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0932B1 - 방향성의 왜곡없이 실시간 보간이 가능한 주사 변환기, 초음파 진단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방향성의 왜곡없이 실시간 보간이 가능한 주사 변환기, 초음파 진단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0932B1
KR101310932B1 KR1020120003290A KR20120003290A KR101310932B1 KR 101310932 B1 KR101310932 B1 KR 101310932B1 KR 1020120003290 A KR1020120003290 A KR 1020120003290A KR 20120003290 A KR20120003290 A KR 20120003290A KR 101310932 B1 KR101310932 B1 KR 101310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polation
signal
signals
complex
v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3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2218A (ko
Inventor
엄민영
이현숙
Original Assignee
알피니언메디칼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피니언메디칼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알피니언메디칼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2/00026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3105681A1/ko
Priority to US14/371,586 priority patent/US20140323872A1/en
Priority to KR1020120003290A priority patent/KR101310932B1/ko
Publication of KR20130082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2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0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0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5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5/00
    • G01S7/52017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5/00 particularly adapted to short-range imaging
    • G01S7/52023Details of receivers
    • G01S7/52044Scan conver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06Measuring blood f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13Tomograph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8Diagnostic techniques
    • A61B8/488Diagnostic techniques involving Doppler sig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88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5/89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mapping or imaging
    • G01S15/8906Short-range imaging systems; Acoustic microscope systems using pulse-echo techniques
    • G01S15/8979Combined Doppler and pulse-echo imaging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5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5/00
    • G01S7/52017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5/00 particularly adapted to short-range imaging
    • G01S7/52046Techniques for image enhancement involving transmitter or receiv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 G06F17/17Function evaluation by approximation methods, e.g. inter- or extrapolation, smoothing, least mean square metho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5269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involving detection or reduction of artifacts

Abstract

방향성의 왜곡없이 실시간 보간이 가능한 주사 변환기, 초음파 진단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C-모드(Color flow-mode)에서 주위의 4개의 복소수신호를 이용하여 거리에 따른 가중치로 벡터 보간(Vector interpolation)하여 속도정보(Velocity data)의 방향성에 대한 왜곡이 생기지 않도록 하고, 벡터 보간을 위한 룩업테이블(Lookup table)을 만들어 주사 변환(Scan conversion)의 실시간 구현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방향성의 왜곡없이 실시간 보간이 가능한 주사 변환기, 초음파 진단장치 및 방법{Scan Converter, Ultrasound Diagnostic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Real-Time Interpolation without Directional Distortion}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방향성의 왜곡없이 실시간 보간이 가능한 주사 변환기, 초음파 진단장치 및 방법에 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C-모드에서 혈류의 속도정보(Velocity data)에 대한 주사 변환(Scan conversion)을 수행할 때 방향성의 왜곡 없이 실시간 보간(Interpolation)하는 방법 및 보간(Interpolation)을 위한 룩업테이블(Lookup table)을 만드는 방법을 포함하는 주사 변환기, 초음파 진단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초음파 영상장치는 다수의 변환소자를 포함하는 트랜스듀서(Transducer)를 대상체의 표면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초음파신호를 대상체에 송신하고 대상체로부터 반사되는 초음파신호(이하, 반사신호라고 한다)를 수신하며, 트랜스듀서를 통해 수신된 반사신호에 기초하여 대상체의 초음파 영상을 형성하고, 형성된 초음파 영상을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한다. 초음파 영상은 B-모드, C-모드, BC-모드 등으로 표현할 수 있다. B-모드(Brightness-mode)란, 조직 사이의 음향 임피던스(impedance) 차이에 의존하는 반사 계수를 이용하는 영상모드이고, C-모드(Color flow-mode)란, 도플러 효과(Doppler Effect)를 이용하여 혈류의 흐름이나 대상체의 움직임을 표시하는 영상모드이며, BC-모드란, B-모드 및 C-모드 영상을 동시에 제공하는 영상모드이다.
