140)이 아닌 다른 형태의 지지물에 의하여 지지되는 구조로 제시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커넥터 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작용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에 외부 테스트 단자가 결합된 모습을 보인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안테나(미도시)의 성능을 테스트하기 위해 먼저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배면에 설치된 진입홀(105)에 외부 테스트 단자(300)를 위치시킨다.
단말기 본체(101)의 내부로 삽입된 외부 테스트 단자(300)는 커넥터(200)에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고, 외부 테스트 단자(300)의 제1접촉단자(310)는 커넥터(200)의 하우징(210)에 형성된 관통홀(230)을 통해 커넥터(200)의 내부에 삽입된다.
이 때, 제1접촉단자(310)는 커넥터(200)의 내부에 설치된 가변 연결단자(212)의 상측면에 접촉되어 힘(F)을 가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가변 연결단자(212)는 하측 방향으로 변형(bending)되어 안테나 연결부재(213)로부터 접점이 분리된다.
그러면, 무선신호 처리모듈은 가변 연결단자(212)와 외부 테스트 단자(300)의 제1접촉단자(310)에 의해 외부 테스트 단자(300)와 연결된 계측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류의 흐름은 도 5의 점선 화살표처럼 흐르게 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안테나의 성능을 테스트할 수 있게 된다.
테스트를 마친 후, 외부 테스트 단자(300)를 제거하게 되면, 외부 테스트 단 자(300)의 제1접촉단자(310)에 의해 하방으로 변형(bending)되었던 가변 연결단자(212)는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어 다시 안테나 연결부재(213)에 탄성 접촉되어, 전류의 흐름은 도 4의 점선 화살표와 같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안테나의 성능 테스트시에만 사용되는 모바일 스위치와 안테나의 연결을 하나의 커넥터로 구성함으로써, 회로기판에 각각 장착되던 것보다 다른 부품을 위한 장착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상기 기존에 작은 사이즈로 형성되던 안테나 커넥터의 크기를 모바일 스위치가 결합될 수 있는 사이즈로 변형시킴으로써, 상대적으로 커넥터(200)가 회로기판(140)에 안정적으로 연결되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방법의 응용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회로기판에 각각 돌출되게 장착되던 모바일 스위치 커넥터와 안테나 커넥터를 하나의 커넥터에 구성함으로써, 회로기판에 장착되는 다른 회로부품들의 장착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로 인하여, 전기적으로 안정되게 결합되어야 하는 안테나 커넥터와 회로부품들과의 간섭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8)

  1. 단말기 본체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장착되는 안테나;
    상기 단말기 본체의 외부에서 진입되는 테스트 단자와 접속 가능하도록 상기 단말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커넥터; 및
    상기 테스트 단자에 진입 경로를 제공함과 아울러 상기 테스트 단자의 진입을 가이드 하도록, 상기 단말기 본체에서 상기 커넥터와 대응되는 부분을 관통하는 진입홀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단말기 본체 내부의 회로기판에 설치되며, 상기 테스트 단자에 끼워지도록 상기 진입홀을 향해 돌출되고, 외주면이 상기 테스트 단자의 내주면과 밀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테스트 단자를 지지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그 일단은 상기 안테나에 연결되는 안테나 연결부재에 접촉하되 상기 테스트 단자가 상기 하우징에 밀착되면 상기 테스트 단자에 의해 상기 테스트 단자의 진입 방향으로 가압되어 상기 안테나 연결부재로부터 접점이 분리될 수 있게 형성되고, 그 타단은 상기 단말기 본체에 장착되는 무선신호 처리모듈에 직접 연결될 수 있게 설치되는 가변 연결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복합 커넥터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가변 연결단자의 상기 무선신호 처리모듈에 연결되는 단부를 고정하는 지지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가변 연결단자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도전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커넥터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연결단자는 판스프링 타입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커넥터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무선신호 처리모듈이 설치되는 회로기판상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커넥터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단자의 진입방향과 상기 가변 연결단자의 배치방향은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커넥터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연결단자의 개방된 단부에는 상기 안테나 연결부재를 향하여 돌출된 접촉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커넥터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와 안테나 연결부재 사이에는 동축 케이블(coaxial cable)에 의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커넥터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단자는 제1접촉단자 및 상기 제1접촉단자의 외곽에 상기 제1접촉단자와 동축(coaxial)을 이루는 제2접촉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접촉단자는 상기 하우징에 끼워질 수 있는 사이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커넥터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60127463A 2006-12-13 2006-12-13 복합 커넥터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13152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7463A KR101315212B1 (ko) 2006-12-13 2006-12-13 복합 커넥터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7463A KR101315212B1 (ko) 2006-12-13 2006-12-13 복합 커넥터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4856A KR20080054856A (ko) 2008-06-19
KR101315212B1 true KR101315212B1 (ko) 2013-10-08

Family

ID=39801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7463A KR101315212B1 (ko) 2006-12-13 2006-12-13 복합 커넥터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52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57930B2 (en) 2011-05-09 2015-10-13 Apple Inc. Bidirectional radio-frequency probing
KR102208755B1 (ko) * 2014-04-04 2021-01-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8664A (ko) * 2004-01-31 2005-08-08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단말기 특성 및 안테나 매칭테스트시 테스트 경로 전환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8664A (ko) * 2004-01-31 2005-08-08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단말기 특성 및 안테나 매칭테스트시 테스트 경로 전환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4856A (ko) 2008-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4899B1 (ko) 동축 커넥터
JP5720408B2 (ja) スイッチ付同軸コネクタ
TWI483491B (zh) 附開關之同軸連接器
EP2523272B1 (en) Switch-equipped coaxial connector
KR101421878B1 (ko)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
KR101802731B1 (ko)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
JPH11307188A (ja) スイッチ付き同軸コネクタ
JPH10214649A (ja) スプリングコネクタおよび該スプリングコネクタを用いた装置
EP1278274B1 (en) Coaxial connector assembly and antenna assembly having a switching function
US5066235A (en) Connector assembly for electronic devices
JP2012221586A (ja) ケーブル固定具
KR20110097994A (ko) 동축 커넥터
KR101315212B1 (ko) 복합 커넥터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US10079444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conductive balls
JP5557104B2 (ja) コネクタ及び接続経路切換装置
KR20170029684A (ko) Pcb 기판의 안착홀에 삽입되는 스프링이 구비된 pcb 조립체
JP5402718B2 (ja) コネクタ
JP4200262B2 (ja) ヒンジコネクタ
EP0409640B1 (en) Connector assembly for electronic devices
JP3107906U (ja) 同軸コネクタ
JP5642025B2 (ja) 通信装置
JPH11250954A (ja) 高周波電子機器
KR10075121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파레트
CN106469870B (zh) 电连接器
JPH11101835A (ja) Rf通信ユニットおよびその検査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