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4121B1 - 역할놀이 수행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역할놀이방법 - Google Patents

역할놀이 수행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역할놀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4121B1
KR101314121B1 KR1020120057854A KR20120057854A KR101314121B1 KR 101314121 B1 KR101314121 B1 KR 101314121B1 KR 1020120057854 A KR1020120057854 A KR 1020120057854A KR 20120057854 A KR20120057854 A KR 20120057854A KR 101314121 B1 KR101314121 B1 KR 101314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e
program
unit
performanc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7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금나
최민주
Original Assignee
홍금나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금나,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홍금나
Priority to KR1020120057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41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4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4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53Computers, e.g. programm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역할 놀이 프로그램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가 상기 역할 놀이 프로그램을 수행함으로써 사회성 기술을 개선할 수 있는 역할놀이 수행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역할놀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역할놀이 수행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역할놀이방법은 사용자의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악기와 지휘봉에 센서가 설치되어 사용 유무를 감지하는 감지부; 사용자에게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입력부, 감지부, 출력부 및 데이터저장부를 제어하여 역할놀이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제어부 및 상기 역할놀이 프로그램이 저장된 데이터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역할놀이 수행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역할놀이방법{PERFORMANCE SYSTEM AND METHOD FOR ROLE PLAY}
본 발명은 역할 놀이 프로그램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가 상기 역할 놀이 프로그램을 수행함으로써 사회성 기술을 개선할 수 있는 역할놀이 수행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역할놀이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는 사람과 사람 사이의 상호 관계(사회성)가 중요시되고 있으며, 이러한 사회성은 아동기에 경험하는 친구들과의 관계, 부모님과의 관계를 통해 향상되며, 이렇게 형성된 사회성은 이후의 삶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하지만, 현대 사회가 핵 가족화, 개인화 등으로 변화되면서, 사회성 기술을 개선할 수 있는 환경, 교육 또는 문화가 저하로, 사회성이 부족한 사람들이 증가되고, 이러한 사람들이 성장하여 사회에 적응하지 못하여 사회적인 문제를 유발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사회성의 개발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연구되고 있다. 사람은 음악적 활동을 통해 자신의 내적 정서를 외부로 표현할 수 있으며, 여러 치료기관에서 음악을 활용하여 개인 또는 집단에 대한 심리적, 정서적, 사회적 치료 목적으로 널리 사용하고 있다. 최근에는 음악 치료를 활용하여 개인 또는 집단에 소속된 구성원 간의 교류를 증진시킬 수 있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음악치료, 음악을 이용한 사회성 증대에 대한 체계적인 프로그램이 전무한 실정이며, 개인의 사회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최적화된 방법이 소개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역할 놀이 프로그램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가 상기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것만으로도 사회성 기술을 개선할 수 있도록 역할놀이 수행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역할놀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견지에 따르면, 역할놀이 수행시스템은 사용자의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악기와 지휘봉에 센서가 설치되어 사용 유무를 감지하는 감지부; 사용자에게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입력부, 감지부, 출력부 및 데이터저장부를 제어하여 악기를 이용한 역할놀이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제어부 및 상기 역할놀이 프로그램이 저장된 데이터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따르면, 역할놀이 방법은 제어부가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역할 선택 프로그램 정보를 출력부로 전달하여 출력하고, 입력부로 역할 선택 프로그램을 선택받아 역할 선택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단계; 제어부가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역할 인지 프로그램을 출력부로 전달하여 출력하고, 입력부로 역할 인지 프로그램을 선택받아 역할 인지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단계; 제어부가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역할 수행 프로그램을 출력부로 전달하여 출력하고, 입력부로 역할 수행 프로그램을 선택받아 역할 수행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단계; 제어부가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피드백 프로그램을 출력부로 전달하여 출력하고, 입력부로 피드백 프로그램을 선택받아 피드백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역할 바꾸기 프로그램을 출력부로 전달하여 출력하고, 입력부로 역할 바꾸기 프로그램을 선택받아 역할 바꾸기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역할놀이 수행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역할놀이방법은 역할 놀이 프로그램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가 상기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것만으로도 사회성 기술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할놀이 수행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할놀이 수행시스템을 이용한 역할놀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악기를 이용한 역할놀이방법을 정리한 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할놀이 수행시스템은 사회성 기술 개선을 위한 놀이장치로써, 입력부(10), 감지부(20), 출력부(30), 제어부(40) 및 데이터저장부(50)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부(10)는 사용자의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키보드, 버튼 등의 버튼 입력장치와, 음성, 연주음 등의 소리를 입력받을 수 있는 마이크 등을 포함한다.
