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0497Y1 - 주조용 발효전의 구조 - Google Patents

주조용 발효전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0497Y1
KR200460497Y1 KR2020100008780U KR20100008780U KR200460497Y1 KR 200460497 Y1 KR200460497 Y1 KR 200460497Y1 KR 2020100008780 U KR2020100008780 U KR 2020100008780U KR 20100008780 U KR20100008780 U KR 20100008780U KR 200460497 Y1 KR200460497 Y1 KR 2004604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mentation
tube
fermentation vessel
lower tube
male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87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1468U (ko
Inventor
김덕조
Original Assignee
김덕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덕조 filed Critical 김덕조
Priority to KR20201000087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0497Y1/ko
Publication of KR201200014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46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04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049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33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automatic opening of the closure, container or other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9/00Closures arranged within necks or pouring openings or in discharge apertures, e.g. stoppers
    • B65D39/04Cup-shaped plugs or like hollow flanged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조용 발효전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단이 개방되어 액체가 담기는 상부관체(11)의 내부에 바닥면을 관통하는 내부관체(13)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부관체(11)의 하측으로 상기 내부관체(13)가 연장되는 하부관체(15)를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하부관체(15)의 하단부에는 수나사(16)를 형성한 본체(10)와, 하단을 개방하여 상기 내부관체(13)의 상단에 씌워지는 내부캡(20)과, 다수의 배기구멍(35)을 형성하여 상기 상부관체(11)의 개방된 상단을 개폐하는 외부캡(30)을 구비한 발효전(1)을 구성함으로써, 상기 하부관체(15)의 수나사(16)를 발효용기(100)에 나사체결 하거나 또는 하부관체(15)에 코르크 마개(70)를 끼워 발효용기(200)를 밀폐하여 각종 발효용기의 형상과 크기에 관계없이 발효전(1)을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주조용 발효전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주조용 발효전의 구조{STRUCTURE OF A FERMENTATION LOCK}
본 고안은 주조용 발효전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발효주의 주조(酒造)시 발효용기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초산발효를 방지함과 아울러 발효용기 내부에서 발생한 탄산가스는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 발효전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발효전을 발효용기에 나사체결 하거나 또는 코르크 마개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발효용기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와 크기를 갖는 각종 발효용기의 종류에 관계없이 간편하게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주조용 발효전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곡물이나 과실을 이용한 발효주는 주정발효에 의하는바, 상기 주정발효는 산소가 없는 상태에서 당류 또는 다당류가 미생물에 의하여 분해되는 과정으로서 최종적으로 알코올과 이산화탄소를 생성한다.
한편, 일반 가정에서도 뚜껑이 있는 유리용기나 플라스틱용기, 또는 큰 유리병 등을 발효용기로 활용하여 포도주, 머루주 등과 같은 발효주를 주조하는데, 이때 발효용기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면 공기 중에 포함된 산소에 의하여 초산발효가 일어나 발효주가 시어져 버리므로, 상기와 같은 초산발효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발효용기의 밀봉에 주의하여야 한다.
그러나, 앞서 주정발효 과정에서 살펴보았듯이 정상적인 발효주의 제조과정에서 상당량의 탄산가스가 발생하는데, 초산발효를 억제하기 위하여 발효용기를 완전히 밀봉하게 되면, 상기 탄산가스에 의하여 발효용기의 내부 압력이 증가하여 발효용기의 밀봉 부분이 터지거나 발효용기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효용기의 내부에서 발생한 탄산가스는 외부로 방출하고, 산소를 포함한 외부의 공기는 발효용기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발효전(Fermentation lock)이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발효전의 경우 전용 발효용기에 일체로 부착되어 있거나, 또는 발효전의 형상 및 크기가 특정한 발효용기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됨에 따라 그 사용이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즉, 일반 가정에서 꿀단지나 젓갈용기 또는 기타 다른 용도로 사용된 유리용기를 활용하여 발효주를 담그는 현실을 감안할 때, 종래 발효전은 상기와 같은 다양한 크기와 형태로 이루어진 용기에 대하여 호환하여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발효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발효용기의 