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0229B1 - 전자기기의 커넥터 돌출구조 - Google Patents

전자기기의 커넥터 돌출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0229B1
KR101310229B1 KR1020070001710A KR20070001710A KR101310229B1 KR 101310229 B1 KR101310229 B1 KR 101310229B1 KR 1020070001710 A KR1020070001710 A KR 1020070001710A KR 20070001710 A KR20070001710 A KR 20070001710A KR 101310229 B1 KR101310229 B1 KR 1013102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hole
pin
housing
connecto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1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4619A (ko
Inventor
최승권
이덕용
차덕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1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0229B1/ko
Priority to US11/829,347 priority patent/US7713075B2/en
Priority to CN2007101481047A priority patent/CN101217222B/zh
Publication of KR20080064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46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0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02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마련되고, 일 방향으로 연장된 제1 가이드 장공(長空)을 구비한 제1 프레임; 상기 하우징의 측면으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된 푸쉬 버튼(push button)과, 상기 푸쉬 버튼을 누르면 상기 제1 가이드 장공과 겹쳐지며 양 측 단부에 제1 록킹(locking) 홈부 및 제2 록킹 홈부가 형성된 제2 가이드 장공을 구비한 제2 프레임; 상기 제1 가이드 장공 및 제2 가이드 장공을 따라 왕복 가능하게 상기 장공들에 수용된 핀(pin); 상기 핀에 고정 결합된 커넥터 부재; 및, 상기 커넥터 부재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상기 핀을 탄성 가압하는 링크(link);를 구비하고, 상기 핀이 상기 제2 가이드 장공의 제1 록킹 홈부에 위치하면 상기 커넥터 부재가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지 않게 록킹되고, 상기 핀이 상기 가이드 장공의 제2 록킹 홈부에 위치하면 상기 커넥터 부재가 하우징 내부로 삽입되지 않게 록킹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돌출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자기기의 커넥터 돌출구조{Structure for protruding a connector in an electronic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돌출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a, 도 2b 및, 도 2c는 도 1의 커넥터 돌출구조에서 커넥터 부재가 하우징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변화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a, 도 3b 및, 도 3c는 도 1의 커넥터 돌출구조를 뒤집어 본 사시도로서, 커넥터 부재가 하우징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변화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커넥터 돌출구조 101 ...베이스 부재
105 ...제1 프레임 106 ...제1 가이드 장공
115 ...제2 프레임 120 ...제2 가이드 장공
121, 122 ...제1, 제2 록킹 홈부 123 ...V 자형 측면부
124 ...압축 스프링 125 ...링크
126, 128 ...제1, 제2 조인트 133 ...토션 스프링
135 ...커넥터 부재 140 ...핀
본 발명은 커넥터를 갖는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른 전자기기와의 연결을 위해 하우징 내에 삽입되어 있는 커넥터를 하우징 외부로 돌출시키는 전자기기의 커넥터 돌출구조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모바일폰, MP3 플레이어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는 컴퓨터 등 다른 전자기기와의 연결을 위하여 커넥터를 구비하고 있다. 예컨대, 휴대용 전자기기에는 수형 커넥터의 일종인 USB 연결잭(universal serial bus connecting jack)이 구비되고, 컴퓨터에는 암형 커넥터의 일종인 USB 슬롯(slot)이 구비될 수 있다.
