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1073B1 - 태양광 거치대 - Google Patents

태양광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1073B1
KR101721073B1 KR1020160080145A KR20160080145A KR101721073B1 KR 101721073 B1 KR101721073 B1 KR 101721073B1 KR 1020160080145 A KR1020160080145 A KR 1020160080145A KR 20160080145 A KR20160080145 A KR 20160080145A KR 101721073 B1 KR101721073 B1 KR 1017210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pair
vertical fixing
module
sola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0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승록
Original Assignee
해드림협동조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해드림협동조합 filed Critical 해드림협동조합
Priority to KR1020160080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10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1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10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2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광 모듈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많은 가구들이 모여살고 있는 아파트, 연립주택 등과 같은 각 가정의 베란다에 설치 사용할 수 있도록 태양광 모듈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태양광모듈을 설치하기 위한 태양광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거치대는 태양광모듈의 상,하면에 각각 위치하는 한 쌍의 고정앵글과;
상기 고정앵글의 후면에 양측에 위치한 상태로 체결 고정되는 한 쌍의 수직고정바와;
상기 수직고정바의 상단부에 위치하여 베란다의 샷시 상단에 위치하는 수평봉에 걸쳐지는 상부걸이부 및
상기 수직고정바의 하단부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시켜 태양광모듈의 각도를 조절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각도조절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태양광 거치대{Sunlight Support}
본 발명은 태양광 모듈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많은 가구들이 모여 살고 있는 아파트, 연립주택 등과 같은 각 가정의 베란다에 설치 사용할 수 있도록 태양광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양광 모듈은 태양의 빛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데 이용되는 것으로서, 태양광 에너지를 직접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태양전지를 판 형상으로 집적시켜 동시에 많은 양의 전기에너지가 생산하는 것으로, 화석에너지가 점차 고갈되어감에 따라 대체에너지의 하나로 점차 그 수요가 증대되고 있다.
특히, 태양광을 이용한 전력생산은 그 설치 규모에 따라 일반 가정용에서부터 산업용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는 장점과, 청정한 태양에너지를 이용함으로써 환경오염발생이 없고 무한한 에너지 생산이 가능하다는 장점으로 그 이용이 다른 신재생에너지 분야에 비추어 더욱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태양광 모듈은 통상적으로 햇빛의 조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건축물의 지붕이나 옥상 또는 외벽 등에 설치하거나 실외의 개활지 등에 설치된 상태에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설치상태는 지붕이나 옥상 및 외벽에 설치 사용하도록 되어 있어,주로 개인이 단독으로 생활을 하게 되는 단독주택, 전원주택 등에서만 설치 사용을 할 수 있을뿐, 많은 가구들이 모여 살고있는 고층의 아파트, 빌라와 같은 공공주택에서는 설치 사용을 할 수 없었던 것이다.