내부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한편 발효용기 내부의 탄산가스는 외부로 방출되도록 한 발효전을 구성하되, 특정한 형태나 크기의 용기에 그 사용이 한정되지 않고 재활용 용기 등을 포함한 각종 용기에 대하여 호환하여 사용 가능토록 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발효주 담그기를 즐기는 일반 수요자에게 편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주조용 발효전의 구조는, 상단이 개방되어 액체가 담기는 상부관체의 내부에 바닥면을 관통하는 내부관체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부관체의 하측으로 상기 내부관체가 연장되는 하부관체를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하부관체의 하단부에는 수나사를 형성한 본체와, 하단을 개방하여 상기 내부관체의 상단에 씌워지는 내부캡과, 다수의 배기구멍을 형성하여 상기 상부관체의 개방된 상단을 개폐하는 외부캡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하부관체의 수나사를 발효용기에 나사체결 하거나 또는 하부관체를 코르크 마개에 끼워 발효용기를 밀폐할 수 있도록 한 주조용 발효전의 구조에 특징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 하부관체에 형성한 수나사의 상측에 받침면을 형성하여 상기 받침면에 지지되는 받침판을 하부관체에 끼워 넣거나 상기 하부관체에 받침판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의 별도 또는 일체로 형성한 받침판과 발효용기 사이에 패킹을 삽입하며, 상기 발효용기의 내부로 관통한 하부관체의 수나사에 고정너트를 체결한 주조용 발효전의 구조에 부가적인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 의하면, 발효용기에 본 고안의 발효전을 직접 나사체결 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특히 발효용기의 몸통이나 뚜껑에 구멍을 뚫어 받침판 및 패킹을 구비한 발효전의 하부관체를 삽입한 후, 상기 하부관체의 수나사에 고정너트를 체결함으로써, 발효용기의 종류에 관계없이 발효전을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편으론 하부관체의 하단부에 코르크 마개를 끼워 뚜껑이 없는 병 용기에 대해서도 발효전을 사용할 수 있음 따라, 각종 발효용기의 형상과 크기에 관계없이 호환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발효주 담그기를 즐기는 일반 수요자에게 편리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효전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효전 본체의 단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효전의 내부캡을 나타내는 단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효전의 외부캡을 나타내는 단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효전 본체 및 받침편의 확대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효전의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효전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효전의 분리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효전의 사용상태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주조용 발효전의 구조를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상세히 살펴보되, 우선 발효전(1)의 본체(10) 구조를 살펴본다.
본 고안에 따른 발효전(1)의 본체(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관체(11)와 내부관체(13) 및 하부관체(15)가 일체로 형성되는데, 상부관체(11)는 상단이 개방된 컵 형상으로 형성하여 발효용기에 채워진 발효주나 물과 같은 액체를 담을 수 있도록 형성하고, 아울러 상부관체(11)의 외주면 상단에는 걸림턱(12)을 돌출하여 형성함으로써 후술할 외부캡(30)이 안정적으로 닫힐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내부관체(13)는 상기 상부관체(11)의 내부에 형성하되, 내부관체(13)의 상단은 상부관체(11)의 상단보다 낮게 형성하며, 내부관체(13)의 하단은 상부관체(11)의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형성한다.
또한, 하부관체(15)는 상기 상부관체(11)의 하측으로 형성하되, 상부관체(11)의 바닥면으로 관통하는 내부관체(13)에 연장하여서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내부관체(13)와 하부관체(15)가 상호 연속하여 연통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하부관체(15)는 하측 방향으로 그 지름이 작아지도록 축관하여 형성함이 바람직하고, 특히 하부관체(15)의 하단부 외주면에는 수나사(16)를 형성하여 발효용기에 나사체결이 가능토록 형성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발효전(1)은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체(10)와 함께 내부캡(20) 및 외부캡(30)의 구성을 더 포함하는바 이를 도 1 및 도 3, 4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내부캡(20)은 "∩"형상으로서 하단을 개방하여 상기 내부관체(13)의 상단에 씌워지도록 형성하되, 내부캡(20)의 하단부에 다수의 통공(25)을 형성함이 바람직하고, 외부캡(30)은 다수의 배기구멍(35)을 형성하여 상기 상부관체(11)의 개방된 상단을 개폐토록 하되, 상기 외부캡(30)의 내주면에는 걸림돌기(32)를 형성하여 상기 상부관체(11)의 걸림턱(12)에 상호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외부캡(30)이 본체(10)에서 무단이탈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한 본 고안에 따른 발효전(1)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부관체(15)에 형성한 수나사(16)로써 발효용기에 나사체결 하는데, 이때 상기 발효용기에 대하여 발효전(1)을 직접 나사체결 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부가적으로 받침판(40)과 패킹(50) 및 고정너트(60)를 이용하여 나사체결 할 수 있는바, 이를 하기에서 도 1 및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살펴본다.
