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4420B1 - 슬로싱 억제 장치 관찰용 모니터링 장치 - Google Patents
슬로싱 억제 장치 관찰용 모니터링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04420B1 KR101304420B1 KR1020110074291A KR20110074291A KR101304420B1 KR 101304420 B1 KR101304420 B1 KR 101304420B1 KR 1020110074291 A KR1020110074291 A KR 1020110074291A KR 20110074291 A KR20110074291 A KR 20110074291A KR 101304420 B1 KR101304420 B1 KR 10130442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ube
- liquid cargo
- buoyancy
- coupled
- air suppl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16—Buoys specially adapted for marking a navigational route
- B63B22/166—Buoys specially adapted for marking a navigational route comprising a ligh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52—Anti-slosh de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022/006—Buoy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or watch purpos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0/00—Purposes of gas storage and gas handling
- F17C2260/01—Improving mechanical properties or manufacturing
- F17C2260/016—Preventing slo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슬로싱 억제 장치 관찰용 모니터링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액체 화물 저장 탱크의 상측을 관통하는 형상으로 결합된 관통관과, 관통관 내에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상하가동관과, 상하가동관에 연결된 와이어를 감거나 푸는 윈치와, 상하가동관의 하단부에 설치되고 슬로싱 억제 장치를 촬영하는 촬영부를 포함하되, 촬영부는, 관통관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급기구 및 배기구가 형성된 지지플레이트 및 급기구에 연결된 급기관을 통하여 건조한 상온 공기를 공급하는 공조기를 포함하며, 급기구를 통하여 공급된 상기 건조한 상온 공기는 배기구 및 관통관을 거쳐 관통관의 상부로 배출되는 슬로싱 억제 장치 관찰용 모니터링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슬로싱 억제 장치 관찰용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원유(crude oil), 액화천연가스(Liquefied Natural Gas: LNG), 액화석유가스(Liquefied Petroleum Gas: LPG), 액체질소, 액체산소 등과 같은 액체 화물을 운반 및 보관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액체 화물 저장 탱크가 제조되고 있다.
특히 대량의 액체 화물을 저렴하게 수송하기 위한 방법으로 선박이 사용되고 있으므로, 상술한 바와 같은 액체 화물을 저장한 상태로 운항할 수 있도록 액체 화물 저장 탱크를 구비한 선박도 다량 건조되고 있다. 그리고, 운반된 액체 화물을 저장하기 위한 액체 화물 저장 탱크가 지상에 설치되기도 한다.
액체 화물 저장 탱크는 액체 화물의 특성에 적합하게 제조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액화천연가스, 액화석유가스와 같은 액화 가스는 대부분 끓는점이 극저온이고 운반하는 과정에서 부분적으로 기화되면서 압력이 상승될 수 있으므로, 액체 화물 저장 탱크는 단열성능 및 내압성능 등을 고려하여 특수하게 설계된다.
액체 화물 저장 탱크가 선박에 설치된 경우에는 파도나 바람과 같은 환경하중에 의한 선체의 흔들림이 액체 화물에 전달되어 슬로싱(sloshing)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슬로싱 현상이란 선체의 움직임으로 인해 액체 화물로 전달된 운동에너지에 의해 액체 화물의 자유표면이 출렁이면서 액체 화물 저장 탱크의 내측벽에 충격을 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슬로싱 현상은 액체 화물 저장 탱크가 지상에 설치된 경우에도 지진 등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슬로싱 현상이 심하게 발생될 경우에는 액체 화물 저장 탱크의 내측벽이 손상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손상된 부분을 통하여 액체 화물이 외부로 누출될 경우 2차 피해가 발생될 수 있다. 즉, 원유의 경우 환경을 오염시킬 수 있고, 액화 가스의 경우에는 폭발사고가 발생될 수도 있다.
따라서, 액체 화물 저장 탱크에 저장된 액체 화물의 슬로싱 현상에 의한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한 다양한 연구 및 개발이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그 일환으로 본 발명의 출원인은 국내 등록특허 제1043622호(선행문헌 1)에서, 액체의 표면에 부유되도록 부력을 갖는 복수의 부력체, 액체를 흡수하도록 개방 셀(open cell) 구조를 갖고 부력체를 둘러싸는 폼부재 및 인접한 부력체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슬로싱 억제 장치를 제시한 바 있다. 상기 선행문헌 1에는 부력체를 둘러싼 폼부재를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 복수의 부력 블록이 서로 연결된 슬로싱 억제 장치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선행문헌 1에서 개시된 슬로싱 억제 장치는, 슬로싱 현상을 억제하는 과정에서 부력 블록들이 서로 빈번하게 충돌되어 부력체가 손상될 가능성이 있다. 만약 부력체가 손상되어 부력이 상실될 경우에는, 슬로싱 억제 장치가 부분적으로 액체 화물의 자유표면에 위치하지 못하고 침강될 수 있으며, 이럴 경우 슬로싱 억제 장치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슬로싱 억제 장치에 이상이 발생되었을 경우 신속한 대처를 하기 위해서는 슬로싱 억제 장치에 포함된 복수의 부력 블록이 액체 화물의 자유표면에 정상적으로 위치하고 있는지의 여부, 복수의 부력 블록의 연결상태가 정상적인지의 여부 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슬로싱 억제 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실시간으로 관찰할 수 있는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액체 화물 저장 탱크 내에 저장된 액체 화물의 자유표면 상에 위치되도록 부력을 갖는 복수의 부력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부력 블록이 서로 연결되어 상기 액체 화물의 자유표면을 커버하는 슬로싱 억제 장치 관찰용 모니터링 장치로서, 상기 액체 화물 저장 탱크의 상측을 관통하는 형상으로 결합된 관통관과, 상기 관통관 내에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상하가동관과, 상기 상하가동관에 연결된 와이어를 감거나 푸는 윈치와, 상기 상하가동관의 하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슬로싱 억제 장치를 촬영하는 촬영부를 포함하되, 상기 촬영부는, 상기 관통관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급기구 및 배기구가 형성된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급기구에 연결된 급기관을 통하여 건조한 상온 공기를 공급하는 공조기를 포함하며, 상기 급기구를 통하여 공급된 상기 건조한 상온 공기는 상기 배기구 및 상기 관통관을 거쳐 상기 관통관의 상부로 배출되는 슬로싱 억제 장치 관찰용 모니터링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촬영부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에 