B-모드에서는 대상체의 속도정보(Velocity data)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므로 주사 변환을 수행할 때 방향성의 왜곡이 발생할 우려가 없지만, C-모드(BC-모드 포함, 이하 C-모드에 포함하여 설명한다)에서는 대상체의 속도정보(Velocity data)가 포함되어 기존의 보간(Interpolation) 방법을 사용하게 되면 방향성에 대한 왜곡이 생길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C-모드에서 주위의 4개의 복소수신호를 이용하여 거리에 따른 가중치로 벡터 보간(Vector interpolation)하여 속도정보(Velocity data)의 방향성에 대한 왜곡이 생기지 않도록 하고, 벡터 보간을 위한 룩업테이블(Lookup table)을 만들어 주사 변환(Scan conversion)의 실시간 구현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트랜스듀서에 의해 극좌표계에서 획득한 복소수신호를 직각좌표계에 나타내기 위해 벡터 보간(Vector interpolation)하여 보간신호를 생성하는 주사 변환기(Scan converter)에 있어서, 상기 보간신호와 인접한 4개의 복소수신호를 선정하는 복소수신호 선정부; 선정된 4개의 복소수신호 중 서로 인접한 두 보간대상신호인 2개의 복소수신호 마다, 두 보간대상신호 각각과 상기 보간신호 사이의 거리에 따른 가중치로 벡터 보간하여 4개의 제1 임시보간신호를 생성하는 제1 임시보간신호 생성부; 생성된 4개의 제1 임시보간신호 중 상기 보간신호를 중심으로 마주하는 두 보간대상신호인 2개의 제1 임시보간신호 마다, 두 보간대상신호 각각과 상기 보간신호 사이의 거리에 따른 가중치로 벡터 보간하여 2개의 제2 임시보간신호를 생성하는 제2 임시보간신호 생성부; 및 두 보간대상신호인 2개의 제2 임시보간신호를 평균한 가중치로 벡터 보간하여 상기 보간신호를 생성하는 보간신호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 변환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복소수신호 선정부는, 방사(Radial) 방향의 여러 주사선 중 상기 보간신호와 인접한 두 주사선(제1,2 주사선)을 선정하고, 상기 보간신호와 인접하고 제1 주사선 상에 위치한 2개의 복소수신호 및 상기 보간신호와 인접하고 제2 주사선 상에 위치한 2개의 복소수신호를 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임시보간신호 생성부는, 거리에 따른 가중치가 어느 하나의 보간대상신호와 상기 보간신호 사이의 거리 및 다른 하나의 보간대상신호와 상기 보간신호 사이의 거리의 합에 대한 다른 하나의 보간대상신호와 상기 보간신호 사이의 거리 비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임시보간신호 생성부는, 거리에 따른 가중치가 어느 하나의 보간대상신호와 상기 보간신호 사이의 거리 및 다른 하나의 보간대상신호와 상기 보간신호 사이의 거리의 합에 대한 다른 하나의 보간대상신호와 상기 보간신호 사이의 거리 비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평균한 가중치는 0.5 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간신호는 거리정보가 2개의 제2 임시보간신호의 거리를 기하평균한 값이고, 위상정보는 2개의 제2 임시보간신호의 위상을 산술평균한 값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2 임시보간신호 및 상기 보간신호의 위상정보(θ3)는 룩업테이블(Lookup table)을 이용하여 추출하는 보간위상정보 추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룩업테이블(Lookup table)은 두 보간대상신호의 임의의 위상의 크기(θ1, θ2) 및 두 보간대상신호 각각과 상기 보간신호 사이의 거리에 따른 임의의 가중치(α, β)에 따라 소정의 값을 갖는 상기 θ3 를 저장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룩업테이블은, 상기 위상정보로
Figure 112012002679810-pat00001
의 수학식을 가지되,
Figure 112012002679810-pat00002
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트랜스듀서에 의해 극좌표계에서 획득한 복소수신호를 주사 변환기(Scan converter)가 직각좌표계에 나타내기 위해 벡터 보간(Vector interpolation)하여 보간신호를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보간신호와 인접한 4개의 복소수신호를 선정하는 단계; 선정된 4개의 복소수신호 중 서로 인접한 두 보간대상신호인 2개의 복소수신호 마다, 두 보간대상신호 각각과 상기 보간신호 사이의 거리에 따른 가중치로 벡터 보간하여 4개의 제1 임시보간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4개의 제1 임시보간신호 중 상기 보간신호를 중심으로 마주하는 두 보간대상신호인 2개의 제1 임시보간신호 마다, 두 보간대상신호 각각과 상기 보간신호 사이의 거리에 따른 가중치로 벡터 보간하여 2개의 제2 임시보간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두 보간대상신호인 2개의 제2 임시보간신호를 평균한 가중치로 벡터 보간하여 상기 보간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벡터 보간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평균한 가중치는 0.5 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2 임시보간신호 및 상기 보간신호의 위상정보(θ3)는 룩업테이블(Lookup table)을 이용하여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룩업테이블(Lookup table)은 두 보간대상신호의 임의의 위상의 크기(θ1, θ2) 및 두 보간대상신호 각각과 상기 보간신호 사이의 거리에 따른 임의의 가중치(α, β)에 따라 소정의 값을 갖는 상기 θ3 를 저장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전기적 아날로그신호를 초음파신호로 변환하여 대상체에 전송하고, 상기 대상체로부터 반사된 초음파신호를 전기적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는 트랜스듀서(Transducer); 상기 변환된 전기적 아날로그신호에 기초하여 수신집속신호를 형성하는 빔포머(Beamformer); 상기 수신집속신호를 