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7933B1 - 즉석 떡 제조용 용기 - Google Patents

즉석 떡 제조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7933B1
KR101307933B1 KR1020110113984A KR20110113984A KR101307933B1 KR 101307933 B1 KR101307933 B1 KR 101307933B1 KR 1020110113984 A KR1020110113984 A KR 1020110113984A KR 20110113984 A KR20110113984 A KR 20110113984A KR 101307933 B1 KR101307933 B1 KR 1013079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cake
container
steam
cooking vessel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3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9005A (ko
Inventor
서성용
Original Assignee
뉴퓨리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뉴퓨리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뉴퓨리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3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7933B1/ko
Publication of KR20130049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90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7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79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2Multiple-unit cooking vessels
    • A47J27/13Tier 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즉석 떡 제조용 용기는 내부에 떡재료가 수용된 컵 형상의 조리용기부, 상기 조리용기부의 개구를 개폐하는 용기덮개부, 외부의 증기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수증기를 상기 조리용기부 내부로 유입시켜 상기 떡재료가 떡으로 조리되도록 하는 증기유입부, 및 상기 용기덮개부를 관통하여 외부로부터 상기 조리용기부 내부로 삽입된 막대 형상의 떡손잡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증기유입부는 증기공급부의 출구와 대향하는 상기 조리용기부의 저면에 형성된 복수의 통공이고, 상기 떡손잡이부의 일부분은 상기 용기덮개부의 외부에 위치하고, 나머지 부분은 조리용기부 내부에서 상기 떡재료에 매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즉석 떡 제조용 용기는 용기덮개부에 결합되어 일부는 조리가 완료된 떡의 내부에 매입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용기덮개부의 외부로 노출된 막대 형상의 떡손잡이부를 별도로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갓 조리된 떡을 취식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상기 떡손잡이부를 이용하여 안전하고 용이하게 떡을 파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즉석 떡 제조용 용기{Container for Making Instant Rice-cake}
본 발명은 즉석에서 간편하게 다양한 종류의 떡을 제조할 수 있는 즉석 떡 제조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떡의 주재료인 쌀가루와 콩, 호박, 건포도 등의 부재료가 혼합되어 있는 떡조리용기의 내부에 외부에서 공급되는 고압의 수증기를 유입시켜 즉석에서 간편하고 신속하게 떡을 제조할 수 있음은 물론 취식시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하고 취식이 완료된 용기를 아이스바 제조용기 등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즉석 떡 제조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건강을 위해 먹거리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고지방의 인스턴트 음식보다는 웰빙 음식인 한국의 전통음식에 대한 관심이 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떡은 곡류를 기본 재료로 한 가공식품이기 때문에 콜레스테롤의 누적과 같은 위험부담을 줄일 수 있으면서도 식사 대용이나 간식용으로 간편하게 이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떡은 부족국가시대 때부터 만들어져 온 한국 고유의 음식이기 때문에 한국 사람들에게 매우 친근할 뿐만 아니라 첨가되는 재료 및 가공방식에 따라 쑥떡, 호박떡, 백설기, 인절미 등 그 종류도 매우 다양하게 개발될 수 있기 때문에 다변화된 현대인의 입맛에 민감하게 대응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그러나, 상기 떡은 그 제조를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쌀을 불리고 빻아 쌀가루를 만든 후 이를 찜통에서 쪄내는 공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햄버거와 같이 즉석에서 신속하게 조리되는 서양의 패스트푸드와 대비할 때 제조시간이 상대적으로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기술에 의하여 제조되는 떡은 서양의 패스트푸드와 대비할 때 영양이나 건강 측면에서 많은 장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구매자의 요청이 