그러므로, 대체에너지의 일환으로 각광을 받고 있는 태양광에너지의 효율성에 대해서는 많은 사람들이 인정하고 사용을 하고 싶어도, 아파트와 빌라 등과 같은 공공주택에서는 태양광 모듈을 설치할 수가 없어 그 사용범위가 한정적일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많은 가구들이 모여 살게 되는 고증의 아파트, 빌라, 다세대주택 등과 같은 공공주택에 거주하고 있는 각 가정의 베란다에 태양광모듈을 각각 설치 가능하도록 하여 아파트에서 생활하는 각 가정에서도 태양열을 이용한 전기에너지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태양광모듈을 설치하기 위한 태양광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거치대는 태양광모듈의 상,하면에 각각 위치하는 한 쌍의 고정앵글과;
상기 고정앵글의 후면에 양측에 위치한 상태로 체결 고정되는 한 쌍의 수직고정바와;
상기 수직고정바의 상단부에 위치하여 베란다의 샷시 상단에 위치하는 수평봉에 걸쳐지는 상부걸이부 및
상기 수직고정바의 하단부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시켜 태양광모듈의 각도를 조절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각도조절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앵글은 태양광모듈의 외면에 접하게 되는 접지면을 기점으로 하여 전,후면을 직각으로 절곡시켜 모듈의 전,후면을 지지하는 전,후면지지편을 갖추어 모듈을 견고하게 씌워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걸이부는 일면이 수직고정바의 상단부 후면에 접하도록 한 상태에서 베란다(20)의 수평봉(21)이 삽입되는 상태로 걸쳐질 수 있도록 "ㄷ" 모양이 되도록 절곡시켜 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각도조절부는 한 쌍의 수직고정바 하단부측에 일단이 힌지를 기점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선단에는 샷시의 수직봉에 걸쳐질 수 있도록 하므로서, 모듈이 경사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걸침봉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수직고정바의 중간지점에는 수평의 상태에서 수직고정바를 연결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연결대가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대의 양측 끝단부에 장공을 형성시켜 샷시의 수직봉 간격에 따라 연결대의 간격을 임의로 조절시켜 줄 수 있도록 하여 지지대의 선단부에 갖추어진 걸침봉이 수직봉에 걸쳐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에너지의 사용을 줄여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대체에너지로 사용되고 있는 태야광 모듈을 각 가정의 베란다에 설치되어 있는 샷시에 개별적으로 설치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태양광 에너지의 사용범위를 최대한 많이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인 태양광 거치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이 설치 상태를 보인 예시도로서,
도2a는 본 발명이 샷시에 걸쳐진 상태도.
도2b는 본 발명이 샷시에 설치가 완료된 상태도.
도 3 은 본 발명의 다른 제1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제2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인 태양광 거치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로서, 본 발명인 태양광 거치대(100)는 태양광모듈(10)의 상,하면에 각각 위치하는 한 쌍의 고정앵글(200), 상기 고정앵글의 후면에 양측에 위치한 상태로 체결 고정되는 한 쌍의 수직고정바(300)와, 상기 수직고정바의 상단부에 위치하여 베란다의 샷시(20) 상단에 위치하는 수평봉(21)에 걸쳐지는 상부걸이부(400) 및 상기 수직고정바의 하단부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시켜 태양광모듈의 각도를 조절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각도조절부(500)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앵글(200)은 태양광모듈(200)의 외면에 접하게 되는 접지면(210)을 기점으로 하여 전,후면을 직각으로 절곡시켜 모듈의 전,후면을 지지하는 전,후면지지편(220,230)을 갖도록 하여 모듈(10)이 전,후면지지편(220,230) 사이에 끼워지는 상태로 쒸워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수직고정바(300)는 모듈(10)의 상,하면에 씌워진 고정앵글(200)의 후면지지편(230)에 양측 끝단부분이 각각 접하도록 하여 체결볼트()에 의해 체결 고정되도록 하므로서, 상기 수직고정바(300)에 의해 고정앵글(200)이 모듈(10)의 상,하면에 견고하게 고정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수직고정바(300) 중간지점에 연결대(600)를 연결시켜 수직고정바가 흔들림 없이 안정된 상태를 유지시켜 줄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걸이부(400)는 일면이 수직고정바(300)의 상단부 후면에 접하도록 한 상태에서 베란다(20)의 수평봉(21)이 삽입되는 상태로 걸쳐질 수 있도록 절곡형성 하면 되는 것으로서, "ㄷ" 모양이 되도록 직각으로 절곡시켜 줄 수도 있고, 라운드 모양이 되도록 절곡시켜 줄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각도조절부(500)는 한 쌍의 수직고정바(300) 하단부측에 일단이 힌지(520)를 기점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지지대(510)를 갖추고, 상기 지지대의 선단에는 샷시(20)의 수직봉(22)에 걸쳐질 수 있도록 하는 걸침봉(530)을 갖추어준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수직고정바(300)의 중간지점에는 수평의 상태에서 수직고정바(300)를 연결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연결대(600)를 갖추어 주므로서, 수직고정바(300)가 흔들림이 없는 상태가 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본 발명인 태양광 거치대(100)는 제작이 완료된 모듈(10)의 상,하면에 고정앵클(200)이 각각 위치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고정앵클(200)은 일면이 개방된 상태를 갖추고 있어 상기 개방면을 기점으로 하여 모듈(200)의 상,하면에 각각 씌워주게 되면 상면에 갖추어진 접지면(210)이 모듈(10)의 상,하면에 접지되는 상태에서 전면지지편(220)과 후면접지면(230)이 모듈의 전,후면에 접지되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모듈(10)의 후면에서 후면접지면(230)에 수직고정바(300)의 상,하단부가 각각 접하도록 한 상태에서 이들을 체결볼트를 사용하여 체결 고정시켜주게 되는데, 수직고정바(300)의 상단부부에는 상부걸이부(400)가 함께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체결볼트를 사용하여 체결 고정시켜 주게 된다.
