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4333B1 - 우편용 봉투의 절취장치 - Google Patents

우편용 봉투의 절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4333B1
KR101314333B1 KR1020120107723A KR20120107723A KR101314333B1 KR 101314333 B1 KR101314333 B1 KR 101314333B1 KR 1020120107723 A KR1020120107723 A KR 1020120107723A KR 20120107723 A KR20120107723 A KR 20120107723A KR 101314333 B1 KR101314333 B1 KR 1013143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cutting
frame
cut
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7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동섭
김병노
Original Assignee
(주)월드피에이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월드피에이디 filed Critical (주)월드피에이디
Priority to KR1020120107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43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4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43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02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perforating, scoring, slitting, or applying code or date marks on material prior to packa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편용 봉투의 절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발신정보가 인쇄되고 우편물을 개별 포장하도록 동일 규격으로 복수 개 구비되는 필름, 일측 일부를 절취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필름의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는 절취선, 및 이 절취선 내측에 해당되는 필름 각각에 서로 다른 수신정보가 인쇄된 채 부착되는 수신정보 인쇄 라벨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우편물을 포장한 봉투에 절취선을 형성하여 봉투에 부착된 수신자 정보가 기재된 라벨지를 봉투 일부와 함께 용이하게 제거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개인 신상정보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고, 절취선의 위치를 동일하게 함으로써 라벨지의 부착 위치 편차를 줄여 우편물의 분리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우편용 봉투의 절취장치{MANUFACTURE DEVICE OF PACKING FILM HAVING PERFORATED LINE}
본 발명은 우편용 봉투의 절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우편물을 포장한 봉투에 절취선을 형성하여 봉투에 부착된 수신자 정보가 기재된 라벨지를 봉투 일부와 함께 용이하게 제거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개인 신상정보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고, 절취선의 위치를 동일하게 함으로써 라벨지의 부착 위치 편차를 줄여 우편물의 분리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우편용 봉투의 절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우편발송 라벨은 개인정보가 기재된 라벨이 포장박스에 접착되어 있어 포장박스를 버릴 때 개인정보가 그대로 기재된 채 버려지는 방식이다. 이때, 신상정보가 노출될 위험에 있으며, 이를 의식해 라벨을 제거하고 버리고자 해도 쉽게 제거가 되지 않는 불편함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라벨을 쉽게 뗄 수 있도록 도와주거나 개인정보가 인쇄된 부분만 제거할 수 있는 발명이 제안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안에는 국내등록 실용신안 제20-2008-0010066호 '물품배송용 부착스티커' 제10-2005-0049041호 '암호화를 이용하여 택배고객의 개인정보를 보호하는 택배시스템', 제20-2009-0006679호 '절취선을 이용한 분리형 수기운송장 '과 국외등록 실용신안 제10-2004-0012146호 '개인정보 보호시트' 및 그 방법 등이 있다.
기존 우편봉투에는 수신자 정보가 적힌 스티커를 봉투에 부착 후 발송하였는데, 수신자측에서 개인정보보호 차원에서 수신자 정보가 적힌 스티커를 제거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작업자가 수신자 정보가 적힌 스티커를 우편봉투에 부착하는데, 부착 위치가 조금씩 달라지게 되어 배송지 별로 분류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부착된 수신자 정보가 기재된 라벨지를 부착하는 우편물 포장용 봉투에 절취선을 형성함으로써 라벨지를 봉투 일부와 함께 용이하게 제거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개인 신상정보의 유출을 방지하고자 하는 우편용 봉투의 절취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모든 봉투에 절취선의 위치를 동일하게 설정하도록 함으로써 라벨지의 부착 위치 편차를 줄여 자동 설비를 사용하여 지역적 우편물 분리 작업시 오류 발생이 없도록 하는 우편용 봉투의 절취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우편용 봉투는: 발신정보가 인쇄되고 우편물을 개별 포장하도록 동일 규격으로 복수 개 구비되는 필름, 일측 일부를 절취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필름의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는 절취선, 및 상기 절취선 내측에 해당되는 상기 필름 각각에 서로 다른 수신정보가 인쇄된 채 부착되는 수신정보 인쇄 라벨지를 포함한다.