기저대역으로 복조하여 동일위상성분(In-phase component)으로 이루어지는 I 데이터 및 직교위상성분(Quadrature-phase component)으로 이루어지는 Q 데이터를 형성하는 디모듈레이터(Demodulator); 및 상기 I 데이터 및 상기 Q 데이터에 기초하여 극좌표계에서 획득한 복소수신호를 직각좌표계에 나타내기 위해 벡터 보간(Vector interpolation)하여 보간신호를 생성하는 주사 변환기(Scan converter)를 포함하되, 상기 주사변환기는 상기 보간신호와 인접한 4개의 복소수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4개의 복소수신호 각각 과 상기 보간신호 사이의 거리에 따른 가중치로 벡터 보간하여 상기 보간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진단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초음파 진단장치는, 트랜스듀서에 의해 변환된 전기적 아날로그신호를 전기적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A/D convert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주사 변환기는, 상기 보간신호와 인접한 4개의 복소수신호를 선정하는 복소수신호 선정부; 선정된 4개의 복소수신호 중 서로 인접한 두 보간대상신호인 2개의 복소수신호 마다, 두 보간대상신호 각각과 상기 보간신호 사이의 거리에 따른 가중치로 벡터 보간하여 4개의 제1 임시보간신호를 생성하는 제1 임시보간신호 생성부; 생성된 4개의 제1 임시보간신호 중 상기 보간신호를 중심으로 마주하는 두 보간대상신호인 2개의 제1 임시보간신호 마다, 두 보간대상신호 각각과 상기 보간신호 사이의 거리에 따른 가중치로 벡터 보간하여 2개의 제2 임시보간신호를 생성하는 제2 임시보간신호 생성부; 및 두 보간대상신호인 2개의 제2 임시보간신호를 평균한 가중치로 벡터 보간하여 상기 보간신호를 생성하는 보간신호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평균한 가중치는 0.5 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주사 변환기는 상기 제1,2 임시보간신호 및 상기 보간신호의 위상정보(θ3)는 룩업테이블(Lookup table)을 이용하여 추출하는 보간위상정보 추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룩업테이블(Lookup table)은 두 보간대상신호의 임의의 위상의 크기(θ1, θ2) 및 두 보간대상신호 각각과 상기 보간신호 사이의 거리에 따른 임의의 가중치(α, β)에 따라 소정의 값을 갖는 상기 θ3 를 저장한 것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C-모드에서 주위의 4개의 복소수신호를 이용하여 거리에 따른 가중치로 벡터 보간(Vector interpolation)하여 속도정보(Velocity data)의 방향성에 대한 왜곡이 생기지 않도록 하고, 벡터 보간을 위한 룩업테이블(Lookup table)을 만들어 주사 변환(Scan conversion)의 실시간 구현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영상장치(1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사 변환기(15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주사 변환기(150)가 벡터 보간을 수행하는 방법에서, 직각좌표계 상의 보간신호(ZNEW)와 인접한 4 개의 복소수 신호를 선정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주사 변환기(150)가 선정된 4개의 복소수신호를 이용하여 벡터 보간을 수행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실시간 구현을 위해 벡터 보간에 대한 룩업테이블(Lookup table)을 구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진단장치(1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진단장치(100)는 C-모드 영상 출력을 위한 벡터 보간(Vector interpolation)을 수행한다. C-모드(Color flow-mode)란, 도플러 효과(Doppler Effect)를 이용하여 혈류의 흐름이나 대상체의 움직임을 표시하는 영상모드를 의미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진단장치(100)는 트랜스듀서(Transducer)(110),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A/D converter)(120), 빔포머(beamformer)(130), 디모듈레이터(Demodulator)(140) 및 주사 변환기(Scan converter)(150)를 포함할 수 있다.
트랜스듀서(Transducer)(110)는 전기적 아날로그신호를 초음파신호로 변환하여 대상체에 전송하고, 대상체로부터 반사된 초음파신호(이하, 반사신호라고 한다)를 전기적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한다. 일반적으로 트랜스듀서(110)는 복수 개의 트랜스듀서 엘리먼트(transducer element)가 결합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은 C-모드 영상을 기반으로 하여 벡터 보간하는 것에 관련되므로 이에 한정하여 설명한다. 트랜스듀서(110)에 의해 전송된 초음파신호는 움직이는 대상체에 의해 산란되고 반사신호를 형성한다. 즉, 트랜스듀서(110)에 의해 전송된 초음파신호는 혈관 내 적혈구의 흐름에 의해 산란되고 반사신호를 형성한다. 대상체들이 이동하고 있기 때문에 반사신호의 주파수는 도플러 효과로 인하여 전송된 초음파신호의 주파수와 차이가 생긴다. 전송된 초음파의 주파수와 반사신호의 주파수 사이의 차이를 도플러주파수라고 하는데, 도플러주파수는 대상체의 속도에 비례한다. 따라서 도플러주파수를 이용하여 대상체의 이동방향과 속도를 파악할 수 있다.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A/D converter)(120)는 트랜스듀서(110)에 의해 변환된 전기적 아날로그신호를 전기적 디지털신호로 변환한다. 도 1은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120)가 트랜스듀서(110)와 빔포머(130) 사이에 위치하도록 도시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업자가 용이하게 생각할 수 있는 범위에서 초음파 진단장치(100)의 구성 중 어디에도 위치할 수 있다.
