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9358B1 - 용기 식별 기능을 가지는 찜기 및 그에 사용되는 식품용기 - Google Patents

용기 식별 기능을 가지는 찜기 및 그에 사용되는 식품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9358B1
KR101539358B1 KR1020140011327A KR20140011327A KR101539358B1 KR 101539358 B1 KR101539358 B1 KR 101539358B1 KR 1020140011327 A KR1020140011327 A KR 1020140011327A KR 20140011327 A KR20140011327 A KR 20140011327A KR 101539358 B1 KR101539358 B1 KR 101539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container
food
unit
food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1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민호
Original Assignee
서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민호 filed Critical 서민호
Priority to KR1020140011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93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9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9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47J27/16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heated by stea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027/043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okers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용기 식별 기능을 가지는 찜기 및 그에 사용되는 식품용기가 개시된다. 찜기용 식품용기는, 내부에 음식물을 수용하는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의 상면을 덮고, 중심에 결합공이 관통 형성된 용기 커버; 및 상기 결합공을 통해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에 삽입되는 몸체부와, 상기 결합공보다 큰 단면을 가져 상기 용기 커버의 상면에 부착되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스팀 바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용기 식별 기능을 가지는 찜기 및 그에 사용되는 식품용기{Steaming device capable of identifying a vessel and food vessel for steaming device}
본 발명은 용기 식별 기능을 가지는 찜기 및 그에 사용되는 식품용기에 관한 것이다.
음료 자판기, 커피 자판기, 화장지 자판기 등 다양한 자판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자판기는 사용자가 소정의 금액을 투입하고 판매 버튼을 누르는 경우 선택된 제품을 제공하는 무인 장치이다. 이 외에도 간단한 식품으로서 사용자에게 끓인 라면을 판매하는 자판기도 개발되어 시중에 공급되고 있기도 하다.
자판기를 통한 식품의 경우, 조리가 간단한 1회용 식품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찜 요리가 가능한 제품이나 용기도 개발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130451호(일회용종이컵형상찜용기와 그 제작방법)는 바닥을 이루는 종이 재료에 1차로 구멍을 천공한 후 양면 코팅하고 1차로 천공한 구멍의 직경보다 작은 구멍을 다시 1차 천공 구멍의 코팅부에 천공함으로써 종이재료가 스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109718호(간이 찜 용기용 홀더)는 찜 요리 재료를 포장한 간이 찜 용기가 삽입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용기 삽입부가 내부에 형성되고, 증기를 유입시키는 증기 유로부가 하부에 형성된 홀더 몸체부재 및 상기 용기 삽입부 내에 구비되며 상기 증기 유로부와 연통되는 증기 구멍이 형성되고 상단이 뾰족하게 형성된 증기 공급침부재를 포함하는 기술적 사상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르면, 용기 하부의 관통공을 통해 스팀을 공급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스팀을 공급하는 수단의 끝단이 용기 내부로 진입하여 찜 대상 식품을 찌르게 됨으로써 식품의 형상이 온전하지 못하게 되고, 그 내용물이 용기 하부의 관통공을 통해 외부로 흘러나와 비위생적이고 보기에도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보다 위생적이면서도 간펴하게 찜 요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130451호(일회용종이컵형상찜용기와 그 제작방법)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109718호(간이 찜 용기용 홀더)
본 발명은 용기 상부를 통해 스팀이 주입되어 용기 내부 전체에 고르게 퍼지도록 함으로써 용기 내부의 식품이 위치에 상관없이 고르게 가열될 수 있는 용기식별 기능을 가지는 스팀찜기 및 그에 사용되는 식품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스팀 주입 수단이 고정되고 용기 내부의 중심 및 하부에서부터 스팀이 공급되도록 하여 용기 내부의 식품이 고르게 조리되고, 찜 요리 이후 발생되는 물을 용기 하부에 집수하되 식품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용기식별 기능을 가지는 스팀찜기 및 그에 사용되는 식품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찜 요리용 식품용기에 식별 수단을 결합하여 특정 식품용기만 찜 요리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특정 스팀찜기에 적합한 특정 식품용기에 대해서만 조리가 이루어지고 관련없는 식품용기에 담긴 식품은 조리하지 않음으로써, 조리용이 아닌 물체에 고온의 스팀을 주입하여 발생할 수 있는 화재 및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용기식별 기능을 가지는 스팀찜기 및 그에 사용되는 식품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음식물을 수용하는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의 상면을 덮고, 중심에 결합공이 관통 형성된 용기 커버; 및 상기 결합공을 통해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에 삽입되는 몸체부와, 상기 결합공보다 큰 단면을 가져 상기 용기 커버의 상면에 부착되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스팀 바를 포함하는 찜기용 식품용기가 제공된다.
