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6883B1 - 영릉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벼 도열병 방제 조성물, 마이크로캡슐 및 이를 이용한 벼 도열병 방제 방법 - Google Patents

영릉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벼 도열병 방제 조성물, 마이크로캡슐 및 이를 이용한 벼 도열병 방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6883B1
KR101306883B1 KR1020130045332A KR20130045332A KR101306883B1 KR 101306883 B1 KR101306883 B1 KR 101306883B1 KR 1020130045332 A KR1020130045332 A KR 1020130045332A KR 20130045332 A KR20130045332 A KR 20130045332A KR 101306883 B1 KR101306883 B1 KR 101306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blast
yeongneung
contro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5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진
Original Assignee
남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남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45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68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6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6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26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in coated particulate form
    • A01N25/28Microcapsules or nanocapsu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Toxic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릉향(Lysimachiae Foenum - Graeci Herb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벼 도열병의 방제용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이용한 벼 도열병의 방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영릉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벼 도열병의 방제용 조성물은 벼 도열병의 원인균인 마그나포르테 오리제(Magnaporthe oryzae)의 방제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식물 추출물 기원의 무공해성 성분으로서 생명 농약으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매우 높다.

Description

영릉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벼 도열병 방제 조성물, 마이크로캡슐 및 이를 이용한 벼 도열병 방제 방법{A COMPOSITION FOR CONTROL OF BLAST COMPRISING THE EXTRACT OF LYSIMACHIAE FOENUM-GRAECI HERBA AS AN EFFECTIVE COMPONENT, MICROCAPSULE COMPRISING OF THE SAME AND A CONTROL METHOD OF BLAS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영릉향(Lysimachiae Foenum - Graeci Herb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벼 도열병의 방제용 조성물, 마이크로캡슐 및 상기 조성물을 이용한 벼 도열병의 방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열병은 모 도열병, 잎 도열병 및 이삭 도열병으로 구분되고, 이 중 이삭 도열병에 의한 피해가 가장 크다(Ribot, C., Hirsch, J., Balzergue, S., Tharreau, D., Notteghem, J. L., Lebrun, M. H. and Morel, J. B. 2008. Susceptibility of rice to the blast fungus, Magnaporthe grisea. Journal of Plant Physiology. 165:114-124). 국내에서 재배되는 벼에 가장 심각한 피해를 주는 병해로 알려진 도열병에 의한 피해는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벼를 재배하고 있는 세계의 모든 지역에서 발생하는데 수량 감소와 쌀 품질 저하 외에 약제 방제에 따른 경영비 증가로 인한 경제적 손실, 잔류 독성 등의 환경 오염 등을 감안하면 피해는 상당하다(Noh et al., 1998).
하지만, 이러한 벼 도열병의 방제는 작물 보호제를 이용한 화학적인 방제 방법에 의해 주로 이루어져 왔다(Kang, K. D., Choi, Y. C., Park, Y. W., Kim, K., Choi, U. G. and Park, H. C. 2008. Biological control of plant pathogens by Bacillus sp. AB02. 2008. Journal of Life Science. 18(6):858-864). 그러나 농약의 과다 사용으로 인한 난분해성 물질의 잔류에 의한 공기, 토양, 지하수의 오염으로 환경과 생태계에 악영향, 인축 독성 등 문제점들이 보고되어 왔다(Burpee, L. L. and Goulty, L. G. 1984. Evaluations of fungicides for control of pink and gray snow mold on creeping bentgrass. pp.6-7, In; Turfgrass Research Annual Report, R. W. Sheard(ed). Unic. of Guelph, Ontario. 38 및 Yoshie, Y., Katsushige, I., Yoshihisa, U., Atsuko, O., Kazutoh, T. and Hiroshin, N. 1993. Isolation, structures, and antifungal activities of new Aureobasidins. J. Antibiotics. 46:1347-1354).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대안으로, 천연물 살균제와 같은 생물 농약 등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 하나로, 대한민국 특허 688907호 (2007년 2월 23일 등록)는 울금 추출물 또는 커큐미노이드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벼 도열병 방제용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이 특허 공보에 따르면, 울금의 수 추출물이 아닌 메탄올 추출물이 벼 도열병에 매우 높은 방제 활성을 나타낸다는 것을 입증하고 있다.
