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4978B1 - 닭 붉은 옴 살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닭 붉은 옴 살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4978B1
KR100514978B1 KR10-2003-0031598A KR20030031598A KR100514978B1 KR 100514978 B1 KR100514978 B1 KR 100514978B1 KR 20030031598 A KR20030031598 A KR 20030031598A KR 100514978 B1 KR100514978 B1 KR 1005149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plant
scabies
chicken red
chick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1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9574A (ko
Inventor
김순일
이지환
박홍묵
안용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내츄로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내츄로바이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내츄로바이오텍
Priority to KR10-2003-0031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4978B1/ko
Publication of KR20040099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95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4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49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4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wood or with a top layer of wood, e.g. with wooden or metal connecting members
    • E04F15/041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wood or with a top layer of wood, e.g. with wooden or metal connecting members with a top layer of wood in combination with a lower layer of other material
    • E04F15/043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wood or with a top layer of wood, e.g. with wooden or metal connecting members with a top layer of wood in combination with a lower layer of other material the lower layer being of organic plastic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s or filling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3Separately-laid layer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 E04F2290/04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with a bottom layer for sound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닭 붉은 옴 살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닭 또는 닭 사육장내에 서식하는 닭 붉은 옴을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으며, 닭 붉은 옴으로 매개되는 질환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는 식물 추출물 또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살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닭 붉은 옴 살충제 조성물{COMPOSITION AS CONTROL AGENTS AGAINST BLOOD FEEDING FOWL RED MITES}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닭 붉은 옴 살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닭 또는 닭 사육장내에 서식하는 닭 붉은 옴을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으며, 닭 붉은 옴으로 매개되는 질환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는 식물 추출물 및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진드기 종류 중 양계장에서 가장 빈번히 발생하는 종은 닭 붉은 옴(닭큰옴, 일명 "와꾸모"라 함; fowl red mite, Dermanyssus gallinae)과 닭 작은 옴(northern fowl mite, Ornithonyssus sylviarum)이다. 이들은 국내 뿐 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분포되어 있으며 둘 다 닭에 기생하여 흡혈하는 습성을 갖고 있다. 특히 닭 붉은 옴은 숙주인 닭에 기생하여 흡혈함으로써 가려움증과 빈혈 등을 일으키며, 심할 시에는 사망까지 가져올 수 있다. 이 진드기는 사료를 비롯해 계사의 갈라진 틈새에 알을 낳아 서식하며, 흡혈이 필요할 때만 숙주로 이동하는 특성을 보이기 때문에 방제가 매우 어렵다. 이것의 자충과 암컷이 주로 흡혈을 하며 수컷은 거의 흡혈을 하지 않고 유충의 경우는 흡혈을 하지 않는다. 흡혈시간은 30분에서 1시간 30분 정도로 매우 짧은 시간만 흡혈을 하고 나머지 시간에는 계사내 어두운 틈새 부분에서 서식하는 습성을 보인다.
닭 붉은 옴은 현재 우리나라를 비롯해 양계업을 행하는 국가에서 산란에 문제를 일으키는 가장 중요한 외부기생자이다. 이 종은 가금류, 엽조류, 야생조류들을 비롯한 거의 대다수 조류들에서 발견되는 종으로서 가끔 인간을 포함한 포유류를 흡혈하여 피부병을 유발하므로 양계장 내에서 작업하는 사람들에게는 매우 귀찮은 존재이다. 20세기 초까지만 해도 닭 붉은 옴에 대한 생태가 전혀 연구되지 않았으나, 스미스 등 (Smith M.G., Blattner R.J., Heys F.M., 1944. Science 100: 362-363)에 의해 세인트루이스 뇌염바이러스가 닭 붉은 옴에서 분리되면서 많은 연구자들이 관심을 갖게 되었다. 또한 이 종은 가금티푸스, 가금콜레라와 같은 닭과 관련된 다양한 질병을 일으키는 바이러스 등의 매개자 역할을 한다(Zeman P., Stika V., Skalka B., Bartik M., Dusbabek F., Lavickova M., 1982. Potential role of Dermanyssus gallinae (De Geer, 1778) in the circulation of the agent of pullurosis-typhus in hens. Folia Parasit. (Praha) 29: 371-374). 프랑스를 비롯한 유럽지역에서는 닭붉은옴에 의해 거의 모든 양계장이 감염되어 있음이 밝혀졌다(Beugnet F., Chauve C., Gauthey M., Beert L., 1997. Vet. Rec. 140: 577-579; Hoglund H., Nordenfors H., Uggla A. 1995. Poultry Sci. 74, 1793-1798; Maurer V., Baumgatner J. 1994. Exp. Appl. Acarol. 18: 409-422).
닭 붉은 옴을 방제하기 위해 35종 이상의 물질들이 이용되고 있으며, 이들 중 몇몇은 효과가 우수하나 식품 안전성과 환경적인 측면에서 사용이 부적절한 측면을 나타낸다. 또한 반복적이고 장기적인 살비제 사용은 저항성 진드기의 발생을 초래하였다. 특히 DDT, 유기인계 또는 피레스로이드계 살비제들에 대한 저항성이 이탈리아(Genchi C., Huber H., Traldi G. 1984. The efficacy of flumethrin (Bayticol Bayer) for the control of chicken mite Dermanyssus gallinae (De Geer, 1978) (Acarina, Dermanyssidae). Arch. Vet. Ital. 35: 125-128)와 프랑스에서 제기되었다(Beugnet F., Chauve C., Gauthey M., Beert L. 1997. Resistance of the red poultry mite to pyrethroids in France. Vet. Rec. 140: 557-579). 스웨덴의 경우 2000년 1월 1일부로 유기인계 메트리포네이트(metriphonate)만이 양계용 살비제로서 사용 가능하게 되었고, 아직까지 이를 대체할만한 화합물이 개발되지 않은 상황이다(Chirico J., Tauson R. 2002. Traps containing acaricides for the control of Dermanyssus gallinae. Veterinary Parasitology 110(1-2): 109-116). 대체방법으로 퍼메스린(permethrin)에 담근 플라스틱 상자나 이를 양계장내 살포하는 방법은 양계장 틈새에 숨어있는 진드기들을 방제하는 데 있어서 효과적인 전략은 아니다(Kilpinen O. 2001. Host seeking behaviour of the chicken mite. In: Good, M., Hall, M.J., Losson, B., O'Brien,D., Pithan, K., Sol, J. (Eds.), Mange and Myiasis in Livestock. COST 833, Commission of the European Communities, Brussels, pp. 54-5: Nordenfors H., Chirico J., 2001. Evaluation of a sampling trap for Dermanyssus gallinae (Acari: Dermanyssidae). J. Econ. Entomol. 94, 1617-1621).
