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0432B1 - 자동 검출, 컨텍스트 헬프 및 광고 스페이스에 의한 초기 셋업 - Google Patents

자동 검출, 컨텍스트 헬프 및 광고 스페이스에 의한 초기 셋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0432B1
KR101310432B1 KR1020110088712A KR20110088712A KR101310432B1 KR 101310432 B1 KR101310432 B1 KR 101310432B1 KR 1020110088712 A KR1020110088712 A KR 1020110088712A KR 20110088712 A KR20110088712 A KR 20110088712A KR 101310432 B1 KR101310432 B1 KR 101310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inputs
digital device
automatic detection
internet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8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9458A (ko
Inventor
트레이시 바네스
트래비스 볼만
스티븐 프리드랜더
세쓰 힐
유꼬 니시까와
사브리나 예
혜훈 이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039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94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0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0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2Targeted advertisements during computer stand-by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27Monitoring of local network, e.g. connection or bandwidth variations; Detecting new devices in the local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vertisement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장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표시하는 데이터 처리부 및 초기 셋업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초기 셋업 모듈은 자동 검출 모듈, 컨텍스트 헬프(contextual help) 모듈 및 광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자동 검출 모듈은 상기 디지털 장치에 접속된 네트워크, 텔레비전 케이블, 및 복수의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자동 검출하고, 상기 자동 검출 결과를 포함하는 접속 리스트를 상기 제2 패널에 채워넣는다(populate). 컨텍스트 헬프 모듈은 초기 셋업의 단계들을 사용자가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는 텍스트, 이미지 및 애니메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제1 패널에 표시한다. 광고 모듈은 상기 디지털 장치가 로딩되고 있을 때, 상기 제1 패널에 광고를 표시한다. 상기 디지털 장치가 로딩되고 있을 때는 적어도 상기 자동 검출 모듈이 자동 검출하고 있을 때 또는 상기 컨텍스트 헬프 모듈이, 표시될 상기 텍스트, 이미지 및 애니메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로딩하고 있을 때이다.

Description

자동 검출, 컨텍스트 헬프 및 광고 스페이스에 의한 초기 셋업 {INITIAL SETUP WITH AUTO-DETECTION, CONTEXTUAL HELP AND ADVERTISEMENT SPAC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디지털 장치의 초기 셋업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자동 검출과, 텍스트, 이미지 및 애니메이션을 이용하는 컨텍스트 헬프(contextual help)를 포함하고, 로딩 시간 및 셋업 처리 동안 광고를 포함하는 디지털 장치의 초기 셋업 구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텔레비전은 보다 많은 특징과 능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텔레비전은 현재 복잡한 오디오 시스템뿐만 아니라 비디오 게임 콘솔, 인터넷과도 접속될 수 있다. 이러한 새로운 특징을 고려할 때, 사용자에게 텔레비전의 초기 셋업은 점점 더 복잡해졌다.
예를 들어, 텔레비전의 최초 활성화 시에, 사용자는 언어 설정(preference)을 선택하는 등의 간단한 셋업 내지 홈 인터넷 네트워크를 식별하고 디지털 장치의 각 외부 입력에 접속되는 외부 시스템을 구별하는 등의 보다 복잡한 작업을 행하도록 촉구될 수 있다.
현재의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이러한 텔레비전의 초기 셋업을 전반적으로 마치게 하는(walk through) 단계적 가이드를 제공할 뿐이다. 이러한 가이드는 통상 텍스트(textual) 질문 및 지시를 수반한다. 예를 들어, 현재의 초기 셋업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설치할 네트워크가 있는가?" 및 "이 네트워크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인가?"를 질문할 수 있다. 기술적인 지식을 갖춘 사용자는 이러한 타입의 질문을 이해하고, 그들의 홈 무선 또는 유선 네트워크를 디지털 장치가 인식할 수 있도록 적절하게 셋업할 수 있다. 그러나, 많은 사용자들에게는 이러한 타입의 질문을 이해하도록 더 도움을 주는 것이 유용할 수 있다.
또한, 각 셋업 옵션을 처리 또는 로딩하는 동안, 현재의 셋업 시스템은 빈(blank) 화면 또는 "진행중(in progress)"이라는 형태의 애니메이션을 표시할 뿐이다. 사용자는 이 시간 동안 아무것도 안 하게 되고(remains idle), 유용한 정보를 제공받지 못한다.
