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4904B1 - 발효용기용 마개 조립체 및 그를 구비하는 발효용기 - Google Patents

발효용기용 마개 조립체 및 그를 구비하는 발효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4904B1
KR101314904B1 KR1020110049287A KR20110049287A KR101314904B1 KR 101314904 B1 KR101314904 B1 KR 101314904B1 KR 1020110049287 A KR1020110049287 A KR 1020110049287A KR 20110049287 A KR20110049287 A KR 20110049287A KR 101314904 B1 KR101314904 B1 KR 101314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bending tube
side wall
fermentation
n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9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1254A (ko
Inventor
박성주
Original Assignee
박성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주 filed Critical 박성주
Priority to KR1020110049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4904B1/ko
Publication of KR20120131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12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4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4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33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automatic opening of the closure, container or other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깊이 방향을 따라 오목하고 상부는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수조부와, 상기 수조부의 외주 중 적어도 일 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수조부에서 외부를 향한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주변부를 구비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외주를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깊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측벽; 및 상기 수조부의 외주연 및 상기 측벽의 내주연에 의해 감싸지는 내부 공간을 연통시키도록 연장 형성되고, 중간 부분은 내부를 유동하는 가스의 유동 방향이 반대로 바뀌도록 절곡되어 서로 평행한 2줄로 형성되는, 절곡 튜브를 포함하며, 상기 절곡 튜브는, 일 단부가 상기 수조부의 하부에 연결되고 타 단부는 상기 내부 공간 측에 배치되며, 상기 절곡 튜브의 중간 부분은 상기 서로 평행한 2줄이 상기 주변부에 형성되는 하나의 관통홀을 관통함에 의해 상기 측벽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수조부의 개방된 상부의 끝단보다 보다 높게 돌출 형성되는, 발효용기용 마개 조립체 및 그를 구비하는 발효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발효용기용 마개 조립체 및 그를 구비하는 발효용기{STOPPER ASSEMBLY FOR FERMENTATION CONTAINER AND FERMENTATION CONTAIN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발효용기용 마개 조립체 및 그를 구비하는 발효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효 식품 중 주조에 대해서, 항아리나 유리병에 포도, 머루 등의 과실류를 설탕과 함께 넣어 술을 담그면 알콜 발효뿐 아니라 초산발효가 일어나는데 이러한 초산발효로 인하여 술이 시어져 버리는 경우가 많다. 그리하여 초산발효를 억제하기 위하여 설탕과 소주를 함께 넣어서 과실주를 담그는데, 이 술의 맛은 달고 마시고 나면 뒤에 개운치 않으며 머리가 아픈 경우가 많다. 그 이유는 당도가 높고 알콜 농도가 높아, 알콜 발효균인 효모(이스트)는 자랄 수 없고 다른 잡균이 자라 알콜발효는 일어나지 않고 이상발효가 일어나 이물질이 생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알콜발효에 관여하는 효모는 산소가 없어도 자라지만 초산발효에 관여하는 균은 산소가 있어야만 자란다. 그러므로 술이 시어지지 않게 하기 위하여 초산발효가 일어나지 않게 하려면, 알콜발효 과정에서 외부로터 발효 용기 내로 산소가 포함된 공기가 들어가지 않도록 발효용기를 밀폐시키면 될 것이다.
그러나, 알콜 발효시 술과 함께 탄산가스가 많은 양이 발생하여 용기 내에 높은 압력이 생기기 때문에 밀폐 부위가 터지거나 용기가 파손될 수 있으므로 발효용기를 밀폐시킬 수가 없다.
