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0227B1 - 간이 화상기를 추가한 디지털 촬영장치 - Google Patents

간이 화상기를 추가한 디지털 촬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0227B1
KR101310227B1 KR1020060130736A KR20060130736A KR101310227B1 KR 101310227 B1 KR101310227 B1 KR 101310227B1 KR 1020060130736 A KR1020060130736 A KR 1020060130736A KR 20060130736 A KR20060130736 A KR 20060130736A KR 101310227 B1 KR101310227 B1 KR 101310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mage
signal
light
photograph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0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7445A (ko
Inventor
이강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30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0227B1/ko
Publication of KR20080057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74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0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0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70SSIS architectures; Circuits associated therewith
    • H04N25/71Charge-coupled device [CCD] sensors; Charge-transfer registers specially adapted for CCD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Cameras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Photographic Or Optical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촬영장치에 관한 것으로, 디지털 촬영장치의 렌즈부를 수광부 측에서 발광부 측으로 이동시켜 프로젝터 모드로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화상기를 추가한 디지털 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디지털 촬영장치는 전원부와 고휘도 엘이디(LED)로 구현된 발광 모듈과 소형 엘씨디(LCD)를 탑재하고 발열 해소를 위한 방열 모듈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별도의 프로젝터를 구비할 필요가 없이 디지털 촬영장치에 내장된 사진을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디지털 촬영장치, 프로젝터

Description

간이 화상기를 추가한 디지털 촬영장치{Digital image photographing device having simplified presenter}
도 1은 종래 무비 촬영장치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 블럭도.
도 2a는 종래 뷰파인더의 개략적인 구성 단면도.
도 2b는 종래 뷰파인더 회로의 개략적인 구성 블럭도.
도 3a는 종래 프로젝터의 개략적인 구성 단면도.
도 3b는 종래 프로젝터 회로의 개략적인 구성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간이 화상기를 추가한 디지털 촬영장치의 촬영장치 모드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간이 화상기를 추가한 디지털 촬영장치의 화상기 모드을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간이 화상기를 추가한 디지털 촬영장치의 측면사시도.
본 발명은 디지털 촬영장치에 관한 것으로, 디지털 촬영장치의 렌즈를 수광부측에서 발광부측으로 이동시켜 프로젝터 모드로 사용하는 간이 화상기를 추가한 디지털 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 무비 촬영장치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피사체를 촬영하여 전기적 영상신호로 변환시키는 촬영장치부(1), 촬영장치부(1)로부터 출력된 영상신호를 휘도신호와 색신호로 이루어진 복합 영상신호로 만들기 위한 영상신호처리부(2), 영상신호처리부(2)로부터 출력된 복합 영상신호를 VCR 테이프에 기록하는 기록부(3b)와 VCR 테이프에 기록된 복합 영상신호를 재생하는 재생부(3a)를 포함하는 VCR부(3), VCR부(3) 또는 영상신호처리부(2)로부터 출력된 복합 영상신호가 내부의 액정표시소자(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5a)상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처리하기 위한 뷰파인더 회로(4), 뷰파인더 회로(4)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내부의 액정표시소자(5a)에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촬영중이거나 기촬영된 영상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뷰파인더(5)로 이루어진다.
도 2a는 제1도에 설명된 뷰파인더(5)를 보인 개략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뷰파인더 하우징(5b), 뷰파인더 하우징(5b)내에 설치된 LCD판넬(5b), LCD판넬(5b) 전방에 설치된 제1편광판(5c), LCD판넬(5b) 후방에 설치된 제2편광판(5b), 제2편광판(5b)의 후방에 인접되게 설치된 광원(5e), 제 1편광판(5c)의 전방에 설치된 아이(eye)렌즈(5f)로 구성된 것이다.
