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3506B1 - 덕트용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덕트용 연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3506B1
KR101303506B1 KR1020110082584A KR20110082584A KR101303506B1 KR 101303506 B1 KR101303506 B1 KR 101303506B1 KR 1020110082584 A KR1020110082584 A KR 1020110082584A KR 20110082584 A KR20110082584 A KR 20110082584A KR 101303506 B1 KR101303506 B1 KR 1013035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ale
female
female frame
fram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2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0149A (ko
Inventor
박경우
최용준
황대호
Original Assignee
(주)현창네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현창네오텍 filed Critical (주)현창네오텍
Priority to KR1020110082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3506B1/ko
Publication of KR20130020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01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3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35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09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connecting means, e.g.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45Manufacturing or assembly of air ducts; Method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용 연결 장치는 일측 단부에 돌출 형성되는 결합부와 인접한 채 상기 결합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위치결정돌출부를 구비하는 수프레임 본체 및 상기 수프레임 본체로부터 타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소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는 수프레임 측판을 구비하는 수프레임; 및 일측 단부에는 상기 결합부가 수용되는 수용부와 상기 위치결정돌출부와 대응되는 복수의 위치결정홈을 구비하는 암프레임 본체 및 상기 암프레임 본체로부터 타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소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는 암프레임 측판을 구비하는 암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위치결정홈은 상기 수프레임이 상기 암프레임에 결합되는 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 상기 암프레임 본체의 서로 다른 면에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덕트용 연결 장치{Device of connecting duct}
본 발명은 덕트용 연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집된 태양광을 전송하기 위한 덕트를 직진 또는 수직 방향으로 자유자재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턱트용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태양광은 차세대 에너지원으로서 크게 각광받고 있으며, 자연에 존재하는 무한한 에너지인 태양광을 집광및 축적함으로써 다양한 분야에 이용하려는 시도가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이러한 태양광은 현재 건물내의 조명원, 집열수단, 태양전지, 태양광 발전, 태양광을 이용한 살균처리 등에 사용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그 용도는 무한히 확대 발전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더구나, 최근에는 원유의 유가가 급격히 상승하게 되면서 태양광에 대한 기대는 더욱 커지게 된 것이 사실이다.
여기서, 태양광을 실내로 유도하는데는 태양광 전달 수단이 필요하며, 태양광 전달 수단으로써 광케이블 또는 광덕트가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광케이블 또는 광덕트 중 더욱 많은 양의 태양광을 전달하여 실내 공간에 공급하기 위한 수단으로서는 광덕트가 채택되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광덕트는 통상적으로 내부에 반사효율이 높은 반사시트가 부착되고 있으며, 상기 광덕트의 외측에는 아연도강판을 사용하고 상기 아연도강판과 상기 반사시트 사이에 각형의 부재를 사용하여 지지하는 형식으로 제작되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광덕트는 건물의 구조에 따라서 평행하게 또는 직각 등으로 각을 변화시켜가며 설치될 수밖에 없는데, 종래에는 수직으로 설치 각을 전환해야 하는 경우 아연도강판 등을 절곡하여 형성하거나 수직으로 꺾어지는 부분에 별도의 각형 부재 등을 대고 연결하여 시공해야 하므로 광덕트의 설치작업이 복잡하고 더디다는 문제가 있었다.