이 때문에 알콜 발효시 발생되는 탄산가스는 밖으로 나오고, 외부의 산소를 포함하는 공기는 내부로 들어가지 않도록 하기 위한 발효용기가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를 가지며, 액체의 역류를 구조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사용되는 액체의 양을 직관적으로 확인하고 보충할 수 있도록 하는, 발효용기용 마개 조립체 및 그를 구비하는 발효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발효용기용 마개 조립체는, 깊이 방향을 따라 오목하고 상부는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수조부와, 상기 수조부의 외주 중 적어도 일 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수조부에서 외부를 향한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주변부를 구비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외주를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깊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측벽; 및 상기 수조부의 외주연 및 상기 측벽의 내주연에 의해 감싸지는 내부 공간을 연통시키도록 연장 형성되고, 중간 부분은 내부를 유동하는 가스의 유동 방향이 반대로 바뀌도록 절곡되어 서로 평행한 2줄로 형성되는, 절곡 튜브를 포함하며, 상기 절곡 튜브는, 일 단부가 상기 수조부의 하부에 연결되고 타 단부는 상기 내부 공간 측에 배치되며, 상기 절곡 튜브의 중간 부분은 상기 서로 평행한 2줄이 상기 주변부에 형성되는 하나의 관통홀을 관통함에 의해 상기 측벽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수조부의 개방된 상부의 끝단보다 보다 높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측벽에 형성되어, 상기 마개 조립체를 발효용기의 목에 체결되게 하는 체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조부의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절곡 튜브를 상기 수조부에 고정하게 하는 고정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조부의 오목한 부분의 저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절곡 튜브의 일 단부가 연결되는 공간과 나머지 공간을 구획하는 격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효 용기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몸통과, 상기 수용 공간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개구부를 한정하도록 상기 몸통의 상부에 형성되는 목을 구비하는, 바디; 및 위에 기술된 바와 같으며, 상기 측벽은 상기 목에 체결되어 상기 개구부를 밀폐하는, 마개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목의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목과 상기 측벽과의 틈새를 밀폐하는 실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발효용기용 마개 조립체 및 그를 구비하는 발효용기에 의하면, 베이스가 상부가 개방되고 오목한 수조부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와 측벽에 의해 감싸지는 공간과 상기 수조는 절곡 튜브를 통해 연통되도록 형성됨에 따라, 마개 조립체의 전체적인 구조가 간단해지게 된다. 그에 의해, 상기 마개 조립체 및 발효 용기는 대량으로 생산하기에 적합하게 된다.
또한, 수조부의 액체가 내부 공간으로 역류할 가능성을 구조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부가 개방된 수조부를 통해, 수조부 내에 저장된 액체의 양을 쉽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그에 따라, 필요한 액체의 양을 보충하는 등의 필요한 작업이 번거롭지 않게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수조부의 액체 수용율을 향상함과 동시엔 내부 공간에서 수조부로 가스가 배출되는 여부를 시각적으로 보다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효용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라인(Ⅱ-Ⅱ)을 따른 발효용기의 종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발효용기 내의 탄산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는 상황을 보인 종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마개 조립체(200)에 대한 일 변형예에 따른 마개 조립체(300)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마개 조립체(200)에 대한 다른 변형예에 따른 마개 조립체(400)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마개 조립체(200)에 대한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마개 조립체(500)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효용기용 마개 조립체 및 그를 구비하는 발효용기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효용기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발효용기는, 바디(100)와, 마개 조립체(20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100)는, 몸통(110)과, 목(120)을 포함할 수 있다. 몸통(110)은 대체로 원통체, 또는 육면체 등과 같은 형태를 가지며, 내부의 수용 공간(S, 도 2)을 한정한다. 목(120)은 몸통(110)의 상부에 형성되는 부분으로서, 몸통(110)에 비하여 좁아지는 형태를 이루는 부분이다. 목(120)은 대체로 원형의 링과 같은 단면으로 연장된 형태일 수 있으며, 수용 공간(S)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개구부를 한정한다.
마개 조립체(200)는 바디(100)의 목(120)에 결합되어, 목(120)의 개구부를 덮는다. 마개 조립체(200)는, 베이스(210)와, 측벽(220)과, 절곡 튜브(23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210)는 깊이 방향(D)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는 수조부(211)를 포함할 수 있다. 수조부(211)의 상부는 개방된 형태여서, 수조부(211)의 오목한 부분은 외부와 연통하게 된다. 이러한 수조부(211)에는 물과 같은 액체가 수용된다. 수조부(211)는 상부가 개방되므로, 오목한 부분에 부어진 물의 양 및 그의 변화를 사용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게 한다.