있을 때마다 즉석에서 신속하게 조리될 수 없기 때문에 신속하고 간편한 식생활에 익숙해진 현대인들에게 널리 보급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최근에는 아래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증기발생장치에서 발생된 증기를 이용하여 즉석에서 떡조리용기 내부의 떡을 조리하는 즉석 떡 제조장치 등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에 따른 즉석 떡 제조장치에 사용되는 떡조리용기의 경우 조리된 떡을 취식할 때 사용자가 용기 외면을 직접 파지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금방 조리된 떡의 경우 용기의 외면이 매우 뜨거워서 파지가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나아가 상기 떡조리용기는 취식과정에서 훼손이 불가피한 일회용이기 때문에 자원의 낭비와 환경오염을 야기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1. 한국공개특허 제2010-0020499호(2010. 2. 22. 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떡조리용기의 내부에 외부에서 공급되는 고압의 수증기를 유입시켜 즉석에서 간편하고 신속하게 떡을 제조할 수 있음은 물론 취식시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하고 취식이 완료된 용기를 아이스바 제조용기 등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즉석 떡 제조용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즉석 떡 제조용 용기는 내부에 떡재료가 수용된 컵 형상의 조리용기부, 상기 조리용기부의 개구를 개폐하는 용기덮개부, 외부의 증기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수증기를 상기 조리용기부 내부로 유입시켜 상기 떡재료가 떡으로 조리되도록 하는 증기유입부, 및 상기 용기덮개부를 관통하여 외부로부터 상기 조리용기부 내부로 삽입된 막대 형상의 떡손잡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증기유입부는 증기공급부의 출구와 대향하는 상기 조리용기부의 저면에 형성된 복수의 통공이고, 상기 떡손잡이부의 일부분은 상기 용기덮개부의 외부에 위치하고, 나머지 부분은 조리용기부 내부에서 상기 떡재료에 매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떡손잡이부의 나머지 부분의 외주면에는 조리가 완성된 떡이 떡손잡이부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복수의 미끄럼방지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리용기부, 용기덮개부, 및 떡손잡이부는 각각 종이, 금속 또는 플라스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즉석 떡 제조용 용기는 용기덮개에 결합되어 일부는 조리가 완료된 떡의 내부에 매입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용기덮개의 외부로 노출된 막대 형상의 떡손잡이를 별도로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갓 조리된 떡을 취식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상기 떡손잡이를 이용하여 안전하고 용이하게 떡을 파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즉석 떡 제조용 용기는 상기 조리된 떡의 내부에 매입되는 떡손잡이의 외면에 복수의 미끄럼방지 돌기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취식단계에서 떡이 떡손잡이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즉석 떡 제조용 용기는 취식단계에서 용기의 훼손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취식이 완료된 이후에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가정에서 아이스바 제조용기 등으로 재활용될 수 있어서 자원낭비 및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1과 도2는 각각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즉석 떡 제조용 용기에 수용된 떡재료를 조리하기 위한 떡 제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및 정면도,
도3a와 도3b는 각각 도2의 증기발생부에 대한 B-B부 및 C-C부 단면도,
도4a는 도1에 도시한 용기거치대의 평면도,
도4b는 도4a의 용기거치대에 덮개판이 결합된 상태에서의 D-D부 단면도,
도4c는 도4b의 용기거치대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즉석 떡 제조용 용기가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5는 도1에 도시한 떡저장부에 대한 A-A부 단면도,
도6a는 도4c에 도시한 즉석 떡 제조용 용기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6b는 도6a의 즉석 떡 제조용 용기에 대한 G-G부 단면도,
도6c는 도6b의 즉석 떡 제조용 용기에 떡재료가 수용되기 이전의 H-H부 단면도,
도7은 도1에 도시한 떡 제조장치의 동작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및
도8은 도1에 도시한 떡 제조장치의 동작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과 도2는 각각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즉석 떡 제조용 용기에 수용된 떡재료를 조리하기 위한 떡 제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및 정면도이고, 도3a와 도3b는 각각 도2의 증기발생부에 대한 B-B부 및 C-C부 단면도이다.