상기 입력부(10)는 프로그램의 시작, 종료, 다음(또는 이전) 단계의 진행 등을 입력하기 위한 장치로서,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터치 스크린도 포함될 수 있으며, 음성을 인식할 수 있는 마이크 등의 입력장치(Smart TV, Smart Phone)를 통해 사용자의 연주음 등을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감지부(20)는 사용자가 악기의 사용 유무를 파악하고, 지휘봉을 이용하여 지휘 여부를 파악할 수 있도록, 악기 거치대와 지휘봉에 센서가 설치되어, 악기와 지휘봉의 사용 유무를 감지한다. 또한, 상기 감지부(20)에서 감지한 신호는 네트워크 망을 통해 제어부(40)로 전송된다.
상기 감지부(20)는 키보드, 마우스, 음성인식 장치 등의 입력수단이다.
상기 출력부(30)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역할놀이 프로그램의 진행 및 기타 정보를 표시하는 모니터, 악기 연주 등의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40)는 입력부(10), 감지부(20), 출력부(30) 및 데이터저장부(50)를 제어하여 역할놀이 수행시스템을 이용한 역할놀이방법에 대한 알고리즘을 진행한다.
상기 데이터저장부(50)는 역할놀이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하기 설명한 역할놀이 수행시스템을 이용한 역할놀이 방법(악기를 이용한 역할놀이 방법)은 CD, USB, 이동식 저장매체 등을 통해 프로그램에 업데이트 또는 추가 저장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망(Internet 등)을 통해 프로그램에 업데이트 또는 추가 저장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할놀이 수행시스템을 이용한 역할놀이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40)가 데이터저장부(50)에 저장된 역할 선택 프로그램 정보를 출력부(30)로 전달하여 출력하고, 입력부(10)로 역할 선택 프로그램을 선택받아 역할 선택 프로그램을 진행한다(S100).
상기 역할 선택 프로그램이 종료되면, 제어부(40)가 데이터저장부(50)에 저장된 역할 인지 프로그램을 출력부(30)로 전달하여 출력하고, 입력부(10)로 역할 인지 프로그램을 선택받아 역할 인지 프로그램을 진행한다(S110).
상기 역할 인지 프로그램이 종료되면, 제어부(40)가 데이터저장부(50)에 저장된 역할 수행 프로그램을 출력부(30)로 전달하여 출력하고, 입력부(10)로 역할 수행 프로그램을 선택받아 역할 수행 프로그램을 진행한다(S120).
상기 역할 수행 프로그램이 종료되면, 제어부(40)가 데이터저장부(50)에 저장된 피드백 프로그램을 출력부(30)로 전달하여 출력하고, 입력부(10)로 피드백 프로그램을 선택받아 피드백 프로그램을 진행한다(S130).
상기 피드백 프로그램이 종료되면, 제어부(40)가 데이터저장부(50)에 저장된 역할 바꾸기 프로그램을 출력부(30)로 전달하여 출력하고, 입력부(10)로 역할 바꾸기 프로그램을 선택받아 역할 바꾸기 프로그램을 진행한다(S140).
이후, 상기 역할 바꾸기 프로그램이 종료되면, 역할놀이 수행시스템을 이용한 역할놀이방법에 대한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이것에 의해, 상기 제어부(40)가 상기 역할 선택, 역할 인지, 역할 수행, 피드백 및 역할 바꾸기의 프로그램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가 상기 프로그램에 따라 놀이활동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사회성 기술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가 데이터저장부(50)에 저장된 역할선택, 역할인지, 역할수행, 피드백, 역할 바꾸기 프로그램에 대하여 출력부(30)를 통해 사용자에게 출력하며, 사용자가 상기 프로그램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에 대한 메뉴를 제공한다.