이와같이 닭 옴을 효과적으로 방제하기 위한 많은 연구노력들이 진행중이지만, 닭 옴 생태에 맞는 적절한 방제 전략을 탐색한다는 것이 쉽지만은 않다. 따라서 식물체 및 식물체 유래 정유에 근간하여 살충력이 우수하면서도, 독성이 없어 기존의 유기합성 화학제들을 대체할 수 있는 살충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닭 옴을 효과적으로 살충할 수 있으며 무독성인 식물 추출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닭 옴에 대하여 살충성을 나타내는 식물유래 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기합성 살충제를 대체하여 유기합성 살충제 사용으로 인한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는 닭 옴 살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티무스 불가리스, 주니퍼루스 옥시세드러스, 엘레타리아 카르다모멈, 주니퍼루스 코뮤니스, 카룸 카르비, 코리안드럼 사티붐, 심보포곤 나르두스, 살비아 오피시날리스, 펠라르고니엄 그라베올렌스, 시트러스 아우란티폴리아, 살비아 스클레레아, 피멘토 라세모사, 멘타 피페리타, 오리가넘 불가레, 유제니아 카리요필라타, 유칼립투스 글로불러스, 안니바 로사에오도라, 멜라레우카 테니폴리아, 세두스 아틀란티카, 로즈마리누스 오피시날리스, 심보포곤 마르티니, 시트러스 레티쿨라타, 아비에스 알바, 티무스 마스티시나, 심보포곤 시트라투스, 베티베라 지자노이데스, 시트러스 리모넘, 멘타 스피카타, 캡시컴 안늄, 진저 오피시날리스, 라벤둘라 하이브리다, 브라시카 준시아, 코콜레아리아 아르모라시아, 신나모멈 카시아, 감초, 형개, 회향, 모란, 영릉향, 대회향, 산초나무, 양춘사, 세신, 용뇌향 및 박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이상 선택된 식물체로부터 추출한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닭 붉은 옴 살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트랜스-아네톨, 유제놀, 이소유제놀, 메틸유제놀, 아세틸유제놀, 아니스알데하이드, 멘톤, 린나룰, 카바크롤, 캄퍼, 신남알데하이드, 멘톨, 사프롤 및 시네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이상 선택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닭 붉은 옴 살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닭 붉은 옴에 대하여 우수한 살충효과를 가지는 식물유래 추출물 또는 화합물을 스크리닝하던 중 닭 붉은 옴에 대하여 현저한 살충성을 가지는 식물 추출물 및 화합물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닭 붉은 옴에 대하여 살충효과를 가지는 식물 추출물은 티무스 불가리스(Thymus vulgaris), 주니퍼루스 옥시세드러스(Juniperus oxycedrus), 엘레타리아 카르다모멈(Elettaria cardamomum), 주니퍼루스 코뮤니스(Juniperus communis), 카룸 카르비(Carum carvi), 코리안드럼 사티붐(Coriandrum sativum), 심보포곤 나르두스(Cymbopogon nardus), 살비아 오피시날리스(Salvia officinalis), 펠라르고니엄 그라베올렌스(Pelargonium graveolens), 시트러스 아우란티폴리아(Citrus aurantifolia), 살비아 스클레레아(Salvia sclerea), 피멘토 라세모사(Pimento racemosa), 멘타 피페리타(Mentha piperita), 오리가넘 불가레(Origanum vulgare), 유제니아 카리요필라타(Eugenia caryophyllata), 유칼립투스 글로불러스(Eucalyptus globulus), 안니바 로사에오도라(Aniba rosaeodora), 멜라레우카 테니폴리아(Melaleuca tenifolia), 세두스 아틀란티카(Cedus atlantica), 로즈마리누스 오피시날리스(Rosmarinus officinalis), 심보포곤 마르티니(Cymbopogon martini), 시트러스 레티쿨라타(Citrus reticulata), 아비에스 알바(Abies alba), 티무스 마스티시나(Thymus masticina), 심보포곤 시트라투스(Cymbopogon citratus), 베티베라 지자노이데스(Vetivera zizanoides), 시트러스 리모넘(Citrus limonum), 멘타 스피카타(Mentha spicata), 캡시컴 안늄(Capsicum annuum var. angulosum), 진저 오피시날리스(Zinger officinalis), 라벤둘라 하이브리다(Lavendula hybrida), 브라시카 준시아(Brassica juncia), 코콜레아리아 아르모라시아(Cocholearia armoracia), 신나모멈 카시아(Cinnamomum cassia), 감초, 형개, 회향(Foeniculum vulgare), 모란(Paeonia suffruticosaAndrews), 영릉향(Lysimachia davurica), 대회향(Illicium verum), 산초나무(Zanthoxylum schinifolium), 양춘사(Amomum villosum), 세신(Asiasarum sieboldii), 용뇌향(Dryobalanops aromatica Gaertn. f) 및 박하(Mentha arvensis var. piperascen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이상 선택된 식물체로부터 추출한 식물 추출물이다.
상기 식물 추출물은 용매추출물 또는 정유로, 식물 추출물 제조방법은 통상의 용매를 이용한 추출물 제조방법이나, 식물정유 제조방법일 수 있다. 상기 용매를 이용한 추출물 제조방법은 식물체에 용매를 가하고 이로부터 추출물을 수득한 후 이를 동결건조하는 방법일 수 있으며, 이때 용매로 메탄올을 사용할 수 있으며, 메탄올 추출물에 헥산, 클로로포름 및 에틸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이상 선택된 용매를 순차적으로 처리하여 층분리를 더욱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식물정유 제조방법은 기존에 알려진 모든 종류의 방법일 수 있으며,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주정이나 수증기를 이용한 증류법과 압착법이 있다.
닭 붉은 옴에 대하여 살충성을 가지는 식물 추출물은 상기 기술한 식물들로부터 추출한 식물 추출물이며,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식물 종류마다 특정 부위, 예를들면 꽃, 잎, 줄기, 꽃봉우리, 뿌리, 수지, 열매, 종자 또는 식물 전체로부터 추출하여 제조된 식물 추출물이다. 하기 표 1에 각 식물별 바람직한 추출부위 및 각 부위에서 추출한 정유명을 기재한다.