측벽(220)은 베이스(210)의 외주를 따라 연장하며, 깊이 방향(D)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측벽(220)은 목(120)의 외면을 감싸도록 목(120)에 체결되어, 마개 조립체(200)가 바디(100)에 결합되게 한다. 측벽(220)의 외면에는 요철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마개 조립체(200)를 회전시킬 때 미끄럽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절곡 튜브(230)는 수조부(211)의 오목한 부분과, 베이스(210) 및 측벽(220)에 의해 감싸지는 공간[마개 조립체(200)가 바디(100)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수용 공간(S)]을 연통하도록 연장하는 관체이다. 절곡 튜브(230)는 연장 중에 절곡되어, 기존의 연장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절곡된 부분에 의해 나뉘어지는 절곡 튜브(230)의 두 구간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게 한다.
이러한 마개 조립체(200) 등의 구성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라인(Ⅱ-Ⅱ)을 따른 발효용기의 종 단면도이다.
본 도면[및 도 1]을 참조하면, 베이스(210)는 앞서 설명한 수조부(211)와, 이에 더하여 주변부(216)를 포함할 수 있다. 수조부(211)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부(212)와 상부(213)의 폭이 동일하거나 또는 상부(213)의 폭이 하부(212)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하부(212)는 막힌 상태이고, 상부(213)는 개방된 상태가 된다. 하부(212)의 일 부분에는 연통홀(214)이 개구될 수 있다.
주변부(216)는 수조부(211)의 외주 중 적어도 일 부분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주변부(216)는 수조부(211)의 중심에서 반경 방향을 향하여 외부로 연장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주변부(216)가 링 형태의 판재로 형성되어, 주변부(216)가 수조부(211)의 둘레를 전부 감싸는 형태가 예시된다. 이때, 수조부(211)는 주변부(216)의 중앙에 위치하게 된다. 그러나, 수조부(211)와 주변부(216)의 위치 관계는 달라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수조부(211)가 일측에 치우치게 형성되고, 주변부(216)는 초승달과 같은 형태로 수조부(211)의 외주 상의 일부 구간만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측벽(220)은 내면에 형성되는 체결부(225)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225)는 바디(100)의 목(120)의 외면에 형성되는 실링부(125)와 체결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체결부(225)는 나사산이거나 연성 링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225)와 실링부(125)가 각각 수나사산 및 암나사산으로 형성되면, 마개 조립체(200)는 바디(100)와 나사 결합하게 될 것이다. 또한, 체결부(225)가 연성 링이고 실링부(125)도 연성 링 또는 굴곡진 부분을 갖도록 형성된다면, 마개 조립체(200)는 깊이 방향(D)으로 가압되어 바디(100)에 체결될 것이다.
절곡 튜브(230)는, 수조부(211)에 연결되는 일 단부(231)와, 수용 공간(S)에 배치되는 타 단부(233)와, 절곡된 중간 부분(235)을 포함할 수 있다. 일 단부(231)는 수조부(211)의 하부(212)의 연통홈(214)에 삽입되어 수조부(211)의 오목한 부분과 연통될 수 있다. 중간 부분(235)은 절곡 튜브(230) 내를 유동하는 가스의 유동 방향(G)이 반대로 바뀌도록 절곡 튜브(230)가 접혀진 부분이 된다. 타 단부(233)는 수용 공간(S) 내에 위치하여, 매실 등의 발효체(O)의 발효 중에 발생하는 탄산가스가 유입되는 부분이 된다.