상기 수신정보 인쇄 라벨지 또는 상기 필름에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상기 절취선을 따라 상기 필름의 일부를 제거하도록 절취알림정보가 인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우편용 봉투의 절취장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을 따라 강제 이송되는 필름의 특정 부위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의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필름의 설정 부위 제거를 위해 절취선을 형성하는 절취성형부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부는,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 구비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에 구비되고 서로 외접되어 통과하는 상기 필름을 지지하는 이송롤러, 마주하는 상기 플레이트에 양측이 회전 가능하게 각각 삽입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양측에 구비되는 피니언치차부재, 상기 피니언치차부재 각각에 기어 결합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는 랙치차부재, 및 상기 플레이트의 상측에 연결되어 이송되는 필름의 절취선 형성을 위해 특정 부위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피니언치차부재는 스토퍼핀에 의해 구속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취성형부는, 이송되는 필름을 면접하여 지지하도록 평판 형상의 워크테이블, 상기 프레임에 상하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서포터, 상기 서포터에 연결되어 상하 왕복 이동되는 금형부재, 및 상기 필름에 형성될 절취선 궤적을 따라 상기 금형부재에 구비된 절취커터를 포함한다.
상기 금형부재 또는 상기 절취커터에는 발열부재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은 최초에 공급되거나, 또는 절취선을 형성한 상태로 배출되는 상기 필름에 장력을 유지하기 위해 가변저항 장력조절부를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변저항 장력조절부는,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양측이 장착되는 가변저항기, 상기 가변저항기의 양측에서 서로 나란하게 연장되고 상기 필름에 작용되는 장력의 크기에 따라 상기 가변저항기의 작동으로 회동되는 암(arm), 및 마주하는 상기 암에 양측이 연결되어 상기 필름을 감아 장력의 크기 정도를 상기 암에 전달하는 권취축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은 최초에 공급되는 상기 필름에 장력을 유지하기 위해 필름공급 장력조절부를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름공급 장력조절부는, 상기 프레임에 시소 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서포트링크, 상기 서포트링크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감지부 방향으로 이송되는 필름을 감는 공급롤러, 및 상기 프레임과 상기 서포트링크의 상측에 연결되어 상기 절취성형부의 작동시마다 비연속적으로 당겨지는 상기 필름의 장력을 유지하도록 상기 서포트링크를 회동 조작하는 조작부재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우편용 봉투의 절취장치는 종래 기술과 달리 부착된 수신자 정보가 기재된 라벨지를 부착하는 우편물 포장용 봉투에 절취선을 형성함으로써 라벨지를 봉투 일부와 함께 용이하게 제거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개인 신상정보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모든 봉투에 절취선의 위치를 동일하게 설정하도록 함으로써 라벨지의 부착 위치 편차를 줄여 자동 설비로써 지역적으로 우편물 분리 작업에 오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편용 봉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편용 봉투의 일부 절취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편용 봉투의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문구가 기재된 라벨지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편용 봉투의 절취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편용 봉투의 절취장치의 감지부 및 절취성형부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편용 봉투의 절취장치의 절취성형부의 금형 저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우편용 봉투의 절취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편용 봉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편용 봉투의 일부 절취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편용 봉투의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문구가 기재된 라벨지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편용 봉투의 절취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편용 봉투의 절취장치의 감지부 및 절취성형부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편용 봉투의 절취장치의 절취성형부의 금형 저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편용 봉투(10)는 필름(20), 절취선(30), 및 수신정보 인쇄 라벨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필름(20)은 우편용 봉투(10)의 원단으로서, 정해진 우편용 봉투(10)의 규격만큼 복수 개로 절단되어 우편물을 개별 포장하게 된다.
특히, 필름(20)은 발신정보(22)가 인쇄된다. 발신정보(22)는 모든 우편용 봉투(10)에 동일하게 적용되기 때문에 자동인쇄설비에 의해 대량으로 인쇄된다. 편의상, 발신정보(22)는 필름(20)의 평면상 좌측 상단에 인쇄된다.