상기 상하가동관의 길이방향 및 이에 수직한 방향을 각각 회전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를 커버하며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결합된 반구형 투명창을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액체 화물 저장 탱크 내에 저장된 액체 화물의 자유표면 상에 위치되도록 부력을 갖는 복수의 부력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부력 블록이 서로 연결되어 상기 액체 화물의 자유표면을 커버하는 슬로싱 억제 장치 관찰용 모니터링 장치로서, 상기 액체 화물 저장 탱크의 상측을 관통하는 형상으로 결합된 관통관과, 상기 관통관의 하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슬로싱 억제 장치를 촬영하는 촬영부를 포함하되, 상기 촬영부는, 상기 관통관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급기구 및 배기구가 형성된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급기구에 연결된 급기관을 통하여 건조한 상온 공기를 공급하는 공조기를 포함하며, 상기 급기구를 통하여 공급된 상기 건조한 상온 공기는 상기 배기구 및 상기 관통관을 거쳐 상기 관통관의 상부로 배출되는 슬로싱 억제 장치 관찰용 모니터링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촬영부는, 렌즈가 하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결합된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를 커버하며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결합된 반구형 투명창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렌즈는 어안렌즈일 수 있다.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은 슬로싱 억제 장치 관찰용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복수의 부력 블록 각각의 상측부에 결합된 복수의 발광체 또는 반사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체는 트리튬 바이알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은 슬로싱 억제 장치 관찰용 모니터링 장치의 상기 촬영부는, 상기 카메라에 결합된 조명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슬로싱 억제 장치의 작동 상태를 실시간으로 관찰할 수 있는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하여 슬로싱 억제 장치에 이상이 발생되었을 경우 즉시 대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슬로싱 현상에 의한 액체 화물 저장 탱크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고, 슬로싱 억제 장치의 유지 및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로싱 억제 장치 관찰용 모니터링 장치가 액체 화물 저장 탱크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부력 유닛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부력 유닛이 연결된 모습을 예시한 도면.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부력 블록의 부분절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슬로싱 억제 장치에 가해지는 힘을 설명하기 위한 액체 화물 저장 탱크의 단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리퀴드 돔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로싱 억제 장치 관찰용 모니터링 장치의 종단면도.
도 8은 도 7에 C로 표시한 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로싱 억제 장치 관찰용 모니터링 장치의 촬영부의 부분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로싱 억제 장치 관찰용 모니터링 장치의 반사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로싱 억제 장치 관찰용 모니터링 장치의 종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로싱 억제 장치 관찰용 모니터링 장치의 발광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부력 유닛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부력 유닛이 연결된 모습을 예시한 도면.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부력 블록의 부분절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슬로싱 억제 장치에 가해지는 힘을 설명하기 위한 액체 화물 저장 탱크의 단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리퀴드 돔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로싱 억제 장치 관찰용 모니터링 장치의 종단면도.
도 8은 도 7에 C로 표시한 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로싱 억제 장치 관찰용 모니터링 장치의 촬영부의 부분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로싱 억제 장치 관찰용 모니터링 장치의 반사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로싱 억제 장치 관찰용 모니터링 장치의 종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로싱 억제 장치 관찰용 모니터링 장치의 발광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로싱 억제 장치 관찰용 모니터링 장치가 액체 화물 저장 탱크에 설치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슬로싱 억제 장치(10)에는 복수의 부력 유닛(100)이 포함될 수 있다. 부력 유닛(100)에 관해서는 아래에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액체 화물 저장 탱크(1) 내에는 액체 화물(2)이 저장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했던 바와 같이, 액체 화물 저장 탱크(1)는 저장되는 액체 화물(2)의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제조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로싱 억제 장치(10)는 액체 화물 저장 탱크(1) 내에서 액체 화물(2)의 자유 표면을 커버하는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액체 화물 저장 탱크(1)에는 액체 화물(2)을 하역(loading and unloading)하기 위한 하역수단(5)이 설치될 수 있고, 하역수단(5)이 집합된 리퀴드 돔(liquid dome, 3)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슬로싱 억제 장치(10)에 포함된 복수의 부력 유닛(1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하역수단(5)과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액체 화물(2)의 자유표면 중 일부는 커버하지 않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로싱 억제 장치 관찰용 모니터링 장치(200)는 액체 화물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는데, 관리상의 편의, 즉 유지 및 보수를 위한 작업자의 접근성 등을 고려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리퀴드 돔(3)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부력 유닛이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슬로싱 억제 장치(도 1의 10)에는 부력 유닛(100)이 포함될 수 있으며, 부력 유닛(100)에는 연결 벨트(130) 및 부력 블록(120)이 포함될 수 있다.