빔포머(Beamformer)(130)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120)에 의해 변환된 전기적 디지털신호에 기초하여 수신집속신호(Receive focusing signal)를 형성한다. 즉, 빔포머(130)는 대상체로부터 트랜스듀서(110)의 각 트랜스듀서 엘리먼트에 도달하는 시간을 고려하여 각 전기적 디지털신호에 적절한 지연을 가한 후 합산하여 수신집속신호를 형성한다.
디모듈레이터(Demodulator)(140)는 빔포머(130)에 의해 형성된 수신집속신호를 기저대역으로 복조하여 동일위상성분(In-phase component)으로 이루어지는 I 데이터 및 직교위상성분(Quadrature-phase component)으로 이루어지는 Q 데이터를 형성한다. 즉, 디모듈레이터(140)는 빔포머(130)에 의해 형성된 수신집속신호를 고대역 통과필터에 통과시킨 후, 코사인함수 및 사인함수를 곱한 후 저대역 통과필터에 통과시켜 기저대역으로 복조된 I 데이터 및 Q 데이터를 형성한다.
주사 변환기(Scan converter)(150)는 디모듈레이터(140)에 의해 형성된 I 데이터 및 Q 데이터에 기초하여 획득한 방사(Radial)방향의 주사선 상에 존재하고 극좌표계에 나타난 복소수신호를 직각좌표계에 나타내기 위해 벡터 보간(Vector interpolation)하여 보간신호(ZNEW)를 생성한다. 즉, 극좌표계에 나타난 복소수신호는 디스플레이에서 출력이 가능한 형태가 아니므로 주사 변환기(150)에 의하여 출력이 가능한 형태인 직각좌표계 상의 보간신호로 벡터 보간하도록 한다. 보간신호란, 직각좌표계 상의 벡터 보간할 임의의 지점에 대한 복소수신호를 의미한다. 주사 변환기(150)가 벡터 보간을 수행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사 변환기(15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사 변환기(150)는 복소수신호 선정부(210), 제1 임시보간신호 생성부(220), 제2 임시보간신호 생성부(230), 보간신호 생성부(240) 및 보간위상정보 추출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사 변환기(150)의 구성부에 대한 설명은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주사 변환기(150)가 벡터 보간을 수행하는 방법에서, 복소수신호 선정부(210)가 직각좌표계 상의 보간신호(ZNEW)와 인접한 4 개의 복소수 신호를 선정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보간신호(ZNEW)란, 직각좌표계 상의 벡터 보간할 임의의 지점에 대한 복소수신호를 의미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주사 변환기(150)가 벡터 보간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복소수신호 선정부(210)가 방사(Radial)방향의 여러 주사선 중에서 직각좌표계 상의 보간신호(ZNEW)와 인접한 두 주사선(제1,2 주사선)을 선정한다. 두 주사선(제1,2 주사선)이 선정되면 주사 변환기(150)는 보간신호(ZNEW)와 인접한 두 주사선 상의 4개의 복소수신호를 선정하게 된다. 즉, 보간신호(ZNEW)와 인접하고 제1 주사선 상의 일측에 위치한 복소수신호(ZNW), 보간신호(ZNEW)와 인접하고 제1 주사선 상의 타측에 위치한 복소수신호(ZSW), 보간신호(ZNEW)와 인접하고 제2 주사선 상의 일측에 위치한 복소수신호(ZNE) 및 보간신호(ZNEW)와 인접하고 제2 주사선 상의 타측에 위치한 복소수신호(ZSE)를 선정한다.
도 4는 주사 변환기(150)가 선정된 4개의 복소수신호를 이용하여 벡터 보간을 수행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선정된 4개의 복소수신호(ZNW, ZNE, ZSW, ZSE)를 이용하여 직각좌표계 상의 보간신호(ZNEW)로 벡터 보간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보간신호(ZNEW)란, 직각좌표계 상의 벡터 보간할 임의의 지점에 대한 복소수신호를 의미한다.
이에 앞서, 일반적인 벡터 보간 방법을 설명하면, 두 복소수신호(ZA, ZB)를 이용하여 임의의 지점(ZC)에 대하여 거리에 따른 가중치(α, β)를 부여하여 벡터 보간하게 되면 수학식 1과 같다.