1. 역할 선택 프로그램
상기 S100 단계에서, 상기 역할 선택 프로그램은 규칙적 활동 및 연주, 역할적 연주, 강화적 연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다.
상기 역할 선택 프로그램은 사용자(사회성 개선이 필요한 자) 자신이 하고 싶은 역할을 선택하고, 다른 사용자와 동일한 역할을 선택했을 때 서로 타협하여 역할을 선택하고, 사용자가 역할을 양보받았을 때 상대방에게 자신의 감정을 전달할 수 있는 활동들을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활동들을 통해 서로 간의 관계를 형성하고, 사용자가 놀이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제어부(40)는 데이터저장부(50)에 저장된 역할 선택 프로그램(규칙적 활동 및 연주, 역할적 연주, 강화적 연주)을 출력부(30)의 모니터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가 상기 규칙적 활동 및 연주, 역할적 연주, 강화적 연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프로그램에 따라 활동을 수행하도록 진행함으로써, 역할 선택 프로그램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저장부(50)에 저장된 역할 선택 프로그램은 영상, 자막, 음향, 언어 등의 데이터로써 저장되어 있다.
상기 규칙적 활동 및 연주 는 악기 선택/교환, 악기 정리, 순서적 연주, 전체/개별적 연주를 포함하며, 사용자는 상기 4 가지의 활동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규칙적 활동 및 연주는 제어부(40)가 출력부(30)로 악기 선택/교환, 악기 정리, 순서적 연주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고, 입력부(10)를 통해 상기 악기 선택/교환, 악기 정리, 순서적 연주, 전체/개별적 연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받고, 악기 선택/교환 또는 악기정리가 선택되면, 제어부(40)는 감지부(20)를 통해 악기의 사용 여부를 파악하여 사용자의 수행 유무를 판단하고, 순서적 연주 또는 전체/개별적 연주가 선택되면, 제어부(40)는 출력부(40)를 통해 선택된 정보를 출력하고, 입력부(10)를 통해 연주음을 입력받아 사용자의 수행 유무를 판단한다.
사용자가 입력부(10)를 통해 악기 선택, 교환 또는 악기정리를 선택하면, 제어부(40)는 감지부(20)의 인증장치를 통해 어느 사용자가 어느 악기를 사용(또는 교환)하는지 파악할 수 있으며, 악기 거치대에 악기가 거치되거나 사용되는 것을 센서를 통해 감지함으로써, 사용자가 악기를 선택 또는 정리하는 것을 파악한다.
예를 들어, 여러 종류의 악기가 악기 거치대에 놓여져 있는 상태에서, 제어부(40)는 사용자가 연주할 여러 종류의 악기 이미지를 출력부(30)의 모니터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는 입력부(10)를 통해 연주할 악기를 선택한 후, 악기 거치대에서 악기를 가져와 연주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악기를 여러 사용자가 선택할 경우, 제어부(40)는 이름 순서 또는 나이순서 등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먼저 악기를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를 결정한다. 또한, 악기를 선택한 사용자가 다른 악기로 교환을 원할 경우, 입력부(10)를 통해 악기 교환을 입력하고 악기 거치대에 현재 연주한 악기를 거치하고 다른 악기로 교환을 한다.
사용자가 입력부(10)를 통해 순서적 연주 또는 전체/개별적 연주를 선택하면, 제어부(40)는 출력부(30)의 모니터를 통해 사용자가 연주할 순서의 악보를 표시해주거나, 다 함께 연주하거나 개별적으로 연주하는 부분을 표시해준다.
예를 들어, 제어부(40)는 입력부(10)를 통해 사용자가 연주할 악기를 입력받고, 악기에 해당되는 악보를 출력부(3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는 출력부(30)의 스피커를 통해 연주할 연주음을 출력하고, 모니터를 통해 사용자가 연주할 연주부분을 표시해준다. 사용자는 출력부(30)의 모니터에 표시된 악보에 따라 연주를 수행하다가 자신이 연주할 부분 또는 순서에 맞춰 연주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는 오디오센서를 통해 악기가 연주되는 것을 인식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악기놀이 프로그램을 수행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악기에 설치된 모션센서를 통해 악기의 움직임/동작 여부를 인식하여, 사용자가 악기를 이용하여 역할놀이 프로그램을 수행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연주를 마치면, 상기 제어부(40)는 출력부(30)로 악기정리에 대한 지시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악기를 정리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가 악기를 악기거치대에 올려놓으면 제어부(40)는 악기가 올바른 위치에 거치되었다고 인식하며 사용자가 악기 정리를 수행했다고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40)는 연주할 곡을 출력부(3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한 곡이 끝나면 사용자가 규칙적 활동 및 연주를 수행했다고 판단한다.