한편, 영릉향의 줄기는 높이가 70 ㎝ 정도이며, 잎은 어긋나고 겹잎으로 여름에 잎겨드랑이에서 꽃줄기가 나와서 작은 나비 모양의 꽃이 피는 앵초과(Primulaceae)의 두해살이풀로서, 유럽이 원산지이고, 우리나라에도 분포하며 한방에서는 진통작용, 항염증작용 및 미백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영릉향의 약용 식물로서의 효과는 알려져 있으나, 항균 효과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어떤 문헌이나 특허에서도 개시하거나 암시한 바가 전혀 없었다. 본 발명자는 벼 도열병에 대한 천연 살균제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다수의 천연 약재의 추출물을 이용한 벼 도열병에 대한 방제 활성을 예의 연구한 결과, 영릉향 추출물이 벼 도열병에 대한 방제 활성이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KR 10-1245582 B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벼 도열병의 원인균인 마그나포르테 오리제(Magnaporthe oryzae)에 대한 살균 효과가 우수한 식물 유래 물질로서 영릉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벼 도열병 방제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조성물을 마이크로캡슐화하여 제조되는 벼 도열병 방제용 마이크로캡슐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본 발명의 상기 벼 도열병 방제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벼 도열병을 방제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영릉향(Lysimachiae Foenum-Graeci Herb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벼 도열병 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영릉향 추출물은 영릉향의 메탄올 추출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영릉향 추출물은 영릉향를 40~60℃에서 12-36시간 동안 메탄올로 추출한 후 여과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영릉향 추출물은 마그나포르테 오리제(Magnaporthe oryzae)에 대한 살균 활성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영릉향 추출물을 포함하는 벼 도열병 방제용 마이크로캡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의 영릉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벼 도열병 방제 조성물을 이용한 벼 도열병의 방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영릉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벼 도열병의 방제용 조성물은 벼 도열병의 원인균인 마그나포르테 오리제(Magnaporthe oryzae)의 방제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식물 추출물 기원의 무공해성 성분으로서 생명 농약으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매우 높다.
도 1a은 영릉향 추출물의 10, 50, 100, 150 및 200μg의 각 농도별 마그나포르테 오리제(Magnaporthe oryzae)의 항균 활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b는 영릉향 추출물의 300, 400, 500, 600 및 700μg의 각 농도별 마그나포르테 오리제(Magnaporthe oryzae)의 항균 활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a는 영릉향 추출물의 벼 도열병에 대한 효과를 시험하기 위한 시험구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2b는 영릉향 추출물의 벼 도열병에 대한 효과를 시험하기 위한 시험구의 발병 초기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3a는 영릉향 추출물의 벼 도열병에 대한 효과를 시험하기 위한 영릉향 추출물 처리구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3b는 영릉향 추출물의 벼 도열병에 대한 효과를 시험하기 위한 영릉향 추출물의 처리구의 상세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4a는 영릉향 추출물의 벼 도열병에 대한 효과를 시험하기 위한 무처리구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4b는 영릉향 추출물의 벼 도열병에 대한 효과를 시험하기 위한 무처리구의 상세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벼 도열병에 대해 방제 활성을 나타내는 영릉향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벼 도열병 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의 구체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영릉향 추출물은 영릉향의 메탄올 추출물이다. 영릉향의 메탄올 추출물은 완전 건조한 영릉향을 분쇄기로 분쇄하고, 이 분말 시료와 95% 메탄올을 적정 비율로 혼합하고 교반 추출하여 수득할 수 있다. 예컨대, 영릉향 시료와 메탄올의 배합 비율은 1:6(w/v)인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40~60℃에서 12-36시간, 보다 바람직하게는 50℃에서 24시간 동안 추출하여 여과한 후 농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벼 도열병 방제 조성물은 유효 성분으로서 영릉향 추출물을 100~700μg 정도의 함량으로 포함하는 것이 도열병 방제에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된다. 하지만, 이는 벼의 생육 정도, 경작지 환경, 도열병의 발병 정도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영릉향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벼 도열병 방제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살충제 또는 살균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부형제 또는 보조제, 예컨대 농약 제형화에 필요한 담체, 희석제, 유화제, 분산제 또는 계면활성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당업계에 통상적인 제형화법에 따라 제형화하여, 다양한 방제 방법, 예컨대 작물에 직접 살포 등의 방제 방법에 적합한 형태, 예컨대 액제 또는 분말제로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한 영릉향 추출물을 함유하는 벼 도열병 방제 조성물은 벼 도열병 방제 활성을 통해 효능을 검정한다. 일반적으로, 벼 도열병의 공시 균주에 대한 항균 활성능 검정을 통해 평가한 후, 포트 시험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벼 도열병의 원인 균주로서 마그나포르테 오리제(Magnaporthe oryzae)를 사용한다.