그리고, 필름(20)은 우편물을 식별할 수 있도록 투명한 비닐 재질이나 종이 등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필름(20)에는 수신정보(42)가 구비된다. 수신정보(42)는 우편물을 받는 수신자의 주소와 이름, 및 연락처 등을 말한다. 편의상, 수신정보(42)는 우편용 봉투(10)의 필름(20) 우측 하단에 형성된다.
이때, 각 우편용 봉투(10) 마다 수신정보(42)가 다르기 때문에, 수신정보(42)는 자동인쇄설비로 대량 인쇄할 수 없다. 그래서, 수신정보(42)는 수신정보 인쇄 라벨지(40)에 각각 하나씩 인쇄된다. 그리고 나서, 수신정보 인쇄 라벨지(40)는 각각 우편용 봉투(10)의 필름(20)에 접착된다.
여기서, 우편물 수신자는 우편용 봉투(10)를 버릴 때 수신정보 인쇄 라벨지(40)를 떼어 제거 후 버리려고 하는데, 필름(20)에 접착된 수신정보 인쇄 라벨지(40)의 제거가 어렵게 된다.
그래서, 필름(20)에는 일부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절취선(30)이 구비된다. 그래서, 우편물 수신자는 절취선(30)을 따라 필름(20)을 뜯게 되면, 절취선(30)의 내측에 해당되는 조각필름(32)이 쉽게 제거된다.
즉, 필름(20)은 일측 일부를 절취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동일한 위치에 절취선(30)을 형성한다. 이때, 절취선(30)은 폐루프(closed loop) 궤적을 따라 형성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조각필름(32)에 수신정보 인쇄 라벨지(40)를 부착하고, 조각필름(32)을 절취하여 제거함으로써 쉽게 수신정보 인쇄 라벨지(40)를 제거할 수 있다.
특히, 절취선(30)이 필름(20) 각각의 동일 위치에 자동 설비에 의해 형성되고, 작업자는 수신정보 인쇄 라벨지(40)를 절취선(30) 내측에 해당되는 조각필름(32)에 접착함으로써, 수신정보(42)의 부착 위치 편차를 줄일 수 있어, 또 다른 자동 설비에 의해 수신정보(42)에 따른 구역에 맞게 분류시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수신정보(42)는 조각필름(32)에 직접 인쇄될 수도 있다.
한편, 수신정보 인쇄 라벨지(40) 또는 필름(20) 또는 조각필름(32)에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절취선(30)을 따라 필름(20)의 일부 즉 조각필름(32)을 제거하도록 절취알림정보(50)가 인쇄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우편물 수신자가 개인정보보호를 위해 수신정보 인쇄 라벨지(40)와 조각필름(32)을 제거하도록 안내하기 위함이다.
편의상, 절취알림정보(50)는 절취선(30)에 의해 제거되지 않는 필름(20)에 인쇄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예로서, 절취알림정보(50)는 '개인정보보호를 위하여 절취선을 따라 주소를 제거해 주십시오.'라고 인쇄된 문구로 한다.
한편,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편용 봉투(10)의 절취장치(100)는 프레임(110), 공급부(120), 필름공급 장력조절부(130), 가변저항 장력조절부(140), 감지부(150), 절취성형부(160), 및 권취드럼(1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프레임(110)은 우편용 봉투(10)의 절취장치(100)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공급부(120), 필름공급 장력조절부(130), 가변저항 장력조절부(140), 감지부(150), 절취성형부(160), 및 권취드럼(17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프레임(110)은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변형 가능하다.
공급부(120)는 롤(roll) 형태로 감긴 필름(20)을 이송하여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필름(20)은 우편물을 포장하는 우편용 봉투(10)로서, 방수성과 우편물 육안 확인을 위해 투명한 비닐 재질이나 종이 재질 등으로 이루어진다.
공급부(120)는 외접되는 한 쌍의 압동롤러(122)를 포함한다. 각 압동롤러(122)는 각각의 양측이 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하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그래서, 외접되는 압동롤러(122)가 사이로 필름(20)을 강제 이송시킨다. 이때, 한 쌍 중 어느 하나의 압동롤러(122)는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강제 회전된다.
공급부(120)에 의해 연속적으로 강제 이송되는 필름(20)은 감지부(150)를 통과되면서 특정 부위가 감지된다.
