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3140B1 - 청소 장치, 상 유지체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청소 장치, 상 유지체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3140B1
KR101313140B1 KR1020100021650A KR20100021650A KR101313140B1 KR 101313140 B1 KR101313140 B1 KR 101313140B1 KR 1020100021650 A KR1020100021650 A KR 1020100021650A KR 20100021650 A KR20100021650 A KR 20100021650A KR 101313140 B1 KR101313140 B1 KR 1013131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r
conveying
image
photosensitive drum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1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9013A (ko
Inventor
가즈히코 아라이
미츠오 야마모토
고이치로 유아사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09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90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3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31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0005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for removing solid developer or debris from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dium
    • G03G21/0011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for removing solid developer or debris from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dium using a blade; Details of cleaning blades, e.g. blade shape, layer form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0005Cleaning of residual ton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leaning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너가 반송되지 않고 막히는 것에 기인하는 클리닝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 발명에서, 프린터(1)는 회전하는 감광체 드럼(41)에 접촉함으로써 감광체 드럼(41) 위의 토너를 제거하는 클리닝 블레이드(422)와, 클리닝 블레이드(422)보다 상방에 설치되는 동시에 외주(外周)에 반송 날개(424b)를 구비하고, 클리닝 블레이드(422)에 의해 제거된 토너를 회전하는 것에 의해 축 방향으로 반송하는 반송 부재(424)와, 반송 부재(424)가 내부에 배치되고, 제거된 토너를 수용하는 하우징(421)을 구비하고, 반송 부재(424)는 축적한 토너(T)에 의해 경사 상방향(화살표 E 방향)으로 이동한다.

Description

청소 장치, 상 유지체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CLEANING DEVICE, IMAGE HOLDER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청소 장치, 상 유지체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화상 형성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 3에 개시된 것이 있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토너 제거 스크루(screw)가 클리닝 블레이드 근방에 있어서, 축 방향의 양단부가 지지되지 않는 상태에서, 축심(軸心)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토너 제거 스크루가 축심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동시에 적어도 축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토너 제거 스크루와 접촉하는 범위에 존재하는 클리닝 블레이드 상에 퇴적한 토너를 제거하고 있다.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토너를 감광(感光) 드럼의 축 방향으로 반송하는 동시에 진동하는 스프링 스크루가 감광체 드럼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클리닝 장치에서 패킹(packing)된 토너가 스프링 스크루의 진동에 의해 붕괴된다. 따라서, 토너가 감광체 드럼에 눌려 분쇄되지 않고, 토너의 감광체 드럼에의 융착이 방지되어 있다.
특허 문헌 3에 기재된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토너받이의 선단부의 표면 상방까지 이동가능한 제 1 부재와, 반송 스크루의 폐(廢) 토너의 반송 동작에 연동해서 반송 스크루의 표면을 따라 이동가능한 제 2 부재와, 제 1 부재와 제 2 부재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구비하는 토너 해제 부재가 클리닝 장치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클리닝 장치 내에 퇴적 또는 고착(固着)한 폐 토너를 해제하고 있다.
일본국특개2006-227127호공보 일본국특개2001-83854호공보 일본국특개2000-181315호공보
본 발명의 목적은 토너를 제거하는 제거 수단의 상방에 토너의 반송 수단을 갖는 청소 장치에서의 토너의 막힘을 방지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청구항 제 1 항에 기재된 발명은 회전하는 상(像) 유지체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상 유지체 위의 토너를 제거하는 제거 수단과, 상기 제거 수단보다 상방에 설치되고, 상기 제거 수단에 의해 제거된 토너를 회전하는 것에 의해 축 방향으로 반송하는 반송 수단과, 상기 반송 수단이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거된 토너를 수용하는 수용 용기를 구비하고, 상기 반송 수단은 상기 제거 수단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장치이다.
