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1594A - 언어학습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언어학습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1594A
KR20080021594A KR1020077026244A KR20077026244A KR20080021594A KR 20080021594 A KR20080021594 A KR 20080021594A KR 1020077026244 A KR1020077026244 A KR 1020077026244A KR 20077026244 A KR20077026244 A KR 20077026244A KR 20080021594 A KR20080021594 A KR 200800215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acher
users
language learning
scrip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6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이 세인트 존 케네디
데미안 크리스토퍼 레리
메튜 존 맥지니스
엔드류 존 그린
마이클 더글라스 스미스
Original Assignee
잉글리쉬 롤플레이 피티와이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AU2005902391A external-priority patent/AU2005902391A0/en
Application filed by 잉글리쉬 롤플레이 피티와이 엘티디 filed Critical 잉글리쉬 롤플레이 피티와이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080021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15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4Speak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8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providing for individual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a plurality of student stations
    • G09B5/14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providing for individual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a plurality of student stations with provision for individual teacher-student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적어도 떨어져 있는 두 사용자 중 일인에게 언어학습을 이루게 하는 언어학습시스템으로서, 피어 투 피어 통신과 VoIP 기술을 통합하여 일 대 일 통신을 이루어 상기 사용자들이 학습하고자 하는 언어로 대본화된 역할 시나리오에 참여할 의사로 실시간으로 말할 수 있으며 적어도 제1사용자가 상기 언어로 연습을 할 수 있으며 이때 선택된 역할극의 텍스트가 개개의 사용자들에게 상기 실시간으로 말을 함과 동시에 표시되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을 기반으로 하는 시스템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언어학습시스템.

Description

언어학습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learning languages}
본 발명은 외국어를 학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인터넷 상에서 피어 투 피어(Peer-to-peer) 통신을 이용하여 외국어를 학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2의 언어를 배우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인데, 이것은 가능한 많은 다른 상황에서 외국어를 연습하고 사용하여야 개선된다. 연습을 위하여 대화를 나눌 수 있는 사람을 찾는 일은 여러 가지 이유로 어려울 수 있다. 동일한 외국어를 구사할 수 있는 사람이 주변에 있기는 어려울 수 있으며 또한 설령 있다고 하여도 그 레벨이 같지 않을 수 있다. 많은 사람들은 이러한 일이 매우 난감한 것임 알게 된다.
인터넷의 출현은 언어 학습을 가능하게 하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언어학습 웹사이트는 다른 사람과 얘기를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학습 커뮤니티에 대한 접근을 제공한다. 이러한 것의 예는 www.skype.com의 언어포럼(language forums)과 자이브 언어 학습 커뮤니티(Jyve Language Learning Community)가 있다. "나의 언어교환(MyLaunguageExchange)" 웹사이트는 제2의 언어를 배우는 자가 그 언어로 그 언어의 네이티브 스피커와 말할 수 있게 한다. 선도적인 온라인 영어 교습 서비스인 "잉글리쉬타운(Englishtown)"은 선생님에 의하여 주도된 토론, 맞춤화된 공부계 획과 학생들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접근을 제공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떨어져 있는 두 사람 사이에 양 방향으로 통신을 이루도록 하는 통신수단을 통하여 적어도 이들 두 사람 중 일인에게 언어학습을 이루게 하는 언어학습시스템으로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제1사용자에게 표시되는 텍스트로서 대본화된 대화를 제공하는 수단과 상기 제2사용자에게 표시되는 텍스트로서 동일한 대본화된 대화를 제공하는 수단을 가지며, 이때, 상기 통신수단은 상기 제1사용자와 제2사용자 사이에 상기 대본화된 대화의 제공과 동시에 음성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를 경우, 상기 표시되는 텍스트로서 대본화된 대화를 제공하는 수단은 인터넷을 통하여 상기 대본화된 대화를 웹페이지로서 제공하며, 상기 음선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수단은 VoIP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를 경우, 상기 시스템은 상기 음성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이전에 먼저 상기 제1사용자에게 대본화된 대화를 제공하고, 상기 제1사용자로부터 상기 제2사용자와 통신을 이루고자 하는 요청을 가리키는 제1신호를 받아들이며, 상기 제1신호에 반응하여 상기 제2사용자에게 상기 제2사용자와 통신을 이루고자 하는 요청을 가리키는 제2신호를 발송하고, 그리고 상기 제2사용자로부터 상기 통신을 이루고자 하는 요청을 받아들임을 가리키는 제3신호를 받아들이도록 작동하며, 더욱 나아가서, 상기 제3신호에 반응하여, 상기 제2사용자에게 대본화된 대화를 제공하고 상기 VoIP 어플리케이션을 작동시킨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를 경우, 상기 VoIP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2사용자가 상기 통신을 이루고자 하는 요청을 승낙할 때 상기 제1사용자를 호출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를 경우, 상기 시스템은 상기 제1사용자와 제2사용자에게 상기 대본화된 대화에서 특정 역할을 할당하며, 상기 대본화된 대화는 상기 제1사용자와 제2사용자에게 각각의 역할을 표시하면서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를 경우, 상기 시스템은 상기 대본화된 대화를 전체로서 제공한 후, 상기 대본화된 대화의 변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를 경우, 상기 변형은 상기 대본화된 대화에서 텍스트의 일부분을 제거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를 경우, 상기 시스템은 요구되는 순간에 상기 제1사용자 및 제2사용자에게 표시되는 개개의 웹페이지를 일으키는 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를 경우,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에 의한 상기 언어학습시스템에의 접근을 제어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를 경우,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들의 상기 언어학습시스템과의 그리고 상호간의 상호작용을 모니터하고 제어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를 경우, 사용자에 대한 관련 데이터가 서버와 연결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고, 이를 다른 사용자들이 웹페이지를 통하여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2사용자는 보수를 받고 제1사용자를 지도하는 시간을 제공하는 선생님이며, 이때 