또한, 도4a는 도1에 도시한 용기거치대의 평면도이고, 도4b는 도4a의 용기거치대에 덮개판이 결합된 상태에서의 D-D부 단면도이고, 도4c는 도4b의 용기거치대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즉석 떡 제조용 용기가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5는 도1에 도시한 떡저장부에 대한 A-A부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떡 제조장치(1)는 물을 가열하여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증기발생부(10), 상기 증기발생부(10)의 상부에 배치되어 증기발생부(10)에서 발생된 수증기를 이용하여 즉석에서 떡을 제조하는 떡제조부(20) 및 상기 떡제조부(20)에서 제조된 떡을 적정한 온도로 보관하는 떡저장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증기발생부(10)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제1하우징(11), 상기 제1하우징(11) 내부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12), 상기 급수된 물을 가열하여 미리 정해진 압력 및 온도 범위내의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가열장치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하우징(11)은 내부에 발생된 수증기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밀폐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일정 압력의 증기압을 견딜수 있는 금속재 또는 강화 플라스틱 등과 같은 내압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하우징(11)은 가열장치부(13)의 유지보수를 위하여 일측에 개폐가 가능한 제1하우징도어(미도시)를 더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는 상기 제1하우징도어를 폐쇄한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제1하우징(1) 내부에 밀폐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제1하우징(11)과 제1하우징도어 사이에 개스킷 등의 기밀부재(미도시)가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급수관(12)은 제1하우징(11) 내부에 외부로부터 물(일예로서, 생수 등)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급수관(12)의 중도에는 제1하우징(11) 내부의 수위에 따라 물을 공급하거나 차단하기 위한 급수밸브부(1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열장치부(13)는 제1하우징(11)의 내부 하측에 설치되어 급수관(12)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여 수증기를 발생시키는데, 상기 가열장치부(13)는 외부 전원에 의하여 작동되는 히터장치 또는 축열장치 등에 의하여 바람직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장치부(13)의 외부에는 물이끼와 같은 이물질이 가열장치부(13)의 외부 표면에 부착되어 열전달 효율을 저감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15)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커버(15)의 내부에는 열전달 계수가 우수한 열매체(16)가 충진되어 열전달 효율을 더욱 향상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증기발생부(10)는 급수관(12)을 통해 미리 정해진 수위만큼 물이 공급된 후 가열장치부(13)에 의하여 상기 공급된 물을 가열함으로써 일정한 범위내의 압력 및 온도를 가지는 수증기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발생된 수증기는 상기 제1하우징(11)의 내부 상측 공간(즉, 수면 위의 공간)에서 일정한 범위내의 증기압을 형성하다가 후술하는 증기배출관(21)을 통해 떡제조부(20)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떡제조부(20)는 제1하우징(11)의 내부에 생성된 증기를 배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증기배출관(21), 상기 증기배출관(21)의 상측에 설치되고 떡재료를 수용한 즉석 떡 제조용 용기(140)가 거치되는 용기거치대(22), 및 상기 증기배출관(21)과 용기거치대(22)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1하우징(11)의 상부에 설치된 제2하우징(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증기배출관(21)은 제1하우징(11)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제1하우징(11)의 상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어 돌출된 관형상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증기배출관(21)에는 증기배출여부 및 배출되는 증기의 압력을 제어하는 압력제어밸브부(2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용기거치대(22)는 하부에 설치된 증기배출관(21)의 출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즉석 떡 제조용 용기(140)가 거치되는 거치공(22a)이 형성된 판 형상으로 구성되는데, 배출되는 증기의 압력 및 온도를 견딜 수 있도록 금속재 또는 강화플라스틱 등과 같은 내열 및 내압성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떡제조부(20)는 상기 용기거치대(22)의 거치공(22a)에 즉석 떡 제조용 용기(140)가 안착되면 상기 증기배출관(21)의 출구로부터 즉석 떡 제조용 용기(140)의 하부에 고온고압의 수증기를 배출함으로써 즉석 떡 제조용 용기(140) 내부에 수용된 떡재료를 조리하여(즉, 쪄서) 떡을 완성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용기거치대(22)의 상부에는 수증기 공급시 압력에 의하여 즉석 떡 제조용 용기(140)가 거치공(22a)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덮개판(22b)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덮개판(22b)의 일측에는 개폐를 위한 덮개판손잡이(22c)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덮개판(22b)에는 도4b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도4c와 같이 거치공(22a)에 즉석 떡 제조용 용기(140)가 안착되는 경우 후술하는 떡손잡이(147)가 통과될 수 있는 떡손잡이 피난홀(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거치공(22a)의 외부 일측에는 즉석 떡 제조용 용기(140)와 거치공(22a) 사이에 배출된 수증기가 