디지털 장치의 초기 셋업 구현 장치 및 방법의 실시예들이 설명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장치 등의 장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표시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한다. GUI는 제1 패널 및 제2 패널을 포함한다. 디지털 장치는 또한 상기 데이터 처리부에 연결된 초기 셋업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초기 셋업 모듈은 자동 검출 모듈, 컨텍스트 헬프(contextual help) 모듈 및 광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자동 검출 모듈은 상기 디지털 장치에 접속된 네트워크, 텔레비전 케이블, 및 복수의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자동 검출한다. 상기 복수의 입력은 예를 들어 HDMI 입력 및 비디오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상기 복수의 입력에는 비디오 게임 콘솔, DVD 플레이어, 오디오 시스템, 케이블 셋톱 박스, 위성 박스 및 모뎀 등의 외부 장치가 각각 접속될 수 있다. 자동 검출 모듈은 또한 상기 자동 검출 결과를 포함하는 접속 리스트를 상기 제2 패널에 채워넣을(populate) 수 있다. 상기 접속 리스트는 또한 선택 가능한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텍스트 헬프 모듈은 텍스트, 이미지 및 애니메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1 패널에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초기 셋업의 각 단계에서 잘 이해하여 보다 잘 알고 결정을 내리도록 도움을 준다. 예를 들어, 상기 네트워크가 검출되어, 선택 가능한 텍스트의 일부로서 상기 제2 패널에 표시되면, 상기 제1 패널에 표시된 상기 텍스트, 이미지 및 애니메이션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2 패널에서 선택되는 네트워크의 타입을 설명한다. 상기 네트워크의 타입은 유선 및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네트워크가 유선 네트워크를 포함하면, 상기 컨텍스트 헬프 모듈은 상기 디지털 장치 상의 이더넷 입력부에 접속되어 있는 이더넷 코드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애니메이션을 표시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복수의 입력이 검출되어, 선택 가능한 텍스트의 일부로서 상기 제2 패널에 표시되면, 상기 제1 패널에 표시되는 상기 텍스트, 이미지 및 애니메이션 중 적어도 하나가, 검출된 상기 복수의 입력의 리스트를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패널은 또한 라벨링되어 있는(labeled) 각각의 상기 복수의 입력과 각각 관련되어지도록 사용자가 편집 및 선택할 수 있는 편집 가능한 텍스트 및 선택 가능한 아이콘을 표시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텔레비전 케이블 및 상기 네트워크가 검출되어, 상기 선택 가능한 텍스트의 일부로서 상기 제2 패널에 표시되면, 상기 자동 검출 모듈은 또한 상기 디지털 장치와 관련되어지도록 로컬 영역, 현재 날짜 및 시간을 자동 프로그래밍할 수 있다.
광고 모듈은 상기 디지털 장치가 로딩되고 있을 때, 상기 제1 패널에 광고를 표시한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디지털 장치가 로딩되고 있을 때는 적어도 상기 자동 검출 모듈이 자동 검출하고 있을 때 또는 상기 컨텍스트 헬프 모듈이, 표시될 상기 텍스트, 이미지 및 애니메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로딩하고 있을 때이다. 또한 상기 광고 모듈은 일단 초기 셋업이 완료되면 광고를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패널 및 제2 패널을 포함하는 GUI를 표시하는 스크린을 포함하는 디지털 장치의 초기 셋업 구현 방법은 디지털 장치에 접속된 네트워크, 텔레비전 케이블 및 복수의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자동 검출하는 단계 - 상기 제1 패널은 자동 검출 처리 동안 광고를 표시함 - 에 의해 시작된다. 그리고, 상기 자동 검출 결과를 포함하는 접속 리스트를 상기 제2 패널에 채워넣는다(populating). 상기 자동 검출 결과가 상기 네트워크를 포함하면, 사용자는 검출된 네트워크의 셋업으로 안내된다. 이 검출된 네트워크의 셋업은 셋업될 복수의 타입의 네트워크를 상기 제2 패널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제2 패널에서 하이라이트되어 있는 네트워크의 타입을 설명하는 텍스트, 이미지 및 애니메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1 패널에 표시하는 단계에 의해 시작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패널에서 하이라이트되어 있는 네트워크의 타입이 유선 네트워크이면, 상기 디지털 장치 상의 이더넷 입력부에 접속되어 있는 이더넷 코드를 나타내는 애니메이션이 상기 제1 패널에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자동 검출 결과가 상기 복수의 입력을 포함하면, 사용자는 상기 복수의 검출된 입력 각각의 셋업으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안내되는 검출된 입력의 셋업은 상기 복수의 검출된 입력의 리스트를 채워넣는 단계와, 라벨링될 복수의 상기 검출된 입력의 리스트를 상기 제2 패널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검출된 입력의 리스트를 설명하는 텍스트, 이미지 및 애니메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1 패널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또한 상기 제1 패널은, 표시될 상기 텍스트, 이미지 및 애니메이션 중 적어도 하나가 로딩될 때 광고를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라벨링될 상기 복수의 검출된 입력의 리스트를 상기 제2 패널에 표시할 때, 편집 가능한 텍스트 및 선택 가능한 아이콘을 또한 상기 제2 패널에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라벨링될 각각의 상기 복수의 검출된 입력과 각각 관련되어지도록, 텍스트를 편집하고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자동 검출 결과가 상기 텔레비전 케이블 및 상기 네트워크를 포함하면, 로컬 영역, 현재 날짜 및 시간이 디지털 장치와 관련되어지도록 자동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자동 검출 결과가 상기 텔레비전 케이블을 포함하지만 상기 네트워크를 포함하지 않는다면, 상기 사용자가 상기 로컬 영역, 상기 현재 날짜 및 시간을 입력하도록 촉구하고, 디지털 장치와 관련되어지도록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로컬 영역, 현재 날짜 및 시간을 자동 프로그래밍함으로써, 상기 사용자를 상기 텔레비전 케이블의 셋업으로 안내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때, 디지털 장치에 접속된 네트워크, 텔레비전 케이블, 및 복수의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자동 검출하는 단계와, 자동 검출 처리 동안 광고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작을 컴퓨터가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가 저장될 수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억 매체가 개시된다. 그리고, 상기 자동 검출 결과를 포함하는 접속 리스트를 상기 제2 패널에 채워넣는다(populating).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검출된 네트워크의 셋업, 복수의 검출된 입력 각각의 셋업 및/또는 텔레비전 케이블의 셋업으로 안내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게 컨텍스트 헬프를 제공하도록 텍스트, 이미지 및 애니메이션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첨부 도면에 한정이 아닌 예시로서 도시되며, 이들 도면에서 동일한 부호는 유사한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소정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장치 내에 구현된 초기 셋업 모듈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의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소정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다음의 설명에서는, 많은 구체적 세부 사항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러한 구체적 세부 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다른 경우에, 이러한 설명을 이해하는데 방해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잘 알려진 회로, 구조 및 기술은 나타내지 않았다.
