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5774B1 - 자동차용 램프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램프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5774B1
KR101305774B1 KR1020110085918A KR20110085918A KR101305774B1 KR 101305774 B1 KR101305774 B1 KR 101305774B1 KR 1020110085918 A KR1020110085918 A KR 1020110085918A KR 20110085918 A KR20110085918 A KR 20110085918A KR 101305774 B1 KR101305774 B1 KR 101305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case
battery
storage case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5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2340A (ko
Inventor
김민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85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5774B1/ko
Publication of KR20130022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23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5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57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50Mounting arrangements
    • B60Q3/51Mounting arrangements for mounting lighting devices onto vehicle interior, e.g. onto ceiling or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80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 B60Q3/82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 lighting, e.g. switching by tilting the l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4Arrangement of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램프 구조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 내부 벽면 또는 천정에 장착하고, 배터리와 연결된 접촉단자를 구비한 수납 케이스; 및 상기 수납 케이스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하는 램프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램프장치는 수납 케이스에 형성한 수납홈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하는 램프 케이스, 상기 램프 케이스의 측면에 구비한 제1 램프, 상기 램프 케이스의 일측 단부에 구비한 제2 램프, 및 상기 접촉단자와 접촉되는 연결단자를 구비하여 배터리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충전하는 충전지를 마련한 제어부, 상기 배터리로부터 제1 램프 또는 제2 램프로 전원을 공급하거나 공급을 차단하는 스위치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램프 구조{HEADLAMP STRUCTURE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램프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 조명 램프와 휴대용 조명램프를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자동차용 램프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실내 공간을 조명하기 위한 다수의 조명 램프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조명 램프는 카고 램프 및 글로버 박스 램프, 러기지 램프 등이 있다.
즉, 상기한 조명 램프는 자동차 실내 내벽 또는 천정에 고정되어 있어 사용자의 스위치 조작에 따라 빛을 발산한다.
한편, 종래기술에 따른 조명 램프로 특허공개공보 10-1997-0037764의 "조명 각도 조절형 자동차의 실내등"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조명 램프는 비상사태 발생시 자동차의 실내는 조명할 수 있지만, 자동차 밖은 조명할 수 없어, 별도의 휴대용 조명 램프를 구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실내 조명 램프와 휴대용 조명램프를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자동차용 램프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자동차용 램프 구조는 자동차 내부 벽면 또는 천정에 장착하고, 배터리와 연결된 접촉단자를 구비한 수납 케이스; 및 상기 수납 케이스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하는 램프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램프장치는 수납 케이스에 형성한 수납홈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하는 램프 케이스, 상기 램프 케이스의 측면에 구비한 제1 램프, 상기 램프 케이스의 일측 단부에 구비한 제2 램프, 및 상기 접촉단자와 접촉되는 연결단자를 구비하여 배터리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충전하는 충전지를 마련한 제어부, 상기 배터리로부터 제1 램프 또는 제2 램프로 전원을 공급하거나 공급을 차단하는 스위치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차 실내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조명 램프를 구비함으로써 실내 조명 램프와 휴대용 조명램프를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 효율성과 상품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더불어 자동차 전원으로 항상 충전이 가능하여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내장 램프 구조의 결합 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내장 램프 구조의 분리 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내장 램프 구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 램프의 저면사시도.
이와 같은 목적과 효과를 가지는 본 발명인 자동차용 램프 구조는 자동차 내부 벽면 또는 천정에 장착하고, 배터리와 연결된 접촉단자를 구비한 수납 케이스; 및 상기 수납 케이스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하는 램프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램프장치는 수납 케이스에 형성한 수납홈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하는 램프 케이스, 상기 램프 케이스의 측면에 구비한 제1 램프, 상기 램프 케이스의 일측 단부에 구비한 제2 램프, 및 상기 접촉단자와 접촉되는 연결단자를 구비하여 배터리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충전하는 충전지를 마련한 제어부, 상기 배터리로부터 제1 램프 또는 제2 램프로 전원을 공급하거나 공급을 차단하는 스위치 포함한다.
상기 램프 케이스는 일측 단부에 형성한 고정돌기를 수납홈 일측에 형성한 고정홈에 삽입하고, 타측에 형성한 잠금돌기를 수납홈 타측에 구비한 래치장치에 결합한다.
상기 수납 케이스는 수납홈 타측에 손가락이 들어 갈 수 있게 손가락 삽입홈을 형성한다.
