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1759B1 - 부착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아크릴계 분체 도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부착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아크릴계 분체 도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1759B1
KR101311759B1 KR1020110025812A KR20110025812A KR101311759B1 KR 101311759 B1 KR101311759 B1 KR 101311759B1 KR 1020110025812 A KR1020110025812 A KR 1020110025812A KR 20110025812 A KR20110025812 A KR 20110025812A KR 101311759 B1 KR101311759 B1 KR 1013117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
acrylate
group
acid
mono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5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8194A (ko
Inventor
조재형
정윤섭
박종윤
송윤석
백병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to KR1020110025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1759B1/ko
Publication of KR20120108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81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1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17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D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3Powdery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8Anti-corrosive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5Additives macromolecula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착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아크릴계 분체(powder)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A) 방향족계 비관능성 불포화 단량체, 이중결합과 글리시딜기를 포함하는 단량체 및 비관능성 아크릴 단량체를 공중합하여 얻은 아크릴 수지 40 내지 80 중량%; 및 (B) 하기 b1 또는 b2로부터 선택되는 단량체를 공중합하여 얻은 보조수지 5 내지 45 중량%: (b1) 알코올기를 포함하는 단량체, 산무수물기를 포함하는 단량체 및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단량체; 또는 (b2) 카르복실산기를 포함하는 단량체 및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단량체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단량체를 한번에 공중합하여 얻은 통합수지(C) 75 내지 85 중량%를 포함하는 부착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아크릴계 분체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아크릴계 분체 도료 조성물은 종래 기술의 아크릴계 분체 도료에 비해 소지와 분체 도료, 도료간의 부착이 향상되고, 실 모양의 부식에 대해 강한 내식성을 갖고, 내화학성이 우수하여 자동차 부품 및 알루미늄 소지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부착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아크릴계 분체 도료 조성물{ACRYLIC POWDER COATING COMPOSITION WITH EXCELLECNT CORROSIONRESISTANCE AND ADHERENCE}
본 발명은 부착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아크릴계 분체(powder)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지와 분체 도료, 도료간의 부착이 향상되고, 실 모양의 부식에 대해 강한 내식성을 갖고, 내화학성이 우수하여 자동차 부품 및 알루미늄 소지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는 아크릴계 분체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루미늄 휠 클리어의 코팅 시스템은 크게 프라이머-베이스-클리어로 이루어지는 3-코팅 시스템과 단독 코팅 시스템의 두 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3-코팅 시스템은 가장 일반적인 방법으로서 분체 프라이머와 용제 베이스, 용제 클리어를 사용하며, 단독 코팅시스템은 베이스까지 코팅한 후 전면을 가공한 후에 클리어를 코팅하게 되는 시스템으로 이는 다층 시스템 코팅보다 외관이 뛰어난 특징이 있다. 이러한 단독 코팅 시스템은 베이스까지 코팅한 후 윗면을 다이아몬드 커팅을 한 후 클리어를 도장하게 되므로, 다층 시스템보다 내식성, 내화학성이 열세하게 되므로, 단독 코팅 시스템으로 도장하기에 적합하려면 클리어의 내식성, 내화학성, 레벨링이 우수해야 한다. 그러나 용제형 클리어는 도막이 얇게 도장되며, 에지커버(edge cover)가 열세하여 내식성이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있어 단독 코팅 시스템에는 적합하지 않으므로, 단독 코팅 시스템에 분체 클리어를 적용하기 위해서 많은 도료 회사들이 노력해 왔다. 기존에 클리어로 개발되어 사용되는 분체 도료에는 폴리에스테르 타입 클리어가 있지만, 폴리에스테르 타입 클리어는 내후성이 취약할 뿐 아니라 외관도 용제형 클리어에 비해 매우 떨어져 새로운 타입의 도료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제시된 것이 아크릴 분체 클리어이다. 아크릴 분체 클리어는 아크릴 수지 자체 특성으로 인하여 내후성, 내약품성 등이 우수하며 기존의 용제형 클리어와 비교하여 경화 조건과 외관 등의 특성이 동등 수준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미 해외에서는 환경규제에 맞는 아크릴 분체 수지가 개발되어 도료에 적용되고 있지만, 국내에는 개발된 수지가 없어 국내 도료 업체들은 아크릴 수지를 수입해서 사용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알루미늄용 아크릴 분체 도료를 개발하는 데 있어서, 가장 문제점으로 인식되는 것이 실 모양의 부식(Filiform corrosion)이다. 실 모양의 부식은 장기 물성의 한 종류로서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 자동차 제조업체에서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물성 중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폴리에스테르 타입보다 아크릴 타입이 실 모양의 부식에 취약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실 모양의 부식은 도료의 대부분(5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수지로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아크릴 분체 수지는 액상 수지와 다르게 저장성에 취약하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하절기시 높은 기온으로 인하여 도료의 온도가 올라가면 도료가 서로 뒤엉키는 블로킹(blocking)이 발생하게 되고, 이는 외관 및 작업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부착성 및 내식성 특히, 실모양의 부식에 대하여 강한 내식성을 갖는 아크릴계 분체 도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서 정의한 단량체를 공중합하여 제조한 아크릴 수지 및 보조수지를 각각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아크릴 수지 및 보조수지의 성분에 속하는 단량체를 모두 공중합하여 제조한 통합수지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분체 도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A) 방향족계 비관능성 불포화 단량체, 이중결합과 글리시딜기를 포함하는 단량체 및 비관능성 아크릴 단량체를 공중합하여 얻은 아크릴 수지 40 내지 80 중량%; 및
(B) 하기 b1 또는 b2로부터 선택되는 단량체를 공중합하여 얻은 보조수지 5 내지 45 중량%
(b1) 알코올기를 포함하는 단량체, 산무수물기를 포함하는 단량체 및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단량체; 또는
(b2) 카르복실산기를 포함하는 단량체 및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단량체를 포함하는 부착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아크릴계 분체 도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분체 도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아크릴 수지(A)는 방향족계 비관능성 불포화 단량체, 이중결합과 글리시딜기를 포함하는 단량체 및 비관능성 아크릴 단량체를 공중합하여 얻을 수 있다.