상기 서버는 상기 선생님이 제1사용자를 지도하는데 사용된 시간을 기록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선생님과 관련된 시간에 대하여 개개의 제1사용자로부터 납입을 수집하는 수단과 상기 납입을 상기 개개의 제1사용자를 지도한 시간에 따라 상기 선생님에게 배분하는 수단을 가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그와 같이 역할극을 행한 다른 사용자의 성과와 특정 사용자의 평균화된 성과등급을 가리키는 수단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적어도 떨어져 있는 두 사용자 중 일인에게 언어학습을 이루게 하는 언어학습시스템으로서, 피어 투 피어 통신과 VoIP 기술을 통합하여 일 대 일 통신을 이루어 상기 사용자들이 학습하고자 하는 언어로 대본화된 역할 시나리오에 참여할 의사로 실시간으로 말할 수 있으며 적어도 제1사용자가 상기 언어로 연습을 할 수 있으며 이때 선택된 역할극의 텍스트가 개개의 사용자들에게 상기 실시간으로 말을 함과 동시에 표시되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을 기반으로 하는 시스템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측면에서, 본 발명은 대본화된 대화가 텍스로서 제1사용자와 제2사용자에게 표시되어 제공되며 이때 이들 사용자들 사이에서 동시에 음성통신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를 경우, 상기 대본화된 대화는 인터넷을 통하여 웹페이지 상에 제공되고, 상기 음성통신은 VoIP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를 경우, 상기 대본화된 대화는 먼저 상기 제1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상기 제1사용자가 상기 제2사용자에게 초대를 발생하고 이러한 초대가 상기 제2사용자에 의하여 받아들여진 경우에만 상기 제2사용자에게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를 경우, 상기 제2사용자가 받아들이면, VoIP 어플리케이션이 작동되어 음성통신을 이루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를 경우, 상기 음성통신은 상기 제2사용자가 상기 제1사용자를 호출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를 경우, 상기 제1사용자와 제2사용자 사이에 음성통신이 확립되면, 상기 대본화된 대화가 페이지 별로 상기 사용자들에게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를 경우, 상기 웹페이지는 상기 제2사용자를 초대하기 이전에 일정 시간동안 상기 제1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상기 제1사용자에게 일정 시간동안 상기 웹페이지가 제공될때 까지 상기 초대는 발송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를 경우, 상기 대본화된 대화가 제공된 후 상기 제1사용자 및 제2사용자에게 상기 대본화된 대화의 변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를 경우, 상기 변형은 대본화된 대본에 있어서 일정 부분이 제거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를 경우, 상기 변형은 자유통신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를 경우,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와 통신을 이루기 위해서는 먼저 사용자들간의 상호작용을 모니터하고 제어하기 위한 서버에 로그 인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를 경우, 사용자에 대한 관련 데이터는 상기 서버와 연결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고 다른 사용자들에 의하여 웹페이지 상에서 보여질 수 있어 상기 제1사용자는 적당한 제2사용자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를 경우, 사용자가 그와 같이 역할극을 행한 다른 사용자의 성과와 특정 사용자의 평균화된 성과등급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를 경우, 상기 제2사용자는 보수를 받고 제1사용자를 지도하는 시간을 제공하는 선생님이며, 이때 상기 서버는 상기 선생님이 제1사용자를 지도하는데 사용된 시간을 기록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를 경우, 상기 서버는 상기 선생님과 관련된 시간에 대하여 개개의 제1사용자로부터 납입을 수집하는 수단과 상기 납입을 상기 개개의 제1사용자를 지도한 시간에 따라 상기 선생님에게 배분하는 수단을 가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를 경우,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들이 상기 언어학습시스템으로의 접근을 제어하는 수단을 가진다.
본 발명은 아래의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주요구성요소를 보이는 개략도면이다.;
도 2에서 14 및 도 16에서 31은 본 발명의 일부로서 표시되는 웹페이지의 도시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초대와 승낙의 스텝을 보이는 개략도면이다.
전 명세서에 걸쳐, 문맥이 그러하지 아니하다면, "포함한다." 또는 "포함하는"이나 "포함하고 있는" 등과 같은 "포함한다."의 변형은 서술된 요소 또는 서술된 요소들의 그룹을 포함하지만 다른 요소 또는 다른 요소들의 그룹을 배제하는 것이 아닌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통신을 위한 인터넷의 사용과 정보의 보급은 현재 잘 이루어져 있다. 도 1은 개략적으로 컴퓨터에 또는 다른 웹을 사용가능하게 하는 통신기구에 접근한 개개의 사용자들(1)이 인터넷(100)을 통하여 다른 사용자들과 어떻게 통신을 이루는지를 보인다. 도 1에서, 본 발명의 세 명의 사용자를 보이기 위하여 세 명의 사용자(1a)(1b)(1c)가 보인다. 인터넷의 방법과 구성과 작동은 그 분야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져 있으므로, 특별히 본 발명과 관련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특별히 자세히 기술될 필요는 없을 것이다. 인터넷상에서 정보를 보급하기 위하여 그리고 정보의 나눔을 위하여 월드와이드웹(World Wide Web)을 이용하는 것도 또한 그 분야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져 있으므로, 특별히 본 발명과 관련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역시 자세히 기술될 필요는 없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언어학습시스템(10)은 웹을 기반으로 한 시스템을 포함하는데 이것은 피어 투 피어(peer-to-peer)(P2P) 통신을 보이스 오버 인터넷 프로토콜(Voice over Internet Protocol)(VoIP)과 결합하여 일 대 일 통신을 제공하여 대본화 된 역할극 시나리오(scripted role-play scenarios)에 참여할 의도를 가진 사용자들로 하여금 실시간으로 외국어로 말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들이 외국어에 대한 연습을 할 수 있도록 한다.
VoIP와 P2P의 사용 또한 그 분야의 기술자들에게 널리 알려진 것이고,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과 관련된 경우를 제외하고는 자세히 기술될 필요는 없을 것이다.
간단히,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상기 시스템(10)의 사용자들은 컴퓨터 또는 다른 적당한 기구에 장착된 웹브라우져를 사용하여 - 알려진 방식으로 - 원격서버(11)에 의하여 제공되는 웹사이트를 통하여 문자와 음성 컨텐츠에 접근하고 공부한다. 개개의 사용자는 또한 마이크로폰과 이어폰, 유에스비 텔레폰 셋(USB telephone set) 또는 다른 적절한 기구를 가지고 인터넷을 통하여 음성통신(audio communication)을 할 수 있다. 사용자들은 웹사이트를 통하여 다른 사용자들을 찾고 통신을 할 수 있고 그자와 대화를 할 수 있으며, 또한, 구체적으로, 언어연습과 학습을 위한 제2언어로 대본화 된 역할극 시나리오와 토론을 통하여 작업을 할 수 있다.
개개의 사용자는 또한 그들의 컴퓨터에서 작공하는 VoIP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 이것은 SkypeTM 어플리케이션이다.- Skype.com으로부터 다운로드를 받을 수 있다.-www.skype.com을 참고할 것.
상기 시스템(10)의 작동이 이제 자세히 설명된다.
상기 웹사이트는 사용자들이 접근할 수 있는 수많은 웹페이지들을 포함한다. 일부는 인증을 요구하고 일부는 그렇지 않다. 전형적으로, 사용자들은 등록과 로그인을 허용하는 홈페이지에 초기에 접속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대부분의 페이지는 접속 전에 인증을 요구하며 - 따라서 로그인에 대하여 위에서 언급되었다.
