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6650A - 태양광 거치대 - Google Patents

태양광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6650A
KR20180006650A KR1020160087265A KR20160087265A KR20180006650A KR 20180006650 A KR20180006650 A KR 20180006650A KR 1020160087265 A KR1020160087265 A KR 1020160087265A KR 20160087265 A KR20160087265 A KR 20160087265A KR 20180006650 A KR20180006650 A KR 201800066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olar
receiving
support portion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7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승록
Original Assignee
해드림협동조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해드림협동조합 filed Critical 해드림협동조합
Priority to KR1020160087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6650A/ko
Publication of KR20180006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66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2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2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 H02S20/23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specially adapted for roof struc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H02S30/10Frame struc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광 모듈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단독주택이나, 많은 가구들이 모여 살고 있는 아파트, 연립주택 등과 같은 건축물의 지붕이나 옥상에 설치 사용할 수 있도록 태양광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태양광모듈을 설치하기 위한 태양광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거치대는 지면에 안치되도록 콘크리트로 양생시켜 되는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를 양생시 받침부의 상면으로 부터 일부분이 삽입고정되는 상태에서 상단부 일부분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는 고정부와;
상기 받침부의 외부로 돌출된 고정부에 씌워지는 상태로 하여 수직으로 세워지는 지지부 및;
상기 태양광모듈의 후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지지부의 상단부 양측면에 씌워지는 상태로 하여 축핀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각도조절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태양광 거치대{Sunlight Support}
본 발명은 태양광 모듈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단독주택이나, 많은 가구들이 모여 살고 있는 아파트, 연립주택 등과 같은 건축물의 지붕이나 옥상에 설치 사용할 수 있도록 태양광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양광 모듈은 태양의 빛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데 이용되는 것으로서, 태양광 에너지를 직접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태양전지를 판 형상으로 집적시켜 동시에 많은 양의 전기에너지가 생산하는 것으로, 화석에너지가 점차 고갈되어감에 따라 대체에너지의 하나로 점차 그 수요가 증대되고 있다.
특히, 태양광을 이용한 전력생산은 그 설치 규모에 따라 일반 가정용에서부터 산업용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는 장점과, 청정한 태양에너지를 이용함으로써 환경오염발생이 없고 무한한 에너지 생산이 가능하다는 장점으로 그 이용이 다른 신재생에너지 분야에 비추어 더욱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태양광 모듈은 통상적으로 햇빛의 조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건축물의 지붕이나 옥상 또는 외벽 등에 설치하거나 실외의 개활지 등에 설치된 상태에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설치상태는 지붕이나 옥상 및 외벽에 설치 사용하도록 되어 있어, 주로 개인이 단독으로 생활을 하게 되는 단독주택, 전원주택 등에서만 설치 사용을 할 수 있을 뿐, 많은 가구들이 모여 살고 있는 고층의 아파트, 빌라와 같은 공공주택에서는 설치 사용을 할 수 없었던 것이다.
그러므로, 대체에너지의 일환으로 각광을 받고 있는 태양광에너지의 효율성에 대해서는 많은 사람들이 인정하고 사용을 하고 싶어도, 아파트와 빌라 등과 같은 공공주택에서는 태양광 모듈을 설치할 수가 없어 그 사용범위가 한정적일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많은 가구들이 모여 살게 되는 고층의 아파트, 빌라, 다세대주택 등과 같은 공공주택의 옥상이나 지붕에 태양광모듈을 각각 설치 가능하도록 하여 아파트에서 생활하는 각 가정에서도 태양광을 이용한 전기에너지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태양광모듈을 설치하기 위한 태양광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거치대는 지면에 안치되도록 콘크리트로 양생시켜 되는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를 양생시 받침부의 상면으로 부터 일부분이 삽입고정되는 상태에서 상단부 일부분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는 고정부와;
상기 받침부의 외부로 돌출된 고정부에 씌워지는 상태로 하여 수직으로 세워지는 지지부 및;