청구항 제 2 항에 기재된 발명은 회전하는 상 유지체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상 유지체 위의 토너를 제거하는 제거 수단과, 상기 제거 수단보다 상방에 설치되고, 상기 제거 수단에 의해 제거된 토너를 회전하는 것에 의해 축 방향으로 반송하는 반송 수단과, 상기 반송 수단이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거된 토너를 수용하는 수용 용기를 구비하고, 상기 반송 수단은 상기 제거 수단의 상방으로 이동하는 토너에 밀려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장치이다.
청구항 제 3 항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반송 수단은 회전축을 갖고, 상기 회전축을 회전가능하고, 또한 변위(變位)가능한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4 항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제 3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지 수단에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반송 수단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된 구멍부를 구비한 부재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구멍부는 상기 회전축을 상기 반송 수단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또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5 항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제 4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멍부를 막는 폐쇄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폐쇄 수단은 상기 반송 수단의 이동에 따라 변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6 항에 기재된 발명은 회전하는 상 유지체와, 상기 상 유지체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상 유지체 위의 토너를 제거하는 제거 수단과, 상기 제거 수단보다 상방에 설치되고, 상기 제거 수단에 의해 제거된 토너를 회전시킴으로써 축 방향으로 반송하는 반송 수단과, 상기 반송 수단이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거된 토너를 수용하는 수용 용기를 구비하고, 상기 반송 수단은 상기 제거 수단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7 항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제 6 항에 기재된 상 유지체 장치와, 상기 상 유지체 장치에 기록재(記錄材)를 공급하는 기록재 공급 수단과, 상기 상 유지체에 유지된 상을 상기 기록재에 전사하는 전사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이다.
청구항 제 1 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토너를 제거하는 제거 수단의 상방에 토너의 반송 수단을 갖는 청소 장치에서의 토너의 막힘이 방지된다.
청구항 제 2 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토너를 제거하는 제거 수단의 상방에 토너의 반송 수단을 갖는 청소 장치에서의 토너의 막힘이 방지된다.
청구항 제 3 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반송 수단의 이동 시에 반송 기능이 유지된다.
청구항 제 4 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반송 수단의 이동 시에 반송 기능이 유지된다.
청구항 제 5 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토너의 축 방향 외측으로의 비산(飛散)이 방지된다.
청구항 제 6 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토너를 제거하는 제거 수단의 상방에 토너의 반송 수단을 갖는 상 유지체 장치에서의 토너의 막힘이 방지된다.
청구항 제 7 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토너를 제거하는 제거 수단의 상방에 토너의 반송 수단을 갖는 상 유지체 장치에서의 토너의 막힘이 방지된 구조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프린터를 도시하는 개략 구성도.
도 2는 클리닝 기구를 도시하는 개략 구성도.
도 3은 하우징과 반송 부재와 동력 전달 장치와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도 3의 화살표 X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
도 5는 클리닝 기구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6은 클리닝 기구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프린터의 개략 구성)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화상 형성 장치의 일예로서 프린터의 개략 구성에 대해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서, 부호 1은 프린터이다. 프린터(1)에는, 프린터(1)의 저부(底部)로부터 상부를 향해서, 용지(P)가 도 1의 화살표 A방향으로 반송되는 용지 반송로(10)가 형성되어 있다. 프린터(1)에는, 용지 반송로(10)를 따르도록 용지 반송로(10)의 하류 측으로부터, 급지 장치(20)와, 레지스트롤 쌍(30)과, 화상 형성 유닛(40)과, 전사 장치(50)와, 정착 장치(60)와, 배출 장치(70)와, 배출부(80)가 설치되어 있다. 프린터(1)는 백흑(白黑) 화상을 용지(P)에 인쇄한다.
프린터(1)는 퍼스널 컴퓨터나 화상 판독 장치 등의 도시 생략한 화상 출력 장치로부터, 미리 정해진 통신 회선을 거쳐서 화상 데이터가 도시 생략한 제어부에 공급된다. 도시 생략한 제어부는 공급된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화상 형성 유닛(40) 등에 화상 형성의 제어 지령을 발(發)한다. 또한, 도시 생략한 제어부는 이 화상 형성 동작을 포함해서 프린터(1) 전체의 동작을 제어한다.