방향족계 비관능성 불포화 단량체는 아크릴 수지(A)의 골격(backbone)의 일부를 구성하며, 외관, 경도 및 내산성 보강 기능을 한다. 이러한 방향족계 비관능성 불포화 단량체의 예는 스티렌, 비닐 톨루엔 또는 알파-메틸 스티렌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중결합과 글리시딜기를 포함하는 단량체의 바람직한 예는 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산다이메탄올 비닐 글리시딜에테르, 4-하이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에테르 및 부탄다이올 비닐 글리시딜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고, 비관능성 아크릴 단량체는 분체도료에 요구되는 물성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한, 공지된 비관능성 아크릴 단량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C1 내지 C12의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C3 내지 C12의 사이클로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및 C6 내지 C12의 비사이클로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비관능성 아크릴 단량체는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터셔리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n-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이소보닐(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아크릴 수지(A)는 본 발명의 전체 분체 도료 조성물에 대하여 40 내지 80 중량%로 포함되어야 한다. 아크릴 수지가 40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외관, 내구성 및 내후성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80 중량%를 초과할 경우 부착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아크릴 수지(A)는 고형분이 99.5% 이상, 용융점도(200℃)는 500 cPs 이상 5,000 cPs 미만, 에폭시 당량은 200 g/eq. 이상 700 g/eq 미만, 유리전이 온도는 30℃ 이상 85℃ 미만, 중량평균 분자량은 3,000 이상 40,00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고형분이 99.5% 미만인 경우 저장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용융점도(200℃)가 500 cPs 미만인 경우 도막이 형성되기 어렵고, 5,000 cPs 이상일 경우 흐름성과 외관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에폭시 당량이 200 g/eq. 미만인 경우 반응성이 빨라져 핀홀 및 외관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700 g/eq. 이상인 경우 도막 경도 및 내식성 저하의 문제가 있다. 유리전이 온도가 30℃ 미만인 경우 저장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85℃ 이상인 경우, 외관이 저하되고, 도막이 깨지는 문제점이 있다. 중량평균 분자량이 3,000 미만인 경우 내식성, 내후성, 내화학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40,000 이상인 경우 겔(Gel)화 및 외관, 투명도, 분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분체 도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보조수지(B)는 하기 b1 또는 b2로부터 선택되는 단량체들을 공중합하여 얻을 수 있다: (b1) 알코올기를 포함하는 단량체, 산무수물기를 포함하는 단량체 및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단량체; 또는 (b2) 카르복실산기를 포함하는 단량체 및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단량체.
즉, 본 발명에 따른 보조수지를 구성하는 성분은 알코올기를 포함하는 단량체, 산무수물을 포함하는 단량체 및 에폭시를 포함하는 단량체이거나, 또는 카르복실산기를 포함하는 단량체 및 에폭시를 포함하는 단량체일 수 있다.