일단 사용자가 로그인 되어지면, 그는 도 2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그의 홈페이지(13)에 향하여져 있을 것이다. 이것은 보통 그가 공부한 역할극 시나리오(role-play scenarios)의 리스트를 제공하며 그리고 개인적 사항들 및 좋아하는 역할 파트너에 대한 가용성과 같은 여타정보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웹사이트의 홈페이지, 역할극, 역할자, 포럼, 사용자의 프로파일 등등의 다른 페이지에 대한 링크(14)가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가 역할극을 공부하기를 원하면 그는 '역할극(role plays)'을 클릭하고 이 클릭은 그를 역할극 페이지로 인도한다. (도 3) 여기는 그가 공부할 수 있는 다수개의 가능한 역할극이 리스트 되어 있는데 - 이들 역할극은 일상(Everyday), 대학, 여행, 비니지스, 토론, 픽션(fiction) 등과 같은 카테고리에 따라 저장되어 있다. 역할극을 공부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선택한 역할극을 클릭하고 그러면 그 역할극을 소개하고 추가의 정보를 제공하는 페이지로 인도된다. (도 4의 예를 참고하라)
만일 사용자가 이 역할극을 공부하기를 원하면 그는 링크(15)를 클릭한다.
이것은 그러면 사용자를 사용자가 스크린상에 표시된 2인의 대화 텍스트를 읽을 수 있는 역할극의 제1단계를 표시하는 다른 페이지(도 5)로 인도한다. 상기 사용자는 또한 제공된 링크(16)을 클릭하여 상기 대화를 들을 수 있다. 상기 사용자는 또한 사용자가 그의 마우스를 이용하여 대화를 스크롤하고 도움 메시지가 스크린상의 텍스트에 제공되는 소위 '마우스 오버(mouse over)' 도움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마우스 오버' 기능은 어플리케이션에서 잘 알려져 있으며 자세히 설명될 필요는 없다.
상기 사용자가 역할극을 공부함에 따라, 그 역할극의 그 스텝을 공부한 시간(초단위로)이 상기 서버(11)에 저장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역할극은 세개의 스텝을 포함한다. - 각각의 스텝은 분리된 웹페이지에 표시된다. (도 6 및 7 참조) 상기 사용자는 어디에서든 멈출 수 있고 뒤로 갈 수 있고 발음을 연습하기 위하여 스텝을 반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생생한(live)' 환경에서 역할극을 하는 것에 대하여 자신감을 느끼면, 다음, 그는 링크(17)을 클릭하여 그는 '살아있는 역할극(Live Roleplay)' 페이지(18)로 이동된다.- 도 8을 참고하라. 본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는 각각의 페이지를 적어도 20초 이상 공부할 때까지는 상기 '생생한'환경으로 나아갈 수 없다.
살아있는 역할극은 음성통신으로 두 명의 사용자 사이의 실시간 대화로 이루어지는데, 개개의 사용자는 그들이 공부한 역할극에서 역할이 주어지며, 상기 페이지에 표시되어지는 대본을 읽으면서 그들의 역할을 말한다.
상기 사용자가 하여야 할 첫 번째는 상기 역할극을 수행할 다른 사람을 찾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는 도 8에서 도시된 '역할극 파트너 찾기' 바(bar)(19)를 클릭한다. 그러면 시스템은 드롭다운 리스트(drop down list)(20)(도 9 참조)을 표시하는데, 상기 리스트는 현재 온라인에 접속중이고 또한 그 역할극을 공부한 다른 가입자를 보여준다. 전에 파트너가 되었던 잠재적 파트너는 상부에 리스트된다.
상기 사용자('초대자')는 다음 상기 드롭다운 리스트에서 '초대' 버튼(21)을 클릭하여 상대방을 초대할 수 있다. 만일 초대자가 리스트상의 누군가를 초대하면, 현재 페이지는 리프레쉬(refresh)되어 상기 사용자에게 선택된 사람을 초대하지 않도록 하는 옵션을 제공한다. - 도 10을 참조하라. 상기 초대자의 컴퓨터로부터 상기 서버(11)로 신호가 발송된다. 상기 서버(11)는 이 신호에 반응하여 작동하여 선택된 사람에게 초대를 발송한다. 초대가 발송된 후, 초대자의 컴퓨터는 정기적으로 상기 서버(11)를 조사(poll)하여 승낙을 탐지한다.
상기 초대는 모든 웹페이지에 표시되는 고지 보드(notice board)(22)를 통하여 잠재적 파트너에게 표시된다. 상기 고지 보드(22)는 새로운 고지와 함께 몇 초마다 업데이트된다. 고지는 살아있는 역할극에 참가하는 초대를 포함한다. 이것은 도 11에서 보이고 있다. 사용자들이 온라인에 있을 때, 그들의 컴퓨터는 정기적으로 상기 서버(11)를 조사(poll)하여 초대를 탐지한다. 초대가 탐지되면 상기 고지 보드(22)에 표시된다.
초대된 사용자('피초대인')은 '승낙'버튼(23)을 클릭하여 상기 초대를 받아들일 수 있다.
초대를 받아들이면, 피초대자는 선택된 역할극의 '생생한' 환경의 스텝 1로 이끌어진다. 동시에 피초대자의 Skype 어플리케이션은 초대자의 Skype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한다. Skype 윈도우(24)가 -초대자를 호출하면서 -도 12에 보이는 것과 같이 피초대자의 스크린에 표시된다.