연결 벨트(130)에는 부력 블록(120)의 표면에 서로 교차되도록 설치된 한 쌍의 단위 벨트(132)가 포함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 벨트(132)는 부력 블록(120)의 상면뿐만 아니라 하면에도 설치될 수 있으며, 연결 벨트(130)에는 연결 고리(134)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는 도 2에 도시된 부력 유닛이 연결된 모습이 예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인접한 한 쌍의 부력 블록(120, 120a)이 체결 부재(150)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부력 블록(120)과 인접하게 배치된 부력 블록(120a)에도 한 쌍의 단위 벨트(132a)를 포함하는 연결 벨트(130a)가 설치될 수 있으며, 연결 벨트(130a)에도 연결 고리(134a)가 형성될 수 있다.
체결 부재(150)에는 한 쌍의 단위 체결 부재(152) 및 연결 부재(154)가 포함될 수 있다. 단위 체결 부재(152)로는 U볼트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연결 부재(154)로는 너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체결 부재(150)는 인접한 부력 블록(120, 120a)에 각각 설치된 연결 벨트(130, 130a)에 각각 형성된 연결 고리(134, 134a)를 서로 연결함으로써, 인접한 부력 블록(120, 120a)이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슬로싱 억제 장치(10)에 포함된 복수의 부력 유닛(100)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부력 유닛(1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로싱 억제 장치(10)가 액체 화물(2)의 자유표면을 커버할 수 있도록 평면 형상으로 배치되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도 4에는 도 2에 도시된 부력 블록의 부분절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부력 블록(120)에는 부력체(122), 폼부재(124) 및 커버(126)가 포함될 수 있다.
부력체(122)의 내부에는 밀폐된 중공부(도시되지 않음)를 형성하여 액체 화물(도 1의 2)보다 비중이 낮도록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부력체(122)는 액체 화물(도 1의 2) 내에서 부력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부력체(122)의 부력의 크기는 부력 유닛(도 2의 100) 전체가 액체 화물(도 1의 2) 내에서 부력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즉, 부력체(122)는 부력 유닛(도 2의 100)이 액체 화물의 자유표면 상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부력체(122)는 스테인리스스틸,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니켈강 및 불변강(invariable steel) 중 어느 하나로 제조될 수 있는데, 부력(도 5의 F1)이나 액체 화물(도 5의 2)의 유동에 의해 발생되는 힘(도 5의 F2, F3)에 의해 손상 또는 변형되지 않을 정도의 강도를 갖도록 적절한 두께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불변강은 일명 '인바강'이라고 지칭되기도 하며, 니켈이 36% 포함되어 극저온에서도 강도를 유지하는 합금을 지칭한다.
부력체(122)의 비중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부력체(122) 내에 형성된 중공부는 진공일 수 있다.
또는 부력체(122) 내에 형성된 중공부에는 비활성기체(inert gas) 또는 공기가 충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액체 화물(도 1의 2)이 극저온일 경우 공기는 액화될 수 있으므로 비활성기체로 대체될 수 있으며, 비활성기체 또한 액체 화물(도 1의 2)의 온도 및 그 끓는점을 고려하여 액화되지 않는 것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부력체는 폐쇄 셀(closed cell) 구조를 갖는 폼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부력체가 중공 구조를 갖는 것이 아니라 부력체 자체가 폐쇄 셀 구조를 갖는 폼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폐쇄 셀 구조는 부력체의 내부로 액체를 흡수하지 않아 부력을 가질 수 있는 구조이다.
이와 같이 부력체가 폐쇄 셀의 폼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열 하중, 압축 하중 등에 의해 부력체의 표면에 크랙(crack)이 발생되더라도 부력체의 내부로 액체 화물(2)이 스며들지 못한다. 따라서 부력체는 부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LNG와 같은 액체 화물이 액상을 유지하는 극저온에서도 탄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부력체는 페놀 수지, 멜라민 수지 및 이들의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고분자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부력체(122)의 중공부에 비활성기체가 충전되는 경우, 부력체(122)의 비중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비활성기체 중 비중이 작은 것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폼부재(124)는 부력체(122)를 감싸는 형상을 갖는다. 폼부재(124)는 폼(foam) 형상으로 제조되는데, 이때 폼(foam)은 개방 셀(open cell)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개방 셀 구조는 폼을 구성하는 다수의 입자들의 표면에 외부의 유체가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구조를 지칭한다.