필름(20)은 감지부(150)에서 특정 부위가 감지될 때, 특정 부위보다 앞선 위치에 해당되는 필름(20)의 설정 부위는 절취성형부(160)에 의해 절취선(30)이 성형된다.
이때, 감지부(150)는 플레이트(151), 이송롤러(152), 샤프트(153), 피니언치차부재(154), 랙치차부재(155), 및 감지센서(15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플레이트(151)는 필름(20)의 이송 방향을 따라 프레임(110)의 양측에 구비된다. 물론, 플레이트(151)는 프레임(110) 자체일 수도 있다. 플레이트(151)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이송롤러(152)는 공급되는 필름(20)을 이송시키며 지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특히, 이송롤러(152)는 외접되도록 최소한 한 쌍으로 구비되고, 각각의 양측을 대응되는 플레이트(15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외접되는 이송롤러(152)는 어느 하나가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강제 회전될 수도 있고, 권취드럼(170)에서 필름(20)을 당기는 힘에 의해 강제 이송되는 필름(20)과 마찰로 인해 자연 회전될 수도 있다.
아울러, 감지센서(156)는 플레이트(151)의 상측에 연결되어 이송되는 필름(20)의 절취선(30) 형성을 위해 특정 부위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감지센서(156)가 필름(20)의 특정 부위를 감지할 때, 절취성형부(160)가 작동되며 필름(20)의 설정 위치에 절취선(30)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감지센서(156)는 다양한 방식에 의해 플레이트(151)의 상측에 연결될 수 있다.
예로서, 플레이트(151) 각각은 폴(pole,157)을 구비한다. 이웃한 폴(157)에는 바(bar,158)가 연결된다. 즉, 바(158)의 양측은 대응되는 폴(157)에 지지된다. 아울러, 바(158)에는 축 방향 이동 가능한 서포트블록(156a)이 구비된다. 감지센서(156)는 서포트블록(156a)에 설치된다. 그래서, 서포트블록(156a)이 이송되는 필름(20)의 특정 부위 상측에 위치하도록 바(158)를 따라 위치 설정된다. 그러면, 감지센서(156)는 특정 부위를 센싱하게 된다. 특히, 필름(20)은 이송 방향으로 일정 간격 유격되도록 특정 부위를 형성한다. 특정 부위는 불투명한 마킹용 인쇄 등을 말한다.
또한, 롤 타입으로 감겨진 상태에서 연속되게 이송되는 필름(20)은 우편용 봉투(10)의 크기에 따라 이송 방향으로 특정 부위의 간격이 달라지게 된다.
이에 따라, 감지센서(156)와, 후술할, 절취성형부(160)의 금형부재(163) 간격이 달라지게 된다.
그래서, 플레이트(151)가 필름(20)의 이송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감지센서(156)의 위치 가변 가능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예로서, 마주하는 플레이트(151)에는 샤프트(153)가 구비된다. 샤프트(153)는 대응되는 플레이트(151)에 양측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지지된다.
아울러, 피니언치차부재(154)는 샤프트(153)의 양측 가장자리 둘레면 또는 일측 가장자리 둘레면에 고정 형성된다. 피니언치차부재(154)는 샤프트(153)에 억지 축 삽입되어 고정될 수도 있고, 샤프트(153)의 둘레면에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다.
그리고, 랙치차부재(155)는 대응되는 피니언치차부재(154)에 기어 결합되도록 프레임(110)에 구비된다. 이때, 랙치차부재(155)는 프레임(110)에 고정 설치된다.
이에 따라, 피니언치차부재(154)가 랙치차부재(155)를 따라 회전되며 왕복 이송된다. 그래서, 샤프트(153)는 랙치차부재(155)에 나란하게 왕복 이동됨에 따라, 감지센서(156)는 금형부재(163)와의 간격이 조절 가능하게 된다.
또한, 필름(20)이 권취드럼(170)에 감김으로써 강제 이송된다. 그리고, 필름(20)이 외접되는 이송롤러(152)를 통과함으로써, 플레이트(151)가 필름(20)의 이송 방향으로 이동되려는 힘을 받게 된다.