상기 서버(11)가 초대자의 컴퓨터(1a)로부터 초대를 가리키는 데이터를 받으면, 상기 서버(11)는 피초대자의 고지 보드에 도 11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이러한 초대를 전송한다. 상기 피초대자는 승낙버튼(23)을 클릭하여 상기 초대를 받아들일 수 있다. 만일 도 15의 스텝 1에서 보인 것과 같이 피초대자가 초대를 받아들이면 피초대자의 Skype 어플리케이션은 도 15의 스텝 2가 보이는 것과 같이 초대자의 Skype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한다. (주의: 도 12는 피초대자의 Skype 어플리케이션이 초대자를 호출함에 따라 피초대자의 스크린을 보인다.) 이것은 양 Skype의 사용자 이름이 상기 서버(11)에 임베드(embed)되어 있기에 가능하다. 상기 서버(11)는 피초대자의 Skype 어플리케이션에 초대자의 Skype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도록, "callto:inviterskypeid" 코드를 사용하여, 명령한다. 이 코드는 웹사이트 통합(website integration)을 위하여 Skype 컴뮤니티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 초대자는 들어오는 Skype 호출을, 도 15의 스텝 3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받아들이거나 거절하거나 또는 아무런 반응도 보이지 않을 수 있다. (주의: 도 13은 들어오는 Skype 호출이 도착함에 따른 초대자의 스크린을 보인다.) 만일 초대자가 피초대자의 Skype 호출을 받아들이면, 이들 사용자들은 음성통신상태에 있게 된다. (주의: 도 14는 초대자가 Skype 어플리케이션의 '그린 폰(green phone)' 버튼을 클릭하여 들어오는 음성 호출을 받아들인 직후의 초대자의 스크린을 보인다.) 상기 서버(11)는 피초대자의 Skype 어플리케이션에 초대자의 Skype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도록 명령을 내림과 동시에, 상기 서버(11)는, 도 15의 스텝 4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양 클라이언트에 '생생한 환경(Live Environment)'을 공유하도록 한다. (주의: 도 12는 피초대자가 동시에 '생생한 환경(Live Environment)에 향하여 지고 그의 Skype 어플리케이션이 초대자를 호출함에 따른 피초대자의 스크린을 보인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추가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이 단계에서 상기 서버(11)는 또한 초대자와 피초대자에게 역할을 할당하기 위하여 작동이 가능한데, 이를 가리키는 데이터가 각각의 사용자들에게 보내지고 표시된다. 이것은 예를 들어 도 14에서 보이는데, 여기서 할당된 역할이 프레임(25)에 표시된다. 각각의 사용자의 이름과 역할이 개인적으로 칼라로 제공되는데, 예를 들어 프레임(25)은 초대자의 이름과 역할을 빨간색 폰트로 표시한다.
초대자는 들어오는 피초대자로부터의 Skype 호출을 보고 듣는다. - 도 13을 참조하라. 초대자는 상기 호출에 응답하고 따라서 초대자와 피초대자는 음성통신을 이루고 - 도 14를 참고하라. - 양자는 상기 역할극의 스텝 1을 보게 된다.
상술한 스텝들은 아래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도 15에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스텝 액션( Action )
1 = 피초대자 1b가 초대자 1a의 초대를 받아들인다.;
2 = 서버(11)가 피초대자 1b의 VoIP 어플리케이션이 초대자 1a의 VoIP 어 플리케이션을 호출하도록 명령한다.;
3 = 초대자가 피초대자의 VoIP 호출을 받아들이거나 거절한다.;
4 = 서버(11)가 양 클라이언트에 생생한 환경(Live Environment)을 공유하도록 한다.
상기 초대자와 피초대자는 다음 역할극을 진행할 수 있으며, 각각은 할당된 역할에 따라 대화를 한다. 이들의 할당된 역할은 밝게 표시되어 어떤 줄을 이들이 말하여야 하는지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들이 이것을 마치면, 다음 초대자와 피초대자는 다음 스템으로 넘어갈 수 있다. 각각의 연속되는 스텝은 웹페지이상의 관련된 버튼(26)을 클릭함으로써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역할극의 처음 세 개의 스텝은 이전에 연습 된 것과 동일하다. 상기 역할극은 반복되지만, 일부 정보는 삭제되어 초대자와 피초대자는 자신의 생각을 삽입하여야만 한다. 이것은 도 16에서 보여진다.
이들이 이 부분을 마치면, 다음 초대자와 피초대자에게는 상황(situation)이 제공되고, 역할과 정보가 주어지며 과제(task)가 주어진다. 이들은 이들이 연습하였던 언어로 제공된다. 이것이 도 17에서 보인다. 만일 어느 한쪽의 사용자가 키워드 또는 센텐스(sentence)와 같은 도움이 필요하면, 이들은 웹페이지를 스크롤 다운 함으로써 보이는 도움 섹션에 접근할 수 있다. - 도 18을 참조하라.
개개의 역할극의 마지막 부분은 개개의 사용자에게 이들의 실제 생활에 대하 여 질문이 주어지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이들이 배운 것을 개인화할 수 있다. - 도 19를 참조하라.
이들이 이들 모든 스텝을 마치면, 이들 두 사람은 "다른 것 하기(Play another)" 버튼을 클릭하여 다른 역할극을 할 수 있다. - 도 19를 참조하라. - 그리고 이들에게는 같이 공부하였던 역할극을 보이는 웹페이지가 제공된다. - 도 24를 참조하라. 이들은 새로운 역할극을 진행할 것인지 아니면 마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만일 이들이 계속하기로 결정을 하면, 이들에게는 새로운 역할극의 시작을 보이는 웹페이지가 제공되고 상기 서버(11)는 이들에게 새로운 역할을 할당 할 것이다. 기억하여야 할 것은 이들은 음성통신을 하며 또한 다른 옵션들을 토론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이들 중 하나가 다른 사람은 공부한 그러나 그자는 공부하지 않은 역할극을 공부할 수 있다.
검색기능을 이용하여 역할극의 상대방을 찾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는 언어능력, 공부한 역할극, 나이, 성(gender), 살았던 곳 등등의 기준(criteria)에 의하여 검색을 할 수 있다. 이것은 도 20에서 보이며, 잠재적인 역할극 플레이어의 상세정보가 또한 가용할 수 있다. - 도 21을 참조하라.
사용자들은 도 21의 프로파일 페이지(profile page)로부터 다른 사용자를 초대할 수 있다. 초대자는 "invite (역할극 플레이어의 이름) to a roleplay"를 클릭하고, 초대자에게는, 도 24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이들 초대자와 피초대자가 공부한 역할극의 리스트가 보여질 수 있다. 초대자는 다음 역할극의 제목(title)을 클릭하고, 그러면, 초대는 피초대자에게 보내져 피초대자를 초대하여 초대자와 역 할극을 수행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토론 포맷(discussion format)이 사용되어 사용자들로 하여금 주제(topic)을 공부하게 하고 그 주제 내의 이슈들에 대하여 토론을 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포맷은 아홉 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진 포맷으로서 사용자는 주제 내의 세개의 관련된 이슈들에 대하여 관점을 달리하면서 공부하고 토론하며, 연속되는 질문에 대하여 대답하며 자신의 의견을 개진하여 이들 이슈를 토론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아래와 같다:
처음 부분에서, 사용자는 준비질문(warm-up questions)을 공부하고 상대방과 함께 어떻게 대답할 것인지를 생각한다.
제2부분에서 제4부분까지는, 사용자는 특정 주제 내의 세 가지 이슈에 대하여 공부한다. 정보는 두 명의 다른 제3의 캐릭터의 의견으로서 제시된다.