급지 장치(20)는 프린터(1)의 저부에 설치되어 있다. 급지 장치(20)는 용지(P)가 적재되는 급지 보관부(21)와, 급지 보관부(21)로부터 1매의 용지(P)를 인출하는 추출롤(22)과, 급지 장치(20)로부터 용지(P)를 용지 반송로(10)에 보내는 반송롤 쌍(23)을 구비하고 있다. 급지 장치(20)는 용지(P)를 공급한다.
용지(P)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레지스트롤 쌍(30)은 용지(P)의 반송 방향(도 1의 화살표 A방향)에 있어서, 급지 장치(20)보다 하류 측에 설치되어 있다. 레지스트롤 쌍(30)은 급지 보관부(21)로부터 인출되어서 용지 반송로(10)에 보내진 용지(P)를, 미리 정해진 타이밍에 전사 장치(50)에 보내준다.
화상 형성 유닛(40)은 상 유지체 장치의 일예이며, 프린터(1)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다. 화상 형성 유닛(40)은 상 유지체의 일예로서 감광체 드럼(41)을 갖고 있다. 감광체 드럼(41)은 원기둥 또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감광체 드럼(41)은 감광체 드럼(41)의 측면에서 용지(P)와 접촉한다. 감광체 드럼(41)은 도 1의 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하고, 토너 상을 유지한다.
화상 형성 유닛(40)에는, 감광체 드럼(41)의 주위에, 감광체 드럼(41)의 표면을 청소하는 클리닝 기구(42)와, 감광체 드럼(41)의 표면을 대전하는 대전 장치(44)와, 감광체 드럼(41)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장치(43)가 이 순서로 도 1의 화살표 B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화상 형성 유닛(40)에 의하면, 회전하는 감광체 드럼(41)이 대전 장치(44)에 의해 대전되고, 화상 데이터에 따른 정전 잠상이 감광체 드럼(41)의 표면에 형성된다. 다음으로, 감광체 드럼(41)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 잠상이 현상 장치(43)를 통과함으로써 현상 장치(43)로부터 감광체 드럼(41)의 표면에 토너가 공급되고, 그 표면에, 정전 잠상에만 토너가 남아서 토너 상이 현상된다. 감광체 드럼(41) 위의 토너 상이 용지(P)에 전사된 후, 감광체 드럼(41)의 표면에는, 토너가 잔존한다. 그 잔존한 토너는 클리닝 기구(42)에 의해 감광체 드럼(41)의 표면으로부터 제거된다.
전사 장치(50)는 감광체 드럼(41)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전사 장치(50)는 전사 롤(51)을 갖고 있다. 전사 롤(51)은 감광체 드럼(41)과의 사이에 전사 압(壓)을 발생시키면서 회전한다. 전사 장치(50)에서는, 급지 보관부(21)로부터 반송된 용지(P)가 감광체 드럼(41) 위의 토너 상과 타이밍을 맞춰서 전사 롤(51)과 감광체 드럼(41)의 사이에 삽입되어, 용지(P)의 표면에 토너 상이 전사된다. 전사된 용지(P)는 정착 장치(60)에 보내진다.
정착 장치(60)는 용지(P)의 반송 방향(도 1의 화살표 A방향)에 있어서 전사 장치(50)보다 하류 측에 설치되어 있다. 정착 장치(60)는 가열 롤과, 가압 롤을 구비하고 있다. 정착 장치(60)는 가열 롤과 가압 롤의 사이에 용지(P)를 가열하면서 끼워서 반송함으로써, 용지(P)의 표면에 전사 상을 정착시킨다. 전사 상이 정착한 용지(P)는 배출 장치(70)에 보내진다.
