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1829B1 - 조적식 구조물의 보강공법 - Google Patents

조적식 구조물의 보강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1829B1
KR101311829B1 KR1020100016084A KR20100016084A KR101311829B1 KR 101311829 B1 KR101311829 B1 KR 101311829B1 KR 1020100016084 A KR1020100016084 A KR 1020100016084A KR 20100016084 A KR20100016084 A KR 20100016084A KR 101311829 B1 KR101311829 B1 KR 1013118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reinforcing
reinforcing member
reinforcement
anchor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6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6702A (ko
Inventor
김상효
안진희
최문석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16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1829B1/ko
Publication of KR20110096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67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1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18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56Special features of build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적식 구조물의 보강공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적식 벽체에 다수의 보강부재를 설치하기 위한 수용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수용부에 각 보강부재를 배열하고, 기초부에 앵커볼트를 매설하는 단계와, 상기 앵커볼트와 상기 보강부재를 결합수단에 의하여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보강부재가 배열된 수용부를 채움재로 메우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발명은 조적식 벽체 특히 기존에 축조된 구조물 중에서 구조물 자체의 하중이나 부하를 받도록 축조된 조적식(組積式) 내력(耐力) 벽체의 경우에는 수평 하중에 대한 내하력이 특히 취약한 구조적인 특성이 있으며, 이러한 특성으로 인하여 지진이 발생하여 수평 방향으로 구조물이 흔들리게 되는 경우 벽체의 균열 또는 붕괴에 이르는 심각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벽체의 내외벽면에 보강부재를 도입하여 특히 내진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추가적으로 보강부재의 도입으로 벽체가 시간의 경과로 노후화됨에 따른 내하력의 저감 방지와, 아울러 벽체의 내하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조적식 구조물의 보강공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조적식 구조물의 보강공법{REINFORCEMENT METHOD OF MASONRY STRUCTURE}
본 발명은 조적식 벽체 특히 기존에 축조된 구조물 중에서 구조물 자체의 하중이나 부하를 받도록 축조된 조적식(組積式) 내력(耐力) 벽체의 경우에는 수평 하중에 대한 내하력이 특히 취약한 구조적인 특성이 있으며, 이러한 특성으로 인하여 지진이 발생하여 수평 방향으로 구조물이 흔들리게 되는 경우 벽체의 균열 또는 붕괴에 이르는 심각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벽체의 내외벽면에 보강부재를 도입하여 특히 내진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추가적으로 보강부재의 도입으로 벽체가 시간의 경과로 노후화됨에 따른 내하력의 저감 방지와, 아울러 벽체의 내하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조적식 구조물의 보강공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 구조물의 벽체 축조 방식으로는 구조물의 하중을 대부분 받는 기둥이나 지주를 형성한 후 벽체를 축조하는 공법과, 지면에 기초를 다진 후 벽돌을 쌓아 벽체를 형성하는 조적식(組積式) 내력(耐力) 벽체 축조공법 등에 의하여 시공되고 있다.