따라서, 폼부재(124)에는 액체 화물(도 1의 2)이 내부로 스며들어 부력 블록(120)이 액체 화물(도 1의 2)의 자유표면에 일부가 잠긴 상태로 위치하게 됨으로써, 액체 화물(도 1의 2)의 자유표면을 더 안정적으로 커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슬로싱 억제 장치(도 1의 10)에 의해 액체 화물(도 1의 2)의 슬로싱 현상이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폼부재(124)는 고분자 소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액화천연가스 또는 액화석유가스 등과 같은 극저온의 액체 화물(도 1의 2)과 접촉되거나 개방 셀 구조 내로 액체 화물(도 1의 2)이 스며들더라도 탄성 및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페놀수지, 멜라민수지 및 이들의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고분자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126)는 도시된 바와 같이 폼부재(124)를 감싼다. 커버(126)는 폼부재(124)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만약 폼부재(124)가 파손되더라도 그 파편이 분산되어 액체 화물(도 1의 2)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커버(126)는 폼부재(124)와 마찬가지로, 극저온에서도 상온에서와 같은 내구성을 가질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에는 도 1에 도시된 슬로싱 억제 장치에 가해지는 힘을 설명하기 위한 액체 화물 저장 탱크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앞에서 언급했던 바와 같이 액체 화물 저장 탱크(1)는 도시되지 않은 선박의 선체(H)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선박이 운항하는 중 바람이나 파도와 같은 환경하중에 의해 흔들리게 되면, 액체 화물 저장 탱크(1) 내에 저장된 액체 화물(2)에 슬로싱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 화물(2)의 자유표면을 커버하고 있는 슬로싱 억제 장치(10)에 포함된 부력 유닛(100)들이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되며 액체 화물(2)의 자유표면의 유동을 감소시킴으로써 슬로싱 현상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때 부력 유닛(100)에는 부력(F1) 외에도 액체 화물(2)의 유동에 따른 힘(F2, F3)이 작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부력 유닛(100)들은 서로 충돌하거나 액체 화물 저장 탱크(1)의 내벽에 충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부력 유닛(100)이 충돌하게 되는 경우에는 부력 블록(도 4의 120)이 손상될 수 있는데, 부력 블록(도 4의 120)의 표면을 형성하는 커버(126)뿐만 아니라 폼부재(124) 및 부력체(122) 또한 손상될 수 있다.
부력 블록(도 4의 120)이 손상될 경우에는 부력 블록(도 4의 120)이 액체 화물(2)의 자유표면에 위치하지 못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부력체(122)가 손상되거나 커버(126) 및 폼부재(124)가 손상되어 부력체(122)가 이탈되는 경우에는 부력 블록(도 4의 120)이 부력을 상실하여 액체 화물(2)의 자유표면에 위치하지 못하고 침강될 수 있다.
이럴 경우, 슬로싱 억제 장치(10)의 슬로싱 현상을 억제하는 효과가 저하될 수 있기 때문에, 손상된 부력 블록(도 4의 120)을 즉시 수리하거나, 액체 화물 저장 탱크(도 5의 1)가 설치된 선박의 선체(H)에 가해지는 환경하중이 감소될 수 있도록 선박의 운항 조건을 변경하는 등의 방법으로 대처할 수 있다.
이러한 대처를 위해서는 슬로싱 억제 장치(10)의 실시간 관찰이 필요하며,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로싱 억제 장치 관찰용 모니터링 장치(도 1의 200)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도 6에는 도 1에 도시된 리퀴드 돔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리퀴드 돔(도 1의 3)에 설치된 리퀴드 돔 커버(30)에는 하역수단(5), 커버 플레이트(31), 지지빔(33) 등이 설치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로싱 억제 장치 관찰용 모니터링 장치(도 1의 200)의 단열커버(240)도 리퀴드 돔 커버(30)에 배치될 수 있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로싱 억제 장치 관찰용 모니터링 장치의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로싱 억제 장치 관찰용 모니터링 장치(200)에는 관통관(201), 촬영부(210), 상하가동관(220), 윈치(225), 연결관(230), 단열커버(240), 공조기(260) 및 출력장치(290)가 포함될 수 있다.
관통관(201)은 액체 화물 저장 탱크(1)의 상측을 관통하는 형상으로 액체 화물 저장 탱크(1)에 결합될 수 있다. 단,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로싱 억제 장치 관찰용 모니터링 장치(200)는 리퀴드 돔(도 1의 3) 부분에 설치되는 것을 예로 들기로 하며, 액체 화물(도 5의 2)은 극저온인 액화 가스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액체 화물 저장 탱크(1)는 선체(도 5의 H)에 견고하게 결합된 지지판(41), 지지판(41)에 결합된 제1 단열재층(42), 제1 단열재층(42)에 결합된 1차 방벽(43), 1차 방벽(43)에 결합된 제2 단열재층(44) 및 제2 단열재층(44)에 결합된 2차 방벽(45)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관통관(201)은 지지판(41)에 견고하게 용접결합 되어 용접결합부(48)가 형성 될 수 있다. 그리고, 액체 화물 저장 탱크(1)에 관통관(201)이 결합된 부분을 통한 열전달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관통관(201)의 외주면에는 글래스 울(glass wool, 47)이 충전될 수 있으며, 액체 화물 저장 탱크(1)의 내측에는 2차 방벽(45) 및 관통관(201) 사이의 간격을 플라이우드(plywood, 46)가 커버하는 형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액체 화물 저장 탱크(1)의 형식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데, 이는 잘 알려진 사항이므로 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관통관(201) 내에는 상하가동관(220)이 관통관(201)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하가동관(220)에는 제1 가동관(221) 및 제2 가동관(222)이 포함될 수 있는데, 제1 가동관(221)은 관통관(201) 내에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제2 가동관(222)은 제1 가동관(221) 내에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관통관(201), 제1 가동관(221) 및 제2 가동관(222)은 망원경과 같이 신축이 가능하도록 텔레스코픽 결합(telescopic joint) 된 것이다. 자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 가동관(221)은 관통관(201)으로부터 완전히 이탈되지는 않도록 걸림턱 및 이에 상응하는 홈 등이 각각 형성될 수 있고, 제2 가동관(222) 또한 제1 가동관(221)로부터 완전히 이탈되지 않도록 설치될 수 있다. 텔리스코필 결합은 잘 알려진 사항이므로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하가동관(220)에 포함되는 가동관(221, 222)의 수는 필요에 따라 가감될 수 있는데, 이는 상하가동관(220)이 가동되어야 할 거리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단, 관통관(201)의 내주면 및 제1 가동관(221)의 외주면 사이의 간격 및 제1 가동관(221)의 내주면 및 제2 가동관(222)의 외주면 사이의 간격을 통하여 공기가 유동되는 경우, 액체 화물 저장 탱크(1)의 단열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관통관(201), 제1 가동관(221) 및 제2 가동관(222)은 슬라이드 이동은 가능하나 공기의 유동은 차단될 수 있을 정도의 공차를 갖도록 가공될 수 있다.