제5부분에서, 사용자가 현재 이슈에 대하여 토론하는 것에 대하여 자신감을 느끼면, 그는 전술한 방식에 의하여 토론 상대방을 고른다. 이들은 VoIP를 사용하여 연결되어 있으며 준비질문을 상호 간에 묻는다.
제6부분에서 제8부분까지는, 사용자는 상기 캐릭터의 의견을 함께 토론하도록 격려된다. 제9부분에서, 두 명의 사용자에게는 정보가 제공되고 그 정보에 대하여 자신의 의견을 개진하도록 물음이 주어진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들은 대본(scripts)을 음성 언어 모델링(audio language modelling)을 통하여 공부하고, 다음, 하나의 스토리(story)와 연관된 역 할을 맡고 쌍방향적으로 자신만의 결말을 창조한다. 이러한 과정 역시 아홉 부분으로 이루어지며 아래와 같다:
제1부분부터 제3부분까지는, 사용자는 하나의 스토리의 세 개의 짧은 대본화된 '챕터들'을 공부한다. 이들은 텍스트를 공부하며, 음성판(audio version)을 들으며, 상기 '마우스 오버' 단어도움을 사용한다.
제4부분에서 제6부분까지는, 다시 사용자들이 현재 역할극을 하는 것에 대하여 자신감을 느끼면, 이들은 동일한 역할극을 공부한 대기 사용자들을 리스트하는 웹페이지에 접근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상대방을 선택하고 초대한다. 이들은 VoIP를 사용하여 연결되어 있으며 역할이 할당되어 있다. 이들은 세 개의 공부된 대본에 대하여 역할극을 함께 행한다.
제7부분에서, 사용자는 그 스토리에 대하여 새로운 전개(development)가 제공된다. 이들은 이들이 (캐릭터로서) 하여야만 하는 옵션에 대하여 토론하고 하나를 골라야만 한다.
제8부분에서 사용자는 이들의 선택이 옳았는지 틀렸는지 여부에 대하여 듣는다. 이들에게는 다음 챕터에 대하여 몇 개의 인도하는 라인들(a few lead-in lines)이 주어지며, 함께, 챕터에서 상기 스토리의 다음 부분을 반드시 창조하여야 한다.
제9부분에서 이들은 상기 스토리와 자신의 실제 삶에 대하여 질문들이 제공된다. 이들은 이 질문들을 함께 묻고 대답하여야 한다.
사용자들은 언어를 배우고 연습하는 '학생' 뿐만 아니라, 다른 사용자들을 돕는 '선생님'이 될 수 있다. 이들 선생님들은 적절한 보수를 받고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선생님이 제1사용자와 관여된 시간을 기록하는 적절한 데이터베이스 기능의 형태의 수단을 제공한다. 특별한 적용에서, 상기 서버는 특정 제1사용자로부터 선생님과 관여된 시간에 대한 적절한 납입(payment)을 수집하는 수단을 제공하고 또한 이러한 납입을 각각의 선생님에게 분배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홈페이지는 '교실(classroom)'을 대표하도록 재단될 수 있다. 사용자들은 개개의 사용자의 프로파일 페이지 상의 '핫리스트 추가하기(add to hotlist)' 버튼을 클릭하여 다른 사용자를 자신의 홈페이지에 추가할 수 있다. 사용자의 홈페이지로부터, 개개의 핫 리스트 되어진 사용자의 사진 밑의 '초대'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사용자는 핫 리스트된 사용자를 초대할 수 있다.
초대자가 '초대'를 클릭 한 후, 이들 초대자에게는 공통으로 공부한 역할극의 리스트가 보여진다. 초대자는 그러면 역할극 제목을 클릭하도록 격려되어진다. 상기 역할극 제목을 클릭하면 초대는 피초대자에게 전술한 방법에 따라 전송된다. 사용자의 '교실' 페이지는 선생님과 학생을 리스트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고 정기적인 언어 상대방과 선생님 사이에서 효율적인 연결경로를 제공한다.
역할극에 참여하고 싶은 사람들이 접근할 수 있는 웹페이지에 더하여, 시스템 관리를 위하여 특별한 권한을 가진 자가 접근할 수 있는 웹페이지가 제공된다. 예를 들어 어떤 역할극이 가용한지 살펴보며 (도 22), 새로운 역할극을 추가하고 현존하는 역할극을 편집하기 위한 (도 23a, 23b) 웹페이지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들은 이름, 사진, 교습 전문성, 시간당 가격, 선생님 등급, 선생님 포인트, 가입일과 최종 온라인 접속일 등과 간은 기준(criteria)에 기초한 언어선생을 검색할 수 있다. 사용자들은 선택한 기준에 따라 선생님을 분류하기 위하여 표제(heading)를 클릭할 수 있다. 상기 선생님 페이지는 도 25에서 보인다. "교습 전문성(teaching specialty)" 입력 페이지는 도 26에서 보인다. 선생님들은 자신의 교습비를 도 27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설정할 수 있다. "선생님 등급"은 사용자들에 의하여 주어진 선생님의 십점만점의 평균등급이다. 각각의 사용자는 오직 한번 선생님의 등급을 매길 수 있지만 등급은 언제나 변경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자신의 평가등급을 바꾸거나 선생님의 새로운 등급을 매기면 그 즉시 선생님 등급은 업데이트된다. 이것은 도 28에서 도시되어있다. "선생님 포인트(teacher point)"는 커뮤니티의 전체 멤버에 의하여 평가된 십점만점의 선생님의 전체 평가등급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역할극의 저술가 또는 토론 컨텐츠를 최종 온라인 접속일, 저술 전문성, 저술된 역할극, 저술된 토론, 저술가 등급, 저술가 포인트 그리고 가입월(month joined)과 같은 기준에 기초하여 검색할 수 있다. 사용자는 선택된 기준에 따라 저술가를 분류하기 위하여 표제(heading)를 클릭할 수 있다. 저술가 페이지는 도 29에서 보인다. 상기 "저술 전문성(Writing specialty)"의 입력 필드가 도 30에서 보인다. "저술된 역할극(Roleplayes written)"은 저술가에 의하여 웹사이트에서 발행된 역할극의 수를 말한다. "저술된 토론(Discussions written)"은 저술가에 의하여 발행된 토론의 수를 말한다. "저술가 등급(Writer Rating)"은 사용자에 의하여 주어지는 것으로서 저술가에 의하여 발행된 역할극과 토론 중 십점만점 중의 평균등급을 말한다. 사용자는 역할극이나 토론을 오직 한번 등급을 매길 수 있지만 이것은 언제나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역할극이나 토론 등급의 특색은 도 31에서 보인다. 사용자가 저술가의 역할극 또는 토론에 대하여 자신의 평가등급을 바꾸거나 새로운 등급을 매기면 그 즉시 저술가 등급은 업데이트 된다. "저술가 포인트(Writer Point)"는 저술가의 역할극이나 토론 중 사용자에 의하여 평가된 수이다. "가입(Joined)"은 저술가가 웹사이트에 사용자로 사인한 달(month)을 말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로그인을 한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들에 대하여 십점만점의 평가를 할 수 있다. 개개의 사용자가 받은 평균등급은,도 21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사용자의 "프로파일 페이지(profile page)"에 표시된다. 전술한 "선생님 등급"과 같이, 각각의 사용자는, 도 21에서 또한 보이는 것과 같이, 다른 사용자를 오직 한번 평가할 수 있지만 언제나 이를 변경할 수 있다.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에 대한 자신의 평가등급을 변경하거나 새로인 평가를 하면 그 사용자의 등급은 즉시 업데이트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시스템(10)은 상술한 웹사이트의 웹페이지가 저장되는 서버(11)를 가진다. 상기 서버는 적절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운영하며 이미 알려진 적절한 방식으로 적절한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를 저장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웹페이지는 예를 들어 JavaScript와 Flash를 사용하여 프로그램되어 질 수 있다. - 이들은 잘 알려진 어플리케이션이다. - 반면에 상기 웹사이트는 린리눅스 운영체제에서 운영되는 mod_perl ApacheTM과 같은 시스템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다.