이 경우 전자에 의하여 형성된 벽체의 경우에는 구조물의 기둥이나 지주의 설계 시 내진력을 고려하여 설계되고, 또한 기둥이나 지주가 구조물의 하중을 대부분 받게 됨으로 시간이 경과하더라도 벽체의 내하력은 크게 문제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후자에 같이 구조물 자체의 하중이나 부하를 받도록 축조된 조적식(組積式) 내력(耐力) 벽체의 경우에는 수평 하중에 대한 내하력이 특히 취약한 구조적인 특성이 있으며,
이러한 특성으로 인하여 지진이 발생하여 수평 방향으로 구조물이 흔들리게 되는 경우 벽체의 균열 또는 붕괴에 이르는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벽체 자체가 구조물의 하중을 대부분 받기 때문에 시간이 경과 함에 따른 벽체의 노후화로 벽체의 내하력은 점층적으로 저하되는 문제 또한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지진 이외에 태풍, 강풍 등과 같은 외적 부하가 걸리는 경우 벽체가 파손되거나 또는 균열 및 손상 등이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 또한 높아져 구조물 자체의 안전성이 문제되고,
아울러 구조물의 안전성 문제로 인한 인명 피해의 위험성과, 이로 인한 경제적인 손실에 대한 위험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조적식 벽체 특히 기존에 축조된 구조물 중에서 구조물 자체의 하중이나 부하를 받도록 축조된 조적식(組積式) 내력(耐力) 벽체의 경우에는 수평 하중에 대한 내하력이 특히 취약한 구조적인 특성이 있으며,
이러한 특성으로 인하여 지진이 발생하여 수평 방향으로 구조물이 흔들리게 되는 경우 벽체의 균열 또는 붕괴에 이르는 심각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벽체의 내외벽면에 보강부재를 도입하여 특히 내진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추가적으로 보강부재의 도입으로 벽체가 시간의 경과로 노후화됨에 따른 내하력의 저감 방지와, 아울러 벽체의 내하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조적식 구조물의 보강공법을 제공하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벽체의 내외벽면에 설치된 수평보강재 또는 수직보강재, 또는 이들 모두를 각각 연결하는 관통보강재에는 긴장조절수단이 구비되어 각 보강부재의 보강력을 증대시키고,
아울러 보강부재와 앵커볼트를 결합수단에 의하여 연결함으로써 벽체의 하부 구조의 결속력 및 구조적인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조적식 벽체의 보강공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적식 구조물의 보강공법은
(a) 조적식 벽체에 다수의 보강부재를 설치하기 위한 수용부를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수용부에 각 보강부재를 배열하고, 기초부에 앵커볼트를 매설하는 단계;
(c) 상기 앵커볼트와 상기 보강부재를 결합수단에 의하여 연결하는 단계; 및
(d) 상기 보강부재가 배열된 수용부를 채움재로 메우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수용부는 벽체의 내외벽면을 따라 형성된 수평홈 및 수직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수용부의 각 수평홈 및 수직홈에 배열된 수평보강재 및 수직보강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수용부는 상기 벽체를 천공하여 형성되고, 상기 수평홈 또는 수직홈, 또는 이들 모두와 연통되는 관통공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고, 상기 수평보강재 또는 수직보강재, 또는 이들 모두를 연결시키기 위한 관통보강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관통보강재는 강연선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관통보강재에는 강연선을 긴장시키기 위한 긴장조절수단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앵커볼트는 만곡지게 구부러진 형성된 매입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결합수단은 한 쌍의 분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 분체에는 상호 대응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보강부재와 앵커볼트를 연결하기 위한 커플러가 구비되며, 상기 각 분체에는 상호간의 결합을 위한 연결공이 형성되어 연결수단에 의하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보강부재의 하단부에는 구부러진 형태의 만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만곡부 단부에는 상기 앵커볼트가 관통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적식 구조물의 보강공법은 조적식 벽체 특히 기존에 축조된 구조물 중에서 구조물 자체의 하중이나 부하를 받도록 축조된 조적식(組積式) 내력(耐力) 벽체의 경우에는 수평 하중에 대한 내하력이 특히 취약한 구조적인 특성이 있으며,
이러한 특성으로 인하여 지진이 발생하여 수평 방향으로 구조물이 흔들리게 되는 경우 벽체의 균열 또는 붕괴에 이르는 심각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벽체의 내외벽면에 보강부재를 도입하여 특히 내진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추가적으로 보강부재의 도입으로 벽체가 시간의 경과로 노후화됨에 따른 내하력의 저감 방지와, 아울러 벽체의 내하력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벽체의 내외벽면에 설치된 수평보강재 또는 수직보강재, 또는 이들 모두를 각각 연결하는 관통보강재에는 긴장조절수단이 구비되어 각 보강부재의 보강력을 증대시키고,