휴대용 전자기기에 구비된 상기 수형 커넥터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외관을 좋아 보이게 하는데 방해가 되고, 휴대에도 불편을 초래하며, 수형 커넥터 자체의 고장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에는 캡(cap)을 씌워 수형 커넥터를 보호하였다. 그러나, 상기 캡의 분실 가능성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어 휴대용 전자기기 본체 내부에 수형 커넥터를 삽입하였다가 다른 전자기기와 연결이 필요한 때에 상기 수형 커넥터를 휴대용 전자기기 본체 외부로 돌출시키는 구조가 개발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커넥터 돌출구조는 손으로 수형 커넥터의 단부를 잡고 휴대용 전자기기 본체에서 잡아 빼는 방법에 의존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작동이 불편하고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휴대용 전자기기 측면의 버튼을 눌러 상기 커넥터를 휴대용 전자기기 본체의 외부로 돌출시킬 수 있는 전자기기의 커넥터 돌출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커넥터가 휴대용 전자기기 본체의 외부로 돌출되는 전자기기의 커넥터 돌출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마련되고, 일 방향으로 연장된 제1 가이드 장공(長空)을 구비한 제1 프레임; 상기 하우징의 측면으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된 푸쉬 버튼(push button)과, 상기 푸쉬 버튼을 누르면 상기 제1 가이드 장공과 겹쳐지며 양 측 단부에 제1 록킹(locking) 홈부 및 제2 록킹 홈부가 형성된 제2 가이드 장공을 구비한 제2 프레임; 상기 제1 가이드 장공 및 제2 가이드 장공을 따라 왕복 가능하게 상기 장공들에 수용된 핀(pin); 상기 핀에 고정 결합된 커넥터 부재; 및, 상기 커넥터 부재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상기 핀을 탄성 가압하는 링크(link);를 구비하고, 상기 핀이 상기 제2 가이드 장공의 제1 록킹 홈부에 위치하면 상기 커넥터 부재가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지 않게 록킹되고, 상기 핀이 상기 가이드 장공의 제2 록킹 홈부에 위치하면 상기 커넥터 부재가 하우징 내부로 삽입되지 않게 록킹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돌출구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링크는 토션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핀을 탄성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링크는 상기 제1 프레임에 연결되는 제1 조인트(joint)와, 상기 제1 조인트 및 상기 핀에 연결되는 제2 조인트를 구비하고, 상기 토션 스프링은 일단이 상기 제1 프레임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제1 조인트에 지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제1 프레임에 슬라이딩(sliding)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가이드 장공에는 가운데로 갈수록 오목하게 경사진 V 자형 측면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커넥터 돌출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돌출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돌출구조(100)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일 예인 MP3 플레이어에 구비되는 것으로, 베이스 부재(101)와 이에 결합되는 커버 부재(미도시)로 이루어지는 하우징(housing)과, 상기 하우징 내에 마련되고, MP3 플레이어의 메인 PCB(미도시)에 고정 지지되는 제1 프레임(105)과, 상기 제1 프레임(105)에 슬라이딩(sliding) 가능하게 부착된 제2 프레임(115)과, 핀(pin)과, 링크(125)와, 커넥터 부재(135)를 구비한다.
상기 베이스 부재(101)에는 전면에 제1 통공(103)이 형성되고, 측면에 제2 통공(10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통공(103)을 통해 커넥터 부재(135)의 돌출부(136)가 돌출되고, 상기 제2 통공(104)을 통해 제2 프레임(115)에 구비된 푸쉬 버튼(116)이 탄성 가압 가능하게 돌출된다.
상기 제1 프레임(105)은 커넥터 부재(135)의 왕복 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연장된 제1 가이드 장공(106)과, 같은 방향으로 직선 연장된 한 쌍의 가이드 레일(111)을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 레일(111)에 커넥터 부재(135)의 저면에 마련된 한 쌍의 가이드 슬릿(137)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된다. 또한, 상기 제1 프레임(105)은 제2 프레임(115)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부착 지지하는 4개의 제2 프레임 결합 브라켓(108)을 구비한다.
상기 제2 프레임(115)은 상기 제2 프레임 결합 브라켓(108)에 끼워져, 상기 커넥터 부재(135)의 왕복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제1 프레임(105)에 결합된다. 상기 제2 프레임(115)은 압축 스프링(124)에 의해 푸쉬 버튼(116)이 하우징의 측면으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된다. 상기 압축 스프링(124)의 일단은 제1 프레임(105)에 형성된 압축 스프링 브라켓(112)에 지지되고, 타측은 제2 프레임(115)에 형성된 압축 스프링 브라켓(118)에 지지된다.
상기 제2 프레임(115)은 상기 푸쉬 버튼(116)을 누르면 상기 제1 가이드 장공(106)과 겹쳐지는 제2 가이드 장공(120)을 구비한다. 상기 제2 가이드 장공(120)은 양 측 단부에 푸쉬 버튼(116)을 누르는 가압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파인 제1 록킹(locking) 홈부(121) 및 제2 록킹 홈부(122)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2 가이드 장공(120)은 가운데로 갈수록 푸쉬 버튼(116)을 누르는 가압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경사진 V자형 측면부(123)를 구비한다.