영릉향의 항균 활성능 검정은 일반적으로 디스크 페이퍼법(Disk Paper Method)과 주입평판법(Pour Plate Method) 모두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간략히 설명하면, 디스크 페이퍼법은 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이 미생물 전배양물을 고체 배지에 도말하고, 이 미생물 도말된 평판 배지 위에 시험하고자 하는 항균제 함유 디스크를 밀착시켜 올려놓은 후 배양하여 디스크 주변의 클리어 존을 측정하여 항균 활성을 검정할 수 있다. 주입평판법은 액체 배지에 시험하고자 하는 항균제 시료를 농도별로 일정량 주입하고, 고화시킨 후 항균 대상 균주를 접종하여 배양하고, 증식 균주 수를 계수하여 항균 효과를 비교함으로써 항균제 시료의 항균 효능을 분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분석으로 효능이 확인된 본 발명의 영릉향 추출물 함유 조성물은 상기 벼 도열병의 원인 균주인 마그나포르테 오리제(Magnaporthe oryzae)에 대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를 통해 입증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릉향 메탄올 추출물은 마그나포르테 오리제(Magnaporthe oryzae)에 대한 활성 억제율이 디스크 페이퍼법(Disk Paper Method)에서 우수한 항균 효과를 나타낸다. 이러한 영릉향 추출물의 제법과 항균 활성 검정에 대해서는 이하 실시예에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영릉향 추출물을 다음과 같은 공정으로 마이크로캡슐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캡슐화 공정은 크게 (1) 전분 수용액 준비 단계; (2) 천연 식물성 정유 첨가 및 유화 단계; (3) 중합반응 및 마이크로 캡슐 슬러리화 단계; (4) 스프레이 건조단계로 나눌 수 있다.
이하, 각 단계별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1) 전분 수용액 준비 단계
벽물질로 사용된 전분이 생분해성이므로 상온에서 실시하며, 이러한 성질은 캡슐화된 입자들이 전반적인 수용성 용해도에 의해 특징 되어진다. 피막물질로 사용된 전분 수용액에 대한 함유 약물의 질량비는 10∼50:1로서 유지한다. 전분 수용액의 농도에 따라 캡슐화에서 피막물질의 밀도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10∼90%의 농도를 사용한다.
사용된 전분은 n-옥테닐 숙신산염(n-octenyl succinate)으로 치환된 것으로, 식품 전분에 특별히 뛰어난 에멀전 특성과 필름 성격을 결합한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향의 캡슐화에 효과적이다. 일반적으로 전분은 시클로 디카르복실산 무수물로 처리되며, 여기서 R은 디메틸렌이나 트리메틸렌 라디칼을 나타내며, R'는 치환되는 기로서 alkyl, alkaenyl, araltyl 또는 arakenyl기들로 5개에서 18개의 탄소수를 포함한다. 이 모든 경우에 있어서 친수기들은 탄소수기들 중의 하나에 가수분해로부터 남은 카르복시기(COOH)가 존재한다. n-octenyl succinate된 것은 적어도 0.1∼10%의 전분 유도체인데 유화, 코팅, clouding의 특징을 가지는 생산물을 만들기 위한 것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유도체들은 분자량에 의존하는데 무수물이 약 0.1∼30% 전분에 첨가된다. 이들은 cyclic dicaboxylic acid anhydride 반응으로 치환된 전분의 pH는 약 5∼11 정도의 값을 갖는다. 이와 같은 전분의 특징은 높은 유동성을 만들기 위해 산처리와 약간의 끊는 성질에 의해 개조되는데 캡슐화제를 만들기 위한 것으로서 물에 분산이 잘 되는 것과 적당한 HLB값을 갖는 필름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캡슐화제에 의해 내부물질은 제한된 방출과 건조된 분말로 제공된다.