아울러 보강부재와 앵커볼트를 결합수단에 의하여 연결함으로써 벽체의 하부 구조의 결속력 및 구조적인 안정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적식 구조물의 보강공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적식 벽체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강부재와 앵커볼트의 연결을 위한 결합수단을 나타내는 단면도 및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수단의 다른 변형례를 나타내는 분해 및 결합시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앵커볼트의 다양한 변형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긴장조절수단의 다양한 구현례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벽체의 수용부가 채움재에 의하여 메워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본 발명에 따른 조적식 구조물의 보강공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본 명세서상에서 사용되는 엄밀하지 않은 방향 기준을 설명하면,
벽체가 도시된 도 3, 도 4, 도 6 및 도 8의 지면상에서 벽체의 좌측 벽면을 ‘내벽면’이라 하고, 벽체의 우측 벽면을 ‘외벽면’이라 특정한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적식 구조물의 보강공법은
(a) 조적식 벽체(10)에 다수의 보강부재(20)를 설치하기 위한 수용부(11)를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수용부(11)에 각 보강부재(20)를 배열하고, 기초부에 앵커볼트(30)를 매설하는 단계;
(c) 상기 앵커볼트(30)와 상기 보강부재(20)를 결합수단(40)에 의하여 연결하는 단계; 및
(d) 상기 보강부재(20)가 배열된 수용부(11)를 채움재(50)로 메우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적식 구조물의 보강공법에서, 상기 (a)단계(S100)는
기 설치된 조적식 벽체(10)를 보강하여 내하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보강부재(20)를 벽체(10)에 매설 또는 매입시키기 위한 수용부(11)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즉 본 발명에는 기 설치되고, 특히 벽체(10) 자체에 하중이나 부하가 대부분 작용하는 조적식 벽체(10)에 보강부재(20)를 상기 수용부(11)에 설치시키기 위해
상기 수용부(11)는 벽체(10)의 내외벽면(13)(15)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수평홈(11a)과, 수직방향을 따라 형성된 수직홈(11b)과,
상기 벽체(10)를 천공하여 형성되고, 상기 수평홈(11a) 또는 수직홈(11b), 또는 이들 모두를 연통시키는 관통공(11c)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11)의 수평홈(11a), 수직홈(11b) 및 관통공(11c)은 각각 복수의 개수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평홈(11a) 및 수직홈(11b)은 각각 내외벽면(13)(15)에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며,
또한 상기 각 벽체(10)의 내외벽면(13)(15)에 위치하는 각 수평홈(11a)과 수직홈(11b)을 상호 교차하는 형태로 배열된다.
또한 수평홈(11a) 및 수직홈(11b)은 대략 반원 형태이거나 또는 보강부재(20)가 상기 수평홈(11a) 및 수직홈(11b)에 각각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보강부재(20)가 내외벽면(13)(15)으로 노출되지 않고 매몰될 수 있는 깊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아울러 상기 관통공(11c)은 상기 수평홈(11a) 또는 수직홈(11b), 또는 이들 모두에 직교하도록 벽체(10)를 관통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3,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적식 구조물의 보강공법에서, 상기 (b)단계(S200)는
상기 수용부(11)에 각 보강부재(20)를 배열하고, 기초부(1)에 앵커볼트(30)를 매설하기 위한 단계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상기 (b)단계(S200)에서는 상기 수용부(11)인 수평홈(11a), 수직홈(11b) 및 관통공(11c)에 상기 보강부재(20)를 배열하고,
상기 벽체(10)를 하부에서 지지하여 하부 구조를 이루는 기초부에 앵커볼트(anchor bolt)(30)를 매설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보강부재(20)는 벽체(10)의 내하력을 보강할 수 있는 강도와 강성을 갖는 철근이나 중공 형태의 파이프 관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리고 상기 보강부재(20)는 상기 수용부(11)의 수평홈(11a)과 수직홈(11b)에 각각 배열되는 복수의 수평보강재(21)와 수직보강재(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보강부재(20)에는 상기 벽체(10)의 내외벽면(13)(15)에 수평보강재(21) 또는 수직보강재(23)가 모두가 설치되는 경우 각 수평보강재(21) 또는 각 수직보강재(23)를 연결하기 위해 상기 수용부(11)의 관통공(11c)에 삽입되는 관통보강재(25)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관통보강재(25)는 벽체(10)의 내외벽면(13)(15)에 설치된 각 수평보강재(21) 또는 각 수직보강재(23)를 상호 연결하게 되는데,
이 경우 상기 관통보강재(25)는 강연선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관통보강재(25)에는 강연선을 긴장시키기 위한 긴장조절수단(60)이 더 구비된다.