식물 식물 추출물 또는 정유 주산지 추출부위
티무스 불가리스 타임화이트 오일 France
타임레드 오일 France
주니퍼루스 옥시세드러스 케이드 오일 Portugal 줄기
엘레타리아 카르다모멈 카다몬 실론 오일 France(Guatamala) 열매
주니퍼루스 코뮤니스 쥬니퍼베리 오일 France 열매
카룸 카르비 케라웨이 시드 오일 France 종자
코리안드럼 사티붐 코리엔더 오일 Russia 열매
심보포곤 나르두스 시트로넬라 자바 오일 Indonesia(Java)
살비아 오피시날리스 세이지 오일 Spain
펠라르고니엄 그라베올렌스 제라니움 오일 France(Ezypt)
시트러스 아우란티폴리아 라임 디스 오일 USA(West Indies) 과피
살비아 스클레레아 클레리 세이지 오일 France
피멘토 라세모사 베이 오일 France
멘타 피페리타 페퍼민트 오일 USA(India)
오리가넘 불가레 오레가노 오일 Morocco
유제니아 카리요필라타 클로브 잎 오일 Madagascar
클로브 버드 오일 Madagascar 꽃봉오리
유칼립투스 글로불러스 유칼립투스 오일 China(France)
안니바 로사에오도라 로즈우드 오일 Brazyl 수피
멜라레우카 테니폴리아 티트리 오일 Australia
세두스 아틀란티카 세다우드 오일 USA(France) 수피
로즈마리누스 오피시날리스 로즈마리 오일 Spain(France)
심보포곤 마르티니 팔마로사 오일 Brazyl, Indonesia 전초
시트러스 레티쿨라타 만다린 오일 Italy, Brazyl 과피
아비에스 알바 퍼 니들 오일 Canada 열매
티무스 마스티시나 마조람 오일 India(Spain)
심보포곤 시트라투스 레몬그레스 오일 India
베티베라 지자노이데스 베티버 아이티 오일 India(China) 전초
시트러스 리모넘 레몬 오일 Italy 과피
멘타 스피카타 스피아민트 오일 USA
캡시컴 안늄 피멘토 베리 오일 France 열매
진저 오피시날리스 진저 오일 Srilanka(China) 뿌리
라벤둘라 하이브리다 라벤더 오일 France, Bulgar
브라시카 준시아 겨자 오일 Korea 열매
코콜레아리아 아르모라시아 양고추냉이 오일 Europe 뿌리
신나모멈 카시아 계피 오일 China 수피
감초 뿌리
형개 전초
회향 열매
모란 목단피 근피
영릉향 전초
대회향 열매
산초나무 산초 열매
양춘사 공사인 뿌리줄기
세신 전초
용뇌향 녹나무 제주도 줄기
박하 박하뇌-박하유를 저온처리하여 추출 잎줄기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식물 추출물로부터 활성 화합물을 분리하여, 트랜스-아네톨이 닭 붉은 옴에 대하여 살충활성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이에, 트랜스-아네톨과 비슷한 계열의 화합물들을 스크리닝하여 닭 붉은 옴에 대하여 살충성을 나타내는 하기의 화합물을 검색하였다: 유제놀(eugenol), 이소유제놀(isoeugenol), 메틸유제놀(methyleugenol), 아세틸유제놀(acethyleugenol), 아니스알데하이드(m-anisaldehyde), 멘톤(menthone), 린나룰(linalool), 카바크롤(carvacrol), 캄퍼((±)-camphor), 신남알데하이드(cinnamaldehyde), 멘톨(menthol), 사프롤(safrole), 시네올(1,8-cineol).
본 발명은 닭 붉은 옴에 대한 살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닭 붉은 옴 살충제는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 또는 살충성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단독 또는 2종이상의 혼합물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살충제 조성물은 유효성분만을 포함할 수도 있으나, 사용용이성, 경제성, 제형 또는 살충효과증진을 위하여 통상의 부형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부형제를 더욱 포함하는 경우 살충제 조성물은 식물 추출물 또는 살충성 화합물을 살충제의 제형, 적용방법, 살포방법 또는 적용장소에 따라 적절히 조절하여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살충제 조성물에 대하여 5 내지 20 중량%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3 내지 1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부형제는 살충제 조성물의 용도 및 적용방법에 따라 적절한 물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살충제 제형에 포함되는 물질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규조토(diatomaceous earth)이다.
본 발명의 살충제 조성물은 닭 붉은 옴이 서식하는 계사 내부 또는 닭에 사용 가능하며, 사용방법은 분무처리, 도포처리, 침지처리, 훈증처리 등의 방법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훈증처리이다. 살충제 조성물의 적용용량은 통상적인 살충제를 적용시키는 용량으로 사용할 수 있으나, 계사의 처리시 계사면적이나 공간을 고려하여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살충제 조성물의 제형은 액제, 유제, 유화제, 겔제, 훈증제 또는 사료에 첨가한 형태의 제형 등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재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식물정유의 닭 옴에 대한 살충활성 검증
(1) 공시충 채집
실험에 사용한 닭 붉은 옴(Dermanyssus gallinae)은 경기도 포천군 및 화성군의 계사내에서 채집하여 사용하였다. 채집한 닭 붉은 옴은 온도 26 ± 1 ℃, 상대습도 55±5 %로 유지된 서울대학교 생리활성천연물연구실의 곤충 사육실에 넣어두고, 필요시에 성충만을 선별하여 실험에 이용하였다.
(2) 공시시료
타임화이트 오일, 케이드 오일, 카다몬 실론 오일, 쥬니퍼베리 오일, 케라웨이 시드 오일, 타게테스 오일, 카모마일 로만 오일, 코리엔더 오일, 시트로넬라 자바 오일, 세이지 오일, 패촐린 오일, 베르가못 오일, 제라니움 오일, 라임 디스 오일, 그레이프후르츠 오일, 클레리 세이지 오일, 베이 오일, 페퍼민트 오일, 오레가노 오일, 미르틀 오일, 클로브 잎 오일, 유칼리투스 오일, 일랑일랑 오일, 로즈우드 오일, 탕게린 오일, 티트리 오일, 세다우드 오일, 레몬유칼립투스 오일, 웜우드 오일, 프랭켄센스 오일, 로즈마리 오일, 블랙 페퍼 오일, 팔마로사 오일, 페티트그레인 오일, 타임 레드 오일, 만다린 오일, 퍼 니들 오일, 마조람 오일, 레몬그레스 오일, 페니로얄 오일, 베티버 아이티 오일, 레몬 오일, 스페아민트 오일, 클로브 버드 오일, 피멘토 베리 오일, 진저 오일, 넛메그 오일, 라벤더 오일, 비터 오렌지 오일, 오렌지 오일, 시프레스 오일, 샌달우드 오일, 바질 오일, 겨자 오일, 양고추냉이 오일 및 계피 오일을 각각 구입하여 식물정유 시료로 사용하였다.
(3) 살비활성 검정법
각각의 식물정유를 에탄올 50 ㎕에 녹이고, 마이크로피펫을 이용해 여지(Whatman No. 2, 직경 4.25 cm)에 처리하고 용매를 충분히 휘발시킨 후, 처리된 여지를 페트리디쉬(직경 4.8 cm, 높이 1.25 cm)에 넣었다. 각 페트리디쉬는 0.5 x 1 cm로 절단한 탈지면에 50 ㎕ 증류수를 미리 처리하여 적절한 상대습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의 방법으로 준비한 페트리디쉬에 활력이 우수한 닭 붉은 옴 성충 15 - 30개체를 여지 위에 방사하여 물질이 처리된 여지와 닭 붉은 옴이 직접 접촉할 수 있도록 하였다. 살비활성 결과는 24시간 후 해부현미경(x20)하에서 페트리디쉬의 뚜껑을 열고 직접 미세한 붓으로 부속지들을 자극하여 부속지의 움직임이 전혀 없는 개체들만을 사충으로 간주하였다. 모든 검정은 3 내지 5회 반복 실시하였다.