게다가, 아연도강판을 사용하여 광덕트의 벽체를 구성하는 종래의 광덕트는 무게가 무거워서 시공이 난해할 뿐만 아니라 금속판인 아연도강판이 하중을 못 이겨좌굴에 약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금속판인 아연도강판 자체의 특성상 색상이나 디자인을 다양하게 연출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어 건물내에 설치되는 경우 미관상 수려하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수집된 태양광을 전송하기 위한 광덕트를 직진 또는 수직 방향으로 자유자재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하여 시공을 용이하게 하고, 광덕트를 건물내에 설치하는 경우 미관상 수려하도록 하는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집된 태양광을 전송하기 위한 덕트를 자유자재로 방향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무게를 최소화하여 시공의 편리성을 추구하고, 덕트 설치 후에도 미관상 수려하도록 하는 덕트용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용 연결 장치는 일측 단부에 돌출 형성되는 결합부와 인접한 채 상기 결합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위치결정돌출부를 구비하는 수프레임 본체 및 상기 수프레임 본체로부터 타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소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는 수프레임 측판을 구비하는 수프레임; 및 일측 단부에는 상기 결합부가 수용되는 수용부와 상기 위치결정돌출부와 대응되는 복수의 위치결정홈을 구비하는 암프레임 본체 및 상기 암프레임 본체로부터 타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소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는 암프레임 측판을 구비하는 암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위치결정홈은 상기 암프레임 본체의 서로 다른 면에 형성되고, 상기 수프레임과 상기 암프레임의 결합 구조는 상기 위치결정돌출부가 삽입되는 위치결정홈의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용 연결 장치의 상기 위치결정홈은 상기 수프레임이 상기 암프레임과 동일한 방향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수평위치결정홈 및 상기 수프레임이 상기 암프레임과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수직위치결정홈을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용 연결 장치의 상기 수평위치결정홈 및 상기 수직위치결정홈은 상기 수용부를 형성하는 상기 암프레임 본체의 서로 다른 측벽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용 연결 장치의 상기 암프레임 본체는 상기 수용부를 형성하며 상기 암프레임 측판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측벽 및 상기 암프레임 측판과 연결되는 제2 측벽을 구비하며, 상기 수평위치결정홈 및 상기 수직위치결정홈은 상기 제1 측벽 및 상기 제2 측벽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용 연결 장치의 상기 암프레임 본체 및 수프레임 본체는 체결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각각 암프레임 체결홀 및 수프레임 체결홀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용 연결 장치의 상기 암프레임 체결홀은 상기 암프레임 본체에 형성되며, 상기 수프레임 체결홀은 상기 결합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용 연결 장치의 상기 암프레임 체결홀은 상기 체결부가 상기 암프레임 본체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체결부수용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용 연결 장치의 상기 수프레임 측판의 내측면 및 상기 암프레임 측판의 내측면은 상기 내부 공간을 향하여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덕트용 연결 장치는 수집된 태양광을 전송하기 위한 덕트를 자유자재로 방향 전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공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덕트의 무게를 최소화하는 동시에 덕트 설치 후의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용 연결 장치에 제공되는 수프레임 및 암프레임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용 연결 장치에 제공되는 수프레임 및 암프레임의 수평 결합을 도시한 개략 절개 분해 사시도 및 개략 절개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용 연결 장치에 제공되는 수프레임 및 암프레임의 수직 결합을 도시한 개략 분해 사시도 및 개략 사시도.
도 4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용 연결 장치에 제공되는 수프레임 및 암프레임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용 연결 장치에 제공되는 수프레임 및 암프레임의 수평 결합을 도시한 개략 절개 분해 사시도 및 개략 절개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용 연결 장치에 제공되는 수프레임 및 암프레임의 수직 결합을 도시한 개략 분해 사시도 및 개략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용 연결 장치에 제공되는 수프레임 및 암프레임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용 연결 장치에 제공되는 수프레임 및 암프레임의 수평 결합을 도시한 개략 절개 분해 사시도 및 개략 절개 사시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용 연결 장치에 제공되는 수프레임 및 암프레임의 수직 결합을 도시한 개략 분해 사시도 및 개략 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용 연결 장치에 제공되는 수프레임 및 암프레임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용 연결 장치에 제공되는 수프레임 및 암프레임의 수평 결합을 도시한 개략 절개 분해 사시도 및 개략 절개 사시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용 연결 장치에 제공되는 수프레임 및 암프레임의 수직 결합을 도시한 개략 분해 사시도 및 개략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b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용 연결 장치(10)는 결합을 위한 위치결정돌출부(110)를 구비하는 수프레임(100) 및 상기 위치결정돌출부(110)가 체결되는 위치결정홈(210)을 구비하는 암프레임(2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수프레임(100)과 암프레임(2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결합 구조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수프레임(100)은 결합부(120) 및 위치결정돌출부(110)를 구비하는 수프레임 본체(130) 및 수프레임 측판(1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프레임(100)은 일정한 기계적 강도를 구비하면서도 무게가 가벼워 시공성이 양호한 알루미늄 계열의 금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종류의 합성수지 계열의 재료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함을 밝혀둔다.