즉 상기 긴장조절수단(60)은 강연선으로 이루어진 관통보강재(25)를 긴장시켜 상기 관통보강재(25)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된 수평보강재(21) 및/또는 수직보강재(23)에 일정한 텐션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벽체(10)의 내외벽면(13)(15)을 지지하고 있는 상기 각 수평보강재(21) 및/또는 수직보강재(23)의 접촉 보강력을 높여 보다 효율적인 강도 보강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긴장조절수단(60)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첨부된 도 7에서는 3가지의 구현례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하에서는 각 구현례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우선 도 7의 “(A)"에 도시된 제1 구현례인 상기 긴장조절수단(60)은
상기 관통보강재(25)의 양단부에 상기 보강부재(20)의 삽입을 위한 제1 및 제2 결합부(61)(63)가 구비되는데,
상기 제1 결합부(61)는 상기 관통보강재(25)의 양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결합부(63)는 상기 제1 결합부(61)와 분리된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보강부재(20)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결합부(61)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63)에는 상호 마주하도록 형성된 결합홈(62)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부(61)에는 상기 결합홈(62) 주변의 평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복수의 체결홈(61a)이 형성되며,
상기 제2 결합부(63)에는 상기 체결홈(61a)에 대응하는 복수의 체결공(63a)이 형성되고,
체결볼트(3)가 상기 체결공(63a)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홈(61a)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61)(63)가 상호 결합된다.
이 경우 상기 제1 결합부(61)의 결합홈(62)과 상기 제2 결합부(63)의 결합홈(62) 사이에는 보강부재(20)가 배열되고,
또한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61)(63)는 상호 이격되도록 배열되어 체결볼트(3)가 채워지면서 관통보강재(25)의 양단부에 연결된 제1 결합부(61)가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관통보강재(25)를 당겨 긴장시킴으로써 관통보강재(25)의 양측에 연결된 보강부재(20)에 텐션을 인가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7의 “(B)"에 도시된 제2 구현례인 상기 긴장조절수단(60)이
상기 관통보강재(25)의 양단부에 결합부(65)가 형성되는데,
상기 결합부(65)는 만곡지게 구부러져 그 내측에 수용공(65a)을 형성하여 보강부재(20)가 삽입되고,
또한 상기 결합부(65)의 단부는 내측방향을 향하며, 관통보강재(25)와 결합부(65)의 단부 부분에는 체결공(65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 체결공(63a)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거나 또는 너트에 의하여 체결볼트(3)와 체결된다.