도 2b는 제1도에 설명된 뷰파인더 회로(4)의 개략적인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장치부(1)를 통해 촬영되는 피사체의 영상신호를 LCD판넬(5b)상에 디스플레이 가능토록 처리하는 신호처리부(4a)와, 신호처리부(4a)의 출력신호에 따라 LCD판넬(5b)를 구동시켜 피사체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LCD구동부(4b)와, 신호처리부(4a) 및 LCD구동부(4b)에 LCD판넬(5b)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수평측과 수직측의 동기를 맞추기 위한 동기신호를 제공하는 동기제어부(4c), LCD판넬(5b)에 백라이트(back light)를 제공하도록 광원(5e)을 구동시키는 광원 구동부(4d)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무비 촬영장치 시스템의 동작을 도 1 및 도 2를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촬영장치부(1)는 피사체를 촬영한 후 전기적인 영상신호를 발생한다. 이 영상신호는 영상신호처리부(2)로 보내지고, 영상신호처리부(2)는 영상신호를 휘도신호(Y)와 색신호(C)로 이루어진 복합 영상신호로 변환시킨후 VCR부(3)로 전송하면 VCR부(3)의 기록부(3b)는 이 신호를 VCR 테이프에 녹화시킨다. 또한 영상신호처리부(2)가 뷰파인더 회로(4)에 영상신호를 전송하면 뷰파인더 회로(4)는 뷰파인더(5)내의 LCD판넬(5a)에서 이 신호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처리한 후, 처리된 신호를 LCD판넬(5a)에 제공한다. 따라서, LCD판넬(5a)에는 소정 영상이 디스플레이 된다. 이 LCD 판넬(5a)에 디스플레이된 영상은 광원(5e)에 의해서 적당한 밝기로 비춰지고, 사용되는 아이렌즈(5f)를 통해서 LCD 판넬(5a)에 맺어진 영상을 들여다 보면서 피사체를 촬영할 수 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촬영하는 도중에도 촬영되는 영상을 뷰파인더(5)를 통해서 모니터링 할 수 있지만 VCR 테이프로부터 재생된 영상신호 또한 뷰파인더(5)를 통해서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도 3a는 종래의 프로젝터(6)의 개략적인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젝터 하우징(6a)내의 중간부에 설치된 LCD판넬(6b), LCD판넬(6b)의 전방에 설치된 제1편광판(6c), LCD판넬(6b) 후방에 설치된 제2판광판(6b), 제2편광판(6d)의 후방에 일정 거리를 두고 설치된 광원(6e), 프로젝터 하우징(6a)의 개구부에 설치된 프로젝터 렌즈(6f)로 구성된다. 이러한 LCD 뷰파인더 내장한 캠코더는 일본의 SONY사 또는 SANYO사 등에서 제공화되어 시판되고 있다.
도 3b는 도 3a에 나타낸 프로젝터를 동작시키기 위한 프로젝터 회로(7)의 구성 블럭도로서,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와 무비 촬영장치 시스템 및 텔레비젼 수상기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LCD 판넬(6b)상에 디스플레이 가능토록 처리하는 신호처리부(7a)와, 신호처리부(7a)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가 LCD판넬(6b)에 디스플레이되도록 LCD판넬(6b)을 구동시키는 LCD구동부(7b)와, LCD판넬(6b)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신호의 수직 및 수평동기를 맞추기 위한 동기제어부(7c)와, 광원(6e)의 출력을 제어하는 광원제어부(7d),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또는 무비 촬영장치 시스템 또는 텔레비젼 수상기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처리하여 스피커(SP)를 통해 출력하는 음성신호처리부(7e)로 구성된다. 이러한 프로젝터는 일본의 SANYO사와 FUJIZ사 등에서 제품화되어 시판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프로젝터(projector)의 동작을 도 3a 및 도 3b를 참 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또는 켐코더 또는 텔레비젼 수상기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는 신호처리부(7)에 의해 LCD 판넬(6b)상에서 디스플레이 가능한 상태로 처리된 후 LCD구동부(7b)에 입력된다. LCD구동부(7b)는 LCD판넬(6b)를 구동시켜, 신호처리부(7a)의 출력신호를 LCD 판넬(6b)상에 디스플레이시킨다. 이때 동기제어부(7c)는 LCD판넬(6b)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신호의 수평 및 수직동기를 맞추어지고, 광원제어부(6e)는 LCD판넬(6b)상에 디스플레이된 영상이 일스크린상에 프로젝터되도록 광원(6e)의 광량을 제어한다. 따라서, 광원(6e)에서 출력되는 적절한 세기의 광에 의해 LCD판넬(6b)에 디스플레이된 영상이 프로젝터렌즈(6f)에서 접속되고, 이어서, 전방에 설치되는 일스크린상에 프로젝터된다. 그러므로 스크린상에는 소정영상이 디스플레이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들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는다.
첫째, 뷰파인더만을 구비한 일반적인 무비 촬영장치 시스템은 촬영중이거나 촬영된 영상을 단지 한사람만이 뷰파인더를 통해 모니터링할 수 있었다. 즉, 사용자가 야외로 피크닉을 간 경우에는 야외에 별도의 모니터나 텔레비젼 수상기가 없기 때문에, 촬영을 여러 사람이 동시에 모니터링할 수 없었다.
둘째, 가정이나 회사에서, 무비 촬영장치 시스템으로 촬영한 영상을 여러 사람이 동시에 보고자 할 경우에는 무비 촬영장치 시스템을 텔레비젼 수상기 또는 모니터에 연결하여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더욱이, 텔레비젼 수상기나 모니터는 화면의 크기(size)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여러 사람에게 큰 스크린(wide screen)을 제공할 수 없었다.