[수학식 1]
Figure 112012002679810-pat00003
,
Figure 112012002679810-pat00004
Figure 112012002679810-pat00005
,
Figure 112012002679810-pat00006
이를 바탕으로 이하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여, 제1 임시보간신호 생성부(220)가 선정된 4개의 복소수신호(ZNW, ZNE, ZSW, ZSE)중 서로 인접한 두 보간대상신호인 2개의 복소수신호 마다, 두 보간대상신호 각각과 보간신호(ZNEW) 사이의 거리에 따른 가중치(α, β)를 계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거리에 따른 가중치(α, β)는 어느 하나의 보간대상신호와 보간신호(ZNEW) 사이의 거리 및 다른 하나의 보간대상신호와 보간신호(ZNEW) 사이의 거리의 합에 대한 다른 하나의 보간대상신호와 보간신호(ZNEW) 사이의 거리 비이다. 그리고 보간신호(ZNEW)와 ZNW 사이의 거리(DNW), 보간신호(ZNEW)와 ZNE 사이의 거리(DNE), 보간신호(ZNEW)와 ZSW 사이의 거리(DSW) 및 보간신호(ZNEW)와 ZSE 사이의 거리(DSE)는 이미 알고 있는 값이다. 따라서, 거리에 따른 가중치를 계산하면 수학식 2와 같다.
[수학식 2]
Figure 112012002679810-pat00007
제1 임시보간신호 생성부(220)가 선정된 4개의 복소수신호(ZNW, ZNE, ZSW, ZSE) 중 서로 인접한 두 보간대상신호인 2개의 복소수신호 마다, 두 보간대상신호 각각과 보간신호(ZNEW) 사이의 거리에 따른 가중치로 벡터 보간하여 4개의 제1 임시보간신호(ZW, ZE, ZN, ZS)를 생성하는 방법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임시보간신호(ZW)는 수학식 3과 같이 두 보간대상신호인 ZNW 와 ZSW 를 보간신호(ZNEW) 사이의 거리에 따른 가중치로 벡터 보간을 하여 생성한다.
[수학식 3]
Figure 112012002679810-pat00008
제1 임시보간신호(ZE)는 수학식 4와 같이 두 보간대상신호인 ZNE 와 ZSE 를 보간신호(ZNEW) 사이의 거리에 따른 가중치로 벡터 보간을 하여 생성한다.
[수학식 4]
Figure 112012002679810-pat00009
제1 임시보간신호(ZN)는 수학식 5와 같이 두 보간대상신호인 ZNW 와 ZNE 를 보간신호(ZNEW) 사이의 거리에 따른 가중치로 벡터 보간을 하여 생성한다.
[수학식 5]
Figure 112012002679810-pat00010
제1 임시보간신호(ZS)는 수학식 6과 같이 두 보간대상신호인 ZSW 와 ZSE 를 보간신호(ZNEW) 사이의 거리에 따른 가중치로 벡터 보간을 하여 생성한다.
[수학식 6]
Figure 112012002679810-pat00011
도 4를 참조하여, 제2 임시보간신호 생성부(230)가 생성된 4개의 제1 임시보간신호(ZW, ZE, ZN, ZS) 중 보간신호(ZNEW)를 중심으로 마주하는 두 보간대상신호인 2개의 제1 임시보간신호 마다, 두 보간대상신호 각각과 보간신호(ZNEW) 사이의 거리에 따른 가중치로 벡터 보간하여 2개의 제2 임시보간신호(ZWE, ZNS)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거리에 따른 가중치는 어느 하나의 보간대상신호와 보간신호(ZNEW) 사이의 거리 및 다른 하나의 보간대상신호와 보간신호(ZNEW) 사이의 거리의 합에 대한 다른 하나의 보간대상신호와 보간신호(ZNEW) 사이의 거리 비이다.
제2 임시보간신호(ZWE)는 수학식 7과 같이 두 보간대상신호인 ZW 와 ZE 를 보간신호(ZNEW) 사이의 거리에 따른 가중치로 벡터 보간을 하여 생성한다. 다만, 도 4에 도시한 ZWE 의 위치는 설명을 쉽게 하기 위한 예이고 계산상 정확한 위치는 바뀔 수 있다.
[수학식 7]
Figure 112012002679810-pat00012
제2 임시보간신호(ZNS)는 수학식 8과 같이 두 보간대상신호인 ZN 과 ZS 를 보간신호(ZNEW) 사이의 거리에 따른 가중치로 벡터 보간을 하여 생성한다. 다만, 도 4에 도시한 ZNS 의 위치는 설명을 쉽게 하기 위한 예이고 계산상 정확한 위치는 바뀔 수 있다.
[수학식 8]
Figure 112012002679810-pat00013
도 4를 참조하여, 보간신호 생성부(240)가 두 보간대상신호인 생성된 2개의 제2 임시보간신호(ZWE, ZNS)를 평균한 가중치로 벡터 보간하여 보간신호(ZNEW)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보간신호(ZNEW)는 수학식 9와 같이 두 보간대상신호인 ZWE 와 ZNS 를 평균한 가중치(0.5)로 벡터 보간을 하여 생성한다. 즉, 평균한 가중치를 0.5 로 벡터 보간을 하여 보간신호(ZNEW)의 거리정보는 ZWE 의 거리와 ZNS 의 거리를 기하평균한 값이 되고, 보간신호(ZNEW)의 위상정보는 ZWE 의 위상과 ZNS 의 위상을 산술평균한 값이 된다.