그리고 도 7의 “(C)"에 도시된 제3 구현례인 상기 긴장조절수단(60)의 경우에는
상기 관통보강재(25)가 분리된 형태로 형성되고, 각 분리된 관통보강재(25)의 단부에는 보강부재(20)의 삽입을 위한 수용공(67a)(또는 후크 형태의 걸림부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이 형성되며,
상기 각 관통보강재(25)의 몸통 부분에는 상호 나선 방향이 반대로 형성된 수나사부(67)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각 수나사부(67)에 대응하는 암나사부(69)가 양측에 형성된 버클(68)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암나사부(69)에 각 분체(41)가 삽입되어 상기 버클(68)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각 관통보강재(25) 서로 접근하고,
상기 버클(68)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각 관통보강재(25)가 서로 멀어져 관통보강재(25)의 긴장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각 관통보강재(25)의 수용공(67a)에 삽입되어 있는 보강부재(20)의 경우에는 상기 버클(68)을 회전시켜 각 관통보강재(25)를 접근하도록 하는 경우 각 보강부재(20)에는 일정한 텐션을 인가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분리된 형태로 이루어진 각 관통보강재(25)는 일측에 배열된 관통보강재(25)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는데,
이는 긴장조절수단(60)에 의하여 관통보강재(25)를 긴장시키는 경우 버클(68)의 동작을 원활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상기 버클(68)은 관통공(11c)에 삽입된 형태가 아니라 수평홈(11a) 또는 수직홈(11b)에 위치하게 되어 작업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앵커볼트(30)는 상기한 바와 같이 기초부(1)에 매설되는데,
상기 기초부(1)는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는 경우 상기 콘크리트에 매입하여 앵커볼트(30)를 상기 기초부(1)에 설치하게 되며,
상기 앵커볼트(30)는 상기 수직보강재(23)와 하기할 결합수단(40)에 의하여 연결되어 결속되어야 함으로 상기 수직보강재(23)의 하단부와 상기 앵커볼트(30)의 상단부는 상호 인접한 위치에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기초부에 앵커볼트(30)를 설치한 후 기초부(1)와 앵커볼트(30)의 결속력을 보다 견고하게 하기 위해 상기 기초부에 매설되는 앵커볼트(30) 부분을 만곡지게 구부려 매입부(31)를 형성하여 그 결속력을 보장하게 된다.
그리고 첨부된 도 6에는 상기 매입부(31)의 다양한 변형례를 나타내고 있는데,
도 6의 (A)에는 상기 매입부(31)가 경사진 형태로 형성된 경우를 나타내고,
도 6의 (B)에는 상기 매입부(31)가 그 하부 부분을 구부려 후크 형태로 형성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며,
더 나아가 첨부된 도 6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매입부를 다양한 형태로 형성하는 것 또한 가능함으로 설계 시 설치 편의성 및 생산 단가 등을 고려하여 기초부와 앵커볼트의 결합력을 보다 견고히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적식 구조물의 보강공법에서, 상기 (c)단계(S300)는
기초부(1)에 매설된 앵커볼트(30)와 상기 보강부재(20)를 연결하여 보강부재(20)의 지지력을 보장하기 위해 결합수단(40)에 의하여 앵커볼트(30)와 보강부재(20)를 연결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c)단계(S300)에서 상기 결합수단(40)은 한 쌍의 분체(41)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 분체(41)에는 상호 대응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보강부재(20)와 앵커볼트(30)를 연결하기 위한 커플러(43)가 구비되며,
상기 각 분체(41)에는 상호간의 결합을 위한 연결공(45)이 형성되어 연결수단(47)에 의하여 체결된다.
즉 상기 결합수단(40)의 각 분체(41)는 판상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분체(41)의 양측부에는 만곡지게 구부려진 반원 형태의 커플러(43)가 형성되며,
이 경우 상기 각 커플러(43)는 각 분체(41)가 결합된 경우 상기 보강부재(20)와 앵커볼트(30)를 감쌀 수 있도록 원통형의 수용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각 분체(41)의 중심 부분에는 각 분체(41) 상호간의 결합을 위해 복수의 연결공(45)이 형성되고,
연결수단(47)인 볼트(47a)를 상기 연결공(45)에 삽입하여 볼트(47a)에 너트(47b)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각 분체(41)를 결합시키게 된다.