이미지(image)와 음성(audio)은 파일로서 저장될 수 있고, 다른 데이터는 MySQLTM과 같은 구조화된 질의 언어 관계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역할극은 여러 테이블에 담겨 질 수 있다. - 역할극은 일반적인 테이블, 줄 단위 스크립(line-by-line scripts)를 저장하는 것, 전술된 일부 역할극 포맷에 사용되는 큐 카드(cue cards)를 위한 것, 그리고 제한 없는 질문에 대한 것들과 같은 여러 테이블에 담겨 질 수 있다. 비록 서로 다른 테이블을 교차하여 저장되지만, 개개의 역할극을 위한 재료들은 편집의 용이성을 위하여 단일 페이지에 대하여 통합된다. 데이터베이스의 다른 테이블들은 신원확인을 위한 것 등과 같은 사용자 정보를 저장한다.
지연없이 초대가 상기 시스템의 사용자에게 알려지기 위하여, 상기 시스템은 몇초단위로 서비스를 조사(poll)하여 상태(status) 변화가 있는지를 체크한다. 실시예에서, 이것은 서버(11)상의 mod_perl handler들 중의 하나에 접근하는 웹페이지내의 Burstlib JavaScript를 사용하여 실행될 수 있다. 그 배경에는 HTTP 상의 통신이 작용한다. 상기 조사(polling)는 아래를 위하여 사용된다:
● 고지 보드(notice board)의 업데이트를 위하여. 예를 들어, 살아있는 역 할극과 연관된 초대에서 또는 사용자의 교실(class room)에서 누군가가 온라인으로 오는 경우. 상기 고지 보드는 모든 웹페이지에 제공되는 특징이며 동적(dynamic)이다. - 고지는 몇 초 동안 나타난다.
● 사용자의 상태를 추적하기 위하여. 이것은 상기 고지 보드(notice board)를 위하여 사용되는 HTTP 요구(request)에서 묶여진다. 이것은 사용자가 온라인에 있음을 표시하기 위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한다. 상기 정보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마지막으로 온라인에 접속한 때 또는 사용자가 초대의 적격의 수신인인지 여부를 가리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 사용자의 '공부습관'을 추적하기 위하여. 이것은 역할극이 얼마나 오래 공부되었는지를 결정한다. 실시예에서, 역할극은 공부 페이지(study page)의 각각의 스텝에서 적어도 20초를 보내야 한번 공부한 것으로 인식된다. 이러한 측면의 모니터링은 전술한 바와 같이 요구되는 시간 동안 역할극을 공부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필요하다.
● 초대, 초대를 받아들이기 그리고 역할을 할당하기를 처리할 때. 이것은 살아있는 역할극 페이지 내에서 사용된다. 일단 초대가 발행되면 초대자의 컴퓨터 (1a)는 서버(11)를 주기적으로 조사(poll)하여 상기 초대가 받아들여졌는지 여부를 탐지한다. 초대가, 이것이 사라지기 전에, 받아들여지고 그리고 경쟁하는 초대가 처음에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상기 서버(1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역할을 할당한다. 상기 초대자와 피초대자에게 상기 살아있는 역할극 페이지가 제공되고, 각각은 특정 역할에 커스터마이즈(customize)된다. 이들이 역할극 스텝을 밟아 나감에 따라, 이러한 조사(polling)는 이들의 역할과 위치(locations)가 동기화 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하다 할 것이다. 상기 웹사이트의 작동성(operability)을 제공하기 위하여 다른 여타의 어플리케이션이 제공될 수 있으며 또한 다른 적절한 VoIP 어플리케이션이나 다른 음성통신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웹페이지 자체는 멤버들의 요구사항이나 사용되는 언어에 적절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다른 언어학습모델이 본 명세서에서 토론된 웹 기반, 피어 투 피어(peer-to-peer) 그리고 VoIP의 통합된 접근을 사용하여 적용될 수 있다. 살아 있는 역할극에서 요구되는 공부시간의 길이와 같은 특색들도 역시 변경될 수 있는 것들이다.

Claims (40)

  1. 떨어져 있는 두 사람 사이에 양 방향으로 통신을 이루도록 하는 통신수단을 통하여 적어도 이들 두 사람 중 일인에게 언어학습을 이루게 하는 언어학습시스템으로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제1사용자에게 표시되는 텍스트로서 대본화된 대화를 제공하는 수단과 상기 제2사용자에게 표시되는 텍스트로서 동일한 대본화된 대화를 제공하는 수단을 가지며, 이때, 상기 통신수단은 상기 제1사용자와 제2사용자 사이에 상기 대본화된 대화의 제공과 동시에 음성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언어학습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되는 텍스트로서 대본화된 대화를 제공하는 수단은 인터넷을 통하여 상기 대본화된 대화를 웹페이지로서 제공하며, 상기 음선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수단은 VoIP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학습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음성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이전에 먼저 상기 제1사용자에게 대본화된 대화를 제공하고, 상기 제1사용자로부터 상기 제2사용자와 통신을 이루고자 하는 요청을 가리키는 제1신호를 받아들이며, 상기 제1신호에 반응하여 상기 제2사용자에게 상기 제2사용자와 통신을 이루고자 하는 요청을 가리키는 제2 신호를 발송하고, 그리고 상기 제2사용자로부터 상기 통신을 이루고자 하는 요청을 받아들임을 가리키는 제3신호를 받아들이도록 작동하며, 더욱 나아가서, 상기 제3신호에 반응하여, 상기 제2사용자에게 대본화된 대화를 제공하고 상기 VoIP 어플리케이션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학습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VoIP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2사용자가 상기 통신을 이루고자 하는 요청을 승낙할 때 상기 제1사용자를 호출하도록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학습시스템.