상하가동관(220)의 작동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슬로싱 억제 장치(도 1의 10)를 촬영하는 촬영부(210)는 상하가동관(220)의 하단부, 여기서는 제2 가동관(222)의 하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촬영부(210)에 관해서는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에는 도 7에 C로 표시한 부분이 확대 도시되어 있고, 도 9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로싱 억제 장치 관찰용 모니터링 장치의 촬영부의 부분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8 및 도 9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촬영부(210)에는 카메라(211), 조명장치(212), 브라켓(213), 제1 회전구동장치(214), 제2 회전구동장치(215), 지지 플레이트(216)이 포함될 수 있다.
제2 가동관(222)의 하단부에는 지지 플레이트(216)가 결합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216)에는 급기구(216a), 배기구(216b) 및 케이블공(216c)가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 플레이트(216)의 상측에는 러그(216d)가 설치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216)의 하측에는 회전축(214a)가 구비된 제1 회전구동장치(214)가 결합될 수 있다. 제1 회전구동장치(214)는 회전축(214a)이 상하가동관(도 7의 220)의 길이방향과 나란하도록 지지 플레이트(216)에 결합될 수 있다.
회전축(214a)에는 브라켓(213)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브라켓(213)은 제1 회전구동장치(214)의 작동에 따라 상하가동관(도 7의 220)의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브라켓(213)에는 축관통공(213a) 및 축지지공(213b)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카메라(211)에는 지지축(211b)이 형성 또는 설치될 수 있다. 지지축(211b)은 축지지공(213b)에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제2 회전구동장치(215)에는 회전축(215a)이 구비될 수 있다. 제2 회전구동장치(215)는 브라켓(213)에 결합될 수 있는데, 이때, 회전축(215a)이 제1 회전구동장치(214)의 회전축(214a)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제2 회전구동장치(215)가 브라켓(213)에 결합되면, 회전축(215a)은 축관통공(213a)을 관통하여 카메라(211)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회전구동장치(215)의 작동에 따라 카메라(211)는 회전축(215a)을 중심으로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211)는 지지 플레이트(216)에 대하여 상하가동관(도 7의 220)의 길이방향 및 이에 수직한 방향을 각각 회전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211)에는 줌렌즈(211a)가 구비될 수 있다. 그러므로, 카메라(211)는 지지 플레이트(216)의 하측방향에 위치하는 피사체를 모두 촬영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의 '수직'은 기하학적이거나 수학적인 '수직'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가공오차 등 소정의 오차범위를 포함하는 실질적인 '수직'을 의미한다.
지지 플레이트(216)에는 반구형 투명창(217)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반구형 투명창(217)은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211)를 커버하며 지지 플레이트(216)에 결합될 수 있다.
도 7을 함께 참조하면, 관통관(201)의 상측에는 연결관(230)이 설치될 수 있다. 연결관(230)에는 플랜지부(231)가 형성될 수 있고, 플랜지부(231)에는 체결부재(250)에 의하여 단열커버(240)가 결합될 수 있다. 관통관(201) 및 연결관(230)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31) 상에는 윈치(225)가 설치될 수 있다. 윈치(225)에는 와이어(223)가 감기거나 풀리는 드럼(226) 및 드럼(226)을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터(229)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와이어(223)의 방향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롤러(227, 228)는 리퀴드 돔 커버(30)에 설치된 지지빔(33) 등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와이어(223)는 단열커버(240)를 관통하여 상하가동관(220) 중 내측에 배치된 제2 가동관(222)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와이어(223)는 제2 가동관(222)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플레이트(216)의 러그(216d)에 연결되어 간접적으로 제2 가동관(222)에 연결될 수도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관통관(201), 제1 가동관(221) 및 제2 가동관(222)은 서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다. 따라서, 제1 가동관(221) 및 제2 가동관(222)은 자중에 의해 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는데, 러그(216d)에 연결된 와이어(223)에 의해 소정의 위치에서 더 이상 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지 않게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와이어(223)가 드럼(226)에 감기게 되면 러그(216d)가 제2 가동관(222)이 상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상하가동관(220)의 길이가 단축될 수 있고, 와이어(223)가 드럼(226)으로부터 풀리게 되면 제2 가동관(222) 및 제1 가동관(221)이 관통관(201)에 대하여 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상하가동관(220)의 길이가 신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하가동관(220)의 길이가 신축됨에 따라 카메라(211)의 위치는 상하방향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는 액체 화물 저장 탱크(1)에 저장된 액체 화물(도 1의 2)의 양에 따라 슬로싱 억제 장치(10)의 위치가 액체 화물 저장 탱크(1) 내에서 상하방향으로 변경될 수 있으므로, 슬로싱 억제 장치(10)를 카메라(211)로 정확하게 관찰을 할 수 있기 위해서 카메라(211)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참고로, 경우에 따라서는 카메라(211)의 상하방향 위치를 변경하지 않고도 카메라(211)의 방향 및 줌렌즈(211a)만을 조절하여 정확한 화상을 촬영할 수도 있다.