상기 링크(125)는 상기 제1 프레임(105)에 연결되는 제1 조인트(joint, 126)와, 상기 제1 조인트(126)와 핀(140)에 연결되는 제2 조인트(128)를 구비한다. 제1 스터드(stud, 130)가 상기 제1 조인트(126)의 일단부(126a)를 관통하여 제1 프레임(105)에 형성된 제1 스터드 장착공(114)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 조인트(126)가 제1 프레임(105)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제2 스터드(132)가 제2 조인트(128)의 일단부(128a)와 제1 조인트(126)의 타단부(126b)에 차례로 끼워져 상기 제2 조인트(128)가 제1 조인트(126)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핀(140)은 커넥터 부재(135)의 핀 수용 통공(138)과, 제2 조인트(128)의 타단부(128b)와, 제1 가이드 장공(106)과, 제2 가이드 장공(120)에 차례로 끼워지고, 핀 커버(139)가 상기 핀 수용 통공(138)을 덮어 상기 핀(140)을 커넥터 부재(135)에 대해 고정한다. 상기 커넥터 부재(135)의 상측면에는 커넥터 PCB(143)가 양면 테이프에 의해 부착된다.
상기 링크(125)는 토션 스프링(133)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핀(140)을 탄성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토션 스프링(133)은 상기 제1 스터드(130)에 꿰어지고, 일단은 제1 프레임(105)에 형성된 토션 스프링 브라켓(110)에 지지되고, 타단은 제1 조인트(126)에 형성된 토션 스프링 브라켓(127)에 지지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핀(140)에 연결된 커넥터 부재(135)는 돌출부(136)가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된다.
이하에서, 상기한 구조를 갖는 커넥터 돌출구조(10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2a, 도 2b 및, 도 2c는 도 1의 커넥터 돌출구조에서 커넥터 부재가 하우징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변화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a, 도 3b 및, 도 3c는 도 1의 커넥터 돌출구조를 뒤집어 본 사시도로서, 커넥터 부재가 하우징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변화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부재(135)의 돌출부(136)가 휴대용 전자기기의 하우징 내부에 삽입되어 록킹(locking)된 상태일 때, 핀(140)은 제1 가이드 장공(106)의 내측 단부와 제2 가이드 장공(120)의 제1 록킹 홈부(121)에 위치한다. 상기 핀(140)은 토션 스프링(133)에 의해 탄성 바이어스되나 제1 록킹 홈부(121)에 가로막혀 록킹된 상태이다.
상기 푸쉬 버튼(116)을 누르면 상기 제1 록킹 홈부(121)가 이동하여 핀(140)의 록킹 상태가 해제되고 상기 핀(140)은 토션 스프링(133)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제1 가이드 장공(106) 및 제2 가이드 장공(120)의 V 자형 측면부(123)을 따라 외측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커넥터 부재(135)의 돌출부(136)도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기 시작한다.
도 2b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140)이 제1 가이드 장공(106) 및 제2 가이드 장공(120)의 가운데 부분으로 이동할 때에는 V 자형 측면부(123)가 핀(140)의 진행을 방해하지 않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고, 토션 스프링(133)의 탄성 복원력도 강하므로 돌출부(136)가 빠른 속도로 돌출된다. 반면, 핀(140)이 도 2b 및 도 3b에 도시된 위치에서 도 2c 및 도 3c에 도시된 위치로 이동할 때에는 V 자형 측면부(123)가 핀(140)의 진행을 방해하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고, 토션 스프링(133)의 탄성 복원력도 상대적으로 약하므로 돌출부(136)가 비교적 느린 속도로 돌출된다. 따라서, 커넥터 부재(135)가 부드럽게 돌출되는 느낌을 효과를 연출할 수 있으며 핀(140)과 제1 프레임(105), 또는 핀(140)과 제2 프레임(115)의 강한 충돌로 인한 부재들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돌출부(136)가 돌출 한계까지 돌출되면 핀(140)은 제1 가이드 장공(106)의 외측 단부와 제2 가이드 장공(120)의 제2 록킹 홈부(122)에 위치한다. 상기 핀(140)은 제2 록킹 홈부(122)에 가로막혀 록킹된 상태이며, 이에 따라 커넥터 부재(135)의 돌출부(136)는 전자기기의 하우징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내부로 삽입되지 않게 록킹된다.