또한, 수직고정바(300)의 하단측에는 각도조절부(500)인 지지대(510) 일측부분이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이들을 힌지(520)를 이용하여 임의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시켜 주면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지지대(510)의 선단부에는 걸침봉(530)이 갖추어지게 되는데, 상기 걸침봉(530)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에 위치하는 지지대(510)를 함께 연결시켜 준 상태가 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각각의 지지대(510)에 개별적으로 갖추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모듈(10)에 거치대(100)의 조립이 완료되면 이를 설치하고자 하는 샷시(20)에 설치하게 되는데,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샷시(20)의 상단에 위치하고 있는 수평봉(21)에 상부걸이부(400)가 걸쳐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각도조절부(500)를 힌지(520)를 기점으로 하여 모듈(10)의 후면측에 근접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수평봉(21)에 상부걸이부(400)가 걸쳐지게 되면 모듈(10)은 수직에 가까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모듈(10)의 하단부분을 잡고 전방을 향하여 잡아 당겨주게 되면 수평봉(21)을 기점으로 하여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걸이부(400)가 회동하게 되어 모듈(10)의 각도를 조절시켜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수직고정바(300)측에 근접되어 있는 각도조절부(500)인 지지대(510) 선단부를 후방을 향하여 잡아 당겨주게 되면 상기 지지대(510)는 힌지(520)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게 되어 모듈(10)에 햇빛이 가장 잘 흡수할 수 있는 각도가 되도록 한 상태에서 지지대(510)의 선단부에 갖추어져 있는 걸침봉(530)이 수직봉(22)에 걸치져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을 하면 되는 것으로서, 만약 바람에 의한 안전의 우려가 있을 경우에는 수평봉(21)이 삽입된 상부걸이부(400) 하단측에 체결볼트를 체결시켜 주므로서, 상부걸이부와 수평봉이 견고하게 체결 고정되도록 하고, 이와 동시에 수직봉(22)와 걸침봉(530)을 청사 및 끈 등과 묶음수단을 사용하여 견고하게 묶어주면 바람이 불더라도 모듈(10)이 흔들리거나 떨어지는 등의 안전사고가 없도록 한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제1실시예로서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고정바(300)의 양측 끝단부에 각각 장공(310)을 형성시켜 주어 태양광 모듈의 세로 크기에 따라 두개의 수직고정바(300)의 간격을 자유롭게 조절시켜 줄 수 있도록 하여 수직고정바에 연결되어 있는 고정앵글(200)이 태양광 모듈에 걸쳐질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제2실시예로서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앵글(200)을 수직고정바(300)와 각각 체결될 수 있도록 분리 형성시켜 주고, 수직고정바(300)의 중간지점에 갖추어진 연결대(600)의 양측 끝단부분에 장공(610)을 뚫어주어 베란다에 설치되는 샷시의 수직봉(22)이 간격에 맞추어 지지대(510)의 선단부에 갖추어진 걸침봉(530)이 수직봉(22)에 걸쳐질 수 있는 간격이 되도록 한 상태에서 장공(610)을 관통하는 체결볼트를 체결 고정시켜 주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제3실시예로서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앵글(200)이 없는 상태에서 수직고정바(300)가 모듈(10)의 후면에 직접 접하도록 한 상태에서 체결 고정시켜 주도록 설치할 수도 있는 것이다.