[수학식 9]
Figure 112012002679810-pat00014
Figure 112012002679810-pat00015
도 5는 실시간 구현을 위해 벡터 보간에 대한 룩업테이블(Lookup table)을 구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보간위상정보 추출부(250)는 벡터 보간하여 생성되는 제1,2 임시보간신호(ZW, ZE, ZN, ZS, ZWE, ZNS) 및 보간신호(ZNEW)의 위상정보(θ3)를 두 보간대상신호의 임의의 위상의 크기(θ1, θ2) 및 두 보간대상신호 각각과 보간신호(ZNEW) 사이의 거리에 따른 임의의 가중치(α, β)에 따라 소정의 값을 갖는 상기 θ3 를 저장한 룩업테이블(Lookup table)을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즉, 두 보간대상신호를 이용하여 벡터 보간된 제1,2 임시적 보간신호(ZW, ZE, ZN, ZS, ZWE, ZNS) 및 보간신호(ZNEW)는 각각 거리정보 및 위상정보로 구성되고, 주사 변환기(150)가 거리정보를 계산하는 데 무리가 없지만, 위상정보(θ3)를 계산하는 데 지연되어 주사 변환(Scan conversion)의 실시간 구현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그래서 위상정보(θ3)에 대하여 룩업테이블(Lookup table)을 만들어 추출함으로써 실시간 구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보간위상정보 추출부(250)가 룩업테이블(Lookup table)을 만들기 위해 위상정보(θ3)를 계산하는 방법은 수학식 10과 같다.
[수학식 10]
Figure 112012002679810-pat00016
Figure 112012002679810-pat00017
Figure 112012002679810-pat00018
보간위상정보 추출부(250)가 위상정보(θ3)를 수학식 10에 의하여 구한 후, 도 5에서 도시한 것과 같은 룩업테이블(Lookup table)를 만들 수 있다. 즉, 두 보간대상신호의 위상(θ1, θ2)은 -π < θ1,2 < π 의 범위에서 256 by 256 크기로 X축과 Y축 상에 표시하고, 두 보간대상신호와 보간신호(ZW, ZE, ZN, ZS, ZWE, ZNS, ZNEW) 사이의 거리에 따른 가중치α, β 중 어느 하나를 0 < α(또는 β) < 1 의 범위에서 일정크기로 Z축 상에 표시하여 θ1, θ2, α(또는 β)에 따라 달라지는 θ3 를 저장하는 룩업테이블(Lookup table)를 만들 수 있다. 따라서 θ3 를 계산없이 룩업테이블(Lookup table)을 이용하여 추출함으로써 주사 변환(Scan conversion)의 실시간 구현이 가능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C-모드에서 주위의 4개의 복소수신호를 이용하여 거리에 따른 가중치로 벡터 보간(Vector interpolation)하여 속도정보(Velocity data)의 방향성에 대한 왜곡이 생기지 않도록 하고, 벡터 보간을 위한 룩업테이블(Lookup table)을 만들어 주사 변환(Scan conversion)의 실시간 구현이 가능하도록 하는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16)

  1. 트랜스듀서에 의해 극좌표계에서 획득한 복소수신호를 직각좌표계에 나타내기 위해 벡터 보간(Vector interpolation)하여 보간신호를 생성하는 주사 변환기(Scan converter)에 있어서,
    상기 보간신호와 인접한 4개의 복소수신호를 선정하는 복소수신호 선정부;
    선정된 4개의 복소수신호 중 서로 인접한 두 보간대상신호인 2개의 복소수신호 마다, 두 보간대상신호 각각과 상기 보간신호 사이의 거리에 따른 가중치로 벡터 보간하여 4개의 제1 임시보간신호를 생성하는 제1 임시보간신호 생성부;
    생성된 4개의 제1 임시보간신호 중 상기 보간신호를 중심으로 마주하는 두 보간대상신호인 2개의 제1 임시보간신호 마다, 두 보간대상신호 각각과 상기 보간신호 사이의 거리에 따른 가중치로 벡터 보간하여 2개의 제2 임시보간신호를 생성하는 제2 임시보간신호 생성부; 및
    두 보간대상신호인 2개의 제2 임시보간신호를 평균한 가중치로 벡터 보간하여 상기 보간신호를 생성하는 보간신호 생성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 변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소수신호 선정부는,
    방사(Radial) 방향의 여러 주사선 중 상기 보간신호와 인접한 두 주사선(제1,2 주사선)을 선정하고, 상기 보간신호와 인접하고 제1 주사선 상에 위치한 2개의 복소수신호 및 상기 보간신호와 인접하고 제2 주사선 상에 위치한 2개의 복소수신호를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 변환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임시보간신호 생성부는,
    거리에 따른 가중치가 어느 하나의 보간대상신호와 상기 보간신호 사이의 거리 및 다른 하나의 보간대상신호와 상기 보간신호 사이의 거리의 합에 대한 다른 하나의 보간대상신호와 상기 보간신호 사이의 거리 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 변환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임시보간신호 생성부는,
    거리에 따른 가중치가 어느 하나의 보간대상신호와 상기 보간신호 사이의 거리 및 다른 하나의 보간대상신호와 상기 보간신호 사이의 거리의 합에 대한 다른 하나의 보간대상신호와 상기 보간신호 사이의 거리 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 변환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균한 가중치는 0.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 변환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간신호는,
    거리정보가 2개의 제2 임시보간신호의 거리를 기하평균한 값이고,
    위상정보는 2개의 제2 임시보간신호의 위상을 산술평균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 변환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임시보간신호 및 상기 보간신호의 위상정보(θ3)는 룩업테이블(Lookup table)을 이용하여 추출하는 보간위상정보 추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룩업테이블(Lookup table)은 두 보간대상신호의 임의의 위상의 크기(θ1, θ2) 및 두 보간대상신호 각각과 상기 보간신호 사이의 거리에 따른 임의의 가중치(α, β)에 따라 소정의 값을 갖는 상기 θ3 를 저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 변환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룩업테이블은,
    상기 위상정보로
    Figure 112012002679810-pat00019

    의 수학식을 가지되,
    Figure 112012002679810-pat0002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 변환기.