알코올기를 포함하는 단량체로서, 하이드록시기가 1개, 2개 또는 3개 이상 치환된 C1 내지 C12의, 지방족 탄화수소, 지환족 탄화수소, 방향족 탄화수소, (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예로 들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틸올에탄,1,6-헥산디올, 디에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1,4-부틸렌글리콜, 1,5-펜탄디올, 디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에틸올프로판, 글리세린, 펜타에리스리톨, 2-하이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 이소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부탄다이올 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산무수물을 포함하는 단량체로서, 산무수물기를 포함하는 C1 내지 C24의, 지방족 탄화수소, 지환족 탄화수소, 방향족 탄화수소,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예로 들 수 있으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숙신산무수물, 말레인산무수물, 도데실숙신산무수물, 옥틸숙신산무수물, 프탈산무수물, 헥사하이드로프탈산무수물, 메틸헥사하이드로프탈산무수물, 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무수물, 메틸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무수물, 피로멜리트산 이무수물(PMDA), 3,3',4,4'-옥시다이프탈산 이무수물(ODPA), 3,3',4,4'-벤조페논 테트라카복실산 이무수물(BTDA), 4,4'-다이프탈산(헥사플루오로아이소프로필리덴) 무수물(6FDA), 벤조퀴논테트라카복실산 이무수물, 에틸렌테트라카복실산 이무수물 및 (메트)아크릴산 무수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단량체로서, C1 내지 C24의, 글리시딜 에테르, 글리시딜 에스터, 비스페놀 A(BPA) 타입의 에폭시 및 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예로 들 수 있으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부틸 글리시딜 에스터, 2-에틸헥실 글리시딜 에스터, 크레실 글리시딜 에스터, p-t-부틸 페닐 글리시딜 에스터, 트라이메틸올프로판 트라이글리시딜 에스터, 1,4-부탄다이올 다이글리시딜 에스터, 네오펜틸 글리콜 다이글리시딜 에스터, 사이클로헥산 다이메틸올 다이글리시딜 에스터, 다이머 에시드 다이글리시딜 에스터(dimer acid diglycidyl ester), 카스터오일 폴리글리시딜 에스터, 네오데칸산 글리시딜 에스터, 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 3,4-에폭시 사이클로헥실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알코올기를 포함하는 단량체와 산무수물을 포함하는 단량체를 대체하는 카르복실산기를 포함하는 단량체는 카르복실산기가 1개, 2개 또는 3개 이상 치환된, C1 내지 C24의 지방족 탄화수소, 지환족 탄화수소, 방향족 탄화수소, (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개미산, 아세트산, 클로로아세트산, 다이클로로아세트산, 트리클로로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벤조산, 숙신산, 말론산, 옥살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아젤라산, 세바스산(sebacic acid), 푸마르산, 아이글리코르산, 시트르산, 프탈산,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및 (메트)아크릴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조수지(B)는 본 발명의 전체 분체 도료 조성물에 대하여 5 내지 45 중량%로 포함되어야 한다. 분체 도료 조성물 내 보조수지(B)가 5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부착, 내식성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45 중량%를 초과할 경우 외관, 내구성 및 내후성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조수지(B)는 고형분이 99.5% 이상, 용융점도(200℃)는 100 cPs 이상 3,000 cPs 미만, 수산기가는 50 mgKOH/g 이상 200 mgKOH/g 미만 수평균분자량은 500 이상 5,00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보조수지의 고형분이 99.5% 미만인 경우 저장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용융점도(200℃)가 100 cPs 미만인 경우 도막이 형성되기 어렵고, 3,000 cPs 이상일 경우 흐름성과 외관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수산기가 50 mgKOH/g 미만인 경우 부착, 내식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200 mgKOH/g 이상인 경우 도막 경도, 외관 저하의 문제가 있다. 수평균 분자량이 500 미만인 경우 부착, 내식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5,000 이상인 경우 도막의 투명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전체 분체 도료 조성물에 대하여, 통합수지(C) 75 내지 85 중량%를 포함하는 부착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아크릴계 분체 도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합수지(C)는,
방향족계 비관능성 불포화 단량체;
이중결합과 글리시딜기를 포함하는 단량체;
하기 b1' 또는 b2'로부터 선택되는 단량체; 및
(b1') 이중결합과 알코올기를 포함하는 단량체, 산무수물기를 포함하는 단량체 및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단량체; 또는 (b2') 이중결합과 카르복실산기를 포함하는 단량체 및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단량체
비관능성 아크릴 단량체를 공중합하여 얻을 수 있다.
이러한 구체예에 있어서, 방향족계 비관능성 불포화 단량체, 이중결합과 글리시딜기를 포함하는 단량체, 산무수물기를 포함하는 단량체,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단량체 및 비관능성 아크릴 단량체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다. 이중결합과 알코올기를 포함하는 단량체는 1,4-사이클로헥산다이메탄올 모노비닐에테르, 하이드록시부틸 모노비닐에테르, 2-하이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 이소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부탄다이올 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이중결합과 카르복실산기를 포함하는 단량체는 (메트)아크릴레이트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통합수지(C)는 본 발명의 전체 분체 도료 조성물에 대하여 75 내지 85 중량%를 포함되어야 한다. 통합수지가 75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외관, 내구성, 내식성, 부착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85 중량%를 초과할 경우 경도, 내후성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합수지(C)는 고형분이 99.5% 이상, 용융점도(200℃)는 800 cPs 이상 5,000 cPs 미만, 에폭시 당량은 200 g/eq. 이상 700 g/eq 미만, 수산기가는 50 mgKOH/g 이상 200 mgKOH/g 미만, 유리전이 온도는 30℃ 이상 90℃ 미만, 중량평균분자량은 4,000 이상 60,00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통합수지의 고형분이 99.5% 미만인 경우 저장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용융점도(200℃)가 800 cPs 미만인 경우 도막이 형성되기 어렵고, 5,000 cPs 이상일 경우 흐름성과 외관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에폭시 당량이 200 g/eq. 미만인 경우 반응성이 빨라져 핀홀 및 외관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700 g/eq. 이상인 경우 도막 경도 및 내식성 저하의 문제가 있다. 수산기가 50 mgKOH/g 미만인 경우 부착, 내식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200 mgKOH/g 이상인 경우 도막 경도, 외관 저하의 문제가 있다. 