배출 장치(70)는 용지(P)의 반송 방향(도 1의 화살표 A방향)에 있어서 정착 장치(60)보다 하류 측에 설치되어 있다. 배출 장치(70)는 정착 장치(60)에 의해 전사 상이 정착한 용지(P)를, 프린터(1)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배출부(80)에 배출한다.
(클리닝 기구의 구성)
다음으로, 클리닝 기구(42)에 관하여 설명한다. 클리닝 기구(42)는 감광체 드럼(41)의 표면을 청소하는 것으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감광체 드럼(41)의 상방에 설치되어 있다. 도 2에서, 부호 421는 수용 용기의 일예로서 하우징이다. 하우징(421)은 감광체 드럼(41)과 대향하는 측을 개구(開口)시킨 상자형의 용기이다. 하우징(421)은 클리닝 블레이드(422)에 의해 제거된 토너(이하, 폐 토너라 칭함)를 수용한다.
하우징(421)의 개구부의 일방의 가장자리에는, 브래킷(422a)을 통하여, 제거 수단의 일예로서 클리닝 블레이드(422)가 고정되어 있다. 클리닝 블레이드(422)는 감광체 드럼(41)의 상부에서, 또한 감광체 드럼(41)의 정점으로부터 감광체 드럼(41)의 회전 방향(도 2의 화살표 B방향) 측의 부분에 접촉하고 있다. 여기에서, 감광체 드럼(41)의 상부란, 감광체 드럼(41)의 정점으로부터 중심각이 45도 정도인 범위이다.
클리닝 블레이드(422)는 감광체 드럼(41)의 토너 상이 형성되는 영역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고무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클리닝 블레이드(422)의 선단은 감광체 드럼(41)의 표면에 접촉하고 있다. 클리닝 블레이드(422)의 후단은 하우징(421)의 개구부의 일방의 가장자리에 고정되어 있다. 클리닝 블레이드(422)는 감광체 드럼(41)의 표면에 잔존한 토너를 제거한다. 제거된 폐 토너는 감광체 드럼(41)의 회전력이나 폐 토너에 밀리는 등 해서, 클리닝 블레이드(422)의 선단으로부터 하우징(421)의 내측으로 이동한다.
하우징(421)의 개구부의 타방의 가장자리에는, 실(seal) 부재(423)가 고정되어 있다. 실 부재(423)는 클리닝 블레이드(422)에 대하여 감광체 드럼(41)의 회전 방향(도 2의 화살표 B방향)의 반대 측에 설치되어 있다. 실 부재(423)는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막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일예로서, 실 부재(423)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에 의해 형성된다. 실 부재(423)의 선단은 감광체 드럼(41)의 표면에 접촉하고 있다. 실 부재(423)의 후단은 하우징(421)의 개구부의 타방의 가장자리에 고정되어 있다. 실 부재(423)는 감광체 드럼(41)의 표면에, 그 회전 방향(도 2의 화살표 B방향)에 대하여 둔각을 이루어 접촉하고 있고, 이에 의해 폐 토너가 감광체 드럼(41)으로 되돌아가는 것을 방지한다.
하우징(421)의 내부에는, 반송 수단의 일례로서 반송 부재(424)가 설치되어 있다. 반송 부재(424)는 클리닝 블레이드(422)보다 상방에서, 또한 클리닝 블레이드(422)의 선단보다 브래킷(422a) 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반송 부재(424)는 클리닝 블레이드(422)의 길이 방향, 즉, 클리닝 블레이드(422)가 접촉하는 회전 드럼(110)의 축 방향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반송 부재(424)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축(424a)의 주위에 나선 형상 부재의 일예로서 나선 형상의 반송 날개(424b)를 구비한 것이다. 반송 부재(424)는 회전축(424a)이 도 3의 화살표 C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반송 날개(424b)가 회전하여, 폐 토너를 축 방향(도 3의 화살표 D방향)으로 반송하고, 하우징(421)에 형성된 배출 구멍(421b)으로부터 배출한다.