본 설명을 위하여, "디지털 장치"라는 용어는 임의의 콘텐츠 공급자로부터의 전송을 튜닝(tune), 수신, 해독(decrypt), 디스크램블링(descramble) 및/또는 디코딩하도록 구성된 텔레비전을 칭할 수 있다. "콘텐츠 공급자"의 예는 지상파 방송, 케이블 또는 위성 텔레비전 분배 시스템, 또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와 같은 인터넷 또는 다른 인터넷 프로토콜(IP) 기반 네트워크를 통해 다운로드용 콘텐츠를 제공하는 회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디지털 장치는 텔레비전 외에, 예를 들어 셋톱 박스,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컴퓨터, 휴대폰, 비디오 게임 콘솔, SONY?PSP? 플레이어 또는 APPLE? 비디오 iPODTM 등의 휴대용 비디오 플레이어,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등의 다른 형태의 팩터(factor)일 수 있는 것으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해 소정의 용어들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소정의 경우에서, "컴포넌트(component)" "부(unit)", "모듈(module)" 및 "로직(logic)"이란 용어는 하나 이상의 기능을 행하도록 구성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하드웨어"의 예는 프로세서(예를 들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마이크로컨트롤러 등) 등의 집적 회로를 포함하지만, 그것에 한정 또는 제한되지 않는다. 물론, 하드웨어는 대안적으로 FSM(finite state machine) 또는 조합 로직(combinatorial logic)으로서도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의 예는 애플리케이션, 애플릿(applet), 루틴 또는 일련의 명령어 형태의 실행 가능한 코드를 포함한다. 소프트웨어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전자 회로,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AM(random access memory) 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임의의 타입의 ROM(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 등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 플로피 디스켓, 광 디스크(예를 들어, CD(compact disk) 또는 DVD(digital video disc)), 하드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등의 임의의 타입의 기계 판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많은 다른 형태의 실시예를 허용할 수 있지만, 본 명세서에서는 도면에 도시되고 구체적인 실시예로 설명될 것이며, 본 개시는 본 발명의 원리의 일례로서 간주되어야 하고, 도시 및 설명된 구체적인 실시예로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I. 전체 구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소정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의 예시적인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시스템(1)은 디지털 장치(10), 및 셋톱 박스(20), 모뎀(30), 비디오 게임 콘솔(40), 오디오 시스템(50) 및 DVD 플레이어(60)를 포함하는 외부 장치를 포함한다. 디지털 장치(10)는 통신 경로로서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전송 매체(70)를 통해 각 외부 장치에 결합된다. 전송 매체(70)는 전기 배선, 광 섬유, 케이블, 무선 시그널링 회로에 의해 확립된 무선 링크 등을 포함하지만, 그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디지털 장치(10)는 케이블 텔레비전 셋톱 박스 또는 위성 텔레비전 셋톱 박스일 수 있는 셋톱 박스(20)로부터 텔레비전 프로그램 등의 디지털 콘텐츠를 수신한다. 모뎀(30)은 디지털 장치에, 유선 이더넷 접속 또는 무선 접속을 통한 인터넷으로의 액세스를 제공하는 케이블 모뎀일 수 있다.
셋톱 박스(20), 비디오 게임 콘솔(40), 오디오 시스템(50) 및 DVD 플레이어(60)는 디지털 장치(10) 상의 복수의 입력에 접속될 수 있다. 복수의 입력은 HDMI 입력 및 비디오 컴포넌트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이제 도 2를 참조하면, 시스템(1)의 디지털 장치(10)의 예시적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디지털 장치(10)는 전원 공급부(220), 데이터 처리부(210), 및 초기 셋업 모듈(200)을 포함한다. 이러한 컴포넌트들은 별도의 집적 회로 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집적 회로(시스템-온-칩 구현)로서 구현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220)는 데이터 처리부(210)에 전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전원 공급부(220)는 월 소켓(wall socket)(예를 들어, 110 VAC(볼트 교류), 220 VAC 등) 또는 차량내 전력 커넥터 등의 전원 공급부로부터 수신된 입력 전력에 기초하여 정격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210)는 프로세서(211)(예를 들어, CPU(central processing unit)) 및 그래픽 컴포넌트(212)를 포함한다. 이들 컴포넌트는 별도의 집적 회로 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집적 회로(시스템-온-칩 구현)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11)는 초기 셋업 모듈(200)로부터 수신된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다. 그래픽 컴포넌트(212)는 디지털 장치(10)의 초기 셋업으로 사용자를 안내하는 온-스크린(on-screen)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랜더링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1)는 초기 셋업 모듈(200)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그래픽 컴포넌트(212)는 데이터를 GUI로 표시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초기 셋업 모듈(100)은 자동 검출 모듈(201), 컨텍스트 헬프 모듈(202) 및 광고 모듈(203)을 포함한다.