전분은 n-octenyl succinate시킨 것으로 분자량은 50,000∼150,000 정도이며 기름에 대한 유화 안정성이 좋고 마이크로캡슐의 분말화를 위하여 이루어지는 스프레이 공정에서도 안정한 결과를 보인다. 이렇게 얻어지는 분말은 물을 첨가했을 경우 건조되었던 피막물질이 팽창되면서 내부의 오일은 유출되며 전분은 자연스럽게 분해된다. 10∼90%의 전분수용액은 pH가 3∼7의 값을 보이며 최종 마이크로캡슐의 점도는 50∼500cp의 값을 갖는다.
(2) 영릉향 추출물 첨가 및 유화 단계
전분수용액 10∼90% 100g에 영릉향 추출물 0.1∼100g을 넣고 유화장치를 사용하여 1000∼15000rpm에서 몇 분간 유화를 시킨다. 이때 전분의 역할은 유화적인 성질과 분산의 성격을 띤다. 전분, 영릉향 추출물의 공정이므로 상온에서 실시하며, 상기의 유화에서 볼 때 미비하게 열이 발생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때 살균·살충효과를 가지는 영릉향 추출물의 비중이 물보다 크기 때문에 전분 수용액의 점도는 중요하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1)단계의 전분수용액을 제조할 때 0.1∼20g의 NaCl을 첨가해서 전분 수용액의 밀도를 증가시킨다.
(3) 중합반응 및 마이크로 캡슐 슬러리화 단계
상기의 단계를 통하여 유화된 후에 전분의 가교 목적을 위하여 글루타르디알데히드(glutaraldehyde)용액을 0.1∼30g첨가하여 1,000∼15,000rpm으로 유지시켜 몇분간 교반시킨다. 만들어진 마이크로캡슐의 형태 및 크기의 유지를 위하여 호모게나이저로 중합반응을 실시한다.
(4) 스프레이 건조단계
상기 (3)의 단계에서 만들어진 마이크로캡슐은 슬러리 상에서 안정성이 다소 부족하여 영릉향 추출물이 밖으로 빠져나오므로 오랜 시간의 방치를 피하여 연속적인 스프레이 건조공정을 도입하였다.
기존의 스프레이 건조하는 식품 전분의 사용일 경우 별도의 가교제 첨가없이 실험되는 경우가 있지만, 내부물질의 특성에 따라 달라지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식품전분의 사용에서는 식품에 사용되는 제한성으로 인하여 n-octenyl succinate시킨 것의 치환율이 0.001∼0.01이다.
본 발명에서 스프레이 건조실시는, 열풍기의 온도는 150∼250℃로 셋팅하며 노즐부분의 온도는 100∼150℃를 유지한다. 싸이클론(cyclone)부분은 40∼100℃된다. 노즐의 크기는 1∼5mm의 크기로 마이크로캡슐의 슬러리를 분사시키며, 챔버(chamber)내부에 붙어있는 마이크로캡슐이 많지만, 작은 캡슐들이 서로 뭉쳐서 나타나는 결과로서 회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영릉향 추출물을 함유하는 벼 도열병 방제 조성물 또는 영릉향 추출물을 포함하는 마이크로캡슐을 이용한 벼 도열병의 방제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방제 방법에서, 본 발명의 벼 도열병 방제 조성물은 통상적인 방제 작업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작물의 엽면에 직접 살포, 공중 분사 등의 적용 방법으로 방제에 사용할 수 있다. 한 양태로, 방제 조성물은 0.005% 내지 0.01%의 농도로 작물에 분무 살포할 수 있지만, 작물의 병해, 발병률에 따라 방제 농도는 가감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입증된 벼 도열병의 항균 효과를 기반으로, 영릉향 추출물은 벼 도열병의 천연 살균제 및 나아가 농약의 유효 성분으로서 농업적 활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하, 본 발명은 실시예로서 상세히 설명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는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 실시예 ]
1. 영릉향 추출물의 제조
본 실험에 사용한 영릉향은 경동시장 한약재 상가에서 국내산 특등품으로 구매하였다. 완전히 건조되어 있는 영릉향을 분쇄기(HMF-340, Hanil, Korea)로 분쇄하여 추출용 시료로 사용하였다. 추출 용매는 메탄올(HPLC급, Burdick & Jackson, USA)을 사용하였고, 영릉향 분말시료와 메탄올을 1:6(w/v)의 비율로 혼합하여 50℃에서 24시간 동안 3회 반복하여 교반 추출하였다. 이 추출액을 여과지(Whatman, No. 2)로 여과한 후 회전 진공증발기(Rotary evaporator N-1000, Eyela, Japan)로 45℃ 수조 상에서 감압 농축하였다. 농축한 영릉향은 DMSO(디메틸설폭사이드)에 용해시켜 항균 실험에 사용하였다. 이때, DMSO의 최종 농도는 현탁액의 1%(v/v)를 넘지 않도록 하였다.