상기 몸체부는 내부가 빈 파이프 형상으로, 상기 헤드부의 중심에 관통 형성된 스팀 주입구와 연통되며, 표면에 스팀 분사구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스팀 분사구는 상기 몸체부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열되어 있되, 상기 헤드부에서 상기 몸체부의 끝단으로 갈수록 크기가 커질 수 있다.
상기 용기 커버의 상면에는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에 주입된 스팀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스팀 배출공이 관통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몸체부의 길이는 상기 용기 본체의 높이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용기 본체의 하부에는 상기 찜기의 용기 고정부에 형성된 고정홈에 삽입 가능한 고정에지부가 하방향으로 돌설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용기 본체의 하부 단면과 동일 혹은 유사한 형상의 채반면과; 상기 채반면의 가장자리에서 수직 방향으로 절곡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채반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채반부는 상기 채반면이 상기 용기 본체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지지부의 길이만큼 이격되도록 삽입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채반면에는 하나 이상의 배출공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채반면의 중심에는 상기 몸체부의 끝단이 삽입 고정되는 바 고정공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스팀 바와 연결관을 통해 연통되며, 상기 용기 커버의 주변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보조 몸체부를 가지는 보조 스팀바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조 몸체부의 표면에는 스팀 분사구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용기 본체 및 상기 용기 커버 중 적어도 하나의 일측에 식별수단이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몸체부의 상부에서 하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며, 식품용기의 스팀 주입구와 도킹하여 상기 식품용기 내부에 스팀을 주입하는 스팀 주입부; 및 상기 식품용기가 용기 고정부에 안착된 경우 상기 스팀 주입부에서 스팀 주입이 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찜기가 제공된다.
상기 식품용기에 부착된 식별수단을 독취하는 식별수단 독취부; 및 안전커버를 이송하여 상기 용기 고정부를 개폐하는 안전커버 이송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식별수단 독취부에서 독취한 식별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식품용기가 판매용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매용인 경우 상기 안전커버 이송부를 개방하고 상기 스팀 주입부에서 스팀 주입이 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식별수단을 통해 인식된 상기 식품용기에 수용된 음식물의 종류에 따라 상기 스팀 주입부에서의 스팀 주입 시간 및 스팀 주입량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식품용기에 결합한 식별 수단은 1차원 바코드, 2차원 바코드, QR 코드, 2차원 비트맵 코드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용기 상부를 통해 스팀이 주입되어 용기 내부 전체에 고르게 퍼지도록 함으로써 용기 내부의 식품이 위치에 상관없이 고르게 가열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팀 주입 수단이 고정되고 용기 내부의 중심 및 하부에서부터 스팀이 공급되도록 하여 용기 내부의 식품이 고르게 조리되고, 찜 요리 이후 발생되는 물을 용기 하부에 집수하되 식품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찜 요리용 식품용기에 식별 수단을 결합하여 특정 식품용기만 찜 요리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특정 스팀찜기에 적합한 특정 식품용기에 대해서만 조리가 이루어지고 관련없는 식품용기에 담긴 식품은 조리하지 않음으로써, 조리용이 아닌 물체에 고온의 스팀을 주입하여 발생할 수 있는 화재 및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식별 기능을 가지는 찜기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찜기의 외형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주입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찜기에 사용되는 식품용기의 결합 사시도,