상기 수프레임 본체(130)는 상기 수프레임(100)이 암프레임(200)과 결합되는 일 구성일 수 있으며, 내부가 채워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110)는 상기 수프레임 본체(130)의 일측 단부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후술할 암프레임(200)의 함입되어 형성되는 수용부(220)에 수용되어 수프레임(200)을 암프레임(1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수프레임 본체(130)의 일측 단부는 단차치게 형성되어 돌출된 부분은 결합부(110)를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결합부(110)의 일면은 상기 수프레임(100)의 일면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110)와 단차를 이루는 상기 수프레임 본체(130)의 일면은 상기 결합부(110)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위치결정돌출부(1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위치결정돌출부(120)는 수프레임(100)을 암프레임(200)에 결합시킬 때 1차적으로 정확한 체결 위치를 결정해줄 수 있는 가이드 기능을 할 수 있으며, 상기 위치결정돌출부(120)가 암프레임(200)의 어떤 위치결정홈(210)에 결합하는냐에 따라 수프레임(100)과 암프레임(200)의 결합 방향이 결정되게 된다.
수프레임 측판(140)은 상기 수프레임 본체(130)의 타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소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도록 제1 측판(142) 및 제2 측판(144)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측판(142) 및 상기 제2 측판(144)에 의해 형성되는 소정의 내부 공간은 수집된 태양광을 전송하기 위한 덕트의 외벽을 규정하는 복층판(미도시)이 배치되는 공간일 수 있다.
상기 복층판(미도시)은 합성수지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여 내부에 빈 공간인 중공층을 형성하여 외부의 소음을 차단하는 차음효과 및 전기 절연효과와 단열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공층으로 인하여 결로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각종의 투명 또는 불투명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므로, 제작이 용이하며 다양한 색감 및 디자인으로 연출이 가능하여 외적 미감 또한 매우 뛰어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프레임 측판(140), 즉, 상기 제1 측판(142) 및 상기 제2 측판(144)의 내측면에는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돌기(146)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돌기(146)에 상기 복층판(미도시)을 삽입한 경우 상기 복층판(미도시)을 단단히 지지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프레임 측판(140)의 제1 측판(142) 또는 제2 측판(144)에는 반사시트(미도시)가 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반사시트(미도시)는 수집된 태양광을 반사하여 상기 태양광을 사용하려고 하는 최종 목적지로 도달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반사시트(미도시)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표면을 아노다이징(anodizing)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노다이징(anodizing) 처리를 하면 반사시트(미도시)의 내식성, 내마모성이 우수하게 되고 본딩성과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암프레임(200)은 수용부(220) 및 위치결정홈(210)을 구비하는 암프레임 본체(230) 및 암프레임 측판(24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암프레임(200)도 앞서 언급한 상기 수프레임(100)과 마찬가지로 일정한 기계적 강도를 구비하면서도 무게가 가벼워 시공성이 양호한 알루미늄 계열의 금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종류의 합성수지 계열의 재료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암프레임 본체(230)는 내부가 채워진 채, 수프레임(100)의 결합부(120)가 수용되는 수용부(22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수용부(220)는 상기 암프레임(200)의 일측 단부의 소정 영역이 함임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용부(220)는 수프레임(100)의 결합부(110)와 서로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으며, 상기 수용부(220)로 인해 상기 암프레임 본체(230)는 암프레임 측판(240)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측벽(232) 및 상기 암프레임 측판(240)과 연결되는 제2 측벽(234)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암프레임 본체(230)에는 수프레임(100)의 위치결정돌출부(120)가 삽입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위치결정홈(210)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위치결정홈(210)은 상기 암프레임 본체(230)의 서로 다른 면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개의 위치결정홈(210)은 상기 수프레임(100)이 