2. 마이크로캡슐화
다음의 단계에 따라 영릉향 추출물을 마이크로캡슐화하여 영릉향 추출물이 포함된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하였다.
1단계: n-octenyl로 치환된 식품 전분(치환율 0.005) 43g을 물 55g에 넣어서 녹인다. 이 용액에 전분의 밀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4g의 NaCl을 첨가한다. 단일상으로 잘 녹은 전분 수용액을 준비시킨다.
2단계: 상기 1단계의 45% 전분 수용액에 영릉향 추출물 15g을 첨가하여 호모게나이저로 5000rpm, 3분동안 고속 교반시킨다. 균일하고 작은 크기의 입자를 얻기 위하여 에멀전 상태의 유화를 실시한다.
3단계: 상기 2단계의 혼합액(45% 전분 수용액에 물 100g에 영릉향 추출물 10g을 유화시킨 용액)에 가교제 역할을 하는 글루타르디알데하이드 4g을 넣고 20분 동안 7000rpm에서 가교시킨다.
4단계: 위의 얻은 마이크로캡슐용액을 스프레이 건조 공정에 도입하여 분말 형태의 마이크로캡슐을 얻는다. 마이크로캡슐 슬러리는 펌프에 의해 20㎖/분 이하로 이송하면서 동시에 공기 압축기를 7∼9bar로 공기를 불어넣어 마이크로캡슐형 토양처리용 살균·살충제를 제조하였다.
3. 영릉향의 항균활성능 검정
본 실험에서 사용한 균주는 마그나포르테 오리제(Magnaporthe oryzae)이며, PDB(Potato Dextrose Broth, Difco) 배지에 배양하여 진탕 배양기에서 25℃ 조건 하에 3일간 배양하였고 0.85% 식염수로 희석하여 균주의 최종 농도를 106~107CFU/ml로 조절하였다.
전배양된 마그나포르테 오리제(Magnaporthe oryzae)를 도말 스틱을 이용하여 PDA(Difco) 평판 배지에 각 1ml씩 도말하여 준비하였고 영릉향 시료를 각 농도별로 멸균한 핀셋으로 8mm 디스크 페이퍼에 흡수시켜 완전히 건조시킨다. 건조된 디스크를 마그나포르테 오리제(Magnaporthe oryzae)가 도말된 평판 배지 위에 완전히 밀착시킨 상태로 25℃ 항온배양기에서 24시간 배양 후 디스크 주변에 생성된 클리어 존을 측정하여 농도별 항균 활성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디스크 클리어 존 확인을 통한 영릉향 추출물의 항균활성검정에서 높은 항균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1, 도 1a 및 도 1b).
처리 농도(μg) 직경(cm) 반지름(cm)
미처리 2.4 1.2
10 1.2 0.6
50 0.6 0.3
100 0.6 0.3
150 0.6 0.3
200 0.4 0.2
300 0.4 0.2
400 0.3 0.15
500 0.3 0.15
600 0.3 0.15
700 0.3 0.15
4. 벼 도열병 방제를 위한 시험
본 발명의 영릉향 추출물을 2012년도에 (주) 한국식물환경연구소에 의뢰하여 벼 도열병 방제 효과를 시험하였다. 시험과정 및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도 2a 내지 도 4b).