액체 화물 저장 탱크(1)는 밀폐된 구조일 수 있으므로, 카메라(211)로 정확한 영상을 촬영하는 데 필요한 광량이 부족할 수 있다. 따라서, 촬영부(210)에는 발광소자(212a)를 구비한 조명장치(212)가 더 포함될 수 있는데, 조명장치(212)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211)에 결합될 수 있다.
카메라(211)에는 케이블(218)이 연결될 수 있다. 케이블(218)은 카메라(211), 제1 회전구동장치(214), 제2 회전구동장치(215) 및 조명장치(212)에 전력을 공급하고, 카메라(211)가 촬영한 데이터를 출력장치(290)로 전달할 수 있다.
그런데, 카메라(211)가 포함된 촬영부(210)의 위치는 윈치(225)의 작동에 따른 상하가동관(220)의 이동에 따라 그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218)은 코일 형태로 감긴 것과 같이 신축 가능한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지지 플레이트(216)에 형성된 케이블공(216c) 및 단열커버(240)에 형성된 통공(241)을 통하여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한편, 공조기(260)에는 급기관(261)이 연결될 수 있는데, 급기관(261)은 단열커버의 급기구(242)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급기구(242)의 타측에는 관통관(201) 및 상하가동관(220)을 관통하는 급기관(262)의 일측이 연결될 수 있고, 급기관(262)의 타측에는 커넥터(263)가 결합될 수 있다. 커넥터(263)는 지지 플레이트(216)의 급기구(216a)에 결합될 수 있다.
공조기(260)는 급기관(261)을 통하여 건조한 상온 공기를 공급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공조기(260)에 의해 공급된 건조한 상온 공기는 급기관(261), 급기구(242), 급기관(262), 급기구(216a)를 통하여 지지 플레이트(216) 및 반구형 투명창(217) 사이의 공간에 공급된다.
여기에 공급된 건조한 상온 공기는 지지 플레이트(216)에 형성된 배기구(216b)를 통하여 상하가동관(220) 및 관통관(201) 내부를 거쳐 단열커버(240)에 형성된 배기구(243)를 통하여 배출된다.
이와 같은 건조한 상온 공기의 순환은 반구형 투명창(217) 내외의 온도차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결로현상을 방지하고, 액체 화물(도 1의 2)이 액화가스와 같이 극저온인 경우 카메라(211)가 작동가능 온도범위를 벗어나 작동이 중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앞에서 설명했던 바와 같이, 카메라(211)가 포함된 촬영부(210)의 위치는 윈치(225)의 작동에 따른 상하가동관(220)의 이동에 따라 그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급기관(262) 또한 케이블(218)과 마찬가지로 주름관 등 신축 가능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로싱 억제 장치 관찰용 모니터링 장치의 반사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부력 유닛(100)의 부력 블록(120)의 상측에는 반사체(270)가 결합될 수 있다.
반사체(270)는 앞에서 설명한 조명장치(도 9의 212)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반사시켜 카메라(도 9의 211)에 부력 블록(120)의 거동이 명확하게 촬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반사체(270)로는 도로표지판이나 차선에 사용되는 도료와 같이 분쇄된 유리를 이용하여 반사율을 높인 것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반사체(27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 또는 회전된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슬로싱 억제 장치(도 1의 10)에 포함된 복수의 부력 유닛(100)의 개별적인 유동을 카메라(도 9의 211)로 정확하게 촬영하여 관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로싱 억제 장치 관찰용 모니터링 장치(도 7의 200)는 복수의 부력 유닛(100)의 거동을 면밀히 관찰할 수 있게 함으로써, 슬로싱 억제 장치(도 1의 10)의 작동 현황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도 11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로싱 억제 장치 관찰용 모니터링 장치의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로싱 억제 장치 관찰용 모니터링 장치(300)에는 관통관(301), 촬영부(310), 연결관(330), 단열커버(340), 공조기(360) 및 출력장치(390)가 포함될 수 있다.
관통관(301)은 액체 화물 저장 탱크(1)의 상측을 관통하는 형상으로 액체 화물 저장 탱크(1)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판(41), 제1 단열재층(42), 1차 방벽(43), 제2 단열재층(44), 2차 방벽(45), 글래스 울(47) 및 플라이우드(46)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관통관(301), 연결관(330), 단열커버(340), 공조기(360) 및 출력장치(390) 또한 앞에서 설명한 관통관(도 7의 201), 연결관(도 7의 230), 단열커버(도 7의 240), 공조기(도 7의 260) 및 출력장치(도 7의 290)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관통관(301)의 하단부에는 촬영부(310)가 설치될 수 있다.
촬영부(310)에는 카메라(311) 및 지지 플레이트(316)가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311)에는 렌즈(311a)가 구비될 수 있는데, 카메라(311)는 렌즈(311a)가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향을 향하도록 지지 플레이트(216)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렌즈(311a)로는 사각이 넓은 광각렌즈 또는 어안렌즈(fish-eye lens)가 사용될 수 있는데, 어안렌즈는 사각이 180도 이상인 초광각렌즈를 의미한다.