상기 암프레임(200)과 동일한 방향인 수평 방향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수평위치결정홈(212) 및 상기 수프레임(100)이 상기 암프레임(200)과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수직위치결정홈(21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평위치결정홈(212)과 상기 수직위치결정홈(214)은 상기 암프레임 본체(230)의 서로 다른 측벽, 즉, 제1 측벽(232)과 제2 측벽(234)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프레임(100)의 위치결정돌출부(120)가 암프레임 본체(230)의 제1 측벽(232)에 형성된 수평위치결정홈(212)에 삽입되는 동시에 수프레임(100)의 결합부(110)가 암프레임(200)의 수용부(220)에 수용되는 경우, 상기 암프레임(200)과 상기 수프레임(100)은 서로 동일한 방향인 수평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프레임(100)의 위치결정돌출부(120)가 암프레임 본체(230)의 제2 측벽(234)에 형성된 수직위치결정홈(214)에 삽입되는 동시에 수프레임(100)의 결합부(110)가 암프레임(200)의 수용부(220)에 수용되는 경우, 상기 암프레임(200)과 상기 수프레임(100)은 서로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수평위치결정홈(212) 및 상기 수직위치결정홈(214)은 수프레임(100)을 암프레임(200)에 결합시킬 때 1차적으로 정확한 체결 위치를 결정해줄 수 있는 가이드 기능을 할 수 있으며, 수프레임(100)의 위치결정돌출부(120)를 암프레임(200)의 어떤 위치결정홈(210)에 결합하는냐에 따라 수프레임(100)과 암프레임(200)의 결합 방향이 결정되게 된다.
따라서, 수프레임(100)과 암프레임(200)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덕트용 연결 장치(10)는 암프레임 본체(230)의 서로 다른 면에 형성된 위치결정홈(210)에 의해 수집된 태양광을 전송하기 위한 덕트를 자유자재로 방향 전환할 수 있으므로 용이한 시공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도 2a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프레임(200)과 수프레임(100)이 수평 또는 수직 결합되는 경우 나사 등과 같은 체결부(300)에 의해 보다 견고하게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암프레임 본체(230) 및 수프레임 본체(130)는 각각 암프레임 체결홀(320) 및 수프레임 체결홀(310)을 구비할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암프레임 체결홀(320)은 상기 암프레임 본체(230)의 외부와 수용부(220)를 연통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수프레임 체결홀(310)은 결합부(120)에 소정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암프레임 체결홀(320)은 상기 체결부(300)가 상기 암프레임 본체(230)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체결부수용부(330)를 구비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체결부수용부(330)는 체결부(300)의 머리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체결부(300)의 머리를 수용하는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암프레임 측판(240)은 수프레임 측판(140)와 마찬가지로, 암프레임 본체(230)의 타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소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도록 제3 측판(242) 및 제4 측판(244)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3 측판(242) 및 상기 제4 측판(244)에 의해 형성되는 소정의 내부 공간은 수집된 태양광을 전송하기 위한 덕트의 외벽을 규정하는 복층판(미도시)이 배치되는 공간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암프레임 측판(240), 즉, 상기 제3 측판(242) 및 상기 제4 측판(244)의 내측면에는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돌기(246)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돌기(246)에 상기 복층판(미도시)을 삽입한 경우 상기 복층판(미도시)을 단단히 지지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층판(미도시) 및 상기 암프레임 측판(240)의 제3 측판(242) 또는 제4 측판(244)에 부착될 수 있는 반사시트(미도시)는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할 수 있다.
도 4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용 연결 장치에 제공되는 수프레임 및 암프레임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용 연결 장치에 제공되는 수프레임 및 암프레임의 수평 결합을 도시한 개략 절개 분해 사시도 및 개략 절개 사시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용 연결 장치에 제공되는 수프레임 및 암프레임의 수직 결합을 도시한 개략 분해 사시도 및 개략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용 연결 장치(40)는 수프레임(400)의 결합부(420) 및 암프레임(500)의 수용부(520)를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용 연결 장치(10)와 동일하므로, 상기 결합부(420) 및 상기 수용부(520) 이외의 설명 및 도면 부호 기입은 생략하기로 한다.