하우징(421)에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멍부의 일예로서 긴 홀(elongated hole)(421a)이 형성되어 있다. 긴 홀(421a)은 제거 수단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의 일예로서 경사 상방향(도 4의 화살표 E방향)으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긴 홀(421a)에는, 반송 부재(424)의 회전축(424a)이 회전가능하게, 또한 긴 홀(421a)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긴 홀(421a)의 주위에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421)의 양측면의 내측에 폐쇄 수단의 일예로서 스펀지(427)가 고정되어 있다. 스펀지(427)는 탄성 변형 가능한 섬유 형상의 부재이다. 스펀지(427)에는, 반송 부재(424)의 회전축(424a)이 관통하는 구멍(427a)이 형성되어 있다. 스펀지(427)는 반송 부재(424)가 긴 홀(421a)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변형하고, 반송 부재(424)가 이동하는 것을 저해하지 않고, 하우징(421)의 내측의 폐 토너가 긴 홀(421a)로부터 하우징(421)의 외측으로 비산하는 것을 방지한다.
반송 부재(424)에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 수단(425)이 접속되어 있다. 구동 수단(425)은 구동 모터(425a)를 구비하고 있다. 구동 모터(425a)의 구동축(425b)에는, 구동 풀리(pulley)(425c)가 고정되어 있다. 반송 부재(424)의 회전축(424a)의 일단부에는, 종동 풀리(425d)가 고정되어 있다. 구동 풀리(425c)와 종동 풀리(425d)에는, 벨트(425e)가 감겨 있다. 구동 수단(425)은 구동 풀리(425c)가 회전함에 따라 벨트(425e)가 회전함으로써 종동 풀리(425d)가 회전하고, 반송 부재(424)를 도 3의 화살표 C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반송 부재(424)의 회전축(424a)과 구동 수단(425)의 구동축(425b)의 중심 사이 거리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긴 홀(421a)의 곡률 반경과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축(424a)이 긴 홀(421a)을 따라 이동해도, 벨트(425e)의 장력은 변화되지 않는다.
회전축(424a)의 양단에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 형상의 부시(bush)(426a)가 회전가능하게 끼워져서, 스프링(426)의 일단이 고정되어 있다. 스프링(426)의 타단은 하우징(421)에 고정되어 있다. 반송 부재(424)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프링(426)에 의해 경사 하방향(도 4의 화살표 F방향)으로 인장(引張)되어 있다.
(프린터의 동작)
다음으로, 프린터(1)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프린터(1)는 감광체 드럼(41)의 표면에 형성된 토너 상을, 급지 장치(20)로부터 반송된 용지(P)에 전사하고, 용지(P)를 정착 장치(60)에 보낸다. 그리고, 정착 장치(60)에 의해 전사 상을 용지(P)에 정착시켜, 배출 장치(70)에 의해 용지(P)를 배출부(80)에 배출한다.
(클리닝 기구의 동작)
다음으로, 클리닝 기구(42)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폐 토너의 유동성이 좋을 경우에 대해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현상 장치(43)로부터 감광체 드럼(41)의 표면에 공급된 토너의 일부는 전사되지 않고 감광체 드럼(41) 위에 잔존한다. 그 잔존한 토너는 클리닝 블레이드(422)에 의해 감광체 드럼(41)의 표면으로부터 제거된다.
그리고, 클리닝 블레이드(422)에 의해 제거된 폐 토너(T)는 클리닝 블레이드(422)의 선단 부근에 퇴적한다. 폐 토너(T)의 퇴적량이 늘어나면, 폐 토너(T)는 반송 부재(424)의 반송 날개(424b)에 접촉한다. 이 경우에는, 폐 토너(T)가 순조롭게 반송되므로, 반송 부재(424)는 스프링(426)의 힘에 의해 경사 상방향(도 4의 화살표 E방향)으로는 이동하지 않는다. 그리고, 폐 토너(T)는 반송 부재(424)의 반송 날개(424b)에 의해 반송되어, 배출 구멍(421b)으로부터 배출된다.