유리전이 온도가 30℃ 미만인 경우 저장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90℃ 이상인 경우, 외관 저하되며, 도막이 깨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중량평균분자량이 4,000 미만일 경우 내식성, 내후성, 내화학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60,000 이상일 경우 겔(Gel)화, 외관, 투명도, 분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정의된 아크릴 수지(A), 보조수지(B), 통합수지(C)는 통상적인 아크릴 단량체의 중합방법에 의해 제조한 후 용제회수장치를 사용하여 합성된 수지내 용제가 0.05% 이하가 되도록 용제를 회수하여 제조할 수 있는데, 일례를 들면, 상기와 열거한 이중결합과 글리시딜기를 포함하는 단량체 및 비관능성 아크릴 단량체를 개시제의 존재 하에서 80 내지 180℃의 온도로 가열하여 액상수지를 합성한 후 용제회수장치를 사용하여 액상수지 내 용제함량을 0.05%이하로 낮춤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정의된 아크릴 수지(A), 보조수지(B), 통합수지(C)를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개시제로는 2,2'-아조비스(2-메틸부틸로니트릴), 2,2'-아조비스이소부틸로니트릴, 디벤조일 퍼옥사이드, 터셔리부틸퍼옥시 벤조에이트, 디터셔리부틸퍼옥사이드, 터셔리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터셔리부틸퍼옥시 아세테이트, 터셔리아밀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큐밀하이드로퍼옥사이드, 디큐밀퍼옥사이드, 또는 터셔리뷰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반응에 사용될 수 있는 용제도 반응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톨루엔, 크실렌과 같은 방향족 탄화수소계 용제, 메틸에틸케톤, 메틸프로필케톤, 메틸부틸케톤, 에틸프로필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메틸아릴케톤과 같은 케톤계 용제, 메틸 아세테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n-프로필 아세테이트,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 부틸 아세테이트, 메틸셀로솔브 아세테이트, 셀로솔브 아세테이트, 부틸셀로솔브 아세테이트, 카비톨 아세테이트와 같은 에스테르계 용제 또는 n-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n-부탄올, 이소부탄올, 터셔리부탄올과 같은 알코올계 용제를 사용할 수 있다. 다만, 통합수지(C) 합성 시에는 알코올계 용제가 산무수물과 부반응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그 사용을 제한하여야 한다.
보조수지(B) 및 통합수지(C) 제조시 알코올기와 산무수물이 반응하여 생성된 하프에스터 또는 산기와 에폭시기와의 반응시 반응속도를 촉진하기 위하여 촉매를 추가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촉매는 도료의 물성이 저하되지 않는 범위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암모늄염 촉매, 금속염 촉매, 아민류 촉매 또는 루이스산류 촉매일 수 있으며, 더 구체적으로는 디부틸틴 딜라우레이트, 트라이에틸 아민, 디에틸렌트라이 아민, 비스무트 카르복실레이트, 다이부틸틴디라우릴레이트 및 지르코늄 킬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촉매는 보조수지 또는 통합수지의 고형분 총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는 데, 보조수지 또는 통합수지의 고형분 총량에 대하여 0.0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반응이 촉진되기 어렵고, 2.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색상이 변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아크릴계 분체 도료 조성물은 아크릴 수지(A)와 보조수지(B) 또는 통합수지(C)를 정의한 함량으로 포함하면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아크릴계 분체 도료 조성물의 나머지 성분은 본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모든 첨가제, 예컨대, 경화제, 레벨링제, 핀홀 방지제, 흐름 조절제, 광 안정제(자외선 흡수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수지 성분을 경화시키기 위한 에시드 관능기를 갖는 경화제로는 분자량이 70~3000이고, 녹는점이 70~140℃인 것을 사용한다. 상기 분자량이 70 미만이면 도막의 외관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분자량이 3000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도막의 물성이 떨어질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녹는점이 70℃ 미만이면 도막에 새깅이 발생하고, 14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도료의 분산성에 문제가 있다. 이러한 경화제로는 예를 들면 DDDA(도데칸이산), 세바스산, VXL1381(UCB사) 등이 있으며,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에시드 관능기를 갖는 경화제는 본 발명의 전체 분체 도료 조성물에 대하여 10~20 중량% 사용하며, 상기 사용량이 10 중량% 미만이면 도막의 물성이 떨어지고, 2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도막의 외관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레벨링제는 도막의 외관을 향상시킬 수 첨가제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폴리에테르 변성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에스테르변성 폴리실록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레벨링제는 본 발명의 전체 분체 도료 조성물에 대하여 0.1 내지 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는 데, 0.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크레터링이 발생할 수 있고, 5.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도막의 태기현상이 발생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른 핀홀 방지제는 경화시 도막으로부터 휘발성 물질이 방출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며, 바람직한 예로서 벤조인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핀홀 방지제는 본 발명의 전체 분체 도료 조성물에 대하여 0.2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는 데, 0.2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외관이 나빠지고, 1.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헤이지 현상이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흡수제(광 안정제)는 시바사(Ciba)의 티누빈(Tinuvin) 및 이르가녹스(IRGANOX) 시리즈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전체 분체 도료 조성물에 대하여 1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아크릴계 분체 도료 조성물은 실란 커플링제, 도료 경화속도 조절용 촉매, 소부온도조절용 촉매 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첨가제는 본 발명의 전체 분체 도료 조성물에 대하여 10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아크릴계 분체 도료 조성물은 종래 기술의 아크릴계 분체 도료에 비해 소지와 분체 도료, 도료간의 부착이 향상되고,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의 실 모양의 부식에 대해 강한 내식성을 갖고, 내화학성이 우수하여 자동차 부품 및 알루미늄 소지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하, 하기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기재된 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합성예 1: 아크릴 수지(A)의 제조
온도계 및 냉각기가 구비된 4구 플라스크에 질소분위기 하에서 톨루엔 250g 을 투입하고 110℃로 승온하여 환류하였다. 단량체로서 스티렌 200g,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300g, n-부틸 메타크릴레이트 230g,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270g과 개시제로서 터셔리 부틸 퍼옥시 아세테이트 100g과 톨루엔 240g을 각각 혼합한 혼합물을 5시간에 걸쳐서 균일하게 적가하였다. 이어서, 110℃에서 2시간 동안 환류 유지시킨 후 승온하여 210℃에서 -700 mmHg까지 진공 회수하여 수지의 고형분을 99.5% 이상 확보한 후 냉각하여 아크릴 수지(A)를 수득하였다. 수득한 아크릴 수 지(A)는 고형분 99.5%, 용융점도(200℃) 2,300 cPs, 에폭시 당량 526 g/eq., 유리전이온도 63.8℃, 중량평균분자량 9,500인 투명한 분체 수지였다.