지지 플레이트(316)는 관통관(301)의 하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316)에는 급기구(316a) 및 배기구(316b)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 플레이트(316)에는 반구형 투명창(317)이 결합될 수 있는데, 반구형 투명창(317)은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311)를 커버하며 지지 플레이트(316)에 결합될 수 있다.
카메라(311)에는 케이블(318)이 연결될 수 있다. 케이블(318)은 카메라(311)에 전력을 공급하고, 카메라(311)가 촬영한 데이터를 출력장치(390)로 전달할 수 있다.
공조기(360)에는 급기관(361)이 연결될 수 있는데, 급기관(361)은 단열커버(340)의 급기구(342)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급기구(342)의 타측에는 관통관(301)을 관통하는 급기관(362)의 일측이 연결될 수 있고, 급기관(362)의 타측에는 커넥터(363)가 결합될 수 있다. 커넥터(363)는 지지 플레이트(316)의 급기구(316a)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공조기(360)에 의해 공급된 건조한 상온 공기는 급기관(361), 급기구(342), 급기관(362), 급기구(316a)를 통하여 지지 플레이트(316) 및 반구형 투명창(317) 사이의 공간에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이 공기는 다시 지지 플레이트(316)에 형성된 배기구(316b)를 통하여 관통관(301) 내부를 거쳐 단열커버(340)에 형성된 배기구(343)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로싱 억제 장치 관찰용 모니터링 장치(300)는 사각이 넓은 렌즈(311a)를 활용함으로써, 카메라(311)를 이동시키지 않고도 슬로싱 억제 장치(도 1의 10)에 포함된 복수의 부력 유닛(도 1의 100)의 전체적인 거동을 관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로싱 억제 장치 관찰용 모니터링 장치(300)는 그 구조가 간단하며, 유지 및 보수에 소요되는 시간 및 노력을 절약할 수 있다.
도 1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로싱 억제 장치 관찰용 모니터링 장치의 발광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부력 유닛(100)의 부력 블록(120)의 상측에는 발광체(370)가 결합될 수 있다.
발광체(370)로는 트리튬 바이알(tritium vial), 즉 트리튬을 봉입한 유리관의 표면에 방사선이 조사되면 가시광선을 발하는 형광물질을 도포한 것과 같이 장시간 에너지를 공급하지 않더라도 빛을 발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발광체(370)가 발하는 빛을 이용함으로써 촬영부(310)에는 별도의 조명을 위한 수단을 설치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로싱 억제 장치 관찰용 모니터링 장치(300)의 설치, 유지 및 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발광체(37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 또는 회전된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슬로싱 억제 장치(도 1의 10)에 포함된 복수의 부력 유닛(100)의 개별적인 유동을 카메라(도 11의 311)로 정확하게 촬영하여 관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카메라(도 11의 311)에 촬영된 발광체(370)가 본래의 상태에서 벗어나 경사 또는 회전된 경우, 그 발광체(370)가 부착된 부력 유닛(100)이 부력을 상실했거나 인접한 부력 유닛(도시되지 않음)과의 연결상태에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로싱 억제 장치 관찰용 모니터링 장치(도 11의 300)는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슬로싱 억제 장치(도 1의 10)의 거동을 면밀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부력 유닛 및 그것을 이용한 슬로싱 억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액체 화물 저장 탱크 10: 슬로싱 억제 장치
100: 부력 유닛 120: 부력 블록
122: 부력체 124: 폼부재
126: 커버 130: 연결 벨트
134: 연결 고리 150: 체결부재
200, 300: 슬로싱 억제 장치 관찰용 모니터링 장치
201, 301: 관통관 210, 310: 촬영부
223: 와이어 225: 윈치
260, 360: 공조기 290, 390: 출력장치
100: 부력 유닛 120: 부력 블록
122: 부력체 124: 폼부재
126: 커버 130: 연결 벨트
134: 연결 고리 150: 체결부재
200, 300: 슬로싱 억제 장치 관찰용 모니터링 장치
201, 301: 관통관 210, 310: 촬영부
223: 와이어 225: 윈치
260, 360: 공조기 290, 390: 출력장치
Claims (10)
- 액체 화물 저장 탱크 내에 저장된 액체 화물의 자유표면 상에 위치되도록 부력을 갖는 복수의 부력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부력 블록이 서로 연결되어 상기 액체 화물의 자유표면을 커버하는 슬로싱 억제 장치 관찰용 모니터링 장치로서,
상기 액체 화물 저장 탱크의 상측을 관통하는 형상으로 결합된 관통관;
상기 관통관 내에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상하가동관;
상기 상하가동관에 연결된 와이어를 감거나 푸는 윈치; 및
상기 상하가동관의 하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슬로싱 억제 장치를 촬영하는 촬영부를 포함하되,
상기 촬영부는,
상기 상하가동관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급기구 및 배기구가 형성된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급기구에 연결된 급기관을 통하여 건조한 상온 공기를 공급하는 공조기를 포함하며,
상기 급기구를 통하여 공급된 상기 건조한 상온 공기는 상기 배기구 및 상기 상하가동관을 거쳐 상기 관통관의 상부로 배출되는 슬로싱 억제 장치 관찰용 모니터링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에 상기 상하가동관의 길이방향 및 이에 수직한 방향을 각각 회전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를 커버하며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결합된 반구형 투명창을 포함하는 슬로싱 억제 장치 관찰용 모니터링 장치. - 삭제
- 액체 화물 저장 탱크 내에 저장된 액체 화물의 자유표면 상에 위치되도록 부력을 갖는 복수의 부력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부력 블록이 서로 연결되어 상기 액체 화물의 자유표면을 커버하는 슬로싱 억제 장치 관찰용 모니터링 장치로서,
상기 액체 화물 저장 탱크의 상측을 관통하는 형상으로 결합된 관통관; 및
상기 관통관의 하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슬로싱 억제 장치를 촬영하는 촬영부를 포함하되,
상기 촬영부는,
상기 관통관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급기구 및 배기구가 형성된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급기구에 연결된 급기관을 통하여 건조한 상온 공기를 공급하는 공조기를 포함하며,
상기 급기구를 통하여 공급된 상기 건조한 상온 공기는 상기 배기구 및 상기 관통관을 거쳐 상기 관통관의 상부로 배출되는 슬로싱 억제 장치 관찰용 모니터링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는,
렌즈가 하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결합된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를 커버하며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결합된 반구형 투명창을 포함하는 슬로싱 억제 장치 관찰용 모니터링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어안렌즈인 슬로싱 억제 장치 관찰용 모니터링 장치.