다음으로, 폐 토너의 유동성이 나쁠 경우에 대해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감광체 드럼(41) 위에 잔존한 토너는 클리닝 블레이드(422)에 의해 감광체 드럼(41)의 표면으로부터 제거된다. 그리고, 클리닝 블레이드(422)에 의해 제거된 폐 토너(T)는 클리닝 블레이드(422)의 선단 부근에 퇴적한다. 폐 토너(T)의 퇴적량이 늘어나면, 폐 토너(T)는 반송 부재(424)의 반송 날개(424b)에 접촉한다. 이때, 폐 토너(T)의 유동성이 나쁘기 때문에, 폐 토너(T)는 반송 부재(424)의 반송 날개(424b)에 반송되기 어렵다. 그리고, 폐 토너(T)의 퇴적량이 더 늘어나면, 반송 부재(424)는 폐 토너(T)에 의해 밀어 올려져서, 스프링(426)의 힘에 저항하여, 경사 상방향(도 6의 화살표 E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반송 부재(424)가 이동함에 따라, 구동 수단(425)의 벨트(425e)는 도 4 중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사이, 구동 수단(425)에 의해 구동력이 반송 부재(424)에 계속해서 전달되어, 반송 부재(424)는 도 6의 화살표 C 방향으로 계속해서 회전한다. 반송 부재(424)가 계속해서 회전함으로써, 폐 토너(T)는 반송 부재(424)의 반송 날개(424b)에 의해 반송된다.
여기에서, 반송 부재(424)가 경사 상방향(도 6의 화살표 E방향)으로 이동되면, 클리닝 블레이드(422)와 반송 부재(424)의 틈새가 확대된다. 이 틈새가 확대됨으로써, 폐 토너(T)의 유동성이 비교적 나쁜 경우에도, 클리닝 블레이드(422)의 선단측에 퇴적한 폐 토너(T)가 클리닝 블레이드(422)와 반송 부재(424)의 틈새에 인입하고, 폐 토너(T)가 반송 부재(424)에 접촉하는 면적이 확대된다. 이에 의해, 폐 토너(T)가 반송 부재(424)에 의해 반송된다. 그리고, 폐 토너(T)의 퇴적량이 감소하면, 스프링(426)의 작용에 의해, 반송 부재(424)가 원래의 위치로 이동한다.
(프린터의 우위성)
상기 구성의 프린터(1)에 의하면, 유동성이 나빠서 퇴적량이 늘어나기 쉬운 폐 토너(T)여도, 반송 부재(424)가 경사 상방향(도 6의 화살표 E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순조롭게 반송되므로, 폐 토너가 반송되지 않고 막히는 것에 기인하는 클리닝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구성의 프린터(1)에 의하면, 폐 토너의 유동성이 나쁠 경우 등에, 퇴적한 폐 토너에 의해 반송 부재(424)가 긴 홀(421a)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반송 부재(424)가 이동하게 됨에 따라, 구동 수단(425)의 벨트(425e)가 이동한다. 이에 의해, 구동력이 반송 부재(424)에 계속해서 전달되어, 반송 부재(424)는 도 6의 화살표 C방향으로 계속해서 회전한다. 그 때문에, 반송 부재(424)의 반송 능력이 향상한다.
또한, 상기 구성의 프린터(1)에 의하면, 반송 부재(424)가 이동함에 따라 변형하는, 긴 홀(421a)을 막는 스펀지(427)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반송 부재(424)가 경사 상방향(도 6의 화살표 E방향) 및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저해하지 않고, 긴 홀(421a)을 계속해서 막는다. 그 때문에, 하우징(421)의 내측의 폐 토너가 긴 홀(421a)로부터 하우징(421)의 외측으로 비산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 외의 실시 형태)
클리닝 블레이드(422)가 감광체 드럼(41)에 접촉하는 위치는 본 실시 형태의 경우에 한하지 않고, 감광체 드럼(41)의 중심으로부터 상방이면 된다.