도 5는 식품용기의 용기 커버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식품용기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품용기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식품용기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품용기에 이용되는 용기 커버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의 구성 요소가 해당 실시예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설명이 생략될지라도 복수의 실시예가 통합된 하나의 실시예로 다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식별 기능을 가지는 찜기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찜기의 외형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주입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찜기(100)는 식별수단 독취부(110), 안전커버 이송부(120), 스팀 주입부(130), 입력부(140), 작동 개시부(150) 및 제어 유닛(16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식품용기에 식별 수단을 결합하여 특정 식품용기에 한하여 스팀을 주입할 수 있는 찜기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는 식품용기에 스팀을 주입하여 찜 요리를 조리하여 판매하는 찜기가 식품용기에 결합된 식별 수단을 독취하여 식품용기에 스팀을 주입하여 식품용기 내 식품을 스팀을 이용한 찜 방식으로 조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식별수단 독취부(110)는 식품용기(400, 도 4 참조)에 부착된 식별 수단(예를 들어, 바코드, RFID 태그, QR 코드, 2차원 비트맵 코드)을 독취하고, 독취된 식별 수단 정보를 제어 유닛(160)으로 제공한다.
식별 수단이 예를 들어 바코드인 경우, 식별수단 독취부(110)는 고정 타입 혹은 핸디 타입 바코드 리더기일 수 있으며, 이외에도 식별수단 독취부(110)는 카메라, 레이저, 적외선을 이용하여 식별 수단을 독취하거나, RF 주파수 인식 기법이나 블루투쓰 주파수 인식 기법 등을 이용하여 식별 수단을 독취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제어 유닛(160)은 식별수단 독취부(110)로부터 공급되는 식별 수단 정보를 통신부(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찜기(100)가 설치된 판매점의 통신 장치로 전송함으로써 식별 수단 정보에 상응하는 식품용기(400)가 정상적으로 판매된 제품인지에 관한 확인을 요청할 수 있다.
식품용기(400, 도 4 참조)는 음식물을 내부 공간에 수용하기 위한 용기 본체(410)와 이를 상면에서 개폐하는 용기 커버(420)를 포함할 수 있다. 식별 수단은 용기 본체(410)의 일 측 또는 용기 커버(420)의 일 측에 부착될 수 있다.
안전커버 이송부(120)는 제어 유닛(160)의 제어에 의해 용기 고정부(240)의 상면을 폐쇄하고 있는 안전커버(230)가 개방되도록 조작한다.
제어 유닛(160)은 식별수단 독취부(110)에 의해 독취된 식별 수단 정보가 찜기(100)를 사용할 수 있도록 미리 등록된 식별 수단 정보이거나 판매점의 통신 장치로부터 정상적으로 판매된 식품용기(400)임을 나타내는 정보가 수신된 경우에 한하여 안전커버 이송부(120)가 용기 고정부(240)의 개방을 위해 안전커버(230)를 이송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작동 개시부(150)는 용기 고정부(240)에 형성된 가압식 동작 스위치(244, 도 6 참조)가 식품용기(400)에 의해 가압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가압되는 동안 제어 유닛(160)으로 스위치 가압 신호를 입력한다.
제어 유닛(160)은 스위치 가압 신호가 입력되고 있는 동안에만 스팀 주입부(130)가 동작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스팀이 임의로 분사되어 화상을 입히는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스팀 주입부(130)는 식품용기(400) 내에 수용된 음식물에 대하여 찜 요리를 하기 위한 소정의 양의 스팀을 소정 시간 동안 식품용기(400)에 주입한다.