이에 따라, 피니언치차부재(154)가 랙치차부재(155)에 대해 위치 설정된 후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예로서, 플레이트(151)와 피니언치차부재(154)는 스토퍼핀(159)에 의해 구속된다. 스토퍼핀(159)은 플레이트(151)와 피니언치차부재(154)에 삽입됨으로써, 피니언치차부재(154)는 회전 방지된다. 이때, 플레이트(151)는 스토퍼핀(159)을 삽입하기 위해 하나의 홀을 통공하고, 피니언치차부재(154)는 플레이트(151)의 홀과 번갈아 일치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홀을 통공한다. 이에 따라, 스토퍼핀(159)은 플레이트(151)의 홀과 피니언치차부재(154)의 임의의 홀에 동시에 삽입된다.
한편, 절취성형부(160)는 감지부(150)의 감지센서(156) 신호에 따라 필름(20)의 설정 부위 제거를 위해 절취선(30)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절취성형부(160)는 워크플레이트(161), 서포터(162), 금형부재(163), 절취커터(164), 및 발열부재(16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워크플레이트(161)는 이송되는 필름(20)을 면접하여 지지하도록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필름(20)은 워크플레이트(161)에 면접된 채 이송된다.
그리고, 서포터(162)는 프레임(110)에 상하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특히, 서포터(162)는 다양한 설비에 의해 상하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게 된다.
예로서, 서포터(162)는 편심휠(162a)에 연결되고, 편심휠(162a)은 구동모터(162b)에 의해 회전된다. 그래서, 서포터(162)는 상하 왕복 이동하게 된다. 이때, 서포터(162)가 상하 방향으로 직선 이동되지 않을 수 있게 된다. 그래서, 프레임(110)은 LM가이드(162c)를 구비하고, LM가이드(162c)는 서포터(162)를 연결함으로써, 서포터(162)는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금형부재(163)는 서포터(162)에 연결되어 상하 왕복 이동된다. 이때, 금형부재(163)가 안정적으로 상하 직선 왕복 이동되도록, 서포터(162)는 필름(20)의 이송 방향에 대해 프레임(11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동시에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도록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마주하는 한 쌍의 서포터(162)는 지지대(167)에 의해 연결된다. 즉, 지지대(167)의 양측은 대응되는 서포터(162)에 고정 연결된다. 금형부재(163)는 지지대(167)에 연결된다.
또한, 도 6에서처럼, 절취커터(164)는 필름(20)에 형성될 절취선(30) 궤적을 따라 금형부재(163)에 구비된다. 절취커터(164)는 금형부재(163)의 하측면에 절취선(30) 궤적을 따라 돌출된다.
그래서, 서포터(162)가 하강하게 되면, 금형부재(163)가 하강하게 되고, 절취커터(164)는 워크플레이트(161)에 면접된 필름(20)의 설정 위치를 가압하게 된다. 이로 인해, 필름(20)은 절취선(30)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금형부재(163)나 절취커터(164)가 워크플레이트(161)를 타격시, 금형부재(163)나 절취커터(164) 또는 워크플레이트(161)가 파손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워크플레이트(161)와 프레임(110) 사이에는 완충부재(166)가 구비되고, 지지대(167)와 금형부재(163) 사이에는 완충부재(166)가 구비된다. 완충부재(166)는 금형부재(163)나 절취커터(164)가 워크플레이트(161)에 접할 시, 금형부재(163)와 절취커터(164)와 워크플레이트(161)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완충하여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완충부재(166)는 코일 스프링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커터부재가 평판 형상인 워크플레이트(161)에 접한 필름(20)을 가압하더라도 절취선(30)이 쉽게 형성되지 않게 된다. 이는, 필름(20)이 얇은 비닐 재질 등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금형부재(163) 또는 절취커터(164)에는 발열부재(165)가 구비된다. 절취커터(164)가 가열된 상태로 얇은 필름(20)을 가압시, 필름(20)은 용이하게 절취선(30)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발열부재(165)는 히터봉이나 히터코일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또한, 필름(20)이 워크플레이트(161)에 면접된 상태에서 절취커터(164)가 가압시 일시적으로 이송 정지된다. 하지만, 공급부(120)는 연속적으로 필름(20)을 이송하게 되고, 권취드럼(170)은 연속적으로 필름(20)을 권취하게 된다.