(4) 통계처리
상기 살비활성 검정결과는 다중검정(ANOVA)을 통해 결정하였고, 처리구 및 대조구 간의 평균간 차이는 쉐페검정(Sheffe's test, SAS Institute 1994)으로 비교하였다. 평균간 차이가 없는 군들의 경우는 동일한 알파벳 문자로 표시하여 각 표에 제시하였다. 또한 LD50, LD95 값은 프라빗 분석(Probit analysis)을 통해 계산하였다.
식물정유를 여지면적(cm2)당 적정량을 처리하고 24시간 후에 살비율을 조사하여 하기 표 2에 제시하였다. 각 농도에서 살비율이 50 % 이상이 되면 농도를 반수로 감소시켜 그 활성을 조사하였고, 반수치사율 이상이 보이는 시료는 반수치사율 이하가 보일 때까지 농도를 감소시켜 지속적으로 검정을 실시하였다.
식물체 정유명 살비율 (mean±SE, %)
농도, 여지면적당 mg
0.35 0.14 0.07 0.04 0.02
타임화이트 오일 100±0.0a 100±0.0a 97.3±2.7ab 63.3±4.1bcdef 4±2.3ab
케이드 오일 100±0.0a 100±0.0a 100±0.0a 100±0.0a 25.3±5.8ab
카다몬 실론 100±0.0a 1.3±1.3bc - - -
쥬니퍼베리 100±0.0a 1.3±1.3bc - - -
케라웨이 시드 100±0.0a 100±0.0a 86.7±3.5ab 48±2.3defg 2.7±2.7b
타게테스 6.7±2.7ef 1.3±1.3bc - - -
카모마일 로만 12±2.3def 1.3±1.3bc - - -
코리엔더 100±0.0a 100±0.0a 100±0.0a 86±4.2abcd 34.7±5.8ab
시트로넬라 자바 96±2.3ab 18.7±3.5bc - - -
세이지 89.3±3.5abc 22.7±3.5bc - - -
패촐린 6.7±1.3ef 1.3±1.3bc - - -
베르가못 1.3±1.3f 1.3±1.3bc - - -
제라니움 93.3±2.7abc 10.7±2.7bc - - -
라임 디스 100±0.0a 100±0.0a 100±0.0a 72.7±2.9bcde 46±5.3a
그레이프후르츠 4±2.3f 0±0.0c - - -
클레리 세이지 92±2.3abc 14.7±3.5bc - - -
베이 100±0.0a 100±0.0a 100±0.0a 57.3±3.5cdefg 8±4.0ab
페퍼민트 100±0.0a 100±0.0a 88.7±4.1ab 30.7±3.5efgh 4±2.3ab
오레가노 100±0.0a 100±0.0a 93.3±3.5ab 49.3±2.7defg 8±2.3ab
미르틀 18.7±3.5def 9.3±1.3bc - - -
클로브 잎 100±0.0a 100±0.0a 88.7±4.1ab 72.7±2.9bcde 12±6.9ab
유칼리투스 100±0.0a 37.3±3.5bc - - -
일랑일랑 0±0.0f 0±0.0c - - -
로즈우드 100±0.0a 100±0.0a 89.3±2.7ab 40±2.3efg 22±5.3ab
탕게린 8±4.6ef 1.3±1.3bc - - -
티트리 100±0.0a 100±0.0a 86±4.2ab 48.7±4.1defg 2.7±2.7b
세다우드 100±0.0a 1.3±1.3bc - - -
레몬유칼립투스 10.7±3.5def 1.3±1.3bc - - -
웜우드 18.7±3.5def 38.7±2.7b - - -
프랭켄센스 2.7±1.3f 4±2.3bc - - -
로즈마리 100±0.0a 8±2.3bc - - -
블랙 페퍼 14.7±3.5def 1.3±1.3bc - - -
팔마로사 100±0.0a 98.7±1.3a 5.3±2.7b - -
페티트그레인 5.3±2.7f 5.3±2.7bc - - -
타임 레드 100±0.0a 100±0.0a 100±0.0a 42±3.5efg 13.3±2.7ab
만다린 100±0.0a 1.3±1.3bc - - -
퍼 니들 100±0.0a 2.7±2.7bc - - -
마조람 100±0.0a 37.3±3.5bc - - -
레몬그레스 100±0.0a 100±0.0a 71.3±4.1b 26±2.0fgh 22.7±3.5ab
페니로얄 100±0.0a 100±0.0a 100±0.0a 29.3±3.5efgh 1.3±1.3b
베티버 아이티 100±0.0a 1.3±1.3bc - - -
레몬 100±0.0a 6.7±3.5bc - - -
스페아민트 100±0.0a 97.3±2.7a 97.3±2.7ab 17.3±3.5gh 6.7±3.5ab
클로브 버드 100±0.0a 100±0.0a 100±0.0a 89.3±5.8abc 37.3±3.5ab
피멘토 베리 100±0.0a 00±0.0a 100±0.0a 71.3±4.5bcde 23.3±4.1ab
진저 100±0.0a 4±2.3bc - - -
넛메그 2.7±1.3f 2.7±1.3bc - - -
라벤더 100±0.0a 94.7±2.7a 88.7±3.3ab 33.3±2.7efg 22±5.3ab
비터 오렌지 6.7±1.3ef 1.3±1.3bc - - -
오렌지 0±0.0f 0±0.0c - - -
시프레스 10.7±1.3def 0±0.0c - - -
샌달우드 0±0.0f 0±0.0c - - -
바질 56±2.3bcd 2.7±2.7bc - - -
겨자 100±0.0a 100±0.0a 98.7±1.8ab 93.3±3.5ab 18.7±1.3ab
양고추냉이 100±0.0a 100±0.0a 100±0.0a 100±0.0a 33.3±3.1ab
계피 100±0.0a 100±0.0a 97.3±2.7ab 42±3.5efg 2.7±2.7b
대조구(에탄올) 1.3±1.3f 0±0.0c 0±0.0b 2.7±1.3h 2.7±1.3ab
상기 표 2의 동일한 문자(a, b)는 평균이 통계상(P = 0.05, Sheffe 검정) 별다른 차이가 없음을 나타내며, 살충율은 아크사인 제곱근으로 변형시켜 나타내었다.
상기 표 2에 제시된 바와 같이 식물 정유의 살층효과는 식물체 정유 및 농도에 의존적인 양상을 보였는데, 전체적으로 볼 때 처리한 고농도(여지면적당 0.35 mg) 수준에서는 거의 대부분의 식물체 정유들이 높은 살충율을 나타내었으나 반수로 농도를 낮추면 그 살충율이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식물 정유내에 함유된 휘발성 물질들의 급격한 휘발로 인한 활성저하로 여겨진다.