10:모듈 100:태양광 거치대
200:고정앵글 300:수직고정바
400:상부걸이부 500:각도조절부
510:지지대 520:힌지
530:걸침봉 600:연결대
610:장공

Claims (7)

  1. 태양광모듈의 상,하면에 각각 위치하는 한 쌍의 고정앵글과;
    상기 고정앵글의 후면에 양측에 위치한 상태로 체결 고정되는 한 쌍의 수직고정바와;
    상기 수직고정바의 상단부에 위치하여 베란다의 샷시 상단에 위치하는 수평봉에 걸쳐지는 상부걸이부 및
    상기 한 쌍의 수직고정바 하단부측에 일단이 힌지를 기점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선단에는 샷시의 수직봉에 걸쳐질 수 있도록 하므로서, 모듈이 경사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걸침봉으로 구성되어 태양광모듈의 각도를 조절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각도조절부가 구성된 태양광 거치대를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수직고정바의 중간지점에는 수평의 상태에서 수직고정바를 연결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연결대를 갖추되, 상기 연결대의 양측 끝단부에 장공을 형성시켜 샷시의 수직봉 간격에 따라 연결대의 간격을 임의로 조절시켜 줄 수 있도록 하여 지지대의 선단부에 갖추어진 걸침봉이 수직봉에 걸쳐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거치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60080145A 2016-06-27 2016-06-27 태양광 거치대 KR1017210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145A KR101721073B1 (ko) 2016-06-27 2016-06-27 태양광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145A KR101721073B1 (ko) 2016-06-27 2016-06-27 태양광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1073B1 true KR101721073B1 (ko) 2017-03-29

Family

ID=58498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0145A KR101721073B1 (ko) 2016-06-27 2016-06-27 태양광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1073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0881B1 (ko) * 2017-05-01 2017-12-13 해드림협동조합 물받이가 설치된 태양광 모듈 거치대
KR101813453B1 (ko) * 2017-08-14 2017-12-28 최정동 태양전지 모듈용 지지대
CN108880430A (zh) * 2018-08-10 2018-11-23 昱臻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光伏发电组件
KR101968049B1 (ko) * 2018-09-20 2019-04-10 박우홍 태양광 거치대의 인버터 걸이장치
KR101978929B1 (ko) 2018-07-25 2019-05-15 정태량 베란다 설치용 솔라셀 패널 지지대
KR101981772B1 (ko) 2018-07-25 2019-05-23 정태량 베란다 설치용 솔라셀 패널 거치대
KR20200116240A (ko) * 2019-04-01 2020-10-12 오은정 태양광 전지패널의 지지대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38478B2 (ko) * 1973-02-20 1977-09-29
KR20100056792A (ko) * 2008-11-20 2010-05-28 주식회사 만상 건축물 외벽에 설치되는 태양전지모듈의 회동식 거치 구조물
KR101110861B1 (ko) * 2011-08-09 2012-02-15 (주)일광종합기술단 태양광 발전용 모듈프레임 지지장치
JP5238478B2 (ja) 2008-12-19 2013-07-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太陽電池パネルの取付構造
KR101429633B1 (ko) * 2014-03-27 2014-09-24 주식회사 신성솔라에너지 난간용 태양전지모듈 거치장치
KR20140119230A (ko) * 2013-03-27 2014-10-10 김지희 발코니 난간대용 태양광 집광판 고정장치
KR20160023515A (ko) * 2014-08-22 2016-03-03 주식회사 에너지발전연구소 베란다 설치용 태양광 패널 거치대