  9. 트랜스듀서에 의해 극좌표계에서 획득한 복소수신호를 주사 변환기(Scan converter)가 직각좌표계에 나타내기 위해 벡터 보간(Vector interpolation)하여 보간신호를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보간신호와 인접한 4개의 복소수신호를 선정하는 단계;
    선정된 4개의 복소수신호 중 서로 인접한 두 보간대상신호인 2개의 복소수신호 마다, 두 보간대상신호 각각과 상기 보간신호 사이의 거리에 따른 가중치로 벡터 보간하여 4개의 제1 임시보간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4개의 제1 임시보간신호 중 상기 보간신호를 중심으로 마주하는 두 보간대상신호인 2개의 제1 임시보간신호 마다, 두 보간대상신호 각각과 상기 보간신호 사이의 거리에 따른 가중치로 벡터 보간하여 2개의 제2 임시보간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두 보간대상신호인 2개의 제2 임시보간신호를 평균한 가중치로 벡터 보간하여 상기 보간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벡터 보간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평균한 가중치는 0.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벡터 보간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임시보간신호 및 상기 보간신호의 위상정보(θ3)는 룩업테이블(Lookup table)을 이용하여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룩업테이블(Lookup table)은 두 보간대상신호의 임의의 위상의 크기(θ1, θ2) 및 두 보간대상신호 각각과 상기 보간신호 사이의 거리에 따른 임의의 가중치(α, β)에 따라 소정의 값을 갖는 상기 θ3 를 저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벡터 보간 방법.
  12. 전기적 아날로그신호를 초음파신호로 변환하여 대상체에 전송하고, 상기 대상체로부터 반사된 초음파신호를 전기적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는 트랜스듀서(Transducer);
    상기 변환된 전기적 아날로그신호에 기초하여 수신집속신호를 형성하는 빔포머(Beamformer);
    상기 수신집속신호를 기저대역으로 복조하여 동일위상성분(In-phase component)으로 이루어지는 I 데이터 및 직교위상성분(Quadrature-phase component)으로 이루어지는 Q 데이터를 형성하는 디모듈레이터(Demodulator); 및
    상기 I 데이터 및 상기 Q 데이터에 기초하여 극좌표계에서 획득한 복소수신호를 직각좌표계에 나타내기 위해 벡터 보간(Vector interpolation)하여 보간신호를 생성하는 주사 변환기(Scan converter)를 포함하되,
    상기 주사변환기는,
    상기 보간신호와 인접한 4개의 복소수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4개의 복소수신호 각각과 상기 보간신호 사이의 거리에 따른 가중치로 벡터 보간하여 상기 보간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진단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듀서에 의해 변환된 전기적 아날로그신호를 전기적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A/D converter)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진단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 변환기는,
    상기 보간신호와 인접한 4개의 복소수신호를 선정하는 복소수신호 선정부;
    선정된 4개의 복소수신호 중 서로 인접한 두 보간대상신호인 2개의 복소수신호 마다, 두 보간대상신호 각각과 상기 보간신호 사이의 거리에 따른 가중치로 벡터 보간하여 4개의 제1 임시보간신호를 생성하는 제1 임시보간신호 생성부;
    생성된 4개의 제1 임시보간신호 중 상기 보간신호를 중심으로 마주하는 두 보간대상신호인 2개의 제1 임시보간신호 마다, 두 보간대상신호 각각과 상기 보간신호 사이의 거리에 따른 가중치로 벡터 보간하여 2개의 제2 임시보간신호를 생성하는 제2 임시보간신호 생성부; 및
    두 보간대상신호인 2개의 제2 임시보간신호를 평균한 가중치로 벡터 보간하여 상기 보간신호를 생성하는 보간신호 생성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진단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평균한 가중치는 0.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진단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 변환기는 상기 제1,2 임시보간신호 및 상기 보간신호의 위상정보(θ3)는 룩업테이블(Lookup table)을 이용하여 추출하는 보간위상정보 추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룩업테이블(Lookup table)은 두 보간대상신호의 임의의 위상의 크기(θ1, θ2) 및 두 보간대상신호 각각과 상기 보간신호 사이의 거리에 따른 임의의 가중치(α, β)에 따라 소정의 값을 갖는 상기 θ3 를 저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진단장치.