수프레임(400)의 결합부(420)는 상기 수프레임 본체(430)의 일측 단부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후술할 암프레임(500)의 함입되어 형성되는 수용부(520)에 수용되어 수프레임(400)을 암프레임(5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420)의 단부 모서리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대응되도록 상기 수용부(520)의 형상도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용부(520)는 단면이 팔각형의 일부와 동일한 형상일 수 있다.
여기서, 라운드진 형상의 상기 결합부(420) 및 상기 수용부(520)로 인해, 수프레임(400)과 암프레임(500)을 수평 또는 수직 결합하는 경우 소정의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라운드진 형상의 상기 결합부(420) 및 상기 수용부(520)로 인해 수프레임(400)과 암프레임(500)을 결합하는 경우 부드럽고 원활하게 결합시킬 수 있으며, 결합시 마찰로 인한 이물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용 연결 장치에 제공되는 수프레임 및 암프레임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용 연결 장치에 제공되는 수프레임 및 암프레임의 수평 결합을 도시한 개략 절개 분해 사시도 및 개략 절개 사시도이고,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용 연결 장치에 제공되는 수프레임 및 암프레임의 수직 결합을 도시한 개략 분해 사시도 및 개략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9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용 연결 장치(60)는 수프레임(600)의 결합부(620) 및 암프레임(700)의 수용부(720)를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용 연결 장치(10)와 동일하므로, 상기 결합부(620) 및 상기 수용부(720) 이외의 설명 및 도면 부호 기입은 생략하기로 한다.
수프레임(600)의 결합부(620)는 상기 수프레임 본체(630)의 일측 단부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기준면인 바닥면에 대하여 일정한 경사각을 가지는 경사면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620)와 대응되도록 암프레임(700)의 수용부(720)도 경사면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수용부(720)는 삼각형의 빗면 형상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형상의 결합부(620) 및 수용부(720)로 인해, 수프레임 본체(630) 및 암프레임 본체(730)는 내부의 밀집도가 향상되어 강성이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수프레임(600)과 암프레임(700)의 결합시, 수프레임 본체(630)와 암프레임 본체(730)의 파손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 40, 60: 덕트용 연결 장치 100, 400, 600: 수프레임
130, 430, 630: 수프레임 본체 200, 500, 700: 암프레임
230, 530, 730: 암프레임 본체 120: 위치결정돌출부
110, 420, 620: 결합부 210: 위치결정홈
220, 520, 720: 수용부

Claims (8)

  1. 일측 단부에 돌출 형성되는 결합부(110)와 인접한 채 상기 결합부(110)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위치결정돌출부(120)를 구비하는 수프레임 본체(130) 및 상기 수프레임 본체(130)로부터 타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소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는 수프레임 측판(140)을 구비하는 수프레임(100); 및
    일측 단부에는 상기 결합부(110)가 수용되는 수용부(220)와 상기 위치결정돌출부(120)와 대응되는 복수의 위치결정홈(210)을 구비하는 암프레임 본체(230) 및 상기 암프레임 본체(230)로부터 타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소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는 암프레임 측판(240)을 구비하는 암프레임(200);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위치결정홈(210)은 상기 암프레임 본체(230)의 서로 다른 면에 형성되고, 상기 수프레임(100)과 상기 암프레임(200)의 결합구조는 상기 위치결정돌출부(120)가 삽입되는 상기 위치결정홈(210)의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덕트용 연결 장치(1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홈(210)은 상기 수프레임(100)이 상기 암프레임(200)과 동일한 방향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수평위치결정홈(212) 및 상기 수프레임(100)이 상기 암프레임(200)과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수직위치결정홈(214)을 포함하는 덕트용 연결 장치(10).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위치결정홈(212) 및 상기 수직위치결정홈(214)은 상기 수용부(220)를 형성하는 상기 암프레임 본체(230)의 서로 다른 측벽(232,234)에 각각 형성되는 덕트용 연결 장치(10).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암프레임 본체(230)는 상기 수용부(220)를 형성하며 상기 암프레임 측판(240)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측벽(232) 및 상기 암프레임 측판(240)과 연결되는 제2 측벽(234)을 구비하며,