주입되는 스팀의 양 및/또는 주입 시간은 식별수단 독취부(110)에 의해 독취된 식별수단 정보를 이용하여 제어 유닛(16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식별수단 정보에는 해당 식품용기(400) 내에 수용된 음식물의 종류에 대한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어, 제어 유닛(160)은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되어 있는 음식물 별 찜 요리 방법에 따라 해당 음식물에 대한 찜 요리에 필요한 스팀의 양, 스팀 주입 시간 등을 결정하여 스팀 주입부(1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스팀 주입부(130)는 소정량의 물을 저장하기 위한 물 저장부와, 물 저장부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기 위한 물 가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물 저장부에는 고온수가 저장되어 있어 미리 데워진 물을 가열함으로써 스팀 생성 시간을 단축시킬 수도 있다. 또한, 물 저장부 대신에 수도가 바로 연결되는 수도 직격식이 이용될 수도 있다.
입력부(140)는 찜기(100)의 조작을 위한 사용자 조작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하나 이상의 버튼(예를 들어, 조리 시작 버튼, 스팀 추가 버튼, 조리 시간 연장 버튼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입력부(140)에 포함되는 버튼은 예를 들어 가압식 누름 버튼이거나 터치 감응 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버튼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입력부(14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조작 명령은 제어 유닛(160)으로 제공되며, 제어 유닛(160)은 사용자 조작 명령에 따라 스팀 주입부(130)의 동작을 개시 또는 유지하거나 정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찜기(100)의 몸체부(210)에 형성되는 스팀 주입부(130)의 개수는 1개이거나 혹은 복수개가 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복수의 스팀 주입부(130)가 동일한 시간대에 여러 개의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음식물이 담긴 식품용기(400)의 판매 가격에 상응하는 비용이 투입되는 경우 비용 투입 신호를 제어 유닛(160)으로 입력하는 비용 투입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용기 고정부(240)에 놓여진 식품용기(400)의 무게를 측정하여 측정한 무게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 스팀 주입부(130)의 작동을 개시하는 개시 요청 신호를 제어 유닛(160)으로 입력하는 무게 센싱부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도 2에는 찜기(100)의 외형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찜기(100)의 형상이 이에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하다.
도 2를 참조하면, 찜기(100)는 몸체부(210), 식별수단 독취부(110), 입력부(140), 스팀 주입부(130), 몸체부(210), 표시부(220), 안전커버(230), 용기 고정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220)는 디스플레이 표시 장치를 포함하고, 찜기(100) 관련 정보(예를 들어, 사용안내 정보)를 표시하거나 광고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 횟수 등과 같은 찜기(100) 조작 상태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거나, 조리 시간이나 스팀 주입부(130)에 의해 스팀이 주입되는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표시부(220)가 몸체부(2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사용자가 용이하게 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안전커버(230)는 음식물 조리 중이 아닌 동안에는 용기 고정부(240)의 상면을 폐쇄하여 안전 사고와 용기 고정부(240)의 파손을 방지한다. 찜기(100)의 제어 유닛(160)은 안전커버(230)가 개방된 경우에 한하여 스팀 주입부(130)를 통해 스팀 주입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스팀으로 인한 안전 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용기 고정부(240)에는 고정홈(242, 도 6 참조)이 형성되어 있어, 식품용기(400)의 하단에 형성된 고정에지부(414, 도 4 내지 도 6 참조)가 고정홈(242)에 삽입될 수 있다.