본 고안의 발효전(1)에 있어, 상기 본체(10)의 하부관체(15)에 형성한 수나사(16)의 상측에 받침면(17)을 형성하고, 상기 받침면(17)에 지지되도록 하부관체(15)에 끼워지는 받침판(40)을 형성하는바, 이때 상기 받침면(17)은 도 5의 도시와 같이 하측 방향으로 그 지름이 작아지는 경사면으로 형성함과 아울러 받침판(40)은 상기 경사진 받침면(17)의 내주면에 걸리는 정도의 내경을 갖는 삽입공(45)을 형성하여 하부관체(15)에 끼워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나, 다른 한편으론, 상기 하부관체(15)에 형성한 수나사(16)의 상측에 받침판(40)을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으나 상기 받침면을 돌기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인바, 본 발명은 상기 받침면(17)의 형상에 한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받침판(40)을 형성한 발효전(1)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효전(1)의 하부관체(15)가 발효용기(100)에 형성한 설치공(150)을 관통하도록 삽입하되, 상기 받침판(40)과 발효용기(100) 사이에 패킹(50)을 삽입하고, 상기 발효용기(100)의 내부로 관통한 하부관체(15)의 수나사(16)에는 고정너트(60)를 체결함으로써, 발효용기(100)에 발효전(1)을 나사체결 한다. 상기에 있어 발효전(1)의 하부관체(15)가 삽입되는 설치공(150)은 발효용기(100)의 뚜껑에 형성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플라스틱 발효용기의 경우 상기 설치공을 발효용기(100)의 몸통에 형성할 수도 있는바, 본 고안은 상기 발효용기(100)에 형성되는 설치공(150)의 위치에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유리병과 같이 나사체결이 불가능한 다른 발효용기(200)에 발효전(1)을 사용하는 경우,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관체(15)의 하단에 체결공(75)을 형성한 코르크 마개(70)를 끼워 상기 발효용기(200)의 주둥이(250)를 밀폐함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발효전(1)을 사용할 수 있다.
첨부의 도면에 있어 미설명 부호인 "18"은 하부관체(15)의 하단에 형성한 차단구(18)로서, 발효과정에서 생성되는 탄산가스 이외에 발효용기(100)(200)에 채워진 곡물 및 과실이 하부관체(15)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도 7의 도시와 같이 발효전 본체(10)의 상부관체(11)에 채워진 액체 및 내부캡(20)에 의하여 외부공기가 발효용기(10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으므로 산소 유입에 의한 발효주의 초산발효를 예방하며, 발효용기(100)의 내부에서 발생한 탄산가스는 일정 압력 이상이 될 경우, 하부관체(15)의 상단 및 내부캡(20)의 하단부를 경유하여 상부관체(11)로 유출된 후, 외부캡(30)의 배기구멍(35)을 통하여 외부로 방출되어 탄산가스에 의한 발효용기(100)의 훼손 및 파손을 예방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은 발효용기(100)에 발효전(1)을 직접 나사체결 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발효용기(100)의 몸통 또는 뚜껑에 설치공(150)을 형성하여 받침판(40) 및 패킹(50)을 더 구비한 발효전(1)의 하부관체(15)를 상기 설치공(150)으로 삽입한 후, 하부관체(15)의 수나사(16)에 고정너트(60)를 체결함으로써 발효전(1)을 발효용기(100)에 부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편으론 하부관체(15)의 하단부에 코르크 마개(70)를 끼워 유리병과 같이 나사체결이 불가능한 발효용기(200)에 대해서도 그 사용이 가능하여, 각종 발효용기의 형상과 크기에 관계없이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1: 발효전 10: 본체 11: 상부관체
12: 걸림턱 13: 내부관체 15: 하부관체
16: 수나사 17: 받침면 18: 차단구
20: 내부캡 25: 통공 30: 외부캡
32: 걸림돌기 35: 배기구멍 40: 받침판
45: 삽입공 50: 패킹 60: 고정너트
70: 코르크 마개 75: 체결공 100, 200: 발효용기
150: 설치공 250: 주둥이

Claims (3)

  1. 상단이 개방되어 액체가 담기는 상부관체(11)의 내부에 바닥면을 관통하는 내부관체(13)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부관체(11)의 하측으로 상기 내부관체(13)가 연장되는 하부관체(15)를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하부관체(15)의 하단부에는 수나사(16)를 형성한 본체(10)와;
    하단을 개방하여 상기 내부관체(13)의 상단에 씌워지는 내부캡(20)과;