합성예 2: 보조수지(B)의 제조
온도계 및 냉각기가 구비된 4구 플라스크에 질소분위기 하에서 톨루엔 250g 을 투입하고 80℃로 승온하였다. 단량체로서 펜타에리스리톨 255.8g, 메틸헥사하이드로프탈산무수물 315.9g, Cardura e10P(Hexion社) 428.3g, 지르코늄 옥토에이트 5.0g를 각각 혼합한 혼합물을 3시간에 걸쳐서 균일하게 적가하였다. 적가 후 80℃에서 3시간 유지하였다. 이어서 승온하여 210℃에서 -700 mmHg까지 진공 회수하여 수지의 고형분을 99.5% 이상 확보한 후 냉각하여 보조수지(B)를 수득하였다. 수득한 보조수지(B)는 고형분 99.5%, 용융점도(200℃) 800 cPs, 수산기가 130 mgKOH/g, 수평균분자량 1,750인 투명한 분체 수지였다.
합성예 3: 통합수지(C)의 제조
온도계 및 냉각기가 구비된 4구 플라스크에 질소분위기 하에서 톨루엔 250g 을 투입하고 110℃로 승온하여 환류하였다. 단량체로서 스티렌 300g,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230g, 2-하이드록시 에틸 아크릴레이트 100g, 이소부틸 메타크릴레이트 100g,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270g과 개시제로서 tert-부틸 퍼옥시 아세테이트 120g과 톨루엔 240g을 각각 혼합한 혼합물을 5시간에 걸쳐서 균일하게 적가하였다. 온도를 80℃까지 냉각 후 메틸헥사하이드프탈산무수물 145g, Cardura e10P(Hexion社) 197g과 지르코늄 옥토에이트 0.75g을 각각 사입한 후 80℃에서 3시간 유지한다. 이어서 승온하여 210℃에서 -700 mmHg까지 진공 회수하여 수지의 고형분을 99.5% 이상 확보한 후 냉각하여 통합수지(C)를 수득하였다. 수득한 통합수지(C)는 고형분 99.5%, 용융점도(200℃) 3,500 cPs, 에폭시 당량 526 g/eq., 수산기가 48.4 mgKOH/g, 유리전이온도 65.5℃, 중량평균분자량 10,500인 투명한 분체 수지였다.
하기 표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합성예 1, 합성예 2와 합성예 3에서 합성된 아크릴 수지(A), 보조수지(B), 통합수지(C)를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혼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아크릴계 분체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아크릴 수지 79.0 63.0 60.0
보조수지 16.0 19.0
통합수지 79.0
DDDA 16.0 16.0 16.0 16.0
RHEOFLOW PLP-100 1.5 1.5 1.5 1.5
BENZOIN 1.0 1.0 1.0 1.0
IRGANOX B900 0.8 0.8 0.8 0.8
TINUVIN 928 0.8 0.8 0.8 0.8
TINUVIN 144 0.5 0.5 0.5 0.5
KBM-403 0.4 0.4 0.4 0.4
합계 100.0 100.0 100.0 100.0
※ 단위: 중량%
주) 1. DDDA: 도데칸이산(Invista社)
2. RHEOFLOW PLP-100: 레벨링제(KS Chemical社)
3. BENZOIN: 핀홀 방지제(미원상사)
4. IRGANOX B900: 광안정제(시바가이지社)
5. TINUVIN 928: 광안정제(시바가이지社)
6. TINUVIN 144: 산화방지제(시바가이지社)
7. KBM-403: 실란커플링제(Shin-Etsu社)
실험예 : 수득한 분체 도료 조성물의 물성 측정
상기 표 1과 같은 조성으로 배합한 후 믹서에 5분 동안 균일하게 사전 혼합한다. 균일하게 혼합된 조성물을 100℃에서 익스트루더(ZSK 25, Werner & Pleider社)를 사용하여 2회에 걸쳐 용융 혼합한다. 혼합물을 냉각롤러에서 식힌 후 햄머밀을 사용하여 분쇄한 후, 필터하여 분체도료 조성물을 제조한다. 제조된 분체 도료는 크롬을 포함하지 않은 용액으로 전처리된 알루미늄 판에 정전 도장한 후 160℃×20분(소지 표면온도 기준) 조건으로 경화하여 도막 두께가 80㎛인 도막 시편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도막 시편의 물성 시험 결과는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항목 비교예 1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레벨링 양호 양호 양호 양호
광택 92.0 90.0 89.0 92.0
테이프 부착 97/100 100/100 100/100 100/100
염 스프레이 1 ㎜ 0 ㎜ 0 ㎜ 0 ㎜
CASS 4 ㎜ 3 ㎜ 1 ㎜ 2 ㎜
치핑 GM8 GM8 GM8 GM8
필리폼 7 ㎜ 3 ㎜ 2 ㎜ 3 ㎜
상기 실시한 시험 항목에 대한 조건은 하기와 같다.