더 나아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수단(40)에서 상기 보강부재(20)의 하단부에는 구부러진 형태의 만곡부(24)가 형성되고,
상기 만곡부(24) 단부에는 상기 앵커볼트(30)가 관통 삽입되는 삽입부(24a)가 더 구비된다.
이 경우 상기 삽입부(24a)는 너트 형태이거나 또는 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상기 삽입부(24a)에 관통 삽입되는 앵커볼트(30)를 고려할 때 상기 삽입부(24a)는 너트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그 결합력을 보장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도 1, 도 2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적식 구조물의 보강공법에서, 상기 (d)단계(S400)는
상기 보강부재(20)가 배열된 수용부(11)를 채움재(50)로 메워 수용부(11)에 배열된 보강부재(20)를 고정시키고,
상기 수용부(11)가 형성된 벽체(10)의 내외벽면(13)(15)을 미장함으로써 외관상의 미관을 보다 우수하게 하기 위한 단계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상기 (d)단계(S400)에서 상기 채움재(50)는 콘크리트나 모르타르를 타설하여 상기 수용부(11)인 수평홈(11a) 및 수직홈(11b)을 메우게 되는데,
다만 첨부된 도 8에는 상기 채움재(50)가 수용부(11) 중에서 수직홈(11b)만을 메우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상기 수용부의 수평홈 역시 채움재에 의하여 메워지도록 구성됨을 밝힌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인 관통공의 경우에는 관통보강재가 삽입됨으로 상기 관통공을 채움재로 메우는 별도의 작업을 할 필요성은 적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관통보강재가 삽입된 관통공에 채움재로 메워 구조물의 하중이나 부하를 견딜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조적식 구조물의 보강공법을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기초부 3 : 체결볼트
10 : 벽체 11 : 수용부
11a : 수평홈 11b : 수직홈
11c : 관통공 13 : 내벽면
15 : 외벽면
20 : 보강부재 21 : 수평보강재
23 : 수직보강재 24 : 만곡부
24a : 삽입부 25 : 관통보강재
30 : 앵커볼트 31 : 매입부
40 : 결합수단 41 : 분체
43 : 커플러 45 : 연결공
47 : 연결수단 47a : 볼트
47b : 너트
50 : 채움재
60 : 긴장조절수단 61 : 제1 결합부
61a : 체결홈 62 : 결합홈
63 : 제2 결합부 63a : 체결공
65 : 결합부 65a : 수용공
65b : 체결공 67 : 수나사부
67a : 수용공 68 : 버클
69 : 암나사부
S100 : (a)단계 S200 : (b)단계
S300 : (c)단계 S400 : (d)단계

Claims (7)

  1. 기 시공된 구조물에서의 하중을 지지하는 조적식(組積式) 내력(耐力) 벽체를 보강하기 위한 공법에 있어서,

    (a) 기 시공된 조적식 벽체에 다수의 보강부재를 설치하기 위한 수용부를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수용부에 각 보강부재를 배열하고, 기초부에 앵커볼트를 매설하는 단계;
    (c) 상기 앵커볼트와 상기 보강부재를 결합수단에 의하여 연결하는 단계; 및
    (d) 상기 보강부재가 배열된 수용부를 채움재로 메우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수용부는 벽체의 내외벽면을 따라 형성된 수평홈 및 수직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수용부의 각 수평홈 및 수직홈에 배열된 수평보강재 및 수직보강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벽체를 천공하여 형성되고, 상기 수평홈 또는 수직홈, 또는 이들 모두와 연통되는 관통공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고, 상기 수평보강재 또는 수직보강재, 또는 이들 모두를 연결시키기 위한 관통보강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식 구조물의 보강공법.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보강재는 강연선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관통보강재에는 강연선을 긴장시키기 위한 긴장조절수단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식 구조물의 보강공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볼트는 만곡지게 형성된 매입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식 구조물의 보강공법.