- 삭제
-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부력 블록 각각의 상측부에 결합된 복수의 발광체 또는 반사체를 더 포함하는 슬로싱 억제 장치 관찰용 모니터링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체는 트리튬 바이알을 포함하는 슬로싱 억제 장치 관찰용 모니터링 장치.
- 제2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는,
상기 카메라에 결합된 조명장치를 더 포함하는 슬로싱 억제 장치 관찰용 모니터링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74291A KR101304420B1 (ko) | 2011-07-26 | 2011-07-26 | 슬로싱 억제 장치 관찰용 모니터링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74291A KR101304420B1 (ko) | 2011-07-26 | 2011-07-26 | 슬로싱 억제 장치 관찰용 모니터링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26555A KR20130026555A (ko) | 2013-03-14 |
KR101304420B1 true KR101304420B1 (ko) | 2013-09-05 |
Family
ID=48177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74291A KR101304420B1 (ko) | 2011-07-26 | 2011-07-26 | 슬로싱 억제 장치 관찰용 모니터링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04420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10022627A1 (en) * | 2000-03-20 | 2001-09-20 | Rainer Bernhardt | Video surveillance apparatus with a dome camera and a protective housing |
US6882412B2 (en) * | 2002-08-20 | 2005-04-19 | Ast Services, Llc. | Method for inspecting an internal floating roof in a liquid-containing storage tank |
KR20100056351A (ko) * | 2008-11-18 | 2010-05-27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슬로싱 억제 장치 |
-
2011
- 2011-07-26 KR KR1020110074291A patent/KR10130442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10022627A1 (en) * | 2000-03-20 | 2001-09-20 | Rainer Bernhardt | Video surveillance apparatus with a dome camera and a protective housing |
US6882412B2 (en) * | 2002-08-20 | 2005-04-19 | Ast Services, Llc. | Method for inspecting an internal floating roof in a liquid-containing storage tank |
KR20100056351A (ko) * | 2008-11-18 | 2010-05-27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슬로싱 억제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26555A (ko) | 2013-03-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419562C2 (ru) | Взрывозащищенная и экологичная заправочная станция для нефтепродуктов (газа) | |
US7757621B2 (en) | Vessel for transport of compressed natural gas | |
JP5782305B2 (ja) | 液化ガスタンク | |
CN105270569B (zh) | 一种cng安全高效运输船气货系统 | |
JP2012519810A (ja) | 加圧されたガスを貯蔵するための装置 | |
EP2256067A1 (en) | Anti-explosive oil tank | |
KR20210003888A (ko) | 로딩/언로딩 타워가 제공된 밀폐 및 단열 탱크 | |
KR102655964B1 (ko) | 밀폐 및 단열 탱크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 | |
KR102506308B1 (ko) | 가스 돔 구조체를 포함하는 밀봉되고 단열된 탱크 | |
KR101304420B1 (ko) | 슬로싱 억제 장치 관찰용 모니터링 장치 | |
JP3242783U (ja) | 独立二次防壁式タイプb貯蔵タンク | |
CN114423986B (zh) | 密封且热绝缘的罐、系统、船舶及其装载或卸载的方法 | |
US20040173494A1 (en) | Fuel bladder container | |
KR102707025B1 (ko) |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펌프타워 | |
CN110056761B (zh) | 人孔装置及具有该人孔装置的真空绝热低温储罐 | |
CN112572751B (zh) | 一种lng燃料舱透气桅 | |
US20180363848A1 (en) | Modular Membrane LNG Tank | |
JP2019039440A (ja) | 液化ガス貯蔵タンク構造、浮体構造物、貯蔵タンクの内部圧力の逃がし方法 | |
KR102050940B1 (ko) | 족장장치 | |
KR101363508B1 (ko) | 슬로싱 억제 장치 | |
KR20110012219A (ko) | 선박용 방화 장치 | |
KR101244888B1 (ko) | 잠수함 | |
US20210220681A1 (en) | Installed fire extinguishing apparatus, especially for the fire protection of use locations comprising endangered structures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spaces | |
KR200469775Y1 (ko) | 액체 화물 저장 탱크 | |
WO2024190017A1 (ja) | タンク設備の検査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