실시예 2: 식물추출물의 닭 옴에 대한 살충활성 검증
하기 표 3의 식물체 각 2 kg을 서울 경동시장(보은한약방)에서 구입하여 믹서기로 곱게 마쇄하고, 5 L 삼각플라스크에 넣은 다음 메탄올 3 L를 혼합하여 잘 흔들어 준 후 실온 암실에서 3일간 방치하였다. 3일 후 감압 여과하여 여과액 만을 회전진공농축기(EYELA autojack NAJ-160, Japan)로 농축하였다. 여지에 걸러진 잔유물은 상기 방법을 재실시하여 2차 추출을 한 후 농축하여 농축물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각 식물체 추출물의 수율은 하기 식으로 계산하여 표 3에 나타내었다.
식물 학명 과명 부위 수율,%
백지 Angelica dahuricaBentham et Hooker 산형과(Apiaceae) 뿌리 17.7
천궁 Cnidium officinale Makino 산형과(Apiaceae) 근피 10.0
창포 Acorus calamusvar.angustatusBesser 천남성과(Araceae) 근피 10.1
석창포 Acorus gramineusSolander 천남성과(Araceae) 근피 9.5
Artemisia princeps var.orientalisHara 국화과(Compositae) 전초 6.6
목향 Inula heleniumLinne 국화과(Compositae) 뿌리 16.3
Dioscorea batatasDecaisne 마과(Dioscoreaceae) 근피 2.4
감초 Glycyrrhiza glabraLinne 콩과(Leguminosae) 뿌리 21.9
형개 Schizonepeta tenuifoliaBriqet 꿀풀과(Labiatae) 전초 8.1
회향 Foeniculum vulgare Miller 산형과(Apiaceae) 열매 4.9
정향 Eugenia caryophyllataThunberg 도금양과(Myrtaceae) 꽃봉오리 37.8
모란(목단피) Paeonia suffruticosaAndrews 모란과(Paeoniaceae) 근피 18.6
대황 Rheum coreanumNakai 마디풀과(Polygonaceae) 뿌리줄기 41.6
모과 Chaenomeles sinensisKoehne 장미과(Rosaceae) 열매 60.8
오수유 Evodia rutaecarpa Thoms 운향과(Rutaceae) 열매 9.5
백부(근) Stemona japonica Miquel 백부과(Stemonaceae) 뿌리 15.2
침향 Aquillaria agallochaRoxburgh 팥꽃나무과(Thymelaeaceae) 수지 6.6
감송향 Nardostachys chinensisBatalin 마타리과(Valerianaceae) 근피 12.9
곽향 Agastache rugosaO. Kuntze 꿀풀과(Labiatae) 전초 9.5
후박 Magnolia officinalis Rehd. et Wils. 목련과(Magnoliaceae) 근피 7.8
단목 Nauclea officinalis 꼭두서니과(Rubiaceae) 뿌리 9.9
자단향 Pterocarpus indicusWilldenow 콩과(Leguminosae) 5.4
치자 Gardenia jasminoides Ellis 꼭두서니과(Rubiaceae) 열매 5.3
유향 Boswellia carterii Birdw 감람과(Burseraceae) 레진 88.8
영릉향 Lysimachia davuricaLedebour 콩과(Leguminosae) 전초 9.0
대회향 Illicium verumHooker 목련과(Magnoliaceae) 열매 26.1
산초 Zanthoxylum schinifoliumSiebold et Zuc. 운향과(Rutaceae) 열매 16.2
가자 Terminalia chebula Retz. 사군자과(Combretaceae) 종자 6.7
고량강 Alpinia officinarum Hance 생강과(Zingiberaceae) 근피 9.2
눈향 Juniperus horizontalis Barharbor 측백나무과(Cupressaceae) 잎줄기 9.8
공사인 Amomum villosum Wall. 생강과(Zingiberaceae) 뿌리줄기 3.8
세신 Asiasarum sieboldii F. Maekawa 쥐방울과(Aristolochiaceae) 전초 5.0
박하뇌 Dryobalanops aromatica Gaertn. f. 용뇌향과(Diterocarpaceae) 잎줄기 94
용뇌 Dryobalanops aromatica Gaertn. f. 녹나무과 줄기 91
(계산식)
수율 % = 농축한 추출물의 중량/마쇄한 식물체 건조 중량 X %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각 식물 추출물들의 닭 붉은 옴에 대한 살충성을 확인하였다. 각 식물체 추출물의 처리 농도는 여지 면적당 0.35 mg 수준으로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식물체 총처리충수 총사충수 살비율 (평균±표준오차, %)
천궁 45 32 71.1±0.3ab
창포 54 27 55.6±22.8abc
석창포 59 25 42.5±8.8abcd
57 3 5.5±3.0bcd
목향 66 13 21.6±6.6bcd
72 6 8.5±2.5bcd
감초 58 58 100±0.0a
형개 65 63 96.7±3.3a
회향 61 61 100±0.0a
정향 63 63 100±0.0a
목단피 70 69 98.9±1.1a
대황 64 9 13.7±4.0bcd
모과 58 3 4.6±2.5bcd
오수유 69 6 8.4±2.0bcd
백부근 70 1 1.2±1.2cd
침향 63 3 4.2±2.3bcd
감송향 63 2 3±3.0bcd
곽향 66 38 55.8±7.8abcd
후박 48 6 13.5±7.6bcd
단목 56 4 7.6±3.8bcd
자단향 49 4 6.9±4.7bcd
치자 68 1 1.2±1.2cd
단목 72 2 2.7±1.4bcd
유향 54 0 0±0.0d
영릉향 74 74 100±0.0a
대회향 87 87 100±0.0a
산초 68 68 100±0.0a
가자 80 13 15.4±5.8bcd
고량강 87 10 11.4±4.5bcd
눈향 69 4 5.8±1.1bcd
공사인 86 86 100±0.0a
세신 68 68 100±0.0a
박하뇌 74 74 100±0.0a
용뇌 65 65 100±0.0a
대조구 67 1 1.7±1.7cd
상기 표 4의 동일한 문자(a, b)는 평균이 통계상(P = 0.05, Sheffe 검정) 별다른 차이가 없음을 나타내며, 살충율은 아크사인 제곱근으로 변형시켜 나타내었다.
상기 표 4에 제시된 바와 같이, 닭 붉은 옴에 대하여 100 %의 살충성을 나타내는 식물 추출물은 감초, 회향, 정향, 영릉향, 대회향, 산초, 공사인, 세신, 박하뇌 및 용뇌에서 각각 추출한 것이었으며, 90 % 이상의 살충성을 나타낸 식물 추출물은 형개와 목단피 추출물이었다. 식물 추출물의 살충활성은 처리한 식물체 종에 의존적인 양상을 보였다.
실시예 3: 닭 붉은 옴에 대하여 살충활성을 가지는 화합물 분리
상기 실시예 1에 제시된 바와 같이 한약재인 대회향의 살비활성이 우수하였고, 또한 본 한약재는 대한약전에 수재되어 있어 식품으로서 활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본 연구자들은 대회향의 이러한 특성에 부합하여 그 살비활성 본체를 탐색하였다. 활성본체의 분리 및 정제 과정은 도 1에 상세히 도시하였다.