상기 태양광모듈의 후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지지부의 상단부 양측면에 씌워지는 상태로 하여 축핀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각도조절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태양광모듈을 설치하기 위한 태양광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거치대는 지면에 안치되도록 콘크리트로 양생시켜 되는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를 양생시 받침부의 상면으로 부터 일부분이 삽입고정되는 상태에서 상단부분이 외부로 수직 돌출되도록 하는 지지부 및;
상기 태양광모듈의 후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지지부의 상단부 양측면에 씌워지는 상태로 하여 축핀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각도조절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받침부를 양생시 고정부 또는 지지부의 하단부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홈이 갖추어진 받침부의 일측면에 축핀이 관통할 수 있는 축공이 갖추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각도조절부는 태양광모듈의 후면에 고정되는 수평면과;
상기 수평면의 양측에 직각을 절곡시켜 지지부의 양측면이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수직면과;
상기 수직면에 지지부의 상단부에 갖추어진 축공과 일치하는 축공을 갖추어 축공을 관통하는 축핀에 의해 각도가 자유롭게 조절되는 상태에서 결합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받침부의 상면 양측에 길이가 다른 두개의 지지부가 각각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고정부가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받침부는 내부에 물이나 모래가 담수될 수 있도록 주입구를 갖춘 수용실로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에너지의 사용을 줄여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대체에너지로 사용되고 있는 태양광 모듈을 아파트, 연립주택 및 빌딩 등의 옥상에 간단하면서도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는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인 태양광 거치대의 설치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인 태양광 거치대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인 태양광 거치대의 설치상태를 보인 확대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중 받침부의 다른 제1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중 받침부의 다른 제1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부분확대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중 받침부의 다른 제2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중 받침부의 다른 제2실시예의 설치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8 은 본 발명의 다른 제3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로서,
도8a는 받침부를 양생시 지지부가 일체로 양생되는 상태도.
도8b는 받침부에 지지부가 삽입 고정되도록 한 상태도.
도 9 는 본 발명중 받침부의 다른 제4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인 태양광 거치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로서, 본 발명인 태양광 거치대(100)는 건축물의 옥상 바닥에 한 쌍으로 하여 전,후로 안치되는 받침부(200)와, 상기 각각의 받침부 상부로 연장되는 고정부(300)와, 상기 고정부에 끼움 결합되는 지지부(400) 및 상기 지지부 상단부에 씌워지는 상태로 하여 힌지를 기점으로 태양광모듈(10)의 설치 각도에 따라 각도를 조절시켜 주는 각도조절부(500)로 구성된다.
상기 받침부(200)는 콘크리트를 양생시켜 되는 것으로서, 옥상의 지면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어떠한 모양을 갖도록 하여도 무방할 것이나, 본 발명에서는 가장 많이 사용될 수 있는 직사각 모양을 일예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받침부(200)를 양생할 때 고정부(300)의 일부분이 매설될 수 있도록 한 상태에서 양생을 할 수도 있고, 도 4 및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3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210)이 형성되도록 한 상태에서 양생을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삽입홈(210)이 형성되도록 받침부(200)를 양생할 경우 받침부의 측면에서 삽입홈부와 연통되는 축공(220)을 형성시켜 삽입홈(210)내에 고정부(300)의 하단부 일부분이 삽입된 상태에서 축공(220)을 통해 삽입되는 축핀(600)에 의해 받침부(200)와 고정부(300)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부(300)는 받침부(200)를 양생시 하단부 일부분이 매설되는 상태에서 지지부(400)의 하단부 일부분이 삽입에 의해 끼움 고정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만이 상부로 노출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갖도록 하되, 상단부 일측에 축핀(600)이 관통할 수 있는 축공(310)을 형성하여 준다.
상기 고정부가 받침부(200)를 양생시 하단부가 매설되는 상태가 아니고, 고정부(300)를 받침부(200)의 삽입홈(210)에 삽입시켜 줄 경우에는 상기 고정부의 하단부 일측에 받침부(200)에 갖추어진 축공(210)을 통해 끼워지는 축핀(600)이 관통할 수 있도록 하는 축공(320)을 형성시켜 축핀(600)에 의해 받침부(200)와 고정부(300)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400)는 받침부(200)의 상면으로 돌출되어 있는 고정부(300)가 삽입되는 상태로 결합될 수 있도록 내부가 중공상태를 갖추되, 상기 지지부의 상,하단부 일측에 각각 축공(410,420)을 갖추어 축핀(600)에 의해 고정부의 축공과 연통되도록 하고, 후에 설명할 각도조절부에 갖추어진 축공을 관통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지지부(400)의 길이는 한 쌍의 받침부(200)의 위치에 따라 다른 길이를 갖도록 한다.