자동 검출 모듈(201)은 디지털 장치에 접속된 네트워크, 텔레비전 케이블, 및 복수의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자동 검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동 검출 모듈(201)은 디지털 장치(10)의 초기 셋업 중 어떤 단계를 사용자에게 적용할 것인지 신속하게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블 셋톱 박스(20)는 HDMI 1 등의 복수의 입력 중 하나에 접속될 수 있다. HDMI 1이 접속되어 있고 접속된 텔레비전 케이블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자동 검출함으로써, 자동 검출 모듈(201)은 사용자가 HDMI 1 입력 접속을 셋업할 필요가 있으며, TV 튜너를 셋업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결정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자동 검출 모듈(201)은 에너지 절약 셋팅을 인에이블링할 것인지 그리고 디지털 장치(10)와 관련되어지도록 로컬 영역, 현재 날짜 및 시간을 자동 프로그래밍할 것인지를 자동 검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자동 검출 모듈(201)에 의한 자동 검출 결과를 사용하여 GUI에 표시될 접속 리스트를 채워넣는다(populate). 일 실시예에서, 접속 리스트는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텍스트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접속 리스트는 텍스트 성분(textual elements) "네트워크", "TV", 및 "입력들"과 각 텍스트 앞의 각각의 체크 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도 3 참조). 자동 검출 모듈(201)이 디지털 장치(10)에 접속된 네트워크 및 복수의 입력을 자동 검출하면, 성분 "네트워크" 및 "입력들" 앞의 체크 박스에 체크 부호가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가 "네트워크"를 선택하면, 초기 셋업 모듈은 네트워크 접속 셋업으로 사용자를 안내한다. 추가적으로, 사용자는 체크 박스에서 체크 부호를 추가 또는 제거함으로써 임의의 리스트된 성분을 선택하거나 또는 선택 해제(deselect)하도록 선택할 수도 있다.
컨텍스트 헬프 모듈(202)은 사용자가 셋업 단계들을 이해하여 각 셋업 단계에서 보다 잘 알고 결정을 내리는데 도움이 되도록 텍스트, 이미지 및 애니메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 검출부에 의해 네트워크가 자동 검출되면, 네트워크의 타입이 GUI에 선택 가능한 텍스트로서 표시될 수 있다. 네트워크의 타입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GUI에서 유선 네트워크가 하이라이트되면(highlighted), 컨텍스트 헬프 모듈(202)은 유선 네트워크를 설명하는 텍스트, 이미지 및/또는 애니메이션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텍스트 헬프 모듈(202)은 디지털 장치 상의 이더넷 입력에 접속되어 있는 이더넷 코드(cord)를 나타내는 애니메이션을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복수의 입력이 자동 검출되어 GUI 상에 표시되면, 컨텍스트 헬프 모듈(202)은 복수의 검출된 입력의 리스트를 설명하는 텍스트, 이미지 및 애니메이션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컨텍스트 헬프 모듈(202)은 "오른쪽의 리스트는 검출된 접속 입력을 나타냅니다."라고 언급하는 텍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입력이 검출되어 선택 가능한 텍스트의 일부로서 표시되는 경우, 편집 가능한 라벨 및 선택 가능한 아이콘이 표시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편집된 라벨과 선택된 아이콘을, 라벨링되는 각각의 복수의 입력과 각각 관련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광고 모듈(203)은 디지털 장치(10)가 로딩 또는 작업 중일 때 GUI 상에 광고를 표시한다. 디지털 장치의 로딩 또는 작업 시간 동안, 사용자에게는 통상적으로 빈(blank) 화면 또는 "진행 중" 이미지(예를 들어, 시계, 미터(meter), 또는 "진행 중"이라는 단어)가 제시된다. 광고 모듈(203)은 디지털 장치의 특징을 나타내거나 또는 디지털 장치와 함께 동작하는 구매 가능한 부가 제품을 제시할 수 있는 광고를 제시하도록 사용자의 유휴 시간을 이용한다. 또한, 광고는 중요한 초기 셋업 정보와 경쟁하지 않도록 스크린의 일부에 표시됨으로써, 전체 화상 스크린보다 작은 부분을 사용한다.
일 실시예에서, 자동 검출 모듈(201)이 자동 검출하고 있을 때 또는 컨텍스트 헬프 모듈(202)이 표시될 텍스트, 이미지 및 애니메이션을 로딩하고 있을 때, 디지털 장치(10)는 로딩 중에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또한 광고 모듈(203)은 일단 셋업이 완료되면 광고를 표시한다.
이제 도 3을 참조하면, 디지털 장치(10)에 의해 표시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의 예시적 도시가 도시된다. GUI(300)는 제1 패널(301) 및 제2 패널(302)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컨텍스트 헬프 모듈(202)은 텍스트, 이미지 및 애니메이션을 제1 패널(301)에 표시할 수 있고, 자동 검출 모듈(201)은 자동 검출 결과를 포함하는 접속 리스트를 제2 패널(302)에 표시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광고 모듈(203)에 의해 표시되는 광고가 제1 패널(301)의 적어도 일부에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중요한 초기 셋업 정보 및 선택 가능한 텍스트가 제2 패널(302)에 표시되므로, 제1 패널(301)에 표시되는 광고 및 컨텍스트 헬프 텍스트, 이미지 또는 애니메이션에 의해 방해되지 않는다.