상기와 같은 규칙적 활동 및 연주를 통해 사용자는 규칙을 익히고, 주의, 요구, 거절하기 등의 사회성 기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역할적 연주 는 리듬 모방, 특정 부분 연주, 상황/사람의 역할 연주를 포함하며, 사용자는 상기 3 가지의 활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역할적 연주는 제어부(40)가 출력부(30)로 리듬 모방, 특정 부분 연주, 상황/사람의 역할 연주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고, 입력부(10)를 통해 리듬 모방, 특정 부분 연주, 상황/사람의 역할 연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받고, 선택된 연주 정보를 출력부(30)를 통해 출력하고, 입력부(10)를 통해 사용자의 정보(연주음)를 입력받아 수행 여부를 판단한다.
사용자가 리듬 모방을 선택하면, 제어부(40)는 사용자가 리듬에 따라 악기를 연주할 수 있도록, 리듬이 포함된 연주음을 출력부(30)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사용자가 특정 부분 연주를 선택하면, 제어부(40)는 사용자가 노래 가사 또는 리듬의 특정 부분을 반복적으로 연주할 수 있도록 연주음의 특정 부분을 출력부(30)모니터에 표시해준다.
사용자가 상황/사람에 대한 연주를 선택하면, 제어부(40)는 사랑, 협력, 갈등 등의 상황 또는 가족, 친구 등의 사람에 대한 주제를 출력부(30)의 모니터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상기 주제에 알맞은 표현을 연주를 통해 표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역할적 연주를 통해 사용자는 적극적으로 참여하기, 나와 너에 대해 이해하기, 상황, 환경에 대해 이해하기 및 집중하기 등의 사회성 기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강화적 연주 는 모범 사례 시연을 포함하며, 사용자가 상기 모범 사례 시연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강화적 연주는 제어부(40)가 참여율 또는 연주점수가 높은 사용자를 선발하고, 출력부(30)를 통해 선발된 사용자를 출력하며, 선발된 사용자가 모범사례로 연주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사용자가 모범 사례 시연을 선택하면, 제어부(40)는 참여하고 있는 사용자 중 어느 한 사람을 모범 사례로 뽑고, 뽑힌 사용자가 독주를 할 수 있도록 출력부(30)의 모니터와 스피커를 통해 연주할 악보 및 연주음을 출력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40)는 여러 사용자 중 참여율이 높거나 연주점수가 높은 사용자를 선발하여 출력부(30)를 통해 선발된 사용자를 발표하고, 선발된 사용자가 여러 사용자 앞에서 모범 사례로 연주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40)는 사용자 인증횟수를 체크하여, 많이 참여하는 사용자의 참여율을 파악할 수 있으며, 감지부(20)의 마이크를 통해 연주음을 입력받을 수 있으며, 입력받은 연주음은 노래방과 같은 점수화 프로그램을 통해 점수 산출하여 평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강화적 연주를 통해 사용자는 자아존중감(자존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2. 역할 인지 프로그램
상기 S110 단계에서, 상기 역할 인지 프로그램은 규칙적 활동 및 연주, 역할적 연주, 강화적 연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다.
상기 역할 인지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상황에 대해 인식하고, 사용자 자신과 타인의 역할에 대해 인식할 수 있는 활동들을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활동들을 통해 사회적 의사소통의 기회를 갖고, 이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에 목적이 있다.