즉, 태양광모듈(10)이 일정한 경사각을 갖도록 한 상태에서 설치가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태양광모듈(10)의 경사각중 하단부에 위치하는 지지부(400)에 비하여 상단부측에 위치하는 지지부(400)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어야만 지지부의 길이에 맞추어 태양광모듈의 설치각도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각도조절부(500)는 태양광모듈(10)의 후면에 면접지되는 상태로 하여 체결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수평면(510)을 갖추고, 상기 수평면의 양측에 직각으로 절곡되는 수직면(520)을 갖추게 되는데, 상기 수직면의 간격은 지지부(400)가 면접지되는 상태로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간격으로 형성시켜 주면 되는 것이며, 상기 수직면에는 지지부(400)의 축공(410)과 연통되어 축핀이 관통할 수 있도록 하는 축공(530)을 갖추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본 발명인 태양광 거치대(100)는 우선, 한 쌍의 받침부(200)를 설치하고자 하는 태양광모듈(10)의 크기에 맞는 간격을 갖도록 옥상의 지면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300)가 받침부(200)에 일체로 하여 양생된 경우에는 받침부(200)를 위치시켜 주면 되는 것이고, 만약 받침부에 고정부가 일체로 양생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받침부(200)에 갖추어진 삽입홈(210)내에 고정부(300)를 삽입시켜 준 상태에서 축핀(600)을 이용하여 받침부의 일측면에 갖추어진 축공(220)을 통해 고정부의 축공(320)을 관통하도록 하여 고정시켜 준 상태에서 설치하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받침부의 상부로 돌출되어 있는 고정부(300)에 지지부(400)의 하단부분이 씌워지도록 한 상태에서 축핀(600)을 이용하여 지지부(400)의 하단측에 갖추어진 축공(420)과 고정부(300)의 상단부에 갖추어진 축공(310)을 관통하도록 결합시켜 주면 상기의 축핀에 의해 고정부와 지지부가 결합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각도조절부(500)는 태양관모듈(10)의 후면 상,하단부에 고정시켜 준 상태에서 지지부(400)의 상단부가 상기 각도조절부(500)의 수직면(520)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는데, 이때 지지부와 각도조절부에 갖추어진 축공(410,530)이 일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이들에 축핀(600)을 삽입 고정시켜 주면 되는 것으로서, 지지부(400)는 수직의 상태에 있는 것이고, 각도조절부(500)는 태양광모듈(10)과 직각의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전,후로 길이가 지지부(400) 상단에 결합시 축핀(600)을 기점으로 하여 각도가 변형된 상태에서 설치가 가능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로 하여 설치가 완료된 태양광모듈을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는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200)의 상면 양측에 고정부(300,300a)가 갖추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200)의 상면 양측에 갖추어진 각각의 고정부(300,300a)에 길이가 다른 지지부(400)를 삽입 고정시켜 준 상태에서 길이가 짧은 지지부(400)에는 태양광모듈(10)의 하단부분이 위치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다른 태양광모듈(10)의 상단부분은 길이가 긴 지지부(400)에 고정 결합되도록 한 상태에서 사용할수도 있는 것으로서, 하나의 받침부(200)를 사용하여 두개의 지지부가 설치된 상태에서 태양광모듈을 설치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200)에 지지부(400)를 삽입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는 것으로서, 도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200)를 양생시 지지부(400)의 하단부 일부분이 삽입된 상태에서 양생시켜 줄 수도 있고, 도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200)에 갖추어진 삽입홈(210)에 지지부(400)를 삽입시켜 축핀(600)을 이용하여 고정되도록 한 상태에서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는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200)를 합성수지를 재질로 하여 물이나 모래 등이 담겨질 수 있도록 주입구(230)를 갖는 수용실을 갖도록 형성시켜 줄 수도 있는 것으로서, 상기의 받침부(200)는 내부가 수용실을 갖도록 비워진 상태에 있으므로서, 무게가 상대적으로 가벼워 운반 및 취급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고, 사용시에는 주입구를 통해 물이나 모래가 담겨지도록 하여 받침부의 무게를 높여준 상태에서 사용을 하면 되는 것이다.
10:태양광모듈 100:태양광 거치대
200:받침부 300:고정부
400:지지부 500:각도조절부

Claims (6)

  1. 태양광모듈을 설치하기 위한 태양광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거치대는 지면에 안치되도록 콘크리트로 양생시켜 되는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를 양생시 받침부의 상면으로 부터 일부분이 삽입고정되는 상태에서 상단부 일부분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는 고정부와;
    상기 받침부의 외부로 돌출된 고정부에 씌워지는 상태로 하여 수직으로 세워지는 지지부 및;
    상기 태양광모듈의 후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지지부의 상단부 양측면에 씌워지는 상태로 하여 축핀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각도조절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거치대.