용기거치대(22)의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증기배출홈(22d)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하우징(23)에는 외부에서 개폐가 가능한 제2하우징도어(23a) 및 제2하우징도어손잡이(23b)가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즉석 떡 제조용 용기(140)를 거치공(22a)에 위치시키거나 떡의 조리가 완성된 즉석 떡 제조용 용기(140)를 꺼낼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떡저장부(30)는 떡의 조리가 완성된 즉석 떡 제조용 용기(140)를 진열하기 위한 진열대(31) 및 상기 진열대(31)가 내부에 설치된 제3하우징(3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진열대(31)는 필요에 따라 복수의 진열공(31a)을 구비한 패널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3하우징(32)은 제2하우징(23)의 일측에 별도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3하우징(32)은 제2하우징(23)의 상부에 설치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상기 제3하우징(32)에는 즉석 떡 제조용 용기(140)의 수납을 위하여 개폐가 가능한 제3하우징도어(32a) 및 제3하우징도어손잡이(32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3하우징(32)의 바닥면에는 제2하우징(23)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복수의 증기순환공(33)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떡제조부(20)에서 떡을 제조하는데 사용된 폐수증기를 제3하우징(32)의 내부로 유입함으로써 상기 폐수증기에 포함된 잔열을 이용하여 진열대(31)에 진열된 즉석 떡 제조용 용기(140)를 보온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떡 제조장치는 사용자가 떡 제조장치에 공급되는 주전원을 인가하거나 동작시키고자 하는 압력제어밸브부(24)를 선택하는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61)와, 상기 입력된 신호 또는 떡 제조장치의 전체적인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62)가 상기 제1하우징 내지 제3하우징(11,23,32)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표시부(62)는 LCD와 같은 통상의 디스플레이장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표시부(62)에 표시되는 떡 제조장치의 동작상태 중 일부는 원거리 또는 야간에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복수의 램프(63)를 통해서도 나타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입력부(61)와 표시부(62)의 구체적인 구성은 전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범위내에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술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여러 가지 다양한 방식으로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일예로서 상기 입력부(61) 및 표시부(62)를 제1하우징(11)의 전면에 설치하였으며, 상기 입력부(61)는 온오프되는 토글식 버튼으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대응되는 버튼을 누르는 것에 의해 동작시키고자 하는 압력제어밸브부(24)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떡 제조장치는 제1하우징(11) 내부에 발생된 수증기의 압력 또는 온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기 위한 온압센서부(65)가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온압센서부(65)는 통상의 압력센서 또는 온도센서를 이용하여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포화수증기의 경우 온도 또는 압력 중 어느 하나를 감지하면 열역학적 테이블 또는 그래프를 이용하여 다른 하나를 알 수 있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온압센서부(65)라 함은 압력센서와 온도센서를 모두 구비하는 경우는 물론 압력센서나 온도센서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하는 경우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떡 제조장치는 제1하우징(11) 내부의 수증기를 바이패스시켜 사용하는 증기청소부(70)를 더 구비하는데, 상기 증기청소부(70)는 일측 단부가 제1하우징(11)에 연결된 플렉시블한 호스 타입의 바이패스관(71)과 상기 바이패스관(71)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어 방아쇠의 작동에 의해 수증기를 배출 또는 차단하는 건타입의 증기건(7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바이패스관(71)의 중도에는 수증기가 공급되는 유로를 개폐하는 바이패스밸브(73)를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이는 사용자 등이 부주의하게 증기건(72)을 조작하여 고온고압의 수증기가 배출되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바이패스밸브(73)는 사용자에 의하여 수동으로 조작되는 기계식 밸브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전술한 방식으로 사용자가 입력부(61)에 바이패스밸브(73)의 동작시키는 신호를 입력할 경우 후술하는 제어부(100)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동작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떡 제조장치는 장치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컴 또는 PLC 등의 제어부를 포함하는 컨트롤박스(75)를 더 구비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일예로서 상기 컨트롤박스(75)를 제2하우징(23)의 상부에 설치하였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떡 제조장치(1)는 장치의 이동 및 설치를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제1하우징(11)의 하부에 바퀴부(80)를 설치하였는데, 상기 바퀴부(80)는 잠금 및 잠금해제 장치와 높이조절장치를 구비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일예로서 바이패스관(71)에 바이패스밸브(73) 및 증기건(72)이 형성된 경우를 일예로서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다양한 용도의 변형예의 실시도 가능하다.