상기 수납 케이스는 수납홈 바닥면에 노이즈 방지용 댐퍼를 구비한다.
상기 수납케이스의 측부에는 전자기기를 충전하기 위한 파워아웃렛부를 구비하며, 상기 파워아웃렛부는 제어부의 충전지와 연결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램프 구조는 차 실내에 고정한 수납케이스(100)에 램프장치(200)를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함으로써 실내 조명 램프와 휴대용 조명램프를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 효율성과 상품성을 증대시킨 구성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램프 구조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차 실내 내벽 또는 천정에 고정하는 수납 케이스(100), 상기 수납 케이스(100)에 탈부착 가능하게 삽입 고정하는 램프장치(200)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자동차용 내장 램프 구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인 수납 케이스(100)는 후술하는 램프장치(200)를 수납하는 위한 구성으로, 후면은 자동차 내부 벽면 또는 천정에 삽입 고정하고, 전면에는 수납홈(110)을 형성하며, 상기 수납홈(110)은 램프장치(200)와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수납홈(110)의 일측 단부에는 고정홈(120)을 형성하며, 상기 고정홈(120)은 후술하는 램프장치(200)의 일측 단부를 삽입 고정한다.
또한, 상기 수납홈(110)의 타측 단부에는 램프장치(200)의 타측 단부가 안정적으로 삽입되게 하거나 또는 손가락을 삽입하기 위한 손가락 삽입홈(130)을 형성하며, 상기 삽입홈(130)은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게 램프 케이스(100) 전면까지 관통되게 형성한다.
또한, 수납홈(110)의 바닥면 타측에는 눌려짐에 따라 걸림 및 걸림해제를 반복 수행하는 공지 기술인 래치장치(140)를 구비하며, 상기 래치장치(140)는 후술하는 램프장치(200)의 타측 단부가 잠금한다.
또한, 상기 수납홈(110)의 바닥면에는 신축성을 가지는 댐퍼(150)를 구비하며, 상기 댐퍼(150)는 수납홈(110)의 장착하는 램프장치(200)를 지지하여 소음 발생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수납 케이스(100)는 수납홈(110)에 램프장치(200)를 수납하되, 일측 단부에 형성한 고정홈(120)에 램프장치(200)의 일측 단부를 삽입 고정한 상태로 램프장치(200)의 타측 단부를 래치장치(140)에 잠금하여 램프장치(200)를 장착하고, 이후 램프장치(200)의 타측 단부를 누르면, 램프장치(200)의 잠금이 해제되면서 램프장치(200)를 인출할 수 있다.
한편, 수납홈(110)의 바닥면 일측에는 배터리(미도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접촉단자(160)를 구비하며, 상기 접촉단자(160)를 통해 램프장치(200)에 전원을 공급한다.
본 발명인 램프장치(200)는 실내 조명 램프와 휴대용 조명 램프를 가지는 구성으로, 램프 케이스(210), 상기 램프 케이스(210)의 측면에 구비한 제1 램프(220), 상기 램프 케이스(210) 단부에 구비한 제2 램프(230), 상기 제1 램프(220)와 제2 램프(23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어부(240), 및 상기 제어부(240)로부터 제1 및 제2 램프(220)(230)로 공급하는 전원을 연결하거나 또는 차단하는 스위치(250)를 포함한다.
상기 램프 케이스(210)는 일측 단부에 상기 고정홈(120)을 삽입 고정하기 위한 고정돌기(211)를 형성하며, 타측에 상기 래치장치(240)에 삽입 잠금되는 잠금돌기(212)를 형성한다.
상기 제1 램프(220)는 자동차 실내 조명으로 사용하는 구성으로, 램프 케이스(210)의 측면에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램프(220)는 후술하는 스위치(250)의 '온' 및 '오프'에 따라 빛을 발산할 수도 있고, 또는 자동차의 ECU 제어에 의해 주위 환경에 따라 빛을 발산할 수도 있다.
상기 제2 램프(230)는 램프 케이스(210)의 단부에 구비하고, 전원 인가시 외측으로 빛을 발산한다.
상기 제어부(240)는 배터리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이용하여 제1 램프(220) 또는 제2 램프(230)가 빛을 발산하도록 전원을 인가하는 구성으로, 접촉단자(160)와 연결되도록 연결단자(241)를 형성하고, 배터리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저장하기 위한 충전지(242)를 형성하며, 상기 충전지(242)에 저장된 전원은 제1 및 제2 램프(220)(230)에 선택적으로 공급된다.