    상기 수평위치결정홈(212) 및 상기 수직위치결정홈(214)은 상기 제1 측벽(232) 및 상기 제2 측벽(234)에 각각 형성되는 덕트용 연결 장치(10).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프레임 본체(230) 및 수프레임 본체(130)는 체결부(300)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각각 암프레임 체결홀(320) 및 수프레임 체결홀(310)을 구비하는 덕트용 연결 장치(10).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암프레임 체결홀(320)은 상기 암프레임 본체(230)에 형성되며, 상기 수프레임 체결홀(310)은 상기 결합부(110)에 형성되는 덕트용 연결 장치(10).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암프레임 체결홀(320)은 상기 체결부(300)가 상기 암프레임 본체(230)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체결부수용부(330)를 구비하는 덕트용 연결 장치(10).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프레임 측판(140)의 내측면 및 상기 암프레임 측판(240)의 내측면은 상기 내부 공간을 향하여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돌기(246)를 구비하는 덕트용 연결 장치(10).
KR1020110082584A 2011-08-19 2011-08-19 덕트용 연결 장치 KR1013035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2584A KR101303506B1 (ko) 2011-08-19 2011-08-19 덕트용 연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2584A KR101303506B1 (ko) 2011-08-19 2011-08-19 덕트용 연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0149A KR20130020149A (ko) 2013-02-27
KR101303506B1 true KR101303506B1 (ko) 2013-09-10

Family

ID=47898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2584A KR101303506B1 (ko) 2011-08-19 2011-08-19 덕트용 연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35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9218B1 (ko) * 2017-07-27 2019-04-15 김재상 강도보강용 고정클립 구조를 갖는 후렉시블 닥트
KR200495395Y1 (ko) * 2021-10-07 2022-05-12 선봉철 공기조화용 보온재 덕트
KR102386216B1 (ko) * 2021-10-07 2022-04-12 선봉철 공기조화용 보온재 덕트의 시공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0044B1 (ko) * 2008-01-25 2008-11-21 문영준 보온성과 난연성을 갖는 환기덕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0044B1 (ko) * 2008-01-25 2008-11-21 문영준 보온성과 난연성을 갖는 환기덕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0149A (ko) 2013-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3506B1 (ko) 덕트용 연결 장치
RU2010131634A (ru) Освет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3187702U (ja) 脱落防止固定フレーム構造及びそれを用いた吊り下げ式led灯具
US20120155095A1 (en) Roll-formed heat sink for a lighting fixture
JP6308457B2 (ja) 光源ユニット及び照明器具
JP5337094B2 (ja) 照明装置の取り付け構造
KR101173349B1 (ko) 건물의 벽면 구조
KR100917230B1 (ko) 복층판 수용식 광덕트용 몰딩체 및 이를 이용한 복층판수용식 광덕트
KR101591077B1 (ko) 태양광 발전 광선반
KR100909433B1 (ko) 복층판 수용식 광덕트
KR20180006650A (ko) 태양광 거치대
CN102080800B (zh) 光导管
KR101566451B1 (ko) 경사 조절 엘이디 등기구
JP2013247034A (ja) 採光装置
JP6511240B2 (ja) 壁面構造
JP6385959B2 (ja) 集光光学素子、及びこれを備えた集光装置
EP2839207B1 (en) Dual-stage sunlight redirection system
KR101494827B1 (ko) 가동식 창호거치 태양광발전 광선반 장치
KR101121089B1 (ko) 투광 복층 패널
CN205746109U (zh) 一种led反光杯模组
KR200223659Y1 (ko) 절곡형 소형 공동주택의 단위세대 구조물
KR101857739B1 (ko) 창호용 태양광 발전 어셈블리
CN216693262U (zh) 一种灯槽线
US20100139737A1 (en)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TWI642882B (zh) 具太陽導光照明及儲熱節能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