즉, 상술한 떡 제조장치가 가정용인 경우에는 상기 바이패스관(71)의 단부는 증기건(72) 대신에 필요에 따라 증기를 사용하는 스팀청소기 또는 스팀다리미의 증기공급부에 결합되어 사용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상기 바이패스관(71)의 단부는 이들의 증기공급부와 밀봉결합이 가능한 커플러 등의 연결장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바이패스관(71)의 단부는 단순히 증기를 배출할 수 있는 증기배출구의 구조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용기(일예로서, 빨래 삶는 통, 세탁조 또는 욕조) 등에 증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바이패스관(71)의 단부에 상술한 바와 같이 증기건, 스팀청소기 또는 스팀다리미가 연결되거나 단순 증기배출구가 형성된 경우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밸브(73)는 배출되는 스팀의 용도에 따라 배출압력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압력조절기 또는 압력제어밸브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는 제1하우징(11) 내부에 형성된 고압의 증기가 배출되는 과정에서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예로서 상기 바이패스밸브(73)는 상압(즉, 대기압)의 증기를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떡 제조장치에 적용되는 즉석 떡 제조용 용기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6a는 도4c에 도시한 즉석 떡 제조용 용기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6b는 도6a의 즉석 떡 제조용 용기에 대한 G-G부 단면도이고, 도6c는 도6b의 즉석 떡 제조용 용기에 떡재료가 수용되기 이전의 H-H부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즉석 떡 제조용 용기(140)는 상부에 개구가 형성된 사발 또는 컵 형상의 조리용기(141),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용기덮개(142), 및 상기 용기덮개(142)를 관통하여 외부로부터 상기 조리용기(141) 내부로 삽입된 막대 형상의 떡손잡이(14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조리용기(141)는 상부에 형성된 개구를 통하여 내부에 쌀가루와 같은 떡의 주재료(143) 및 쑥, 호박, 건포도, 견과류와 같은 떡의 부재료(144)의 혼합물이 수용된 후 용기덮개(142)가 상기 개구부에 결합됨으로써 밀폐된다.
이때, 상기 조리용기(141)는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통상의 종이컵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이와 다르게 외측면이 물결무늬 또는 V자홈 형상으로 주름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는 거치공(22a)과 조리용기(141)의 외측면 사이에 증기유로를 형성함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수증기가 상기 즉석 떡 제조용 용기(140)에 공급되는 과정에서 조리용기(141)의 외측면으로 배출된 수증기가 외부로 용이하게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용기덮개(142)는 트위스트 방식 또는 억지끼움 방식과 같은 통상의 용기뚜껑 개폐방식에 의하여 조리용기(141)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떡손잡이(147)는 억지끼움 방식, 또는 기밀부재나 접착부재 등으로 결합부를 밀폐하는 방식으로 상기 용기덮개(142)에 결합되거나 용기덮개(14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떡손잡이(147)의 일부분은 상기 용기덮개(142)의 외부에 위치하고, 나머지 부분은 조리용기(141)의 내부에서 상기 떡재료(143,144)에 매입된 상태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즉석 떡 제조용 용기(140)는 외부의 증기공급부(즉, 본 실시예에서는 증기배출관(21))에서 공급되는 수증기를 상기 조리용기(141)의 내부로 유입시켜 상기 떡재료(143,144)가 떡으로 조리되도록 하는 증기유입부(미도시)를 더 구비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일예로서 상기 증기유입부를 증기배출관(21)의 출구와 대향하는 상기 조리용기(141)의 저면에 형성된 복수의 통공(145a)으로 구성하였다.
이때, 상기 증기배출관(21)의 직경은 조리용기(141)의 저면 면적에 대응되도록 정해질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출구 부분만 상기 조리용기(141)의 저면 면적에 대응되도록 확관시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통공(145a)은 위생상의 이유로 즉석 떡 제조용 용기(140)를 조리 이전 상태에서 보관하는 경우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가, 떡을 조리하고자 하는 경우에 천공기구(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통공(145a)은 유입되는 고온고압의 수증기가 조리용기(141)의 내부 전체에 속도를 가지고 고르게 유입될 수 있도록 샤워기 헤드와 같이 균일한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관통공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증기배출관(21)의 증기 배출압력이 지나치게 낮게 설정되면 수증기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아서 빠른 시간내의 떡조리가 곤란해짐은 물론 통공(145a)을 통해 유입되는 수증기의 유속이 낮기 때문에 부재료(144) 상부측에서 떡이 설익게 되는 품질상의 문제도 야기될 수 있기 때문에 적정 압력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조리용기(141) 내부에 수용된 상기 떡손잡이(147)의 외주면에는 조리가 완성된 떡이 떡손잡이(147)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복수의 미끄럼방지 돌기(147a)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술한 조리용기(141), 용기덮개(142) 및 떡손잡이(147)는 각각 종이, 금속 또는 플라스틱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선택되는 재질은 고온조리시에도 환경호르몬과 같은 유해 성분을 방출하지 않는 안전한 재질이어야 한다.