절곡 튜브(230)의 중간 부분(235)은, 본 실시예에서 수용 공간(S)의 외부에 위치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중간 부분(235)은 주변부(216)를 기준으로 타 단부(233)의 반대 측에 배치된다. 이를 위하여, 주변부(216)에는 관통홀(218)이 개구되어, 절곡 튜브(230)의 접혀진 2 줄이 관통홀(218)을 통해 외부로 연장하도록 배치되게 할 수 있다. 관통홀(218)과 절곡 튜브(230) 사이의 틈새는 실리콘 등의 충전제로 밀폐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발효용기의 작동 원리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2에서 발효용기 내의 탄산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는 상황을 보인 종 단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바디(100)의 몸통(110)의 수용 공간(S)에는 매실 등과 같은 발효체(O) 등이 수용된다. 이후, 목(120)에는 마개 조립체(200)가 체결되고 수조부(211)에는 물과 같은 액체(W)가 채워져서, 수용 공간(S)은 외부와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이후, 발효체(O)는 알콜 발효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알콜 발효의 과정 중에는 많은 양의 탄산 가스가 배출된다. 탄산 가스는 목(120) 부분으로 상승되어, 절곡 튜브(230)의 타 단부(233) 측으로 유입된다. 탄산 가스는 절곡 튜브(230) 내에서 유동하여 중간 부분(235)을 향해 상방 유동되고, 중간 부분(235)에서 유동 방향(G)을 바꾸어서 하방 유동하게 된다. 탄산 가스는 이제 절곡 튜브(230)의 일 단부(231)를 거쳐서 수조부(211)의 오목한 부분 내로 유입된다. 이러한 탄산 가스는 수조부(211) 내의 액체(W)에 녹아들면서 상승하여, 수조부(211)의 상부(213)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러한 과정 중에, 외부의 산소를 포함한 공기는 수용 공간(S) 내로 침투하지 못한다. 외부 공기는 액체(W)에 대해 탄산 가스의 배출 방향(G)과 역방향으로 침투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그에 의해, 알콜 발효 시에 발생되는 탄산 가스는 효과적으로 배출되면서도, 외부의 공기가 수용 공간(S)으로 유입되어 초산발효가 진행되지는 않게 된다.
나아가, 절곡 튜브(230)가 중간 부분(235)에서 절곡되도록 형성되고, 그 중간 부분(235)의 높이가 액체(W)의 높이 보다 높게 됨에 의해, 탄산가스의 발생량이 줄거나 낮과 밤의 온도차가 큰 경우에도 액체(W)가 수용 공간(S) 내로 절곡 튜브(230)를 통해 역류하지는 못하게 된다.
다음으로, 마개 조립체(200)의 다른 형태들에 대해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이하에서, 다른 형태의 마개 조립체(300 내지 500)는 처음의 마개 조립체(200)에 대응하는 구성은 마개 조립체(200)의 구성에 부여된 참조번호와 유사한 참조번호를 가진다. 그에 의해, 마개 조립체(300 내지 500) 중 유사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앞서 마개 조립체(200)에서의 설명으로 갈음한다.
먼저, 도 4는 도 1의 마개 조립체(200)에 대한 일 변형예에 따른 마개 조립체(300)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마개 조립체(300)는, 앞선 마개 조립체(200)와 달리, 주변부(316)가 수조부(311)의 상부(313)가 아닌 하부(312)에 대응되는 레벨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그에 의해, 주변부(316)에 대비하여, 수조부(311) 만이 상방으로 돌출되게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절곡 튜브(330)의 일 단부(331)가 수조부(311)의 하부(312)에 연결되더라도, 절곡 튜브(330)의 타 단부(333)에 인접한 부분(332)만 관통홀(318)을 통과하면 된다. 다시 말해서, 앞선 실시예에서는 관통홀(218)을 절곡 튜브(230)가 접혀져서 두 번 통과했다면, 본 실시예에서는 관통홀(318)에 대해 절곡 튜브(330)의 한 부분(332)이 한 번만 통과하면 된다. 그에 의해, 관통홀(318)의 사이즈 조정을 통해, 절곡 튜브(330)의 한 부분(332)과 관통홀(318) 사이의 밀폐를 위해 별도의 실리콘 등의 충전제 주입이 불필요하게 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5는 도 1의 마개 조립체(200)에 대한 다른 변형예에 따른 마개 조립체(400)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마개 조립체(400)는 앞선 실시예의 마개 조립체(200)보다 높이 방향으로 더 긴 형태이다. 이에 의해, 수조부(411)의 깊이는 앞선 수조부(211)보다 깊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절곡 튜브(430)의 중간 부분(435)은 주변부(416)를 통해 외부로 연장하지 않고, 타 단부(433)와 함께, 베이스(410)와 측벽(420)에 의해 한정되는 공간 측에 위치할 수 있게 된다. 