시험 과정
가. 대상병해 : 목도열병 ( Magnaporthe grisea)
나. 시험작물(품종) : 벼 (추청벼)
다. 처리내용
공시자재명 약효 시험 약해 시험
희석배수 처리시기/방법
(처리일자)
기준량
(처리일자)
배량
(처리일자)
영릉향 추출물 500배 출수기 7일 간격 2회 경엽 처리
(8/27, 9/3)
500배
(8/27)
250배
(8/27)
무처리 - - - -
라. 약제처리
처리조건 1차 처리 2차 처리
처리일시 8.27 9.3
처리시간 10:00 10:00
기상개황 맑음 맑음
마. 경종방법
재배양식 써레질(월/일) 이앙시기
(월/일)
재식거리
(cm)
출수일
(월/일)
어린모 기계이양 5/23 5/26 30x14 8/20
바. 타 약제처리현황: 일반농가 관행에 준하되 살균제 살포금지
사. 시험구배치 및 면적 : 난괴법 3반복
구분 처 리 수 반 복 수 총 구 수 구당면적(m2) 소요면적(m2) 총소요면적(m2)
약효 2 3 6 30 180 270
약해 3 3 9 10 90
아. 약제살포 전후 기상상황(이천기상대 참조)
월/일 강우량(mm) 최고/최저 기온(℃) 평균기온(℃)
8/26 - 33.7/24.1 28.2
8/27 - 32.0/22.1 27.7
8/28 14.5 30.5/22.2 26.8
9/2 0.5 29.2/20.0 23.3
9/3 - 30.3/20.2 24.8
9/4 43.5 24.0/20.5 22.1
약제 처리일 : 약제처리시 기상에 의한 영향은 없었음
자. 조사방법
구 분 조사항목 조사횟수 조사일자 조사방법
약효시험 이병수율 1 9/19 출수 30일 후,
구당 30주에 대한 이병수율 조사
약해시험 외관상 약해유무 3 8/30, 9/1, 9/3 약제처리 3, 5, 7일 후 외관상 약해유무 달관조사
시험성적
가. 약효시험 : 벼 목도열병에 대한 약제방제 효과(출수 30일 후)
공시자재명 이병수율(%) 유의차
(DMRT)
방제가
(%)
반복 반복 반복 평균
영릉향추출물 8.5 8.6 9.0 8.7 a 63.3
무처리 23.1 22.2 25.8 23.7 b -
C.V.(%) ----------------------------------------------- 7.2
나. 약해시험 : 최종 약제처리 후 3, 5, 7일차 3회조사
공시자재명 시험작물
(품종명)
약해정도(0~5) 비 고
기준량 배 량
영릉향추출물
(추청벼)
0 0 약해없음

Claims (6)

  1. 영릉향(Lysimachiae Foenum - Graeci Herb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벼 도열병 방제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릉향 추출물은 영릉향 메탄올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릉향 추출물은 영릉향를 40~60℃에서 12-36시간 동안 메탄올로 추출한 후 여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릉향 추출물은 마그나포르테 오리제(Magnaporthe oryzae)에 대한 살균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의 영릉향 추출물을 포함하는 벼 도열병 방지용 마이크로캡슐.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이용한 벼 도열병의 방제 방법.
KR1020130045332A 2013-04-24 2013-04-24 영릉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벼 도열병 방제 조성물, 마이크로캡슐 및 이를 이용한 벼 도열병 방제 방법 KR101306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5332A KR101306883B1 (ko) 2013-04-24 2013-04-24 영릉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벼 도열병 방제 조성물, 마이크로캡슐 및 이를 이용한 벼 도열병 방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5332A KR101306883B1 (ko) 2013-04-24 2013-04-24 영릉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벼 도열병 방제 조성물, 마이크로캡슐 및 이를 이용한 벼 도열병 방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6883B1 true KR101306883B1 (ko) 2013-09-10

Family

ID=49455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5332A KR101306883B1 (ko) 2013-04-24 2013-04-24 영릉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벼 도열병 방제 조성물, 마이크로캡슐 및 이를 이용한 벼 도열병 방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688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22967A1 (ko) * 2015-07-31 2017-02-09 남부대학교산학협력단 영릉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감귤 검은점무늬병 방제용 조성물, 마이크로캡슐 및 이를 이용한 감귤 검은점무늬병 방제 방법
KR20180081417A (ko) 2017-01-06 2018-07-16 남부대학교산학협력단 영릉향 추출물 포집 지질 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벼 도열병 방제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6819B1 (ko) 2001-05-14 2005-04-29 주식회사 내츄로바이오텍 식물 추출물 및 이로부터 유래한 살충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살충성 조성물
KR100514978B1 (ko) 2003-05-19 2005-09-14 주식회사 내츄로바이오텍 닭 붉은 옴 살충제 조성물
KR20100076869A (ko) * 2008-12-26 2010-07-06 비알엔사이언스 주식회사 영릉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168566B1 (ko) 2010-05-20 2012-07-27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마그나포르테 그리세아에 의한 식물병 방제제 조성물 및 식물병 방제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6819B1 (ko) 2001-05-14 2005-04-29 주식회사 내츄로바이오텍 식물 추출물 및 이로부터 유래한 살충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살충성 조성물