즉, 상기 조리용기(141)는 종이, 금속, 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구성되거나 이들을 혼합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용기덮개(142)와 떡손잡이(147)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특히, 상기 구성요소(141, 142, 147)들을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폴리프로필렌(PP)과 같이 친환경적이고 유해성분(예를 들어, 비스페놀 A)을 포함하지 않는 재질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즉석 떡 제조용 용기(140)는 떡재료(143,144)가 내부에 수용된 후 포장된 형태로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즉석 떡 제조용 용기(140)의 외부에 상기 떡재료(143,144)의 종류를 표시함으로써 구매자가 자신이 원하는 떡재료가 수용된 즉석 떡 제조용 용기(140)를 용이하게 구매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와는 달리 상기 즉석 떡 제조용 용기(140)는 구매자가 직접 떡재료(143,144)를 즉석에서 선택하면 사용자가 선택된 떡재료(143,144)를 빈 용기의 형태로 공급된 조리용기(141)에 담은 후 용기덮개(142)를 결합시켜서 떡을 조리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즉석 떡 제조용 용기(140)는 용기덮개(142)에 결합되어 일부는 조리가 완료된 떡의 내부에 매입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용기덮개(142)의 외부로 노출된 막대 형상의 떡손잡이(147)를 별도로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갓 조리된 떡을 취식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상기 떡손잡이(147)를 이용하여 안전하고 용이하게 떡을 파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즉석 떡 제조용 용기(140)는 상기 조리된 떡의 내부에 매입되는 떡손잡이(147)의 외면에 복수의 미끄럼방지 돌기(147a)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취식단계에서 떡이 떡손잡이(147)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즉석 떡 제조용 용기(140)는 취식단계에서 용기의 훼손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취식이 완료된 이후에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가정에서 아이스바 제조용기 등으로 재활용될 수 있어서 자원낭비 및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7은 본 실시예에 따른 떡 제조장치의 동작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8은 본 실시예에 따른 떡 제조장치의 상세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떡 제조장치(1)는 사용자에 의하여 동작시키고자 하는 압력제어밸브부(24)를 선택하는 신호가 입력부(61)에 입력되면, 제어부(100)는 온압센서부(65)와 수위센서부(110)의 출력을 판단하여 급수밸브부(14)와 압력제어밸브부(24)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00)는 타이머부(120)를 이용하여 상기 압력제어밸브부(24)가 미리 정해진 시간만큼 작동이 되도록 제어하는데,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은 떡재료, 압력제어밸브부(24)가 제어하는 수증기의 압력 또는 수증기의 온도 등에 따라 다르게 정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제어밸브부(24)가 제어하는 수증기의 압력은 각 장치부의 내압 및 내열강도, 떡의 조리시간 및 장치의 안전성을 고려하여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본 실시예에서는 일예로서 1 내지 10kgf의 범위내에서 정해지도록 구성하고 떡의 조리시간은 수십초 내지 수분에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는 입력부(61)에 입력된 내용, 상기 온압센서부(65)와 수위센서부(110)의 출력, 및 급수밸브부(14)와 압력제어밸브부(24)의 동작상태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부(62)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동작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에 따른 떡 제조장치(1)의 동작제어를 살펴보면, 먼저 전원이 인가된 후 제어부(100)는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압력제어밸브부(2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동작시키기 위한 신호를 입력부(61)를 통해 입력받게 된다(S100,S110).
상기 S110 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100)는 수위센서부(110)를 이용하여 제1하우징(11)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고(S120), 감지된 수위가 미리 정해진 최소 수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30).