그에 의해, 베이스(410)에 절곡 튜브(430)가 통과되도록 관통홀을 뚫거나, 관통홀과 절곡 튜브(430)의 틈새를 밀폐하는 등의 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절곡 튜브(430)의 중간 부분(435)에 인접한 부분은, 수조부(411)에 형성되는 고정편(419)에 끼워져서 고정될 수 있다. 그에 의해, 절곡 튜브(430)는 원래의 설정된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수조부(411)의 저면에서는 격벽(415)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격벽(415)은 절곡 튜브(430)의 일 단부(431)가 연통된 공간(T1)과 나머지 공간(T2)을 구획할 수 있다. 이때, 액체(W)의 수위는 격벽(415)의 상부보다 높게 유지된다. 이러한 격벽(415)은, 액체(W)가 역류하는 경우에 하부의 액체(W)가 절곡 튜브(430)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6은 도 1의 마개 조립체(200)에 대한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마개 조립체(500)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마개 조립체(500)는 베이스(510)와, 측벽(520)과, 절곡 튜브(530)에 더하여, 플러그(550)를 추가로 구비하게 된다.
플러그(550)는 수조부(511)의 상부를 덮도록 수조부(511)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플러그(550)의 몸통(551)의 측면에는 나사산(555)이 형성되고, 그에 대응하여 수조부(511)의 상부에도 나사산(515)이 형성될 수 있다.
플러그(550)의 몸통(551)의 상면에는 플러그(550)를 회전시킬 때 사용자가 쥘 수 있는 손잡이(55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마개 조립체(500)의 수조부(511)에 액체를 채워 사용한 후에 보관 시에, 또는 수조부(511)에 액체가 채워진 상태로 발효용기를 운반시에, 수조부(511)의 개방된 상부를 플러그(550)로 밀폐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발효용기용 마개 조립체 및 그를 구비하는 발효용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 바디 120: 목
200,300,400,500: 마개 조립체 210,310,410,510: 베이스
211,311,411,511: 수조부 220,320,420,520: 측벽
230,330,430,530: 절곡 튜브 231,331,431: 일 단부
233,333,433: 타 단부 235,335,435: 중간 부분
550: 플러그

Claims (14)

  1. 깊이 방향을 따라 오목하고 상부는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수조부와, 상기 수조부의 외주 중 적어도 일 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수조부에서 외부를 향한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주변부를 구비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외주를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깊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측벽; 및
    상기 수조부의 외주연 및 상기 측벽의 내주연에 의해 감싸지는 내부 공간을 연통시키도록 연장 형성되고, 중간 부분은 내부를 유동하는 가스의 유동 방향이 반대로 바뀌도록 절곡되어 서로 평행한 2줄로 형성되는, 절곡 튜브를 포함하며,
    상기 절곡 튜브는, 일 단부가 상기 수조부의 하부에 연결되고 타 단부는 상기 내부 공간 측에 배치되며, 상기 절곡 튜브의 중간 부분은 상기 서로 평행한 2줄이 상기 주변부에 형성되는 하나의 관통홀을 관통함에 의해 상기 측벽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수조부의 개방된 상부의 끝단보다 보다 높게 돌출 형성되는, 발효용기용 마개 조립체.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에 형성되어, 상기 마개 조립체를 발효용기의 목에 체결되게 하는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발효용기용 마개 조립체.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부의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절곡 튜브를 상기 수조부에 고정하게 하는 고정편을 더 포함하는, 발효용기용 마개 조립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부의 오목한 부분의 저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절곡 튜브의 일 단부가 연결되는 공간과 나머지 공간을 구획하는 격벽을 더 포함하는, 발효용기용 마개 조립체.