고정홈(242)은 식품용기(400)의 하부 테두리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연속된 폐곡선 형태의 하나의 홈이거나 식품용기(400)의 하부 테두리에 상응하는 형상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스팀 주입부(130)는 스팀봉(310), 스팀 주입관(320), 구동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팀봉(310)은 내부가 빈 파이프 형상으로, 일단에는 식품용기(400)로 스팀을 주입하는 스팀 주입관(320)이 설치되어 있고, 타단에는 그 내부에 스팀을 주입받기 위한 스팀관(340)이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스팀봉(310)은 구동부(330)에 의해 길이 방향(도면에서는 상하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여, 하부에 위치하는 용기 고정부(240)에 고정된 식품용기(400)의 스팀 주입구(432, 도 5 참조) 내에 스팀 주입관(320)을 삽입시킬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구동부(330)는 모터(332)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스팀봉(310)의 일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랙 기어(312)가 형성되어 있고, 모터(332)의 샤프트(334) 끝단에는 랙 기어(312)에 치합하는 피니언 기어(336)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모터(332)의 회전 운동이 피니언 기어(336) 및 랙 기어(312)에 의해 직선 운동으로 전환되어 스팀봉(310)을 길이 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외에도 구동부(330)에는 스팀봉(310)을 길이 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킬 수 있는 방식(예를 들면, 실린더를 이용한 왕복 운동 방식)이라면 다양한 구동 수단이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스팀봉(310)의 끝단에 설치된 스팀 주입관(320)은 케이스(314)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케이스(314)는 예를 들어 실리콘, 고무 등과 같이 신축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스팀 주입관(320)이 식품용기(400)의 스팀 주입구(432)에 도킹되었을 때 식품용기(400)의 찌그러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찜기(100)에 사용되는 식품용기에 대하여 관련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찜기에 사용되는 식품용기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5는 식품용기의 용기 커버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식품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식품용기(400), 용기 본체(410), 바닥면(412), 고정에지부(414), 용기 커버(420), 결합공(422), 스팀 배출공(424), 스팀 바(430), 몸체부(435), 헤드부(431), 스팀 주입구(432), 스팀 분사구(436), 접착 수단(440)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식품용기(400)는 찜 방식으로 조리되는 음식물을 수용하는 용기 본체(410)와, 용기 본체(410)의 상면을 덮는 용기 커버(420)를 포함한다.
용기 커버(420)에는 스팀 바(430)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공(422)이 중심에 관통 형성되어 있다. 또한, 용기 커버(420)의 테두리 주변에는 식품용기(400) 내에 주입된 스팀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스팀 배출공(424)이 하나 이상 관통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스팀 바(430)는 몸체부(435)와 헤드부(431)를 포함하며, 몸체부(435)가 결합공(422)을 통해 식품용기(400) 내부로 삽입되고, 결합공(322)보다 큰 단면을 가지는 헤드부(431)가 용기 커버(420)의 상면에 부착되어 스팀 바(430)를 고정시킨다.
헤드부(431)가 용기 커버(420)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하기 위해 헤드부(431)의 테두리 상에 접착 수단(440)이 부착될 수 있다. 접착 수단(440)으로는 예를 들어 접착 테이프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헤드부(431)를 용기 커버(420)에 밀착시키면서 결합공(422)과 몸체부(435) 사이의 간격을 통한 스팀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몸체부(435)는 길이가 길고 내부가 빈 파이프 형상으로, 그 내부가 헤드부(431)의 스팀 주입구(432)와 연통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스팀 주입구(432)를 통해 도킹되는 스팀 주입관(320)이 몸체부(435) 내부로 인입되어 몸체부(435) 내부에 직접 스팀이 주입되도록 할 수 있다.
몸체부(435)의 표면에는 복수의 스팀 분사구(436)가 형성되어 있어, 내부에 주입된 스팀이 스팀 분사구(436)를 통해 분사될 수 있다.
스팀 분사구(436)는 몸체부(435)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이 마련될 수 있으며, 몸체부(435)의 둘레를 따라 사방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스팀 분사구(436)의 크기는 헤드부(431)에서 끝단으로 갈수록 커질 수 있다.
이는 스팀 주입 지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스팀 분사구(436)의 크기를 크게 하여 동일하거나 유사한 량의 스팀이 분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몸체부(435)의 끝단에서 분사되는 스팀이 용기 본체(410)에 수용된 음식물의 조리에 가장 많이 관여하게 되는 바, 그 분사량을 가장 크게 하기 위함이기도 하다.