II. 초기 셋업 처리
이제 도 4를 참조하면, 디지털 장치(10)의 초기 셋업 구현 방법의 흐름도가 도시된다. 방법(400)은 처음에 디지털 장치(10)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개시된다(블록(401)). 그리고, 디지털 장치(10)에 접속된 네트워크, 텔레비전 케이블 및 복수의 입력 중 적어도 하나가 자동 검출된다(블록(402)). 일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텔레비전 케이블 및 복수의 입력이 자동 검출되는 동안, GUI의 제1 패널(301)은 광고를 표시할 수 있다. 블록(403)에서는, 블록(402)으로부터의 자동 검출 결과를 이용하여 접속 리스트를 채워넣는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및 복수의 입력이 자동 검출되었다면, 접속 리스트는 제2 패널(302)에서 표시되는 텍스트 "네트워크" 및 "입력들" 옆의 체크 박스 내에 체크 부호를 포함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또한 어떤 특징을 셋업하기를 원하는지 선택하기 위해 체크 박스를 체크하거나 또는 체크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접속 리스트가 비어 있다면, GUI는 진행하기 전에 사용자가 소정의 외부 장치를 접속하도록 촉구하는 텍스트, 이미지 또는 애니메이션을 표시할 것이다.
자동 검출 결과가 네트워크를 포함하고, 블록(404)에서 사용자가 제2 패널로부터 네트워크 셋업을 계속할 것을 선택하면, 사용자는 검출된 네트워크의 셋업으로 안내된다. 셋업될 수 있는 복수의 타입의 네트워크가 제2 패널(302)에 표시된다. 네트워크의 타입은 예를 들어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원하는 타입의 네트워크를 하이라이트함으로써 제2 패널로부터 셋업할 네트워크의 타입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하이라이트되어 있는 네트워크의 타입을 설명하는 텍스트, 이미지 및/또는 애니메이션이 제1 패널(301)에 표시된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제2 패널(302)에 하이라이트되어 있는 네트워크의 타입이 유선 네트워크인 경우, 유선 네트워크가 무엇을 의미하는지(entail)를 사용자에게 설명하기 위해, 제1 패널(301)은 디지털 장치(10) 상의 이더넷 입력에 접속되어 있는 이더넷 코드를 나타내는 애니메이션을 표시한다. 일 실시예에서는, 제1 패널(301)은 또한 표시될 텍스트, 이미지 및/또는 애니메이션이 로딩될 때 광고를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자동 검출 결과가 복수의 입력을 포함하고, 블록(405)에서 사용자가 제2 패널로부터 입력 셋업을 계속할 것을 선택하면, 사용자는 복수의 검출된 입력 각각의 셋업으로 안내된다. 라벨링될(labeled) 복수의 검출된 입력의 리스트가 제2 패널(302)에 표시되고, 복수의 검출된 입력의 리스트를 설명하는 텍스트, 이미지 및/또는 애니메이션이 제1 패널(301)에 표시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입력들 중 하나를, 검출된 입력의 리스트로부터 선택하면, 사용자가 선택된 입력과 관련시킬 수 있는 편집 가능한 텍스트 및 선택 가능한 아이콘이 제2 패널(302)에 표시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게이밍 콘솔에 접속된 HDMI 1 입력을 선택한 경우, 사용자는 HDMI 1의 라벨을 편집하여 "게이밍 콘솔"로 할 수 있고, 게이밍 리모트 콘트롤을 닮은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텔레비전 케이블 및 네트워크가 모두 자동 검출되면, 로컬 영역, 현재 날짜 및 시간이 자동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자동 검출 결과가 텔레비전 케이블을 포함하지만 네트워크를 포함하지 않으면, 사용자가 로컬 영역, 현재 날짜 및 시간을 입력하도록 촉구하고, 사용자의 입력된 로컬 영역, 현재 날짜 및 시간이 디지털 장치(10)와 관련되어지도록 자동 프로그래밍함으로써, 사용자는 텔레비전 케이블의 셋업으로 안내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블록(401)에서 디지털 장치(10)에 접속된 네트워크, 텔레비전 케이블, 및/또는 복수의 입력을 자동 검출하기 전에, 초기 셋업 구현 방법은 또한 사용자가 언어 설정 및 에너지 절약 셋팅 인에이블링에 대한 자동 검출을 선택하도록 촉구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사용자는 디지털 장치가 위치되는 보기 환경(예를 들어, 홈 또는 소매상)을 선택하도록 촉구될 수 있다. 이러한 보기 환경에 기초하여, 최적의 에너지 절약 셋팅이 자동 검출된다.
상기 설명에서는, 본 발명은 구체적인 예시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그러나, 첨부된 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보다 넓은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변형 및 변화가 행해질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명세서 및 도면은 제한적이라기 보다는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된다.