이에 따라, 필름(20)은 감지부(150) 전(前) 단계에서 장력 조절되어야 하고, 권취 단계에서 장력 조절되어야 한다.
즉, 절취성형부(160) 작동 상태에서 필름(20)이 일시적으로 이송 정지됨에 따라, 프레임(110)은 최초에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필름(20)이 장력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가변저항 장력조절부(140)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절취성형부(160) 작동 상태에서 필름(20)이 일시적으로 이송 정지됨에 따라, 프레임(110)은 절취선(30)을 형성한 상태로 연속되게 배출되는 필름(20)이 장력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가변저항 장력조절부(140)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예로서, 가변저항 장력조절부(140)는 가변저항기(142), 암(arm,144), 및 권취축(14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가변저항기(142)는 필름(20)의 이송 방향을 따라 프레임(110)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가변저항기(142)는 저항을 쉽게 바꿀 수 있게 만든 장치로서, 저항을 연속적으로 바꾸는 연속식과 단계적으로 바꾸는 단계식이 있다. 연속식 가변저항기(142)는 저항체 위를 접촉자가 접촉하면서 저항의 길이를 조절하여 저항을 바꾼다. 접촉자가 직선으로 이동하는 것과 회전하면서 이동하는 회전식이 있는데, 회전식을 많이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저항기(142)는 회전식으로서, 양측이 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암(144)은 가변저항기(142) 각각의 양측에서 서로 나란하게 연장되어 필름(20)에 작용되는 장력의 크기에 따라 가변저항기(142)의 작동으로 회동된다.
즉, 필름(20)이 절취성형부(160) 작동 상태에서 일시 정지시, 필름(20)은 연속적 공급됨으로써 순간적으로 느슨하게 되며 처지게 된다. 그래서, 가변저항기(142)는 필름(20)의 느슨해진 상태를 감지하게 되고, 연동되어, 암(144)은 하향 회동된다. 이로 인해, 필름(20)은 당겨지며 장력을 유지하게 된다. 절취성형부(160)에서 절취선(30) 형성 완료시, 필름(20)이 정상적으로 연속 이송됨에 따라, 필름(20)의 공급측에 위치한 암(144)은 소정 상향 회동되며 초기화된다.
아울러, 필름(20)이 절취성형부(160) 작동 상태에서 일시 정지시, 권취드럼(170) 측에서는 필름(20)은 암(144)의 하향 회동 상태에서 순간적으로 이송 정지됨에 따라 당겨지게 된다. 그래서, 가변저항기(142)는 당겨지게 되는 필름(20)을 감지하게 되고, 연동되어, 암(144)은 상향 회동된다. 이로 인해, 필름(20)은 장력을 유지하게 된다. 절취성형부(160)에서 절취선(30) 형성 완료시, 필름(20)이 정상적으로 연속 이송됨에 따라, 필름(20)의 권취측에 위치한 암(144)은 소정 하향 회동되며 초기화된다.
특히, 권취축(146)은 마주하는 한 쌍씩의 암(144)에 양측이 연결된다. 한 쌍씩의 암(144)에는 복수 개의 권취축(146)이 구비된다. 그래서, 권취축(146)은 필름(20)을 감게 되고, 필름(20)에 가해지는 장력의 크기 정도는 암(144)과 가변저항기(142)에 전달된다.
한편, 필름(20)이 절취성형부(160) 작동 상태에서 일시 정지하기 때문에, 필름(20)의 공급측에는 순간적으로 반복해서 이송되는 필름(20)에 장력을 한번 더 유지하기 위해 필름공급 장력조절부(130)가 더 구비된다.