몸체부(435)의 스팀 분사구(436)를 통해 분사된 스팀은 용기 본체(410)에 수용된 음식물을 가열시킨 후 용기 커버(420)의 테두리 부근에 형성된 스팀 배출공(42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는 음식물 조리가 완료된 이후 사용자가 음식물을 취식하기 위해 용기 커버(420)를 개방하였을 때 내부에 잔존하는 스팀에 의해 사용자가 화상을 입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몸체부(435)의 길이는 식품용기(400)의 높이와 동일할 수 있다. 이 경우 몸체부(435)의 끝단이 용기 본체(410)의 바닥면에 닿아 그 위치가 고정됨으로써 용기 본체(410)의 내부에 고르게 스팀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용기 본체(410)의 하부에는 용기 고정부(240)의 고정홈(242)에 삽입 가능한 고정에지부(414)가 하방향으로 돌설되어 있을 수 있다. 고정에지부(414)가 고정홈(242)에 삽입됨으로써 식품용기(400)가 찜기(100)에서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고정홈(242)에 설치되어 있는 가압식 동작 스위치(244)를 고정에지부(414)가 가압함으로써, 식품용기(400)의 안착을 찜기(100)가 인식한 이후에 스팀 주입부(130)를 통한 스팀 주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품용기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식품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식품용기(400)와 비교할 때, 본 실시예에 따른 식품용기(500)는 채반부(510)를 더 포함하고 있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채반부(510)는 식품용기의 하부 단면과 동일 혹은 유사한 형상을 가지는 평판 형상의 채반면(520)의 테두리 부분을 일정 간격마다 방사상으로 절단하고 접음으로써 소정 높이의 지지부(530)를 만든 탁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채반면(520)은 식품용기의 하부 단면과 동일하거나 소정 비율만큼 축소된 크기를 가지고 있어, 채반부(510)는 용기 본체(410) 내에 지지부(530)의 높이만큼 바닥면(412)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삽입 설치될 수 있다.
채반부(510)가 내설된 용기 본체(410)에서는 지지부(530)에 의해 바닥면(412)과 채반면(520) 사이에 소정의 저장공간이 생기게 되고, 채반면(520)의 상부에 음식물이 수용된다.
채반면(520)에는 하나 이상의 배출공(524)이 형성되어 있어, 스팀이 주입된 이후 음식물을 가열한 스팀이 열을 빼앗겨 변환된 물이 배출공(524)을 통해 저장공간에 담겨질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스팀에 의해 가열된 음식물이 물에 젖지 않아 음식물 본연의 촉감을 잃지 않게 되어 사용자에게 만족스런 찜 요리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채반면(520)의 중심에는 바 고정공(522)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바 고정공(522)은 스팀 바(430)의 단면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있어, 스팀 바(430)의 끝단이 바 고정공(522)을 관통 삽입될 수 있다.
이로써 스팀 바(430)가 채반부(510)의 바 고정공(522)에 의해 그 위치가 고정되어 용기 본체(410) 내부의 중심에서 사방으로 고르게 스팀이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스팀 바(430)의 끝단에 형성된 스팀 분사구(436)를 통해 분사된 스팀은 저장공간 내에서 배출공(524)을 통해 상방향으로 진행하여 채반부(510)에 놓여진 음식물의 하면에 대해서도 스팀 가열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음식물이 고르게 가열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품용기에 이용되는 용기 커버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용기 커버(420)의 주변에는 하나 이상의 보조 스팀 바(620)가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보조 스팀 바(620)는 주 스팀 바(430)와 연결관(630)를 통해 연통되어 있어, 스팀 주입구(432)를 통해 주입된 스팀이 주 스팀 바(430) 뿐만 아니라 보조 스팀 바(620)로도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보조 스팀 바(620)는 용기 본체(410)의 내벽과 만나, 주 스팀 바(430)가 용기 본체에 수용된 음식물에 의해 그 위치가 어긋나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 용기 본체(410) 내에서 스팀이 중심부 뿐만 아니라 주변부에서도 분사되도록 하여 음식물이 고르게 가열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는 식품용기의 단면이 원형인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내부에 수용되는 음식물의 종류, 소비자의 기호, 운송 과정에서의 필요성 등에 따라 식품용기의 단면은 사각형 등과 같이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찜기 110: 식별수단 독취부
120: 안전커버 이송부 130: 스팀 주입부