KR1020120003290A 2012-01-11 2012-01-11 방향성의 왜곡없이 실시간 보간이 가능한 주사 변환기, 초음파 진단장치 및 방법 KR1013109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2/000265 WO2013105681A1 (ko) 2012-01-11 2012-01-11 방향성의 왜곡없이 실시간 보간이 가능한 주사 변환기, 초음파 진단장치 및 방법
US14/371,586 US20140323872A1 (en) 2012-01-11 2012-01-11 Scan converter and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real-time interpolation without directional distortion
KR1020120003290A KR101310932B1 (ko) 2012-01-11 2012-01-11 방향성의 왜곡없이 실시간 보간이 가능한 주사 변환기, 초음파 진단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3290A KR101310932B1 (ko) 2012-01-11 2012-01-11 방향성의 왜곡없이 실시간 보간이 가능한 주사 변환기, 초음파 진단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2218A KR20130082218A (ko) 2013-07-19
KR101310932B1 true KR101310932B1 (ko) 2013-09-25

Family

ID=48781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3290A KR101310932B1 (ko) 2012-01-11 2012-01-11 방향성의 왜곡없이 실시간 보간이 가능한 주사 변환기, 초음파 진단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40323872A1 (ko)
KR (1) KR101310932B1 (ko)
WO (1) WO20131056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49512B1 (en) * 2014-05-30 2024-04-03 Koninklijke Philips N.V. Synchronized phased array data acquisition from multiple acoustic window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226A (ja) * 1993-06-30 1995-01-20 Aloka Co Ltd 超音波ドプラ診断装置
KR19980071334A (ko) * 1997-02-13 1998-10-26 요크스 더블유 수신된 주사선 데이터의 보간을 통한 고해상도 초음파 영상법
JP2008161289A (ja) 2006-12-27 2008-07-17 Toshiba Corp 超音波診断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22412A (en) * 1996-06-28 1998-03-03 Advanced Technology Laboratories, Inc. Hand held ultrasonic diagnostic instrume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226A (ja) * 1993-06-30 1995-01-20 Aloka Co Ltd 超音波ドプラ診断装置
KR19980071334A (ko) * 1997-02-13 1998-10-26 요크스 더블유 수신된 주사선 데이터의 보간을 통한 고해상도 초음파 영상법
JP2008161289A (ja) 2006-12-27 2008-07-17 Toshiba Corp 超音波診断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2218A (ko) 2013-07-19
WO2013105681A1 (ko) 2013-07-18
US20140323872A1 (en) 2014-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62584B2 (ja) 超音波診断装置
WO2012049124A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ducing compounded ultrasound images
JP2012071115A (ja) 超音波診断装置
JP2013138867A (ja) ベクトルドップラーを用いて乱流情報を提供する超音波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10259799A (ja) クラッタ信号をフィルタリングするための固有ベクトル設定方法およびこれを用いた超音波システム
KR101348771B1 (ko) 벡터 도플러를 이용하여 파티클의 움직임을 추정하는 초음파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75465A (ko) 초음파 영상을 제공하는 초음파 시스템 및 방법
KR101266811B1 (ko) 초음파 영상의 벡터 보간 장치 및 방법
JP2012010943A5 (ja) 超音波診断装置及びその作動方法
KR101310932B1 (ko) 방향성의 왜곡없이 실시간 보간이 가능한 주사 변환기, 초음파 진단장치 및 방법
JP5950599B2 (ja) 被検体情報取得装置、被検体情報取得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978479B1 (ko) 스캔 변환을 고속으로 수행하는 초음파 시스템 및 방법
EP2341364B1 (en) Adaptive clutter filtering method and ultrasound system for the same
JP2006320399A (ja) 超音波ドプラ血流計
JP5954767B2 (ja) 超音波診断装置及び超音波診断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JP5936857B2 (ja) 超音波診断装置及びその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4312202B2 (ja) 超音波診断装置および超音波診断装置のデータ処理方法
US8088069B2 (en) Ultrasonic doppler diagnosis device
JP4918344B2 (ja) 画像生成方法および超音波診断装置
JP2015142608A (ja) 超音波診断装置及び超音波診断プログラム
JP4537754B2 (ja) 超音波診断装置及びパルスドプラ計測装置
JP5964927B2 (ja) 超音波診断装置
JP5085144B2 (ja) 超音波診断装置
CN113288218B (zh) 一种用于超声血流成像的回波处理方法、成像方法及装置
JP6875173B2 (ja) 超音波診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