  2. 태양광모듈을 설치하기 위한 태양광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거치대는 지면에 안치되도록 콘크리트로 양생시켜 되는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를 양생시 받침부의 상면으로 부터 일부분이 삽입고정되는 상태에서 상단부분이 외부로 수직 돌출되도록 하는 지지부 및;
    상기 태양광모듈의 후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지지부의 상단부 양측면에 씌워지는 상태로 하여 축핀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각도조절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거치대.
  3.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를 양생시 고정부 또는 지지부의 하단부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홈이 갖추어진 받침부의 일측면에 축핀이 관통할 수 있는 축공이 갖추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거치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는 태양광모듈의 후면에 고정되는 수평면과;
    상기 수평면의 양측에 직각을 절곡시켜 지지부의 양측면이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수직면과;
    상기 수직면에 지지부의 상단부에 갖추어진 축공과 일치하는 축공을 갖추어 축공을 관통하는 축핀에 의해 각도가 자유롭게 조절되는 상태에서 결합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거치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의 상면 양측에 길이가 다른 두개의 지지부가 각각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고정부가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거치대.
  6.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내부에 물이나 모래가 담수될 수 있도록 주입구를 갖춘 수용실로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거치대.

KR1020160087265A 2016-07-11 2016-07-11 태양광 거치대 KR201800066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7265A KR20180006650A (ko) 2016-07-11 2016-07-11 태양광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7265A KR20180006650A (ko) 2016-07-11 2016-07-11 태양광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6650A true KR20180006650A (ko) 2018-01-19

Family

ID=61025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7265A KR20180006650A (ko) 2016-07-11 2016-07-11 태양광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665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33849A (zh) * 2018-03-02 2018-06-29 浙江双鸿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彩钢瓦的光伏组件夹紧装置
KR102133226B1 (ko) * 2020-02-17 2020-07-13 김형기 지붕형 태양광 모듈용 고정장치
KR20220111581A (ko) * 2021-02-02 2022-08-09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태양광을 이용한 담수화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33849A (zh) * 2018-03-02 2018-06-29 浙江双鸿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彩钢瓦的光伏组件夹紧装置
KR102133226B1 (ko) * 2020-02-17 2020-07-13 김형기 지붕형 태양광 모듈용 고정장치
KR20220111581A (ko) * 2021-02-02 2022-08-09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태양광을 이용한 담수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1573B1 (ko)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
CA2531199C (en) Concentrating type solar collection and daylighting system within glazed building envelopes
KR101721073B1 (ko) 태양광 거치대
KR101035388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태양광 구조물
KR20180006650A (ko) 태양광 거치대
KR101710473B1 (ko) 열 집진 기능이 구비된 건축용 태양광 벽돌 블록
KR101282899B1 (ko) 집광판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집광판 고정장치
KR101309831B1 (ko) 태양전지모듈 각도조절장치
JP3198764U (ja) ソーラーパネル用フレームモジュール
KR102032440B1 (ko) 가로등 설치형 태양열전지판 거치대
KR101104770B1 (ko) 공동주택 태양열 집광구조
KR100840400B1 (ko) 경사각도 조정형 태양광 발전장치
KR101895923B1 (ko) 펜스형 태양광발전장치
KR101586783B1 (ko) 태양광 발전식 조립형 한식 담장
KR101166519B1 (ko) 솔라 트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인공 구조물
US20140216521A1 (en) Solar Electrical Generator System
US20120167493A1 (en) Sunlight-collecting apparatus
KR20150130831A (ko) 가정용 태양광 발전 거치대 구조
KR200477471Y1 (ko) 다목적 태양광셀 모듈의 고정체
KR101857739B1 (ko) 창호용 태양광 발전 어셈블리
KR200462374Y1 (ko) 지붕가변형 태양광 모듈 지지장치
KR101641872B1 (ko) 건물 부착형 태양광 모듈 고정 프레임
KR20050040376A (ko) 한정된 공간을 이용한 태양전지모듈 설치구조
KR101968049B1 (ko) 태양광 거치대의 인버터 걸이장치
JP6892050B2 (ja) 窓ガラスに太陽光発電パネルを傾斜設置するための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