즉, 제어부(240)는 램프 케이스(210)를 수납 케이스(100)에 장착하면, 연결단자(241)와 접촉단자(160)가 연결되면서 배터리의 전원이 충전지(242)로 공급되며, 이에 충전지(242)는 항상 풀로 충전된 상태를 유지하고 , 이에 램프장치(200)를 휴대할 경우 충전지(242)의 충전량 만큼 제2 램프(230)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250)는 충전지(242)로부터 제1 램프(220) 또는 제2 램프(23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거나 또는 연결하기 위한 구성으로, 충전지(242)와 제1 램프(220) 및 제2 램프(230)의 연결선 사이에 구비하고 램프 케이스(210) 밖으로 인출되게 형성하여 작업자가 조작할 수 있게 한다.
상기 파워 아웃렛부(260)는 외부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램프 케이스(210)의 외측에 장착하고, 상기 충전지(242)와 연결되면서 충전지(242)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는다.
한편, 상기 파워 아웃렛부(260)는 통상 멀티탭이라고도 하며,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자동차에서 널리 사용한다.
이하, 본 발명인 자동차용 내장 램프 구조의 사용상태를 설명한다.
[장착상태]
먼저, 램프장치(200)를 수납 케이스(100)에 삽입한다. 이때, 램프장치(200)의 일측에 형성된 고정돌기(211)를 수납 케이스(100)의 고정홈(120)에 삽입 고정한 다음, 램프장치(200)의 잠금돌기(212)를 래치장치(140)에 삽입하여 잠금시키며, 이에 따라 수납 케이스(10O)에 램프장치(200)를 장착할 수 있다.
여기서 댐퍼(150)는 수납 케이스(100)에 장착하는 램프장치(200)를 완충하여 마찰 소음 발생을 방지하고, 이에 안정된 장착을 유도한다.
한편, 수납 케이스(100)에 램프장치(200)의 장착으로 접촉단자(160)와 제어부(240)의 연결단자(241)가 연결되면서 배터리의 전원이 충전지(242)에 공급되면서 풀 충전 상태까지 전원을 저장한다.
[실내용 제1 램프 점등]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자동차의 트렁크를 개방하거나 또는 자동차의 도어를 개방하면, 자동차의 ECU는 램프장치(200)의 제어부(240)를 통해 제1 램프(22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며, 이에 제어부(240)는 충전지(242)의 전원을 제1 램프(220)에 공급하면서 제1 램프(220)는 발광하여 자동차 실내에 빛을 발산하고, 이 빛에 의해 운전자 또는 탑승자는 차 실내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휴대용 제2 램프 점등]
한편, 비상사태 발생시 운전자 또는 탑승자는 램프장치(200)를 누르면, 램프장치(200)의 잠금돌기(212)가 래치장치(140)로부터 인출되면서 잠금이 해제되며, 이에 램프장치(200)를 수납 케이스(100)로부터 분리하여 휴대할 수 있고, 휴대한 상태로 스위치(250)를 '온' 시키면 축전지(242)의 전원이 제2 램프(230)로 공급되고, 이에 제2 램프(230)가 발광하면서 빛을 발산하여 어두운 곳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파워 아웃렛 사용]
한편, 수납 케이스(100)에 램프장치(200)를 장착한 상태로 전자기기에 연결한 커넥터를 파워 아웃렛부(260)에 결합하면, 축전지(242)의 전원이 파워 아웃렛부(260)에 결합된 커넥터를 통해 전자기기로 전달되면서 전자기기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수납 케이스 110: 수납홈
120: 고정홈 130: 삽입홈
140: 래치장치 150: 댐퍼
160: 접촉단자 200: 램프장치
210: 램프 케이스 220: 제1 램프
230: 제2 램프 240: 제어부
250: 스위치 260: 파워 아웃렛부

Claims (5)

  1. 자동차 내부 벽면 또는 천정에 장착하고, 배터리와 연결된 접촉단자를 구비한 수납 케이스; 및
    상기 수납 케이스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하는 램프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램프장치는 수납 케이스에 형성한 수납홈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하는 램프 케이스, 상기 램프 케이스의 측면에 구비한 제1 램프, 상기 램프 케이스의 일측 단부에 구비한 제2 램프, 및 상기 접촉단자와 접촉되는 연결단자를 구비하여 배터리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충전하는 충전지를 마련한 제어부, 상기 배터리로부터 제1 램프 또는 제2 램프로 전원을 공급하거나 공급을 차단하는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케이스의 측부에는 전자기기를 충전하기 위한 파워아웃렛부를 구비하며,
    상기 파워아웃렛부는 제어부의 충전지와 연결되는 자동차용 램프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램프 케이스는 일측 단부에 형성한 고정돌기를 수납홈 일측에 형성한 고정홈에 삽입하고, 타측에 형성한 잠금돌기를 수납홈 타측에 구비한 래치장치에 결합하는 자동차용 램프 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납 케이스는 수납홈 타측에 손가락이 들어 갈 수 있게 손가락 삽입홈을 형성하는 자동차용 램프 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납 케이스는 수납홈 바닥면에 노이즈 방지용 댐퍼를 구비하는 자동차용 램프 구조.