1: 시스템
10: 디지털 장치
20: 셋톱 박스
30: 모뎀
40: 비디오 게임 콘솔
50: 오디오 시스템
60: DVD 플레이어

Claims (15)

  1. 디지털 장치로서,
    제1 패널 및 제2 패널을 포함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표시하도록 구성된 데이터 처리부와,
    상기 데이터 처리부에 연결된 초기 셋업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초기 셋업 모듈은
    (i) 상기 디지털 장치에 접속된 인터넷 네트워크, 텔레비전 케이블, 및 복수의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자동 검출하고, 자동 검출 결과를 포함하는 접속 리스트를 상기 제2 패널에 채워넣는(populate) 자동 검출 모듈 - 상기 제2 패널의 상기 접속 리스트는 선택 가능한 텍스트를 포함함 - 과,
    (ii) 텍스트, 이미지 및 애니메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1 패널에 표시하는 컨텍스트 헬프(contextual help) 모듈 - 상기 인터넷 네트워크가 검출되어, 선택 가능한 텍스트의 일부로서 상기 제2 패널에 표시되면, 상기 제1 패널에 표시된 상기 텍스트, 이미지 및 애니메이션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2 패널에서 선택되는 인터넷 네트워크의 타입을 설명하고, 상기 인터넷 네트워크의 타입은 유선 및 무선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입력이 검출되어, 선택 가능한 텍스트의 일부로서 상기 제2 패널에 표시되면, 상기 제1 패널에 표시되는 상기 텍스트, 이미지 및 애니메이션 중 적어도 하나가, 검출된 상기 복수의 입력의 리스트를 설명함 - 과,
    (iii) 상기 디지털 장치가 로딩되고 있을 때, 상기 제1 패널에 광고를 표시하는 광고 모듈 - 상기 디지털 장치가 로딩되고 있을 때는 적어도 상기 자동 검출 모듈이 자동 검출하고 있을 때 또는 상기 컨텍스트 헬프 모듈이, 표시될 상기 텍스트, 이미지 및 애니메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로딩하고 있을 때임 - 을 포함하는, 디지털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네트워크의 타입이 상기 유선 네트워크를 포함할 때, 상기 컨텍스트 헬프 모듈은 상기 디지털 장치 상의 이더넷 입력부에 접속되어 있는 이더넷 코드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애니메이션을 표시하는, 디지털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입력은 하나 이상의 HDMI 입력 및 하나 이상의 비디오 컴포넌트 입력을 포함하는, 디지털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입력에 각각 접속되어 있는 비디오 게임 콘솔, DVD 플레이어, 오디오 시스템, 케이블 셋톱 박스, 위성 박스 및 모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비전 케이블 및 상기 인터넷 네트워크가 검출되어, 상기 선택 가능한 텍스트의 일부로서 상기 제2 패널에 표시되면, 상기 자동 검출 모듈은 로컬 영역, 현재 날짜 및 시간을 자동 프로그래밍하는, 디지털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입력이 검출되어, 상기 선택 가능한 텍스트의 일부로서 상기 제2 패널에 표시되면, 라벨링되어 있는(labeled) 상기 복수의 입력 각각과 각각 관련되어지도록, 편집 가능한 라벨 및 선택 가능한 아이콘을 상기 제2 패널에 표시하는, 디지털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초기 셋업 모듈은 단일의 집적 회로 상에서 구현되는, 디지털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검출 모듈은 상기 인터넷 네트워크, 상기 텔레비전 케이블 및 상기 복수의 입력에 대한 접속을 자동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디지털 장치.
  10. 제1 패널 및 제2 패널을 포함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표시하는 스크린을 포함하는 디지털 장치의 초기 셋업 구현 방법으로서,
    상기 디지털 장치에 접속된 인터넷 네트워크 및 복수의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자동 검출하는 단계 - 상기 제1 패널은 자동 검출 처리 동안 광고를 표시함 - 와,
    자동 검출 결과를 포함하는 접속 리스트를 상기 제2 패널에 채워넣는(populating) 단계와,
    상기 자동 검출 결과가 상기 인터넷 네트워크를 포함하면, (i) 셋업될 인터넷 네트워크의 타입을 상기 제2 패널에 표시하는 단계와 - 상기 인터넷 네트워크의 타입은 유선 및 무선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ii) 상기 제2 패널에서 하이라이트되어 있는 상기 인터넷 네트워크의 타입을 설명하는 텍스트, 이미지 및 애니메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1 패널에 표시하는 단계에 의해, 사용자를 상기 검출된 인터넷 네트워크의 셋업으로 안내하는 단계와,
    상기 자동 검출 결과가 상기 복수의 입력을 포함하면, (i) 라벨링될 복수의 상기 검출된 입력의 리스트를 상기 제2 패널에 표시하는 단계와, (ii) 상기 복수의 검출된 입력의 리스트를 설명하는 텍스트, 이미지 및 애니메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1 패널에 표시하는 단계에 의해, 상기 사용자를 상기 복수의 검출된 입력 각각의 셋업으로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장치의 초기 셋업 구현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검출은 텔레비전 케이블을 검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디지털 장치의 초기 셋업 구현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검출 결과가 상기 텔레비전 케이블 및 상기 인터넷 네트워크를 포함하면, 로컬 영역, 현재 날짜 및 시간을 자동 프로그래밍하는 단계와,
    상기 자동 검출 결과가 상기 텔레비전 케이블을 포함하지만 상기 인터넷 네트워크를 포함하지 않는다면, (i) 상기 사용자가 상기 로컬 영역, 상기 현재 날짜 및 시간을 입력하도록 촉구하고, (ii)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로컬 영역, 현재 날짜 및 시간을 자동 프로그래밍함으로써, 상기 사용자를 상기 텔레비전 케이블의 셋업으로 안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장치의 초기 셋업 구현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입력은 하나 이상의 HDMI 입력 및 하나 이상의 비디오 컴포넌트 입력을 포함하는, 디지털 장치의 초기 셋업 구현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라벨링될 복수의 검출된 입력의 리스트를 상기 제2 패널에 표시하는 단계는 라벨링될 상기 복수의 검출된 입력 각각과 각각 관련되어지도록, 편집 가능한 텍스트 및 선택 가능한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장치의 초기 셋업 구현 방법.