  5. 제2항부터 제4항 중 어느 일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제1사용자와 제2사용자에게 상기 대본화된 대화에서 특정 역할을 할당하며, 상기 대본화된 대화는 상기 제1사용자와 제2사용자에게 각각의 역할을 표시하면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학습시스템.
  6. 제2항부터 제5항 중 어느 일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대본화된 대화를 전체로서 제공한 후, 상기 대본화된 대화의 변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학습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은 상기 대본화된 대화에서 텍스트의 일부분을 제거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학습시스템.
  8. 제2항부터 제7항 중 어느 일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요구되는 순간에 상기 제1사용자 및 제2사용자에게 표시되는 개개의 웹페이지를 일으키는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학습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에 의한 상기 언어학습시스템에의 접근을 제어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학습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들의 상기 언어학습시스템과의 그리고 상호간의 상호작용을 모니터하고 제어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학습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대한 관련 데이터가 서버와 연결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고, 이를 다른 사용자들이 웹페이지를 통하여 볼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학습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그와 같이 역할극을 행한 다른 사용자의 성과와 특정 사용자의 평균화된 성과등급을 가리키는 수단이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학습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사용자는 보수를 받고 제1사용자를 지도하는 시간을 제공하는 선생님이며, 이때 상기 서버는 상기 선생님이 제1사용자를 지도하는데 사용된 시간을 기록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학습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선생님과 관련된 시간에 대하여 개개의 제1사용자로부터 납입을 수집하는 수단과 상기 납입을 상기 개개의 제1사용자를 지도한 시간에 따라 상기 선생님에게 배분하는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학습시스템.
  15. 제12항에 있어서,
    제1사용자 및 제2사용자는 학생이고 제3사용자는 보수를 받고 상기 제1사용자와 제2사용자를 지도하는 시간을 제공하는 선생님이며, 이때 상기 서버는 상기 선생님이 상기 제1사용자와 제2사용자를 지도하는데 사용된 시간을 기록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학습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선생님과 관련된 시간에 대하여 개개의 제1사용자 및 제2사용자로부터 납입을 수집하는 수단과 상기 납입을 상기 개개의 제1사용자 및 제2사용자를 지도한 시간에 따라 상기 선생님에게 배분하는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학습시스템.
  17. 제13항부터 제16항 중 어느 일 항에 있어서,
    사용자는 동일한 페이지에 개개 선생님에 대한 평균등급을 표시하는 선생님 리스트로부터 적절한 선생님을 검색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학습시스템.
  18. 제10항부터 제17항 중 어느 일 항에 있어서,
    사용자는 특정 저술가에 의한 역할극 또는 토론의 배움의 효과와 상기 특정 저술가의 평균화된 성과등급을 표시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학습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사용자는 동일한 페이지에 개개 저술가에 대한 평균등급을 표시하는 저술가 리스트로부터 적절한 저술가를 검색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학습시스템.
  20. 적어도 떨어져 있는 두 사용자 중 일인에게 언어학습을 이루게 하는 언어학 습시스템으로서, 피어 투 피어 통신과 VoIP 기술을 통합하여 일 대 일 통신을 이루어 상기 사용자들이 학습하고자 하는 언어로 대본화된 역할 시나리오에 참여할 의사로 실시간으로 말할 수 있으며 적어도 제1사용자가 상기 언어로 연습을 할 수 있으며 이때 선택된 역할극의 텍스트가 개개의 사용자들에게 상기 실시간으로 말을 함과 동시에 표시되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을 기반으로 하는 시스템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언어학습시스템.
  21. 대본화된 대화가 텍스로서 제1사용자와 제2사용자에게 표시되어 제공되며 이때 이들 사용자들 사이에서 동시에 음성통신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학습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대본화된 대화는 인터넷을 통하여 웹페이지 상에 제공되고, 상기 음성통신은 VoIP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학습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대본화된 대화는 먼저 상기 제1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상기 제1사용자가 상기 제2사용자에게 초대를 발생하고 이러한 초대가 상기 제2사용자에 의하여 받아들여진 경우에만 상기 제2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학습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사용자가 받아들이면, VoIP 어플리케이션이 작동되어 음성통신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학습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통신은 상기 제2사용자가 상기 제1사용자를 호출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학습방법.
  26. 제23항에서 제25항 중 어느 일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사용자와 제2사용자 사이에 음성통신이 확립되면, 상기 대본화된 대화가 페이지 별로 상기 사용자들에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학습방법.
  27. 제23항에서 제26항 중 어느 일 항에 있어서,
    상기 웹페이지는 상기 제2사용자를 초대하기 이전에 일정 시간동안 상기 제1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상기 제1사용자에게 일정 시간동안 상기 웹페이지가 제공될때 까지 상기 초대는 발송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학습방법.
  28. 제21항에서 제27항 중 어느 일 항에 있어서,
    상기 대본화된 대화가 제공된 후 상기 제1사용자 및 제2사용자에게 상기 대본화된 대화의 변형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학습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은 대본화된 대본에 있어서 일정 부분이 제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학습방법.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은 자유통신을 제안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학습방법.
  31. 제21항에서 제30항 중 어느 일 항에 있어서,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와 통신을 이루기 위해서는 먼저 사용자들간의 상호작용을 모니터하고 제어하기 위한 서버에 로그 인하여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학습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대한 관련 데이터는 상기 서버와 연결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고 다른 사용자들에 의하여 웹페이지 상에서 보여질 수 있어 상기 제1사용자는 적당한 제2사용자를 선택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학습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그와 같이 역할극을 행한 다른 사용자의 성과와 특정 사용자의 평 균화된 성과등급을 표시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학습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사용자는 보수를 받고 제1사용자를 지도하는 시간을 제공하는 선생님이며, 이때 상기 서버는 상기 선생님이 제1사용자를 지도하는데 사용된 시간을 기록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학습방법.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선생님과 관련된 시간에 대하여 개개의 제1사용자로부터 납입을 수집하는 수단과 상기 납입을 상기 개개의 제1사용자를 지도한 시간에 따라 상기 선생님에게 배분하는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학습방법.