  12. 삭제
  13.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몸통과, 상기 수용 공간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개구부를 한정하도록 상기 몸통의 상부에 형성되는 목을 구비하는, 바디; 및
    제1항, 제4항, 제10항, 또는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며, 상기 측벽은 상기 목에 체결되어 상기 개구부를 밀폐하는, 마개 조립체를 포함하는, 발효용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목의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목과 상기 측벽과의 틈새를 밀폐하는 실링부를 더 포함하는, 발효용기.
KR1020110049287A 2011-05-25 2011-05-25 발효용기용 마개 조립체 및 그를 구비하는 발효용기 KR101314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9287A KR101314904B1 (ko) 2011-05-25 2011-05-25 발효용기용 마개 조립체 및 그를 구비하는 발효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9287A KR101314904B1 (ko) 2011-05-25 2011-05-25 발효용기용 마개 조립체 및 그를 구비하는 발효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1254A KR20120131254A (ko) 2012-12-05
KR101314904B1 true KR101314904B1 (ko) 2013-10-04

Family

ID=47515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9287A KR101314904B1 (ko) 2011-05-25 2011-05-25 발효용기용 마개 조립체 및 그를 구비하는 발효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49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60495A1 (en) * 2016-03-18 2017-09-21 Beene James Food and beverage fermentation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4075B1 (ko) * 2013-12-30 2015-07-08 김재일 혐기성 발효 용기
KR101534611B1 (ko) * 2013-12-31 2015-07-08 권태주 혐기성 및 호기성 복합 발효용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1284A (ko) * 2007-01-30 2008-08-04 백상흠 과실주 숙성통
KR20090097569A (ko) * 2008-03-12 2009-09-16 이숙희 발효식품용 뚜껑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1284A (ko) * 2007-01-30 2008-08-04 백상흠 과실주 숙성통
KR20090097569A (ko) * 2008-03-12 2009-09-16 이숙희 발효식품용 뚜껑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60495A1 (en) * 2016-03-18 2017-09-21 Beene James Food and beverage fermentation device
US10308904B2 (en) 2016-03-18 2019-06-04 James Loy Beene Jr. Food and beverage fermenta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1254A (ko) 2012-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4904B1 (ko) 발효용기용 마개 조립체 및 그를 구비하는 발효용기
US20080302836A1 (en) Multipart Plastic Closure
JP2004154130A (ja) ローラボトル
ES2779249T3 (es) Botella que incluye un cierre hueco extraíble
EP2225165B1 (en) Bottle with cap which keeps the liquid contained in it effervescent and fresh even after partial consumption of the liquid
KR101278508B1 (ko) 발효주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발효주 제조방법
KR200460497Y1 (ko) 주조용 발효전의 구조
US8899428B2 (en) Wine bottle with the wine in permanent contact with the cork
CN203581676U (zh) 一种用于葡萄酒保鲜的贮存装置
KR100999379B1 (ko) 발효식품용 뚜껑
KR200166539Y1 (ko) 탁주병의 발효가스를 배기할 수 있는 뚜껑
KR20210083667A (ko) 증발가스 유출방지용 용기캡
KR20120128738A (ko) 내용물 배출용 병뚜껑의 구부 주위 밀폐구조
CN201777584U (zh) 分装酒瓶
KR100999380B1 (ko) 발효식품용 뚜껑
CN219296122U (zh) 一种组合盖
CN216995713U (zh) 一种即时混合型饮料瓶瓶盖
CN217731063U (zh) 一种分层拆解饮料瓶
CN210338895U (zh) 一种装配式瓶盖
RU99768U1 (ru) Укупор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бутылки
JP2016043955A (ja) 水素含有液体充填容器および水素含有液体の充填方法
KR100649447B1 (ko) 자연낙하식 안전 발효전
CN101112234B (zh) 阻气盖及带有上述阻气盖的坛子
CN208362295U (zh) 压力自平衡容器盖子及啤酒自酿瓶
JP5298176B2 (ja) 醗酵により生じた炭酸ガスを溶け込ませた飲料の製造方法、および容器入り飲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