따라서, 제어부(40)는 데이터저장부(50)에 저장된 역할 인지 프로그램(규칙적 활동 및 연주, 역할적 연주, 강화적 연주)을 출력부(30)의 모니터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가 상기 규칙적 활동 및 연주, 역할적 연주, 강화적 연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선택한 활동을 진행함으로써 역할 인지 프로그램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역할 인지 프로그램의 규칙적 활동 및 연주, 역할적 연주, 강화적 연주는 상기 역할 선택 프로그램의 활동들과 동일하다. 상기 역할 인지 프로그램은 역할 선택 프로그램의 활동 이후에 수행하는 놀이활동으로써, 동일한 놀이활동을 진행한다고 해서, 이루고자 하는 목적이 동일한 것은 아니다. 이는 하나의 놀이활동에서 다양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3. 역할 수행 프로그램
상기 S120 단계에서, 상기 역할 수행 프로그램은 역할적 연주, 강화적 연주, 즉흥적 연주, 창조적 연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다.
상기 역할 수행 프로그램은 사용자와 다른 참여자가 서로 협동하고, 사용자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 자신을 주장하고, 충동적인 행동과 언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감정을 조절할 수 있는 활동들을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활동들을 통해 자신과 타인을 이해하여 사회적 기술을 향상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제어부(40)는 데이터저장부(50)에 저장된 역할 수행 프로그램(역할적 연주, 강화적 연주, 즉흥적 연주, 창조적 연주)을 출력부(30)의 모니터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가 상기 역할적 연주, 강화적 연주, 즉흥적 연주, 창조적 연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선택한 활동을 진행함으로써 역할 수행 프로그램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역할 수행 프로그램의 역할적 연주, 강화적 연주는 상기 역할 선택 프로그램의 활동들과 동일하다.
상기 즉흥적 연주 는 감정 표현 연주, 이미지 연주, 협동 연주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상기 감정 표현 연주, 이미지 연주, 협동 연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즉흥적 연주는 제어부(40)가 출력부(30)로 감정표현 연주, 이미지 연주, 협동 연주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고, 입력부(10)를 통해 상기 감정표현 연주, 이미지 연주, 협동 연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받아, 선택받은 연주에 대한 정보를 출력부(30)로 출력하고, 입력부(10)를 통해 사용자의 연주음을 입력받아 사용자의 수행 여부를 판단한다.
사용자가 감정 표현 연주를 선택하면, 제어부(40)는 기쁨, 슬픔, 화남, 즐거움, 외로움, 행복함 등의 제시어를 출력부(30)의 모니터 또는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시되는 감정을 연주를 통해 표현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가 이미지 연주를 선택하면, 제어부(40)는 장소, 시간, 사물 등에 이미지를 출력부(30)의 모니터 또는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여, 사용자가 제시되는 이미지를 연주를 통해 표현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가 협동 연주를 선택하면, 제어부(40)는 다른 사용자가 연주한 연주음을 출력부(30)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여,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의 연주를 들으며 협동 연주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즉흥적 연주를 통해 사용자는 정서적 표현, 의사 소통, 협력 등의 사회성 기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창조적 연주 는 지휘하기, 리듬 릴레이, 주제에 따른 연주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상기 지휘하기, 리듬 릴레이, 주제에 따른 연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창조적 연주는 제어부(40)가 출력부(30)로 지휘하기, 리듬 릴레이, 주제에 따른 연주를 출력하고, 입력부(10)를 통해 상기 지휘하기, 리듬 릴레이, 주제에 따른 연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입력받고, 지휘하기가 선택되면, 제어부(40)는 감지부(20)를 통해 지휘봉의 센서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지휘 여부를 판단하고, 리듬 릴레이 또는 주제에 따른 연주가 선택되면, 출력부(30)를 통해 리듬 또는 주제를 출력하고, 입력부(10)를 통해 사용자의 연주음을 입력받아 사용자의 수행 여부를 판단한다.
사용자가 지휘하기를 선택하면, 제어부(40)는 연주음과 상기 연주음에 해당되는 박자를 출력부(30)의 모니터와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여, 사용자가 지휘봉으로 지휘를 하면 제어부(40)가 지휘봉에 설치된 모션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지휘 여부를 파악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40)는 리듬 또는 박자가 강한 음악을 출력부(30)를 통해 출력하여, 사용자가 여러 몸짓(지휘봉 사용)으로 리듬 또는 박자에 따라 연주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가 리듬 릴레이를 선택하면, 제어부(40)는 이전 사람이 연주한 연주음을 출력부(30)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여, 이전 사람이 연주한 리듬을 사용자가 이어받아 연주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가 주제에 따른 연주를 선택하면, 제어부(40)는 감독관 또는 다른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주제를 출력부(30)의 모니터를 통해 출력하여, 사용자가 주제에 알맞은 연주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창조적 연주를 통해 사용자는 자기 표현, 타인에 대한 이행, 과제 수행 등의 대한 사회성 기술을 향상시킬 수 있다.