즉, 필름공급 장력조절부(130)는 최초에 연속되게 공급되는 필름(20)을 비연속되게 반복적으로 이송시키면서 장력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필름공급 장력조절부(130)는 서포트링크(132), 공급롤러(134), 및 조작부재(13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서포트링크(132)는 프레임(110)에 시소 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때, 서포트링크(132)에는 가변저항설비가 포함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공급롤러(134)는 서포트링크(132)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감지부(150) 방향으로 이송되는 필름(20)을 감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조작부재(136)는 프레임(110)에 장착된 채 서포트링크(132)의 상측에 연결된다. 그리고, 조작부재(136)는 절취성형부(160)의 작동시마다 비연속적으로 당겨지는 필름(20)의 장력을 유지하도록 서포트링크(132)를 회동 조작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조작부재(136)는 유압이나 공압 등에 의해 전후진되는 실린더로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권취드럼(170)은 절취선(30)을 형성한 필름(20)을 롤 타입으로 권취하는 것으로서, 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우편용 봉투 20: 필름
22: 발신정보 30: 절취선
32: 조각필름 40: 수신정보 인쇄 라벨지
42: 수신정보 100: 절취장치
110: 프레임 120: 공급부
122: 압동롤러 130: 필름공급 장력조절부
132: 서포트링크 134: 공급롤러
136: 조작부재 140: 가변저항 장력조절부
142: 가변저항기 144: 암(arm)
146: 권취축 150: 감지부
151: 플레이트 152: 이송롤러
153: 샤프트 154: 피니언치차부재
155: 랙치차부재 156: 감지센서
157: 폴(pole) 159: 스토퍼핀
160: 절취성형부 161: 워크플레이트
162: 서포터 163: 금형부재
164: 절취커터 165: 발열부재
166: 완충부재 170: 권취드럼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프레임;
    상기 프레임을 따라 강제 이송되는 필름의 특정 부위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의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필름의 설정 부위 제거를 위해 절취선을 형성하는 절취성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취성형부는, 이송되는 필름을 면접하여 지지하도록 평판 형상의 워크테이블;
    상기 프레임에 상하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서포터;
    상기 서포터에 연결되어 상하 왕복 이동되는 금형부재; 및
    상기 필름에 형성될 절취선 궤적을 따라 상기 금형부재에 구비된 절취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용 봉투의 절취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 구비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에 구비되고, 서로 외접되어 통과하는 상기 필름을 지지하는 이송롤러;
    마주하는 상기 플레이트에 양측이 회전 가능하게 각각 삽입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양측에 구비되는 피니언치차부재;
    상기 피니언치차부재 각각에 기어 결합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는 랙치차부재; 및
    상기 플레이트의 상측에 연결되어 이송되는 필름의 절취선 형성을 위해 특정 부위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용 봉투의 절취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피니언치차부재는 스토퍼핀에 의해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용 봉투의 절취장치.
  6. 삭제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부재 또는 상기 절취커터에는 발열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용 봉투의 절취장치.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최초에 공급되거나 또는 절취선을 형성한 상태로 배출되는 상기 필름에 장력을 유지하기 위해 가변저항 장력조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용 봉투의 절취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저항 장력조절부는,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양측이 장착되는 가변저항기;
    상기 가변저항기의 양측에서 서로 나란하게 연장되고, 상기 필름에 작용되는 장력의 크기에 따라 상기 가변저항기의 작동으로 회동되는 암(arm); 및
    마주하는 상기 암에 양측이 연결되어 상기 필름을 감아 장력의 크기 정도를 상기 암에 전달하는 권취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용 봉투의 절취장치.
  10.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최초에 공급되는 상기 필름에 장력을 유지하기 위해 필름공급 장력조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용 봉투의 절취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공급 장력조절부는,
    상기 프레임에 시소 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서포트링크;
    상기 서포트링크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감지부 방향으로 이송되는 필름을 감는 공급롤러; 및
    상기 프레임과 상기 서포트링크의 상측에 연결되어 상기 절취성형부의 작동시마다 비연속적으로 당겨지는 상기 필름의 장력을 유지하도록 상기 서포트링크를 회동 조작하는 조작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용 봉투의 절취장치.