140: 입력부 150: 작동 개시부
160: 제어 유닛 210: 몸체부
220: 표시부 230: 안전커버
240: 용기 고정부 310: 스팀봉
320: 스팀 주입관 330: 구동부
340: 스팀관 400, 500, 600: 식품용기
410: 용기 본체 412: 바닥면
414: 고정에지부 420: 용기 커버
422: 결합공 424: 스팀 배출공
430: 스팀 바 431: 헤드부
435: 몸체부 440: 접착 수단
510: 채반부 520: 채반면
530: 지지부 522: 바 고정공
524: 배출공 620: 보조 스팀 바
630: 연결관

Claims (15)

  1. 몸체부의 상부에서 하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며, 식품용기의 스팀 주입구와 도킹하여 상기 식품용기 내부에 스팀을 주입하는 스팀 주입부;
    상기 식품용기가 용기 고정부에 안착된 경우 상기 스팀 주입부에서 스팀 주입이 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유닛;
    상기 식품용기에 부착된 식별수단을 독취하는 식별수단 독취부; 및
    안전커버를 이송하여 상기 용기 고정부를 개폐하는 안전커버 이송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식별수단 독취부에서 독취한 식별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식품용기가 판매용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매용인 경우 상기 안전커버 이송부를 개방하고 상기 스팀 주입부에서 스팀 주입이 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찜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식별수단을 통해 인식된 상기 식품용기에 수용된 음식물의 종류에 따라 상기 스팀 주입부에서의 스팀 주입 시간 및 스팀 주입량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찜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용기에 결합한 식별 수단은 1차원 바코드, 2차원 바코드, RFID 태그, QR 코드, 2차원 비트맵 코드 중 어느 하나 이상인 찜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고정부에 형성된 가압식 동작 스위치가 상기 식품용기에 의해 가압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가압되는 동안 상기 제어 유닛으로 스위치 가입 신호를 입력하는 작동 개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스위치 가입 신호가 입력되고 있는 동안에만 상기 스팀 주입부가가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찜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용기의 판매 가격에 상응하는 비용이 투입되는 경우 비용 투입 신호를 상기 제어 유닛으로 입력하는 비용 투입부를 더 포함하는 찜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고정부에 놓여진 상기 식품용기의 무게를 측정하여 측정한 무게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스팀 주입부의 작동을 개시하는 개시 요청 신호를 상기 제어 유닛으로 입력하는 무게 센싱부를 더 포함하는 찜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주입부는,
    내부가 빈 파이프 형상으로, 길이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스팀봉과;
    상기 스팀봉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식품용기로 스팀을 주입하는 스팀 주입관과;
    상기 스팀봉의 타단에 연결되어 스팀을 주입받기 위한 스팀관과;
    상기 스팀봉을 길이 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스팀봉은 길이 방향으로의 왕복 운동에 의해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용기 고정부에 고정된 상기 식품용기의 스팀 주입구 내에 상기 스팀 주입관을 삽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찜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주입관은 신축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진 케이스에 의해 보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찜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수단 독취부는 고정 타입 혹은 핸디 타입 바코드 리더기이거나, 카메라, 레이저, 적외선을 이용하거나 RF 주파수 인식 기업 혹은 블루투쓰 주파수 인식 기법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찜기.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40011327A 2014-01-29 2014-01-29 용기 식별 기능을 가지는 찜기 및 그에 사용되는 식품용기 KR1015393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1327A KR101539358B1 (ko) 2014-01-29 2014-01-29 용기 식별 기능을 가지는 찜기 및 그에 사용되는 식품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1327A KR101539358B1 (ko) 2014-01-29 2014-01-29 용기 식별 기능을 가지는 찜기 및 그에 사용되는 식품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9358B1 true KR101539358B1 (ko) 2015-07-27