4. 피드백 프로그램
상기 S130 단계에서, 상기 피드백 프로그램은 강화적 연주이다.
상기 피드백 프로그램은 사용자가 자신이 수행했던 역할 활동에 대해 토의하고, 다름 사람의 역할을 보고 들음으로써 감정을 표현할 수 있는 활동들을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활동들을 통해 사용자의 정적인 면을 강화시켜 자신감을 향상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제어부(40)는 데이터저장부(50)에 저장된 피드백 프로그램(강화적 연주)을 출력부(30)의 모니터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가 상기 강화적 연주를 선택하여 선택한 활동을 진행함으로써 역할 수행 프로그램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피드백 프로그램의 강화적 연주는 상기 역할 선택 프로그램의 활동과 동일하다.
5. 역할 바꾸기 프로그램
상기 S140 단계에서, 상기 역할 바꾸기 프로그램은 역할적 연주, 강화적 연주, 즉흥적 연주, 창조적 연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다.
상기 역할 바꾸기 프로그램은 사용자와 다른 사용자의 역할을 바꾸어 수행할 수 있는 활동들을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활동들을 통해 사용자는 여러 역할을 경험하고, 타인과의 관계를 개선하며, 변화된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사회적 기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40)는 데이터저장부(50)에 저장된 역할 바꾸기 프로그램(역할적 연주, 강화적 연주, 즉흥적 연주, 창조적 연주)을 출력부(30)의 모니터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가 상기 역할적 연주, 강화적 연주, 즉흥적 연주, 창조적 연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선택한 활동을 진행함으로써 역할 수행 프로그램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역할 바꾸기 프로그램의 역할적 연주, 강화적 연주, 즉흥적 연주, 창조적 연주는 상기 역할 인지 프로그램의 활동들과 동일하다.
상기와 같이 제어부(40)는 데이터저장부(50)에 저장된 역할 선택, 역할 인지, 역할 수행, 피드백 및 역할 바꾸기에 대한 프로그램을 출력부(3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는 입력부(10)와 감지부(20)를 통해 각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규칙적 활동 및 연주, 역할적 연주, 강화적 연주, 창조적 연주 및 즉흥적 연주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사회성 기술을 개선할 수 있다.
위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하듯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시스템, 방법 및 양태의 모두 또는 일부는 프로그램 코드(즉,명령)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프로그램 코드는, 제한 없이 플로피 디스켓, CD-ROM, CD-RW, DVD-ROM,DVD-RAM, 자기 테이프, 플래시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를 포함하는 자기, 전기 또는 광학 저장 매체와 같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또는 임의의 다른 머신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그램 코드가 컴퓨터 또는 서버와 같은 머신에 로딩되어 실행될 때, 머신은 본 발명을 실시하는 장치가 된다.
본 발명은 또한 전기배선 또는 유선,광섬유, 인터넷 또는 인트라넷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또는 임의의 다른 전송형태 등의 소정의 전송 매체를 통해 전송되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프로그램 코드가 컴퓨터와 같은 머신에 의해 수신되고 로딩되어 실행될 때, 머신은 본 발명을 실시하는 장치가 된다.
프로그램 코드는 범용 프로세서에서 구현될 때, 프로세서와 결합하여 특정 놀리 회로와 유사하게 동작하는 고유한 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는 것이다.
10: 입력부
20: 감지부
30: 출력부
40: 제어부
50: 데이터 저장부

Claims (13)

  1. 사용자의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사용 유무를 감지하는 감지부;
    사용자에게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입력부, 감지부, 출력부 및 데이터저장부를 제어하여 역할놀이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제어부 및
    상기 역할놀이 프로그램이 저장된 데이터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할놀이 수행시스템.