  15. 디지털 장치로서,
    제1 패널 및 제2 패널을 포함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표시하도록 구성된 스크린과,
    (1) 상기 디지털 장치에 접속된 인터넷 네트워크 및 복수의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자동 검출하고, (2) 상기 인터넷 네트워크 및 상기 복수의 입력 중 적어도 하나의 자동 검출 처리 동안 상기 GUI의 상기 제1 패널 내에 광고를 표시하고, (3) 상기 인터넷 네트워크 및 상기 복수의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자동 검출 결과를 포함하는 접속 리스트를 상기 제2 패널에 채워넣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동 검출 결과가 상기 인터넷 네트워크를 포함하면, (i) 셋업될 인터넷 네트워크의 타입을 상기 제2 패널에 표시하고 - 상기 인터넷 네트워크의 타입은 유선 및 무선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ii) 상기 제2 패널에서 하이라이트되어 있는 상기 인터넷 네트워크의 타입을 설명하는 텍스트, 이미지 및 애니메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1 패널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를 상기 검출된 인터넷 네트워크의 셋업으로 안내하고,
    상기 자동 검출 결과가 상기 복수의 입력을 포함하면, (i) 라벨링될 복수의 상기 검출된 입력의 리스트를 상기 제2 패널에 표시하고, (ii) 상기 복수의 검출된 입력의 리스트를 설명하는 텍스트, 이미지 및 애니메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1 패널에 표시함으로써, 상기 사용자를 상기 복수의 검출된 입력 각각의 셋업으로 안내하는, 디지털 장치.
KR1020110088712A 2010-10-15 2011-09-01 자동 검출, 컨텍스트 헬프 및 광고 스페이스에 의한 초기 셋업 KR1013104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905,948 US8881016B2 (en) 2010-10-15 2010-10-15 Initial setup with auto-detection, contextual help and advertisement space
US12/905,948 2010-10-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9458A KR20120039458A (ko) 2012-04-25
KR101310432B1 true KR101310432B1 (ko) 2013-09-25

Family

ID=44785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8712A KR101310432B1 (ko) 2010-10-15 2011-09-01 자동 검출, 컨텍스트 헬프 및 광고 스페이스에 의한 초기 셋업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881016B2 (ko)
EP (1) EP2442560B1 (ko)
JP (1) JP5083640B2 (ko)
KR (1) KR101310432B1 (ko)
CN (1) CN102566889B (ko)
CA (1) CA2751300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69845B1 (en) * 2008-06-27 2015-04-01 Kabushiki Kaisha Toshiba Television receiv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receiver
US8655428B2 (en) 2010-05-12 2014-02-18 The Nielsen Company (Us), Llc Neuro-response data synchronization
US20120290409A1 (en) * 2011-05-11 2012-11-15 Neurofocus, Inc. Marketing material enhanced wait states
US9569986B2 (en) 2012-02-27 2017-02-14 The Nielsen Company (Us), Llc System and method for gathering and analyzing biometric user feedback for use in social media and advertising applications
US8989835B2 (en) 2012-08-17 2015-03-24 The Nielsen Company (Us), Llc Systems and methods to gather and analyze electroencephalographic data
US10810634B2 (en) * 2013-02-08 2020-10-20 The Nielsen Company (Us),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efficient execution of modules
US9320450B2 (en) 2013-03-14 2016-04-26 The Nielsen Company (Us), Llc Methods and apparatus to gather and analyze electroencephalographic data
KR20140118667A (ko) * 2013-03-29 2014-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9622702B2 (en) 2014-04-03 2017-04-18 The Nielsen Company (Us), Llc Methods and apparatus to gather and analyze electroencephalographic data
US9936250B2 (en) 2015-05-19 2018-04-03 The Nielsen Company (Us), Llc Methods and apparatus to adjust content presented to an individual
WO2016187763A1 (zh) * 2015-05-24 2016-12-01 阮元 根据用户资料推送广告的方法以及游戏系统
US11599245B2 (en) * 2020-09-18 2023-03-07 viaPhoton, Inc. Optical fiber web applica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3159A (ja) * 1998-08-07 2000-04-28 Hewlett Packard Co <Hp> 画像捕捉通信装置
KR20010009607A (ko) * 1999-07-12 2001-02-05 구자홍 티브이의 초기설정안내방법
KR20050002603A (ko) * 2003-06-30 2005-01-07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장치를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방법들, 엔진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KR20100069252A (ko) * 2008-12-16 2010-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디스플레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44642A (en) * 1991-05-07 1995-08-22 General Signal Corporation Computer system for monitoring events and which is capable of automatically configuring itself responsive to changes in system hardware
ATE345644T1 (de) * 1998-04-30 2006-12-15 United Video Properties Inc Programmübersichtssystem mit werbung
CN1371571A (zh) * 1999-06-28 2002-09-25 联合视频制品公司 具有定位中枢的交互式电视节目指南系统和方法
US20020166127A1 (en) * 1999-12-15 2002-11-07 Hitachi America, Lt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dvertisements in a wireless terminal
JP2001236155A (ja) * 2000-02-24 2001-08-31 Hitachi Ltd ガイダンスシステム
US20030075983A1 (en) * 2001-05-03 2003-04-24 Mitsubishi Digital Electronics America, Inc. Control system and user interface for network of input devices
US6930730B2 (en) * 2001-05-03 2005-08-16 Mitsubishi Digital Electronics America, Inc. Control system and user interface for network of input devices
MXPA04006065A (es) * 2001-12-18 2004-09-27 Thomson Licensing Sa Sub-titulos y tele-texto generado en forma interna para menus de ajuste de un aparato de procesamiento de senal de capacidad de red.