이때, 상기 최소 수위는 사용자나 장치 제조자에 의하여 미리 설정되는 값으로서, 일정시간 동안 본 발명에 따른 떡 제조장치(1)를 동작시키는 경우 상기 가열장치부(13)가 수면밖으로 노출되어 과열되거나 불필요한 에너지를 낭비하는 일이 없이 공급된 물과의 유효한 열전달을 통하여 수증기를 안정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는 수위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S130 단계의 판단결과 감지된 수위가 최소 수위 이하인 경우이면, 상기 제어부(100)는 급수밸브부(14)를 구동하여 최소 수위가 유지될 때까지 급수를 하게 된다(S140).
반면에, 상기 S130 단계의 판단결과 감지된 수위가 최소 수위를 초과하는 경우이면 상기 제어부(100)는 온압센서부(65)를 이용하여 상기 제1하우징(11) 내부의 증기 압력을 감지하고(S150), 감지된 증기 압력이 미리 설정된 최대압력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60).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부(100)가 제1하우징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경우를 일예로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하우징(11) 내부에 발생된 수증기의 온도를 감지하거나 압력 및 온도를 감지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최대압력은 사용자나 장치 제조자에 의하여 미리 설정되는 값으로서, 상기 제1하우징(11)의 용량 및 내압 특성을 고려하여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S160 단계의 판단결과 감지된 증기 압력이 최대압력 미만인 경우이면 상기 제어부(100)는 가열장치부(13)를 작동시켜 제1하우징(11) 내부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고(S170), 감지된 압력이 최대압력 이상인 경우이면 제1하우징(11) 내부의 압력이 더 이상 상승하지 않도록 가열장치부(13)를 작동시키지 않고 후술하는 S200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S170 단계가 완료되면, 제어부(100)는 상기 S150 단계에서 감지한 압력이 미리 정해진 최소압력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180), 판단결과 최소압력보다 작은 경우이면 가열장치부(13)의 가열에 의하여 상기 제1하우징(11) 내부의 증기 압력이 최소 압력 이상이 될 때까지 압력을 재감지하게 된다(S190).
반면에, 감지된 압력이 최소압력을 초과하는 경우이면 상기 제어부(100)는 S110 단계에서 선택된 압력제어밸브부(24)를 작동시켜 제1하우징(11) 내부의 증기를 일정한 압력으로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S200).
이때, 상기 최소압력이라 함은 사용자나 장치 제조자에 의하여 미리 설정되는 값으로서 즉석 떡 제조용 용기에 수용된 떡재료가 공급되는 증기에 의하여 완전히 쪄져서 떡이 될 수 있을 정도의 압력을 의미하는데,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즉석 떡 제조용 용기의 용량, 떡재료의 특성, 떡의 조리시간 및 장치의 안정성 등을 고려하여 실험적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는 S200 단계를 수행하는 경우 타이머부(120)를 작동시켜 S200 단계에서 작동된 압력제어밸브부(24)의 동작시간이 미리 설정된 설정시간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210 내지 S230), 판단결과 초과한 경우이면 즉석 떡 제조용 용기(140) 내부에 수용된 떡재료가 완전히 쪄져서 떡이 완성되었다고 판단하여 작동중인 압력제어밸브부(24)를 오프시킴으로써 불필요한 수증기의 낭비를 방지하게 된다(S240).
반면에, S230 단계의 판단결과 작동된 압력제어밸브부(24)의 동작시간이 설정시간 미만이 경우이면 상기 제어부(100)는 전술한 S220 및 S230 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하게 된다.
상기 실시예들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떡 제조장치가 수위센서부의 출력에 따라 급수밸브부를 제어하는 방식을 적용한 경우를 일예로서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수위센서부는 눈금창에 의하여 제1하우징 내의 수위를 나타내는 단순한 수위게이지로 구성될 수도 있다.