  36. 제33항에 있어서,
    제1사용자 및 제2사용자는 학생이고 제3사용자는 보수를 받고 상기 제1사용자와 제2사용자를 지도하는 시간을 제공하는 선생님이며, 이때 상기 서버는 상기 선생님이 상기 제1사용자와 제2사용자를 지도하는데 사용된 시간을 기록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학습방법.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선생님과 관련된 시간에 대하여 개개의 제1사용자 및 제 2사용자로부터 납입을 수집하는 수단과 상기 납입을 상기 개개의 제1사용자 및 제2사용자를 지도한 시간에 따라 상기 선생님에게 배분하는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학습방법.
  38. 제31항부터 제37항 중 어느 일 항에 있어서,
    사용자는 동일한 페이지에 개개 선생님에 대한 평균등급을 표시하는 선생님 리스트로부터 적절한 선생님을 검색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학습방법.
  39. 제31항부터 제38항 중 어느 일 항에 있어서,
    사용자는 특정 저술가에 의한 역할극 또는 토론의 배움의 효과와 상기 특정 저술가의 평균화된 성과등급을 표시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학습방법.
  40. 제39항에 있어서,
    사용자는 동일한 페이지에 개개 저술가에 대한 평균등급을 표시하는 저술가 리스트로부터 적절한 저술가를 검색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학습방법.
KR1020077026244A 2005-05-12 2006-05-12 언어학습시스템 및 방법 KR2008002159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2005902391A AU2005902391A0 (en) 2005-05-12 System and Method for Learning Languages
AU2005902391 2005-05-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1594A true KR20080021594A (ko) 2008-03-07

Family

ID=37396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6244A KR20080021594A (ko) 2005-05-12 2006-05-12 언어학습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80261181A1 (ko)
KR (1) KR20080021594A (ko)
CN (1) CN101218616A (ko)
CA (1) CA2607974A1 (ko)
WO (1) WO200611957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4121B1 (ko) * 2012-05-31 2013-10-15 홍금나 역할놀이 수행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역할놀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75602B2 (en) * 2006-04-21 2012-09-25 Scomm, Inc. Interactive conversational speech communicator method and system
US20090287553A1 (en) * 2008-05-15 2009-11-19 Michele Colucci System and Method for Website Monetization
US9747623B2 (en) 2007-04-25 2017-08-29 Michele Colucci System and method for bidding on groups of fee or contingency fee-based matters
TWI375933B (en) * 2007-08-07 2012-11-01 Triforce Co Ltd Language learning method and system thereof
CN101420434B (zh) * 2008-12-03 2011-12-28 深圳市众方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支持VoIP通信的P2P方法
US8840400B2 (en) * 2009-06-22 2014-09-23 Rosetta Stone,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language communication
US20110027762A1 (en) * 2009-07-31 2011-02-03 Gregory Keim Method and System for Effecting Language Communications
US8280954B2 (en) 2010-03-25 2012-10-02 Scomm,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live real-time communication via text between mobile user devices
US20120060110A1 (en) * 2010-09-08 2012-03-08 Microsoft Corporation Notification bar user interface control
JP6613560B2 (ja) * 2014-12-12 2019-12-0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子機器、学習支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2259095A (zh) * 2020-10-21 2021-01-22 江苏聚欣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esl的语音交换方法
US12032917B2 (en) 2021-09-27 2024-07-09 Capital One Services, Llc Sincerity-aware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conversational agents
US12056452B2 (en) * 2021-12-16 2024-08-06 Capital One Services, Llc Self-disclosing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conversational agent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58053B1 (en) * 1999-01-15 2002-03-19 Unext.Com Llc Interactive online language instruction
US6325632B1 (en) * 1999-05-05 2001-12-04 Anabas, Inc. Computer-aided learning method and systems matching students with instructors
KR100341030B1 (ko) * 2000-03-16 2002-06-20 유태욱 캡션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의 재생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장치
US6789047B1 (en) * 2001-04-17 2004-09-07 Unext.Com Llc Method and system for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an instructor of an electronic course
RU2220457C1 (ru) * 2003-03-20 2003-12-27 Шехтер Игорь Юрьевич Способ обучения иностранному языку шехтера и.ю.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4121B1 (ko) * 2012-05-31 2013-10-15 홍금나 역할놀이 수행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역할놀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119577A1 (en) 2006-11-16
CA2607974A1 (en) 2006-11-16
US20080261181A1 (en) 2008-10-23
CN101218616A (zh) 2008-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21594A (ko) 언어학습시스템 및 방법
Liaw et al. Understanding telecollaboration through an analysis of intercultural discourse
Taguchi Cross‐cultural adaptability and development of speech act production in study abroad
Swenson et al. Online teaching in the digital age
Cortazzi et al. Approaching narrative analysis: 28 questions
Papa et al. Engaging technology-resistant elderly people: Empirical evidence from an ICT-enabled social environment
Farnsworth Who's coming to my party? Peer talk as a bridge to oral language proficiency
Paras et al. The lived experiences of Filipino pastors in online ministry amidst COVID-19 pandemic: A phenomenological study
US20050214722A1 (en) Language online learning system and method integrating local learning and remote companion oral practice
Kreniske et al. Expressive innovation: How first-year college students introduced emoticons to the curriculum
Sequeira Synchronous 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 and second language proficiency
den Ouden et al. “Play on Words”: An analysis of a participatory play-making process with speakers with aphasia
Milleret Teaching speech acts
Ilic The impact of mobile phones on collaborative learning activities
Xu Investigating an online community of self-directed language learners at The Mixxer
Dobinson Intimacy in online classrooms: Linguaplay, personal testimonies, and contrived chaotic material ecologies
Beauchemin et al. Bilingual teachers and young children co-constructing affect and play in translanguaging read-alouds
Lightner Student perceptions of voice and their experiences in an asynchronous/synchronous voice/text environment: A descriptive study
Gudea Online teaching as experienced by teachers: A grounded theory perspective
Szczepaniak-Kozak The narrative approach: The individual perspective in intercultural meetings
Chouadra An Exploration of Algerian PhD Graduate Returnees’ Integration of Intercultural Competence (IC) Into Their Teaching Practices
Yeghyayan Heritage and Humor: An Examination of Armenian Identity, the Role of Humor, and Heritage Language Learning in College Classrooms
Okal Turkish Global Simulation: A Modern Strategy for Teaching Language and Culture Using Web Technologies
Rabia et al. Exploring Code Switching as a Communicative Strategy in Informal Virtual Communication: The Case of MA Students of the Department of English at MMUTO
Almusaad User Interaction in a Second Life Ch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