1. 레벨링: 도막의 평활도를 육안으로 판별
2. 광택: BYK 글로스미터를 사용하여 60℃ 반사율 측정
3. 테이프 부착: 1 ㎜ 간격의 칼집 100개를 도막에 그어 소지와 도막의 부착성 측정
4. 염 스프레이: 도막에 X-cut을 한 후 35±1℃, 5% NaCl용액(pH 6.5~7.2)×100시간 스프레이 후 크리프백(Creep back) 측정(GMW3286)
5. CASS: 도막에 X-cut을 한 후 35±1℃, NaCl 5%+Cupric cloride(CuCl2H2O): 1±0.1g/gallon+Glacial acetic acid 5.5 ml/gallon(pH 3.1~3.3)×168시간 스프레이 후 크리프백(Creep back) 측정(GMW14458)
6. 치핑: -18℃×4시간 후 473±10mm Gravel, 공기압력 70 psi에서 도막을 때린 후 등급 판정(GMW14700)
7. 필리폼(Filiform): 도막에 직선으로 cut을 한 후 CASS×6시간 후 60℃×85RH%에서 672시간 유지 후 크리프백 측정(GMW15287)
실험 방법에서도 알 수 있듯이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 장시간 동안 평가되는 필리폼 시험은 내습성 내식성, 층각 부착성이 뛰어나야 한다.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아크릴계 분체 도료 조성물(실시예 1, 2 및 3)의 경우 부착성 및 내식성이 비교예 1보다 우수하게 평가되었다.

Claims (27)

  1. (A) 방향족계 비관능성 불포화 단량체, 이중결합과 글리시딜기를 포함하는 단량체 및 비관능성 아크릴 단량체를 공중합하여 얻은 아크릴 수지 40 내지 80 중량%; 및
    (B) 하기 b1 또는 b2로부터 선택되는 단량체를 공중합하여 얻은 보조수지 5 내지 45 중량%
    (b1) 알코올기를 포함하는 단량체, 산무수물기를 포함하는 단량체 및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단량체; 또는
    (b2) 카르복실산기를 포함하는 단량체 및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단량체
    를 포함하되,
    상기 보조수지(B)는 고형분이 99.5% 이상, 용융점도(200℃)가 100 cPs 이상 3,000 cPs 미만, 수산기가는 50 mgKOH/g 이상 200 mgKOH/g 미만, 수평균분자량이 500 이상 5,000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아크릴계 분체 도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계 비관능성 불포화 단량체는 스티렌, 비닐 톨루엔 또는 알파-메틸 스티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아크릴계 분체 도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결합과 글리시딜기를 포함하는 단량체는 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산다이메탄올 비닐 글리시딜에테르, 4-하이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에테르 및 부탄다이올 비닐 글리시딜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아크릴계 분체 도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관능성 아크릴 단량체는 C1 내지 C12의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C3 내지 C12의 사이클로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및 C6 내지 C12의 비사이클로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고,
    상기 C1 내지 C12, C3 내지 C12, C6 내지 C12은 각각 알킬, 사이클로알킬 및 비사이클로알킬의 탄소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아크릴계 분체 도료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비관능성 아크릴 단량체는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터셔리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n-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이소보닐(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아크릴계 분체 도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기를 포함하는 단량체는 하이드록시기가 1개, 2개 또는 3개 이상 치환된 C1 내지 C12의 지방족 탄화수소, C3 내지 C12의 지환족 탄화수소, C6 내지 C12의 방향족 탄화수소, C4 내지 C12의 (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아크릴계 분체 도료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기를 포함하는 단량체는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틸올에탄,1,6-헥산디올, 디에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1,4-부틸렌글리콜, 1,5-펜탄디올, 디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에틸올프로판, 글리세린, 펜타에리스리톨, 2-하이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 이소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부탄다이올 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아크릴계 분체 도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무수물기를 포함하는 단량체는 산무수물기를 포함하는 C1 내지 C24의 지방족 탄화수소, C3 내지 C24의 지환족 탄화수소, C6 내지 C24의 방향족 탄화수소, C4 내지 C24의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아크릴계 분체 도료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산무수물기를 포함하는 단량체는 숙신산무수물, 말레인산무수물, 도데실숙신산무수물, 옥틸숙신산무수물, 프탈산무수물, 헥사하이드로프탈산무수물, 메틸헥사하이드로프탈산무수물, 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무수물, 메틸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무수물, 피로멜리트산 이무수물(PMDA), 3,3',4,4'-옥시다이프탈산 이무수물(ODPA), 3,3',4,4'-벤조페논 테트라카복실산 이무수물(BTDA), 4,4'-다이프탈산(헥사플루오로아이소프로필리덴) 무수물(6FDA), 벤조퀴논테트라카복실산 이무수물, 에틸렌테트라카복실산 이무수물 및 (메트)아크릴산 무수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아크릴계 분체 도료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단량체는 C3 내지 C24의 글리시딜 에테르, C4 내지 C24의 글리시딜 에스터, C17 내지 C24의 비스페놀 A(BPA) 타입의 에폭시 및 C7 내지 C24의 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아크릴계 분체 도료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단량체는 부틸 글리시딜 에스터, 2-에틸헥실 글리시딜에스터, 크레실 글리시딜에스터, p-t-부틸 페닐 글리시닐 에스터, 트라이메틸올프로판 트라이글리시딜 에스터, 1,4-부탄다이올 다이글리시딜 에스터, 네오펜틸 글리콜 다이글리시딜 에스터, 사이클로헥산 다이메틸올 다이글리시딜 에스터, 다이머 에시드 다이글리시딜 에스터(dimer acid diglycidyl ester), 카스터오일 폴리글리시딜 에스터, 네오데칸산 글리시딜 에스터, 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 3,4-에폭시 사이클로헥실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아크릴계 분체 도료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르복실산기를 포함하는 단량체는 카르복실산기가 1개, 2개 또는 3개 이상 치환된 C1 내지 C24의 지방족 탄화수소, C3 내지 C24의 지환족 탄화수소, C6 내지 C24의 방향족 탄화수소, C4 내지 C24의 (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아크릴계 분체 도료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카르복실산기를 포함하는 단량체는 개미산, 아세트산, 클로로아세트산, 다이클로로아세트산, 트리클로로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벤조산, 숙신산, 말론산, 옥살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아젤라산, 세바스산(sebacic acid), 푸마르산, 아이글리코르산, 시트르산, 프탈산,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및 (메트)아크릴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아크릴계 분체 도료 조성물.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수지(A)는 고형분이 99.5% 이상, 용융점도(200℃)가 800 cPs 이상 5,000 cPs 미만, 에폭시 당량은 200 g/eq. 이상 700 g/eq. 미만, 수산기가는 50 mgKOH/g 이상 200 mgKOH/g 미만, 유리전이 온도는 30℃ 이상 85℃ 미만, 중량평균분자량 3,000 이상 40,000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아크릴계 분체 도료 조성물.
  15. 삭제
  16. (C) 하기 단량체를 공중합하여 얻은 통합수지 75 내지 85 중량%를 포함하되,
    상기 통합수지는 고형분이 99.5% 이상, 용융점도(200℃)가 800 cPs 이상 5,000 cPs 미만, 에폭시 당량은 200 g/eq. 이상 700 g/eq 미만, 수산기가는 50 mgKOH/g 이상 200 mgKOH/g 미만, 유리전이 온도는 30℃ 이상 90℃ 미만, 중량평균분자량은 4,000 이상 60,000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부착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아크릴계 분체 도료 조성물:
    방향족계 비관능성 불포화 단량체;
    이중결합과 글리시딜기를 포함하는 단량체;
    하기 b1' 또는 b2'로부터 선택되는 단량체; 및
    (b1') 이중결합과 알코올기를 포함하는 단량체, 산무수물기를 포함하는 단량체 및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단량체; 또는
    (b2') 이중결합과 카르복실산기를 포함하는 단량체 및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단량체
    비관능성 아크릴 단량체.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계 비관능성 불포화 단량체는 스티렌, 비닐 톨루엔 또는 알파-메틸 스티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아크릴계 분체 도료 조성물.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결합과 글리시딜기를 포함하는 단량체는 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산다이메탄올 비닐 글리시딜에테르, 4-하이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에테르 및 부탄다이올 비닐 글리시딜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아크릴계 분체 도료 조성물.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결합과 알코올기를 포함하는 단량체는 1,4-사이클로헥산다이메탄올 모노비닐에테르, 하이드록시부틸 모노비닐에테르, 2-하이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 이소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부탄다이올 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아크릴계 분체 도료 조성물.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산무수물기를 포함하는 단량체는 산무수물기를 포함하는 C1 내지 C24의 지방족 탄화수소, C3 내지 C24의 지환족 탄화수소, C6 내지 C24의 방향족 탄화수소, C4 내지 C24의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아크릴계 분체 도료 조성물.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산무수물기를 포함하는 단량체는 숙신산무수물, 말레인산무수물, 도데실숙신산무수물, 옥틸숙신산무수물, 프탈산무수물, 헥사하이드로프탈산무수물, 메틸헥사하이드로프탈산무수물, 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무수물, 메틸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무수물, 피로멜리트산 이무수물(PMDA), 3,3',4,4'-옥시다이프탈산 이무수물(ODPA), 3,3',4,4'-벤조페논 테트라카복실산 이무수물(BTDA), 4,4'-다이프탈산(헥사플루오로아이소프로필리덴) 무수물(6FDA), 벤조퀴논테트라카복실산 이무수물, 에틸렌테트라카복실산 이무수물 및 (메트)아크릴산 무수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아크릴계 분체 도료 조성물.