  2. 제어부가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역할 선택 프로그램 정보를 출력부로 전달하여 출력하고, 입력부로 역할 선택 프로그램을 선택받아 역할 선택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단계(S100);
    제어부가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역할 인지 프로그램을 출력부로 전달하여 출력하고, 입력부로 역할 인지 프로그램을 선택받아 역할 인지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단계(S110);
    제어부가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역할 수행 프로그램을 출력부로 전달하여 출력하고, 입력부로 역할 수행 프로그램을 선택받아 역할 수행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단계(S120);
    제어부가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피드백 프로그램을 출력부로 전달하여 출력하고, 입력부로 피드백 프로그램을 선택받아 피드백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단계(S130) 및
    제어부가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역할 바꾸기 프로그램을 출력부로 전달하여 출력하고, 입력부로 역할 바꾸기 프로그램을 선택받아 역할 바꾸기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단계(S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할놀이 방법.
  3. 제어부가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역할 선택 프로그램 정보를 출력부로 전달하여 출력하고, 입력부로 역할 선택 프로그램을 선택받아 역할 선택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단계;
    제어부가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역할 인지 프로그램을 출력부로 전달하여 출력하고, 입력부로 역할 인지 프로그램을 선택받아 역할 인지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단계;
    제어부가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역할 수행 프로그램을 출력부로 전달하여 출력하고, 입력부로 역할 수행 프로그램을 선택받아 역할 수행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단계;
    제어부가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피드백 프로그램을 출력부로 전달하여 출력하고, 입력부로 피드백 프로그램을 선택받아 피드백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역할 바꾸기 프로그램을 출력부로 전달하여 출력하고, 입력부로 역할 바꾸기 프로그램을 선택받아 역할 바꾸기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할놀이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매체.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역할 선택 프로그램은 규칙적 활동 및 연주, 역할적 연주, 강화적 연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할놀이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역할 인지 프로그램은 규칙적 활동 및 연주, 역할적 연주, 강화적 연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할놀이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역할 수행 프로그램은 역할적 연주, 강화적 연주, 즉흥적 연주, 창조적 연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할놀이 방법.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프로그램은 강화적 연주인 것을 특징으로 역할놀이 방법.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역할 바꾸기 프로그램은 역할적 연주, 강화적 연주, 즉흥적 연주, 창조적 연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할놀이 방법.
  9. 제 4 또는 5 항에 있어서,
    상기 규칙적 활동 및 연주는 제어부가 출력부로 악기 선택/교환, 악기 정리, 순서적 연주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입력부를 통해 상기 악기 선택/교환, 악기 정리, 순서적 연주, 전체/개별적 연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받는 단계;
    악기 선택/교환 또는 악기정리가 선택되면, 제어부는 감지부를 통해 악기의 사용 여부를 파악하여 사용자의 수행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및
    순서적 연주 또는 전체/개별적 연주가 선택되면, 제어부는 출력부를 통해 선택된 정보를 출력하고,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의 정보를 입력받아 사용자의 수행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할놀이 방법.
  10. 제 4 내지 6, 8 항에 있어서,
    상기 역할적 연주는 제어부가 출력부로 리듬 모방, 특정 부분 연주, 상황 또는 사람의 역할 연주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입력부를 통해 리듬 모방, 특정 부분 연주, 상황/사람의 역할 연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받는 단계 및
    선택된 연주 정보를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고,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의 정보를 입력받아 수행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할놀이 방법.
  11. 제 4 내지 8 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적 연주는 제어부가 참여율 또는 연주점수가 높은 사용자를 선발하는 단계;
    출력부를 통해 선발된 사용자를 출력하는 단계 및
    선발된 사용자가 모범사례로 연주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할놀이 방법.
  12. 제 6 항 또는 8 항에 있어서,
    상기 즉흥적 연주는 제어부가 출력부로 감정표현 연주, 이미지 연주, 협동 연주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입력부를 통해 상기 감정표현 연주, 이미지 연주, 협동 연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받는 단계;
    선택받은 연주에 대한 정보를 출력부로 출력하는 단계 및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의 연주음을 입력받아 사용자의 수행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할놀이 방법.