  12. 삭제
  13. 발신정보가 인쇄되고 우편물을 개별 포장하도록 동일 규격으로 복수 개 구비되는 필름, 일측 일부를 절취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필름 각각의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는 절취선, 및 상기 필름 중 상기 절취선 내측에 해당되는 조각필름 각각에 서로 다른 수신정보가 인쇄된 채 부착되는 수신정보 인쇄 라벨지를 포함하고, 상기 필름에는 절취알림정보가 인쇄되어 있어 수신자가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상기 절취선을 따라 상기 조각필름을 제거하도록 안내하는 우편용 봉투를 절취하는 우편용 봉투의 절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우편용 봉투의 절취장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을 따라 강제 이송되는 상기 필름의 특정 부위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의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필름의 설정 부위 제거를 위해 상기 절취선을 형성하는 절취성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취성형부는, 이송되는 상기 필름을 면접하여 지지하도록 평판 형상의 워크테이블;
    상기 프레임에 상하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서포터;
    상기 서포터에 연결되어 상하 왕복 이동되는 금형부재; 및
    상기 필름에 형성될 상기 절취선 궤적을 따라 상기 금형부재에 구비된 절취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용 봉투의 절취장치.
KR1020120107723A 2012-09-27 2012-09-27 우편용 봉투의 절취장치 KR1013143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7723A KR101314333B1 (ko) 2012-09-27 2012-09-27 우편용 봉투의 절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7723A KR101314333B1 (ko) 2012-09-27 2012-09-27 우편용 봉투의 절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4333B1 true KR101314333B1 (ko) 2013-10-02

Family

ID=49637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7723A KR101314333B1 (ko) 2012-09-27 2012-09-27 우편용 봉투의 절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433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1455B1 (ko) * 2018-07-25 2018-11-22 박동섭 우편용 비닐봉투
KR102308578B1 (ko) * 2021-05-31 2021-10-06 (주)한길패키지 포장대 제조장치에 구비되는 절취장치 및 이를 구비한 포장대 제조장치
KR20220163683A (ko) * 2021-06-03 2022-12-12 이정혁 택배봉투 및 그의 제조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29516A (ja) * 1992-02-14 1993-09-07 Dainippon Printing Co Ltd 封書作成方法及び装置
JP2006021801A (ja) * 2004-07-08 2006-01-26 Kanaoka:Kk 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製封筒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29516A (ja) * 1992-02-14 1993-09-07 Dainippon Printing Co Ltd 封書作成方法及び装置
JP2006021801A (ja) * 2004-07-08 2006-01-26 Kanaoka:Kk 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製封筒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1455B1 (ko) * 2018-07-25 2018-11-22 박동섭 우편용 비닐봉투
KR102308578B1 (ko) * 2021-05-31 2021-10-06 (주)한길패키지 포장대 제조장치에 구비되는 절취장치 및 이를 구비한 포장대 제조장치
KR20220163683A (ko) * 2021-06-03 2022-12-12 이정혁 택배봉투 및 그의 제조장치
KR102547306B1 (ko) * 2021-06-03 2023-06-22 이정혁 택배봉투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3722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inting adhesive backed media
US9027473B2 (en) Hot stamping printing device
US5371521A (en) Packaging machine with thermal imprinter and method
KR101314333B1 (ko) 우편용 봉투의 절취장치
KR102313213B1 (ko) 라벨프린터가 구비된 포장용 봉투의 포장장치
US20170327257A1 (en) Rotary dancer for a packaging machine
KR102097364B1 (ko) 포장용 봉투 자동 패킹장치
US11542046B2 (en) Banding and packaging device
CN112849539A (zh) 全自动落袋式快递包装机
AU2002250727B9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nd for applying labels
CN210455474U (zh) 邮政包裹外包装自动化流水线
JP2002087413A (ja) Ptpシートの製造装置
US20110030890A1 (en) Labelling machine
CN111532872A (zh) 一种标志条印字自动生产线
EP0564288B1 (en) Packaging machine with thermal imprinter
EP3808566A1 (en) Printer for supports made of compostable material
WO2014132214A2 (en) Apparatus for cutting a material
JP2007112502A (ja) ストリップバッグ装置
CN109250555B (zh) 卷对卷全息防伪高精准定位烫金模切机
JP3378777B2 (ja) ポリエチレン袋の刻印方法
CN213893096U (zh) 外带物品打包机及其打包袋制作模块
CN112224528B (zh) 外带物品打包机及其打包袋制作模块
CN212355952U (zh) 一种标志条印字自动生产线
CN218987202U (zh) 一种纸箱贴标及覆膜装置
CN217477668U (zh) 一种药丸包装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