Family

ID=53875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1327A KR101539358B1 (ko) 2014-01-29 2014-01-29 용기 식별 기능을 가지는 찜기 및 그에 사용되는 식품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935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39908A3 (ko) * 2017-01-26 2018-10-04 박한 스팀가열식 즉석식품 조리장치
WO2018139907A3 (ko) * 2017-01-26 2018-12-13 박한 정수기능을 구비한 즉석식품 조리장치
CN110338645A (zh) * 2019-08-08 2019-10-18 中山市科霍尼智能设备有限公司 一种自动蒸菜蒸饭售卖机
CN111938415A (zh) * 2020-07-30 2020-11-17 广东易爱云厨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餐饮设备
US11627826B2 (en) * 2017-11-30 2023-04-18 Carogusto Ag Device and method for preparing foods arranged in a vessel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3320A (ja) * 1998-09-18 2000-04-04 Sanyo Electric Co Ltd 調理器
KR20000031813A (ko) * 1998-11-10 2000-06-05 신창근 증기분사식 취사장치
JP2004313636A (ja) * 2003-04-21 2004-11-11 Satokazu Ikehata 蒸し器
KR20130049005A (ko) * 2011-11-03 2013-05-13 뉴퓨리텍 주식회사 즉석 떡 제조용 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3320A (ja) * 1998-09-18 2000-04-04 Sanyo Electric Co Ltd 調理器
KR20000031813A (ko) * 1998-11-10 2000-06-05 신창근 증기분사식 취사장치
JP2004313636A (ja) * 2003-04-21 2004-11-11 Satokazu Ikehata 蒸し器
KR20130049005A (ko) * 2011-11-03 2013-05-13 뉴퓨리텍 주식회사 즉석 떡 제조용 용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39908A3 (ko) * 2017-01-26 2018-10-04 박한 스팀가열식 즉석식품 조리장치
WO2018139907A3 (ko) * 2017-01-26 2018-12-13 박한 정수기능을 구비한 즉석식품 조리장치
US11627826B2 (en) * 2017-11-30 2023-04-18 Carogusto Ag Device and method for preparing foods arranged in a vessel
CN110338645A (zh) * 2019-08-08 2019-10-18 中山市科霍尼智能设备有限公司 一种自动蒸菜蒸饭售卖机
CN111938415A (zh) * 2020-07-30 2020-11-17 广东易爱云厨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餐饮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9358B1 (ko) 용기 식별 기능을 가지는 찜기 및 그에 사용되는 식품용기
CN106233820B (zh) 存储消费品的包装、用于加热包装的感应加热装置和包括前者的系统
JP6306165B2 (ja) 食用組成物調製用カプセル
KR102078527B1 (ko) 음료 제조 캡슐용 바코드
AU2016202874B2 (en) A beverage preparation system
JP6174680B2 (ja) 飲料調製マシンの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
CN104379033B (zh) 用户可编程容器、用于对容器编程的设备和饮料制备机
US12042086B2 (en) User interface of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CA2933523A1 (en) A capsule kit for use in a food preparation machine
EP3082523A1 (en) Consumable recognition system and beverage dispenser
TW201534259A (zh) 單杯式飲料製備機台
CN105848535A (zh) 饮料机
KR101529047B1 (ko) 유도 가열 라면조리기
CA2855881A1 (en) A heating unit for a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EP3998915B1 (en) Machine, system and method for preparing fluid food products
US20210353095A1 (en) Beverage-ingredient container
KR101638036B1 (ko) 제어부 보호 유닛 및 erp 시스템을 구비한 라면 조리기
US20220240710A1 (en) System, machine and container for preparing fluid food products
US20220258961A1 (en) Container, system and method for preparing fluid food products
KR20030036457A (ko) 컵라면 자동판매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