다만, 이 경우에는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떡 제조장치를 사용하기 전에 또는 사용도중에 상기 수위게이지가 나타내는 눈금을 판독하여 수위를 인식하게 되고, 인식된 수위가 미리 제공된 바람직한 수위보다 낮은 경우에는 수동으로 급수밸브부를 작동시켜 급수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들에서는 제1하우징 내지 제3하우징이 하부에서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구성된 경우를 일예로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다른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이는 각 하우징 내부에 구비된 장치들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실시예들은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이해되어야하며, 본 발명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증기발생부 11: 제1하우징
13: 가열장치부 20: 떡제조부
21: 증기배출관 22: 용기거치대
23: 제2하우징 24: 압력제어밸브부
30: 떡저장부 65: 온압센서부
70: 증기청소부 100: 제어부
110: 수위센서부 140: 즉석 떡 제조용 용기
147: 떡손잡이 147a: 미끄럼방지 돌기

Claims (3)

  1. 내부에 떡재료가 수용된 컵 형상의 조리용기부;
    상기 조리용기부의 개구를 개폐하는 용기덮개부;
    외부의 증기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수증기를 상기 조리용기부 내부로 유입시켜 상기 떡재료가 떡으로 조리되도록 하는 증기유입부; 및
    상기 용기덮개부를 관통하여 외부로부터 상기 조리용기부 내부로 삽입된 막대 형상의 떡손잡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증기유입부는 증기공급부의 출구와 대향하는 상기 조리용기부의 저면에 형성된 복수의 통공이고,
    상기 떡손잡이부의 일부분은 상기 용기덮개부의 외부에 위치하고, 나머지 부분은 조리용기부 내부에서 상기 떡재료에 매입되되 그 외주면에는 조리가 완성된 떡이 떡손잡이부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복수의 미끄럼방지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 떡 제조용 용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용기부, 용기덮개부, 및 떡손잡이부는 각각 종이, 금속 또는 플라스틱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 떡 제조용 용기.
KR1020110113984A 2011-11-03 2011-11-03 즉석 떡 제조용 용기 KR1013079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3984A KR101307933B1 (ko) 2011-11-03 2011-11-03 즉석 떡 제조용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3984A KR101307933B1 (ko) 2011-11-03 2011-11-03 즉석 떡 제조용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9005A KR20130049005A (ko) 2013-05-13
KR101307933B1 true KR101307933B1 (ko) 2013-09-12

Family

ID=48659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3984A KR101307933B1 (ko) 2011-11-03 2011-11-03 즉석 떡 제조용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79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9358B1 (ko) * 2014-01-29 2015-07-27 서민호 용기 식별 기능을 가지는 찜기 및 그에 사용되는 식품용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2863U (ko) * 2009-06-18 2010-12-28 홍영식품 주식회사 아이스크림 용기
KR101063873B1 (ko) * 2011-01-03 2011-09-08 뉴퓨리텍 주식회사 떡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2863U (ko) * 2009-06-18 2010-12-28 홍영식품 주식회사 아이스크림 용기
KR101063873B1 (ko) * 2011-01-03 2011-09-08 뉴퓨리텍 주식회사 떡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9005A (ko) 2013-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7930B1 (ko) 떡 제조장치
US556745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adiabatic cooking
US20090252855A1 (en) Steam injection cooking device and method
US3790391A (en) Apparatus for steam pressure cooking of food
US11426027B2 (en) Air fryer with steaming func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air fryer with steaming function
JP2008178719A (ja) 炊飯器
JP2012095893A (ja) 炊飯方法及び炊飯器
KR20050026604A (ko) 과열증기 조리장치
CN108567313B (zh) 用于烹饪器具的煮饭控制方法及烹饪器具
CN111031866A (zh) 多功能炊具
KR101845949B1 (ko) 정수기능을 갖는 다기능 식품 조리기
JP6913824B2 (ja) 浄水機能を有する多機能食品調理器
JP2009072624A (ja) 電気炊飯器及び炊飯方法
KR101307933B1 (ko) 즉석 떡 제조용 용기
KR20200109856A (ko) 즉석 떡 제조장치
KR101063873B1 (ko) 떡 제조장치
JP4203995B2 (ja) 炊飯器
JP3851293B2 (ja) 圧力式炊飯器および圧力式炊飯方法
KR200398917Y1 (ko) 증기 찜 장치
KR20040095140A (ko) 유도 가열 조리기
KR101664343B1 (ko) 고주파를 이용한 튀김장치
KR101725975B1 (ko) 발열팩을 이용하는 야외용 조리기구
KR102219330B1 (ko) 즉석 떡 조리장치
KR20200057808A (ko) 에너지 절약형 스팀찜기
KR101518421B1 (ko) 조리용 스팀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