US7007234B2 (en) * 2002-06-05 2006-02-28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a set up operation for a video system
US7448058B2 (en) * 2003-03-10 2008-11-04 Mark A. Heyner Method for enabling a television user to control operation of application programs on a programmable television controller
US7010804B2 (en) * 2003-03-20 2006-03-07 Son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TV channel programming
WO2005053310A1 (en) * 2003-10-28 2005-06-09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up video input information
TWI257816B (en) * 2003-12-26 2006-07-01 Mediatek Inc Audio/video display system capable of auto-detecting/selecting audio/video signals and method of the same
JP2005278123A (ja) * 2004-03-26 2005-10-06 Sanyo Electric Co Ltd 映像受信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を映像受信装置として機能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ならびに映像提供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を映像提供装置として機能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
JPWO2006051971A1 (ja) * 2004-11-12 2008-05-29 株式会社ジャストシステム 広告管理装置、広告配信装置、広告表示装置、広告配信方法および広告表示方法
US20070038514A1 (en) * 2005-08-12 2007-02-15 Macrovision Corporation Bid-based delivery of advertising promotions on internet-connected media players
US7916869B2 (en) * 2005-09-01 2011-03-29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setup of a network device with secure network transmission of setup parameters using a standard remote control
JP4967315B2 (ja) * 2005-11-10 2012-07-04 船井電機株式会社 Avシステム
US20070178933A1 (en) * 2006-01-30 2007-08-02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election
US8898073B2 (en) * 2006-07-29 2014-11-25 Goldspot Media, Inc. Advertisement insertion during application launch in handheld, mobile display devices
JP2008228108A (ja) * 2007-03-14 2008-09-25 Toshiba Corp 通信装置
WO2009064496A1 (en) * 2007-11-16 2009-05-22 Audiovox Corporation Remote control and method of using same for controlling entertainment equipment
JP2009124590A (ja) * 2007-11-16 2009-06-04 Nec Saitama Ltd 通信端末の表示制御方法、通信端末及びプログラム
JP4544301B2 (ja) * 2007-12-26 2010-09-15 ソニー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およびコネクタ表示方法
US8744951B2 (en) * 2008-04-18 2014-06-03 Apple Inc. Advertisement in operating system
JP2010130677A (ja) * 2008-11-25 2010-06-10 Toshiyuki Ichimura 水晶振動子用サポート
KR20110060650A (ko) * 2009-11-30 2011-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에 접속가능한 tv의 동작 모드 전환 방법
CN101800909B (zh) * 2010-05-05 2011-07-20 福建捷联电子有限公司 TV Monitor全自动红外遥控RESET系统
KR20140118667A (ko) * 2013-03-29 2014-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3159A (ja) * 1998-08-07 2000-04-28 Hewlett Packard Co <Hp> 画像捕捉通信装置
KR20010009607A (ko) * 1999-07-12 2001-02-05 구자홍 티브이의 초기설정안내방법
KR20050002603A (ko) * 2003-06-30 2005-01-07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장치를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방법들, 엔진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KR20100069252A (ko) * 2008-12-16 2010-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디스플레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083640B2 (ja) 2012-11-28
CA2751300A1 (en) 2012-04-15
CN102566889A (zh) 2012-07-11
KR20120039458A (ko) 2012-04-25
CA2751300C (en) 2014-12-16
JP2012089118A (ja) 2012-05-10
CN102566889B (zh) 2015-11-25
US20120096363A1 (en) 2012-04-19
US8881016B2 (en) 2014-11-04
EP2442560B1 (en) 2017-01-18
EP2442560A1 (en) 2012-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0432B1 (ko) 자동 검출, 컨텍스트 헬프 및 광고 스페이스에 의한 초기 셋업
CN103489432B (zh) 电子设备及资源显示方法
US10448082B2 (en) Information exchanging method and device, audio terminal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9542060B1 (en) User interface for access of content
EP2767905A1 (en) Terminal apparatus, server, browser of terminal apparatus operating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browser
CN107172454A (zh) 一种视频推荐方法、介质、装置和计算设备
KR20100069612A (ko) 동글 사용 방법, 시스템 및 머신-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US2014014365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mobile app page template, and storage medium thereof
CN110110101B (zh) 多媒体内容的推荐方法、装置、终端、服务器及可读介质
US9204205B1 (en) Viewing advertisements using an advertisement queue
CN114071179B (zh) 一种直播预览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04811781A (zh) 视频跨屏播放方法及装置
US20130117132A1 (en) System for inserting services in a software application
CN105075279A (zh) 显示设备及其控制方法
CN105912351A (zh) 一种由pc向移动设备导流应用程序的方法及pc客户端
CN102968244B (zh) 资源预览图的获取方法、装置以及设备
JPWO2010016251A1 (ja) 映像処理装置
CN103631872A (zh) 一种多媒体文件播放方法及电子终端
US20070282710A1 (en) Method for demonstrating the features of an application program
US11582514B2 (en) Sourc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05812958A (zh) 一种视频播放方法及装置
CN110519650A (zh) 一种osd语言升级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4461587A (zh) Android终端中安装应用软件包的方法和装置
CN112423030A (zh) 一种电视节目的录放方法
CN117891550A (zh) 界面展示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