또한, 반송 부재(424)의 이동 방향은 본 실시 형태의 경우에 한하지 않고, 상하 방향 등 클리닝 블레이드(422)로부터 떨어지는 방향 및 근접하는 방향이면 된다. 따라서, 긴 홀(421a)의 형상도,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한하지 않고, 직선 형상이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반송 부재(424)의 이동에 따라, 벨트(425e)가 신축한다.
또한, 클리닝 기구(42)를 설치하는 장소는 본 실시 형태의 경우에 한하지 않고, 전사 벨트 등의 중간 전사체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중간 전사체에 접하는 장소여도 된다.
또한, 클리닝 기구(42)가 스프링(426)을 구비하는 경우에 한하지 않고, 클리닝 기구(42)가 스프링(426)을 구비하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폐 토너에 의해 경사 상방향(도 6의 화살표 E방향)으로 이동되어진 반송 부재(424)는 폐 토너의 퇴적량이 감소하면, 반송 부재(424)의 자체 중량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이동한다.
본 발명은 스캐너 기능, FAX 기능, 복사 기능 또는 이들 기능을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 등에 이용할 수 있다.
1 : 프린터
41 : 감광체 드럼
421 : 하우징
421a : 긴 홀
422 : 클리닝 블레이드
424 : 반송 부재
424a : 회전축
424b : 반송 날개
425b : 구동축
425c : 구동 풀리
425d : 종동 풀리
425e : 벨트
427 : 스펀지
427a : 구멍
T : 폐 토너

Claims (7)

  1. 회전하는 상(像) 유지체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상 유지체 위의 토너를 제거하는 제거 수단과,
    상기 제거 수단보다 상방에 설치되고, 상기 제거 수단에 의해 제거된 토너를 회전하는 것에 의해 축 방향으로 반송하는 반송 수단과,
    상기 반송 수단이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거된 토너를 수용하는 수용 용기를 구비하고,
    상기 반송 수단은 상기 제거 수단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장치.
  2. 회전하는 상 유지체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상 유지체 위의 토너를 제거하는 제거 수단과,
    상기 제거 수단보다 상방에 설치되고, 상기 제거 수단에 의해 제거된 토너를 회전하는 것에 의해 축 방향으로 반송하는 반송 수단과,
    상기 반송 수단이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거된 토너를 수용하는 수용 용기를 구비하고,
    상기 반송 수단은 상기 제거 수단의 상방으로 이동하는 토너에 밀려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수단은 회전축을 갖고,
    상기 회전축을 회전가능하고, 또한 변위(變位)가능한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수단에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반송 수단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된 구멍부를 구비한 부재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구멍부는 상기 회전축을 상기 반송 수단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또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부를 막는 폐쇄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폐쇄 수단은 상기 반송 수단의 이동에 따라 변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장치.
  6. 회전하는 상 유지체와,
    상기 상 유지체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상 유지체 위의 토너를 제거하는 제거 수단과,
    상기 제거 수단보다 상방에 설치되고, 상기 제거 수단에 의해 제거된 토너를 회전하는 것에 의해 축 방향으로 반송하는 반송 수단과,
    상기 반송 수단이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거된 토너를 수용하는 수용 용기를 구비하고,
    상기 반송 수단은 상기 제거 수단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 유지체 장치.