조추출물 분획
대회향 메탄올 조추출물 20 g을 적정하여 비이커에 담긴 증류수 800 ml에 잘 현탁시키고, 2 L 분획 여두에 부은 후 헥산(n-Hexane) 800 ml를 첨가하여 잘 혼합되도록 흔들어 실온에 1시간 가량 방치하였다. 비중에 따라 물층과 헥산층으로 분리된 것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헥산 층만을 수득하고 남은 물 층에 다시 새로운 헥산 800 ml를 부어 동일한 방법으로 2차의 헥산층을 분리 및 수득하였다. 남아있는 물층에 클로로포름 800 ml을 혼합하고 잘 흔들어 혼합시킨 후, 물층과 클로로포름층으로 분리시키고 1시간 후 1차 클로로포름층을 분리하였다. 남은 물층에 새로운 클로로포름 800 ml를 혼합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2차의 클로로포름층을 분리하였다. 남아있는 물층에 에틸아세테이트 800 ml을 부어 헥산 분배시와 동일한 방법으로 에틸아세테이트층을 2회에 걸쳐 분리하였다. 상기와 같은 용매 분획법으로 얻은 헥산 층, 클로로포름 층, 에틸아세테이트 층 및 물 층은 회전진공농축기(EYELA autojack NAJ-160, Japan)에서 농축하여 각 용매별 추출물들을 수득하였다. 물층에 남은 소량의 물은 데시케이터에 실리카겔과 오산화인(P2O5)을 넣어 24시간 동안 방치하여 제거하였다. 수득된 각 분획물들의 수득율은 도 1에 제시하였다.
대회향 메탄올 조추출물 및 농축된 분획물들의 닭붉은옴에 대한 살비활성을 실시예 1에 따라 검정하여 24시간 후 결과를 하기 표 5에 제시하였다. 모든 검정은 10반복으로 실시하였다.
재료 살비율 (평균 ±표준오차, %)
농도(여지면적당 mg)
0.14 0.07 0.04 0.02 0.008
메탄올 추출물 100±0.0a 100±0.0a 86±5.1a 79.9±9.6ab 32.6±4.7a
헥산층 100±0.0a 100±0.0a 94±2.5a 91.8±3.7a 39.5±5.8a
클로로포름층 100±0.0a 100±0.0a 40±7.9b 51.5±10.9b 15.2±7.2b
에틸아세테이트층 7.2±1.5c - - - -
물층 19.6±3.2b - - - -
대조구 0±0c 0±0c 1.1±0.7c 1.1±0.7c 1.1±0.7c
상기 표 5의 동일한 문자(a, b)는 평균이 통계상(P = 0.05, Sheffe 검정) 별다른 차이가 없음을 나타내며, 살충율은 아크사인 제곱근으로 변형시켜 나타내었다.
상기 표 5에 제시된 바와 같이, 대회향 메탄올 조출물은 여지면적당 처리수준 0.02 mg에서 80 %의 강한 살비력을 보였고, 그 유래 분획물들 중에서 헥산 층은 동일농도에서도 92 %의 가장 강력한 살비력을 나타내었으며, 클로로포름 층은 농도가 0.07 mg 이상일 때 강한 살비력(100%)을 보였다. 하지만 에틸아세테이트 층과 물층에서는 처리수준에서 활성을 관찰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활성이 가장 강하게 나타난 대회향 유래 헥산층의 닭진드기에 대한 살비활성 본체를 탐색하였다.
1차 크로마토그래피
대회향 헥산 추출물 12 g을 실리카겔 칼럼(Merck 70-230 mesh, 600 g, 5.5 x 70 cm)에 흡착시킨 후 헥산과 에틸아세테이트의 단계적 구배(stepwise gradient)로 1차 색층분석하였다. 사용한 단계적 구배는 헥산:에틸아세테이트 비율을 100:0, 90:1, 80:1, 50:1, 0:100 그리고 메탄올 100 % 순으로 진행하였고, 각 용리물은 박층크로마토그래피(TLC)를 이용하여 분석한 후 동일한 물질군으로 확인되면 합쳐서 H1, H2, H3, H4, H5로 각각 명명하였다.
활성물질 분석
상기에서 분리한 용리물들 중에서 활성이 가장 강하게 확인된 활성분획 H1을 헥산과 에틸아세테이트 8:2 (v/v) 비율로 조제한 전개 용매를 이용하여 박층크로마토그래피(TLC)를 실시한 결과, 자외선 254 nm에서 나타난 밴드(spot)가 하나였고, 또한 황산 2 % 용액으로 발색한 결과 역시 하나의 밴드만이 관찰되어 본 연구자들은 그 활성분획 층을 가스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정성분석을 하였다.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대회향 및 동일 속 식물체의 주 성분이 아네톨임이 일찍이 알려져 왔기 때문에(Chang KS, Ahn YJ. 2002. Fumigant activity of (E)-anethole identified in Illicium verum fruit against Blattella germanica. Pest Manag. Sci. 58(2):161-166; De M, De AK, Sen P, Banerjee AB. 2002. Antimicrobial properties of star anise (Illicium verum Hook f). Phytother Res. 16(1): 94-95.; Huang J, Wang J, Yang C, Wang H, Quan L, Zhang X, Cao H. 1996. GC-MS analysis of essential oil from pericarp of Illicium modestum A. C. Smith. Zhongguo Zhong Yao Za Zhi. 21(3):168-170), 본 연구자들은 닭진드기에 대한 대회향의 살비력이 아네톨에서 기인될 것으로 추정하였다. 이러한 추정에 근간하여 본 연구자들은 시그마-알드리치로부터 트랜스-아네톨 표준품을 구입하여 H1 및 기타의 다른 칼럼 용리물(H2∼H5)들과 TLC를 통해 그 전개거리에 따른 비교 실험을 실시하였다. H1 용리물은 하나의 밴드로서 트랜스-아네톨만을 전개한 레인과 그 전개거리에서 8.7 cm로 차이가 없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자들은 H1의 활성본체가 트랜스-아네톨임을 확신하고, H1의 기타 다른 성분과 트랜스-아네톨의 함량비가 어느 정도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가스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였다. 즉 H1만을 주입하였을 때와 표준물질을 함께 혼합하였을 때 및 표준물질 만을 주입하였을 때 얻어진 주 피크(peak)의 머무름 시간(retention time)을 통해 H1은 95 % 이상의 트랜스-아네톨을 함유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대회향의 닭진드기에 대한 살비활성 본체는 하기 화학식 1의 트랜스-아네톨(trans-anethole)로 확신할 수 있었다.
(화학식 1)
상기 물질의 분리 및 정제과정에서 수득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물 및 활성물질의 살충활성을 하기 표 6에 제시하였다. 용리물들의 처리농도는 여지면적(cm2)당 0.07 mg으로 하여 처리 24시간 후에 살비력의 유무를 조사하였다.