돌출된 커넥터 부재(135)를 다시 하우징 내측으로 삽입하기 위하여 푸쉬 버튼(116)을 다시 눌러 제2 록킹 홈부(122)에 위치한 핀(140)의 록킹 상태를 해제하고, 돌출부(136)를 내측으로 민다. 그리하면 핀(140)이 제1 가이드 장공(106)과 제2 가이드 장공(120)의 내측으로 다시 이동하고, 도 2a 및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핀(140)이 제1 록킹 홈부(121)에 다시 안착되며, 커넥터 부재(135)는 하우징 내측에 삽입된 상태로 다시 록킹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커넥터 돌출구조는 수형 커넥터를 사용하지 않을 때 이를 전자기기의 내부에 삽입할 수 있어 전자기기의 외관을 수려하게 할 수 있으며, 전자기기의 휴대를 용이하게 한다. 또한, 외부 충격으로 인한 커넥터 자체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커넥터 돌출구조는 전자기기 하우징 측면의 푸쉬 버튼을 누르는 동작만으로 커넥터 부재가 휴대용 전자기기 본체의 외부로 돌출되므로 용이하게 커넥터를 이용할 수 있다.

Claims (5)

  1.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마련되고, 일 방향으로 연장된 제1 가이드 장공(長空)을 구비한 제1 프레임;
    상기 하우징의 측면으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된 푸쉬 버튼(push button)과, 상기 푸쉬 버튼을 누르면 상기 제1 가이드 장공과 겹쳐지며 양 측 단부에 제1 록킹(locking) 홈부 및 제2 록킹 홈부가 형성된 제2 가이드 장공을 구비한 제2 프레임;
    상기 제1 가이드 장공 및 제2 가이드 장공을 따라 왕복 가능하게 상기 장공들에 수용된 핀(pin);
    상기 핀에 고정 결합된 커넥터 부재; 및,
    상기 커넥터 부재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상기 핀을 탄성 가압하는 링크(link);를 구비하고,
    상기 핀이 상기 제2 가이드 장공의 제1 록킹 홈부에 위치하면 상기 커넥터 부재가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지 않게 록킹되고, 상기 핀이 상기 가이드 장공의 제2 록킹 홈부에 위치하면 상기 커넥터 부재가 하우징 내부로 삽입되지 않게 록킹되며,
    상기 제2 가이드 장공에는 가운데로 갈수록 오목하게 경사진 V 자형 측면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돌출구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토션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핀을 탄성 가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돌출구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상기 제1 프레임에 연결되는 제1 조인트(joint)와, 상기 제1 조인트 및 상기 핀에 연결되는 제2 조인트를 구비하고, 상기 토션 스프링은 일단이 상기 제1 프레임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제1 조인트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돌출구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제1 프레임에 슬라이딩(sliding) 가능하게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돌출구조.