  22.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결합과 카르복실산기를 포함하는 단량체는 (메트)아크릴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아크릴계 분체 도료 조성물.
  23.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비관능성 아크릴 단량체는 C1 내지 C12의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C3 내지 C12의 사이클로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및 C6 내지 C12의 비사이클로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아크릴계 분체 도료 조성물.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비관능성 아크릴 단량체는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터셔리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n-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이소보닐(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아크릴계 분체 도료 조성물.
  25. 삭제
  2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수지(B)는 디부틸틴 딜라우레이트, 트라이에틸 아민, 디에틸렌트라이 아민, 비스무트 카르복실레이트, 다이부틸틴디라우릴레이트 및 지르코늄 킬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촉매의 존재 하에서 공중합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아크릴계 분체 도료 조성물.
  2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수지(C)는 디부틸틴 딜라우레이트, 트라이에틸 아민, 디에틸렌트라이 아민, 비스무트 카르복실레이트, 다이부틸틴디라우릴레이트 및 지르코늄 킬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촉매의 존재 하에서 공중합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아크릴계 분체 도료 조성물.
KR1020110025812A 2011-03-23 2011-03-23 부착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아크릴계 분체 도료 조성물 KR1013117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5812A KR101311759B1 (ko) 2011-03-23 2011-03-23 부착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아크릴계 분체 도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5812A KR101311759B1 (ko) 2011-03-23 2011-03-23 부착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아크릴계 분체 도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8194A KR20120108194A (ko) 2012-10-05
KR101311759B1 true KR101311759B1 (ko) 2013-09-26

Family

ID=47279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5812A KR101311759B1 (ko) 2011-03-23 2011-03-23 부착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아크릴계 분체 도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17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0581B1 (ko) * 2015-12-30 2018-01-22 주식회사 케이씨씨 전착도료용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102177278B1 (ko) * 2018-10-05 2020-11-10 주식회사 케이씨씨 서페이서 도료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8823A (ja) * 1994-02-18 1995-08-29 Mitsubishi Rayon Co Ltd アクリル系共重合体およびこれを用いた熱硬化性被覆組成物
KR20040018376A (ko) * 2001-05-22 2004-03-03 유씨비 소시에떼아노님 열경화성 아크릴 분말 코팅
KR20090095427A (ko) * 2008-03-04 2009-09-09 롬 앤드 하아스 컴패니 에폭시 관능성 아크릴 코팅 분말 및 그로부터 제조된향상된 내사상부식성을 갖는 분말 코팅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8823A (ja) * 1994-02-18 1995-08-29 Mitsubishi Rayon Co Ltd アクリル系共重合体およびこれを用いた熱硬化性被覆組成物
KR20040018376A (ko) * 2001-05-22 2004-03-03 유씨비 소시에떼아노님 열경화성 아크릴 분말 코팅
KR20090095427A (ko) * 2008-03-04 2009-09-09 롬 앤드 하아스 컴패니 에폭시 관능성 아크릴 코팅 분말 및 그로부터 제조된향상된 내사상부식성을 갖는 분말 코팅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8194A (ko) 2012-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9750B1 (ko) 실리콘 수지 함유 코팅 조성물, 관련된 코팅 기판 및 방법
EP2534208B1 (en) Radiation curable liquid composition for low gloss coatings
US20080003368A1 (en) Particulate coatings having improved chip resistance, uv durability, and color stability
NZ259270A (en) Coating composition comprising: 1) an amine group containing polyepoxide resin; 2) an acetoacetate containing polyester; and 3) a polyacrylate
CN107298932B (zh) 涂料组合物和涂膜形成方法
KR102258521B1 (ko) 수용성 도료 조성물
CA2822527C (en) Radiation curable coating compositions for metal
US11453800B2 (en) Primer coating composition
JP6785924B2 (ja) 熱硬化性離型コーティング剤及び積層フィルム
CA2147831A1 (en) An acid-epoxy-melamine coating composition modified with a silane polymer
JP5874971B2 (ja) ウレタン塗料組成物および樹脂部材
KR101560779B1 (ko) 저장 안정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분체 도료용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분체 도료 조성물
JP2012021111A (ja) ウレタン塗料組成物および樹脂部材
EP2941460B1 (en) One -component, curable coating composition, processes for making and using them, and coatings and articles prepared with them
KR101311759B1 (ko) 부착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아크릴계 분체 도료 조성물
JP4444820B2 (ja) 被覆材料、その製法および接着強固な被覆を製造するためのその使用
MX2010011493A (es) Composicion de revestimiento que contiene politrimetileno eter diol.
KR101783122B1 (ko) 카르복실 폴리에스터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분체도료 조성물
KR102383359B1 (ko) 투명 도료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도장방법
ES2684145T3 (es) Materiales de recubrimiento que contienen diésteres de glicerina y su uso en pinturas de varias capas
EP3166983B1 (en) Curable film-forming compositions and method of mitigating dirt build-up on a substrate
JP6135861B2 (ja) コーティング組成物
JP2013006897A (ja) 熱線高反射塗料組成物、熱線高反射塗料組成物調製用キット、熱線高反射塗装物、および熱線高反射塗装物の塗装方法
KR102583106B1 (ko) 클리어 코트 조성물
EP2586839B1 (en) A method for coating a coil of met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