셋째, 종래에는 무비 촬영장치 시스템으로 촬영한 영상을 여러 사람이 큰 스크린을 통해 동시에 보기 위해서는, 프로젝터 장치를 별도로 구입하여 이것을 무비 촬영장치 시스템에 연결하여야만 했다.
넷째, 영화의 스크린과 같이 큰 스크린을 통해 무비 촬영장치 시스템의 영상을 보기 위해서는 프로젝터 장치를 별도로 구비하여야 했으므로, 사용자에게 경제적인 부담을 주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창안된 것으로, 디지털 촬영장치의 렌즈를 수광부측에서 촬영장치 모드로 사용하다가, 렌즈를 발광부측으로 이동시켜 프로젝터 모드로 사용하는 간이 화상기를 추가한 디지털 촬영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디지털 촬영장치는, 디지털 촬영장치에 있어서, 렌즈부를 통해 피사체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실물 이미지를 인가 받는 수광부와;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LCD에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이미지신호를 제어신호에 따라 수평/수직의 동기화된 신호로 변환시키는 제어부와, 광량을 조절하는 광량조절부와, 조절된 광량의 광원을 발생시키는 광원부와, 출력 이미지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엘씨디(LCD)와, 디스플레이되는 확대 이미지를 편광시키는 편광판과, 확대 이미지의 초점을 맞추는 렌즈부로 구성된 발광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발광부의 일측에 상기 발광부의 발열을 해소시키기 위한 방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광부는 전면 피사체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광 이미지신호를 전기적인 이미지신호로 변환하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이미지센서와, 이미지신호를 자동으로 이득 조절하고 광 이미지신호를 샘플링 홀딩과 흔들림 방지하는 샘플앤드홀더와, 샘플링 이미지신호를 처리하여 RGB 형태의 휘도와 색신호를 가미하여 촬영 이미지를 형성하는 신호처리부와, 촬영 이미지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렌즈부는 수광부측에서 발광부측으로 이동 가능하고, 촬영장치 모드 또는 프로젝터 모드로 사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간이 화상기를 추가한 디지털 촬영장치의 촬영장치 모드를 보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간이 화상기를 추가한 디지털 촬영장치의 화상기 모드를 보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간이 화상기를 추가한 디지털 촬영장치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광부(71)와 발광부(61)는 전원부(51)에서 전원이 공급되며, 상기 수광부(71)는 촬영장치의 전면에 가변 설치된 렌즈부(91)를 통해 피사체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실물 이미지를 인가 받는다. 이어서, 상기 실물 이미지는 CCD 이미지센서를 통과하여 광이미지신호로 변환된다. 이때, 상기 CCD 이미지센서는 광 이미지신호를 자동으로 이득 조절하여 출력한다.
이어서, 상기 이득 조절된 광 이미지신호를 샘플앤드홀더를 통과시켜 샘플링 홀딩함과 흔들림 방지를 하여 샘플링 이미지신호를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샘플링 이미지신호를 R(적색신호), G(녹색신호), B(청색신호) 형태의 휘도와 색 신호를 가미하여 촬영 이미지로 메모리부에 저장한다. 또한, 발광부는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촬영 이미지를 수광부와 연계된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순차적으로 인가 받는다.
이어서, 상기 촬영 이미지를 제어부에 의해 수평/수직의 동기화된 디스플레이 이미지신호로 변환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에 따라서 광량을 조절하기 위해 광량조절부를 두어 조절신호를 발생한다. 아울러, 상기 조절신호에 따라서 조절된 집광량의 광원을 광원부를 통해 발생한다.
이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출력된 디스플레이 이미지신호를 엘씨디(LCD, 81)와 렌즈부를 통과시켜 휘도와 색의 필터링 및 매트릭스 형태의 픽셀들로 형성하여 확대 이미지신호로 외부로 확대 이미지를 출력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상기 엘씨디(81) 상에 제공되는 확대 이미지에 편광판을 가미하여 이미지의 전면에 편광을 시켜 이미지 외부 출력한다. 아울러, 상기 발광부의 일측에 방열부를 두어 발열을 해소하게 된다.