    다수의 배기구멍(35)을 형성하여 상기 상부관체(11)의 개방된 상단을 개폐하는 외부캡(30)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하부관체(15)의 수나사(16)를 발효용기에 나사체결 하거나 또는 하부관체(15)에 체결공(75)을 형성한 코르크 마개(70)를 끼워 발효용기를 밀폐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조용 발효전의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관체(15)에 형성한 수나사(16)의 상측에 받침면(17)을 형성하고;
    상기 받침면(17)에 지지되도록 하부관체(15)에 끼워지는 받침판(40)을 형성하며;
    상기 받침판(40)과 발효용기(100) 사이에 패킹(50)을 삽입하되;
    상기 발효용기(100)의 내부로 관통한 하부관체(15)의 수나사(16)에 고정너트(60)를 체결함으로써, 발효용기(100)에 발효전(1)을 나사체결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조용 발효전의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관체(15)에 형성한 수나사(16)의 상측에 받침판(40)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받침판(40)과 발효용기(100) 사이에 패킹(50)을 삽입하며;
    상기 발효용기(100)의 내부로 관통한 하부관체(15)의 수나사(16)에 고정너트(60)를 체결함으로써, 발효용기(100)에 발효전(1)을 나사체결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조용 발효전의 구조.
KR2020100008780U 2010-08-23 2010-08-23 주조용 발효전의 구조 KR2004604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8780U KR200460497Y1 (ko) 2010-08-23 2010-08-23 주조용 발효전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8780U KR200460497Y1 (ko) 2010-08-23 2010-08-23 주조용 발효전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468U KR20120001468U (ko) 2012-03-05
KR200460497Y1 true KR200460497Y1 (ko) 2012-05-23

Family

ID=46173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8780U KR200460497Y1 (ko) 2010-08-23 2010-08-23 주조용 발효전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049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0782A (ko) 2016-07-20 2016-08-01 김덕조 다목적 발효기
KR20160002751U (ko) 2016-07-27 2016-08-08 김덕조 다목적 발효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9586A (ja) 1996-10-30 1998-05-26 Kyocera Corp シリコン鋳造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9586A (ja) 1996-10-30 1998-05-26 Kyocera Corp シリコン鋳造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0782A (ko) 2016-07-20 2016-08-01 김덕조 다목적 발효기
KR20160002751U (ko) 2016-07-27 2016-08-08 김덕조 다목적 발효기
KR200482230Y1 (ko) 2016-07-27 2017-01-02 김덕조 다목적 발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468U (ko) 2012-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0497Y1 (ko) 주조용 발효전의 구조
CN2885751Y (zh) 保鲜瓶盖
CN201023789Y (zh) 带吸管的密封瓶盖
KR101314904B1 (ko) 발효용기용 마개 조립체 및 그를 구비하는 발효용기
CN2795077Y (zh) 一种储料瓶盖
CN201109569Y (zh) 茶饮料瓶盖
CN204399715U (zh) 一种带进/排气单向阀的陶瓷密封罐
CN2450136Y (zh) 保鲜饮料箱
CN205872806U (zh) 一种密封盖总成及其盒装容器
CN207497264U (zh) 一种防止汽水喷出的两段式汽水瓶
JP3065618U (ja) 酒類用容器
CN101112234B (zh) 阻气盖及带有上述阻气盖的坛子
CN214825600U (zh) 一种具有多重密封功能的酒瓶
KR20080000056U (ko) 병뚜껑
KR101776035B1 (ko) 용기 조임장치 및 탄산가스 누출 방지방법
CN208181802U (zh) 一种自抽真空储存罐
CN216612285U (zh) 防拔瓶盖
CN200942921Y (zh) 阻气盖及带有上述阻气盖的坛子
CN220549455U (zh) 一种混合通路全开的组合式饮料瓶
CN207374964U (zh) 一种瓶盖
CN220536412U (zh) 一种瓶盖带洞的现喝现混饮料瓶
CN201499903U (zh) 散装液体食品销售柜
CN201660199U (zh) 旋开复合盖式包装罐
JP7190302B2 (ja) 容器用栓体
CN201457938U (zh) 具有报紧功能的容器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