KR100514978B1 (ko) 2003-05-19 2005-09-14 주식회사 내츄로바이오텍 닭 붉은 옴 살충제 조성물
KR20100076869A (ko) * 2008-12-26 2010-07-06 비알엔사이언스 주식회사 영릉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168566B1 (ko) 2010-05-20 2012-07-27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마그나포르테 그리세아에 의한 식물병 방제제 조성물 및 식물병 방제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22967A1 (ko) * 2015-07-31 2017-02-09 남부대학교산학협력단 영릉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감귤 검은점무늬병 방제용 조성물, 마이크로캡슐 및 이를 이용한 감귤 검은점무늬병 방제 방법
KR101781635B1 (ko) 2015-07-31 2017-09-25 남부대학교산학협력단 영릉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감귤 검은점무늬병 방제용 조성물, 마이크로캡슐 및 이를 이용한 감귤 검은점무늬병 방제 방법
CN107231788A (zh) * 2015-07-31 2017-10-03 南部大学产学协力团 含有零陵香提取物作为有效成分的用于防治柑橘黑点病的组合物、微胶囊及利用其的柑橘黑点病防治方法
KR20180081417A (ko) 2017-01-06 2018-07-16 남부대학교산학협력단 영릉향 추출물 포집 지질 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벼 도열병 방제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aad et al. Polyphenolic extracts from pomegranate and watermelon wastes as substrate to fabricate sustainable silver nanoparticles with larvicidal effect against Spodoptera littoralis
Kumar et al. Synthesis, characterization and on field evaluation of pesticide loaded sodium alginate nanoparticles
Amadioha Controlling rice blast in vitro and in vivo with extracts of Azadirachta indica
TWI379642B (ko)
CN110234228A (zh) 包含非-致病细菌的组合物及保护植物和动物宿主免于真菌、细菌和病毒疾病的方法
Chu et al. Effect of traditional Chinese herbal medicine with antiquorum sensing activity on Pseudomonas aeruginosa
TW201218956A (en) Compositions containing anthraquinone derivatives as growth promoters and antifungal agents
AU2010303652A1 (en) Anthraquinone containing derivatives as biochemical agricultural products
CN104904761A (zh) 一种生物农药及其使用方法
KR20040039140A (ko)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를 포함하는 인삼 병원균 방제용미생물 제제
KR101306883B1 (ko) 영릉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벼 도열병 방제 조성물, 마이크로캡슐 및 이를 이용한 벼 도열병 방제 방법
Rameshkumar et al. Trianthema portulacastrum leaf extract mediated synthesis of silver nanoparticles and elucidation of their larvicidal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Cortesi et al. Natural antimicrobials in spray-dried microparticles based on cellulose derivatives as potential eco-compatible agrochemicals
CN106686979A (zh) 新的植物功能性经活化的纳米免疫性肥料药剂及其制备、配制、稀释和使用方法
KR20000072238A (ko) 천연 식물성 정유의 생분해성 마이크로캡슐화 방법 및 그제제
CN107232238B (zh) 一种山苍子精油在控制辣椒疫病上的应用
Choudhary et al. Synthesis and Evaluation of Naringin-Loaded Neem Oil Nanopesticidal Emulsion for Sustainable Crop Management System
CN110074137A (zh) 枯草芽孢杆菌在防治小麦蚜虫中的应用
KR101306885B1 (ko) 지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벼 도열병 방제 조성물, 마이크로캡슐 및 이를 이용한 벼 도열병 방제 방법
KR101781635B1 (ko) 영릉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감귤 검은점무늬병 방제용 조성물, 마이크로캡슐 및 이를 이용한 감귤 검은점무늬병 방제 방법
KR101890025B1 (ko)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fnr-10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딸기 병원균에 대한 방제용 조성물
Amadioha Fungicidal activity of some plant extracts against Rhizoctonia
JP2023510868A (ja) 農業用途のための非毒性コーティング濃縮物
Okoronkwo et al. Cholinesterase and bacterial inhibitory activities of Stachytarpheta cayennensis
Lotfalinezhad et al. Preparation and assessment of alginate-microencapsulated Trichoderma harzianum for controlling Sclerotinia sclerotiorum and Rhizoctonia solani on tomat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