여기서, 실시 과정에서 조리개와 셔터와 뷰파인더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구성으로 제공되는 것이므로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상기 렌즈부(91)는 수광부(71) 또는 발광부(61) 측의 어느 하나의 전면에 설치되어 입사하는 피사체에 대한 광 이미지신호를 수취하여 수광부(71)로 인가하거나 상기 발광부(61)를 통해 확대 이미지신호를 외부 출력하기 위해 다수의 통상 렌즈와 조리개와 편광판을 통과하는 광이미지의 초점을 맞추기 위하여, LCD(81)와의 거리를 조절하게 된다. 이때, 하나의 렌즈부(91)를 수광부(71) 측으로 이동하거나 발광부(61) 측으로 이동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 촬영장치는 수광부(71) 또는 발광부(61) 측의 어느 하나의 전면에 렌즈부(91)를 두어 촬영장치 모드를 하거나 프로젝터 모드 기능을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간이 화상기를 추가한 디지털 촬영장치는 이미지 촬영 기능만을 가지며 촬영된 이미지를 감상하기 위해서는 촬영장치의 PC나 TV의 모니터를 사용해야 하는 제약사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용 디지털 촬영장치 내에 촬영장치 모드와 프로젝터 모드를 모두 탑재하여 소형화 및 휴대가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디지털 촬영장치에 있어서,
    렌즈부를 통해 피사체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실물 이미지를 인가받는 수광부; 및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LCD에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이미지신호를 제어신호에 따라 수평/수직의 동기화된 신호로 변환시키는 제어부, 광량을 조절하는 광량조절부와, 조절된 광량의 광원을 발생시키는 광원부, 출력 이미지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엘씨디(LCD), 디스플레이되는 확대 이미지를 편광시키는 편광판 및 확대 이미지의 초점을 맞추는 렌즈부를 포함하는 발광부;
    를 포함하는 간이 화상기를 추가한 디지털 촬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부는,
    전면 피사체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광 이미지신호를 전기적인 이미지신호로 변환하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이미지센서;
    이미지신호를 자동으로 이득 조절하고 광 이미지신호를 샘플링 홀딩과 흔들림 방지하는 샘플앤드홀더;
    샘플링 이미지신호를 처리하여 RGB 형태의 휘도와 색신호를 가미하여 촬영 이미지를 형성하는 신호처리부; 및
    촬영 이미지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화상기를 추가한 디지털 촬영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수광부측에서 발광부측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화상기를 추가한 디지털 촬영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촬영장치 모드 또는 프로젝터 모드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화상기를 추가한 디지털 촬영장치.
KR1020060130736A 2006-12-20 2006-12-20 간이 화상기를 추가한 디지털 촬영장치 KR101310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0736A KR101310227B1 (ko) 2006-12-20 2006-12-20 간이 화상기를 추가한 디지털 촬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0736A KR101310227B1 (ko) 2006-12-20 2006-12-20 간이 화상기를 추가한 디지털 촬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7445A KR20080057445A (ko) 2008-06-25
KR101310227B1 true KR101310227B1 (ko) 2013-09-24

Family

ID=39803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0736A KR101310227B1 (ko) 2006-12-20 2006-12-20 간이 화상기를 추가한 디지털 촬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022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2314A (ko) * 2004-12-03 2006-06-12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디지털 카메라에서 촬영 영상에 객체를 합성하는 장치 및방법
KR20060102886A (ko) * 2005-03-25 2006-09-28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개인적 촬영 조건들을 사용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사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KR20060102887A (ko) * 2005-03-25 2006-09-28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촬영 위치의 명칭이 디스플레이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2314A (ko) * 2004-12-03 2006-06-12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디지털 카메라에서 촬영 영상에 객체를 합성하는 장치 및방법
KR20060102886A (ko) * 2005-03-25 2006-09-28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개인적 촬영 조건들을 사용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사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KR20060102887A (ko) * 2005-03-25 2006-09-28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촬영 위치의 명칭이 디스플레이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7445A (ko) 200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34336B2 (en)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using the same
WO2013094891A1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0630835B1 (ko) 동영상 재생장치
KR2013003117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JP2008033930A (ja) 画像再生装置
US20060176387A1 (en) Image-taking apparatus
JP5037966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10104291B2 (en) Imaging device
KR101310227B1 (ko) 간이 화상기를 추가한 디지털 촬영장치
JP7110985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058028B1 (ko) 두 개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 디지털 카메라
WO2022153682A1 (ja) 撮像装置、撮像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4793137B2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画像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0023004A (ja) デジタルカメラ
JP4803967B2 (ja) 静止画と動画を撮影可能な撮影装置及び撮影準備方法
JP3978522B2 (ja) 電子カメラ
JP4794651B2 (ja) 静止画と動画を撮影可能な撮影装置及び撮影方法
KR100736936B1 (ko) 재생영상의 색일치방법 및 이를 적용한 촬영장치
JP2010021960A (ja) テレビカメラの照明兼用液晶表示装置
JP2017199986A (ja) 撮像装置
JP2010136158A (ja) 外部表示装置を備える撮像装置
JPH0686108A (ja) 投影機能を備えた電子ビューファインダ
JPS63107373A (ja) 携帯用撮像装置
JPH10136240A (ja) カメラ一体型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2007060436A (ja) 映像記録再生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