  13. 제 6 항 또는 8 항에 있어서,
    상기 창조적 연주는 제어부가 출력부로 지휘하기, 리듬 릴레이, 주제에 따른 연주를 출력하는 단계;
    입력부를 통해 상기 지휘하기, 리듬 릴레이, 주제에 따른 연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입력받는 단계;
    지휘하기가 선택되면, 제어부는 감지부를 통해 지휘봉의 센서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지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리듬 릴레이 또는 주제에 따른 연주가 선택되면, 제어부는 출력부를 통해 리듬 또는 주제를 출력하는 단계 및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의 연주음을 입력받아 사용자의 수행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할놀이 방법.
KR1020120057854A 2012-05-31 2012-05-31 역할놀이 수행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역할놀이방법 KR1013141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7854A KR101314121B1 (ko) 2012-05-31 2012-05-31 역할놀이 수행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역할놀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7854A KR101314121B1 (ko) 2012-05-31 2012-05-31 역할놀이 수행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역할놀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4121B1 true KR101314121B1 (ko) 2013-10-15

Family

ID=49637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7854A KR101314121B1 (ko) 2012-05-31 2012-05-31 역할놀이 수행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역할놀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412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0239A (ko) * 1997-12-16 1999-07-05 구자홍 티브이의 유아 학습 장치 및 방법
KR20080021594A (ko) * 2005-05-12 2008-03-07 잉글리쉬 롤플레이 피티와이 엘티디 언어학습시스템 및 방법
KR20090043513A (ko) * 2006-07-12 2009-05-06 메디컬 사이버월드스 인코퍼레이티드 컴퓨터화된 의료 훈련 시스템
KR20120052783A (ko) * 2010-11-16 2012-05-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가상현실 기반 훈련 시뮬레이터를 위한 가변형 플랫폼 관리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0239A (ko) * 1997-12-16 1999-07-05 구자홍 티브이의 유아 학습 장치 및 방법
KR20080021594A (ko) * 2005-05-12 2008-03-07 잉글리쉬 롤플레이 피티와이 엘티디 언어학습시스템 및 방법
KR20090043513A (ko) * 2006-07-12 2009-05-06 메디컬 사이버월드스 인코퍼레이티드 컴퓨터화된 의료 훈련 시스템
KR20120052783A (ko) * 2010-11-16 2012-05-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가상현실 기반 훈련 시뮬레이터를 위한 가변형 플랫폼 관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88546A1 (en) Groupwise collaborative suggestion moderation system
JP7066354B2 (ja) プログラム及びゲームシステム
US8414395B2 (en) Strum processing for music video game on handheld device
Yannier et al. Adding physical objects to an interactive game improves learning and enjoyment: Evidence from EarthShake
Garcia et al. Design guidelines for audio games
JP7455308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
Ho et al. Robomath: Designing a learning companion robot to support children’s numerical skills
JP2017051494A (ja) プログラム及びゲームシステム
Bizzari Absent bodies: Psychotherapeutic challenges during COVID-19
JP4816435B2 (ja) 文字入力処理方法
Borgos-Rodriguez et al. Melodie: A design inquiry into accessible crafting through audio-enhanced weaving
JP6763334B2 (ja) 楽曲選曲装置、カラオケシステム、及び、楽曲選曲用プログラム
KR101314121B1 (ko) 역할놀이 수행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역할놀이방법
US20140007118A1 (en) Comparison device, comparison method,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and system
Zain et al. Integrating digital games based learning environments with eye gaze-based interaction
JP6216939B2 (ja) ゲーム機、それを含むゲームシステム、それに用いられる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6009424A (ja) 操作支援装置、操作支援方法及び操作支援プログラム
US9861900B2 (en) Game system and game device
KR20110082718A (ko) 구구단 학습장치 및 방법
Chavez Sanchez et al. Exploring Audio Game design with Visually Impaired players: A Mexican Case Study
JP5486467B2 (ja) アミューズメントシステム
KR20100031877A (ko) 통신망을 이용한 영어학습 진행 시스템과 그 방법, 가상 공간에서의 npc 구동 방법
Wright et al. Can you hear the colour? Designing virtual worlds for synaesthetic and multimodal experiences
JP2014014531A (ja) 評価装置、評価方法、プログラム、ならびに、システム
Evans et al. How iPads can support people with dementia living in care hom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