  6. 제 1 항, 제 4 항 및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한 쌍의 분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 분체에는 상호 대응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보강부재와 앵커볼트를 연결하기 위한 커플러가 구비되며,
    상기 각 분체에는 상호간의 결합을 위한 연결공이 형성되어 연결수단에 의하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식 구조물의 보강공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의 하단부에는 구부러진 형태의 만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만곡부 단부에는 상기 앵커볼트가 관통 삽입되는 삽입부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식 구조물의 보강공법.
KR1020100016084A 2010-02-23 2010-02-23 조적식 구조물의 보강공법 KR1013118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6084A KR101311829B1 (ko) 2010-02-23 2010-02-23 조적식 구조물의 보강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6084A KR101311829B1 (ko) 2010-02-23 2010-02-23 조적식 구조물의 보강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6702A KR20110096702A (ko) 2011-08-31
KR101311829B1 true KR101311829B1 (ko) 2013-09-25

Family

ID=44931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6084A KR101311829B1 (ko) 2010-02-23 2010-02-23 조적식 구조물의 보강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18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7066B1 (ko) * 2019-10-15 2020-05-07 한국내진구조연구원 주식회사 조적벽체 보강장치 및 방법
KR102179190B1 (ko) * 2020-03-19 2020-11-16 주식회사 일신건설 치장 벽체의 보강과 전도방지를 위한 전도방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내진보강공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9621A (ja) * 1993-04-19 1994-10-25 Taisuke Matsufuji ブロック組積構造
KR200227273Y1 (ko) * 2001-01-05 2001-06-15 이선규 벽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9621A (ja) * 1993-04-19 1994-10-25 Taisuke Matsufuji ブロック組積構造
KR200227273Y1 (ko) * 2001-01-05 2001-06-15 이선규 벽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6702A (ko) 2011-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34584A (en) Dual swiggle reinforcement system
KR100999020B1 (ko) 합성 피에이취씨 말뚝 및 합성 피에이취씨 말뚝 시공방법
CN111699292A (zh) 用于风力机的基座
JP4599384B2 (ja) 盛土構造物およびその構築方法
JP4850276B2 (ja) 補強土構造物および盛土補強材の定着構造
JP5113342B2 (ja) 盛土構造物
JP5509380B1 (ja) 既存建物の耐震補強方法及び耐震補強構造
KR101311829B1 (ko) 조적식 구조물의 보강공법
JP6122740B2 (ja) 耐震補強構造体
JP2007519844A (ja) 基礎補強材
US20150322665A1 (en) Column shoe
KR101253679B1 (ko) Pc 세그먼트보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019302B1 (ko) 셀프 드릴링 피스를 이용한 조적조 구조체의 연결부재, 이를 이용한 조적조 구조체의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한 조적조 구조체
KR20140110491A (ko) 안장형 띠철근과 이중 대근을 이용한 hpc기둥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6866980B2 (ja) 接合用キャップおよび杭頭接合構造
KR100819504B1 (ko) 섬유강화플라스틱을 이용한 콘크리트복합체와 지지구조물의 연결방법
KR102391702B1 (ko) 흙막이 콘크리트 파일 보강용 복합응력재 트러스 프레임체 및 이를 이용한 합성벽구조체
KR102350905B1 (ko) 강선을 이용한 조적조 내진보강 구조 및 이를 위한 내진보강 공법
JP5028323B2 (ja) グラウンドアンカー工法
KR102351779B1 (ko) 흙막이 벽체용 phc 파일
KR100554946B1 (ko) 보강토 옹벽
JP4909445B1 (ja) 地上タンクの施工方法および地上タンク
JP4502192B2 (ja) 鋼管柱の柱脚接合部の構造および施工方法
KR200497673Y1 (ko) 내진성과 안전성 및 시공성이 뛰어난 벽돌벽 지지장치
KR200381404Y1 (ko) 개선된 지지구조를 갖춘 합벽 지지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