  7. 제 6 항에 기재된 상 유지체 장치와,
    상기 상 유지체 장치에 기록재(記錄材)를 공급하는 기록재 공급 수단과,
    상기 상 유지체에 유지된 상을 상기 기록재에 전사하는 전사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100021650A 2009-07-21 2010-03-11 청소 장치, 상 유지체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13131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69912 2009-07-21
JP2009169912A JP2011022534A (ja) 2009-07-21 2009-07-21 清掃装置、像保持体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013A KR20110009013A (ko) 2011-01-27
KR101313140B1 true KR101313140B1 (ko) 2013-09-30

Family

ID=43497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1650A KR101313140B1 (ko) 2009-07-21 2010-03-11 청소 장치, 상 유지체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270890B2 (ko)
JP (1) JP2011022534A (ko)
KR (1) KR101313140B1 (ko)
CN (1) CN10196377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6789B1 (ko) * 2013-12-19 2018-06-18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주식회사 감광체 카트리지 및 그것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JP6723800B2 (ja) * 2015-05-15 2020-07-15 キヤノン株式会社 搬送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183429B2 (ja) * 2015-09-04 2017-08-23 株式会社三洋物産 遊技機
JP6625014B2 (ja) 2016-06-02 2019-12-25 キヤノンファインテックニスカ株式会社 残留トナー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5796A (ja) 2000-03-09 2001-09-21 Dainippon Screen Mfg Co Ltd 電子写真装置のクリーニング装置
JP2006178124A (ja) 2004-12-22 2006-07-06 Kyocera Mita Corp 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KR100682812B1 (ko) 2005-03-25 2007-02-15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클리닝 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형성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47471B2 (ja) 1998-12-15 2008-02-13 パナソニック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クリーニング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る現像剤ほぐし部材
JP2001083854A (ja) 1999-09-10 2001-03-30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US6219523B1 (en) * 2000-04-12 2001-04-17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eveloping agent recovery method i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2365995A (ja) * 2001-06-07 2002-12-20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4836443B2 (ja) * 2004-12-09 2011-12-14 京セラミタ株式会社 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これを搭載した画像形成装置
JP4466399B2 (ja) 2005-02-15 2010-05-26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クリーニング装置
US7369796B2 (en) * 2005-07-14 2008-05-06 Kabushiki Kaisha Toshiba Developer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and toner supplying method
JP2011007822A (ja) * 2009-06-23 2011-01-13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5796A (ja) 2000-03-09 2001-09-21 Dainippon Screen Mfg Co Ltd 電子写真装置のクリーニング装置
JP2006178124A (ja) 2004-12-22 2006-07-06 Kyocera Mita Corp 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KR100682812B1 (ko) 2005-03-25 2007-02-15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클리닝 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형성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270890B2 (en) 2012-09-18
US20110020041A1 (en) 2011-01-27
CN101963778B (zh) 2015-05-27
KR20110009013A (ko) 2011-01-27
CN101963778A (zh) 2011-02-02
JP2011022534A (ja) 2011-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45422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first and second shutters in a developing and replenishing device respectively
US8983357B2 (en) Powder transport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same
KR100729626B1 (ko) 롤러 이격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US739502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uxiliary tray
JP2010079186A (ja) 廃トナー回収装置とクリーニングユニット並びに画像形成装置
JP4842357B2 (ja) トナーカートリッジおよびこれを用いる画像形成装置
KR101313140B1 (ko) 청소 장치, 상 유지체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JP5386467B2 (ja) 現像剤回収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CN102608893A (zh) 显影装置和图像形成装置
JP2006267922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US8428481B2 (en) Long life cleaning system with reduced stress for start of cleaning blade operation
JP2005070702A (ja) トナー補給装置
JP4171225B2 (ja) 複写機及び複合機
JP5740385B2 (ja) 現像剤収容容器及びこれが適用された画像形成装置
JP5216751B2 (ja) 画像形成装置
CN108008611A (zh) 图像形成装置
JP4930552B2 (ja) 記録シート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825482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cess cartridge having inclined partitioning unit
JP2019215445A (ja) 現像剤収容容器、画像形成装置
JP5968297B2 (ja) 画像形成装置
KR20110095809A (ko) 급지장치 및 화상형성장치
JP7322627B2 (ja) 廃トナー回収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100396560B1 (ko) 인쇄기의 폐 토너 저장고
JP2005208443A (ja) 画像形成装置
US20180364633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