  5. 삭제
KR1020110085918A 2011-08-26 2011-08-26 자동차용 램프 구조 KR1013057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5918A KR101305774B1 (ko) 2011-08-26 2011-08-26 자동차용 램프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5918A KR101305774B1 (ko) 2011-08-26 2011-08-26 자동차용 램프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2340A KR20130022340A (ko) 2013-03-06
KR101305774B1 true KR101305774B1 (ko) 2013-09-06

Family

ID=48175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5918A KR101305774B1 (ko) 2011-08-26 2011-08-26 자동차용 램프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57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9876B1 (ko) * 2015-07-14 2016-02-12 (주)엘이디스튜디오 휴대용 전등 기능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실내등
KR20200098792A (ko) 2019-02-12 2020-08-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살균이 가능한 차량의 램프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살균방법
KR102287026B1 (ko) * 2019-10-30 2021-08-09 주식회사 서연이화 자동차의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8673A (ja) * 1997-04-02 1998-10-20 Toyoda Gosei Co Ltd 脱着式ルームランプ
JPH11192892A (ja) * 1997-12-26 1999-07-21 Naporekkusu:Kk 自動車用オーバーヘッドコンソール取付構造
JPH11301351A (ja) * 1998-04-24 1999-11-02 Toyota Motor Corp 自動車用蛍光灯照明器具
JP2003127767A (ja) 2001-10-19 2003-05-08 Ichikoh Ind Ltd 車両用ルームランプ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8673A (ja) * 1997-04-02 1998-10-20 Toyoda Gosei Co Ltd 脱着式ルームランプ
JPH11192892A (ja) * 1997-12-26 1999-07-21 Naporekkusu:Kk 自動車用オーバーヘッドコンソール取付構造
JPH11301351A (ja) * 1998-04-24 1999-11-02 Toyota Motor Corp 自動車用蛍光灯照明器具
JP2003127767A (ja) 2001-10-19 2003-05-08 Ichikoh Ind Ltd 車両用ルームラン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2340A (ko) 2013-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26149B2 (ja) 自動車用の充電フラップモジュールおよび/または給油フラップモジュール
KR20080022586A (ko) 호환성이 있는 손전등-카고 램프 시스템
KR101125243B1 (ko) 자동차용 실내등 겸용 손전등
KR101305774B1 (ko) 자동차용 램프 구조
WO2006067460A1 (en) Removable lighting system for a vehicle luggage compartment
US20080180238A1 (en) Vehicle signaling device having a remote power source
US10807518B2 (en) Tailgate assembly with cargo zone illumination system
JP2012165532A (ja) 電気車両用充電設備及び電気車両用充電設備に用いられる充電制御モジュール
US9610850B2 (en) Vehicle charging unit
US20080122608A1 (en) Removable vehicle signaling device
KR20160071668A (ko) 솔라셀이 부착된 자동차
WO2018026534A1 (en) Truck bed rail light assembly
KR101163906B1 (ko) 휴대용 램프장치
JPH10278673A (ja) 脱着式ルームランプ
US11794631B2 (en) Work lamp arrangement
JP2016213963A (ja) 自動車用充電装置
CN218929318U (zh) 用于车辆的车灯和具有它的车辆
US11511659B2 (en) Detachable lighting assembly for a vehicle
CN215636896U (zh) 车载灯具组件及具有其的车辆
CN217423077U (zh) 行李灯及车辆
KR20130014216A (ko) 비상 랜턴기능을 갖는 룸램프
KR101172199B1 (ko) 차량용 카고스크린 램프
US20080122590A1 (en) Vehicle signaling device
KR200472762Y1 (ko) 차량용 무드램프 어셈블리
KR101315796B1 (ko) 차량의 러기지룸 조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