용리물 총처리충수 총사충수 살비율 (평균±표준오차, %)
H1 79 79 100±0.0a
H2 50 39 79.4±4.4b
H3 70 15 19.5±4.7c
H4 56 8 11.3±2.1c
H5 71 8 10.9±2.9c
대조구 84 1 1.3±1.3d
상기 표 6의 동일한 문자(a, b)는 평균이 통계상(P = 0.05, Sheffe 검정) 별다른 차이가 없음을 나타내며, 살충율은 아크사인 제곱근으로 변형시켜 나타내었다.
상기 표 6에서 보듯이, 대회향 헥산 분획물인 H1이 처리 농도수준에서 100 % 살비력을 나타내었으며, H2는 80 %의 비교적 강한 살비력을 나타내었다.
트랜스-아네톨은 농도를 달리하여 살비활성을 5회 반복 검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한 결과를 하기 표 7에 제시하였다.
농도, 여지면적당 mg 총처리충수 총사충수 LD50 LD95
0.07 98 98 0.018 0.068
0.04 116 90
0.02 108 58
0.01 104 27
대조구 105 1
아네톨은 닭 붉은 옴에 대해 강한 살비활성을 보였다.
실시예 4: 닭 붉은 옴에 대하여 살충활성을 가지는 화합물
특히 탄소수 10개의 모노터피노이드로서 아네톨의 살비활성은 비슷한 계열의 화합물들이 살비활성을 보일 수 있음을 시사하여 본 연구자들은 일반적으로 방향성이 높은 터피노이드계 화합물들과 페닐프로파노이드계 화합물들을 선정하여 닭붉은옴에 대한 살비활성을 조사하였다.
조사한 화합물은 트랜스-아사론, 아사론 이성질체 혼합물(α, β-asarone), 유제놀, 이소유제놀, 메틸유제놀, 아세틸유제놀, 아니스알데하이드, 멘톤, 린나룰, 카바크롤, 캄포, 신남알데하이드, 멘톨, 사프롤, 시네올이다.
상기 화합물들의 처리수준 여지면적 당 0.07 mg으로 3반복으로 검정하여 처리 24시간 후 결과를 하기 표 8에 제시하였다.
화합물 농도, 0.07 mg/cm2
트랜스-아사론 23±5.2
α,β-아사론 33±2.8
유제놀 100±0.0
이소유제놀 100±0.0
메틸유제놀 100±0.0
아세틸유제놀 97±3.9
아니스알데하이드 100±0.0
멘톤 100±0.0
린나룰 99±2.3
카바크롤 100±0.0
캠포 100±0.0
신남알데하이드 100±0.0
멘톨 100±0.0
사프롤 100±0.0
시네올 100±0.0
상기 표 8에 제시된 바와 같이, 유제놀, 이소유제놀, 메틸유제놀, 아니스알데하이드, 멘톤, 카바크롤, 신남알데하이드, 멘톨, 사프롤 및 시네올 은 닭 붉은 옴에 대하여 100 %의 살충력을 나타내었고, 아세틸유제놀 및 린나룰은 각각 97 % 및 99 %의 살충력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5: 케이즈 시험
닭 붉은 옴 성충 20개체씩을 선별하여 페트리디쉬에 넣었다. 페트리디쉬는 공기의 유출입이 가능토록 뚜껑과 바닥을 200 메쉬 망사로 덮어두었다. 페트리디쉬 옆면은 파라필름으로 밀봉하여 닭 붉은 옴들이 밖으로 탈출할 수 없도록 방지하였다. 준비된 각 페트리디쉬 위에 직접 핸드 스프레이어(hand sprayer, 5회 분사량 ≒ 3.8 g)를 이용하여 준비된 제형물을 5회 또는 10회 분사하거나 아크릴케이지(90 x 120 x 120 cm)에 진드기를 넣은 페트리디쉬를 실로 고정하여 메달아 두고 공중에 10회, 20회 분사하였다. 제형물은 유칼리투스(eucalyptus oil)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하였다. 제형물에 함유된 성분은 유칼리투스 오일 30 %, 규조토 5 %, 유화제(계면활성제) 5 % 미만, 물 45 % 이상으로 하여 조제하였다. 결과조사는 24시간 후에 해부현미경 하에서 실시하였다. 직접 분사한 경우는 3회 반복, 공중분사한 경우는 4회 반복으로 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살비활성, %
방법 직접분사 공중분사 대조구
분사회수 5회 10회 10회 20회 20회
반복 1 85 95 60 79 6
2 80 100 60 63 5
3 75 100 51 67 0
4 - - 67 60 3
평균살비율 80 98.3 59.5 67.3 3.5
상기 표 9에 제시된 바와 같이, 유칼리투스 오일 유화제 제형물을 직접 진드기에 분사한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더 높은 살비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실제 계사에 처리시 관행적으로 농민들이 사용하는 양을 적절하게 분사하면 효과적으로 닭 붉은 옴을 방제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실시예 6: 작용기작 규명
닭 붉은 옴에 나타내는 살충력이 접촉독에 의한 것인지 아니면 훈증독에 의한 것인지의 유무를 조사하였다.
200 메쉬의 조밀한 철망을 뚜껑에 고정하여 진드기가 탈출할 수 없도록 하면서 공기의 유입은 가능토록 고안한 페트리디쉬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5 cm의 페트리디쉬 뚜껑에 직경 4.5 cm의 구멍을 내어 200 메쉬의 철망을 덧붙이고, 안쪽에 상기에서 언급한 각 시료(식물정유 및 대회향 추출물)를 에탄올 50 ul에 녹인 상태로 4.25 cm의 여지에 면적 당 0.14 mg을 처리하여 3분간 휘발시켰다. 닭 붉은 옴 25개체씩을 그 뚜껑의 메쉬 위에 방사하고 동일 크기의 페트리디쉬 뚜껑을 덮은 다음 뚜껑 옆은 파라필름으로 고정하여 닭 붉은 옴이 시료와 직접 접촉할 수 없으면서 완전히 밀폐한 실험구 A와, 200 메쉬 철망을 갖고 있는 동일한 페트리디쉬 뚜껑으로 덮어 공기가 페트리디쉬 내로 유출입 가능하도록 고안한 개방형 실험구 B를 사용하였다. 각 실험구에 대한 대조구는 에탄올 50 ㎕를 처리한 여지를 사용하였다. 모든 실험은 4회 반복으로 실시하였고, 결과조사는 처리 24시간 후에 현미경으로 하였으며 통계처리는 쉐페 검정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0에 제시하였다.