KR101625149B1 (ko) * 2015-07-30 2016-05-27 주식회사 케이디솔라 발코니 난간대용 태양광 전지 모듈 조립체의 거치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38478B2 (ko) * 1973-02-20 1977-09-29
KR20100056792A (ko) * 2008-11-20 2010-05-28 주식회사 만상 건축물 외벽에 설치되는 태양전지모듈의 회동식 거치 구조물
JP5238478B2 (ja) 2008-12-19 2013-07-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太陽電池パネルの取付構造
KR101110861B1 (ko) * 2011-08-09 2012-02-15 (주)일광종합기술단 태양광 발전용 모듈프레임 지지장치
KR20140119230A (ko) * 2013-03-27 2014-10-10 김지희 발코니 난간대용 태양광 집광판 고정장치
KR101429633B1 (ko) * 2014-03-27 2014-09-24 주식회사 신성솔라에너지 난간용 태양전지모듈 거치장치
KR20160023515A (ko) * 2014-08-22 2016-03-03 주식회사 에너지발전연구소 베란다 설치용 태양광 패널 거치대
KR101625149B1 (ko) * 2015-07-30 2016-05-27 주식회사 케이디솔라 발코니 난간대용 태양광 전지 모듈 조립체의 거치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0881B1 (ko) * 2017-05-01 2017-12-13 해드림협동조합 물받이가 설치된 태양광 모듈 거치대
KR101813453B1 (ko) * 2017-08-14 2017-12-28 최정동 태양전지 모듈용 지지대
KR101978929B1 (ko) 2018-07-25 2019-05-15 정태량 베란다 설치용 솔라셀 패널 지지대
KR101981772B1 (ko) 2018-07-25 2019-05-23 정태량 베란다 설치용 솔라셀 패널 거치대
CN108880430A (zh) * 2018-08-10 2018-11-23 昱臻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光伏发电组件
KR101968049B1 (ko) * 2018-09-20 2019-04-10 박우홍 태양광 거치대의 인버터 걸이장치
KR20200116240A (ko) * 2019-04-01 2020-10-12 오은정 태양광 전지패널의 지지대
KR102225549B1 (ko) * 2019-04-01 2021-03-08 오은정 태양광 전지패널의 지지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1073B1 (ko) 태양광 거치대
KR101885537B1 (ko) 태양광 거치대의 각도조절장치
US9416992B2 (en) End clamps for solar systems
KR101660495B1 (ko) 베란다 설치용 태양광 패널 거치대
KR101733976B1 (ko) 베란다 설치형 태양광모듈 장착장치
US20100077592A1 (en) System and method for hanging solar panels from a horizontal support
KR101348734B1 (ko) 태양광 발전 모듈용 지지 구조물
WO2013081050A1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架台支持構造
WO2012045039A2 (en) Lighting systems and methods for installing same
KR101282899B1 (ko) 집광판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집광판 고정장치
JP2013044114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取付構造
US20140224325A1 (en) Self-Contained Solar Power Unit
CN208572003U (zh) 一种阳台壁挂可调支架
KR101302224B1 (ko) 강선을 이용한 태양광 패널 가변형 고정장치
JP3198764U (ja) ソーラーパネル用フレームモジュール
KR20180006650A (ko) 태양광 거치대
KR200461381Y1 (ko) 태양광 집광판의 각도조절장치
JP2011243607A (ja) 太陽光発電装置
KR20150101202A (ko) 지붕판넬 상의 태양광 집광판 고정장치
KR101968049B1 (ko) 태양광 거치대의 인버터 걸이장치
CN215817328U (zh) 一种基于电杆用电线电缆桥架
CN210857711U (zh) 装配式吊顶
KR101303121B1 (ko) 태양전지판 각도 조절 장치
KR20220071407A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베란다용 태양광모듈 거치대
KR101641872B1 (ko) 건물 부착형 태양광 모듈 고정 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1

Year of fee payment: 4