  5. 삭제
KR1020070001710A 2007-01-05 2007-01-05 전자기기의 커넥터 돌출구조 KR1013102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1710A KR101310229B1 (ko) 2007-01-05 2007-01-05 전자기기의 커넥터 돌출구조
US11/829,347 US7713075B2 (en) 2007-01-05 2007-07-27 Protrudable connector structure for electronic device
CN2007101481047A CN101217222B (zh) 2007-01-05 2007-08-28 用于电子装置的可伸出的连接器结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1710A KR101310229B1 (ko) 2007-01-05 2007-01-05 전자기기의 커넥터 돌출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4619A KR20080064619A (ko) 2008-07-09
KR101310229B1 true KR101310229B1 (ko) 2013-09-24

Family

ID=39594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1710A KR101310229B1 (ko) 2007-01-05 2007-01-05 전자기기의 커넥터 돌출구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713075B2 (ko)
KR (1) KR101310229B1 (ko)
CN (1) CN10121722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1118528A (en) * 2009-11-18 2011-06-01 Inventec Corp Docking station
CN102790333B (zh) * 2011-05-20 2016-01-13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底座
US8929065B2 (en) * 2011-08-23 2015-01-06 L&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Docking station with ruggedized case
US8867202B2 (en) 2011-08-23 2014-10-21 L&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Docking station
US9169964B2 (en) * 2012-02-21 2015-10-27 L-3 Communications Avionics Systems, Inc. Retention mechanism and method for removeably supporting a portable flight controller
TWI464969B (zh) * 2012-10-25 2014-12-11 Wistron Corp 連接器結構以及電子裝置
US9125317B2 (en) * 2013-03-15 2015-09-01 Cisco Technology, Inc. DIN rail mount bracket
US9836086B2 (en) 2013-08-02 2017-12-05 Belkin International, Inc. Adjustable docking stand with ejector and method of providing and using the same
WO2015017827A1 (en) * 2013-08-02 2015-02-05 Belkin International, Inc. Adjustable docking stand and method of providing and using the same
US9374924B2 (en) * 2014-09-16 2016-06-21 Schneider Electric Buildings, Llc DIN rail mounted enclosure assembly and method of use
US20160363262A1 (en) * 2015-06-10 2016-12-15 Connor Moelmann Mounting Device
CN106486870B (zh) * 2015-08-25 2019-05-17 佳能企业股份有限公司 连接模块及应用连接模块的电子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89649A (en) 1994-03-01 1999-03-30 Canon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a card-shaped adapter for smaller and larger storage medium
US6231360B1 (en) 1999-03-12 2001-05-1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mory card adapter
KR20030011704A (ko) * 2001-07-30 2003-02-11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카드 어댑터
KR20050109684A (ko) * 2004-05-17 2005-11-22 최정균 커넥터 인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97957B2 (ja) * 2002-05-28 2006-07-19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JP4441337B2 (ja) * 2004-06-15 2010-03-31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カメラ装着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89649A (en) 1994-03-01 1999-03-30 Canon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a card-shaped adapter for smaller and larger storage medium
US6231360B1 (en) 1999-03-12 2001-05-1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mory card adapter
KR20030011704A (ko) * 2001-07-30 2003-02-11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카드 어댑터
KR20050109684A (ko) * 2004-05-17 2005-11-22 최정균 커넥터 인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4619A (ko) 2008-07-09
CN101217222A (zh) 2008-07-09
US7713075B2 (en) 2010-05-11
US20080166896A1 (en) 2008-07-10
CN101217222B (zh) 2012-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0229B1 (ko) 전자기기의 커넥터 돌출구조
US7811101B2 (en) Retractable memory drive
US7661967B2 (en) Retractable memory drive
KR100401683B1 (ko) 카드 접속용 어댑터 및 안테나가 부착된 집적회로 카드
TW540191B (en) Thin-type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locking function
JP2003243093A (ja) Usbコネクタ
KR101390191B1 (ko) 정전 방전 기능을 갖는 전자기기
JP4968476B2 (ja) 電子機器及びそれに用いる筐体
US20020132521A1 (en) Connector system for use with handheld computers and accessory devices
US20020132511A1 (en) Connector scheme for use with handheld computers and accessory devices
JP3678716B2 (ja) 電子機器用機能拡張ユニットの固定機構
JP2004165851A (ja) 携帯型無線端末機
JP2978874B2 (ja) 電子機器用筐体
KR100850229B1 (ko) 수납 케이스
JP2004336155A (ja) 無線カード
KR200338281Y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팩 결합장치
JP5434645B2 (ja) Usbデバイス、usbデバイスの接続構造、及び電子機器システム
US20070172254A1 (en) Device holder with supporting member
JP2009110749A (ja) 携帯電子機器
JP3262516B2 (ja) コネクタホルダ
JP2006106826A (ja) カード型周辺装置
JP2000286013A (ja) ロック機構付きコネクタ
KR20070022035A (ko) 수직 끼워 맞춤 커넥터
KR101156687B1 (ko) 디지털 기기용 베이어넷 타입 크래들 및 이를 구비한디지털 기기 세트
CN110890661A (zh) 一种自带电源的高速数据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