시료명 살비율 (평균±표준오차, %)
실험구 A 실험구 B
신나몬 오일 100±0.0a 0±0.0b
시트로넬라 오일 100±0.0a 2.7±1.4b
클로브버드 오일 100±0.0a 8.4±2.0b
제라니올 100±0.0a 5.5±3.0b
레몬그레스 오일 100±0.0a 4.2±2.3b
페퍼민트 오일 100±0.0a 5.8±1.1b
로즈마리 오일 100±0.0a 0±0.0b
타임화이트 오일 100±0.0a 7.6±3.8b
대회향 추출물 100±0.0a 4.2±1.3b
대조구 0±0.0b 0±0.0b
상기 표 10의 동일한 문자(a, b)는 평균이 통계상(P = 0.05, Sheffe 검정) 별다른 차이가 없음을 나타내며, 살충율은 아크사인 제곱근으로 변형시켜 나타내었다.
식물체 정유 및 대회향 추출물은 밀폐된 실험구에서만 닭 붉은 옴에 대하여 100 %의 강한 살충력을 나타내었기에, 이들의 살충활성은 훈증독으로 작용한 것으로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사실로부터 식물체 추출물, 식물체 정유 그리고 이들의 유래물질들은 향후 닭 붉은 옴 또는 닭의 외부기생성 해충들을 방제할 수 있는 저독성의 환경친화적인 매우 유망한 후보군들로서 향후 유기합성 살비제들을 대체할 수 있는 대체물질들로서 이용 가능할 것으로 생각한다.
상기에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닭 붉은 옴에 대하여 우수한 살충활성을 가지는 식물 추출물 및 화합물을 제공하므로써 닭 또는 닭 사육장내에 서식하는 닭 붉은 옴을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으며, 닭 붉은 옴으로 매개되는 질환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다.
도 1은 대회향으로부터 닭 붉은 옴에 대하여 살충활성을 나타내는 트랜스-아네톨 분리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Claims (5)

  1. 감초, 형개, 회향, 모란, 영릉향, 대회향, 산초나무, 양춘사, 세신, 용뇌향 및 박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이상 선택된 식물체로부터 추출한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닭 붉은 옴 살충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추출물은 식물체를 메탄올, 헥산, 클로로포름 및 에틸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이상 선택된 용매로 순차적으로 추출하여 제조한 것인 닭 붉은 옴 살충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추출물은 식물정유인 것인 닭 붉은 옴 살충제.
  4. 삭제
  5. 트랜스-아네톨, 유제놀, 메틸유제놀, 아니스알데하이드, 멘톤, 린나룰, 카바크롤, 캄퍼, 신남알데하이드, 멘톨 및 시네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이상 선택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닭 붉은 옴 살충제.
KR10-2003-0031598A 2003-05-19 2003-05-19 닭 붉은 옴 살충제 조성물 KR1005149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1598A KR100514978B1 (ko) 2003-05-19 2003-05-19 닭 붉은 옴 살충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1598A KR100514978B1 (ko) 2003-05-19 2003-05-19 닭 붉은 옴 살충제 조성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6545A Division KR20050016736A (ko) 2005-01-25 2005-01-25 닭 붉은 옴 살충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9574A KR20040099574A (ko) 2004-12-02
KR100514978B1 true KR100514978B1 (ko) 2005-09-14

Family

ID=37377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1598A KR100514978B1 (ko) 2003-05-19 2003-05-19 닭 붉은 옴 살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497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6883B1 (ko) 2013-04-24 2013-09-10 남부대학교산학협력단 영릉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벼 도열병 방제 조성물, 마이크로캡슐 및 이를 이용한 벼 도열병 방제 방법
WO2015041395A1 (ko) * 2013-09-23 2015-03-26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실리카 표면 개질에 의한 방충 입자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55830B (zh) * 2013-12-03 2016-01-20 成都大帝汉克生物科技有限公司 用于促进动物幼崽镇静催眠的芳香剂
KR102099825B1 (ko) * 2018-02-19 2020-04-10 주식회사 고려비엔피 천연물을 이용한 닭진드기(와구모) 구제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6883B1 (ko) 2013-04-24 2013-09-10 남부대학교산학협력단 영릉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벼 도열병 방제 조성물, 마이크로캡슐 및 이를 이용한 벼 도열병 방제 방법
WO2015041395A1 (ko) * 2013-09-23 2015-03-26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실리카 표면 개질에 의한 방충 입자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9574A (ko) 2004-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avela Insecticidal properties of several essential oils on the house fly (Musca domestica L.)
Adorjan et al. Biological properties of essential oils: an updated review
Moore et al. Plant-based insect repellents
S Mann et al. Natural product pesticides: their development, delivery and use against insect vectors
CN108633932B (zh) 害虫控制配制物以及制造和使用其的方法
Elango et al. Efficacy of medicinal plant extracts against Formosan subterranean termite, Coptotermes formosanus
Morey et al. Bioefficacy of essential oils of medicinal plants against housefly, Musca domestica L.
Amri et al. Essential oils as biological alternatives to protect date palm (Phoenix dactylifera L.) against Ectomyelois ceratoniae Zeller (Lepidoptera: Pyralidae)
Ukeh et al. Insecticidal effect of fruit extracts from Xylopia aethiopica and Dennettia tripetala (Annonaceae) against Sitophilus oryzae (Coleoptera: Curculionidae)
Radwan et al. Essential oils and their components as promising approach for gastropod mollusc control: a review
CN103404544A (zh) 一种杀菌杀虫的组合物及其烟雾剂、制备方法
Moore et al. Plant-based insect repellents
Gitahi et al. Repellent effects of selected organic leaf extracts of Tithonia diversifolia (Hemsl.) A. Gray and Vernonia lasiopus (O. Hoffman) against Sitophilus zeamais Motschulsky (Coleoptera: Curculionidae)
Rathore Green pesticides for organic farming: occurrence and properties of essential oils for use in pest control
Momen et al. Acaricidal activity of Melissa officinalis oil and its formulation on Tetranychus urticae and the predatory mite Neoseiulus californicus (Acari: Tetranychidae and Phytoseiidae)
KR100478135B1 (ko) 살충성을 가지는 식물정유 및 화합물
Mouna et al. Insecticidal effect of two aqueous extracts from the leaves of Salvia officinalis and Eucalyptus camaldulensis against Aphis fabae
KR100514978B1 (ko) 닭 붉은 옴 살충제 조성물
Aihetasham et al. Bioactivity of medicinal plants Mentha arvensis and Peganum harmala extracts against Heterotermes indicola (Wasmann)(Isoptera)
KR100478139B1 (ko) 모기, 개미, 진드기, 바퀴벌레 및 저장물 해충에 대한살충성 조성물
Prasannakumar et al. Evaluation of insecticidal properties of botanicals for sustainable management of sucking pests of horticultural crops
Ghosh et al. Retracted: Progress in the Development of Plant Biopesticides for the Control of Arthropods of Veterinary Importance
Li et al. Acaricidal and repellent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of nine chinese medicinal herbs against Rhipicephalus microplus (Acari: Ixodidae)
Dhang et al. Plants with pest control properties against urban pests.
Nhaca et al. Evaluation of larvicidal activity of selected plant extracts and essential oil against Musca domestica and Anopheles arabien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